KR20140103574A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574A
KR20140103574A KR1020130017111A KR20130017111A KR20140103574A KR 20140103574 A KR20140103574 A KR 20140103574A KR 1020130017111 A KR1020130017111 A KR 1020130017111A KR 20130017111 A KR20130017111 A KR 20130017111A KR 20140103574 A KR20140103574 A KR 2014010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mode
digital devic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진
이청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3574A/ko
Publication of KR2014010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의 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에 따른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 및 그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analog broadcasting)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이 제공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고 에러정정(error correction)에도 유리하며, 고해상도(resolution)도 구현 가능하여 더욱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양방향 서비스(bi-directional service)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terrestrial), 위성(satellite), 케이블(cable)과 같은 매체(media)뿐만 아니라 각 가정에 연결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실시간 방송(real-time broadcasting), CoD(Contents on Demand) 등의 IPTV 서비스로도 제공된다.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의 발전과 함께 종래 많은 버튼들(buttons)을 구비하여 그 선택에 따른 기능(function)을 수행하던 종래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대신하여 새로운 제어 수단(control means)이 소개되고 있다. 종래 리모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을 버튼과 대응되게 함으로써 버튼들의 수가 증가하여 리모컨의 사이즈(size)를 소형화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용도로 이용함에 한계가 있다.
한편, 대체 제어 수단은 버튼들의 수는 최소화하여 최신 경향에 맞게 사이즈는 소형화할 수 있으나, 상기 버튼 대응 기능을 위한 버튼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다른 입력 방법들을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나 점차 더 많은 수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충분히 지원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에게 오히려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을 대신하여 해당 제어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을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등에 매핑(mapping)시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매핑(function mapping)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상기 다양한 입력 방법에 대응되는 액션(action)이 있는 경우 헬퍼(helper)와 같은 도움말 기능, UI(User Interface), OSD(On Screen Display) 화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type) 내지 속성(attributes)에 따른 매핑 세트(mapping set)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속성, 상태(status) 등과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어떠한 상태, 기능 등으로도 진입(entry) 가능하도록 다양한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왼손잡이인 경우에 각각 다른 기능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단계;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버튼을 대신하여 해당 제어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을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등에 매핑시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매핑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상기 다양한 입력에 대응되는 액션이 있는 경우 헬퍼(helper)와 같은 도움말 기능, UI, OSD 화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내지 속성에 따른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속성, 상태 등과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어떠한 상태, 기능 등으로도 진입 가능하도록 다양한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왼손잡이인 경우 각각 다른 기능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시스템(digital system)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디지털 디바이스 내 제어부의 상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모션 리모컨 다양한 입력들을 구분 처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모션 리모컨 입력에 따라 화면에 제공되는 UI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3은 도 6의 신호 해석 또는/및 도 7에서 제공된 UI와 매핑 또는 추가(이하 매핑)된 하위 리스트(또는 추가 리스트 내지 서브 리스트)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5는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그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의 설명이나 도면상에 기술되는 내용은 실시 예일 뿐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라 함은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 컴퓨터 기능 내지 지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및 유/무선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아 처리할 수 있는 지능형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게임(gam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입력/제어 수단(이하 제어 수단)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OS 커널(kernel)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PC(Personal Computer) 등 고정형 디바이스(Stand device)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등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와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된 모든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어 수단”이라 함은 종래 리모컨을 포함하여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제어 수단으로 예컨대, 디바이스와 같이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기타 디지털 디바이스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수단은 디지털 디바이스와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센서 내지 수단을 구비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와 제어 수단은 상호 간에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RF(Radio Frequency) 등으로도 통신 가능하다.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로 다양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들 상호 간에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것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 등과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통신 규격에 의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 Direct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통신 규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마트 TV를, 그리고 상기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은 모션 리모컨(motion remote controller)를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상기 모션 리모컨은 제어 편의를 위해 휠(wheel), 터치 센서(touch sensor), 기울기 센서, 위치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내지 모션 감지 센서(motion detecting sen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시스템(digital system)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시스템은, 컨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Home Network End User)(Customer)(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로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미하거나 그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트 제공자(10)는, 각종 컨텐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구성 요소로,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 (System Operator) 또는 MSO (Multiple SO),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개인 컨텐트 제공자들(Private CP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트 제공자(10)는, 방송 컨텐트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컨텐트를 서비스하기 위해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컨텐트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20)는 동일한 개체(entity)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컨텐트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20)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서버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컨텐트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내지 컨텐트 보호(Content Protection) 수단을 이용하고, 클라이언트(100)도 그에 대응하여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AS)와 같은 수단을 이용한다.
그 밖에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 망을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며, 다른 클라이언트나 서버와 통신하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1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receiving unit),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출력부(output unit)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형태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패킷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어 상기 헤더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들을 서로 구분되도록 하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수단이 모션 리모컨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에는 모션 입력, 휠 입력 및 기울기 입력이 포함되고, 상기 헤더에서는 상기 입력들의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입력 모드와 기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 모드를 추가 제어 또는 취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 내 상기 제어 수단의 오른손 모드와 왼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되는 제2 신호의 모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드를 포함한 상기 제1 UI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UI, 상기 제1 UI에 매핑된 동작 모드 및 상기 모드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어 수단은, 터치 센서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신호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바디에 포함된 다른 식별자 정보 기초의 입력들의 조합에 대한 동작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디지털 디바이스(200)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디멀티플렉서(Demux)(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 & 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IP 패킷의 처리와 관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 TCP/IP 매니저(202), 서비즈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IMS 게이트웨이(250) 등은 필요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다른 구성요소들 역시 필요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의 모듈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IP) packets)을 수신하거나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20)로부터 서비스, 컨텐트 등을 수신한다.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디바이스(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분류된 패킷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2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디멀티플렉서(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예를 들어,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 DVB-SI, HDMI 등 규격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예를 들어,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나 채널 브라우저 서비스 등에 관한 SI 정보 역시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디멀티플렉서(205)에서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된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set-up data)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도 3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다른 실시예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저장부(3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 제어부(370), 디스플레이부(380), 오디오 출력부(385), 전원공급부(3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310)와 복조부(3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3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또는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3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3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multi-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320)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예를 들어,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3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RS)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3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3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header)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3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를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디지털 수신기(300)에 다양한 외부장치가 인터페이싱되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이미지 포함)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제어부(370)는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3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3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전자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다양한 셋톱-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인접하는 외부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370) 또는 저장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3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디지털 디바이스(3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ed)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c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300)는, 저장부(3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340)가 제어부(3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튜너(310),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3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디바이스(3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디바이스(3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3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에 외부 입력이 연결된 경우, 각 입력에 따른 커서, UI 등의 모양, 컬러, 크기 등 구성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을 위한 커서, UI 등의 구성을 변경하여 기본 커서, UI 등과 차별화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7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상태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인스턴트 부팅 등으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필요에 따라 웨이크-업 리스트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 등에 기초하여 풀 부팅을 통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른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3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380)는,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3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수신기(3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제어부(3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3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제어 수단)(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지털 수신기(3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와 3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80)와 오디오 출력부(385)가 제외된 셋톱-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4는 디지털 디바이스 내 제어부의 상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의 일 실시예는, 역다중화부(410), 영상 처리부(420), OSD(On-Screen Display) 생성부(440), 믹서(mixer)(4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455) 및 포맷터(formatter)(4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37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믹서(4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 포매터(460)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 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4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310) 또는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3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4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4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4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4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440)는 후술하는 도 7 내지 17과 같은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4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450)는, OSD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포맷터(4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되어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4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380)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4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380)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4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4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80)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도 4의 또는 제어부(47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200/300)에 외부 입력이 연결된 경우, 각 입력에 따른 커서, UI 등의 모양, 컬러, 크기 등 구성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을 위한 커서, UI 등의 구성을 변경하여 기본 커서, UI 등과 차별화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70)는, 디지털 디바이스(200/300)의 상태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인스턴트 부팅 등으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필요에 따라 웨이크-업 리스트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 등에 기초하여 풀 부팅을 통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른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370)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도시된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는 디지털 디바이스(500)의 제어 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들)(551 내지 55N, 여기서 N은 양의 정수)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입력(들)(551 내지 55N)이 연결된 디지털 디바이스(5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5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이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유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디바이스(5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510), 키보드(530), 포인팅 디바이스(5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5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5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500)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모션 리모컨으로 명명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어 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500)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510)은, 디지털 디바이스(5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제어 수단을 말한다.
모션 리모컨(5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터치 센서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5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 UI, OSD 등을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5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모션 리모컨(520)은,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530)는, 디지털 디바이스(5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5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510), 모션 리모컨(520), 키보드(530) 등 제어 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스마트 TV를 모션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을 이용한 모션에 따른 입력(이하 모션 입력), 휠을 통한 입력(이하 휠 입력), 상기 모션 입력의 하나이나 모션 리모컨을 좌 또는 우로 기울여서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이하 기울기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한다. 이때, 상기 모션 입력, 휠 입력 및 기울기 입력의 구분 처리는 예컨대, 특정 모드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모드라 함은 현재 컨텐트의 속성(attributes), 타입(type), 종류(kind), 성격(character), 카테고리(category)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버튼을 대신하여 해당 제어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을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등에 매핑시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내용,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매핑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상기 다양한 입력에 대응되는 액션이 있는 경우 헬퍼(helper)와 같은 도움말 기능, UI(User Interface), OSD(On Screen Display) 화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내용,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중인 컨텐트의 타입 내지 속성에 따른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내용,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속성, 상태 등과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어떠한 상태, 기능 등으로도 진입 가능하도록 다양한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내용 및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왼손잡이인 경우에 각각 다른 기능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모션 리모컨 다양한 입력들을 구분 처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개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모션 리모컨(6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기능 매핑을 대신하여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610)을 이용한 액션 등이 기능에 매핑될 수 있다.
예컨대, 모션 리모컨(61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액션 즉, 모션에 따른 커서를 제공하여 그를 통해 다양한 화면 내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 리모컨(610)은 예를 들어, 휠을 구비하여 휠의 상하 또는 좌우 액션을 통해 소정 기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모션과 유사하게 모션 리모컨(610)을 기울여 상기 모션과는 다른 기능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 리모컨(610)을 기울이는 경우에는 상기 모션 내지 휠 입력과 함께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입력들도 각각 다른 입력들과 조합될 수 있다.
관련하여, 모션 리모컨(610)은 사용자의 액션에 따른 모션, 휠 및 기울기 입력에 따른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디지털 디바이스(6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패킷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 부분으로 구성되며, 헤더 부분은 주로 바디 부분을 식별하거나 해당 패킷의 식별, 기타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헤더 부분에 의해 식별되거나 실제 데이터가 바디 부분에 실린다.
헤더 부분을 통해 모션, 휠 및 기울기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입력은 id=1로, 휠 입력은 id=2 그리고 기울기 입력은 id=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IR/RF 수신부(620)를 통해 모션 리모컨(610)의 입력 즉,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패킷을 입력신호 해석부(630)에서 해석하여 모션 리모컨(61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물을 화면상에 출력한다.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모션 리모컨(610)의 입력 패킷의 헤더 부분을 파싱하여, 파싱된 헤더 부분의 식별자가 ID=1이라면 모션 입력, ID=2이면 휠 입력, 그리고 ID=3이면 기울기 입력으로 식별한다.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 부분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을 식별하고, 바디 부분의 데이터를 상기 헤더 부분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데이터, 기능 수행, UI, OSD, 오디오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모션, 휠 및 기울기 입력을 처리함에 있어서, 우선 메인 입력이 모션, 휠 및 기울기 중 어떤 것인지에 따라 바디 부분의 데이터는 전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모션 리모컨의 입력은 모션, 휠 및 기울기 입력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모션 리모컨의 입력 중 가장 우선적이고 기본적 즉, 핵심적인 입력이 모션이냐 휠이냐 아니면 기울기냐에 따라 그 이후에 입력은 그에 종속되어 전혀 다른 기능 수행, 데이터 출력, UI 출력, OSD 출력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헤더는 디지털 디바이스(600)에서 다양한 입력이 한꺼번에 입력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도록 핵심적인 입력을 디지털 디바이스(600)에서 구분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그를 식별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패킷 내 헤더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헤더 내 추가적인 데이터나 플래그(flag) 등을 통하여 헤더에 포함된 입력 이외의 바디 부분에 포함된 데이터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구분하고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 내 헤더에 id=3이고 flag=1(id=3만 활성화)인 경우에, 바디에 id=1, 2와 3의 입력 데이터가 함께 전송된 경우라도,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상기 바디 부분의 실제 모션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 중에서도 id=3 즉, 기울기의 입력만을 활성화 되도록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딩하여 그에 대응되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관련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패킷 헤더를 통하여 바디의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하여 모션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액션 즉,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IR/RF 수신부(620)로부터 전송되는 모션 리모컨(610)의 각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 데이터가 어떤 의미인지 해석하는데, 특히 모션, 휠 및 기울기 이벤트를 각각 구분하고 식별한다.
특히,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수신된 이후에 또는 동시에 발생되는 다른 이벤트를 어떻게 구분하고 식별하여야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모션 리모컨(610)의 입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이벤트 발생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하나의 이벤트가 수신된 이후에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하는 타입 내지 속성이 다른 이벤트는 동일한 이벤트로 간주하거나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선 입력된 휠 이벤트 이후에 소정 시간 내에 입력되는 모션 이벤트는 동시 이벤트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입력되는 이벤트를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 해석부(630)는 파싱되는 패킷 내 이벤트로부터 순차적으로 어떠한 이벤트들이 발생되었는지 판단하여 그에 맞는 기능이 적절히 호출되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킷 내 각 이벤트의 시간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이벤트(기울기 이벤트)와 제2 이벤트(모션 이벤트) 순차적으로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제1 이벤트에 기초하여 기울기에 따른 기본 기능이나 UI 등을 제공되도록 하고, 제공되는 기울기에 따른 기본 기능이나 UI 등에서 상기 제2 이벤트 즉, 모션에 따른 적절한 항목 등이 선택 및 실행되도록 한다.
하지만, 만약 상기 이벤트의 순서가 반대라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전술한 내용과는 전혀 다른 기능 내지 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기울기에 따른 기능이나 UI가 아닌 모션에 따른 기능이나 UI를 먼저 제공하고 이후 기울기에 따른 상기 제공된 기능이나 UI가 활성화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두 번째 입력은 경우에 따라 아무런 의미 없이 비활성화될 수도 있는데,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600)나 해당 기능이나 UI 등의 속성 등에 의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벤트(기울기 이벤트)와 동시에 발생하는 제2 이벤트(모션 이벤트)는 디지털 디바이스(600)에서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제2 이벤트 데이터는 무시하고, 상기 무시된 제2 이벤트 이전의 제2 이벤트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다른 이벤트를 아예 수신하지 않거나 수신해도 무시할 수도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된 이후에 소정 시간 내에 동일 속성 또는 다른 속성의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전 발생된 제1 이벤트는 무시하고,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이벤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션 리모컨(610)의 다양한 입력은 예를 들어, 종래 리모컨에 비해 버튼 수가 확연히 줄어듦에 따라 이를 해소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어 수단 즉, 모션 리모컨(610)은 기본 컨셉 자체가 종래 리모컨과 달리 버튼 구비를 최소화하고 되도록 모션, 휠과 기울기 등을 주요 입력으로 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것인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입력을 각각 또는 그 조합을 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점점 복잡 다양해지고 많은 기능이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하나의 입력이 하나의 기능과 매핑된다고 한다면 기존과 같이, 모션이나 휠만으로 구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고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어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명세서에서는 모션 리모컨(610)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고 상술한 것과 같은 불편함을 최소화하고자 기 모션 리모컨(610)에 구비된 모션, 휠 및 기울기 입력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 예로, 제어 수단의 휠을 소정 범위 이상 움직이면 피지컬 단위의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거나 피지컬(physical) 단위의 채널 전환을 위한 UI가 제공되고, 소정 범위 이내에서 움직이면 버츄얼(virtual) 단위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거나 버츄얼 단위의 채널 전환을 위한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모션 리모컨을 90도 좌측으로 기울여 휠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피지컬 단위의 채널 전환 또는 관련 UI가 제공되고, 반대로 90도 우측으로 기울여 휠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버츄얼 단위의 채널 전환 또는 관련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화면상에 외부 입력을 통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녹화된 녹화물과 같은 컨텐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모션을 통해 화면상에 제공된 재생 속도(예를 들어, 배속)에 관한 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수단을 90도 좌측으로 기울이고 휠을 한 바퀴 돌리면 재생 화면을 2배속으로 역감기(RW)하거나 한 바퀴 돌릴 때마다 2배속씩 역감기 속도가 증가하고, 반대 즉, 90도 우측으로 기울이고 상기와 같이 휠을 움직이면 역재생이 아니라 빠른 재생(FF) 속도가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재생 바 등에서 좌측은 역재생을 의미하고, 우측은 빠른 재생을 의미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600) 등에서 컨텐트를 이용하는 경우에 그와 관련하여, 기울기 등의 정보를 적절히 대응되도록 매핑하여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이를 반영하거나 설정 등을 통해 또는 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통해 습관 등으로 판단하여 적절히 모션 리모컨에 적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모션 리모컨 입력에 따라 화면에 제공되는 UI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의 화면 내 소정 영역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되고, 화면의 다른 영역에는 현재 컨텐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현재 채널 표시)이 제공된다.
여기서, 오버레이 OSD는 예컨대, 모션 리모컨의 휠을 누르거나 휠을 소정 속도 또는 소정 범위 이상으로 업 또는 다운시키거나 또는 어떤 모션 예를 들어, 모션 리모컨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이는 등을 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오버레이 OSD(710)는 미리 정의된 모션 리모컨의 소정 모션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휠 입력, 모션 입력 또는 기울기 입력이 있으면, 도 7(a)의 화면과 같이 오버레이 OSD가 제공되는데, 상기 오버레이 OSD는, 모션 리모컨의 소정 입력에 대하여 디지털 디바이스가 상기 모션 리모컨이 어떤 모드임을 식별하고 그에 해당하는 모드 정보를 제공할 지에 대한 선택을 받기 위함이다. 이는 예컨대, 단순히 한 번에 휠 입력, 모션 입력 또는 기울기 입력이 있는 경우에 바로 해당 기능을 제공하기 보다는 모션 리모컨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진정한 의도가 무엇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모션 리모컨의 연속된 제어 과정에서의 휠 입력, 모션 입력 또는 기울기 입력이라면 해당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면 되나, 불연속적인 모션 리모컨의 소정 입력에 바로 반응하는 것은 상기 모션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어 오히려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7(a)와 같이 제공되는 오버레이 OSD(710)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이 구성되고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모션 리모컨이 기울여지고 상기 모션 리모컨에서 그와 관련된 소정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도 7(b)와 같이 구성된 UI(72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구성된 UI(720)는 우선, 텍스트로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모션 리모컨이 기울여졌음을 알리고, 리모컨을 좌측으로 90도 기울이면 입력 모드 선택 항목(740)을 선택 가능하고, 우측 90도 기울이면 기능 모드 선택 항목(750)이 액세스 가능함을 알린다. 여기서, 상기 90도는 정해진 값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통상적인 모션과 다르게 좌측이나 우측으로 모션 리모컨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는 정도의 각도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각도는 사용자의 계속적이고 반복된 액션을 학습을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이를 수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편의를 기할 수도 있다.
한편, UI(720)는 상술한 사용자 액션에 따라 선택 가능한 입력 모드 선택 항목(740)과 기능 모드 선택 항목(750)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항목들이 어떤 의미나 기능을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760)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760)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액션을 요구하거나 상기 항목 또는 그와 관련 없으나 사용자의 액션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b)에서 사용자가 다시 소정 항목에 대응되는 액션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범위 이상으로 기울임으로써,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도 8 내지 13과 같은 UI 내지 기능 등이 실행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도 8 내지 13은 도 6의 신호 해석 또는/및 도 7에서 제공된 UI와 매핑 또는 추가(이하 매핑)된 하위 리스트(또는 추가 리스트 내지 서브 리스트)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도 6의 신호 해석 또는/및 도 7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UI일 수도 있으나, 그와 별개로 도 7(a) 내지 7(b)를 대신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모션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액션에 따른 상기 모션 리모컨의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도 8과 같은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UI는, 도 7(b)와 유사하게 입력 모드에 대한 리스트와 기능 리스트가 포함된 두 개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 8의 두 개의 리스트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나머지 리스트는 사라질 수도 있다.
또는, 도 8은 입력 모드에 대한 리스트를 기초로 즉, 상기 입력 모드에 대한 리스트를 상위 UI로 하고, 사용자의 기울기 입력에 따라 기능 리스트를 하위 UI로 처리할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 즉, 입력 모드 리스트와 기능 리스트를 상하위 UI로 처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액션은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상위 UI로 입력 모드 리스트에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연결된 다양한 외부 입력들에 대한 리스트 항목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외부 입력들로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넷, 저장장치, 기타 외부 입력 등의 항목이 선택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 8에서는 이러한 입력 모드 리스트에서 TV 항목이 선택되어 다른 항목들과 다른 컬러나 아이콘 형태로 구성되고, 모션 리모컨의 커서가 상기 TV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으로 소정 범위 기울이면, 입력 모드로 TV 모드에 매핑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TV 모드에 매핑된 다양한 기능들로는, 음량 조절, 채널 전환, EPG 호출, 채널 브라우저 호출, 녹화/녹화 예약 등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이러한 상위-하위 UI 간의 이동은 예를 들어, 기울기 입력이 이용되고, 해당 계층의 UI 내에서의 이동은 예를 들어, 휠의 상하 조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계층 간 이동 시에는 모션 리모컨의 제1 입력을 이용하고, 계층 내에서의 이동은 모션 리모컨의 제2 입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과 제2 입력은 모션 입력, 휠 입력 및 기울기 입력 중 어느 하나이며, 동일한 입력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모션 리모컨 상에 어떠한 버튼이나 휠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기울인 경우와 상기 어떤 버튼이나 휠을 누른 상태에서 기울인 경우에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에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 상에 구현 중인 컨텐트와 관련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화면과 같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홈 화면에 대한 다양한 메뉴 항목이 제공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제공 중인 컨텐트의 기능 제어에 매핑된 기능들 또는 그 리스트가 UI 또는 OSD 형태로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서 하위 UI가 더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이어 제3 영역의 프로그램 리스트(920)로부터 소정 항목(예컨대, 9시 뉴스)이 선택되면, 제4 영역에 추가 하위 리스트(930)를 더 제공한다.
여기서, 제3 영역의 프로그램 리스트(920)에 따라 제공되는 제4 영역의 추가 UI(930)는 예를 들어, 상기 제3 영역의 프로그램 리스트(920)로부터 선택된 항목(9시 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의 경우, 사용자가 9시 뉴스라는 항목을 선택하였는데,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를 9시와 뉴스로 구분하여 식별한 후에 각각에 맞는 컨텐트를 서치한다. 이렇게 각자 서치된 결과를 기준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의도가 9시 항목인지 아니면 뉴스 항목인지를 판단하여 원하는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서치된 결과 모두를 서로 다른 뎁쓰 내지 영역으로 제공하거나 하나의 뎁쓰 내지 영역에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의 경우에는 특히, 9시 항목보다는 뉴스라는 항목을 기초로 추가 UI가 제공되었다.
정리하면, 사용자가 소정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가 UI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미리 설정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선택된 항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추가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이에 따라 접근 또는 이용 가능한 뉴스 채널 또는 프로그램들(YTN, MBN, CNN(935), BBC 뉴스와 같은)을 제공한다.
한편, 도 9와 같이, 추가 UI를 제공함에 있어서, 뉴스 장르에 속한 모든 채널 내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기 방송이 종료되었거나 현재 이용 가능하지 않은 항목은 비활성화시키고 현재 이용 가능한 항목, 미래에 이용 가능한 항목을 모양, 크기, 하이라이트, 투명도, 2D/3D 등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항목의 속성에 따라 선택시 채널/프로그램 이동, 시청예약, 즉시 녹화, 녹화 예약 등 기능들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도 7 내지 9를 대신하여 각종 모드 UI를 제공하는 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 기울기 입력에 따라 도 10(a) 내지 (b)와 같은 모드를 페이지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펼쳐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에 제공된 페이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는 다른 페이지들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나 해상도, 포맷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이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메뉴 화면 또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페이지를 제공하여 "왼손 모드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오른손 모드를 선택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는 왼손 모드와 오른손 모드를 번호를 병기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수평 방향으로 화살표를 제공하여 모션 리모컨을 기울여 바로 해당 모드로 동작 가능하고 해당 모드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모션 리모컨을 왼쪽으로 수평방향으로 기울이면 왼손 모드에서의 기능 리스트 입력 리스트 등이 제공되고, 오른쪽으로 수평방향으로 기울이면 오른손 모드에서의 기능 리스트, 입력 모드 리스트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왼손 모드와 오른손 모드에서 제공되는 리스트를 포함한 모드 정보는 서로 다른 크기, 해상도, 포맷, 다른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왼손잡이의 특성에 따라 또한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된 모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통상 왼손잡이들의 특성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이나 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계속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학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왼손 모드에서 해당 사용자가 계속하여 모션 리모컨을 핸들링하는 경우에는, 그의 이용 편의를 위해 쿼티 자판이나 게임 디바이스에서 왼손 모드로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드에 따른 서로 다른 모드 데이터 등을 제공하는 방식은 상술한 비단 왼손잡이뿐만 아니라 오른손잡이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같은 왼손 모드, 오른손 모드라고 하더라도 사용자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여 해당 사용자에 보다 최적화된 모드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드 데이터 등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관련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아 추천하거나 업데이트, 또는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 모드냐 오른손 모드냐는 해당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 수도 있으나, 도 6과 같이 모션 리모컨의 신호 즉, 패킷 헤더를 통해 그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미리 도 10(a) 내지 10(b)에서 해당 모드로 세팅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션 리모컨은 모션 리모컨 자체 내에 터치 센서, 온도 센서 등을 주로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소정 부분들에 부분적으로 구비하여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왼손 모드 또는 오른손 모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패킷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 식별 정보는 매번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업데이트가 있거나 변경 등이 있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킷 헤더는 미리 디지털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와 그의 모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모드 식별 정보가 아닌 사용자 식별 정보만 제공하고,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해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왼손 모드와 오른손 모드를 선택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a)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면 중앙의 메인 메뉴 UI와 다른 모드의 모드 데이터는 모두 사라지고 선택된 모드의 데이터만 동일한 방식 즉, 페이지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b)에서는 모드와 관계없이 중앙에 메인 메뉴나 해당 컨텐트와 가장 관련성이 깊은 기능, 데이터 등이 포함된 페이지를 제공하고 우선순위나 데이터의 타입 내지 속성 등에 기초하여 구성된 각종 페이지가 순차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을 통한 기울기 입력을 통해 해당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을 통한 기울기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b)뿐만 아니라 10(a)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술한 각 실시예들에서 각 입력은 서로 조합되어 다양한 UI 내지 OSD에서 항목이나 페이지 등의 선택시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그러한 조합이나, 기울기 입력을 이용한 각종 입력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헬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션 리모컨을 생각없이 좌측 수평 방향으로 기울인 경우에는, 그와 같은 경우에 어떤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입력과 조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음을 학습 가능하도록 화면 소정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사한 방식으로 기울기 입력이 인지되면, 디지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UI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기울기를 좌 또는 우로 하는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의 데이터가 제공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션 리모컨을 한 번 좌나 우측 수평 방향으로 기울이면, 도 11(a)와 같은 UI가 제공되고, 다시 좌측으로 한 번 더 기울이면 9시 뉴스, 다큐멘터리, 영화와 같은 컨텐트 항목을 접근 가능함을 알리고, 우측으로 한 번 더 기울이면, 녹화물, 예약 녹화물 등의 리스트를 접근 가능함을 알려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 UI나 항목에 접근하면, 그에 연동된 하위 UI들이 순차로 제공 가능하다.
한편, 도 11(b)의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UI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을 선택하면, 나머지 하위 UI는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으로 접근 가능하고 제어 가능하도록 UI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1(b)의 경우에는 메뉴 등의 중간에 다른 입력이 인지되면, 계층 구조 내에서도 서로 다른 방식의 UI를 구성하여 제공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2(a) 내지 (d)는 또 다른 UI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내지 속성 또는 종류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2(a)는 현재 EPG 화면이 호출되어 제공 중인 경우에 사용자가 모션 리모컨을 기울인 경우에 해당 항목 즉, TV 항목이 선택된 이후에 기울기 입력에 따라 접근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b)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입력 모드 리스트를 호출한 이후에, BD 플레이어를 선택한 후 기울기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BD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 가능한 재생 리스트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c)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마이 앱이라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리스트를 호출 또는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기울기 입력을 제공한 경우에 바로 마이 앱 화면으로 전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을 통하여 하단의 현재 채널로 돌아가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가능하다.
한편, 기울기 입력을 통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전술한 각종 항목은 다른 모션이나 휠 입력을 통해 재생, 선택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기울기 입력을 빠르게 여러 번 하는 액션으로 선택이나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12(d)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TV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을 선택한 경우에 S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12 등과 같은 UI에서 각 모드나 기능 등은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태나 컨텐트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그와 관련된 UI나 정보 등은 해당 기울기 입력에 따라 화면 영역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d)에서 라이브 방송 시청 중에 모션 리모컨을 좌나 우로 수평 방향으로 기울이면 SNS 서비스를 위한 채팅 창이 제공된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가 좌측 수평 방향으로 기울였으면 도 12(d)에서와 달리 SNS 채팅 창이 우측이 아닌 좌측에 활성화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7 내지 12의 UI와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술한 내용들과 달리,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컨텐트를 시청하다가,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이 수신되면 도 13의 하단과 같이, 현재 채널 정보와 컨텐트 정보가 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션 리모컨의 모션을 통해 채널정보 제공영역(1310)과 컨텐트정보 제공영역(1350)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정보 제공영역(1310)에는 “TV 10-1”과 같은 정보가 제공되는데, 이를 각각 세부 항목으로 모션 리모컨의 모션에 따른 커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즉, TV 항목(1322), 10 항목(1324) 그리고 1 항목(1326)으로 구분하여 액세스 가능하다. 여기서, TV 항목(1322)은 예컨대, 전술한 디바이스 리스트의 항목들에 매핑될 수 있다. 그리고, 10 항목(1324)은 피지컬 채널 단위의 채널 변경에 매핑되고, 1 항목(1326)은 가상 채널 단위의 채널 변경에 매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션 리모컨의 모션을 통해 커서를 해당 항목에 위치시키고 휠을 업/다운함으로써 해당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정보 제공영역(1350)에는 “EBS 9시 뉴스”와 같은 정보가 제공되는데, 이를 각각 세부 항목으로 모션 리모컨의 모션에 따른 커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즉, EBS 항목(1332)과 9시 뉴스 항목(1334)으로 구분하여 액세스 가능하다. 여기서, EBS 항목(1332)은 예컨대, 방송국 정보로 이용 가능한 방송국에 매핑되고, 9시 뉴스 항목(1334)은 컨텐트 타입, 속성 등에 따라 뉴스 항목 등에 매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션 리모컨의 모션을 통해 커서를 해당 항목에 위치시키고 휠을 업/다운함으로써 해당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단계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패킷 형태로 수신되고, 상기 패킷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어 상기 헤더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들을 서로 구분되도록 하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이 모션 리모컨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에는 모션 입력, 휠 입력 및 기울기 입력이 포함되고, 상기 헤더에서는 상기 입력들의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당 동작 모드라 함은, 입력 모드 선택과 기능 모드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 모드를 추가 제어 또는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오른손 모드와 왼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UI는, 상기 수신되는 제2 신호의 모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드로 출력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UI, 상기 제1 UI에 매핑된 동작 모드 및 상기 모드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터치 센서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신호에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바디에 포함된 다른 식별자 정보 기초의 입력들의 조합에 대한 동작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4는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리스트(S110), 채널 리스트(S120) 및 프로그램 리스트(S130)를 포함한 오버레이 OSD를 구성한다.
구성된 채널 리스트와 프로그램 리스트와 관련된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을 통합 입력 즉, 선택이 있는지 판단하여(S135),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여(S138) TV를 시청한다(S140).
이후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을 통한 휠 입력이 수신되는지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판단한다(S150).
상기 S15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사용자의 모션 리모컨을 통한 휠 입력이 존재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모션 리모컨의 모션에 따른 커서 움직임을 보정하여 휠 입력 이후에 모션 입력을 제한한다(S160).
상기 S150 단계 판단 결과 휠 입력이 현재 입력인지 판단한다(S170).
상기 S170 단계 판단 결과, 휠 입력이 현재 입력에 해당되면, 해당 리스트에 반영한다. 즉, 디바이스 리스트에 대한 휠 입력, 채널 리스트 휠 입력 및 프로그램 리스트 휠 입력에 따라 해당 리스트로 전송한다.
도 15는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먼저, 모션 리모컨의 소정 기울기 입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10).
상기 S21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미리 정의된 기울기 입력이 존재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오버레이 OSD를 구성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S220). 여기서, 오버레이 OSD는 디바이스 리스트, 채널 리스트 및 프로그램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제공된 오버레이 OSD에 대한 기울기 입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30).
상기 S230 단계에서 오버레이 OSD에 대한 기울기 입력이 존재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기울기 입력 이후의 모션 리모컨의 모션 입력 즉, 커서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락을 실행한다(S240).
이후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S230 단계의 오버레이 OSD에 대한 기울기 입력에 대응하여 오버레이 OSD 내 리스트 또는 항목에 대한 네비게이션을 수행한다(S250).
상기 S250 과정에서 사용자가 모션 리모컨의 기울기 입력을 통해 소정 항목을 선택하였는지 판단한다(S260).
상기 S26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사용자의 소정 항목 선택을 위한 기울기 입력이 존재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기울기 입력에 대응하여 하위 리스트를 구성하여 출력 또는 화면 전환 및 컨텐트를 제공한다(S270).
상기 S250 단계 내지 S270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항목 내지 기울기 입력에 따라 하위 리스트를 더 구성하여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된 항목을 화면을 전환하여 제공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오버레이 OSD, 하위 리스트, 리스트 등은 편의상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모두 크게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같은 UI 형태를 말한다.
이상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을 대신하여 해당 제어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을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등에 매핑시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고,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매핑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상기 다양한 입력에 대응되는 액션이 있는 경우 헬퍼(helper)와 같은 도움말 기능, UI(User Interface), OSD(On Screen Display) 화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내지 속성에 따른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속성, 상태 등과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어떠한 상태, 기능 등으로도 진입 가능하도록 다양한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왼손잡이인 경우 각각 다른 기능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을 대신하여 해당 제어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을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등에 매핑시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고,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매핑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상기 다양한 입력에 대응되는 액션이 있는 경우 헬퍼(helper)와 같은 도움말 기능, UI(User Interface), OSD(On Screen Display) 화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내지 속성에 따른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수단의 입력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 중인 컨텐트의 타입, 속성, 상태 등과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어떠한 상태, 기능 등으로도 진입 가능하도록 다양한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왼손잡이인 경우 각각 다른 기능 매핑 세트를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디멀티플렉서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단계;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패킷 형태로 수신되고,
    상기 패킷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어 상기 헤더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들을 서로 구분되도록 하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모션 리모컨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에는 모션 입력, 휠 입력 및 기울기 입력이 포함되고,
    상기 헤더에서는 상기 입력들의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동작 모드라 함은,
    입력 모드 선택과 기능 모드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 모드를 추가 제어 또는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오른손 모드와 왼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는,
    상기 수신되는 제2 신호의 모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드로 출력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UI, 상기 제1 UI에 매핑된 동작 모드 및 상기 모드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터치 센서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신호에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바디에 포함된 다른 식별자 정보 기초의 입력들의 조합에 대한 동작 모드로 제어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신호 처리 방법.
  11.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어 수단의 기울임 방향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한 제1 UI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UI 상에 출력된 상기 동작 모드에 매핑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형태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패킷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어 상기 헤더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들을 서로 구분되도록 하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수단이 모션 리모컨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의 다양한 입력에는 모션 입력, 휠 입력 및 기울기 입력이 포함되고,
    상기 헤더에서는 상기 입력들의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모드와 기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소정 방향으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울어졌음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 모드를 추가 제어 또는 취소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 내 상기 제어 수단의 오른손 모드와 왼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제2 신호의 모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드를 포함한 상기 제1 UI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UI, 상기 제1 UI에 매핑된 동작 모드 및 상기 모드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터치 센서와 이전 입력 데이터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신호에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바디에 포함된 다른 식별자 정보 기초의 입력들의 조합에 대한 동작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KR1020130017111A 2013-02-18 2013-02-18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140103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11A KR20140103574A (ko) 2013-02-18 2013-02-18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11A KR20140103574A (ko) 2013-02-18 2013-02-18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74A true KR20140103574A (ko) 2014-08-27

Family

ID=5174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111A KR20140103574A (ko) 2013-02-18 2013-02-18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35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593B1 (ko)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KR101832463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2063075B1 (ko) 서비스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 방법
KR101852818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US9426440B2 (en) Thumbnai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147270A1 (en) Network television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73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234895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99328A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북마킹 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20120040841A (ko) 영상 표시기기에서 포인터 이동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75054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75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20069961A (ko) 컨텐츠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7503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5012801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컨텐트 처리 방법
KR20120053766A (ko) 영상 표시기기에서 외부기기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758919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4006111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1880458B1 (ko) 디지털 기기 및 디지털 기기에서의 컨텐츠 처리 방법
KR1016897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03574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120080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46851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