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917A - trekking Pole - Google Patents

trekking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917A
KR20140102917A KR1020130016433A KR20130016433A KR20140102917A KR 20140102917 A KR20140102917 A KR 20140102917A KR 1020130016433 A KR1020130016433 A KR 1020130016433A KR 20130016433 A KR20130016433 A KR 20130016433A KR 20140102917 A KR20140102917 A KR 2014010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folded
fixed
tubular bod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2658B1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3001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658B1/en
Publication of KR2014010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kking pole. The main body of a stick constituting the trekking pole is composed by assembling separated pipes. The trekking pole can be folded or unfolded as the pipes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component to be able to be folded as connected. The trekking pole can be assembled easily and can be locked very firmly when unfolded to ensure a bearing capacity against vertical load as the folding states of the pipes are fixed by a locking means; the main body of the stick can be used while fixed in a unfolded linear state or can be carried by unlocking the locking means and folding the main body of the stick; and the trekking pole can be folded or unfolded conveniently in a folding way. In addition, the trekking pole can be coupled or loosened by little strength, thus can be used conveniently by weak women or old people and is prevented from loosening during use, thus enabling safe usage.

Description

워킹 스틱{trekking Pole}Walking stick {trekking Pole}

본 발명은 워킹 스틱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의 구조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간편하게 펼쳐서 사용하거나 접어서 보관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워킹 스틱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st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stick having a multi-stage pipe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folded or folded by a user to reduce the storage volume.

일반적으로, 워킹 스틱은 보행시 보조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등산을 하거나 트래킹을 할 때 사용하고 오르막이나 내리막길 계단 등에서 균형감각을 보완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충격을 완화하여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Generally, walking stick is used as an assistant when walking. It is mainly used for climbing or trekking. Complementing the sense of balance in uphill or downhill stairs, it help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supporting weight,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avoiding crowds.

이러한 워킹 스틱의 구조는 스틱 본체의 하단에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스틱 본체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스틱 본체가 하나의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The structure of such a walking stick has a spik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ck body and a hand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ick body. In the past, since the stick body is formed of a single pipe body, it has been difficult to carry and store it.

특히, 가벼운 등산을 하거나 트래킹을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20리터 미만의 작은 백팩에 물이나 간식, 기타 소지품 등을 넣어 다니는데, 이러한 백팩에 등산스틱을 담을 수 없어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Particularly, in case of light climbing or trekking, water, snacks and other belongings are put into small backpacks of less than 20 liters in most cases,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climbing sticks in such backpacks.

따라서 최근에는 스틱 본체를 내관과 외관의 이중 관체로 형성하여 스틱 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사용중 하중을 많이 받으면 관체를 연결하는 락장치 부분이 파열되거나 풀리게 되고, 지면에 스틱을 지탱하는 순간 내관이 외관에 삽입되어버리면서 체중이 쏠려 넘어지게 되며, 매우 위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recent year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stick body is formed of a double pipe body having an inner pipe and an outer pipe so that the length of the stick body can be adjusted. However, if the load is heavy during use, the lock device connecting the pipe body ruptures or loosens, As soon as the stick is supported on the ground, the inner tube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and the weight falls and falls, which is a very dangerous problem.

따라서 대부분 락장치 부분을 강하게 조여서 풀림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악력이 낮은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여전히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이렇게 강하게 조이면 풀 때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Therefore, most of the locking devices are not tightened tightly to prevent loosening.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with low grip strength or elderly people, there is still a risk of safety accidents.

한편, 이러한 스틱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파이크는 대부분 철심을 박아 형성하는 등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이 단순히 균형을 맞춰주고 체중의 분산을 할 뿐이어서 등산용으로만 사용시 효과가 있을 뿐이고, 트래킹이나 워킹 운동을 할 때 바른 보행자세를 유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pik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ick main body is formed in a pointed shape such as an iron core is formed in most cases to support the floor. However, since this simply balances the weight and disperses the weigh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induce a correct walking posture when performing a tracking or walking exerci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2076호(2004.09.03)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62076 (September 3, 2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330호(2005.10.05)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98330 (2005.10.05)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틱 본체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경우에 보다 간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펼친 상태에서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and stored more easily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stick main body, while being firmly supported against a vertical load in an unfolded state, so that the stick main body can be safely us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틱 본체의 상,하측으로 손잡이와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스틱 본체를 분리된 관체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체를 서로 연결한 상태로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요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며, 관체의 절첩 상태를 락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틱 본체를 일자로 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락수단을 해제하여 스틱 본체를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stick having a handle and a spik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ick body, wherein the stick body is formed by assembling a separate tube body, So that the folded state of the tubular body can be fixed by the locking means so that the stick body can be fixed in a flat state or can be released by releasing the locking means so that the stick body can be folded and carried It is.

또한, 상기 연결요소는 가요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관체를 서로 연결하고, 관체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끼움 수단을 형성하여 관체를 끼워 고정하도록 하며, 락수단은 관체에 타공홀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탄성 작동하는 탄성버튼을 내장하여 관체의 맞물림 상태를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Further, the connecting element connects the tubular body with each other by using a flexible wire, and a fitting means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tubular body is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tubular body. The locking means forms a perforation hole in the tubular body, And an elastic button that resiliently operates is incorporated in the tubular body so that the engagement state of the tubular body can be fixed by hanging or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또한, 상기 연결요소는 분리된 관체가 하나의 축 또는 두 개의 축에 의하여 힌지 작동되도록 하여 절첩 가능토록 하고, 그 절첩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여 스틱 본체를 펴서 사용하거나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element may be foldable by allowing the separated tubular body to be hinged by one shaft or two shafts,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folded state may be formed, so that the stick body may be stretched and used or folded .

또한, 상기 스틱 본체의 하단에는 스파이크에 보조캡을 끼워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스파이크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보조캡의 하단부에는 만곡면을 형성함으로써 트래킹이나 워킹 운동시 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spikes are not directly exposed to the spikes when the spikes are carried or stored with the spike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urved surfac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auxiliary caps to induce a correct walking posture during tracking or walking. .

따라서 본 발명은 워킹 스틱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어 쉽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펼친 상태에서의 록킹 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쉽게 체결하거나 풀 수 있으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중 풀림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ssemble and fold the walking stick into a foldable form, so that it is easy to assemble, and the locking state in the unfolded state is very strong,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vertical load can be secured, It can be used easily even for weak women or elderly people and can be used safely by preventing loosening during use.

또한, 보조캡을 분리하거나 끼워 사용함으로써 등산이나 트래킹 또는 워킹 운동 또는 휴대하여 이동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캡에 의하여 걷는 상황에서의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고 바른 걸음걸이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ap can be suitably used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climbing, tracking, walking, or moving by moving or separating the auxiliary cap.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force in the walking state by the auxiliary cap, . ≪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워킹 스틱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워킹 스틱의 외관도
도 5는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도 7은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를 접은 상태의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orking sti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of a stick main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of the sti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ternal view of the working sti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ti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3
Fig. 6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ti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3
FIG.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tick bod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of the sti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sti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 본체(10)의 상,하측으로 손잡이(20)와 스파이크(30)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스틱 본체(10)가 분리된 관체(11)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리된 관체(11)는 연결요소(4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스틱본체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접을 경우에는 스틱 본체(10)를 180°로 접어 스틱 본체를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하고, 그 관체의 이음새 부분에는 관체(11)를 접거나 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락수단(50)을 구비하여 락수단(50)에 의하여 스틱 본체(10)를 일자로 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락수단(50)을 해제하여 스틱 본체를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stick in which a handle 20 and a spike 30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a stick body 10 as shown in FIG. 1,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a state where the tubular body 11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element 40. At the time of folding, the stick body 10 The lock means 50 is provided with a lock means 50 capable of folding the stick body completely at 180 ° and folding the tube 11 at a joint portion of the tube body, The stick main body 10 can be fixedly used in a straight state or the lock means 50 can be released so that the stick main body can be folded and carried.

이때, 상기 연결요소(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진 관체(11)를 가요성 와이어(41)로 고정하면 가요성 와이어에 의하여 분리되어진 관체(11)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가요성 와이어(41)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체(11)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관체(11)를 서로 분리 시킨 후, 180°로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관체(11)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끼움부(12)를 형성함으로써 분리된 관체(11)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1, when the tubular body 11 separated by the flexible wires 41 is fixed by the flexible wires 41, the tubular bodies 11 separated by the flexible wi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lexible manner The tubular body 11 can be separa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by the wire 41 so that the tubular bodies 11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olded at 180 ° so that they can be carried or stored. And the tubular body 11, which has been separated, can be fixed by being formed with the fitting portion 12 at the stuck portion.

그리고 상기 분리되는 관체(1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락수단(50)은 관체(11)에 타공홀(51)을 형성하고, 그 관체(11)의 내측에는 탄성 작동하면서 타공홀(51)에 끼워 고정되는 탄성버튼(52)을 내장하면 관체의 맞물림 상태를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관체(11)를 분리하거나 조립하여 스틱 본체(10)의 형태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locking means 50 for maintaining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is formed with a perforation hole 51 in the tubular body 11,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tubular body 11 or assemble the tubular body 11 so that the tubular body 11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10 by the shape of the stick body 10. [ It becomes possible to deform.

그리고 이러한 연결요소(40)와 락수단(5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관체(11)가 각각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첩대(42)에 결합하고, 그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를 힌지축(43)으로 연결하여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스틱본체(10)를 접거나 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힌지축(43)의 위치는 스틱 본체(10)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함으로써 절첩대(42)를 'ㄷ'자 형태로 180°로 포개어 접을 수 있게 한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element 40 and the locking means 50 is such that the tubular body 11 separated as shown in Fig. 2 is divided into a pair of folding bosses 42a and 42b The operation member 42a and the support member 4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shaft 43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stick body 10 can be folded or unfolded. (43)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stick main body (10) so that the folding table (42) can be folded in a " C "

또한, 상기 작동구(42a)와 지지구(42b)의 절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버튼(53)을 장착하면 스틱 본체(10)를 펴거나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ixing button 53 for fixing the folded state of the operation tool 42a and the support 42b is attached, the stick body 10 can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or folded.

이때, 고정버튼(53)의 작동구조는 후크방식의 걸림수단을 형성하여 고정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걸림수단이 작동구(42a)와 지지구(42b)에 걸림 고정되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고정버튼(53)에 의한 스틱 본체(10)의 상태 고정은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만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모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버튼(50)의 작동구조 및 선택적인 상태고정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지 않는 한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 가능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fixing button 53 is a hook-type engaging means so that the engaging means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operating member 42a and the supporting member 42b by pressing the fixing button The fixing of the state of the stick body 10 by the fixing button 53 allows the stick body 10 to be fixed only in the unfolded state or to fix both the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of the stick body 10 And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known techniques, so long as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fixing button 50 and the selective state fixing do not lim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연결요소(40)와 락수단(50)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관체(11)가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의하여 각각 축 결합되도록 형성하면 분리된 관체(11)가 개별적으로 절첩 작동되면서 간단하게 접어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락수단(50)은 분리된 관체(11)의 이음부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캡(54)을 장착하여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이음부를 보강하면서 스틱 본체(10)를 접을 경우에는 고정캡(54)이 이음부 부분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분리된 관체(11)를 접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3, the tubular body 11 is formed so as to be axially coupled by two shafts 45a and 45b formed on the connecting block 44, The locking means 50 is provided with a fixing cap 54 for enclo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at the joint portion of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When the stick main body 10 is folded and the joint body is folded while the stick body 10 is folded, the fixed cap 54 is separated from the joint part so that the separated pipe body 11 can be folded will be.

즉, 상기 고정캡(54)은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케 함으로써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스틱 본체(10)의 이음새 부분에 고정캡(54)을 위치시켜 스틱본체(100의 임의적인 절첩 작동을 방지하도록 락킹하고, 스틱 본체(10)를 접을 경우에는 고정캡(54)은 분리된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스틱 본체(10)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fixed cap 54 can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to allow the fixed cap 54 to be position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stick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stick body 10 is unfolded, And the fixed cap 54 is separated from the joint portion of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so that the stick body 10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the stick body 10 is folded.

이때, 상기 연결요소(40)는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 중 어느 일측의 축은 연결대(44)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타측의 다른 축은 연결대(4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4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면 두 개의 축(45a,45b) 사이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락수단(50)의 고정캡(54)이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는 스틱 본체(10)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element 40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44 on one side of the two shafts 45a and 45b formed on the connecting rod 44 while the other shaft is fixed to the slide groove 44a The spacing between the two shafts 45a and 45b is adjusted to allow the stick body 10 to be folded and fixed when the locking cap 54 of the locking means 50 is unlocked will be.

따라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락수단(50)을 스틱 본체(10)의 분리된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분리된 관체(11)를 상,하측으로 각각 당기면 연결대(44)에 장착된 두 개의 축(45a,45b)간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면서 관체(11)를 'ㄷ'자 형태로 180°로 포개어 접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5 to 7, the locking means 50 is released from the joint portion of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of the stick body 10, and then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is pulled upward and downward, The tubular body 11 can be folded and folded 180 ° in a 'C'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old it and carry it or store it.

그리고 워킹 스틱을 펼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대로 분리된 관체(11)를 일자로 위치시킨 후 끼우면 연결대(44)에 장착된 두 개의 축(45a,45b)간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관체(11)가 서로 맞닿게 되며, 이 상태에서 락수단(50)을 이용하여 스틱 본체(1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워킹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contrast, when the walking stick is to be us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hafts 45a and 45b mounted on the connecting rod 44 is reduced when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is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In this state, the stick body 10 can be used as a walking stick by fix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stick body 10 by using the lock means 50.

그리고 이때, 상기 락수단(50)은 고정캡(54)이 관체(11)와 나선구조로 조임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수단(56)에 의하여 락킹 및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캡(54)의 작동 경로 상에 스토퍼(55)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캡(54)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면서 고정캡(54)의 이탈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locking means 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cap 54 is tightened and separated in a helical structure with the tubular body 11, or alternatively, the elastic restoring means 56 such as a spring as shown in FIG. 8 The stopper 55 is formed on the operation path of the fixed cap 54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xed cap 54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xed cap 54,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한편, 상기 스틱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파이크(30)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보조캡(60)을 결합하면 스파이크(3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워킹 스틱을 휴대중에 스파이크에 의하여 얼굴이나 피부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캡(60)의 하면에 만곡면(61)을 형성하면 사용자의 보행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 맞게 워킹 스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uxiliary cap 6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s coupled to the spike 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ck body 10, the spike 30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walking posture of the user by forming the curved surface 6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p 60 and to adjust the walking stick to suit various situations So that it can be used.

즉, 워킹 스틱을 등산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캡(60)을 제거한 후 스파이크(30)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워킹 스틱을 휴대하거나 트래킹 및 평지에서의 워킹 운동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스파이크(30)에 보조캡(60)을 끼워 사용함으로써 워킹 스틱을 지면에 찍으면 보조캡(60)에 형성된 만곡면(61) 중 후방 부분이 지면에 먼저 닿은 후 보행이 진행됨과 동시에 지면에 맞닿은 부분이 만곡면의 전방측으로 이어지면서 사용자의 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더욱 효율적으로 양측의 균형을 고르게 분산하여 워킹을 유도하도록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alking stick is used for mountain climbing, the spikes 30 are exposed after the auxiliary cap 60 is removed. When the walking stick is used for carrying or tracking and walking, When the walking stick is put on the ground surface, the rea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61 formed on the auxiliary cap 60 touches the ground first, then the walking progress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duce a correct walking posture of the user while leading to a forward side of the walking pose.

10: 스틱 본체 11: 관체
12: 끼움부
20: 손잡이
30: 스파이크
40: 연결요소 41: 가요성 와이어
42: 절첩대 42a: 작동구
42b: 지지구 43: 힌지축
44: 연결대 44a: 슬라이드홈
45a, 45b: 축
50: 락수단 51: 타공홀
52: 탄성버튼 53: 고정버튼
54: 고정캡 55: 스토퍼
56: 탄성복원수단
60: 보조캡 61: 만곡면
10: stick body 11: tubular body
12:
20: Handle
30: Spike
40: connecting element 41: flexible wire
42: Cutter frame 42a:
42b: support 43: hinge shaft
44: connecting rod 44a: slide groove
45a, 45b:
50: Locking means 51: Perforated hole
52: Elastic button 53: Lock button
54: fixed cap 55: stopper
56: Elastic restoration means
60: auxiliary cap 61: curved surface

Claims (8)

스틱 본체(10)의 상,하측으로 손잡이(20)와 스파이크(30)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상기 스틱 본체(10)가 분리된 관체(11)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되고, 분리된 관체(11)는 연결요소(40)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틱본체를 접거나 펼 수 있게 되며, 관체(11)의 절첩 상태가 락수단(50)에 의하여 고정되어 스틱 본체(10)를 일자로 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락수단(50)을 해제하여 스틱 본체를 접어 휴대할 수 있게 되는 워킹 스틱.
In the walking stick in which the handle 20 and the spikes 3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ick body 10,
The tubular body 11 can be folded by the connecting element 40 so that the stick body can be folded or unfolded. The folded state of the tubular body 11 is fixed by the locking means 50 so that the stick body 10 is fixed in a flat state or the locking means 50 is released to fold the stick body Walking sti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40)는 가요성 와이어(41)를 이용하여 분리된 관체(11)를 서로 연결하고, 관체(11)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끼움부(12)가 형성되어 분리된 관체(11)를 끼워 고정토록 되며, 상기 락수단(50)은 관체(11)에 타공홀(51)이 형성되면서 관체(11)의 내측에는 탄성 작동하면서 타공홀(51)에 끼워 고정되는 탄성버튼(52)이 내장되어 관체의 맞물림 상태를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element (40) connects the tubular bodies (11) separated by using the flexible wire (41), and the fitting part (12) And the locking means 50 is fixed to the tubular body 11 by forming a perforation hole 51 in the tubular body 11 while being elastically operated inside the tubular body 1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51 And a resilient button (52) is fixed to fix the engagement state of the tubular body to be fixed or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40)는 분리된 관체(11)가 각각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첩대(42)에 결합되고,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는 힌지축(43)으로 연결되어 절첩 작동을 하도록 되며, 상기 힌지축(43)은 스틱 본체(10)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절첩대(42)를 'ㄷ'자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락수단(50)은 작동구(42a)와 지지구(42b)의 절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버튼(53)이 형성되어 스틱 본체를 펴거나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connecting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element (40) is connected to a pair of folding tabs (42) each having a separate tube body (11) The hinge shaft 43 is formed to be eccentric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stick body 10 so that the foldable tab 42 can be folded in a ' The lock means 50 is provided with a fixing button 53 for fixing the folded state of the operation member 42a and the support member 42b so that the stick member is folded or fold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ix the walking sti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40)는 분리된 관체(11)가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의하여 각각 축 결합되어 분리된 관체(11)가 개별적으로 절첩 작동되고, 상기 락수단(50)은 분리된 관체(11)의 이음부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캡(54)이 장착되어 이음부를 보강하도록 되며, 상기 고정캡(54)은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케 되어 스틱 본체(10)의 이음새 부분에 위치되어 임의적인 절첩 작동을 방지하여 락킹을 하거나 스틱 본체(10)의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벗어나 스틱 본체(10)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connecting element (4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tube (11) is axially coupled by two shafts (45a, 45b) formed on a connecting rod (44) The locking unit 50 is provided with a fixed cap 54 to reinforce the joint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parated tubular body 11 and the fixed cap 54 is moved up and down So that it is possible to fold the stick body (10) out of the seam part of the stick body (10) by locking the stick body (10) by preventing it from being arbitrarily fold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40)는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 중 어느 일측의 축은 연결대(44)에 고정되고 타측의 다른 축은 연결대(4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4a)에 결합되어 두 개의 축(45a,45b) 사이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락수단(50)의 고정캡(54) 락킹 여부에 의하여 스틱 본체(10)를 접어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connecting element (40)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one of the two shafts (45a, 45b) formed on the connecting rod (44)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44) The gap between the two shafts 45a and 45b is adjusted so that the stick body 10 can be folded and fixed by locking the locking cap 54 of the locking means 50. [ Walking stick.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50)은 고정캡(54)이 관체(11)와 나선구조로 조임되거나 분리되어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을 락킹 하거나 락킹 해제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고정캡(54)의 작동 경로 상에 스토퍼(55)가 형성되어 고정캡(54)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cking means (50) is adapted to lock or unlock the joint portion of the tubular body (11) by fastening or separating the fixed cap (54) Wherein a stopper (55) is formed on the operation path of the cap (54) to restrict the upward and downward moving range of the fixed cap (54) while preventing the escap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50)은 고정캡(54)이 탄성복원수단(56)에 의하여 상,하 작동되면서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을 락킹 하거나 락킹 해제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50) is such that the fixed cap (54) is actuated by the elastic restoring means (56) to lock or unlock the seam of the tube (11) sti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파이크(30)에 보조캡(60)이 결합되어 스파이크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되고, 보조캡(60)의 하면에는 만곡면(61)이 형성되어 트래킹이나 워킹 운동시 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The auxiliary cap (6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ap (60) is coupled to the spike (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ck body (10) So that a correct walking posture can be induced during tracking or walking.
KR1020130016433A 2013-02-15 2013-02-15 trekking Pole KR101472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33A KR101472658B1 (en) 2013-02-15 2013-02-15 trekking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33A KR101472658B1 (en) 2013-02-15 2013-02-15 trekking P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17A true KR20140102917A (en) 2014-08-25
KR101472658B1 KR101472658B1 (en) 2014-12-16

Family

ID=5174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33A KR101472658B1 (en) 2013-02-15 2013-02-15 trekking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6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8874A1 (en) * 2018-01-05 2019-07-11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60627S1 (en) 2018-01-05 2019-09-24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61320S1 (en) 2018-01-05 2019-10-01 Medline Industries, Inc. Walking ca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63B1 (en) 2019-01-15 2020-05-27 주식회사 아이온 Pole for foldable sti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25Y1 (en) * 2001-03-12 2001-10-06 최연군 Elasticity stick
KR200336613Y1 (en) * 2003-09-19 2003-12-18 김현길 Multistage stick
KR100849633B1 (en) 2008-05-23 2008-08-01 오성듀랄루민(주) Multiple stick
KR101195711B1 (en) 2010-12-20 2012-10-29 라제건 A foldable stic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8874A1 (en) * 2018-01-05 2019-07-11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WO2019135964A1 (en) * 2018-01-05 2019-07-11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60627S1 (en) 2018-01-05 2019-09-24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61320S1 (en) 2018-01-05 2019-10-01 Medline Industries, Inc. Walking cane
US20190350323A1 (en) * 2018-01-05 2019-11-21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10492577B2 (en) 2018-01-05 2019-12-03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92489S1 (en) 2018-01-05 2020-08-11 Medline Industries, Inc. Walking cane
US10772399B2 (en) * 2018-01-05 2020-09-15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658B1 (en)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7039B1 (en) Walking stick
KR101472658B1 (en) trekking Pole
KR102045427B1 (en) Folding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261783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US20120167933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US20100186789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US20080156838A1 (en) Wheelchair basket
US20100154850A1 (en) Covertible trek pole
MX2009011688A (en) Baby walking stick.
WO2008094103A1 (en) Cane tip with extendable studs
CN203735614U (en)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US9974707B1 (en) Combination walker and cane
CN106377027B (en) Walking stick with stealthy stool
CN201220067Y (en) Alpenstock
KR20090008982U (en) silver car
TWI516222B (en) Multi-functional cane
KR20130112542A (en) Foldable chair used as stick
KR20040106197A (en) Bag which has wheels and footholds
WO2013134821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CN215652411U (en) Power-assisted walking stick for old people going to toilet
JP3484535B2 (en) Two-legged cane
CN209711804U (en) Multi-functional foldable walking stick
CN106420281B (en) Crutch with stealthy stool
CN106494475B (en) The trolley of variable walking stick
CN107280167A (en) A kind of portable and stable alpenst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