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177A -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177A
KR20140101177A KR1020130014527A KR20130014527A KR20140101177A KR 20140101177 A KR20140101177 A KR 20140101177A KR 1020130014527 A KR1020130014527 A KR 1020130014527A KR 20130014527 A KR20130014527 A KR 20130014527A KR 20140101177 A KR20140101177 A KR 2014010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cont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춘걸
이호송
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1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1177A/en
Publication of KR2014010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1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The apparatus for providing the content/service comprises a context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nd then stor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a routing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selecting a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routing the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provided to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n optimal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hus, distribute a load and ensure to continuously provide the content/service.

Description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0001]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 [0002]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3]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transmiss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in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IT 산업의 발전과 인터넷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서버나 컴퓨터 등의 성능은 향상되었으나, 네트워크들간의 연결 구간에 대한 성능은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컨텐츠 전달시 네트워크 상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거나,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the performance of servers and computers has impro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and the rapid increase of Internet users, the performance of the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networks has not been improved and bottlenecks have occurred on the network during content delivery, .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기술은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나 파일을 장애 없이 신속하게 사용자에 전달하기 위한 기술이다.Content Delivery Network (CDN) technology is a technique for quickly delivering various contents or files to a user without disturbance in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 기술에서 콘텐츠 전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캐시(Cache) 기술, 전역 부하 분산(GLB: Global Load Balancing) 기술, 콘텐츠 동기화(Contents Synchronization) 기술 및 P2P(Peer-to-Peer) 기술 등이 사용되고 있다.Cache technology, Global Load Balancing (GLB) technology, Content Synchronization technology, Peer-to-Peer technology, etc. to improve content delivery quality in content delivery network technology Has been used.

또한, 콘텐츠 전송시 트랙픽 발생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ALTO(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기술, P4P(Proactive Network Provider Participation for P2P) 기술 등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LTO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technology and P4P (Proactive Network Provider Participation for P2P) technology are used as methods for optimizing the occurrence of traffic during content transmission.

도 1은 종래의 트래픽 전달에 이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개념도이다.1 is a network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lient-server model used in conventional traffic transmission.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Client-Server Model)이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복수의 네트워크(10, 20, 30)가 서로 연결되고, 각 네트워크는 IP 주소 기반의 라우팅을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IP 기반 라우터(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network to which a client-server model is applied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s 10, 20, and 30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network performs routing based on an IP address, And a plurality of IP-based routers 40 performing the function of delivering the IP-based packet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로 구성된 일반적인 인터넷 환경에서 콘텐츠 전달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클라이언트, 50)가 콘텐츠를 요청하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의 콘텐츠 제공 서버(60)가 요청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10)에게 제공한다.In a general Internet environment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content delivery is performed based on a client-server model. That is, when the user (client) 50 requests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 of the content provider (CP) that provides the content provides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10 via the network.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기반의 콘텐츠 전달 구조에서는 사용자(10)의 콘텐츠 요구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60)로 집중되어 콘텐츠 서버(60)의 부하가 증가(즉, 서버 네트워크의 트래픽 증가)(61)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nt delivery structure based on the client-server model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demand of the user 10 is concentrated in the content server 60 providing the content, and the load of the content server 60 is increased , Increase in traffic of the server network) 61.

또한, 콘텐츠 서버(60)가 동일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고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거나, 네트워크의 라우팅 측면에서 긴 거리 또는 높은 비용을 가질 경우,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간 인터넷 연결구간(71)의 트래픽이 증가하고, 백본 트래픽(73)이 증가하게 되어 콘텐츠의 전송 지연(transmission delay)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텐츠 이용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when the content server 60 is located in a geographically distant place, not in the network of the same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or has a long distance or a high cost in terms of routing of the network, The traffic of the inter-operator Internet connection section 71 is increased and the backbone traffic 73 is increased, so that a transmission delay of contents occurs,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contents usag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콘텐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공자(CP)가 콘텐츠 제공자의 웹 서버에 집중돼 있는 콘텐츠들 중 용량이 크거나 사용자의 요구가 많은 콘텐츠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경계(edge)에 설치된 캐쉬(Cache)에 임시로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의 네트워크 내에 저장된 임시 저장소(즉, 캐쉬)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전송하는 캐슁(Caching)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tent transmission, a content provider (CP) has to distribute a large amount of contents concentrated in the web server of the content provider, A caching technique for transferring the content from a temporary storage (i.e., cache) stored in a network of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is used when a user requests content have.

한편, 네트워크의 부하 분산을 통하여 콘텐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의 네트워크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서버 중에서 사용자(End User)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버를 선정하여 사용자와 콘텐츠 서버간의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인 전역 부하 분산(GLB)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tent transmission through load balancing of the network,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distributed on a network of a plurality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s), a content server And a global load balancing (GLB) technique, which is a technique for connecting a service between a user and a content server, is also used.

또한, 콘텐츠 변경 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별로 분산된 서버팜(Server Farm)에 변경된 컨텐츠 정보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사용자들이 한꺼번에 동일한 내용의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기화(Synchronization)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 synchronization technique is also used in which, when a content is changed, the changed content information is instantly reflected in a server farm distributed for each Internet service provider so that users can receive the same contents at the same time.

P2P(Peer-to-Peer) 기술은 컴퓨터의 성능과 인터넷의 연결성을 이용하여 각각의 컴퓨터에 저장된 콘텐츠를 컨텐츠 중계 서버의 개입없이 스스로 상호 공유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P2P를 통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고정된 콘텐츠 서버가 없으므로 균일한 서비스 품질을 균일하게 보장하기 어렵고, 불법 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Peer-to-peer (P2P)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share content stored in their own computers without intervention by a content relay server by utilizing computer performance and Internet connectivity. However, in the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P2P, since there is no fixed content server for providing the contents, uniform quality of service can not be uniformly guaranteed, and illegal contents can be circulated.

상술한 바와 같은 캐슁 기술, 전역 부하 분산 기술, 동기화 기술 및 P2P 기술은 실제 콘텐츠 전달 환경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적응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콘텐츠 전달 품질을 균일하게 보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경로 내에 혼잡이 발생하거나 콘텐츠를 전달하는 서버 또는 스토리지(storage)의 부하가 증가하거나, 콘텐츠 서버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컨텍스트에 적응하여 능동적으로 컨텐츠를 전달할 능력이 없으므로, 상기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콘텐츠가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들의 백본(backbone) 네트워크, 인터넷 교환(IX: Internet eXchange), 가입자 망 등의 복잡한 경로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콘텐츠 전달에 허용가능하지 않은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aching technology, global load balancing technology, synchronization technology, and P2P technology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guarantee the quality of contents delivery because the ability to adapt to a context changing dynamically in an actual content delivery environment is poor have. For example, when a congestion occurs in a network path for delivering a cont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a server or storage for delivering the content, or an error occurs in the content server, When the above situation arises, the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server of the content provider to a complicated path such as a backbone network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 an Internet exchange (IX: Internet eXchange) To the user, or an unacceptable delay in content delivery may occur.

상기한 바와 같이 P2P 등의 같은 응용프로그램 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정보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서비스 품질 저하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피어(Peer) 노드의 선택에 있어서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 전달에 최적화된 피어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피어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트래픽 지역화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n application program such as P2P or a content server providing content, the service quality deteriorates due to not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f the dynamically changing network and the selection of the peer node that provides the content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network traffic caused by not taking into consideration network information, a traffic localization technique that allows contents to be delivered from an optimal peer by selecting a peer optimized for content deliver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networks I am interested.

트래픽 지역화 기술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ALTO(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워킹 그룹에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ALTO 기술이 있다.As a representative method of traffic localization technology, there is ALTO technology which is promoting standardization in th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ALTO) working group of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ALTO 기술은 네트워크 라우팅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최소의 네트워크 비용(또는, 최소의 홉)을 가진 피어(Peer)를 선택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ALTO 기술에서 이용되는 네트워크의 정보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만 획득이 가능한 정보이므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의 협력이 없이는 ALTO 기술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LTO technology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n applic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network routing information and selecting a peer with a minimum network cost (or minimum hop). However, since the network information used in the ALTO technology is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only by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TO technology can not be practically used without cooperation of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또 다른 트래픽 지역화 기술인 P4P 기술은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가 주축이 되어 개발되고 있는 기술로,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내에 구축하고, 상기 서버와 P2P 사업자 서버간의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의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트래픽의 지역화를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P4P technology, which is another traffic localiza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is being developed by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as a mainstay. It establishes a server for managing network information in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and transmits the service to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s network We use a method to realize localization of traffic by sharing information.

그러나, ALTO 기술 및 P4P 기술은 단순히 네트워크 컨텍스트를 수집하고,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여 트래픽을 최적화하는 방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최상의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품질에 영향을 주고 이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컨텍스트 요소, 예를 들면 동적으로 변화하는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컨텍스트, 콘텐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의 컨텍스트, 사용자와 관련된 컨텍스트 등의 복합적인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최상의 콘텐츠/서비스 전달 품질을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LTO technology and the P4P technology only focus on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network context and optimizing the traffic by providing the gathered context information, The best context / service delivery can not be considered because context elements, such as the context of the server providing the dynamically changing content / service, the context of the terminal using the content / service, the context associated with the us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quality can not be substantially provi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종단간(End-to-End) 전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시 트래픽 발생을 최적화할 수 있는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nd-to-end delivery quality of a content or a service and a content using a dynamic context capable of optimizing traffic generation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종단간 전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시 트래픽 발생을 최적화할 수 있는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that can improve the end-to-end quality of a content or service and optimize traffic generation when providing the content or ser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컨텍스트 획득부 및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는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the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for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A context acquisition unit for analyzing context information and a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and selecting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vid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context-aware routing unit for routing.

여기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 사용자 관련 정보, 네트워크 관련 정보, 사용자 단말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IP 주소, 사용자의 실제 위치, 사용자의 선호도 및 접속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전달하는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서비스 관련 정보로, 서비스 유형, 콘텐츠 유형, 요금,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 제공자, 서비스 품질 정보, 콘텐츠 캐시 목록, 세션 수, 부하정보, 평균 서비스 시간, 콘텐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may collect at least one of content, service provision related information, user related inform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user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s. In addition, the user-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P address, an actual location of the user, a preference of the user, and accessibility information as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using the content or service.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is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quality of delivering the content or service.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rvice type, a content type, a fee, a service provider, a content provider, The number of sessions, the load information, the average service time, and the content rank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컨텍스트 정보 수집을 위한 정책을 정의하고, 정의된 컨텍스트 수집 정책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에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 수집을 위한 정책으로 컨텍스트를 수집할 컨텍스트 제공 장치, 컨텍스트 수집 방법, 컨텍스트 수집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컨텍스트 수집을 위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할 수 있다.Here,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may define a policy for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and may distribute the defined context collection policy to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Also,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may define at least one of a context providing apparatus for collecting a context, a context collection method, a protocol used for context collection, and a time for context collection to collect the contex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상기 컨텍스트 제공 장치가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획득해야 할 컨텍스트 정보 유형들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컨텍스트 모델을 정의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정의된 컨텍스트 모델에 해당하는 컨텍스트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컨텍스트 정보를 미리 정의된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Here,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may provide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can register with the network, and may extract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may define a context model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information types to be acquired, convert the received data into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context model, Can be converted into predefined higher level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외부 장치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텍스트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공유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 권한 확인 또는 과금 기능을 수행하며, 허가된 외부 장치에 미리 정의된 방법을 통해 컨텍스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ext sharing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allowing the external device to access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ext sharing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or accounting of the external device, and can transmit context information to a permitted external device through a predefined method.

여기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한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수신한 요청 메시지로부터 IP 주소, 콘텐츠 ID, 서비스 ID,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 정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옵션 등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상기 추출한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경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한 후, 라우팅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may receive the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extract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rom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and may extract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may extract at least one information such as an IP address, a content ID, a service ID, terminal information that transmitted the request message, content or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 request option from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may select the optimal network path for provid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from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Reservation of resources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may route the provid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then store the routing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은,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t least one contextual service A step of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nd stor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 step of extrac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And routing the provid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 사용자 관련 정보, 네트워크 관련 정보, 사용자 단말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llecting of the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may include collecting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information, user related inform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user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Can be collected.

여기서, 상기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미리 정의된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상위레벨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Herein, the step of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nd stor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convert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high leve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at a higher level.

여기서, 상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콘텐츠 ID, 서비스 ID,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 정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가중치 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selecting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selecting the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rom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Extracting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user terminal, and selecting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Here, the extracting of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extracting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ID, the service ID, 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request message, And a weight option of the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추출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캐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Here, the step of selecting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a step of, when cac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exists, The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an be selected.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캐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가중치 옵션 정보 및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The step of selecting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hen there is no cac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us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an select the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r the weight op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라우팅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outing the content or service request provided to the selected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then storing the routing information in a cache.

상술한 바와 같은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를 동적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the dynamic context as described above, the load of the server that provides the content is dynamically collected and the optimum content providing server is se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be dispersed.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동적으로 수집한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컨텐츠 제공 서버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서버의 장애를 회피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t is possible to avoid the trouble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by selecting another content providing server capable of providing the content based on the failure information dynamically collected and providing the content, Thereby ensuring continuity of content or service provision.

또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와 인접한 서버들 중 최적의 서버를 선택함으로써 트래픽의 라우팅 경로가 단축되어 전송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 또는 서비스의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라우팅 경로 뿐만 아니라 서버의 부하 상태, 장애 여부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캐싱하고 있는 서버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컨텐츠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so, by selecting an optimal server among the servers adjacent to the user who requested the content or service, the routing path of the traffic can be shortened and the transmission delay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transmission quality of the content or service. In addition, by selecting a server caching content optimized for a user or a user terminal by considering various context information such as a load route, a failure status, or a user's preference, as well as a routing path, Can be provided.

또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와 최단 거리에 위치하고 최적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의 지역화를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및 인터넷 교환(IX: Internet eXchange)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contents or services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user who requested the contents or service and providing the contents or service at the optimum contents providing server, it is possible to localize the traffic and reduce the network traffic and Internet exchange (IX: Internet eXchange) traffic have.

도 1은 종래의 트래픽 전달에 이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가 수집하는 컨텍스트 유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하는 컨텍스트 정보 수집 정책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중 컨텍스트 수집 및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컨텍스트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network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lient-server model used in conventional traffic transmiss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more detailed view of the context type collected by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context information collection policy managed by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xt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amo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xt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shown in FIG. 5.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와,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집한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분석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는 컨텍스트 사용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for providing various contexts,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for selecting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 context using apparatus 300 us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주기적 또는 동적으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 운영 지원 시스템(OSS: Operational Support System) 또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is an apparatus for periodically or dynamically providing context information and may be a device for providing context information such as a network, a service, a terminal, an Operational Support System (OSS) or a Network Management System (NMS) And the like.

예를 들어,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 서버, 서비스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서비스와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as a content server, a service server, and the like, and may provide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또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운영 지원 시스템(OS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또는 사업 지원 시스템(BSS: Business Support System)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와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as an operation support system (OSS), a network management system (NMS), or a business support system (BSS), and may provide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

또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와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xt provid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as a network device such as a router, a switch, and the like, and may provide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network.

또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스마트폰, 패드형 단말,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as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padded terminal, a comput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을 가지는 복수의 장치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다양한 유형의 컨텍스트 정보를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apparatuses having various types are distributed in a network, and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context information to the contents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집한 다양한 유형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performs a context-aware routing function based on various types of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100.

구체적으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컨텍스트 수집부(210), 컨텍스트 분석부(230), 컨텍스트 공유부(250),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 및 컨텍스트 저장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context collecting unit 210, a context analyzing unit 230, a context sharing unit 250, a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and a context storing unit 290 .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네트워크에 분산된 다양한 유형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들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분석부(230)로 제공한다. 여기서,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저장부(29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 context collecting unit 210 collects various types of context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100 distributed in the network and provides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to 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 Here, the context collector 210 may store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ntext storage unit 290.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컨텍스트 수집부(210)로부터 제공받은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공유부(250) 및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정보를 컨텍스트 공유부(250) 및/또는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제공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대해 특정 항목의 랭킹(ranking)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에 포함되는 정보 등으로 가공하여 컨텍스트 공유부(250) 및/또는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분석 또는 포맷이 변환된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저장부(29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analyzes the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xt collecting unit 210 and converts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into a form that can be used by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and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 And provides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and / or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For example, the context analyzer 230 analyzes the provided context information, processes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into rank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item or information included in a predetermined ranking, and transmits the context information to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And / or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In addition, the context analyzer 230 may store the context information in which the analysis or format conversion is performed in the context storage unit 290.

컨텍스트 공유부(250)는 컨텍스트 사용 장치(300)가 컨텍스트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공통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context sharing unit 250 provides a common interface so that the context-using device 300 can easily access and use the context information.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컨텍스트 분석부(230)로부터 분석 및 포맷이 변환된(또는 가공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최적의 컨텐츠 제공 서버 및/또는 경로를 선택한 후, 선택한 콘텐츠 제공 서버 및/또는 경로로 사용자의 요청을 라우팅한다.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receives the context information from which the analysis and formatting are converted (or processed) from 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and receives th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nd routes the user's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 or route.

컨텍스트 저장부(290)는 컨텍스트 수집부(210)로부터 제공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텍스트 저장부(290)는 컨텍스트 분석부(230)로부터 제공된 분석 또는 변환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context storage unit 290 may store the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xt collection unit 210. [ Also, the context storage unit 290 may store the analyzed or converted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xt analysis unit 230.

컨텍스트 사용 장치(300)는 컴퓨터 등과 같이 디지털 정보 처리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구성될 수 있고,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을 요청한다.The context-aware device 300 may be a user terminal capable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a computer, and requests content or service delivery to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또한, 컨텍스트 사용 장치(300)는 컴퓨터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과 브라우저(browser) 통제 환경에서 동작하는 웹(web)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사용 장치(300)는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상응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 요청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고,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텍스트 정보 및/또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서버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xt-aware device 300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be installed and executed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omputer, and a web application operating in a browser control environment. The context-aware device 300 may send a content or service delivery request to the content / service delivery device 200 in response to a user's application or use of the web application and may receive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 And / or information on the contents / service providing serv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가 수집하는 컨텍스트 유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 more detailed view of the context type collected by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수집하는 컨텍스트 유형은 서비스, 사용자, 네트워크 및 단말 관련 컨텍스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ext type collected by the content / service provis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service, a user, a network, and a terminal related context.

먼저, 서비스 관련 컨텍스트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전달하는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서비스 관련 정보로서, 정적 컨텍스트 정보 및 동적 컨텍스트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First, the service-related context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static context information and dynamic context information as service-related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quality of delivering a content or a service.

정적 서비스 관련 컨텍스트 정보는 서비스 카테고리, 콘텐츠 카테고리, 요금,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 제공자,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c service related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service category, a content category, a fee, a service provider, a content provider, and a quality of service (QoS).

동적 서비스 관련 컨텍스트 정보는 콘텐츠 캐시 리스트, 세션 수, 부하 비율, 평균 서비스 시간, 콘텐츠 랭킹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ynamic service related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content cache list, a session count, a load ratio, an average service time, a content ranking, and the like.

사용자 관련 컨텍스트 정보를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사용자의 실제 위치,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자의 접속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who uses the content or the service,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IP address of the user (or the user terminal), the actual location of the user, the preference of the user,

네트워크 관련 컨텍스트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로서, 네트워크의 종류(예를 들면, 유선, 무선, WCDMA, WiBro 등), 대역폭, 라우팅 정보(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BGP: Border Gateway Protocol), 네트워크 장애, 네트워크 공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related context information is network-related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quality of contents or service delivery. The network-related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a type of network (e.g., wired, wireless, WCDMA, WiBro, BGP: Border Gateway Protocol), network failure, network construction, and the like.

단말 관련 컨텍스트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을 요청하거나 수신 또는 표시하는 단말과 관련된 정보로서, 하드웨어 능력(예를 들면, 모델 정보, 화면 크기, 입/출력 형태), 소프트웨어 능력(예를 들면, OS:Operating System, 모바일 플랫폼), 단말 상태(예를 들면,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배터리 출력, 메모리 사용율, CPU 상태, 하드디스크 사용율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rminal is information related to a terminal that requests or receives or displays a content or a service. The information includes hardware capabilities (e.g., model information, screen size, input / output format) An operating system, and a mobile platform), a terminal status (e.g.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a battery output, a memory usage rate, a CPU status, a hard disk usage rate,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분산된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유형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컨텍스트 분석부(230)로 제공한다.The context collecting unit 210 collects various types of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stributed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100 and provides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to 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컨텍스트 제공 장치 선택, 컨텍스트 수집 방법 결정, 컨텍스트 수집 프로토콜 및 컨텍스트 수집 시간 주기 등과 같은 컨텍스트 수집을 위한 정책을 정의하는 정책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context collector 210 performs a policy management function that defines a policy for context collection such as context-providing device selection, context collection method determination, context collection protocol, and context collection time period.

또한,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임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가 네트워크에 등록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임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xt collector 21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network registration of any context providing device when it is necessary for any context providing device to register with the network.

여기서, 컨텍스트 제공 장치는 주기적 또는 동적으로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 운영 지원 시스템(OS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상기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 중 컨텍스트를 수집할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context providing device may be a device that provides a context periodically or dynamically and may be configured as a network, a service, a terminal, an operation support system (OSS), a network management system (NMS) It is possible to select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from among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to collect the context.

또한, 컨텍스트 수집 방법은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선택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이벤트 기반, 요청/응답, 폴링 등의 방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폴링(polling) 기반 컨텍스트 수집 방법은 컨텍스트 수집부(210)가 적극적으로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고, 이벤트(event-driven) 기반 컨텍스트 수집 방법은 컨텍스트 수집 정책을 적용하여 컨텍스트 제공 장치가 주기적으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컨텍스트 정보를 자동으로 컨텍스트 수집부(210)에 제공하는 방법이다. 요청/응답(Request/Response) 기반 컨텍스트 수집 방법은 컨텍스트 수집부(210)가 컨텍스트 수집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해당 컨텍스트 제공 장치에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받은 방법이다.Further, the context collection method relates to the selection of a method of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and can be selected from methods such as event based, request / response, polling, and the like. The polling-based context collec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context collection unit 210 actively collects context information from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and an event-driven based context collection method applies a context collection policy to provide a context And the context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context collecting unit 210 when the device periodically provides context information or a preset event occurs. The context acquisition method based on a request / response (Request / Response) is a method in which when the context collec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context collection is required, it requests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context providing apparatus and receives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It is the method provided.

컨텍스트 수집 프로토콜은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과 약속을 통해 결정될 수 있고,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IGP, BGP 등의 공지된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text collection protocol is a protocol used for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which can be determined through an appointment with the context providing devices, and includes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 File Transfer Protocol (FTP),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 known protocol such as BGP may be used.

컨텍스트 수집 시간 주기는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 주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상기 시간 주기를 컨텍스트 정보의 유형, 컨텍스트 제공 장치, 컨텍스트 수집 방법, 컨텍스트 수집 프로토콜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컨텍스트 시간 주기를 점검할 수 있다.The context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the time period from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xt information,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the context collection method, the context collection protocol, and the like. And can periodically check the context time perio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하는 컨텍스트 정보 수집 정책을 예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context information collection policy managed by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관리 서버의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수집할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컨텍스트 제공 장치, 컨텍스트 수집 방법 및 프로토콜과 컨텍스트 수집 주기 등과 같은 정책을 결정하고 관리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text collector 210 of the content / servi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ontext information such as a context providing device, a context collection method and a policy .

한편,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텍스트 수집을 위한 정책이 결정되면, 결정된 컨텍스트 수집 정책 정보를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에게 배포한다. 여기서, 컨텍스트 수집 정책의 배포는 보안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배포될 수 있고, 컨텍스트 수집 정책 정보를 수신한 각각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는 수신한 컨텍스트 수집 정책 정보에 상응하여 컨텍스트 수집부(210)에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icy for context collection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ext collection unit 210 distributes the determined context collection policy information to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Here, the distribution of the context collection policy may be distributed through a method capable of ensuring security and reliability, and each of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receiving the context collection policy information may receive the context collection policy information from the context collection unit 210).

또한,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컨텍스트 수집부(210)는 각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를 수집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본적인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한다.In addition, the context collector 21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xt providing devices. That is, the context collector 210 understands the protocol to collect the context from each context providing device, and extracts the basic context information when the context data is received from the context providing device.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수신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가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해 컨텍스트 모델 관리 모듈, 컨텍스트 정보 변형/필터 모듈 및 컨텍스트 해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analyzes the received context data and converts the analyzed context data into meaningful information. 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may include a context model managing module, a context information transform / filter module, and a context analyzing module have.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컨텍스트 요청자의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얻어져야 하는 컨텍스트 정보 유형들 사이의 관계나 종속성 등을 정의하는 컨텍스트 모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컨텍스트 정보 모델의 설계가 잘 된 경우, 컨텍스트 요청자들이 이용하는 컨텍스트 정보의 가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텍스트의 일관성 점검을 위해서는 컨텍스트 모델 내에서 컨텍스트 정보에 대한 정형화된 표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올바른 추론이 필요하기 때문에 컨텍스트 모델은 매우 중요하다.Specifically, the context analyzer 230 performs a context model management function that defines a relation or dependency between context information types that should be obtained in order to guarantee correct operation of the context requestor. If the context information model is well designed, the availability of the context information used by the context requestors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text model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requires not only a formalized representation of the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ntext model but also a proper reasoning about the context data, in order to check the consistency of the context.

또한,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수신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불필요한 정보가 제거된 컨텍스트 데이터를 정의된 컨텍스트 모델에 일치하는 기초 컨텍스트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한 기초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저장부(290)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context analyzer 230 removes un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context data, converts the context data from which unnecessary information has been removed into basic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context model, and then transmits the converted basic context information to the contex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90.

또한,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상기 기초 컨텍스트 정보를 추론과 차별화를 통해 랭킹과 같은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경하는 컨텍스트 해석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현 수준이 다른 다양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100)들로부터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되기 전에 해석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이유에 따라 컨텍스트 분석부(230)는 기초 컨텍스트 정보를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한다. 변경된 상위 레벨의 정보는 컨텍스트 요청자가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최적의 소스(예를 들면, 콘텐츠 제공 서버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In addition, 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performs a context analysis function for changing the basic context information to higher-level information such as ranking through inference and differentiation. That is, the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arious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100 having different levels of expression needs to be interpreted before being used. For this reason, the context analyzing unit 230 uses the basic context information as upper level information Conversion. The changed upper level information is used by the context requestor to select an optimal source (e.g., a content providing server or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content or service delivery.

컨텍스트 공유부(250)는 컨텍스트 저장부(290)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외부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요청자가 원격지에서 적절한 파라미터 및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면 컨텍스트 공유부(250)는 수신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 후, 연산 결과를 상기 컨텍스트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xt sharing unit 250 provides a common interface for an external user to access the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xt storage unit 290. [ For example, when a context requestor calls an interface using appropriate parameters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t a remote site,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performs necessary operations based on the received parameters, and then provides the operation result to the context requestor .

또한, 컨텍스트 공유부(250)는 불법적인 접근이나 사용으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텍스트 공유부(250)는 보안 요구사항의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서 인증, 권한 확인 및 과금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performs a security function for protec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unauthorized access or use. Here,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may use functions such as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billing to ensure compliance with the security requirements.

또한, 컨텍스트 공유부(250)는 컨텍스트 요청/응답, 컨텍스트 구독/통지 등과 같은 컨텍스트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컨텍스트 전달 방법은 컨텍스트 공유부(250)와 컨텍스트 요청자 사이에 미리 정의될 수 있다.Also,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performs a context information transfer function such as a context request / response, a context subscription / notification, and the like. Such a context delivery method may be predefined between the context sharing unit 250 and the context requestor.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 요청을 수신하고,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라우팅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라우팅 경로 정보는 어떤 노드(또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서버)가 네트워크의 인접성 차원에서 사용자 단말과 가장 가까운 노드인지와, 어떤 노드가 최적의 자원 상태를 가지는 있는가를 결정하는 서비스 라우팅 경로 정보를 의미한다.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receives the requested content or service delivery request from the user and provides routing path information for content or service delivery to the optimal content or service provision device based on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Here, the routing path information means service routing path information that determines which node (or content / service providing server) is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in the adjacency dimension of the network and which node has the optimal resource status .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위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을 이해할 능력을 가진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에 사용되는 응용 프로토콜은 HTTP,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RTMP(Real Time Messaging Protocol),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고,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이와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해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Specifically,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is capable of receiving a content or service request from a user and understanding an application protocol for the content or service request for this purpose. The application protocol used in the service request may be a protocol such as HTTP,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T) /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RTMP), Real Time Transport Protocol (RT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he aware routing unit 270 understands such protocols and receives a content or servic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최적의 콘텐츠/서비스 노드(또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서버)와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할 IP 주소, 콘텐츠/서비스 ID, 사용자 단말 정보, 콘텐츠/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옵션 등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다.When the context-aware routing unit 270 receives a request message from a user instructing a content or service request, the context-aware routing unit 270 transmits an IP address, a content / service ID, user terminal information, content /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request options from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또한,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네트워크, 단말, 서비스 및 사용자 관련 컨텍스트 정보와 같이 가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분산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콘텐츠/서비스 소스들(또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최적의 소스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수신한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옵션에 기초하여 가중치와 컨텍스트 랭킹을 단순히 곱한 후 합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조합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컨텐츠/서비스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combines available context information, such as network, terminal, service, and user context information, to generate content contexts from a number of content / service sources (or content / And selects the optimal source. For example,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combines a plurality of context information by simply multiplying the weight and context ranking by the option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Can be selected.

또한,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경로들로부터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선택하고, 서비스 품질(QoS) 우선순위, 네트워크 대역폭, 서버 자원 등의 네트워크 자원을 사전에 예약함으로써, 종단간(End-to-End) 전달 품질을 보장한다.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selects an optimal network path from a plurality of network paths to provide contents / services, and transmits network resources such as QoS priority, network bandwidth, To ensure end-to-end delivery quality.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콘텐츠/서비스 요청에 따라 최적의 컨텐츠/서비스 소스(또는 컨텐츠/서비스 제공 서버)와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선택한 후, 사용자의 요청 메시지를 선택된 최적의 소스와 선택된 경로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요청 메시지는 선택된 콘텐츠/서비스 소스로 사용자의 개입없이 전달된다.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selects an optimal content / service source (or content / service provision server) and an optimal network path according to a user's content / service request as described above, To the source and the selected path. Here, the user's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selected content / service source without user intervention.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270)는 사용자의 요청 메시지를 선택된 콘텐츠/서비스 소스로 재전달한 후, 라우팅 성능 향상을 위해 라우팅 결과를 캐시에 저장한다.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270 retransmits the user's request message to the selected content / service source and then stores the routing results in a cache for improved routing performa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중 컨텍스트 수집 및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컨텍스트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xt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amo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xt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shown in FIG. 5.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에 분산된 다양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제공되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한다(S501). 여기서, 복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은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배포된 컨텍스트 수집 정책에 기초하여 컨텍스트 데이터를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유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사용자, 네트워크, 단말 관련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터로부터 IGP, BGP 등의 동적으로 변경되는 라우팅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캐시 리스트, 부하율, 세션 개수, 평균 서비스 시간 등과 같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서비스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content / service provision apparatus collects context data provided from various context providing devices distributed in the network (S501). Here, the plurality of context providing devices may transmit the context data to the contents / service providing device based on the context collection policy distributed from the contents / service providing device. In addition, the type of the context data to be collected may include service, user, network, and terminal related contex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content / service provision apparatus may collect routing information that is dynamically changed, such as IGP, BGP, etc., from at least one router, and may receive a cache list, Number of services, average service time, and so on.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집한 컨텍스트 데이터들을 분석한다(S503). 여기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컨텍스트 수집한 컨텍스트 데이터들 중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한 후, 불필요한 데이터가 제거된 컨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컨텍스트 모델에 상응하는 기초 컨텍스트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s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alyzes the collected context data (S503). Her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removes unnecessary data from the context data collected from the context, and then converts the context data from which unnecessary data has been removed into basic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fined context model, Information can be stored.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기초 컨텍스트 정보를 랭킹 등과 같은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상위 레벨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분석된 기초 컨텍스트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추상화된 컨텍스트 정보로 요약하는 방법의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After that,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he basic context information into high-level information such as rankings and then stores the converted high-level context information. Her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may convert the analyzed base context information into higher level information of a method of summarizing the analyzed basic context information with the abstracted context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예를 들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한 네트워크 관련 컨텍스트 데이터 및 서비스 관련 컨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추상화하여 네트워크 컨텍스트 랭킹 정보 및 서비스 컨텍스트 랭킹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analyzes network-related context data and service-related context data collected as shown in FIG. 6, abstracts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provides network context ranking information and service context ranking Information.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콘텍스트 랭킹 정보에서는 랭킹 순서가 콘텐츠 소스 #1, 콘텐츠 소스 #3, 콘텐츠 소스 #2 순으로 정해졌으나, 콘텐츠 소스 #1이 서비스 세션 과다로 과부하 상태이고, 콘텐츠 소스 #3에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경우, 최종적으로 콘텐츠 소스 #1 및 콘텐츠 소스 #3은 서비스 컨텍스트 랭킹 순위가 낮아지고, 콘텐츠 소스 #3가 가장 높은 랭킹을 차지한다.6, in the network context ranking information, the ranking order is set in the order of the content source # 1, the content source # 3, and the content source # 2. However, since the content source # 1 is overloaded with the service session excessively, The content source # 1 and the content source # 3 have a lower service context ranking ranking, and the content source # 3 occupies the highest ranking.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컨텍스트 수집 및 분석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컨텍스트 수집 정책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이 발생한 경우, 최적의 콘텐츠/서비스 제공 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Meanwhile, the context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as shown in FIG. 5 can be repeatedly performed based on the predefined context collection policy as described above, and when a user's content or service request occurs, Lt; / RTI > is used to select a provisioning server and / or a network path.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730)는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컨텍스트 제공 장치(740 내지 770)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한다(S701). 도 7에서는 네트워크(740) 및 복수의 콘텐츠 제공 서버(750, 760, 770)로부터 네트워크 및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컨텍스트의 분석 결과 콘텐츠 제공 서버 #1(750)은 과부하 상태이고, 콘텐츠 제공 서버 #3(770)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730 collects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various context providing apparatuses 740 to 770 and analyzes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S701 ). 7, the network and service context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network 740 and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servers 750, 760, and 770,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llected context indicates tha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 1 750 is in an overload state, The providing server # 3 770 has been shown, for example, as having a failure.

사용자(710)가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720)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S703), 콘텐츠 제공자(720)는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730)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710)에게 재전달한다(S705).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는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재전달할 수 있다.When the user 710 transmits a content request message to the contents provider 720 in step S703, the contents provider 720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contents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730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ser To the user 710 (S705). Here, the content provider can redeliver the content request message of the user using the domain name.

이에 따라 사용자(710)는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730)에 전달한다(S707).Accordingly, the user 710 delivers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o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730 (S707).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 메시지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과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한다(S709).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단말 종류, 운영체제(OS) 종류, 단말 디스플레이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extracts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content request message of the user (S709).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terminal type, an operating system (OS) type, and a terminal display size.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730)는 단계 S701에서 수집하고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710)에게 콘텐츠를 전달할 최적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선택한다(S711). 도 7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 #1(750)은 과부하 상태이고, 콘텐츠 제공 서버 #3(770)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 서버 #2(760)가 선택될 수 있다.In step S711,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730 selects an optimal content providing server to deliver the content to the user 710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and analyzed in step S701. In FIG. 7, sinc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 1 750 is in an overload state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 3 770 is assumed to have a failu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 2 760 can be selected.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730)는 선택한 콘텐츠 제공 장치(즉, 콘텐츠 제공 서버 #2)의 정보를 사용자(710)에게 전달한다(S713).Then,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730 deliver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 2) to the user 710 (S713).

사용자(710)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7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 #2(760)로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여(S715), 콘텐츠 제공 서버 #2(76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전달 받는다(S717).
The user 710 retransmits the content reques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 2 760 (S715)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received from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730, 760) (S71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컨텍스트 기반의 최적 콘텐츠 제공 서버 선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context-based optimal content providing server selecting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ent / will be.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S801), 수신한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한다(S803). 여기서,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정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ID 정보, 사용자 단말의 정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제공자 정보, 콘텐츠 제공 서버의 선택 가중치 옵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receives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message of the user (S801) and extracts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received content delivery request message (S803). Here,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extracted from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message includes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D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rovider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Information.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추출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캐싱 정보가 존재하는가를 확인한다(S805).Thereaft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cach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request message of the user exists based on the extracted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805).

캐시에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캐싱 정보로부터 콘텐츠 제공 서버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였는가는 판단한다(S807).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캐싱 정보를 삭제한다(S809). 또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에 콘텐츠 전달을 위한 자원을 예약하고(S825),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로 사용자의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827).If there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ntent request message in the cach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obtains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rom the cach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a failure occurs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807) . If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deletes the caching information (S809).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ilure has not occur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reserves a resource for delivering the content to the network and / or the server (S825) The request message is retransmitted (S827).

한편, 단계 S805에서 캐시에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서버 선택 가중치 옵션이 기본(default) 인가를 확인한다(S811). 여기서, 가중치 옵션은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고, 컨텍스트 정보 유형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단말 관련 컨텍스트 정보에 각각에 대해 가중치 w1, w2, w3, w4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선택 가중치 옵션이 기본으로 설정된 경우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미리 정의한 기준에 따라 최적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5 that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ntent request message does not exist in the cach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server selection weight option extracted from the user's content delivery request message is 'default' (S811). Here, the weight option may be expressed as a percentage, and may be set for each context information type. For example, weights w1, w2, w3, and w4 may be set for each of context, network, service, user, and terminal related context inform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server selection weighting option is set as a default,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configured to select an optimum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defined criterion.

단계 S811에서 판단한 결과, 서버 선택 가중치 옵션이 기본으로 설정된 경우,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네트워크 컨텍스트 랭킹을 조회하고(S813), 조회된 네트워크 컨텍스트 랭킹 목록 중에서 장애가 발생한 콘텐츠 제공 서버를 제외한 후(S815), 장애가 발생한 콘텐츠 제공 서버가 제외된 랭킹 목록 중에서 최적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결정한다(S823).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11 that the server selection weighting option is set as the default,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inquires the network context ranking (S813). After exclud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which the failure has occurred from the inquired network context ranking list (S815), and determines an optimal content providing server from the ranking list excluding the failed content providing server (S823).

또는, 단계 S811에서 판단한 결과 서버 선택 가중치 옵션이 기본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컨텍스트 정보 유형별로 랭킹을 조회한다(S817). 여기서, 컨텍스트 정보 유형에는 네트워크(R1), 서비스(R2), 사용자(R3), 단말 관련 컨텍스트 정보(R4)가 포함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result server selection weighting option determined in step S811 is not set as the default,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inquires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type (S817). Here, the context information type may include the network R1, the service R2, the user R3, and the UE-related context information R4.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조회한 컨텍스트 정보 유형별 랭킹 목록에서 장애가 발생한 콘텐츠 제공 서버를 제외한 후(S819)각 컨텍스트 정보 유형별로 설정된 가중치를 각 컨텍스트 정보에 적용하여 랭킹을 계산한다(S821). 예를 들어,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w1ㅧR1 + w2ㅧR2 + w3ㅧR3 + w4ㅧR4와 같은 방법을 통해 랭킹을 다시 계산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calculates the ranking by applying a weight value set for each context information type to each context information after excluding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has failed in the ranked ranking list for each context information type (S819) ). For exampl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can recalculate the rankings in the same way as w1? R1 + w2? R2 + w3? R3 + w4? R4.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시 계산한 랭킹에 기초하여 최적 서버를 결정한다(S823). 여기서,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랭킹 목록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가지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최적 콘텐츠 제공 서버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determines an optimal server based on the ranking calculated again by applying the weights as described above (S823). Here,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may determin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having the highest ranking among the ranking lists as the optimum content providing server.

이후,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에 콘텐츠 전달을 위한 자원을 예약하고(S825),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로 사용자의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827).Thereaft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reserves resources for delivering the content to the network and / or the server (S825), and retransmits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message of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827).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 사용자의 콘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를 재선송한 후, 요청 결과를 캐시에 저장한다(S829).
Aft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re-transmits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message of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stores the request result in the cache (S82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910, 920, 930)에 분산되어 위치하여 콘텐츠를 저장 및 제공하는 복수의 콘텐츠 제공 서버(940)와, 다양한 유형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및 공유하고, 컨텍스트 기반 라우팅을 수행하는 컨텍스트 인지 라우터(950)가 구비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텍스트 인지 라우터(950)는 도 2에 도시한 컨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해당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한다.9,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servers 940 that are distributed and located in networks 910, 920, and 930 to store and provide content, May be executed in an environment having a context aware router 950 that collects, analyzes, and shares context information of the type, and performs context based routing. Here, the context aware router 950 corresponds to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and executes the above-described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방법에 따르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소스(901)로 집중되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고, 백본 트래픽 및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간 인터넷 접속구간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ent / service provision apparatus 200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content source 901 providing the content as shown in FIG. 9, The traffic of the Internet access section between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s can be reduc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텍스트를 이용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컴퓨팅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 service using a dynamic con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means capable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Lt; / RTI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line, a wave 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 20, 30 : 네트워크 40 : IP 기반 라우터
50 : 사용자 60 : 콘텐츠 제공 서버
100 : 컨텍스트 제공 장치 200 :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210 : 컨텍스트 수집부 230 : 컨텍스트 분석부
250 : 컨텍스트 공유부 270 :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
290 : 컨텍스트 저장부 300 : 컨텍스트 사용 장치
710 : 사용자 720 : 콘텐츠 제공자
730 :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740 : 네트워크
750 : 콘텐츠 제공 서버#1 760 : 콘텐츠 제공 서버#2
770 : 콘텐츠 제공 서버#3 901 : 콘텐츠 소스
910, 920, 930 : 네트워크 940 : 콘텐츠 제공 서버
950 : 컨텍스트 인지 라우터
10, 20, 30: Network 40: IP-based router
50: user 60: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ontext providing apparatus 200: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10: Context collection unit 230: Context analysis unit
250: Context sharing unit 270: Context aware routing unit
290: Context storage unit 300: Context-used device
710: User 720: Content provider
730: Content / Service Providing Device 740: Network
750: Content providing server # 1 760: Content providing server # 2
770: Content providing server # 3 901: Content source
910, 920, 930: network 940: content providing server
950: Context aware router

Claims (22)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컨텍스트 획득부; 및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는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를 포함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A context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nd stor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A context / routing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selecting a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routing the provid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들로부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 사용자 관련 정보, 네트워크 관련 정보, 사용자 단말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 or service provision related information,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the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IP 주소, 사용자의 실제 위치, 사용자의 선호도 및 접속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P address, an actual location of a user, a preference of a user, and accessibility information as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using the content or ser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는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전달하는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서비스 관련 정보로, 서비스 유형, 콘텐츠 유형, 요금,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 제공자, 서비스 품질 정보, 콘텐츠 캐시 목록, 세션 수, 부하정보, 평균 서비스 시간, 콘텐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is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quality of delivering the content or service. The information includes service type, content type, fee, service provider, content provider, service quality information, , The load information, the average service time, and the content ranking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컨텍스트 정보 수집을 위한 정책을 정의하고, 정의된 컨텍스트 수집 정책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에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A policy for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is defined, and a defined context collection policy is distributed to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 수집을 위한 정책으로 컨텍스트를 수집할 컨텍스트 제공 장치, 컨텍스트 수집 방법, 컨텍스트 수집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컨텍스트 수집을 위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Wherein the context management unit defines at least one of a context providing apparatus for collecting a context, a context collection method, a protocol used for context collection, and a time for context collection as a policy for collecting the context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상기 컨텍스트 제공 장치가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Wherein th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an interface for registering with the network and extracts context information from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apparatu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획득부는
획득해야 할 컨텍스트 정보 유형들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컨텍스트 모델을 정의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정의된 컨텍스트 모델에 해당하는 컨텍스트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컨텍스트 정보를 미리 정의된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xt acquisition unit
A context model is defined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information types to be acquired, the received data is converted into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context model, and then the converted contex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upper level To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외부 장치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텍스트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context sharing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allowing the external device to access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공유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 권한 확인 또는 과금 기능을 수행하며, 허가된 외부 장치에 미리 정의된 방법을 통해 컨텍스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ext sharing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or accounting of the external device, and delivers the context information to a permitted external device through a predefined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Extracting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rom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selecting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수신한 요청 메시지로부터 IP 주소, 콘텐츠 ID, 서비스 ID,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 정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옵션 등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And extracts from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at least one information such as an IP address, a content ID, a service ID, a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request message,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 request op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상기 추출한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경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Wherein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elects an optimal network route for providing a content or a service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d reserves network resources based on the selected network route / RTI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인지 라우팅부는
상기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한 후, 라우팅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ext aware routing unit
Wherein the routing unit stores the routing result after routing the provid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콘텐츠/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content /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llec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nd stor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Selecting a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And
And routing the provid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devi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제공 장치로부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 사용자 관련 정보, 네트워크 관련 정보, 사용자 단말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llecting of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ontext providing device, the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the network related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미리 정의된 상위 레벨의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상위레벨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and stor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Analyzing the collected context information, converting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into predefined high-level information, and storing the converted high-level informa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selecting a content or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Extracting context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for selecting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rom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And
And selecting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콘텐츠 ID, 서비스 ID,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 정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가중치 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mprises:
From the received content or service request message, at least one of an IP address, a content ID, a service ID, a terminal information that transmitted the request message, content or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and a weight option of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extracting the content / servic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추출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캐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comprises:
And if the cac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exists, selects the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ache information.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캐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한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가중치 옵션 정보 및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o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comprises:
When there is no cac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o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user terminal or the weight op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the analyzed context information, / RTI > is selected. ≪ / RTI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선택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라우팅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
Further comprising routing the content or service request to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then storing the routing information in a cache.
KR1020130014527A 2013-02-08 2013-02-08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KR201401011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27A KR20140101177A (en) 2013-02-08 2013-02-08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27A KR20140101177A (en) 2013-02-08 2013-02-08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77A true KR20140101177A (en) 2014-08-19

Family

ID=5174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27A KR20140101177A (en) 2013-02-08 2013-02-08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117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3539B2 (en) 2019-12-30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erve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3539B2 (en) 2019-12-30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erv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8416B2 (en) System and method of network policy optimization
KR10251425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ng a Mobile Edge Computing Node
WO202022850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lecting mobile edge computing node
US10667172B2 (en) Download management with congestion mitigation for over the air content delivery to vehicles
US10609182B2 (en) Network and application management using service layer capabilities
Taleb et al. An analytical model for follow me cloud
US20160285780A1 (en) Allocating Resources Between Network Nodes for Providing a Network Node Function
CN113711557B (en) Service optimization for data packet sessions
KR2011005724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detection and coordinated delivery of burdensome media content
EP2869524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th TCP proxy services
Simoens et al. Service-centric networking for distributed heterogeneous clouds
Xing et al. A highly scalable bandwidth estimation of commercial hotspot access points
EP29195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hosting application by access node
JP5894981B2 (en) Accessing a network of nodes distributed across a communication architecture using a topology server with multiple criteria selection
KR20140101177A (en)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s/service using dynamic context
US20230336969A1 (en) User equipment data collection
KR101467023B1 (en)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contents using dynamic context in the distributed network
Mäkelä et al. Distributed information service architecture for overlapping multiaccess networks
WO2021078792A1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service migration
CN116056149B (en) Simplex op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IAB host node
Kalan et al. vdane: Using virtualization for improving video quality with server and network assisted dash
Oredope et al. Cloud Services in Mobile Environments-The IU-ATC UK-India Mobile Cloud Proxy Function
Sreeraj et al. Design of a Smart Gateway for Network/Device aware transmissions in M2M Communication
WO2024036268A1 (en) Support of data transmission measurement action guarantee for data delivery service
WO2019245821A1 (en) Download management with congestion mitigation for over the air content delivery to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