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797A -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797A
KR20140100797A KR1020130013999A KR20130013999A KR20140100797A KR 20140100797 A KR20140100797 A KR 20140100797A KR 1020130013999 A KR1020130013999 A KR 1020130013999A KR 20130013999 A KR20130013999 A KR 20130013999A KR 20140100797 A KR20140100797 A KR 2014010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device
usb
operation state
rese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797A/ko
Publication of KR2014010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8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handshaking protocol, e.g. RS232C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USB(Universal Serial Bus)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USB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MEHTOD CONTROLLING USB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APPARATUS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환경 내에서도 복수 개의 전자 기기들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이들 전자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형성한 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반적이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인 USB 인터페이스는 그 편리성 때문에 대부분의 전자 기기에서 지원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 등의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연결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TV에 마련된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감상하거나, PC에 연결하여 다양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는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활용도가 높은 인터페이스이다.
그리나, USB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들은 USB 기기를 수동으로 리셋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불편이 존재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USB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USB 기기를 자동으로 리셋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는 상기 USB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기기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확인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셋된 USB 기기를 리셋되기 전의 최종 동작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확인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USB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리셋된 USB 기기를 리셋되기 전의 최종 동작 상태로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USB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USB 기기를 자동으로 리셋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셋된 전자 장치를 최종 설정 환경으로 복원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SB 기기를 리셋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와 USB 기기(200)를 포함한다.
USB 기기(200)란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USB 기기(2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2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200)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거나,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USB 기기(200)를 자동으로 리셋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하나의 USB 기기(200)가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복수의 USB 기기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각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USB 기기 각각을 리셋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서의 전자 장치(100) 및 USB 기기(200)는 TV, PC, 셋탑 박스, 모니터, 각종 통신 모듈(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 전자 액자, 노트북 PC, 오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VCR, 오디오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셋탑 박스 등과 같이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USB 기기(도 1의 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10)는 USB 커넥터 및, USB 커넥터와 연결 가능한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어, USB 통신 방식에 따라 USB 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USB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패킷화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USB 기기(200)와 USB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USB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handshake packet)을 이용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핸드쉐이크 패킷은 전자 장치(100)와 USB 기기(200) 사이의 트랜잭션(transaction) 결과를 나타내는 패킷이다. 트랜잭션은 전자 장치(100)와 USB 기기(200)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핸드쉐이크 패킷은 에러없이 데이터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ACK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NAK 패킷 및, 데이터 송수신 불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STALL 패킷이 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에서 USB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외부 장치(200)로 전송한 경우, USB 기기(200)는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핸드쉐이크 패킷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STALL 패킷이 수신된 경우, USB 기기(20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200)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컨트롤러를 리셋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하거나 USB 기기(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USB 기기(2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확인한 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200)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에 구비된 USB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패킷을 USB 기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패킷은 USB 기기(200)로부터 핸드쉐이크 패킷을 수신할 때 전송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패킷을 USB 기기(200)로 재차 전송하고, 핸드쉐이크 패킷을 재차 수신받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패킷을 USB 기기(200)로 또 다시 전송하고,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또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USB 기기(200)로 전송하고, USB 기기(200)로부터 핸드쉐이크 패킷을 수신받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반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중단하고 USB 기기(200)에 구비된 USB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한 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판단하고,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에 구비된 USB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한 후, 데이터 패킷을 USB 기기(200)로 전송하여 USB 기기(200)로부터 핸드쉐이크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패킷을 USB 기기(200)로 재차 전송하고, 핸드쉐이크 패킷을 재차 수신받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패킷을 USB 기기(200)로 또 다시 전송하고,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또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한 후에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USB 기기(200)로 전송하고, USB 기기(200)로부터 핸드쉐이크 패킷을 수신받아 USB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반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한 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중단하고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USB 기기(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핀을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USB 기기(200)는 일시적으로 리셋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가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리셋이 재차 수행되도록 하는 것은 전송된 제어 명령에 의해 USB 기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제어부(120)가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USB 기기(200)를 리셋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가 자체적으로 구비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USB 기기(200)가 일시적으로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리셋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리셋된 전자 장치를 리셋되기 전의 최종 설정 환경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가 리셋되기 전 USB 기기(200)의 최종 설정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종 설정 환경은 핸드쉐이크 패킷이 최초로 수신된 시점에서 USB 기기(200)에 설정된 셋업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셋된 USB 기기를 최종 설정 환경으로 복원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TV로 구현되고, USB 기기(20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였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USB 기기(200)가 전기적인 충격 등의 이유로 비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하게 되면, 도 3의 (b)와 같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컨트롤러 또는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USB 기기(2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USB 기기(200)가 리셋 이후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의 최종 설정 환경을 복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c)와 같이,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가 리셋되기 전 MAC 등록, IP 설정, 최종 연결 URL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USB 기기(200)가 리셋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USB 기기(200)의 최종 설정 환경을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USB 기기(200)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USB 기기(200)가 리셋되기 전과 동일한 웹 페이지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SB 기기를 리셋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확인하여(S410),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이에 따라,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USB 기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S420-N), USB 기기(200)로부터 핸드쉐이크 패킷을 재차 수신하여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판단한다(S430).
그리고, 기설정된 횟수만큼 판단한 경우에도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S430-Y),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에 구비된 USB 컨트롤러를 리셋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하여 USB 기기(200)를 리셋시킬 수 있다(S440).
USB 컨트롤러를 리셋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200)로 전송한 후,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확인하여(S450),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
이에 따라,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200)로부터 핸드쉐이크 패킷을 재차 수신하여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판단한다(S470).
그리고, 기설정된 횟수만큼 판단한 경우에도 트랜잭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S470-Y), 전자 장치(100)는 USB 기기(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USB 기기(200)를 리셋시킬 수 있다(S48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구체적으로, 도 5는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S510). 구체적으로,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한다(S520).
구체적으로,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확인한 후,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USB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한 후,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판단하고,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USB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USB 기기 제어 방법은 리셋된 USB 기기를 리셋되기 전의 최종 동작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제어부

Claims (10)

  1. USB(Universal Serial Bus)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기기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확인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셋된 USB 기기를 리셋되기 전의 최종 동작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USB(Universal Serial Bus)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를 리셋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SB 기기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USB 기기로부터 수신된 핸드쉐이크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기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확인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USB 기기로 전송한 후,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USB 기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B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기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된 USB 기기를 리셋되기 전의 최종 동작 상태로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기 제어 방법.
KR1020130013999A 2013-02-07 2013-02-07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KR20140100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999A KR20140100797A (ko) 2013-02-07 2013-02-07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999A KR20140100797A (ko) 2013-02-07 2013-02-07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97A true KR20140100797A (ko) 2014-08-18

Family

ID=5174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999A KR20140100797A (ko) 2013-02-07 2013-02-07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9086B2 (en) 2016-08-30 2019-07-02 Hyundai Motor Company USB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USB ho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9086B2 (en) 2016-08-30 2019-07-02 Hyundai Motor Company USB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USB ho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0939B1 (en) Media rendering system
US74155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a media player to determine if it supports the capabilities of an accessory
US20110230236A1 (en) Integrate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Home Appliances by Cell Phone
US202003513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environment
JP4337056B2 (ja) 通信装置、通信状態検出方法及び通信状態検出プログラム
CN104518910B (zh) 用于配置以太网设备的装置和用于配置以太网设备的方法
US20130200703A1 (en) Intellectual power controlling system
US110102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management service
US20150341185A1 (en) Control module and cables for networking electrical devices
JP2022083815A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130129538A (ko) 원격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원격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US2020039388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electronic assembly,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4010079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TW201445521A (zh) 使用於智慧型手機的萬用遙控器模組及其操作方法
CN108965368B (zh) 具有网络功能的数据管理电路及基于网络的数据管理方法
US9176836B2 (en) Automatic diagnosis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248521B2 (ja) 自動販売機設定システム
US102188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server
KR101968945B1 (ko) 휴대용 공조기기 도킹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 유지관리 시스템
KR101583557B1 (ko)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컴퓨터의 대기전원을 이용해서 전원을 제어하는 컴퓨터 전원 제어 pci 카드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
JP2015153130A (ja) ネットワーク機器
US1071320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in one of multiple power modes and corresponding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848182B (zh) 一种bmc固件的更新方法、相关设备及系统
TWI650038B (zh) Z-Wave閘道器
KR10163967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