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606A -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606A
KR20140100606A KR1020130012955A KR20130012955A KR20140100606A KR 20140100606 A KR20140100606 A KR 20140100606A KR 1020130012955 A KR1020130012955 A KR 1020130012955A KR 20130012955 A KR20130012955 A KR 20130012955A KR 20140100606 A KR20140100606 A KR 20140100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user
unit
publ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최광선
함영경
채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트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트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트룩스
Priority to KR102013001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606A/ko
Publication of KR2014010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 내역과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한 상품 구매 이력을 수집하는 사용자 이력 수집부, 사용자에게 광고 및 홍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분석하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해주기 위해 광고 및 홍보 콘텐츠에 대한 사전 분석을 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조합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 및 사용자 상호작용을 자동 분석하여 파생 수익을 분배하는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Advertisement/Publicity Supporting system for curation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온라인 미디어 상의 콘텐츠가 자동으로 선별되고 공유되는 과정인 콘텐츠 큐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판매 대상이 되는 물품에 대한 판매 촉진 활동이 수행되며,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파생된 판매 이익이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재분배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하고 (주)솔트룩스에서 연구하여 수행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연구기간 : 2012.03.01~2013.02.28, 연구과제명 : 모바일 플랫폼 기반 계획 및 학습 인지 모델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과제번호 : 10035348]
초기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콘텐츠(contents)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반면, 최근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는 방대한 양의 콘텐츠 가운데 사용자와 관련된 콘텐츠만을 사용자가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예를 들면, 큐레이션(curation)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하여 선택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자신의 공간에 쉽게 저장하도록 지원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하루에도 수억 건씩 생성되고 있는 현실에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만을 활용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는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통적인 온라인 광고 및 홍보 시스템에서 광고는 온라인 광고 대행사를 통해 취합되고 온라인 광고 대행사와 계약을 한 서비스에 송출되어 사용자들에게 노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의 서비스 콘텍스트, 예를 들면 어떤 종류나 특성을 가진 콘텐츠나 서비스를 소비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여 각 상황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사용자 입장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가 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중심으로 사용자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유발된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가 사용자 관심에 기반하여 추천되고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 및 홍보를 통한 구매 확률 높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파생된 수익을 사용자 기여도에 따라 재분배함으로써 사용자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 내역과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한 상품 구매 이력을 수집하는 사용자 이력 수집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광고 및 홍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분석하는 사용자 식별부, 상기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해주기 위해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에 대한 사전 분석을 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조합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 및 사용자 상호작용을 자동 분석하여 파생 수익을 분배하는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추가,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는, 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의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력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전파한 이력을 수집하는 큐레이션 이력 수집부 및 상기 큐레이션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한 이력을 수집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구매 이력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에 미리 지정한 관심 선호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선호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이력 수집부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관심 선호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상황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집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어떤 주제에 해당하는지 자동 분석하는 콘텐츠별 주제 분석부,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군집하기 위한 콘텐츠 유사도 분석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전파된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한 인기 콘텐츠 분석부 및 미리 지정된 규칙을 통해 콘텐츠의 주제를 분석하는 콘텐츠별 규칙 기반 주제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관심 선호도와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주제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맞춤형 광고/홍보 주제 분석부 및 분석된 사용자별 맞춤형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에 전달하는 추천 콘텐츠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콘텐츠 전달부가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에 의해 광고 및 홍보 콘텐츠 추천 요청을 받을 때, 상기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주제별 콘텐츠 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순위를 매기는 추천 콘텐츠 식별 및 랭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별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추천 콘텐츠 식별 및 랭킹부에서 매겨진 추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 전달부에 반환할 수 있다.
상기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와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큐레이션 관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성부, 싱기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성부에 의하여 구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될 파생 수익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파생 수익 분석 및 배분부 및 계산된 파생 수익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파생 수익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가 자동으로 선별되고, 공유되고, 추천되기 위한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와 정보가치가 증강된 광고 및 홍보 콘텐츠 노출시켜 관심 기반의 마케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구매까지 유도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상호작용 기록을 분석하여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파생수익을 기여도에 따라 배분함으로써 사용자 참여에 의한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광고 및 홍보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어 광고 효과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큐레이션한 사용자들에게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생적으로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전파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는 수익 분배의 기회가 주어지고, 광고주에게는 효율적인 광고 노출 및 전파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큐레이션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술을 활용하면 정보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회적 신뢰성을 기준으로 양질 즉 품질이 확보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적 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존에 판매 물품에 대한 홍보나 광고는 사용자 측면에서 불필요한 정보가 아닌 재미성, 신뢰성, 유요성 등을 보장한 또 다른 콘텐츠로 가치를 증강하여 제공할 수가 있다. 이렇게 가치가 증강된 광고는 기존의 광고와는 차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접근되어 홍보 및 광고효과와 실질적 구매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생된 구매수익은 관찰된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 네트워크상에서의 상호 기여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홍보활동에 대한 사용자 참여를 자연적으로 촉진시키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큐레이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이력 수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여행 정보 제공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콘텐츠(contents)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말하고,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되도록 문자, 부호, 음성,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서 처리하거나 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말한다. 한편, 큐레이션(curation)이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무수한 콘텐츠들 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행위를 말한다. 큐레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큐레이션을 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저장 및 공유 등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말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저장하는 자신의 공간을 보드(board)라고 한다. 사용자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서 자신의 취미와 직업 또는 현재 이슈등과 같이 자신의 관심분야와 연관된 콘텐츠를 보드에 저장, 확인 및 공유 등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큐레이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큐레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사용자 표시 섹션(100), 보드 정보 섹션(200), 콘텐츠 섹션(300) 및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표시 섹션(100)은 사용자의 고유한 이름이나 계정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가 표시하는 내용이 특정 사용자의 보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길동"이라는 이름의 사용자가 자신의 이름을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표시 섹션(100)은 "홍길동"을 표시할 수 있다.
보드 정보 섹션(200)은 사용자의 보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정보 섹션(200)은 현재 보드가 포함하는 콘텐츠의 개수 및 현재 보드의 사용자와 큐레이션 서비스 상에서 서로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사용자와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정의하는 관계를 만족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큐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보드에 포함된 콘텐츠에 접근하여 확인할 수 있고, 자신과 관심분야가 유사한 다른 사용자가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를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의 보드를 찾는 사용자는 보드 정보 섹션(200)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의 보드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섹션(300)은 보드에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 또는 콘텐츠의 요약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섹션(300)은 복수개의 콘텐츠 프레임들(310, 320, 330, 340 및 35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콘텐츠 프레임들(310, 320, 330, 340 및 350)은 고유한 콘텐츠 및 콘텐츠의 요약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프레임들(310, 320, 330, 340 및 350)이 포함하는 콘텐츠는 사진(311), 음악 또는 동영상(321), 텍스트(331), URL(uniform resource locator)(341) 및 파일 리스트(351)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큐레이션 서비스의 사용자들은 콘텐츠 프레임들(310, 320, 330, 340 및 350) 각각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선택하여 선택한 콘텐츠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프레임들(310, 320, 330 및 340)은 콘텐츠들(311, 321, 331 및 341)과 함께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코멘트들(312, 322, 332 및 342)을 포함할 수 있다. 큐레이션 서비스의 사용자는 자신의 보드에 보관된 콘텐츠에 대한 설명 등을 코멘트에 기록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의 보드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그 콘텐츠의 코멘트에 기록할 수도 있다.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가 표시하는 보드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콘텐츠 또는 다른 사용자를 추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은 복수개의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들(401 내지 4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들(401 내지 405)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들(401 내지 405)은 사진, 음악 또는 동영상, 텍스트, URL 및 파일 리스트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관심분야가 공통되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이 포함하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보드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이 포함하는 콘텐츠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보드에 저장한 콘텐츠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이 포함하는 콘텐츠들이 사용자의 관심 주제에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가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이 포함하는 콘텐츠를 자신의 보드에 저장하는 경우, 저장된 콘텐츠는 다시 추천 광고/홍보 콘텐츠 섹션(400)이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에 의해서 사용자의 관심 주제가 학습되고, 이에 따라 콘텐츠를 추천하는 피드백 구조를 통해서 지능화된 큐레이션 서비스가 사용자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능화된 큐레이션 서비스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라고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10000)은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실제로 유통되고 사용자들이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큐레이션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인 큐레이션 서비스부(7000), 큐레이션 서비스부(7000) 및 네트워크(4)로부터 사용자(2)의 큐레이션 내역,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한 상품 구매 이력 등을 수집하는 사용자 이력 수집부(1000), 사용자(2)에게 광고 및 홍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2)의 컨텍스트를 분석하는 사용자 식별부(2000),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해주기 위해 광고 및 홍보 콘텐츠에 대한 사전 분석을 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3000), 광고 제목, 광고 URL, 광고 주제, 광고를 위한 대상 규칙 등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추가,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 관리부(6000),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3000)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조합하여 실제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4000), 사용자 상호작용을 자동 분석하여 파생 수익을 분배하는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5000)로 구성된다.
큐레이션 서비스부(7000)는 광고주에 의해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노출되고, 사용자들에 의해 전파 및 유통되는 기반 환경으로 웹 사이트, 모바일 앱 등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이력 수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이력 수집부(1000)는 사용자(2)가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전파한 이력을 쿠레이션 서비스부(7000)로부터 또는 네트워크(4)를 통하여 수집하는 큐레이션 이력 수집부(1100)와 큐레이션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2)가 실제로 상품을 구매한 이력을 수집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구매 이력 수집부(1200)를 통해 사용자(2)가 광고 및 홍보 콘텐츠에 노출된 정도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이력 수집부(10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이력은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5000) 또는 사용자 식별부(20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식별부(2000)는 사용자(2)가 도 2에 보인 큐레이션 서비스부(7000)에 미리 지정한 관심 선호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선호 분석부(2100)와 사용자 이력 수집부(10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관심 선호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상황 인식부(2200)를 통해 사용자(2)가 어떠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선호하는지 미리 식별하여 놓을 수 있다. 식별된 사용자(2)가 선호하는 광고 및 홍보 콘텐츠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30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3000)는 네트워크(4)로부터 수집한 각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어떤 주제에 해당하는지 자동 분석하는 콘텐츠별 주제 분석부(3100)와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군집하기 위한 콘텐츠 유사도 분석부(3200),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전파된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한 인기 콘텐츠 분석부(3300), 사람에 의해 미리 지정된 규칙을 통해 콘텐츠의 주제를 분석하는 콘텐츠별 규칙 기반 주제 분석부(3400)로 구성된다.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300)에서 분석된 정보는 광고 콘텐츠 분석 관리부(6000)에서 저장/관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4000)는 도 2의 사용자 식별부(2000)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관심 선호도와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3000)을 통해 분석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주제를 조합하여 각 사용자(2)에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맞춤형 광고/홍보 주제 분석부(4100)와 분석된 사용자별 맞춤형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큐레이션 서비스부(7000)에 전달하는 추천 콘텐츠 전달부(4400)로 구성된다. 추천 콘텐츠 전달부(4400)는 큐레이션 서비스부(7000)에 의해 사용자(2)별로 광고 및 홍보 콘텐츠 추천 요청을 받으면 주제별 콘텐츠 검색부(42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주제별 콘텐츠 검색부(4200)는 사용자(2)에게 가장 적합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순서로 추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순위를 매기어 정렬하는 추천 콘텐츠 식별 및 랭킹부(4300)를 통해 정렬된 콘텐츠 검색 결과를 추천 콘텐츠 전달부(4400)에 반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5000)는 사용자(2)의 이력을 사용자 이력 수집부(1000)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2)와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큐레이션 관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성부(5100)와 구성된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어떠한 기준에 의해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각 사용자(2)에게 할당될 파생 수익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파생 수익 분석 및 배분부(5200), 계산된 파생 수익을 실제로 사용자(2)에게 현금, 사이버머니, 상품 교환권 등 어떠한 형태로든 전달하는 파생 수익 전달부(5300)로 구성된다.
1000 : 사용자 이력 수집부, 2000 : 사용자 식별부, 3000 :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 4000 :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 5000 :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 6000 :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 관리부, 7000 : 큐레이션 서비스부, 10000 :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 내역과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한 상품 구매 이력을 수집하는 사용자 이력 수집부;
    상기 사용자에게 광고 및 홍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분석하는 사용자 식별부;
    상기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해주기 위해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에 대한 사전 분석을 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조합하여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 및
    사용자 상호작용을 자동 분석하여 파생 수익을 분배하는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를 포함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추가,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는, 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전파한 이력을 수집하는 큐레이션 이력 수집부; 및
    상기 큐레이션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한 이력을 수집하는 광고/홍보 콘텐츠 구매 이력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에 미리 지정한 관심 선호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선호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이력 수집부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관심 선호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상황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집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가 어떤 주제에 해당하는지 자동 분석하는 콘텐츠별 주제 분석부;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군집하기 위한 콘텐츠 유사도 분석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전파된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한 인기 콘텐츠 분석부; 및
    미리 지정된 규칙을 통해 콘텐츠의 주제를 분석하는 콘텐츠별 규칙 기반 주제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관심 선호도와 상기 광고/홍보 콘텐츠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주제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추천하는 맞춤형 광고/홍보 주제 분석부; 및
    분석된 사용자별 맞춤형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에 전달하는 추천 콘텐츠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콘텐츠 전달부가 상기 큐레이션 서비스부에 의해 광고 및 홍보 콘텐츠 추천 요청을 받을 때, 상기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주제별 콘텐츠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추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순위를 매기는 추천 콘텐츠 식별 및 랭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별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추천 콘텐츠 식별 및 랭킹부에서 매겨진 추천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 전달부에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홍보 효과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와 광고 및 홍보 콘텐츠의 큐레이션 관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성부;
    싱기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성부에 의하여 구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될 파생 수익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파생 수익 분석 및 배분부; 및
    계산된 파생 수익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파생 수익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KR1020130012955A 2013-02-05 2013-02-05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KR20140100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955A KR20140100606A (ko) 2013-02-05 2013-02-05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955A KR20140100606A (ko) 2013-02-05 2013-02-05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606A true KR20140100606A (ko) 2014-08-18

Family

ID=5174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955A KR20140100606A (ko) 2013-02-05 2013-02-05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광고/홍보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6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957A (ko) * 2015-10-20 2017-04-28 전자부품연구원 홍보용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9370A (ko) * 2019-08-12 2021-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데이터의 사례학습기반 추론에 따른 광고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10103735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포스터 추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957A (ko) * 2015-10-20 2017-04-28 전자부품연구원 홍보용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9370A (ko) * 2019-08-12 2021-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데이터의 사례학습기반 추론에 따른 광고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10103735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포스터 추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Actionable social media competitive analytics for understanding customer experiences
Hernández-Méndez et al. The influence of e-word-of-mouth on travel decision-making: consumer profiles
Dhar et al. Does chatter matter? The impact of user-generated content on music sales
Moro et al. Factors influencing hotels’ online prices
Liu et al. Agglomeration as a driver of the volume of electronic word of mouth in the restaurant industry
Tam et al. Web personalization as a persuasion strategy: A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perspective
Lim et al. Consumer acceptance and continuance of online group buying
Ong The perceived influence of user review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Enright et al. Determinants of tourism destination competitiveness in Asia Pacific: Comprehensiveness and universality
Sun et al. Chinese customers’ evaluation of travel website quality: A decision-tree analysis
Knoblich et al. Keys to success in Social Media Marketing (SMM)–Prospects for the German airline industry
US20120253901A1 (en) Dynamic offer pairing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Semerádová et al. Using a systemic approach to assess Internet marketing communication within hospitality industry
Wu et al. Predicting browsers and purchasers of hotel websites: A weight-of-evidence grouping approach
Scholz et al. AKEGIS: automatic keyword generation for sponsored search advertising in online retailing
Sanliöz Özgen et al. Social media practices applied by city hotels: a comparative case study from Turkey
Snijder The profits of free books: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impact of open access publishing
Kronenberg et al. Economic effects of advertising expenditures–a Swedish destination study of international tourists
CN107851261A (zh) 用于提供相关广告的方法和系统
Abad et al. Influence of travel vlog: Inputs for destination marketing model
Park et al. When daily deal services meet Twitter: Understanding Twitter as a daily deal marketing platform
Foris et al. Relevance of the features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booking websites
McMillan et al. A decade of change and the emergence of digital media: Analysis of trade press coverage of the advertising industry, 2005–2014
Xu et al. Adapting to social media: the influence of online reviews on tourist behaviour at a world heritage site in China
Saikia et al. Digital consumer engagement in a social network: A literature review applying TCCM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