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239A - 무선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239A
KR20140100239A KR1020130013310A KR20130013310A KR20140100239A KR 20140100239 A KR20140100239 A KR 20140100239A KR 1020130013310 A KR1020130013310 A KR 1020130013310A KR 20130013310 A KR20130013310 A KR 20130013310A KR 20140100239 A KR20140100239 A KR 20140100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 module
disposed
wireless charging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944B1 (ko
Inventor
신충환
홍석호
이정욱
이병화
김민수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9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1차 코일,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1차 코일과 PCB를 감싸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는 코일모듈(Coil Module), 상기 코일모듈이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art) 및 상기 코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통신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전력소모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보다 손쉽게 충전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코일(Coil)과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한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1차 코일,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1차 코일과 PCB를 감싸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는 코일모듈(Coil Module), 상기 코일모듈이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art) 및 상기 코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B는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통해 고주파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1차 코일은 상기 고주파 펄스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코일과 상기 PCB는 서로 중첩(Overlap)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모듈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모듈이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코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코일모듈이 배치되는 제 1 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모듈을 덮는 제 2 부분(Second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의 측벽(Side Wall)에는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케이블(Cab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케이블이 지나는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1차 코일에 대응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배치되는 면(Surface)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1차 코일을 중심과 상기 제 2 코일의 중심은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코일(Coil)과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모듈을 베이스부(Base Part)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해지고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무선 충전장치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는 코일모듈(Coil Module, 100), 코일모듈(100)이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art, 200) 및 코일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0)는 도시하지는 않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코일모듈(100)로 전달하는 케이블(Cable, 3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00)에는 코일모듈(100)이 배치되는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일모듈(100)이 배치되는 홈(210)을 제 1 홈이라 칭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코일모듈(100)은 하우징(130), 하우징(130)에 배치되는 코일(110)과 PCB(Printed Circuit Board, 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코일(110)과 PCB(120)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코일모듈(100)에 배치되는 코일(110)을 1차 코일이라고 칭한다.
PCB(120)는 도시하지 않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통해 고주파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PCB(120)가 출력한 고주파 펄스는 1차 코일(110)에 인가되고, 고주파 펄스를 인가받은 1차 코일(110)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무선 충전장치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를 충전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는 노트북 컴퓨터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는 패드(Pad)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패드 형태의 무선 충전장치(10)에 이동통신 단말기(20) 등의 다른 기기가 배치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2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를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20)는 코일(500), 정류부(510), 전류 공급부(520) 및 배터리(Battery, 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포함된 코일(500)을 2차 코일이라고 칭한다.
PCB(120)가 상용 교류 전원(AC, 4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고주파 펄스를 출력하면, 1차 코일(110)은 고주파 펄스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2차 코일(500)은 무선 충전장치(10)의 1차 코일(110)에서 발생시킨 자기장으로부터 교류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1차 코일(110)에서 자기장이 발생되면, 2차 코일(500)에는 발생된 자기장의 쇄교(Linkage)에 따라 고주파 교류전류가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정류부(510)는 2차 코일(500)에서 발생시킨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전류 공급부(520)는 정류부(510)가 정류한 직류전류를 배터리(5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터리(530)가 무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 유도 방식 뿐 아니라, 공진 유도 방식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무선 충전장치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자기 유도 방식 및 공진 유도 방식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에서 1차 코일(110)과 PCB(120)를 코일모듈(100)로 제작함에 따라, 무선 충전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충전장치(10)에서 코일모듈(110)은 베이스부(2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코일모듈(100)을 제 1 베이스부(200A)에 연결하여 무선 충전에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코일모듈(100)을 제 1 베이스부(200A)에서 분리하고, 코일모듈(100)을 제 2 베이스부(200B)에 연결하여 무선 충전에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1차 코일(110)과 PCB(120)를 코일모듈(100)로 제작하게 되면, 사용자는 코일모듈(100)을 휴대하는 것이 용이하고, 아울러 코일모듈(100)을 베이스부(200)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110)과 PCB(120)를 코일모듈(100)로 제작하게 되면, 코일모듈(100)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의 베이스부(200)는 코일모듈(110)이 배치되는 제 1 홈(210)을 포함하는 제 1 부분(First Part, 200-1) 및 제 1 부분(200-1)에 배치되는 코일모듈(100)을 덮는 제 2 부분(Second Part, 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200-2)을 덮개(Cover)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부분(200-2)은 제 1 부분(200-1)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경우와 같이, 제 2 부분(200-2)의 일부는 제 1 부분(200-1)에 연결되고, 제 2 부분(200-2)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부분(200-2)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살펴보면,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의 제 1 홈(210)의 측벽(Side Wall, 212)에는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11)는 제 1 홈(210)에 코일모듈(100)이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코일모듈(100)을 안내할 수 있고, 아울러 코일모듈(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도 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홈(210)의 입구로부터 제 1 홈(210)의 바닥면(Bottom Surface, 213)으로 갈수록 두께(T1)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으로 제 1 홈(210)의 바닥면(213)으로부터 소정 높이(W1)까지의 영역에서는 돌출부(211)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제 1 부분(200-1)의 제 1 홈(210)의 가장자리에는 코일모듈(110)을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탈착 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B)와 같이, 코일모듈(100)이 제 1 홈(2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코일모듈(100)과 제 1 부분(200-1) 사이에는 탈착 홈(214)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탈착 홈(214)이 형성된 영역에서 코일모듈(100)에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코일모듈(100)을 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살펴보면,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에는 제 2 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홈(215)에는 전원공급부(300)의 케이블(310)이 지날 수 있다.
한편, 코일모듈(100)은 베이스부(2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코일모듈(100)이 베이스부(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300)는 코일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1의 (A)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에는 제 1 전극단자(216)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전극단자(2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단자(216)는 전원공급부(300)의 케이블(310)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1의 (B)의 경우와 같이, 코일모듈(100)에는 제 1 전극단자(216)에 대응하는 제 2 전극단자(131)가 형성될 수 있다.
코일모듈(100)이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에 배치된 상태에서, 코일모듈(100)의 제 2 전극단자(131)는 베이스부(200)의 제 1 전극단자(216)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코일모듈(100)이 전원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코일모듈(100)에서 1차 코일(110)과 PCB(120)는 겹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 내에서 수직방향(DRV)으로 1차 코일(110)과 PCB(120)는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일모듈(100)의 넓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3의 경우와 같이,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 내에서 1차 코일(110)과 PCB(120)를 이격시켜 배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하우징(130)의 넓이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의 경우와 같이,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 내에서 1차 코일(110)과 PCB(120)를 중첩하게 배치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30)의 넓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의 코일모듈(100)은 하우징(130)에 배치되는 탈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제 1 탈착부(600)라 칭한다.
제 1 탈착부(600)는 하우징(13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탈착부(600)는, 도 14의 (B)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130)에 연결되는 연결부분(610), 연결부분(610)에서 수직방향(DRV)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620), 연결부분(610)에서 수직방향(DRV)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제 1 연장부분(620)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으로 연결부분(610)보다 더 돌출된 제 1 돌출부분(PA1)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연장부분(620) 및 제 2 연장부분(630)이 각각 수평방향(DRH)으로 연결부분(610)보다 더 돌출된 제 1 돌출부분(PA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A)의 제 1 영역(AR1)에서와 같이, 코일모듈(100)이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연장부분(620) 및 제 2 연장부분(6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출부분(PA1)은 제 1 부분(200-1)에 접촉할 수 있다. 혹은, 코일모듈(100)이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연장부분(620) 및 제 2 연장부분(6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출부분(PA1)은 제 1 부분(200-1)에 접촉하지 않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수직방향(DRV)으로 제 1 연장부분(62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1 연장부분(620)의 제 1 돌출부분(PA1)이 수평방향(DRH)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의 측벽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모듈(100)이 베이스부(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처럼,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에 제 1 탈착부(600)가 배치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 1 탈착부(600)의 제 1 연장부(620)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코일모듈(100)을 베이스부(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에는 또 다른 형태의 탈착부(제 2 탈착부)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2 탈착부(800)는 축(700)이 삽입되는 관통홀(811)을 포함하는 축 부분(Axis Part, 810), 축 부분(810)으로부터 수직방향(DRV)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820), 축 부분(810)으로부터 수직방향(DRV)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8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의 측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되는 함몰부(HW1)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부(HW1)의 양쪽 측면에는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축(700)이 제 2 탈착부(800)의 관통홀(8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700)의 양쪽 끝단은 하우징(130)의 홀(H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탈착부(800)는 축(700)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코일모듈(100)에 제 2 탈착부(800)를 배치하기 위해서,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에 함몰부(HW1)를 형성하고, 함몰부(HW1)의 양쪽에 홀(H1)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모듈(100)의 하우징(130)의 측면에 수평방향(DRH)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적어도 두 개 형성하고, 각각의 돌출부에 홀을 형성하고, 돌출부의 홀에 축(700)을 끼우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130)에 제 2 탈착부(800)가 배치된 상태는 도 17에 개시되어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제 1 연장부분(820) 및 제 2 연장부분(830)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방향(DRH)으로 축 부분(810)보다 더 돌출된 제 2 돌출부분(P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연장부분(820)을 수평방향(DRH) 중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연장부분(830)의 제 2 돌출부분(PA2)이 수평방향(DRH)으로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의 측벽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모듈(100)이 베이스부(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를 살펴보면 무선 충전장치(10)의 베이스부(200)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단말기(20)가 배치되는 면(Surface)에 배치되는 돌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충전장치(10)에서 단말기(20)가 배치되는 면을 충전면(Discharging Surface, DS)이라고 칭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무선 충전장치(10)의 충전면(DS)에 돌출부(90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900)는 단말기(20)가 효율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위치를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돌출부(900)는, 도 20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200)의 제 2 부분(200-2)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부분(200-2)이 충전면(D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단말기(20)가 베이스부(200)의 제 2 부분(200-2)에 놓인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부(200)의 제 2 부분(200-2)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부분(200-2)이 충전면(D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단말기(20)가 베이스부(200)의 제 1 부분(200-1)에 놓인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를 살펴보면, 단말기(20)가 베이스부(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장치(10)의 1차 코일(110)의 중심(CC2)과 단말기(20)의 제 2 코일(500)의 중심(CC1)은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충전 효율이 최대일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충전 효율을 위해 1차 코일(110)의 반지름(R2)이 2차 코일(500)의 반지름(R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20)가 베이스부(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장치(10)의 1차 코일(110)의 중심(CC2)은 단말기(20)의 제 2 코일(500)과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장치(10)의 1차 코일(110)의 중심(CC2)은 단말기(20)의 제 2 코일(500)의 중심(CC1)을 중심으로 R1반경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20)가 베이스부(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장치(10)의 1차 코일(110)의 중심(CC2)은 단말기(20)의 제 2 코일(500)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장치(10)의 1차 코일(110)의 중심(CC2)은 단말기(20)의 제 2 코일(500)을 중심으로 반경(R1)이 10mm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차 코일,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1차 코일과 PCB를 감싸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는 코일모듈(Coil Module);
상기 코일모듈이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art); 및
상기 코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통해 고주파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1차 코일은 상기 고주파 펄스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무선 충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코일과 상기 PCB는 서로 중첩(Overlap)하는 무선 충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모듈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충전장치.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모듈이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코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코일모듈이 배치되는 제 1 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모듈을 덮는 제 2 부분(Second Part);
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장치.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의 측벽(Side Wall)에는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무선 충전장치.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케이블(Cab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케이블이 지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1차 코일에 대응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배치되는 면(Surface)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장치.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1차 코일을 중심과 상기 제 2 코일의 중심은 일치하는 무선 충전장치.
KR1020130013310A 2013-02-06 2013-02-06 무선 충전장치 KR10199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10A KR101994944B1 (ko) 2013-02-06 2013-02-06 무선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10A KR101994944B1 (ko) 2013-02-06 2013-02-06 무선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39A true KR20140100239A (ko) 2014-08-14
KR101994944B1 KR101994944B1 (ko) 2019-07-01

Family

ID=5174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310A KR101994944B1 (ko) 2013-02-06 2013-02-06 무선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652A (ko) * 2019-03-01 2023-07-24 콘메드 코포레이션 멸균 배터리 충전
US11894706B2 (en) 2019-01-09 2024-02-06 Conmed Corporation Sterile battery charg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480A (ko) * 2007-03-05 2008-09-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KR20120008200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20130097462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삼광 음향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480A (ko) * 2007-03-05 2008-09-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KR20120008200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20130097462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삼광 음향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4706B2 (en) 2019-01-09 2024-02-06 Conmed Corporation Sterile battery charging device
KR20230110652A (ko) * 2019-03-01 2023-07-24 콘메드 코포레이션 멸균 배터리 충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944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1585B2 (en) Power-receiving device, wireless power-feeding system including power-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power-receiving device
JP6612863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達のためのセグメント化された導電性バックカバー
JP6168193B2 (ja) 電子装置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50097519A1 (en) Wireless charger with coil position adjustability
JP2013532461A (ja) 非接触型の誘導電力伝送システムの回路
MX2013007747A (es) Aparato y sistema de transmision inalambrica de energia para la transmision inalambrica de energia de los mismos.
KR101406234B1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TWM461243U (zh) 無線充電裝置
JP2006311712A (ja) 非接触充電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電池パック蓋及び該電池パック蓋を備えた携帯電話機
US2014033325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eed system
KR101423028B1 (ko) 착탈식 무선 충전장치와 이 무선 충전장치를 착탈식으로 내장하는 셋톱박스
JP2012190574A (ja) 電子機器用カバー部材および電池蓋
CN110829552A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KR101994944B1 (ko) 무선 충전장치
CN103050741A (zh) 一种内置于笔记本电脑的无线充电方法
KR20140062837A (ko)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KR101932225B1 (ko) 무선충전형 배터리 내장 밴드와 이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CN113163934B (zh) 用于手持装置的无线充电抓握设备
US20150215007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60001366U (ko) 무선충전장치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CN204103565U (zh)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充电装置
JP2015027142A (ja) 非接触充電装置
JPWO2014125731A1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