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729A -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729A
KR20140099729A KR1020130012497A KR20130012497A KR20140099729A KR 20140099729 A KR20140099729 A KR 20140099729A KR 1020130012497 A KR1020130012497 A KR 1020130012497A KR 20130012497 A KR20130012497 A KR 20130012497A KR 20140099729 A KR20140099729 A KR 2014009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ubstrate
region
string
circuit boar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183B1 (ko
Inventor
최만휴
박현규
홍승권
조인희
이혁수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1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일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소자 실장부, 및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상기 발광소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내 배선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각종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영상기기,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등장한 액정표시장치는 현재 모니터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는 액정의 전기적 및 광학적 성질을 표시장치에 응용한 것으로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동작전압이 낮아서 소비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편리해 널리 사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이다.
LCD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기발광성이 없어 항상 모든 LCD에는 백라이트(Backlight)가 필요하다. 백라이트는 LCD의 광원역할을 하는데 액정모듈의 후면에서 빛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광원자체를 포함하여 광원의 구동을 위한 전원 회로 및 균일한 평면광을 이루도록 해주는 일체의 부속물을 이루는 복합체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이라고 한다. 상기 LCD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으로 근래에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이 제안되었다. LED는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이다. 상기와 같은 LED는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이 길며, 전기 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음과 동시에 낮은 동작전압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는 점점 슬림화되고 있고 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폭을 감소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의 폭에 영향을 미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런데,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는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부 또는 스트링부의 부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제1 영역(A)과 제1 영역(B)으로부터 연장된 제2 영역(B)을 포함하고, 제1 영역(A)상에 LED와 같은 복수개의 발광소자(50)가 실장된 패드부(20)와 발광소자(50)과 연결되어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된 스트링부(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위에서 아래로 자른 단면이 도 1의 (b)이다.
도 1의 (b)를 참고하면, 제1 영역(A) 상의 일면에 발광소자(50)가 실장된 패드부(20)와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된 스트링부(30)가 모두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영역(A)의 길이(h)가 길어지는 원인이 된다. 즉, 제1 영역(A)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액정표시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베젤부에 해당하게 되어, 베젤부의 폭이 어느 정도 이상 줄어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 사이를 벤딩(Bending) 처리하는 경우, 벤딩 처리 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 사이의 절곡부에 가깝게 형성된 스트링 배선이나 절연기판이 찢기거나 눌리는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또는 외관 상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절연기판 상의 일면에 발광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상기 발광소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링 배선이 차지하는 폭만큼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영역의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스트링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사이를 절곡하여도 상기 스트링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영역의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연결 홈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 홈으로 스트링 배선이 지나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일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소자 실장부, 및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상기 발광소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자 실장부는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면에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스트링 배선이 상기 패드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상기 절연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상기 절연기판의 측면 및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드배선과 상기 스트링 배선이 연결되는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홈은 상기 스트링 배선의 굵기 이상으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 상기 액정표시모듈에 광을 공급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의 상부, 하부, 또는 상기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측면에 스트링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연기판 상의 일면에 발광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상기 발광소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링 배선이 차지하는 폭만큼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의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스트링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사이를 절곡하여도 상기 스트링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의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연결 홈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 홈으로 스트링 배선이 지나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인쇄회로기판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100)은 발광소자(50)가 실장된 영역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 영역(A) 및 제1 영역(A)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0), 지지기판(10)의 제1 영역(A)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20),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에 발광소자(50)가 실장되는 소자 실장부(30), 및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40)를 포함한다.
도 2의 (b)는 발광소자가(50)가 실장되지 않은 영역에서 인쇄회로기판을 바라본 후면도이다.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링부(40)는 절연기판(20)의 상기 일면(정면)에 대향하는 타면(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발광소자(50)가 실장된 영역에 스트링부(40)를 형성하는 것보다 제1 영역(A)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종래에는 제1 영역(A)의 일면에 소자 실장부(30)와 스트링부(40)가 전부 형성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영역(A)의 일면에는 소자 실장부(30)를 실장하고, 제1 영역(A)의 타면에는 스트링부(40)를 형성함으로써, 제1 영역(A)의 앞, 뒤면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의 사이를 절곡하여도 상기 스트링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로, 스트링부(40)는 발광소자(50)의 일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절연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고, 발광소자(50)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절연기판(20)의 측면 및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50)의 일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40a)은 절연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고, 발광소자(50)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40b)은 절연기판(20)의 측면 및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발광소자(50)의 일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40a)은 접지면(Ground)에 해당하고, 발광소자(50)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40b)은 개별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소자 실장부(30)는 절연기판(20)의 상기 일면에 발광소자(50)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부(40)는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측면(제1 영역의 윗면)을 통해 상기 스트링 배선이 상기 패드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인쇄회로기판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0), 지지기판(10)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20),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에 실장되는 발광소자(50)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는 소자 실장부(30), 및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40)를 포함한다. 즉,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스트링 배선이 상기 패드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의 길이(h')에 해당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높이를 낮춰 종래(도 1의 h와 비교)보다 슬림한 액정표시장치와 조명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도 2의 인쇄회로기판(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 상기 액정표시모듈에 광을 공급하는 도 2의 인쇄회로기판(100)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의 상부, 하부, 또는 상기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지지기판(10)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크롬(Cr), 유기화합물, 무기화합물, 자성물질 및 도전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기판(2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및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0), 지지기판(10)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20),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에 발광소자(50)가 실장되고, 발광소자(50)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는 소자 실장부(30),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40), 및 상기 패드배선과 상기 스트링 배선이 연결되는 절연기판(20) 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홈(60)을 포함한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연결 홈(60)은 절연기판(20) 상의 측면에 스트링 배선이 지나감으로써, 스트링 배선의 굵기만큼 제1 영역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연결 홈(60)은 상기 스트링 배선의 굵기만큼 또는 상기 스트링 배선의 굵기보다 크게 절연기판(20) 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홈(60)은 상기 스트링 배선이 지나가는 절연기판(20) 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A)의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연결 홈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 홈으로 스트링 배선이 지나가게 형성함으로써,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측면의 높이(제1 영역의 길이(h'))를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 영역(A) 및 제1 영역(A)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0), 지지기판(10)의 제1 영역(A)의 일면(10의 상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10의 하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10의 왼쪽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20),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층을 포함하되,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측면에 스트링 배선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패턴층은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에 실장되는 발광소자(50)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는 소자 실장부(30) 및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스트링 배선이 상기 패드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 영역(A) 및 제1 영역(A)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0), 지지기판(10)의 제1 영역(A)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20),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층, 및 절연기판(20) 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홈(60), 및 연결 홈(60) 상에 스트링 배선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패턴층은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일면에 실장되는 발광소자(50)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는 소자 실장부(30) 및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비교하면, 도 6은 절연기판(20) 상의 측면에 연결 홈(60)을 형성하기 때문에, 연결 홈(60)의 깊이만큼 절연기판(20)과 스트링 배선이 차지하는 측면 영역(C')이 도 5의 측면 영역(C)에 비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연결 홈(60)은 상기 스트링 배선의 굵기 이상으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절연기판(20) 상의 상기 측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인쇄회로기판
10: 지지기판 20: 절연기판
30: 소자 실장부 40: 스트링부
50: 발광소자 60: 연결 홈

Claims (11)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일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소자 실장부; 및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상기 발광소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
    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실장부는,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면에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스트링 배선이 상기 패드배선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상기 절연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상기 절연기판의 측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배선과 상기 스트링 배선이 연결되는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홈
    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홈은,
    상기 스트링 배선의 굵기 이상으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6. 액정표시모듈;
    상기 액정표시모듈에 광을 공급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의 상부, 하부, 또는 상기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다수의 광학시트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만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측면에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층은,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면에 실장되는 발광소자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이 형성되는 소자 실장부; 및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상기 발광소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이 형성되는 스트링부
    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배선과 상기 스트링 배선이 연결되는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홈
    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홈은,
    상기 스트링 배선의 굵기 이상으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트링 배선이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130012497A 2013-02-04 2013-02-04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4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497A KR102040183B1 (ko) 2013-02-04 2013-02-04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497A KR102040183B1 (ko) 2013-02-04 2013-02-04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729A true KR20140099729A (ko) 2014-08-13
KR102040183B1 KR102040183B1 (ko) 2019-11-04

Family

ID=5174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497A KR102040183B1 (ko) 2013-02-04 2013-02-04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1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301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브라켓 일체형 방열 pcb와 이를 구비한 샤시구조물
JP2011119180A (ja) * 2009-12-07 2011-06-16 Panasonic Corp 照明装置
KR20120018677A (ko) * 2010-08-23 2012-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301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브라켓 일체형 방열 pcb와 이를 구비한 샤시구조물
JP2011119180A (ja) * 2009-12-07 2011-06-16 Panasonic Corp 照明装置
KR20120018677A (ko) * 2010-08-23 2012-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183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88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US9851486B2 (en) Lighting unit
US8602626B2 (en) LED light source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3909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0774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인쇄회로기판
KR20150004173A (ko) 인쇄회로기판
KR102099934B1 (ko)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30053873A (ko) 백라이트 유닛용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6832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
KR10210452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4018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04522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34230B1 (ko) 통합 인쇄회로기판, 상기 통합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20150089564A (ko) 인쇄회로기판
KR20150068789A (ko) 인쇄회로기판
KR101445380B1 (ko)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907549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0929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용 하우징
KR102127343B1 (ko) 인쇄회로기판
KR101402828B1 (ko)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KR20140003049A (ko)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355280B1 (ko) 인쇄회로기판
KR20140078200A (ko) 조명장치
KR20150118814A (ko) 인쇄회로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20022691A (ko) 백라이트 유닛용 브라켓 일체형 방열 pc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