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571A -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571A
KR20140099571A KR1020130011782A KR20130011782A KR20140099571A KR 20140099571 A KR20140099571 A KR 20140099571A KR 1020130011782 A KR1020130011782 A KR 1020130011782A KR 20130011782 A KR20130011782 A KR 20130011782A KR 20140099571 A KR20140099571 A KR 2014009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solar cell
electrode
prin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유진
김의덕
백충훈
오석헌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9571A/en
Publication of KR2014009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front electrode of a solar cell, the front electrode produced by the method, and the solar cell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risk of damage to a substrate, reduce amount of wasted ink material, produce continuously, and provide a usage range of the size and viscosity of a printing electrode material as compared to a printing device such as other inkjet or aerosols by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ront electrode of the solar cell which comprises a step of non-contacting typed electrohydrodynamics electro-hydraulic printing of a conductive layer for forming the front electrode of the solar cell.

Description

태양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electrode,

본 발명은 태양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더욱 자세하게는 태양전지의 전극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비접촉식의 전기수력학 (Electrohydrodynamics;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electr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electrode including a step of printing the conductive layer by a non-contact type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method in forming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above method, and a solar cell having the electrode.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Recently, as existing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and coal are expected to be depleted,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that can replace them is increasing. Among them, solar cel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batteri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that convert solar energy directly into electric energy.

태양전지는 크게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로 구분된다. 그 중 실리콘 태양전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Solar cells are divided into silicon solar cell,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and tandem solar cell. Among them, silicon solar cells are mainstream.

이와 같은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p형과 n형처럼 서로 다른 전도성 타입 (conductive type)을 가지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반도체 기판 (semiconductor substrate) 및 반도체 에미터층 (semiconductor emitter layer), 반도체 에미터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방지막, 상기 반사방지막 위에 형성된 도전성 전극층, 도전성 전극층 위에 형성된 전면 전극 (front electrode), 반도체기판 위에 형성된 후면 전극 (rear electrode)을 구비한다. 따라서 반도체 기판과 반도체 에미터층의 계면에는 p-n 접합이 형성이 된다.Such a solar cell generally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semiconductor emitter layer made of semiconductors having different conductive types such as a p-type and an n-type, a reflective layer formed on a semiconductor emitter layer, A conductive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antireflection film, a front electrode formed on the conductive electrode layer, and a rear electrod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refore, a p-n junction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semiconductor emitter layer.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생산에서 웨이퍼의 원가 비중 외에 전도성 패턴의 형성에 소모되는 전극재료 또한 높은 원가비중을 차지하며, 소재 비용의 절감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기존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전극형성 공정은 압력이 인가되는 스크린 프린팅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가 점차 박형화됨에 따른 파손율 증가가 문제시되고 있다. In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silicon solar cells, in addition to the cost ratio of wafers, the electrode materials consumed for forming the conductive pattern also account for the high cost por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st competitiveness by reducing material cost.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existing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electrode, a screen printing method in which a pressure is applied has been used, but an increase in the breakage rate due to the thinning of the crystalline silicon wafer becomes a problem.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기존의 다른 기술들과 비교하여, 재료의 활용률이 극대화된 기술이며, 스크린 제판 등의 소모성 부품을 요구하지 않는 디지털 프린팅 방식이다. 따라서, 값비싼 은으로 구성된 전극재료의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제판 등의 소모성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노즐 사이즈보다 큰 크기의 잉크 토출이 불가능하며, 점도가 높은 잉크을 적용할 경우 토출시 노즐의 측면에 달라붙어 노즐이 막힐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점도의 제한이 있다. The inkjet printing method is a technology maximizing utilization of materials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technologies and is a digital printing method which does not require consumable parts such as screen plate.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consumed amount of the electrode material composed of the expensive silver be significantly reduced, but also the cost of consuming the screen plate and the like can be reduced. However, in the inkjet printing method, it is impossible to eject ink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nozzle size. When ink having a high viscosity is applied, there is a risk that the nozzle sticks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to clog the nozzle.

또한,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에 있는 도전성 투명 전극층은 금속 페이스트와 반사방지막과의 계면 반응을 통해서 형성되며, 이 때 상기 금속 페이스트에 포함된 은이 고온에서 액상이 되었다가 다시 고상으로 재결정되면서, 유리 프릿 분말 (glass frit)을 매개로 하여 반사방지막을 관통하는 펀치 스루 (punch through) 현상을 통해 에미터 층과 접촉하게 된다. 유리 프릿 분말은 반사 방지막과 계면 반응을 일으켜 반사방지막을 에칭하게 되는데, 이는 산화-환원 반응으로서 일부 원소가 환원되어 부산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은 함유 페이스트로 스크린 인쇄법을 수행하는 기존 공정은, 전면 전극 형성시, 반사 방지막을 뚫기 위해 Glass frit이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글래스 프릿이 함유되어 있어, 전기 전도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금속 페이스트의 분산 안정성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on the front electrode of the silicon solar cell is formed through an interfacial reaction between the metal paste and the antireflection film. The silver contained in the metal paste becomes a liqui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n recrystallized into a solid phase, And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through a punch through phenomenon through the antireflection film through a glass frit. The glass frit powder causes an interfacial reaction with the antireflection film to etch the antireflection film, which is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n which some elements are reduced to form byproducts. Therefore, the conventional process of performing the screen printing with the silver-containing paste includes Glass frit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film when the front electrode is formed. However, it contains glass frit, which adversely affects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disadvantageously deteriorates dispersion stability of the metal paste.

따라서, 태양전지의 전면전극을 제조함에 있어서, 에미터층과 도전성 투명 전극층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고, 태양전지의 전기 전도도 및 도전층 형성용 금속 페이스트의 분산안정성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태양전지 전극의 제조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manufacturing the front electrode of the solar cel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emitter layer and the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solar cell and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metal paste for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판에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낭비되는 원료의 양이 적으며, 에미터층과 도전성 투명 전극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킨 태양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극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electrode which can minimize physical damage to a substrate, reduce the amount of wasted material,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emitter layer and the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by eliminating the need to form an electrod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ilicon substrate And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전성 투명 전극층 제조용 잉크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 및 태양전지의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태양전지 전면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ront electrode of a solar cell which does not affect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ink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solar cell and an electrode of the solar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저점도 잉크를 활용하여 얇은 층의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고, 고점도 잉크를 활용하여 높은 종횡비를 갖는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어, 넓은 점도 범위의 전극 물질을 활용하여 전극을 형성가능한 태양전지 전면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nductive layer of a thin layer utilizing a low viscosity ink and to form a conductive layer having a high aspect ratio by utilizing a high viscosity ink, And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기판, 에미터층, 반사방지막 및 도전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으로서, 상기 도전층은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에미터층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도전층은 유리 프릿을 포함하지 않는, 태양전지의 전극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including a substrate, an emitter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nd a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an opening of an anti-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include glass frit.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기판, 에미터층, 반사방지막 및 도전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형성된 에미터(emitter)층에,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방지막의 개구부에 도전성 형성용 조성물을 전기수력학(Electrohydrodynamics;EHD) 인쇄법으로 인쇄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including a substrate, an emitter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nd a conductive layer, wherein an emitter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includes an anti-reflective coating (ARC ); Removing a port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to form an opening; And forming a conductive layer by printing an electroconductive composition on an opening of the antireflection film by an electrohydrodynamics (EHD) printing method.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층은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ductive layer may comprise two or more layers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본 발명에 의한 태양 전지 전면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판에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낭비되는 원료의 양이 적으며, 에미터층과 도전성 전극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점도 잉크를 활용하여 얇은 층의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고, 고점도 잉크를 활용하여 높은 종횡비를 갖는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어, 다른 잉크젯이나 에어로졸 등의 프린팅 장비에 비해 넓은 점도 범위의 전극 물질을 활용하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electrode of the solar cel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hysical damage to the substrate because there is no need to form an electrod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ilicon substrate, and the amount of wasted material is small,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nductive layer having a thin layer by utilizing a low viscosity ink, and can form a conductive layer having a high aspect ratio by utilizing a high viscosity ink, The electrodes can be formed utilizing the electrode material in the viscosity range.

또한, 본 발명은 박형 실리콘 기판위에 물리적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접촉 인쇄공정에 적용되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의 단순화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패턴 마스크와 같은 보조 수단이 필요없이 직접 인쇄법을 이용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non-contact printing process capable of minimizing physical impact on a thin silicon substrate to form an electrode pattern of a silicon solar cell,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It is economical to use the direct printing metho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 공정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비접촉 인쇄방식인 전기수력학 인쇄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니켈 잉크 조성물의 인쇄 후 소성 온도에 따른 면저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니켈 잉크 조성물의 인쇄 후 소성 온도에 700℃에서 소성하여 제조한 니켈도전층의 TEM-EDX 분석 결과이다.
도 6a 및 도 6b 실시예 1에 따른 전기수력학 인쇄후 전극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비교예 2에 따른 전기수력학 인쇄후 전극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전면전극을 구비한 태양전지의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EL) 이미지를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lar cell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process, which is a non-contact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sheet resistance of the nickel ink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ntering temperature after printing.
5 is a TEM-EDX analysis result of a nickel electroconductive layer produced by baking the nickel ink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baking temperature of 700 占 폚.
6A and 6B are photographs of electrodes after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according to Example 1. Fig.
7A and 7B are photographs of electrodes after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 8 shows an electroluminescence (EL) image of a solar cell having front electrod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FIG.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기판, 에미터층, 반사방지막 및 도전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으로서, 상기 도전층은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에미터층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도전층은 유리 프릿을 1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including a substrate, an emitter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nd a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an opening of an anti-reflective coating (ARC) And the conductive layer contains glass frit in an amount of 1 wt%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기판 위에 형성된 에미터(emitter)층에,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방지막의 개구부에 도전층 형성용 잉크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인쇄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reflective coating (ARC) is formed on an emitter layer formed on a substrate. Removing a port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to form an opening; And printing the ink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opening of the antireflection film by an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to form a conductive layer.

상기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The electrod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태양전지의 전극은 기판, 에미터층, 반사방지막 및 도전층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층은 태양전지의 전극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층은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도전층은 상기 반사방지막의 개구부에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인쇄하여 형성되므로, 중간에 별도 층의 개재없이 에미터층에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Th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includes a substrate, an emitter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nd a conductive layer. Preferably, the conductive layer is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Preferably,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And may comprise more than one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opening of the antireflection film by a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method,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without intervening layers.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에미터(emitter)층에,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을 형성하는 단계는 통상의 전극 제조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되고 상기 에미터층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되어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tep of form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ARC) on the emitter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electrode manufacturing process. Further, the substrate may be doped with a P-type impurity and the emitter layer may be doped with an N-type impurity,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반사방지막은 실리콘 질화물,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산화물, MgF2, ZnS, TiO2,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일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film may be a single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nitride, silicon nitride including hydrogen, silicon oxide, MgF 2 , ZnS, TiO 2 , CeO 2, and mixtures thereof, or a multilayer film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films.

상기 반사방지막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사진식각법, 레이져 식각법, 또는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한 전기수력학 인쇄법 또는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한 전기수력학 인쇄법일 수 있다. 상기 사진식각법 및 레이져 식각법을 사용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은 통상의 알려진 해당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a step of removing an area of the anti-reflection film to form an opening, a photolithography method, a laser etching method, or an etching paste method may be used. Preferably, a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method using an etching paste or a screen printing method using an etching paste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a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method using an etching paste. The formation of the openings using the photolithography method and the laser etching metho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ommonly known metho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반사방지막 위에 에칭 페이스트를 인쇄 후, 알칼리 수용액, 예를 들면 KOH 0.1% 용액에 담그어 초음파를 사용하여 반사방지막을 제거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forming the openings using the etching paste, for example, an etching paste is printed on the antireflection film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alkaline solution such as KOH 0.1% solution to remove the antireflection film using ultrasonic waves .

상기 반사방지막의 개구부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은 도전층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전층이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에미터층과 직접 접촉하여 실라사이드 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부의 형상은 전극 모양에 대응되고, 전극의 선폭, 예를 들면 60 micrometer의 선폭으로 제거될 수 있다.The size and shape of the opening reg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should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anti-reflective coating (ARC) to directly contact the emitter layer to form the silacide compoun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opening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and can be removed with a line width of the electrode, for example, a line width of 60 micrometers.

상기 반사방지막의 개구부에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인쇄하여 도전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층이 반사방지막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직접 에미터층과 접촉하여 실라사이드 화합물을 생성되며 전극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print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opening of the antireflection film by an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so that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antireflection film to directly contact the emitter layer to form a silaceide compound,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상기 도전층의 형성은 비접촉식 직접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수력학 인쇄법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액적을 토출하는 기술로서 분사노즐과 기판사이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장이 발생하며, 동시에 노즐 근처의 유체의 표면에 전하가 집중된다. 이때 유체 표면에 발생되는 전하와 전기장에 의해 노즐의 유체가 분사되려는 압력이 유체의 표면장력보다 커지는 경우 구형이던 표면이 Taylor Cone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노즐의 크기보다 훨씬 작은 실제트 또는 스프레이가 발생한다. 전기장에 의한 Taylor Cone 형성으로 상대적으로 수십 micrometer - 수백 micrometer의 큰 노즐로부터 수백nm-수 micrometer 크기의 실제트 또는 단일액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선폭 해상도 향상과 Clogging 빈도 감소라는 두 가지 장점을 동시에 구현 가능하며, 또한 전기장을 최적화함으로써 토출된 액적의 직진성 향상이 가능하다.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y a non-contact direct printing method, and preferably by a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method. The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is a technique for discharging droplets using an electric field. When a constant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substrate,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charges are concentrated on the surface of the fluid near the nozzle. In this case, when the pressure of the nozzle is larger than the surface tension of the fluid due to the electric charge and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luid, the spherical surface deforms into the shape of Taylor Cone, resulting in a much smaller particle size or spray than the size of the nozzle. Due to the formation of Taylor Cone by the electric field, it is possible to generate two or more droplets with a size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from a large nozzle of several hundred micromete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ejected droplet by optimizing the electric field.

전기수력학 인쇄법은 스크린 인쇄와 같이 실리콘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판에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낭비되는 원료의 양이 적으며, 전기수력학 인쇄공정은 전극물질의 점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넓은 점도 범위의 전극 물질을 활용하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얇은 층의 전극이 도포되어야 하는 니켈 층의 경우, 저점도 잉크를 활용하여 인쇄함으로써 얇은 층을 형성할 수 있고, 높은 종횡비를 가져야 하는 Ag 전극의 경우, 고점도 잉크를 활용하여 Ag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잉크젯과 스크린 인쇄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Electrohydrodynamic printing does not require the formation of electrodes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ilicon substrate, such as screen printing, thus minimizing physical damage to the substrate, reducing the amount of wasted material, The electrode can be formed by utilizing the electrode material having a wide viscosity range.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nickel layer to which a thin layer electrode is to be applied, a thin layer can be formed by printing using a low viscosity ink, and in the case of an Ag electrode having a high aspect ratio, . This solves the limitations of inkjet and screen printing.

상기 도전층이 에미터층과 접촉하는 제1도전층과 그 상부에 형성된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도전층은 잉크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인쇄하고, 제 2 도전층은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디스펜싱, Silver Light induced plating(LIP), 무전해도금법과 같은 다른 도금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first conduct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prints the ink composition by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Other plating methods such as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dispensing, silver light induced plating (LIP), and electroless plating may be used, preferably by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본 발명에 따른 도전층 형성용 잉크 조성물은 도전성 금속입자, 용매, 바인더 및 분산제를 포함하나 유리 프릿을 포함하지 않거나 소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리프릿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의 총중량기준으로 1 중량%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The ink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ductive metal particles, a solvent, a binder and a dispersing agent, but may not include or contain a glass frit. For example, the glass frit content may be 1% by weight or less.

상기 도전층이 두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에미터층과 접촉하는 제1도전층에 유리 프릿이 포함하지 않으며, 그 위에 형성되는 제2도전층은 제1 유리 프릿을 포함하지 않거나 소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리 프릿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의 총중량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도전층은 유리 프릿을 잉크 조성물의 총중량기준으로 1%이하의 함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함량 범위로 유릿 프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 프릿의 입경은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예를 들면 50nm 내지 5 micrometer일 수 있다.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the first conduct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does not include glass frit,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thereon does not include the first glass frit or contains a small amount For example, the glass frit content may be 0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ink composition. O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comprise glass frit in a content of less than or equal to 1%, more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0.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k compositio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fr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50 nm to 5 micrometers.

종래의 태양전지 전극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전층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고, 반사방지막위에 도전성 전극층이 형성되며, 이 때 상기 금속 페이스트 또는 잉크에 포함된 은이 고온에서 액상이 되었다가 다시 고상으로 재결정되면서, 유리 프릿 분말 (glass frit)을 매개로 하여 반사방지막을 관통하는 펀치 스루 (punch through) 현상을 통해 에미터 층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금속 페이스트에 포함된 유리 프릿 분말은 반사 방지막과 계면 반응을 일으켜 반사방지막을 에칭하게 된다. 그러므로, 은 함유 페이스트로 스크린 프린팅을 수행하는 기존 공정은, 반사 방지막을 뚫기 위해 반드시 유리 프릿(Glass frit)이 일정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극의 전기 전도도 및 잉크의 분산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electrode, a conductive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an antireflection film without form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layer. At this time, the silver contained in the metal paste or ink becomes a liquid state at a high temperature And is recrystallized as a solid phas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through a punch through phenomenon penetrating through the antireflection film through a glass frit. The glass frit powder contained in the metal paste causes an interfacial reaction with the antireflection film to etch the antireflection film. Therefore, existing processes for screen printing with silver-containing pastes have a certain amount of glass frit in order to penetrate the antireflection film,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and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ink. It goes crazy.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중에는 유리 프릿의 함량이 일정범위 이하이므로, 유리 프릿에 의한 전기전도도 감소나 잉크 조성물의 분산안정성에 영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유리 프릿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중 포함되는 경우에도, 유리 프릿의 입경에 따른 특별한 제한이 없다. Therefor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ontent of the glass frit is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refore, it does not affec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reduction by the glass frit or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ink composition. Therefore, even when the glass frit is optionally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frit.

본 발명의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이 유리 프릿으로 인한 분산 안정성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금속입자의 입경이나 함량에 특별히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입자의 입경은 50nm 내지 5 micrometer일 수 있고,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의 총중량기준으로 20 내지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particle size or content of the metal particles to be used in the composition becaus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rdly affects the dispersion stability due to glass frit. 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particle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 nm to 5 micrometers, and the content may be 20 to 8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ink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에 적용가능한 금속입자는 에미터층과 실라사이드 화합물을 형성가능한 도전성 금속입자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층이 에미터층과 접촉하는 제1도전층과 그 위에 형성된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도전층은 Ni, Ti, Co, Pt, Pd, Mo, Cr, Cu, W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니켈이다. 제2도전층은 Ag, Au, Al, Ni, Pt, Cu,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제1도전층에는 제2도전층의 금속입자가 제1도전층 금속함량 100 중량부 기준으로 2 내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 사이에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etal particles applicable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ny conductive metal particles capable of forming a silicate compound with the emitter layer,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when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first conduct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Ni, Ti, Co, Pt, Pd, Cu, W, and alloys thereof, and is preferably nickel.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metal 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Au, Al, Ni, Pt, Cu, and alloys thereof, preferably sil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particle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dhesion between layers can be increased.

도전층 형성용 상기 잉크 조성물은 총중량 기준으로, 금속입자는 20 내지 6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입자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너무 얇게 도포되어 충분한 전도성을 얻을 수 없고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잉크의 분산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The ink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may contain 20 to 60% by weight of the metal particle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k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metal particles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ink composition is too thin to obtain sufficient conductivity,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ink is deteriorated.

본 발명에 따른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은 금속입자 이외에, 용매, 바인더 및 분산제를 포함하며, 통상의 사용하는 성분 및 함량을 본 발명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addition to metal particles, a solvent, a binder and a dispersant, and commonly used components and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도성 잉크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바인더는, 전극패턴의 소성 전의 성분들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균일성을 위해 현탁중합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인더로는, 상기 주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고분자면 사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수지, 구체적으로는 그 자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예를 들면, i)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ii)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팬던트로서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iii)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산 무수물과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수산기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은 1종 이상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바인더의 바람직한 예는 알킬 페놀-포름알데히드 공중합체 (예, Taoka chemical사의 Tackir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에틸 셀룰로스(ethyl cellulose) 등을 포함한다. The binder usable in the conductive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inder of components before firing of the electrode pattern, and is preferably prepar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uniformity. As such a binder, a polymer surface which can be dissolved in the main solvent can be used, and specifically, a resin containing a carboxyl group, specifically, a carboxyl group-containing photosensitive resin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tself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Containing resin having no carboxyl group. 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i) a carboxyl group-containing photosensitive resin obtained by copolymerization of a compound having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nd an unsaturated double bond, ii) a copolymer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nd a compound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 Iii) a carboxyl group-containing photosensitive resin obtained by reacting a copolymer of an acid anhydride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and a compound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with a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unsaturated double bon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of them can be used. Preferred 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an alkylphenol-formaldehyde copolymer (e.g., Tackirol manufactured by Taoka Chemical Co.),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vinyl alcohol (PVA), ethyl cellulose and the like.

상기 바인더는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인더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형성되는 전극 패턴 중의 바인더의 분포가 불균일해질 수 있어, 선택적 노광, 현상에 의한 패터닝이 곤란해질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전극의 소성시 패턴 붕괴를 일으키기 쉽고, 소성 후 유기물 잔탄(Carbon ash)에 의해 전극의 저항이 상승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distribution of the binder in the electrode pattern to be formed may be uneven, and the selective exposure and development The patterning by the organic residue after carbonization (Carbon ash) can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ue to the pattern collapse when the electrode is fired.

분산제는 전체 전도성 조성물중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사이 분산제는 산가 50 mg KOH/g 이상이고 아민가가 100 mg KOH/g 이하인 산성기를 갖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일 예로, 상기 산가와 아민가를 충족하는 인산염 공중합체로서, 상용제품인 BYK Chemie사의 BYK102(산가: 101mg KOH/g, 아민가: 0mg KOH/g), BYK110(산가 : 53mg KOH/g, 아민가 : 0mg KOH/g), BYK145(산가 : 76mg KOH/g, 아민가 : 71mg KOH/g), BYK180(산가 : 94mg KOH/g, 아민가 : 94mg KOH/g), BYK995(산가 : 53mg KOH/g, 아민가 : 0mg KOH/g), BYK996(산가 : 71mg KOH/g, 아민가 : 0mg KOH/g)을 분산제로 사용할 수 있다. The dispers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5% by weight of the total conductive composition. The dispersant may be a copolymer having an acid value of 50 mg KOH / g or more and an amine value of 100 mg KOH / g or less. As an example of the dispersant, BYK102 (acid value: 101 mg KOH / g, amine value: 0 mg KOH / g) and BYK 110 (acid value: 53 mg KOH / g,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BYK Chemie) (Acid value: 53 mg KOH / g), BYK145 (acid value: 76 mg KOH / g, amine value: 71 mg KOH / g), BYK 180 (acid value: 94 mg KOH / g, Amine value: 0 mg KOH / g), BYK996 (acid value: 71 mg KOH / g, and amine value: 0 mg KOH / g).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바인더를 용해시킬 수 있고, 기타 첨가제와 잘 혼합될 수 있다면, 통상의 전극 도전층 형성에 사용되는 용매를 본 발명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용매인 저비점 용매와 저비점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olvent that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an dissolve the binder and can be mixed well with other additives, Can be used by mixing a low boiling point solvent and a low boiling point solvent as main solvents.

상기 주용매인 저비점 용매는 말단기에 히드록실기가 있으며, 비점이 130℃ 내지 210 ℃,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10 ℃인 저비점 글리콜 에테르류일 수 있다. 상기 저비점 용매의 비점이 130 ℃미만이면 젯팅 특성이 나빠지며, 2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젯팅 후 건조속도가 낮아 퍼짐 현상이 심해진다. The low boiling point solvent which is the main solvent may be a low boiling point glycol ether having a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group and a boiling point of 130 캜 to 210 캜, preferably 170 to 210 캜. If the boiling point of the low boiling point solvent is less than 130 캜, the jetting property deteriorates. If the boiling point of the low boiling point solvent is more than 210 캜, the drying speed after jetting is low.

이러한 저비점 용매는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잉크가 균일하게 도포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반면에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전극 패턴의 충분한 도전성이 얻어지지 않고, 기재와의 밀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The low boiling point solve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k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less than 30%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uniformly coat the ink, whereas if it exceeds 70% by weight, sufficient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pattern can not be obtained, .

바람직한 저비점 용매의 예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methyl carbitol)),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ethyl carbitol)),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butyl carbitol)) 등의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 에테르; 또는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Ethylene glycol ethyl ether (ethyl Cellosolve)),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Ethylene glycol propyl ether (propyl Cellosolve)), 에틸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Ethylene glycol n-butyl ether (n-Butyl Cellosolve))과 같은 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 에테르 등이 포함되며, 상기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Examples of preferred lower boiling solvents are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DMG),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thyl carbitol),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Diethyleneglycol monoalkyl ethers such as ethy (butyl carbitol)); Or ethylene glycol ethyl ether (eth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propyl ether (prop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n-butyl ether (n-butyl cellosolve) ) And the like, and the alkyl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고비점 용매는 말단기에 히드록실기가 있으며, 비점이 240 ~ 300℃,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70℃ 인 용매로서, 예를 들면,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글리세롤(glycerol),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tripropyleneglycolmethylether)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high boiling point solvent is a solvent having a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group and a boiling point of 240 to 300 캜, preferably 240 to 270 캜.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diethylene glycol, glycerol, But is not limited to, tripropyleneglycolmethylether.

상기 고비점 용매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젯팅 특성이 나빠지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젯팅 후 건조속도가 느려서 퍼짐 현상이 심해진다.The content of the high boiling point solvent may be 3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ink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jetting property deteriorates.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phenomenon becomes serious.

기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조성물은 증점제, 요변제 및 레벨링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첨가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ink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ron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ickener, a thixotropic agent, a leveling agent, and the like. 1 to 20 parts by weight.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제조방법에 있어서, 교반 및 분쇄 단계의 공정은 볼밀링 등의 공정을 이용할 수 있고, 유리 프릿의 나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밀링 공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로 여과고정을 통하여 응집되거나 입경 범위가 벗어나는 입자들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화염분무열분해, 플라즈마 처리 등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conductive ink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a ball milling process or a milling process. The milling process may be used to produce glass frit nanoparticles, It can be used by removing the particles which are aggregated or out of the particle diameter range through fixing.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produced through a process such as flame spray pyrolysis or plasma treatment.

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형성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니켈과 실리콘의 결합에 의해서 니켈실리사이드가 형성되어 실리콘 기판과 전극간의 접촉저항을 낮출 수 있다.The conductive ink composition may be used for forming a front electrode of a silicon solar cell. Nickel silicide may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nickel and silicon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silicon substrate and the electrode.

상기 도전층을 형성한 후에, 소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소성하는 공정은 후에 400 내지 980 ℃의 온도에서 0.1분 내지 20 분간 수행할 수 있다 . 상기 도전층이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소성단계는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의 개별 도전층의 형성 후에 각각 소성단계를 수행하거나, 두개의 도전층을 모두 형성한 후에, 소성단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After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firing may be performed to produce an electrode. The fi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400 to 980 캜 for 0.1 to 20 minutes .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he firing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a sintering step after formation of the individual conductive layer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fter all, the firing step can be carried out toge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실리콘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에미터층, 상기 에미터층에 형성되는 반사방지막, 상기 반사방지막에 상기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을 인쇄하고, 상기 제1도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극에 관한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printing a silicon-based semiconductor substrate of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an emitter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n antireflection film formed on the emitte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High Rs cell)는 면저항(Sheet Resistance)이 60 내지 120 Ω/sq로서 종래 결정질 태양전지의 에미터층의 면저항이 40 내지 50Ω/sq인 것에 비해 높기 때문에 광전변환 효율이 우수하다. 즉, 고효율 태양전지는 태양전지의 기판 전면에 형성된 에미터층 중 표면층에 dead layer(생성된 전자가 여분의 반도체 불순물 농도에 의해 전류 형성에 방해를 받는 영역)가 생기는 부분을 작게 하므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인다. 또한, 상기 도전층은 유리 프릿을 포함하지 않거나 매우 소량 포함하기 때문에, 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The high Rs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eet resistance of 60 to 120 Ω / sq,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he emitter layer of a conventional crystalline solar cell having a sheet resistance of 40 to 50 Ω / sq. Do. That is, a high-efficiency solar cell reduces the portion of the emitter layer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cell layer where a dead layer (a region where generated electrons are disturbed by the extra semiconductor impurity concentration) is formed, . Further, since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contain or contains a very small amount of glass fri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is not deteriorated.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전극에서 제1도전층과 그 위에 형성된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도전층은 유리 프릿을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된 제1도전층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면전극을 구비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태양전지의 각 층은 상술한 바와 같다. 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on th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contain 0 to 1.0% by weight of the glass fri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olar cell having a solar cell fron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by printing the conductive ink composition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Each layer of the solar cell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전면 전극은 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전지 전면 전극은 실리콘 반도체 기판(1), 상기 기판 상부에 에미터층(2), 상기 에미터층에 형성되는 반사방지막(3), 상기 반사방지막에 제1도전층(4)을 패턴화하고, 상기 제1도전층의 상부 전면에 형성하는 제2도전층(5), 및 후면전극(6)을 포함한다. The solar cell fron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onductive ink composition. The front electrode of the solar cell is formed by patterning a silicon semiconductor substrate 1, an emitter layer 2 on the substrate, an antireflection film 3 formed on the emitter layer, and a first conductive layer 4 on the antireflection film A second conductive layer 5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rear electrode 6.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실리콘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에미터층; 상기 에미터층의 상부에 형성된 반사방지막; 상기 반사방지막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반사방지막을 관통하여 상기 에미터층에 접속된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구비한 전면 전극;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후면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로서, 상기 전면전극의 제1도전층은 상술한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태양전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ilicon semiconductor substrate; An emitter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n antireflection film formed on the emitter layer; A fron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which are connected to the emitter layer through the antireflection film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And a rear electrode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of the front electrode is formed using the ink composition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실리콘 반도체 기판(1)(이하 기판이라 함), 기판(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에미터층(2), 에미터층(2) 상에 형성된 반사방지막(3) 및 반사방지막(3)을 관통하여 에미터층(2)과 접속되며 제1도전층(4)과 제2도전층(5)을 포함하는 전면 전극을 포함하고, 또한 기판(1)의 배면에 접속된 후면 전극(6)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licon semiconductor substrat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strate), an emitter layer 2 formed on the substrate 1, an emitter layer 2 formed on the emitter layer 2 And a fron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4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5 which are connected to the emitter layer 2 through the antireflection film 3 and the antireflection film 3, And a backside electrode 6 connected to the backside of the substrate 1.

상기 기판(1)은 P형 불순물로서 3족 원소인 B, Ga, In 등이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고, 에미터층(2)에는 N형 불순물로서 5족 원소인 P, As, Sb 등이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이처럼 기판(1)과 에미터층(2)에 반대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되면, 기판(1)과 에미터층(2)의 계면에는 P-N접합(junction)이 형성된다.The substrate 1 may be doped with an impurity such as B, Ga, or In, which is a Group 3 element, as the P-type impurity, and P, As, Sb or the like as a Group 5 element as an impurity in the emitter layer 2, Lt; / RTI > P-N junctions are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1 and the emitter layer 2 when the substrate 1 and the emitter layer 2 are doped with impurities of the opposite conductivity type.

상기 반사방지막(3)은 에미터층(2)의 표면 또는 벌크 내에 존재하는 결함을 부동화하고 기판(1)의 전면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에미터층(2)에 존재하는 결함이 부동화되면 소수 캐리어의 재결합 사이트가 제거되어 태양전지의 개방전압(Voc)이 증가한다. 그리고 태양광의 반사율이 감소되면 P-N 접합까지 도달되는 빛의 량이 증대되어 태양전지의 단락전류(Isc)가 증가한다. 이처럼 반사방지막(3)에 의해 태양전지의 개방전압과 단락전류가 증가되면 그만큼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이 향상된다. The antireflection film 3 immobilizes defects existing in the surface or bulk of the emitter layer 2 and reduces the reflectance of sun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1. [ When defects present in the emitter layer 2 are passivated, the recombination sites of the minority carriers are removed and the open-circuit voltage Voc of the solar cell increases. When the reflectance of sunlight is reduced,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P-N junction is increased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Isc of the solar cell is increased. As the open-circuit voltage and the short-circuit current of the solar cell are increased by the antireflection film 3,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improved accordingly.

한편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전극은 태양전지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여 태양광을 가리게 된다. 이에, 전면전극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그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front electrode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olar cell to cover the sunligh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area of the front electrode without deteriorating the function of the front electrode.

또한 상기 후면 전극(6)은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후면 전극(6)은 알루미늄, 석영 실리카, 바인더 등이 첨가된 후면 전극용 잉크를 기판(1)의 배면에 인쇄한 후 열처리를 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후면 전극(6)의 열처리 시에는 전극 구성 물질인 알루미늄이 기판(1)의 배면을 통해 확산됨으로써 후면 전극(6)과 기판(1)의 경계면에 후면 전계(Back Surfacefield)층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 전계층이 형성되면 캐리어가 기판(1)의 배면으로 이동하여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재결합이 방지되면 개방전압이 상승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된다.
Also, the rear electrode 6 may include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ear electrode 6 may be formed by printing ink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 to which aluminum, quartz silica, binder, or the like is added, and then performing heat treatment. Aluminum may be diffused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1 during the heat treatment of the back electrode 6 so that a back surface field layer may be form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ck electrode 6 and the substrate 1 . When the rear layer is formed, the carrier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 and recombining. When the recombination of the carriers is prevented, the open voltage is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improved.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erve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실시예Example 1>  1>

156mm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관상로(tube furnace)에서 880℃로 POCL3을 사용하는 확산 공정 통해 인(P)을 도핑하여 80Ω/sq 시트 저항을 가지는 에미터층을 형성하였다. Phosphorus (P) was doped through a diffusion process using POCL 3 at 880 ° C. in a tube furnace using a 156 mm polysilicon wafer to form an emitter layer having a sheet resistance of 80 Ω / sq.

상기 에미터층상에 플라즈마 강화 화학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여 80nm 두께로 형성하여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였다.A silicon nitride film was deposited on the emitter layer by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o have a thickness of 80 nm to form an antireflection film.

상기 반사방지막을 에칭 페이스트(Merck 사의 SolarEtch BES 제품)를 이용하여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60 um크기의 선폭으로 인쇄한 후, 0.1% KOH용액이 담긴 수조(bath)에 웨이퍼를 담구어 초음파로 에칭 페이스트가 인쇄된 반사방지막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였다. The antireflection film was printed with an etching paste (product of Merck Co., Ltd., SolarEtch BES) with a line width of 60 μm by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and the wafer was immersed in a bath containing 0.1% KOH solution and etched with ultrasonic waves The antireflection film on which the paste was printed was removed and dried to form openings.

도전층 제조를 위한 니켈 잉크 조성물은 약 50nm 입경의 니켈 입자 40중량%, 주용매로 에틸 셀로솔브(ethyl cellosolve) 50중량%, 고비점 용매로 tripropyleneglycolmethylether 7중량%, 바인더로 알킬 페놀-포름알데히드 공중합체 1중량%, 및 분산제로 BYK996 2중량%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볼밀을 이용하여 2시간 동안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Ni 잉크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니켈층을 형성하고 60 ℃에서 건조하였다. The nickel ink composition for the conductive layer was prepared by mixing 40 wt% of nicke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50 nm, 50 wt% of ethyl cellosolve as a main solvent, 7 wt% of tripropyleneglycolmethylether as a high boiling solvent, 1% by weight of a co-polymer and 2% by weight of BYK996 as a dispersant were mixed, and the mixture was mixed with a ball mill for 2 hours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Ni ink composition thus prepared was subjected to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to form a nickel layer and dried at 60 ° C.

상기 형성된 니켈층위에,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0.5중량% 포함하는 Ag 잉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SiO2-PbO-B2O3인 유리 프릿 0.5중량%,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10 중량%, 바인더(ethyl Cellouse 수지, 상품명 Ethocel, Dow사, Standard 100) 5 중량%, 평균 입도(D50)은 3.21㎛인(Dowa사) 은 분말 84.5 중량%로 혼합 분산하였다. 상기 혼합분산액을 3-롤 밀링으로 분산하여 Ag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니켈층위에 Ag 잉크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Ag 전극을 형성하고, 270 ℃에서 건조하였다. In order to produce Ag ink containing 0.5 wt% of glass frit on the nickel layer formed, 0.5 wt% of glass frit of SiO2-PbO-B2O3, 10 wt% of butyl carbitol acetate, 10 wt% of ethyl cellulose resin 5% by weight of Dow Co., Ltd .; Standard 100) and 84.1% by weight of Dowa (Dow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3.21 탆. The mixed dispersion was dispersed by 3-roll milling to prepare an Ag ink composition. An Ag electrode was formed on the nickel layer by an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with an Ag ink composition and dried at 270 캜.

그런 후에, 알루미늄 페이스트(T사 ALSOLAR)로 후면에 인쇄하고, 200 ℃에서 건조공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건조된 웨이퍼를 900 ℃의 belt 소성로(firing)에서 소성하여 전극을 형성하였다. 소성된 핑거 폭은 약 80μm 이었으며, 소성된 전면 전극의 두께는 약 23μm이었다. Thereafter, the aluminum paste (ALSOLAR T company) was prin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drying process was performed at 200 ° C. The dried wafer was fired in a belt firing at 900 ° C to form electrodes. The fired finger width was about 80 탆, and the thickness of the fired front electrode was about 23 탆.

전기수력학적(EHD) 공정 조건으로, 웨이퍼와 노즐 사이의 간격을 400~600μm로 두고, 인가 전압을 약 1~1.5kv, 프린팅 스피드를 100mm/s의 범위에서 주로 프린팅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the electrohydraulic (EHD) process conditions, the printing experiment was mainly performed with an interval between the wafer and the nozzle of 400 to 600 μm, an applied voltage of about 1 to 1.5 kV, and a printing speed of 100 mm / s.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였으나, 다만 니켈층을 제조하지 않고, 개구부가 형성된 에미터층에 접촉하여 은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는 에미터층과 은층 사이에 니켈층이 존재하여, 열처리 후, NiSi가 형성되어 실리콘과 전극사이에 유리프릿이 없이도, 접촉이 이루어져, 셀의 효율을 볼 수 있었으나, 본 실험은, 니켈층이 없이 Ag 전극층만 존재하는 태양전지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A solar cell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nickel layer was not formed, but a silver layer was prepared by contacting an emitter layer having openings formed therein. In Example 1, a nickel layer was present between the emitter layer and the silver layer,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NiSi was formed so that contact was made between the silicon and the electrode without glass frit, and the efficiency of the cell was observed.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a solar cell having only an Ag electrode layer without a layer.

구체적으로, 156mm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관상로(tube furnace)에서 880℃로 POCL3을 사용하는 확산 공정 통해 인(P)을 도핑하여 80Ω/sq 시트 저항을 가지는 에미터층을 형성하였다. Specifically, phosphorus (P) was doped through a diffusion process using POCL 3 at 880 ° C. in a tube furnace using a 156 mm polycrystalline silicon wafer to form an emitter layer having a sheet resistance of 80 Ω / sq.

상기 에미터층상에 플라즈마 강화 화학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여 80nm 두께로 형성하여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였다.A silicon nitride film was deposited on the emitter layer by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o have a thickness of 80 nm to form an antireflection film.

상기 반사방지막을 에칭 페이스트(Merck 사의 SolarEtch BES 제품)를 이용하여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60um크기의 선폭으로 인쇄한 후, 0.1% KOH용액이 담긴 수조(bath)에 웨이퍼를 담구어 초음파을 사용하여 에칭 페이스트가 인쇄된 반사방지막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였다. The antireflection film was printed with an etching paste (product of Merck Co., Ltd., SolarEtch BES) using an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with a line width of 60 um, and then the wafer was immersed in a bath containing 0.1% KOH solution and etched using an ultrasonic wave The antireflection film on which the paste was printed was removed and dried to form openings.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반사방지막 상부에,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0.5중량% 포함하는 Ag 잉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SiO2-PbO-B2O3인 유리 프릿 0.5중량%,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10 중량%, 바인더(ethyl Cellouse 수지, 상품명 Ethocel, Dow사, Standard 100) 5 중량%, 평균 입도(D50)은 3.21㎛인(Dowa사) 은 분말 84.5 중량%로 혼합 분산하였다. 상기 혼합 분산액을 3-롤 밀링으로 분산하여 Ag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Ag 잉크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인쇄법으로 Ag 전극을 형성하고, 270 ℃에서 건조하였다. To prepare an Ag ink containing 0.5 wt% of glass frit, 0.5 wt% of glass frit of SiO2-PbO-B2O3, 10 wt% of butyl carbitol acetate, 10 wt% of a binder 5% by weight of Ethyl Cellouse resin, trade name Ethocel, Dow, Standard 100),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3.21 μm (Dowa) were mixed and dispersed in 84.5% by weight of powder. The mixed dispersion was dispersed by 3-roll milling to prepare an Ag ink composition. The Ag ink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to form an Ag electrode and dried at 270 캜.

그런 후에, 알루미늄 페이스트(T사 ALSOLAR)로 후면에 인쇄하고, 200 ℃에서 건조공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건조된 웨이퍼를 900 ℃의 belt 소성로(firing)에서 소성하여 전극을 형성하였다. 소성된 핑거 폭은 약 80μm 이었으며, 소성된 전면 전극의 두께는 약 23μm이었다.
Thereafter, the aluminum paste (ALSOLAR T company) was prin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drying process was performed at 200 ° C. The dried wafer was fired in a belt firing at 900 ° C to form electrodes. The fired finger width was about 80 탆, and the thickness of the fired front electrode was about 23 탆.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156mm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관상로(tube furnace)에서 880℃로 POCL3을 사용하는 확산 공정 통해 인(P)을 도핑하여 80Ω/sq 시트 저항을 가지는 에미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에미터층상에 플라즈마 강화 화학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여 80nm 두께로 형성하여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였다.Phosphorus (P) was doped through a diffusion process using POCL 3 at 880 ° C. in a tube furnace using a 156 mm polysilicon wafer to form an emitter layer having a sheet resistance of 80 Ω / sq. A silicon nitride film was deposited on the emitter layer by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o have a thickness of 80 nm to form an antireflection film.

상기 반사방지막 위에, 시판되는 Heraeus사 실버 페이스트로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여 실버 도전층을 제조하였다. 이후, 후면전극 형성과 소성 공정은 실시예 1의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위 공정은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전극 프린팅시 이용되는 방법으로 제조한 것이다.
A silver conductive layer was formed on the antireflection film by screen printing with a commercial Heraeus silver paste. Thereafter, a solar cell was manufactur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cess of Example 1 for the formation of the rear electrode and the baking process. The above process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a method used for printing on a solar cell electrode.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였으나, 니켈 도전층의 형성방법을 전기수력학 방법대신에 스크린 인쇄법으로 제조하였다. A solar cell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ickel electroconductive layer was formed by a screen printing method instead of the electrohydraulic method.

스크린 인쇄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전도성 니켈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니켈 함량을 60중량%로 증가시켜 제조하였다. 니켈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약 50nm 입경의 니켈 입자 60중량%, 주용매로 ethyl cellosolve 30중량%, 고비점 용매로 tripropyleneglycolmethylether 7중량%, 바인더로 알킬 페놀-포름알데히드 공중합체 1중량%, 분산제로 BYK996 2중량%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3-롤 밀링에 의하여 분산하였다. In order to apply the screen printing method, the nickel content contained in the conductive nickel ink composition was increased to 60% by weight. To prepare the nickel ink composition, 60 wt% of nicke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50 nm, 30 wt% of ethyl cellosolve as a main solvent, 7 wt% of tripropyleneglycolmethylether as a high boiling solvent, 1 wt% of an alkylphenol- formaldehyde copolymer as a binder, 2 wt% BYK996 were mixed and the mixture was dispersed by 3-roll milling.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면저항 측정1) Surface Resistance Measurement

순수한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관상로(tube furnace)에서 900 ℃로 POCL3을 사용하는 확산 공정 통해 인(P)을 도핑하여 80 Ω/sq 시트 저항을 가지는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그런 후에,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니켈 잉크 조성물을 실리콘 웨이퍼에 인쇄한 후에, 질소분위기 하에서 소결 온도 300℃, 500℃, 700℃, 및 900℃에서 RTP(Unitemp사의 Rapid Thermal Process)장비를 이용하여 20초간 소성하여 면저항 측정용 샘플을 제조하였다.A pure polycrystalline silicon wafer was used and a wafer having a sheet resistance of 80 Ω / sq was doped with phosphorus (P) through a diffusion process using POCL 3 at 900 ° C. in a tube furnace. Thereafter, the nickel ink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1 was printed on a silicon wafer and then subjected to RTP (Unitemp's Rapid Thermal Process) equipment at sintering temperatures of 300 ° C, 500 ° C, 700 ° C and 900 ° 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baked for 20 seconds to prepare a sample for sheet resistance measurement.

상기 소결된 웨이퍼의 시트저항을 4-probe meter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시트저항이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에미터층 상에 니켈입자를 포함한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실리콘 웨이퍼 계면에서부터 니켈의 확산으로 인해 니켈 실리사이드가 형성되어 낮은 면저항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heet resistance of the sintered wafer was measured using a 4-probe meter, a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sheet resistance becomes low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It can be confirmed that nickel silicide is formed due to the diffusion of nickel from the interface of the silicon wafer by forming an electrode including nickel particles on the emitter layer, thereby exhibiting a low sheet resistance.

2)TEM-EDX 분석2) TEM-EDX analysis

상기 면저항 측정용 샘플중 700℃에서 열처리된 웨이퍼 단면의 성분을 NiSi 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TEM-EDX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Among the samples for measuring the sheet resistance, components of the wafer cross-sectio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700 ° C were analyzed by TEM-EDX to confirm whether or not NiSi was 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5의 그래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TEM-EDX data의 009포인트 부분에서 Ni과 Si성분이 약 1:1비율로 측정되며, 이로 인해 NiSi형성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전극은 니켈층을 포함하면서 니켈 실리사이드의 형성으로 면저항이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낮은 접촉 저항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5, Ni and Si components were measured at a ratio of about 1: 1 at the 009-point portion of the TEM-EDX data, thereby confirming whether or not NiSi was 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ode contained a nickel layer and lowered sheet resistance due to the formation of nickel suicid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act resistance was low.

3) 전극 사진 3) Electrode pictures

상기 제조된 태양전지의 전극 사진을 OLYMPUS사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면으로 나타냈다. The electrode photograph of the manufactured solar cell was measured using an OLYMPUS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전기수력학 인쇄법을 사용하여 니켈 도전층을 제조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극은 도 6a 및 6b에 나타내고,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여 니켈 도전층을 제조한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전극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냈다. 도 7a의 이미지는, 전극을 위에서 바라본 2차원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며, 도 7b의 3D 형식으로 촬영하여 전극에 대한 단면을 선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다.The electrode obtained in Example 1, in which the nickel electroconductive layer was produced using the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is shown in Figs. 6A and 6B, and the electrod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nickel electroconductive layer was produced by using the screen printing method, 7B. 7A is an image showing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electrode viewed from above, which is taken in a 3D format of FIG.

상기 도 6a 및 6b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예 3의 전극에서 은도전층은 서로 비슷한 80? 이내의 선폭을 가지나 실시예 1에 따라 전기수력학 인쇄법을 적용한 도 6a 및 6b에서는 퍼짐이 적고 선 모양이 곧게 잘 형성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3에 따라 스크린 인쇄법으로 인쇄된 전극에 대한 도 7a 및 도 7b에서는 퍼짐이 있고, 스크린 메쉬 자국으로 인한 선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다. 이러한 부분이 전극 퍼짐으로 인한 빛 가림과 전극의 굴곡이 많아 전기적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and FIGS. 7A and 7B, in the electrod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6A and 6B in which the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method was applied according to Example 1, the spread was small and the line shape was well formed. However, in FIGS. 7A and 7B for electrodes printed by screen printing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there is spread and the line height due to screen mesh traces is not constant. This part has a bad influence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light shielding due to electrode spreading and the bending of the electrode.

4) 태양전지의 전계발광 이미지(Electro luminance image)4) Electroluminescence image of solar cell (Electro luminance image)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언급한 제조 공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고, 상기 태양전지의 Electro luminance image를 맥사이언스 사의 K3300 ELX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이미지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전계발광장비는 태양전지의 내부결함을 판정하기 위한 화상검사 방법에 있어서, 태양전지 셀의 전극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주기와 파형을 갖는 순방향의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되는 전계발광 화상을 카메라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화상검출수단으로 검출하여 태양전지 내부결함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교류 전계발광 화상검사 방법이다. A solar cell was fabricated using the fabrication process describ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and an electro luminescent image of the solar cell was measured using a K3300 ELX instrument of Mac Science Inc., in FI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inspection method for determining an internal defect in a solar cell, comprising: power supply means for applying a forward voltage or current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waveform an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Detecting the electro-luminescence image generated in the solar cell with an imag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using a camera, and extracting internal defect information of the solar cell.

전계발광 이미지는 같은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태양전지의 셀 특성 부분에서 셀 적 특성이 좋을수록 더 밝은 빛을 내며, 선 단락이 된 부분은 검은색으로 나타나게 된다. 실시예 1의 경우 시판 니켈 잉크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2에 비해 더 밝은 전계발광을 나타냈으며, 이는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 부분이나 시리즈저항 부분 등 전기적 특성 부분에서 우수하여 좀더 높은 전지 효율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electroluminescent images show brighter light with better cell characteristics in the cell characteristic part of the solar cell when the same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and the part with the shorted line becomes black. Example 1 exhibited brighter electroluminescence than Comparative Example 2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nickel ink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tact resistance portion and series resistance portion, .

5) 태양전지의 효율 측정5) Measurement of solar cell efficiency

실시예 1 및 비교예 1,2,3 에서 얻어진 태양전지의 전기 효율은 태양전지 전용 시뮬레이터로 측정하였다. 전기 효율을 측정하고자, 150 Watt Xenon arc Lamp Source 를 가지는 ABET Technologies사의 solar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The electric efficiencies of the solar cells obtain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3 were measured with a solar cell dedicated simulator. To measure the electrical efficiency, we used a solar simulator from ABET Technologies with a 150 Watt Xenon arc Lamp Sourc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여기서, Jsc는 제로 출력 전압에서 측정된 단락 회로 전류 밀도를 의미하고, Voc는 제로 출력 전류에서 측정된 개방 회로 전압을 의미한다. FF[%]는 fill factor을 Eta[%]는 효율을 의미한다. Where Jsc means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measured at the zero output voltage and Voc means the open circuit voltage measured at zero output current. FF [%] means fill factor, Eta [%] means efficiency.

상기 표1의 결과와 같이 니켈층을 도입한 경우가 앞의 데이터로 미루어보아, 컨택 저항이 낮아져 결과적으로 충전율(fill factor)이 증가되고, 결국 태양 전지의 효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above Table 1, when the nickel layer is introduced,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as a result of the above data. As a result, the fill factor is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increased.

구분division Jsc [mA/cm2]Jsc [mA / cm2] Voc [V]Voc [V] FF [%]FF [%] Eta [%]Eta [%] 실시예 1Example 1 34.71234.712 0.6180.618 77.477.4 16.616.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5.6125.61 0.5920.592 28.628.6 4.34.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34.2934.29 0.6080.608 7777 16.116.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4.1534.15 0.6030.603 56.556.5 11.611.6

1: 실리콘 반도체 기판
2: 에미터층
3: 반사방지막
4: 전면 전극의 제1 도전층
5: 전면 전극의 제2 도전층
6: 후면 전극
1: Silicon semiconductor substrate
2: Emitter layer
3: antireflection film
4: the first conductive layer of the front electrode
5: the second conductive layer of the front electrode
6: Rear electrode

Claims (17)

기판 위에 형성된 에미터(emitter)층에,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 방지막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 방지막의 개구부에 도전성 형성용 조성물을 전기수력학 (Electrohydrodynamics; EHD) 인쇄법으로 인쇄하여 제1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Form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ARC) on an emitter layer formed on a substrate;
Removing a port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to form an opening;
And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by printing an electroconductive composition on an opening of the antireflection film by an electrohydrodynamics (EHD) prin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의 개구부 영역은 도전층의 영역에 상응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reg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corresponds to a region of the conduct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사진식각법, 레이져 식각법, 또는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한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opening is performed by a method using a photolithography method, a laser etching method, or an etching pas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방법은, 상기 에칭 페이스트를 전기수력학 인쇄법 또는 잉크젯 인쇄법으로 인쇄후에, 상기 개구부에 상응하는 인쇄부분의 반사방지막을 제거하여 수행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ethod using the etching paste is performed by removing the antireflection film of the pri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fter printing the etching paste by an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or an inkjet printing metho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of a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의 상부에 제2도전층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은 유리 프릿을 도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comprises 0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nduct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은 Ni, Ti, Co, Pt, Pd, Mo, Cr, Cu, W,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comprises metal 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 Ti, Co, Pt, Pd, Mo, Cr, Cu, W,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은 Ag, Au, Al, Ni, Pt, Cu,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comprises metal 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Au, Al, Ni, Pt, Cu, and alloys there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은 전기수력학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디스펜싱 인쇄법 또는 도금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an electrohydraulic printing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n inkjet printing method, a dispensing printing method, or a pla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제1도전층 형성단계 후에 400 ℃ 내지 980 ℃의 온도에서 0.1분 내지 20 분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a step of firing at a temperature of 400 ° C to 980 ° C for 0.1 minute to 20 minutes aft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forming ste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도전층이 제1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도전층상에 제2도전층을 형성한 후에, 400 ℃ 내지 980 ℃의 온도에서 0.1분 내지 20 분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of the solar cell forms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s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n is baked at a temperature of 400 DEG C to 980 DEG C for 0.1 minute to 20 minutes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되고 상기 에미터층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is doped with a P-type impurity and the emitter layer is doped with an N-type impurity. 기판, 에미터층, 반사방지막 및 도전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으로서, 상기 도전층은 반사방지막(anti-reflective coating, ARC)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에미터층과 직접 접촉하며, 60 내지 120Ω/sq의 면저항을 갖는 태양전지의 전극.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comprising a substrate, an emitter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nd a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an opening of an anti-reflective coating (ARC)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Th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having the sheet resistance of.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실리콘 질화물,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산화물, MgF2, ZnS, TiO2,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인 태양전지의 전극.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nti-reflective coating is silicon nitr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ide containing hydrogen, MgF 2, ZnS, TiO 2, CeO 2, and a single membra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xture or two or more membranes in combination Electrode of a solar cel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에미터층과 접촉하는 제1도전층과 그 위에 형성된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 14. The electrod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comprises a first conduct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emitte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thereon. 제 13 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 또는 제2도전층은 총 중량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 미만으로 유리프릿을 포함되는 것인 태양전지의 전극.The electrod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claim 13 or 15,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o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contains glass frit in an amount of 0 to less than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은 Ni, Ti, Co, Pt, Pd, Mo, Cr, Cu, W,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전층은 Ag, Au, Al, Ni, Pt, Cu,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전극.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comprises metal 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 Ti, Co, Pt, Pd, Mo, Cr, Cu, W, and alloys thereof, Wherein the electrode comprises metal 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Au, Al, Ni, Pt, Cu, and alloys thereof.
KR1020130011782A 2013-02-01 2013-02-01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KR201400995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782A KR20140099571A (en) 2013-02-01 2013-02-01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782A KR20140099571A (en) 2013-02-01 2013-02-01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71A true KR20140099571A (en) 2014-08-13

Family

ID=5174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782A KR20140099571A (en) 2013-02-01 2013-02-01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95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726A (en) * 2016-10-31 2019-10-15 LS-Nikko铜制炼株式会社 Electrode of solar battery conductive paste and the solar battery manufactured using above-mentioned slur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726A (en) * 2016-10-31 2019-10-15 LS-Nikko铜制炼株式会社 Electrode of solar battery conductive paste and the solar battery manufactured using above-mentioned slurry
CN110337726B (en) * 2016-10-31 2023-08-22 韩国Ls先进金属材料株式会社 Conductive paste for solar cell electrode and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42140A1 (en) Nanoparticle inks for solar cells
US20110217809A1 (en) Inks and pastes for solar cell fabricaton
KR101396444B1 (en)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same
TWI631088B (en) Glass frit composition, paste, and solar cell using the same
EP3146529B1 (en) A silver paste containing bismuth oxide and its use in solar cells
TW201626404A (en) Conductive composition, semiconductor element, and solar battery element
KR101149891B1 (en) Solar cel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TW201840496A (en) Glass frit, conductive paste and use of the conductive paste
CN103117327A (en) Improved method for forming metal contacts
US20140335651A1 (en) Inks and pastes for solar cell fabrication
US20140137937A1 (en) Etching composition and its use in a method of making a photovoltaic cell
CN111630012B (en) Conductive paste for solar cell electrode, glass frit contained in the conductive paste, and solar cell
US9640298B2 (en) Silver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lectrode, and silicon solar cell using same
KR101387139B1 (en) Ink composition for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KR20140099571A (en)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using the method
KR20140048465A (en) Ag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and silicon solar cell using the same
KR101396445B1 (en) Method of preparing front electrode of solar cell and method of preparing solar cell using the same
Ebong Pathway to low-cost metallization of silicon solar cell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silicon metal interface and plating chemistry
CN110402469B (en) Conductive paste for solar cell electrode and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same
KR20130067693A (en) Ag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and silicon solar cell using the same
CN113366585B (en) Conductive paste for solar cell electrode and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same
CN110544549B (en) Aluminum paste for local back surface field solar cell and local back surface field solar cell using same
KR101165160B1 (en) Solar cel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30063266A (en) Ag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and silicon solar cell using the same
KR20130102672A (en) Composite of paste body for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for solar cell using the composite, and elctrode for solar cell manufactured by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