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050A -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050A
KR20140099050A KR1020130011775A KR20130011775A KR20140099050A KR 20140099050 A KR20140099050 A KR 20140099050A KR 1020130011775 A KR1020130011775 A KR 1020130011775A KR 20130011775 A KR20130011775 A KR 20130011775A KR 20140099050 A KR20140099050 A KR 2014009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route
user terminal
service
movem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777B1 (ko
Inventor
김정선
김태환
신동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7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일정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위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위치와 기저장된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이동 패턴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이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 또한 급격하게 발전하여 현재는 일반적인 전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위치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주변 정보를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지도상에 선택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제공받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 패턴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 일방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및 이동 패턴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별도로 검색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76527호(2012.07.09)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이동중인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될 위치에 대한 맞춤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이동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위치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위치와 상기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경로 예측부;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부가 서비스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이동 패턴을 생성하는 이동 패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패턴 관리부는, 일정 기간 동안 추적된 이동 경로들 중 중복되는 이동 경로를 주요 이동 경로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요 이동 경로와 대중교통 노선을 매칭시켜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하면, 상기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을 이동 패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노드는 각 위치에 대응하는 노선의 각 정류장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각 위치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패턴은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수단은 버스, 지하철 및 도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유사도는 상기 누적된 위치와 상기 이동 패턴의 각 노드와의 일치정도이다.
상기 유사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Path는 이동 패턴(주요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PPath는 현재 이동중인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이거나,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상의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될 타겟 위치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위치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위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위치와 기저장된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이동 패턴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이동 경로 중 중복되는 이동 경로를 주요 이동 경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주요 이동 경로와 대중교통 노선을 매칭시켜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하면, 상기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을 포함하여 이동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동중인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될 위치에 대한 맞춤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저장한 후 사용자가 특정 장소로 이동시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카테고리(쇼핑, 영화, 음식점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패턴을 저장하며, 저장된 이동 패턴을 이용하여 특정 시점에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이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서버(120)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서버(120)와 연동되어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와의 연동없이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표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노트패드, 태플릿 PC, PDA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거나, 통신 시스템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110)의 상세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110)의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위치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예측된 이동 경로상의 임의의 위치로, 예를 들어 목적지일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겟 위치가 목적지인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타겟 위치는 목적지뿐만 아니라, 예측된 이동 경로상에 포함된 경유지일 수 있다.
또한, 부가 서비스는 영화, 쇼핑, 음식점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의 관심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부가 서비스가 영화 서비스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 서비스가 하나로 특정되지 않은 경우,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은 관심 카테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서버(120)에 사용자 단말별 또는 사용자별 선호 카테고리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시, 별도로 관심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사용자에 상응하여 저장된 선호 카테고리에 따른 타겟 위치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부(210), 터치스크린(215), 위치 획득부(220), 이동 패턴 관리부(225), 경로 예측부(230), 메모리(235)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당해 사용자 단말(110)이 서버(120)와 연동되어 타겟 위치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타겟 위치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서버로부터 해당 요청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215)은 사용자로부터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고,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입력, 수신,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기능과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출력 기능이 터치스크린(215)과 같은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10)은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별도의 구성으로 각각 구비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위치 획득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위치 획득부(220)는 GPS 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획득부(220)가 GPS 모듈인 경우, 위치 획득부(220)는 GPS 모듈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GPS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도 및 경로 정보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 획득부(220)는 이동통신 시스템(미도시)와 연계되어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GPS 모듈이나,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한달) 동안 추적한 후 주요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패턴을 생성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일정 기간 동안 추적하여 저장한 후 중복되는 이동 경로를 주요 경로로 추출할 수 있다.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이동 경로를 추적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110)이 일정 기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위치(예를 들어, 10초, 30초, 1분 등)를 기준으로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중 교통을 이용하지 않고 도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경로를 추정함에 있어, 움직이지 않는 위치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일정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일정 주기(예를 들어, 30초)마다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누적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이동 경로를 추적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이동 경로 추적을 위한 별도의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이동 경로 추적을 위한 별도의 입력(예를 들어, 이동 경로 추적 시작)에 따라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별도의 입력(예를 들어, 이동 경로 추적 종료)에 따라 이동 경로 추적을 종료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이동 패턴 관리부(225)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적되어 누적 저장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 오전에 등교하기 위한 이동 경로가 존재하고, 학교에서 일정 시간을 보낸 후 하교하기 위한 이동 경로가 등록 방향의 역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학생의 경우, 등교 및 하교에 대한 이동 경로가 일정 기간 동안 중복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되어 추적된 이동 경로에서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이동 경로를 주요 이동 경로로 추출하고, 이를 패턴화하여 이동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요일별로 주요 이동 경로를 각각 상이하게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경우, 주중에서는 학교로의 등하교를 위한 이동 경로가 존재하지만, 주말의 경우 다른 이동 경로(예를 들어, 친구 모임, 학원 등)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주요 이동 경로를 추출함에 있어, 월별, 요일별 또는 날씨별로 각각 상이한 주요 이동 경로를 추출할 수 있다.
날씨와의 연계를 위해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해당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 별도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날씨 정보를 별도로 더 획득하여 이동 경로와 함께 누적하여 저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주요 이동 경로를 패턴화하기 위해 별도로 교통 정보(예를 들어, 버스 노선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과 연계될 수도 있다.
즉,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추출된 주요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위치에 대한 정류장(또는 역)을 확인하여 특정 버스 노선 또는 지하철 노선으로 대체하여 이동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동 패턴 관리부(225)는 이동 수단별로 각각 주요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패턴을 생성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수단은 버스, 지하철 및 도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경로 예측부(23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경로 예측부(230)는 기저장된 이동 패턴과 현재 이동중인 경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최종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경로 예측부(230)는 현재 이동중인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이동한 이동 경로와 이동 패턴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경로 예측부(230)는 현재 이동 중인 이동 경로와 기저장된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고, 가장 유사한 이동 패턴으로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예측부(230)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의 유사도를 도출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CPath는 이동 패턴(주요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PPath는 현재 이동중인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경로 예측부(230)는 현재 이동중인 이동 경로의 각 위치와 이동 패턴의 각 지점을 서로 중복 허락하여 시간 순으로 노드로 만들고, 모든 노드의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값을 유사도로 나타내고,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이동 패턴(주요 이동 경로)를 예측 이동 경로로 추출할 수 있다.
메모리(2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35)는 축적된 이동 경로, 추출된 이동 패턴, 현재 이동 경로 등을 더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터치스크린(215), 위치 획득부(220), 이동 패턴 관리부(225), 경로 예측부(230), 메모리(2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경로 예측부(230)를 통해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을 서버(120)로 요청하도록 제어하고, 서버(120)로부터 해당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215)을 통해 표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부가 서비스가 영화 정보 제공 서비스라 가정하자. 여기서, 영화 정보는 영화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상영관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예측된 이동 경로상의 타겟 위치에 대한 영화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표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목적지 또는 이동 경로상의 아직 도달하지 않은 특정 위치상의 영화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부가 서비스가 영화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부가 서비스는 쇼핑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음식점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카테고리에 대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일 수 있다.
즉, 부가 서비스는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될 위치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예를 들어, 영화 정보(영화관 정보), 음식점 정보, 쇼핑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부가 서비스는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이동 경로에 따른 목적지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영화 정보이거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310은 사용자 단말(110)이 기저장된 이동 패턴과 이동중인 사용자의 위치와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예측한 이동 경로를 표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의 310은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수단이 버스인 것을 가정한 것이다. 이어, 사용자 단말(110)은 예측된 이동 경로의 현재 지점(예를 들어, 버스 정차역 주변)의 부가 서비스를 서버(120)를 통해 제공받거나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를 표출할 수 있다.
도 3의 330은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각 노드를 표출한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도 340과 같이 예측된 이동 경로상의 일정 거리 또는 일정 시간 이후 도달할 위치(노드)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서버(120)를 통해 제공받아 표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10)은 예측된 이동 경로상의 일정 거리 또는 일정 시간 이후 도달할 위치(노드)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를 서버(120)를 통해 제공받아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표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된 상태에서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누적 저장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로 사용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을 생략하고 있으나,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사용자 단말상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단계 4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위치 획득부(220)가 GPS 모듈인 경우, GPS 모듈을 실행한 후 해당 GPS 모듈을 통해 GPS 정보(위도, 경도 및 시간 정보)를 현재 위치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GPS 모듈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실행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이동 경로 추적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일정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 위치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의 추적된 이동 경로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일정 기간 동안 추적된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주요 이동 경로를 추출한다. 여기서, 일정 기간은 예를 들어, 1주일, 1개월, 1분기, 반기(6개월)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추적 이동 경로에서, 일정 횟수 이상 중복되는 이동 경로를 각각 주요 이동 경로로 추출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추출된 각 주요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당해 사용자 단말(110)상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추적된 이동 경로에 포함된 각 위치에 대응하는 대중교통 노선(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 또는 지하철역)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어, 사용자 단말(110)은 추적된 이동 경로에 포함된 각 위치에 대응하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대중교통 노선을 이용하여 이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패턴은 해당 대중교통에 대한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수단은 지하철, 버스 등일 수 있다. 물론, 이동 수단은 도보를 더 포함할 수 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추출된 각 이동 경로의 각 위치에 대한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패턴은 이동 수단과 함께 이동 수단을 이용한 시간, 이동패턴의 각 정차 위치에 대한 시간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이동 패턴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어느 위치에 있을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기간 동안 추적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패턴이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그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단계 5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단계 51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된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된 현재 위치와 기저장된 이동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일정시간(예를 들어, 5분 등) 또는 일정 횟수 동안 누적된 위치와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고, 유사도가 가장 큰 이동 패턴을 사용자의 목적지에 대한 이동 경로로 예측할 수 있다. 유사도를 도출하는 방법은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110)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가 경과한 후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을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 적합한 부가 서비스(예를 들어, 영화 정보, 쇼핑 정보, 음식점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버(120)로 전송하여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은 해당 예측된 이동 경로상의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될 타겟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버(120)는 해당 타겟 위치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필터링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버(120)는 해당 타겟 위치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를 필터링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서버(120)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10)상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저장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가 표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서버

Claims (15)

  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이동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위치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위치와 상기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경로 예측부;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부가 서비스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이동 패턴을 생성하는 이동 패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턴 관리부는,
    일정 기간 동안 추적된 이동 경로들 중 중복되는 이동 경로를 주요 이동 경로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요 이동 경로와 대중교통 노선을 매칭시켜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하면, 상기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을 이동 패턴에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노드는 각 위치에 대응하는 노선의 각 정류장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각 위치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턴은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수단은 버스, 지하철 및 도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는 상기 누적된 위치와 상기 이동 패턴의 각 노드와의 일치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Figure pat00003

    여기서, CPath는 이동 패턴(주요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PPath는 현재 이동중인 이동 경로를 나타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1.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 획득된 상기 위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위치와 기저장된 이동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이동 패턴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일정 기간 동안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이동 경로 중 중복되는 이동 경로를 주요 이동 경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주요 이동 경로와 대중교통 노선을 매칭시켜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하면, 상기 일치하는 대중교통 노선을 포함하여 이동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후 도달된 위치까지 연속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예측된 이동 경로에 따른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30011775A 2013-02-01 2013-02-01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3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775A KR101434777B1 (ko) 2013-02-01 2013-02-01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775A KR101434777B1 (ko) 2013-02-01 2013-02-01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050A true KR20140099050A (ko) 2014-08-11
KR101434777B1 KR101434777B1 (ko) 2014-08-26

Family

ID=5174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775A KR101434777B1 (ko) 2013-02-01 2013-02-01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200A (ko) * 2015-12-03 201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66265A (ko) * 2019-11-28 2021-06-07 한승수 위치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02B1 (ko) * 2006-12-26 2008-09-0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
KR100771155B1 (ko) * 2007-05-10 2007-10-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46589B1 (ko) * 2010-07-08 2013-03-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맞춤형 이동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01932B1 (ko) * 2011-01-10 2012-11-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는 버스 번호 추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200A (ko) * 2015-12-03 201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66265A (ko) * 2019-11-28 2021-06-07 한승수 위치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777B1 (ko)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99729B2 (en) Trajectory analysis with mode of transport analysis
KR102053901B1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103139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219708A1 (en) Location-based caching for mobile devices
US9286801B2 (en) Leveraging information for use in a traffic prediction scenario
US2018010991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virtual fencing
CN102484767A (zh) 用于产生、管理、和共享运动路径的方法和装置
Fong et al. Smart city bus application with quick response (QR) code payment
KR20150034997A (ko) 경로 안내에 따른 목적지를 명확히 인지시켜 주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US9970776B2 (en) WiFi-based indoor positioning and navigation as a new mode in multimodal transit applications
CN11054242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KR101434777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9752011A (zh) 一种用于车载的信息交互方法与系统
KR20140050265A (ko)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ishore et al. CENSE: A cognitive navigation system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KR101867548B1 (ko) 무선 신호 특성들에 기초한 이동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검색하는 방법
CN111754770B (zh) 一种交通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2923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9056597A (ja)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制御プログラム
Bharte et al. Bus Monitoring System Using Polyline Algorithm
US20170347232A1 (en) Determining Semantic Travel Modes
KR20210110053A (ko) 다중 경유지에 대한 대중교통 최적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JP712759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603921B1 (ko) 이동체의 이동성 예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770679B2 (en) Collaborative social distan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