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673A -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673A
KR20140098673A KR1020140002271A KR20140002271A KR20140098673A KR 20140098673 A KR20140098673 A KR 20140098673A KR 1020140002271 A KR1020140002271 A KR 1020140002271A KR 20140002271 A KR20140002271 A KR 20140002271A KR 20140098673 A KR20140098673 A KR 2014009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golf cart
bms
batte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489B1 (ko
Inventor
김훈
조재영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주)아이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비티 filed Critical (주)아이비티
Publication of KR2014009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을 제어하고 상태값을 측정하는 슬레이브BMS와, 상기 슬레이브BMS와 통신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마스터BMS와,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된 골프카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감지기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팩의 상태값과 상기 골프카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골프카트의 점검 필요 여부 및 이상상태로 판정된 배터리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팩의 이상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골프카트 및 배터리팩을 점검 대상으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통지한다. 상기 마스터BMS는 상기 골프카트에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상기 배터리팩의 구동시 현재 장착된 배터리팩이 기등록된 배터리팩인지를 확인한다.

Description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Lithium Battery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 golf cart}
본 발명은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서버가 각 골프카트에 장착된 리튬이온전지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상태가 감지된 리튬이온전지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슬레이브BMS와 마스터BMS가 상호 승인된 경우에만 해당 배터리팩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모든 배터리팩의 안정적인 운영과 정상적인 유통 거래 활성화를 구현할 수 있는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용량 전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팩으로 이루어지며, 각 배터리팩은 다량의 배터리셀이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다량의 배터리셀이 연결된 배터리팩 및 대용량 전지의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셀 전압의 산포가 발생한다. 이러한 셀 전압의 산포가 발생하게 되면, 시간경과에 따라 누적량이 증가하고 일부 셀의 단락 및 파손, 폭발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에 쓰이는 대용량 리튬이온전지는 기존의 전동차나 UPS에 사용되던 연축전지, 니켈카드뮴 축전지, 니켈수소 축전지와는 그 배터리 특성이 다르다. 기존의 전동차, UPS 등에 대용량 전지만 리튬이온전지로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 리튬이온전지의 특성에 따른 리튬이온전지의 상태를 감시하고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때, 점검대상 배터리팩(골프카트)의 위치를 관리자단말에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배터리팩과 그 배터리팩의 충방전 제어 및 상태를 관리하는 슬레이브BMS가 패키지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 배터리팩과 슬레이브BMS 패키지는 마스터BMS에 회로를 연결하고 장착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배터리팩 및 슬레이브BMS 패키지는 가격이 비싸고, 골프카트는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한 실외(예컨대, 골프장)에 보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골프카트에 장착된 배터리팩 및 슬레이브BMS 패키지를 훔쳐서 다른 골프카트에 장착하여 재활용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배터리팩 및 슬레이브BMS 패키지가 불법적으로 재활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각 배터리팩들은 사용 년수에 따라 열화가 발생한다. 이렇게 열화된 배터리팩들 사이에 신규 배터리팩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배터리팩들의 열화가 가속화되고 신규 배터리팩의 사용 연한도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팩들 중 기존에 사용하던 배터리팩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 후 배터리팩들의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607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64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목적은 골프카트에 사용되는 직렬 연결 배터리팩의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이상상태가 감지되는 배터리팩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보고하여 대용량 리튬이온전지를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상상태가 감지된 배터리팩 및 골프카트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보고하여 관리자가 해당 골프카트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레이브BMS와 마스터BMS가 상호 인증을 통해, 슬레이브BMS는 배터리팩이 정상 등록된 골프카트에서만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마스터BMS는 일괄 등록된 다수의 배터리팩들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다수의 배터리팩들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을 제어하고 상태값을 측정하는 슬레이브BMS와,
상기 슬레이브BMS와 통신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마스터BMS와,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된 골프카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감지기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팩의 상태값과 상기 골프카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골프카트의 점검 필요 여부 및 이상상태로 판정된 배터리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팩의 이상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골프카트 및 배터리팩을 점검 대상으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마스터BMS는 상기 골프카트에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상기 배터리팩의 구동시 현재 장착된 배터리팩이 기등록된 배터리팩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카트에 사용되는 직렬연결 리튬이온전지의 상태를, 각각의 전지별로 원격지 또는 골프카트에서 확인할 수 있고, 개별 리튬이온전지의 과거 이력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로 저장하고 송출함으로써 배터리팩의 사용에 따른 노후화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상태가 감지되어 점검이 필요한 배터리팩 및 골프카트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자단말에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점검대상 배터리팩 및 골프카트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BMS와 다수의 슬레이브BMS는 각각 상대방의 식별정보를 상호 등록하고, 이후 상호 인증된 경우에만 배터리팩이 정상적으로 충방전되며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비전문가에 의한 무분별한 배터리팩의 교체에 의한 리튬이온전지의 수명 단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마스터BMS에 임의의 배터리팩을 등록할 때 해당 배터리팩에 설정된 설치비밀번호를 확인함으로써, 정상 유통된 배터리팩만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간 등록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는 이 발명에 따른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간 확인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표시되는 약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별도의 다른 지칭이 없다면 당업계에서 통용되어, 이해되는 수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골프카트에 사용되는 직렬연결 리튬이온전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원격지의 운용자 또는 해당 골프카트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사전에 송출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 발명에 적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전지는 다수의 배터리팩(111, 121)으로 이루어지며, 각 배터리팩(111, 121)에는 슬레이브BMS(112, 122)가 패키징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BMS(112, 122)는 마스터BMS(131)에 연결되며, 마스터BMS(131)는 다수의 슬레이브BMS(112, 122)를 통합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제1슬레이브BMS(112)를 기준으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2슬레이브BMS(122)도 제1슬레이브BMS(112)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제1슬레이브BMS(112)는 제1배터리팩(11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제어부(112a)와, 제1배터리팩(111)을 구성하는 전체 및 개별 전지의 상태값을 측정하는 상태측정부(112b)와, 상태측정부(112b)에서 측정된 배터리팩 전체 및 개별 전지의 상태값을 마스터BMS(131)로 전송하는 발송장치부(112c)를 포함한다. 제2슬레이브BMS(122)도 제1슬레이브BMS(112)와 유사하게 충방전제어부와, 상태측정부와, 발송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슬레이브BMS(112)의 충방전제어부(112a)는 마스터BMS(131)의 제어를 받아 외부전원으로 제1배터리팩(111)에 충전하고, 배터리팩(111)에 충전된 충전전압을 부하(골프카트)로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 충방전제어부(112a)에는 제1배터리팩(111)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 및 마스터BMS(131)의 고유식별자가 저장된다. 이 배터리팩식별자는 제1배터리팩(111)이 생산될 때 부여되는 고유값으로서, 배터리팩 외장에 기록되어 확인 가능한 값이다. 설치비밀번호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값으로서, 배터리팩 외장에서는 확인할 수 없으며 제1배터리팩(111)을 마스터BMS(131)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하다. 마스터BMS(131)의 고유식별자는 마스터BMS(131) 또는 해당 골프카트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값이다.
골프카트에 일군의 배터리팩들을 장착할 때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들은 각각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골프카트에 새로운 배터리팩을 장착하거나 중고 배터리팩을 장착할 때에도 마스터BMS와 해당 슬레이브BMS는 도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골프카트가 구동할 때,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는 각각 기등록된 상태로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간 등록절차 및 확인절차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며 차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태측정부(112b)는 배터리팩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배터리팩 전체 및 개별 전지의 상태값을 취합하는 바, 이 상태값에는 전압, 전류, 온도, 저항 등이 포함된다. 상태측정부(112b)는 제1배터리팩(111)으로부터 개별 전지의 전압, 전류, 온도, 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이 측정치를 연산하여 충전상태(SOC), 건강상태(SOC)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단위 셀 또는 전체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확인하는 변수로서, 전압, 전류, 온도, 저항값 등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셀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변수가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발송장치부(112c)는 상태측정부(112b)에서 측정된 상태값을 제1배터리팩(111)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와 함께 마스터BMS(131)에게 전송한다.
마스터BMS(131)는 배터리팩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상태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저장부(132)에 저장한다. 저장부(132)는 다수의 배터리팩별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를 저장하고, 배터리팩식별자에 대응되는 상태값들을 시각별로 누적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33)는 저장부(132)에 배터리팩별로 저장된 상태값을 통신부(135)와 통신망(140)을 통해 외부의 모니터링서버(151)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33)는 해당 골프카트의 차량번호와, 위치감지기(134)에서 감지된 해당 골프카트의 위치정보와, 배터리팩별 배터리팩식별자 및 그 상태값을 모니터링서버(151)에게 전송한다. 모니터링서버(151)는 배터리팩별 상태값을 수신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3)는 배터리팩별로 저장된 상태값으로부터 해당 배터리팩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와 해당 골프카트의 차량번호 및 위치감지기(134)에서 감지된 해당 골프카트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서버(15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터BMS(131)와 제어부(133)를 각각 별개의 장치로 기재하였으나, 마스터BMS(131)와 제어부(133)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비로 구현하여도 무관하다.
통신부(135)는 제어부(13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골프카트의 차량번호, 배터리팩별 배터리팩식별자 및 상태값, 골프카트의 위치정보,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 등)를 수신하는 자료수신부와, 5V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수신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통신부(135)는 무선랜 AP(Access Point)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망(140)에 접속하여 상술한 데이터들을 모니터링서버(151)에 전송한다. 제어부(133)는 임의의 배터리팩의 이상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부(136)에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표시하고, 아울러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를 표시한다.
모니터링서버(151)는 제어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팩의 상태값의 누적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배터리팩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서버(151)의 판단 결과 임의의 골프카트에 장착된 임의의 배터리팩에 이상이 검출되면, 모니터링서버(151)는 해당 골프카트의 제어부(133)와 통신하여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골프카트의 제어부(133)는 디스플레이부(136)에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표시하고, 아울러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를 표시한다.
모니터링서버(151)는 제어부(133)를 통해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를 수신한다. 모니터링서버(151)는 자체적인 판단을 통해 또는 제어부(133)를 통해 임의의 배터리팩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서버(151)는 푸시서버(153)를 통해 관리자단말(152)에 배터리팩 이상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배터리팩 이상 발생 메시지에는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이 장착된 골프카트의 차량번호와 상기 골프카트의 현재 위치정보와 이상이 발생된 배터리팩 정보와 이상발생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팩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의 일 예를 설명한다. 제어부(133)는 저장부(132)에 누적 저장된 배터리팩 상태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배터리팩의 이상상태로 판정한다. 또는 모니터링서버(151)는 제어부(133)로부터 수신되어 누적 저장된 임의의 배터리팩 상태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상태로 판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상상태(비정상상태)를 결정하는 기설정된 범위는, 운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기존의 상태값 변화값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셀 간 온도차이가 5도 이내가 정상상태 범위이고, 상기 셀 간 온도 차이가 상기 5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해당 배터리팩은 이상상태(비정상상태)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정상상태임을 나타내는 범위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운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하여 조작,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누적된 상태값 데이터로부터 운용자는 셀간 온도차이가 7도 이내인 경우, 전체 셀에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운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관리자단말을 통하여 상기 기설정된 온도차 허용범위를 7도로 올려 변경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151)는 통신망(140)을 통해 골프카트별 및 배터리팩별 상태값들을 수신하는 서버컴퓨터, TCP/IP 프로토콜의 소프트웨어, 수신된 골프카트별 및 배터리팩별 상태값들을 축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웹(Web) 환경에서 운용자에게 원하는 값이나 그래프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운용자의 관리자단말(152)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나 그래픽화된 정보를 선택, 처리하여, 이를 해당 관리자단말(15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자단말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또는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한 개인용 컴퓨터(P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서버(151)에서는 운용자가 원격지에서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여 모니터링서버(151)에 접속하면, 운용자가 요청한 골프카트 전체, 임의의 골프카트, 또는 임의의 골프카트에 장착된 임의의 배터리팩의 상태값에 대하여 시간대별, 일별, 월별 데이터 혹은 그래프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의 제공은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웹 상에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서버(151)에 저장되는 상태값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며, 과거의 상태값에 새로운 상태값이 누적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서버(151)는 웹서버 등에 구비된 메모지 장치에, 상기 누적된 상태값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운용자는 과거의 상태에 비하여 현재의 상태가 얼마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는지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골프카트에 내장된 직렬연결 전지에 관한 전지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 모니터링서버(151)는 상기 골프카트에 장착된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각 셀의 상태값에 대한 이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누적하여, 이를 관리자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운영자는 직렬연결된 각 단위 셀 상태와, 비정상상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간 통신을 통해 마스터BMS에 장착 배터리팩을 등록하는 절차 및 장착 배터리팩들을 확인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간 등록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마스터BMS는 자기 자신(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를 저장하고(S21), 슬레이브BMS는 해당 슬레이브BMS와 패키지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를 저장한다(S22).
마스터BMS(131)는 관리자의 지시를 받아 슬레이브BMS를 통해 해당 슬레이브BMS와 패키지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을 등록한다. 이를 위해, 마스터BMS는 등록대상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를 슬레이브BMS에게 전송하며 등록요청한다(S23). 마스터BMS(131)는 등록대상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를 관리자에게 입력받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설치비밀번호 또는 기저장된 설치비밀번호를 슬레이브BMS에게 전송한다.
등록요청을 받은 슬레이브BMS는 마스터BMS로부터 수신된 정보(등록대상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및 설치비밀번호)와 단계 S22에서 기저장된 정보(자신과 패키지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및 설치비밀번호)를 비교한다(S24).
슬레이브BMS는 단계 S24의 비교결과, 두 정보가 일치하면(S25) 등록허용 메시지를 마스터BMS에게 전송하고, 그러면 마스터BMS는 등록대상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를 등록하고(S26) 자신(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슬레이브BMS에게 전송한다(S27). 마스터BMS가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를 승인한 상태에서 관리자는 설치비밀번호를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설치비밀번호는 슬레이브BMS 및 마스터BMS에 각각 저장된다.
슬레이브BMS는 마스터BMS로부터 수신된 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S28).
한편, 슬레이브BMS는 단계 S24의 비교결과,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S25) 배터리팩의 충방전 동작을 차단하고 등록거부 메시지를 마스터BMS에게 전송한다(S29).
마스터BMS는 단계 S26 내지 단계 S28의 등록허용 및 단계 S29의 등록거부 등의 등록결과를 관리자에게 보고한다.
이후,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상태(충전 또는 방전시)에서, 마스터BMS는 기등록된 배터리팩들이 잘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슬레이브BMS들도 기등록된 골프카트(마스터BMS)에 잘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도 3는 이 발명에 따른 마스터BMS와 슬레이브BMS간 확인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마스터BMS는 등록절차를 통해 해당 마스터BMS(골프카트)는 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마스터BMS(골프카트)에 장착된 모든 배터리팩들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S31), 슬레이브BMS는 등록절차를 통해 패키지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뿐만 아니라 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S32).
마스터BMS는 슬레이브BMS에게 확인 정보를 요청한다(S33). 그러면, 슬레이브BMS는 기저장된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 또는 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마스터BMS에게 전송한다(S34).
마스터BMS는 각 슬레이브BMS로부터 수신된 정보(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 또는 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와 대응되는 기저장된 정보(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 또는 마스터BMS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비교한다(S35).
단계 S35의 비교 결과, 기등록된 모든 배터리팩들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면(S36), 슬레이브BMS들의 정상적인 구동을 허용하여 배터리팩 충방전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S37).
단계 S35의 비교 결과, 기등록된 모든 배터리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S36), 신규 배터리팩 장착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하고 등록 절차 수행을 안내하며(S38), 슬레이브BMS들의 정상적인 구동을 차단하여 배터리팩 충방전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한다(S39). 이로써, 잘못 장착된 신규 배터리팩으로 인해 다른 배터리팩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1 : 제1배터리팩 112 : 제1슬레이브BMS
121 : 제2배터리팩 122 : 제2슬레이브BMS
131 : 마스터BMS 132 : 저장부
133 : 제어부 134 : 위치감지기
135 : 통신부 140 : 통신망
151 : 모니터링서버 152 : 관리자단말

Claims (4)

  1. 골프카트에 장착되는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을 제어하고 상태값을 측정하는 슬레이브BMS와,
    상기 슬레이브BMS와 통신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마스터BMS와,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된 골프카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감지기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팩의 상태값과 상기 골프카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골프카트의 점검 필요 여부 및 이상상태로 판정된 배터리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팩의 이상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골프카트 및 배터리팩을 점검 대상으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마스터BMS는 상기 골프카트에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상기 배터리팩의 구동시 현재 장착된 배터리팩이 기등록된 배터리팩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BMS는 고유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슬레이브BMS는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슬레이브BMS는 상기 마스터BMS로부터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와 설치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등록을 허용하고 상기 배터리팩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BMS는 상기 마스터BMS와 상기 슬레이브BMS에 저장된 마스터BMS 고유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장착된 배터리팩이 기등록된 배터리팩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BMS는 상기 마스터BMS와 상기 슬레이브BMS에 저장된 배터리팩의 배터리팩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장착된 배터리팩이 기등록된 배터리팩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140002271A 2013-01-31 2014-01-08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572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966 2013-01-31
KR1020130010966 201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673A true KR20140098673A (ko) 2014-08-08
KR101572489B1 KR101572489B1 (ko) 2015-12-02

Family

ID=5174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71A KR101572489B1 (ko) 2013-01-31 2014-01-08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942A (ko) * 2018-03-28 2018-04-10 가람전자(주)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기지국용 납축전지 관리시스템
KR102300924B1 (ko) * 2021-02-25 2021-09-13 김희중 전동지게차 등의 배터리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060B1 (ko) 2016-08-18 2020-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
KR20190021875A (ko) 2017-08-24 2019-03-06 (주)파이온시스템즈 소형 무인 비행체를 탐지하고, 무력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95B1 (ko) * 2011-08-22 2012-03-20 (주)티에스식스티즈 원격 배터리 관리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942A (ko) * 2018-03-28 2018-04-10 가람전자(주)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기지국용 납축전지 관리시스템
KR102300924B1 (ko) * 2021-02-25 2021-09-13 김희중 전동지게차 등의 배터리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489B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875B1 (ko) 전기 자동차의 전력 트랜잭션들을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JP6488562B2 (ja) 電池及び充電装置の管理システム、方法並びに充電装置
US10145898B2 (en) Battery signature identification system
JP2020529022A (ja) バッテリ情報を監視および提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489354B2 (en) Detection of false reporting in a smart battery system
KR101423961B1 (ko) 배터리팩의 배터리 유닛 교체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489B1 (ko) 골프카트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JP2009186235A (ja) モバイル機器及び電池情報表示方法
KR101488357B1 (ko) 스마트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2447275A (zh) 蓄电池控制系统
KR20200009203A (ko) 무정전 전원 장치의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09646A (ja) 電池情報処理システム、電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279557A (zh) 具备无线能力的单块
KR101692839B1 (ko) 배터리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795446B1 (ko) 무정전 전원 장치의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4812A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지상태 원격 감시 장치, 웹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72493B1 (ko) 전동차용 리튬이온전지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653700B1 (ko) 입출력부 일체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30000479U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JP6721170B1 (ja) 非常用充放電器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331156B1 (ko) Hbd를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의 통신 품질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1824A (ko) 계층적 관리모듈을 통해 충전 밸런스를 관리하는 배터리팩 장치
KR101674589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84353B1 (ko) 계층적 관리모듈을 구비한 배터리팩 장치를 위한 밸런스 관리 시스템
KR101608877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