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119A -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119A
KR20140098119A KR1020147015257A KR20147015257A KR20140098119A KR 20140098119 A KR20140098119 A KR 20140098119A KR 1020147015257 A KR1020147015257 A KR 1020147015257A KR 20147015257 A KR20147015257 A KR 20147015257A KR 20140098119 A KR20140098119 A KR 2014009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object
optical component
light
imaging devic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안드레아스 하. 힐셔
Original Assignee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filed Critical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Publication of KR2014009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9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mamm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광 투과되고 후방 산란된 표면 광이 표면 이미지 광선들을 단일 이미징 디바이스로 향하게 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는 동안, 원래의 타겟 오브젝트로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광학 시스템에 의해 이미징되는 단층 촬영 이미징을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곡선 반사기는 타겟 오브젝트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지만 이미징 카메라를 향해 광을 반사하도록 비스듬히 놓인다.

Description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MULTI-DIRECTIONAL IMAGING FOR CAPTURING TOMOGRAPHIC DATA}
연방 정부 후원 연구에 관한 진술
본 발명은 국립 암 연구소에 의해 수여된 NCI-4R33CA118666 하에서 정부 지원을 갖고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서 특정 권한들을 가진다.
확산 광학 단층 촬영(Diffuse Optical Tomography; DOT)은 오브젝트에서 발색단(또는 이용된다면 형광 물질)의 3-차원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문의된 오브젝트의 표면의 광학 이미징을 이용한다. 오브젝트들은 실험 동물들 및 인체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분포는 산소 및 관심 있는 특정 분자들과 같은 생물-지표들 및 생리학적 파라미터들이 준수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비-침투적이고 해로운 방사선을 수반하지 않는다.
확산 광학 단층 촬영, 형광 단층 촬영 및 생물 발광 단층 촬영과 같은 광학 단층 촬영 기술들은 생체내 진단 연구들을 위한 비-침투적 기술들이다. 이들 광학 단층 촬영 기술들은 생명 시스템들에 생물학적 요인들의 3-차원 및 양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들은 생물 의학 연구 및 의학 진단을 위한 중요한 툴들로서 간주된다.
광학 단층 촬영 기기는 조사된 오브젝트를 조명하기 위한 장치 및 대상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자들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이루어진다. 조명은 타겟 오브젝트의 반사-조명(epi-illumination) 또는 투과-조명(trans-illumin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는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3-차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수치 재구성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몇몇 DOT 시스템들은 표면-방출 광자들의 고 분해능 표현을 캡쳐하기 위해 CCD 카메라를 이용한다. 이것은 표면을 접촉하는 파이버-기반 시스템들과 완전히 다르며, 보다 많은 측정 지점들을 생성한다.
알려진 디바이스들은 양쪽 모두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기 위해 프로세싱을 갖고 반사- 및 투과-조명된 타겟 오브젝트들 양쪽 모두를 가진 이미지들을 캡쳐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고정된 카메라를 갖고 타겟 오브젝트를 회전시키는 것, 여러 개의 상이한 방향들로 조준된 다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는 것, 및 대상 주위에 피라미드형 또는 원추형 미러를 위치시키는 것 및 그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카메라를 조준하는 것과 같은 방식들. 특히, 원추형 미러의 경우에, 대상의 전체 표면은 동시에 관찰될 수 있으며 평탄 미러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방출 광자들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주제의 실시예들의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미러 반사들은 오브젝트를 또한 조명하고 캡쳐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방해하는 조명된 오브젝트로부터 후방 산란을 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1차 반사기는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원격에 위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것을 둘러싸는 반면 2차 반사기는 상기 1차 반사기로부터 카메라로 이미지를 반사한다.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반사기들의 이용은 후방 산란이 감소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1차 반사기의 위치 결정 및 지향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들은 이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여기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표현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는 것은 아니다. 적용가능하다면, 몇몇 특징들은 기본 특징들의 설명을 돕도록 예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라 광학 단층 촬영 이미지들을 캡쳐하기 위해 이용된 반사성 원뿔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2는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층 촬영 이미징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제 1 다중 반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층 촬영 이미징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해 그리고 유방 조직(breast tissue) 또는 유사한 몸체 부분의 이미지를 캡쳐할 때 이용하기 위해 적응된 제 2 다중 반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4는 개시된 주제의 실시예에 따라 단층 촬영 이미징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제 3 다중 반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반사 및 투과 조명에 대한 특징들을 나타내는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제 4 다중 반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스캐닝된 물품을 지원하기 위한 특징들을 도시한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제 4 다중 반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의 동작의 원리들을 예시하는 도면들.
도 7a 및 도 7b는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스캐닝 및 단층 촬영 이미징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학 단층 촬영 이미지들을 캡쳐하기 위해 이용된 반사성 원뿔형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타겟 오브젝트(106)는 스테이지(108) 상에서 지원되고, 이것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저 전력 레이저와 같은 조명 빔(104)은 도시되는 단일 지점의 조명을 갖고, 1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미러(102)에 의한 반사에 의해 오브젝트(106)의 표면 상에서의 많은 지점들로 향해진다. 광은 오브젝트(106)를 관통하고 1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서 산란한다. 투과된 광(114)은 원추형 미러(102)로부터 반사할 수 있으며(116) 118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타겟 오브젝트를 조명한다. 물론, 이것은 후방 산란된 광에 의해 오브젝트(106)의 확산 조명을 생성하는 많은 지점들에서 일어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조명 빔은 또한 134, 136과 같은 다양한 지점들에서 오브젝트(106)를 조명하기 위해 미러(102)에 의해 직접(126) 또는 간접적으로(130, 132) 후방 산란되는 직접 반사들(124)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과된 광에 의한 후방 조명은 일반적으로 조명된 광이 산란하고 흡수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그것이 타겟 몸체를 통과하는 것만큼 심각한 우려사항은 아니다. 도 1b에서처럼, 반사된 광에 의한 후방 조명은 통상적으로 더 강하다.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타겟과 미러 및/또는 타겟 사이에서의 앞뒤로 그것의 제 1, 제 2, 또는 제 3(등) 반사들은 측정된 데이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타겟 오브젝트(106)는 고 반사성 원뿔형 미러의 내부에 위치되고 소스는 원추형 미러에 의해 대상의 표면 상에 조명되기 때문에, 재구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진, 대상의 표면과 원추형 미러 사이에서의 후방 반사들이 일어난다. 이것은 데이터 측정 및 재구성 결과들의 정확도 및 정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시된 주제는 이러한 효과를 감소시키며 다른 양식들과 광학 이미징 시스템을 조합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작은 동물들(예로서, 생쥐들 또는 쥐들), 손들, 발들 또는 몸체 부분들, 예를 들면, 인간 유방들과 같은 대상으로부터 비-접촉 다-방향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징 시스템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서, 이미징 방식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속적인 미러 반사들을 이용한다. 대상에 가까운 제 1 미러들(204)은 모든 반사된 이미지들이 단일 화상에서 획득되도록 오브젝트(202)로부터 CCD 카메라(210)로 이미지를 반사하는 제 2 미러들(206)로 표면 이미지들을 반사한다. 따라서, 빔(208)에 의해 표시된 오브젝트 표면(202)으로부터의 1차 투과된 또는 반사된 광(그것은 광이 발하거나 동시에 표면의 다양한 지점들에서 다수의 방향들로 반사된다고 이해된다)은 제 1 미러(또는 미러들)(204)에 의해 제 2 미러(206)로 반사되어 카메라(210)로 향해지는 광(212)을 야기한다. 미러들(204, 206)은 예를 들면 원뿔 세그먼트들, 또는 피라미드 또는 불연속성들을 갖거나 없는 구간적 원추, 또는 다수의 각도들로부터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주항 구조일 수 있다.
제어기(214)는 레이저 및 카메라들(201, 210)과 같은 조명원(209)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214)는 카메라들(201, 2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오브젝트(202) 표면의 전체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210)의 CCD 상에서의 표면 투사는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왜곡될 것이고 제어기(214)에서 그것의 3-차원 모델(메쉬)로의 오브젝트(202)의 각각의 표면 부분에 대한 표면-방출 광자 플럭스의 산출은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갖고 행해질 수 있다. 카메라(201)는 오브젝트(202)의 모델링을 위해 오브젝트(202)의 정확한 표면 기하학적 구조를 캡쳐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광원(209)은 오브젝트(202)의 형태에 의존하여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광원(209)은 상이한 방향들로 접하는 오브젝트(202)의 부분들을 조명하기 위해 회전하거나 이동가능한 갠트리(gantry) 상에서 지원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덧붙여, 다수의 광원들(209)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의 반사 방식의 기하학적 구조는 타겟 오브젝트(202)의 형태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타겟의 표면 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하여, 제 1 및 제 2 미러의 형태는 평탄형 또는 원추형이거나 평탄 및 원추 형태의 조합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원추형 미러 쌍은 도 4에 도시되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용된다. 이것은 작은 동물 이미징에 적합할 수 있다. 평탄 미러 방식은 도 5b에 예시되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손 또는 발과 같은 비교적 편평한 몸체 부분들을 이미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평탄 및 원추형 미러들의 조합은 유방 표면들을 이미징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되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카메라(201)는 또한 단층 촬영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부가적인 표면 광자 방출 데이터와 같은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대하여 설명된 제어기, 다수의 카메라들, 및 조명원 특징들은 여기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평탄 및 곡선 표면들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반사기 표면들을 가진 이미징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평탄 미러들(308, 314)은 1차 반사기의 부분들을 형성하고 원추형 부분들(306)은 평탄 부분들(308)과 인접한다. 2차 반사기는 또한 평탄 및 곡선 부분들로 구성된다. 평탄 부분(304)은 원추형 부분(312)과 인접한다. 평면 지지대(310)는 두 개의 유방들 사이에서 광의 크로스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광-흡수적일 수 있다. 1차 반사기들은 그것 상에 지원된 반사 표면들의 강성 및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단일의 단단한 중공 구조(302) 상에서 지원될 수 있다. 구조(303)에 대해 유사하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2차 반사기는 반사성 표면들, 카메라, 및 타겟 오브젝트의 적절한 방향을 갖고 1차 반사기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 밖에 위치된다는 것을 주의하자.
이미징 디바이스(300)는 동시에 하나 두 개의 유방들을 이미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타겟 유방은 도면의 뷰의 유리한 위치(vantage)로부터 장치(300) 뒤에서 그리고 장치(300)에 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향은 타겟으로부터의 광이 먼저 반사기들(306, 314, 308)에 및 그 후 도면의 뷰어(viewer)의 유리한 위치에 대하여 장치(300)의 가까운 측면 상에 있는 카메라에서 향해질 반사기들(304, 311, 312)에 부딪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장치(3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내 매달리기 위해 유방들(352)에 대한 개구들을 갖고 환자(348)를 지지하는 침대(358) 아래에 수평 방향으로 시스템(350)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반사기(356)는 카메라(354)가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장치(400)는 도 3의 것보다 낮은 종횡비 이미징 디바이스이다. 단일 원추 곡선은 1차 반사 표면(416)을 규정하고 단일 원추형 반사기(414)는 2차 반사기를 규정한다. 타겟은 도면의 시청자의 관점으로부터 장치(400) 뒤에 위치되고 카메라는 상기 관점으로부터 그 앞에 위치된다. 스포크(spoke)(418)들은 2차 반사기(414)에 대한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으며 1차 및 2차 반사기들(414, 416) 양쪽 모두는 표면들의 강성도 및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중공 구조일 수 있는 단단한 프레임(418)에서 지원될 수 있다. 스포크(418)들은 2차 반사기를 굳게 유지하기 위해 긴장 상태가 될 수 있으며 2차 반사기(414)의 방향의 조정을 허용한다. 스포크들은 또한 2차 반사기를 맞추기 위해 조정가능한 나사들과 같은 섀시 조정 파스너들을 지원하는 단단한 구조들일 수 있다. 장치(4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동물 이미징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거나 인간 해부학의 이미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소형 동물 이미징 시스템은 원추형 제 1(514) 및 제 2(516) 반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제어 장치는 조명원(504)(또한 표면 형상 획득을 위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는) 및 소형 동물과 같은 타겟 오브젝트(51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제 1 모션 축은 카메라(504) 및/또는 조명원(504)을 위치시키기 위해 지지 암(506)을 회전시키는 드라이브(508)를 가질 수 있다. 제 2 드라이브(511)는 오브젝트(512)를 이동시키기 위해 스테이지(515)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오브젝트 및/또는 이미징 요소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고 조명은 단지 일례를 제공한다. 원추형 미러 쌍 및 CCD 카메라는 소형 동물의 전체 표면으로부터 및 회전식 갠트리 및 병진식 선형 스테이지로 구성되는 모션 제어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광자들을 측정하고, 대상의 표면 상에서의 임의의 면적은 핀-지점 레이저 소스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미징 디바이스(531)는 1차 및 2차 반사기들을 규정하는 평탄형 반사기들(542, 540)을 가진다. 반사기들의 구성은 발(536)의 발목뼈 영역과 같은 비교적 편평한 표면 영역들을 이미징하기에 적합한 양방향 대칭성 배열을 규정한다. 구조(534)는 광원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병진 또는 그것의 다른 움직임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지는 광원(들)에 의한 조명이 또는 확산 투과된 광이 수신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개구 또는 윈도우(53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통의 카메라 배열에서, 이미징된 오브젝트(602) 상에서의 임의의 지점(601)로부터의 발산하는 광선들(620)은 그것들이 CCD와 같은 광수용 표면(606) 상에서의 공통 지점에 있도록 카메라(610)의 광학(608)에 의해 (화살표(62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재수렴된다. 카메라(610)는 오브젝트(602) 주위의 면적의 일부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에서 취할 수 있는 시야(616)를 가질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 및 위치에 미러(640)와 같은 광학 구성요소를 위치시킴으로써, 오브젝트 상에서의 지점(601)로부터 원격인 지점(603)로부터 및 큰 각도(642)로 광선(620)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선(636)은, 상기 광선이 광수용 표면(606)의 별개의 부분으로 향해지도록(630) 경로(634)를 따라 카메라로 향해질 수 있다. 동시에, 광학 구성요소(640)의 각도 및 위치는 선(638)과 같은 오브젝트의 표면 상에서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지점로부터의 광이 여전히 오브젝트(602)로부터 멀리 향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b의 배열에서, 카메라(610)의 캡쳐 애퍼처(604)로 나뉘지 않는, 광학 구성요소(640)가 없을 두 개의 광선들의 발산의 각도는 양쪽 광선들(620, 634)이 카메라의 캡쳐 애퍼처(604) 내에 포함되도록 감소된다. 이것은 상이한 방향들로 마주보는 오브젝트(602)의 측면들이 단일 이미지 평면상에서 이미징되도록 허용한다. 도 6b에 예시된 실시예는 또한 종래 실시예들의 이득들의 일부가 연속하여 다수의 리디렉팅 요소들(redirecting elements)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광학 구성요소에 의한 단일 리디렉션을 갖고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소형 동물 이미징 시스템은 원추형 제 1(714) 및 제 2(716) 반사기들을 갖고, 도 4에서의 장치(400)처럼 구성된 이미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제어 장치는 타겟 오브젝트 스테이지(715)에 대하여 조명원(704)의 상대적인 변위를 위해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오브젝트(712)는 투명할 수 있는 스테이지(715) 상에서 도시된다. 타겟 오브젝트(712)는 소형 동물일 수 있다. 제 2 조명원(703)은 도 7a의 도면의 페이지에 수직이고 도 7b의 도면의 평면에 평행한 각도를 통해 스캐닝하는 라인 스캐너일 수 있다. 이것은 그곳에 조준된 카메라들(721)로 오브젝트(712)의 형태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스캐닝된 라인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미러들(725)은 서로에 대하여 각들을 이루어, 예를 들면, 도 7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90 내지 120도 떨어져 위치된다. 미러들(725)은 단층 촬영 데이터 생성을 위한 적합한 메쉬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브젝트(712)의 표면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알려진 기술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싱될 수 있는 중첩 데이터를 제공하는 카메라들(721)을 향해 오브젝트(712)의 옆 뒤로 반사한다. 드라이브(729)는 타겟 오브젝트(712) 주위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조명원(704)을 위치시키기 위해 회전 링(728)을 회전시킨다. 제 2 선형 드라이브(727)는 표면 스캔을 위해 두 대의 카메라들(721) 및 한 쌍의 미러들(725)의 플랫폼(726)을 위치시킨다. 상기 플랫폼(726)은 표면 스캔 후 선형 드라이브(727)에 의해 트래버싱(traversing)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704)은, 단층 촬영 데이터 획득을 위한 소스 지점들의 선택을 준비하기 위해, 플랫폼(726)이 이동된 후, 회전 드라이브(729)에 의해 연속적인 회전 위치들로 향해질 수 있다. 이미징 요소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고 예시는 단지 일례를 제공한다. 원추형 미러 쌍(701) 및 CCD 카메라(712)는 제 1 및 제 2 드라이브들의 각각의 위치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점 광원(point source) 및 상기 조명원(704)에 대한 소형 동물의 전체 표면으로부터의 광자들을 측정한다.
설명된 시스템들에서, 대상의 전체 표면은 단일 원추형 미러 방식처럼 관찰될 수 있으며, 대상이 미러 쌍 구조 밖에 위치되기 때문에, 원치 않는 후방 반사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대상 주위에서의 빈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CT 또는 PET와 같은 다른 양식들이 대상 주위에서의 미러 구조들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이러한 광학 이미징 시스템과 조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광원은 DLP 형 스캐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지향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스캐닝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타겟 오브젝트들은 오브젝트 및/또는 광원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스캐닝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원통형 및 편평한 광학 표면들은 편평하지 않은 및 비-원통형 표면들 및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는 3-차원 곡선들로 교체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표면 기하학적 구조는 다중-우세 표면 이미징이기보다는 레이저 스캐닝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프리즘과 같은 굴절 디바이스가 미러보다는 반사를 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미러들은 타겟 오브젝트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둘러싸임을 허용하도록 곡선 표면보다는 다수의 패싯(facet)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단층 촬영 재구성을 위해 이용되는 지점 조명 및 카메라 이미징 대신에, 개시된 이미징 디바이스들은 또한 표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다수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또는 레이저 스캐닝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들에 의해, 표면 획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시된 주제는 이미징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오브젝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를 가진다. 오브젝트 자체는 이미징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다. 시스템은 상기 지지대 상에 위치된 타겟으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상이한 방향으로 수신된 광을 조준함으로써 수신된 광을 제 2 광학 구성요소로 리디렉팅하도록 위치되고 구성된 제 1 광학 구성요소를 가진다. 광학 구성요소는 광 파이프보다는 공기 경로를 통해 광을 향하게 하도록 반사 또는 굴절에 의해 또는 전자 신호로의 변환에 의해 이를 행한다. 효과적인 이러한 리디렉팅은 오브젝트의 다수의 측면들이 예를 들면, 반대의 밴티지들로부터 이미징 디바이스(예로서, 카메라)를 향해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이미징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카메라에 의해 오브젝트의 다중 구성요소 중복 또는 부분적 중복 뷰를 생성한다. 광학 구성요소는 반사의 코사인 압축으로 인해 보다 높은 입사각들 및 보다 낮은 충실도의 손실을 허용하기 위해 연속하여 다수의 반사기들을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가 다수의 측면들로부터 조명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들로부터의 광 빔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로 향하도록 구성된 조명원을 가질 수 있다. 조명원은 고속 검사 시스템들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 레이저 스팟 또는 라인과 같은 표면 스캐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조명원 또는 상이한 것은 광학 단층 촬영에서의 이용을 위해 오브젝트 상에서의 주기적인 및 다양하게-위치된 표면 소스들 또는 오브젝트 내에서의 깊게 자리 잡은 소스들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면 오브젝트 내에서의 광원(생물 발광 소스) 분포를 단층 촬영법으로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면 조명원 없이 이용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상술된 실시예들의 특징들 중 하나는 광학 구성요소가 다시 오브젝트로의 광의 반사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광을 향하게 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표면 소스가 광원, 예를 들면, 오브젝트 표면으로 조준된 레이저 스팟에 의해 생성될 때, 다량의 광이 표면으로부터 반사된다. 광학 구성요소의 임의의 부분들이 반사기를 갖고 반사기의 임의의 부분이 상기 스팟으로부터의 난반사로부터의 광선들을 반사할 수 있다면, 이것은 오브젝트로의 보다 많은 조명을 생성할 것이다. 이것은 문의되는 오브젝트의 내부 특성들을 이미징하기 위해 이용된 광학적 단층 촬영 신호를 저하시킬 수 있다. 오브젝트 밖으로 투과되는 광이 광학 구성요소로부터 "재귀-반사"할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표면은 생물 발광 단층 촬영에 있는 바와 같다. 따라서, 광학 구성요소의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오브젝트로부터의 광의 정반사 또는 굴절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타겟 오브젝트로부터 멀리 향해질 수 있도록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대해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그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자들에 의한 타겟의 2차 조명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요소는 반사가 이미징 카메라의 시야로 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타겟의 다수의 반대 측면들로부터의 타겟으로부터의 상기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요소는 카메라에 의한 캡쳐를 위해 이미지를 정렬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제 1 및 제 2 세트들의 광학 구성요소들은 평탄 및/또는 원추형 미러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라미드 또는 원추형 배열들은 오브젝트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시스템은 이용자가 그 자신의 카메라를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카메라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메라가 없는 시스템은 이용자에 의해 카메라와 함께 이용되고 따라서 그것은 카메라 없이 전달될 수 있지만 카메라에 대한 표준 장착 및 위치 결정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카메라가 앞서 말한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해 그것의 시야를 적절히 정렬시키도록 광학 구성요소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미징 시스템은 단층 촬영 데이터 구성을 위해 제공하기 위해 제어기 및/또는 컴퓨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단층 촬영 구성들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발색단 분포들의 3-차원 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라, 광학 단층 촬영을 위한 광학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많은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이 본 개시에 의해 가능해진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부가적인 실시예들을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조합되고, 재배열되고,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특정한 특징들은 때때로 다른 특징들의 대응하는 이용 없이 유리하게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출원인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대안들, 수정들, 등가물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한다.
100: 반사성 원뿔형 디바이스 102: 원추형 미러
104: 조명 빔 106, 512: 타겟 오브젝트
201, 210, 504, 610, 721: 카메라 202, 602: 오브젝트
204, 206, 640, 725: 미러 208: 빔
209: 광원 214: 제어기
300, 531: 이미징 디바이스 302: 중공 구조
304, 311, 312, 356, 414, 416: 반사기 308, 314: 평탄 미러
310: 평면 지지대 418: 스포크
504, 704: 조명원 506: 지지 암
508: 드라이브
514, 714: 원추형 제 1 반사기 515: 스테이지
516, 716: 원추형 제 2 반사기 532: 윈도우
540, 521: 평탄형 반사기 701: 원추형 미러 쌍
703: 제 2 조명원 712: CCD 카메라
715: 타겟 오브젝트 스테이지 726: 플랫폼
727: 선형 드라이브 728: 회전 링
729: 회전 드라이브

Claims (51)

  1. 이미징 시스템에 있어서,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 위치된 타겟으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수신된 광을 조준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광을 제 2 광학 구성요소로 리디렉팅(redirecting)하도록 위치된 제 1 광학 구성요소; 및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가 다수의 측면들로부터 조명되도록 다양한 각도들로부터의 광 빔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로 향하도록 구성된 조명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광을 이미징 디바이스를 향해 리디렉팅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정반사 또는 굴절을 달성하고;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타겟의 다수의 반대 측면들로부터의 타겟으로부터 상기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오브젝트로부터의 광의 정반사 또는 굴절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타겟 오브젝트로부터 멀리 향해지도록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대하여 위치되고, 그에 의해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자들에 의한 타겟의 2차 조명이 방지되는, 이미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제 1 세트의 광학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제 2 세트의 광학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미러들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광학 구성요소들은 평탄 및/또는 원추형 미러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반사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이미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는 CCD 또는 CMOS 카메라이고, 상기 CCD 또는 CMOS 카메라는 상기 전달된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타겟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이미징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물 발광 광학 단층 촬영, 형광 단층 촬영 또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에 기초하여 타겟의 이미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맞춰 조정되는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이미징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맞춰 조정되는 축을 완전히 둘러싸는, 이미징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원추형 미러를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미러는 축을 갖고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는 상기 축을 따라 놓이고 상기 원추형 미러의 보다 큰 단부를 지나 변위되는, 이미징 시스템.
  12.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 빔이, 광자들이 타겟 오브젝트 내에서 산란되거나 흡수된 후 상기 타겟 오브젝트를 떠나는 타겟 오브젝트로 광자들을 주입하고, 반사된 광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표면을 떠나도록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표면에서 상기 광 빔을 향하게 하는 단계로서, 그에 의해 반사되고 투과된 광선들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표면의 각각의 지점들로부터 상기 타겟 오브젝트 표면을 떠나도록, 상기 광 빔을 향하게(directing) 하는 단계; 및
    실질적으로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멀리 상기 광선들을 향하게 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광선들의 일부의 방향들을 변경하는 단계로서, 그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광선들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표면을 재조명하는 것이 방지되는, 상기 광선들의 일부의 방향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향하게 하는 단계는 그에 의해 이미징될 광이 지나가는 시야를 가지는 이미징 디바이스로 상기 일부를 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향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광선들이 상이한 방향들로 마주보는 상기 타겟 오브젝트 표면의 부분들의 이미지들의 캡쳐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시야로 향해지도록 상기 타겟 오브젝트 표면을 떠날 때 상기 일부의 광선들이 발산하는 방향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향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광선들을 반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하나 이상의 반사성 표면 부분들을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제 1 및 제 2 연속적인 반사들에서 광을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미러들을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다수의 패싯(facet)들을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곡률의 축을 가진 원통형 또는 원추형 부분을 규정하는 곡률을 갖고 상기 축은 상기 오브젝트를 지나가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곡률의 축을 가진 원통형 또는 원추형 부분을 규정하는 곡률을 갖고, 상기 축은 상기 오브젝트를 지나가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오브젝트로부터의 광이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로 향하도록 비스듬히 놓인 반사성 표면을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성요소는 평탄 및/또는 원추형 미러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는 CCD 또는 CMOS 카메라인,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들을 디지털로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이미지들로부터 3차원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확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23. 이미징 시스템에 있어서,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위치된 타겟으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수신된 광을 조준함으로써 시야를 갖는, 상기 수신된 광을 이미징 디바이스로 리디렉팅하도록 위치된 제 1 광학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오브젝트로부터의 광의 정반사 또는 굴절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타겟 오브젝트로부터 멀리 향해지도록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대해 위치되고, 그에 의해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자들에 의한 타겟의 2차 조명이 방지되고;
    제 1 및 제 2 광선들이 상기 시야로 향해질 수 있도록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로부터 멀리 조준되고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및 제 2 광선들 사이에서의 각도를 좁히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 및
    상기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가 다수의 측면들로부터 조명되도록 다양한 각도들로부터의 광 빔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로 향하도록 구성된 조명원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광을 또한 리디렉팅하는 제 2 광학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구성요소들은 미러들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들의 광학 구성요소들은 평탄 및/또는 원추형 미러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반사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이미징 시스템.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는 CCD 또는 CMOS 카메라이고, 상기 CCD 또는 CMOS 카메라는 상기 전달된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타겟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이미징 시스템.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맞춰 조정되는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이미징 시스템.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맞춰 조정되는 축을 완전히 둘러싸는, 이미징 시스템.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원추형 미러를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미러는 축을 갖고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는 상기 축을 따라 놓이고 상기 원추형 미러의 보다 큰 단부를 지나 변위되는, 이미징 시스템.
  33. 이미징 디바이스에 있어서,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에 위치된 타겟으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수신된 광을 조준함으로써, 시야를 갖는, 상기 수신된 광을 이미징 디바이스에 리디렉팅하도록 위치된 제 1 광학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그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오브젝트로부터, 반대 방향들로 향해진 광이 전체적으로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서의 타겟 오브젝트로부터 멀리 주위 공기를 통해 향해지도록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대해 위치되고, 그에 의해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자들에 의한 타겟의 2차 조명이 방지되고;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그에 의해 수신된 상기 광이 이미징 디바이스의 상기 시야를 규정하는 영역으로 향해지도록 구성되는, 이미징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지지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가 다수의 측면들로부터 조명되도록 다양한 각도들로부터의 광 빔이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로 향하도록 구성된 조명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광을 또한 리디렉팅하는 제 2 광학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구성요소들은 미러들을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들의 광학 구성요소들은 평탄 및/또는 원추형 미러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 구성요소는 반사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는 CCD 또는 CMOS 카메라이고, 상기 CCD 또는 CMOS 카메라는 상기 전달된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타겟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학 구성요소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맞춰 조정되는 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이미징 디바이스.
  41.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에 맞춰 조정되는 축을 완전히 둘러싸는, 이미징 디바이스.
  42.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구성요소는 원추형 미러를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미러는 축을 갖고 상기 타겟 오브젝트 지지대는 상기 축을 따라 놓이고 상기 원추형 미러의 보다 큰 단부를 지나 변위되는, 이미징 디바이스.
  44. 이미징 시스템에 있어서,
    제 33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이미징 디바이스 및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들로부터 광학 단층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45. 이미징 시스템에 있어서,
    스테이지에 근접하고 상기 스테이지를 향하여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를 향해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이미지들을 반사하기 위해 떨어져 비스듬히 놓인 한 쌍의 미러들;
    상기 스테이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의 선형 부분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걸쳐 라인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라인 스캐닝 소스;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의 타겟 오브젝트의 CCD 또는 CMOS 카메라의 뷰를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한 쌍의 미러들 및 카메라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래버싱 시스템(traversing system);
    상기 트래버싱 및 회전 시스템에 접속되고 상기 스테이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 상에 복수의 점 광원(point source)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2 광원; 및
    오브젝트의 다수의 측면들로부터 상기 스테이지 상에 위치된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위치된 단층 촬영 이미지 카메라 및 광학 이미징 장치를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는 상기 스테이지의 반대 측면들 상에서 상이한 방향들로 향하는 적어도 두 대의 카메라들인, 이미징 시스템.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장치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 위치된 오브젝트의 반대 측면들로부터 표면 스캔을 위한 상기 카메라들 또는 상기 단층 촬영 이미징 카메라로 이미지들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징 시스템.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장치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반대 측면들로부터 상기 표면 스캔을 위한 상기 카메라들 또는 단층 촬영 이미징 카메라의 단일 시야로 발산하는 광선들을 가이드하는 두 개의 반사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징 시스템.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싱 시스템은 회전 변위 구성요소 및 병진 변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변위 구성요소는 한 쌍의 미러들 및 두 대의 카메라들 또는 상기 스테이지를 위한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선형 드라이브인, 이미징 시스템.
KR1020147015257A 2011-11-08 2012-11-08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8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7045P 2011-11-08 2011-11-08
US61/557,045 2011-11-08
PCT/US2012/064245 WO2013070982A1 (en) 2011-11-08 2012-11-08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multi-directional imaging for capturing tomographic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119A true KR20140098119A (ko) 2014-08-07

Family

ID=4829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257A KR20140098119A (ko) 2011-11-08 2012-11-08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30116A1 (ko)
EP (1) EP2775923A4 (ko)
JP (1) JP2014535056A (ko)
KR (1) KR20140098119A (ko)
WO (1) WO20130709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723A (ko) * 2017-10-18 2020-06-15 퍼킨엘머 헬스 사이언시즈, 아이엔씨. 전하결합소자(ccd) 카메라를 이용한 신속하고 높은 다이나믹 레인지 이미지 획득
WO2024043419A1 (ko) * 2022-08-23 2024-02-29 주식회사 팀누비즈 단일 카메라로 스테레오 광학계를 구성한 3차원 이미지 구강 스캐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5516B2 (en) 2012-11-21 2016-11-1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age reconstruction using combined PDE-constrained and simplified spherical harmonics algorithm
KR101488115B1 (ko) 2013-12-30 2015-01-2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초소형 방사선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CN105266815B (zh) * 2015-09-17 2017-12-29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电子装置
TWI628428B (zh) * 2016-12-16 2018-07-01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多視角影像擷取裝置、及其多視角影像檢測設備
US11304456B2 (en) 2019-07-28 2022-04-19 Holovisions LLC Smart bra with optical sensors to detect abnormal breast tissue
US11950881B2 (en) 2019-07-28 2024-04-09 Holovsions LLC Smart bra for optical scanning of breast tissue to detect abnormal tissue with selectively-expandable components to reduce air gap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8618A (ja) * 1990-03-29 1992-04-20 Shimadzu Corp 光走査装置
JP2000206411A (ja) * 1999-01-19 2000-07-28 Sharp Corp 光学素子、光学ヘッド及びそれらを用いた情報再生装置
US7107116B2 (en) * 1999-03-29 2006-09-12 Genex Technologies, Inc. Diffuse optical tomography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3084202A (ja) * 2001-09-11 2003-03-19 Miyagi Prefecture 紫外領域蛍光顕微鏡、蛍光物質同定方法および洗浄度評価方法
US7180660B2 (en) * 2002-02-04 2007-02-20 Carl-Zeiss-Stiftung Trading As Carl Zeiss Stereo-examination systems and stereo-image generation apparatus as well as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418731B2 (ja) * 2004-10-27 2010-02-24 日本放送協会 フォトルミネッセンス量子収率測定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装置
US8676302B2 (en) * 2006-01-03 2014-03-18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pectral bioluminescence tomography
US20080013820A1 (en) * 2006-07-11 2008-01-17 Microview Technology Ptd Ltd Peripheral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8014569B2 (en) * 2006-10-30 2011-09-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roduce (fruit, vegetables) using spatially structured illumination
TWI479583B (zh) * 2008-04-04 2015-04-01 Nanda Technologies Gmbh 光學檢驗的系統與方法
US8345941B2 (en) * 2008-05-15 2013-01-01 Shimadzu Corporation Biological imaging device
JP2010091818A (ja) * 2008-10-08 2010-04-22 Olympus Corp 走査光学系
US8238042B2 (en) * 2009-06-05 2012-08-07 CVI Melles Griot, Inc. Reflective axicon systems and methods
JP5640257B2 (ja) * 2010-03-18 2014-12-17 大塚電子株式会社 量子効率測定方法および量子効率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723A (ko) * 2017-10-18 2020-06-15 퍼킨엘머 헬스 사이언시즈, 아이엔씨. 전하결합소자(ccd) 카메라를 이용한 신속하고 높은 다이나믹 레인지 이미지 획득
WO2024043419A1 (ko) * 2022-08-23 2024-02-29 주식회사 팀누비즈 단일 카메라로 스테레오 광학계를 구성한 3차원 이미지 구강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5923A1 (en) 2014-09-17
WO2013070982A1 (en) 2013-05-16
JP2014535056A (ja) 2014-12-25
US20140330116A1 (en) 2014-11-06
EP2775923A4 (en)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8119A (ko) 단층 촬영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동시 다―방향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843222B2 (en) Guidance for intraoral scanning
JP4672260B2 (ja) 画像装置
CN106535744B (zh) 牙科共焦成像设备
US7198404B2 (en) Real-time acquisition of co-registered X-ray and optical images
US20070146719A1 (en) Scanning apparatus for optically scanning surfaces
CA2640819A1 (en) Device for tomographic scanning objects
CN101365397A (zh) 红外牙齿成像
JP2006505804A6 (ja) 動物の一部としての生物学的組織の時間分解光学撮像用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505804A (ja) 動物の一部としての生物学的組織の時間分解光学撮像用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4535056A5 (ko)
US20040220479A1 (en) Folded optics in a laser imaging apparatus with an ergonometric tabletop
JP2013090836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JPWO2008059572A1 (ja) 生体画像取得装置
CN212327207U (zh) 激光治疗系统
CN107049242B (zh) 扫描式人体微血管超微结构三维成像系统
Lee et al. A Fast full-body fluorescence/bioluminescence imaging system for small animals
CN116839500A (zh) 同时提取内部荧光分子分布和表面三维结构的成像系统
EP2384431B1 (en)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ly examining a turbid medium comprising joints
KR20150115323A (ko) 광 단층촬영용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광 간섭성 단층촬영 장치
CN115919265A (zh) 一种近红外血管显像方法和装置
CN116576796A (zh) 单相机提取双视角表面信息的光学断层扫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