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798A -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798A
KR20140097798A KR1020130010316A KR20130010316A KR20140097798A KR 20140097798 A KR20140097798 A KR 20140097798A KR 1020130010316 A KR1020130010316 A KR 1020130010316A KR 20130010316 A KR20130010316 A KR 20130010316A KR 20140097798 A KR20140097798 A KR 2014009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handle
gear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4787B1 (en
Inventor
이성훈
박지수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787B1/en
Publication of KR2014009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helf assembly including: a first shelf positioned on a bottom part of the shelf assembly and on which food is placed; a plurality of moving units coupled to the corner of the first shelf to move vertically; a second shelf of which the height can be vertically adjusted by the moving units; a frame coupled to a bottom part of the second shelf, while having a coupling unit; a handl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while being capable of rotating; a gear positioned on the coupling unit of the frame to be coupled to the handle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belt prepared inside the frame to be linked with the gear and moving units, to be rotated together. Since the shelf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moved vertically, without being inserted or withdrawn, the inconvenience of a user can be reduced.

Description

선반 어셈블리 및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0001]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선반 어셈블리 및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용 선반의 이동에 있어서 선반을 냉장고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반 어셈블리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cluding a shelf assembly and a shelf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elf assembly and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shelves up and down without moving the shelf from the refrigerator in the movement of the shelf for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구조에 따라 일반형 냉장고와, 양문형 냉장고 및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Generally, a refrigerator can be classified into a general refrigerator, a side-door refrigerator, and a bottom freezer-type refrigerato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a freezer and a refrigerator.

일반형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측에 있고 냉장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며,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general refrigerator has a freezer compartment on the upper side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n the lower side. The side-by-side refrigerator has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next to each other.

바텀 프리저 타임(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는 최근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타입으로, 냉동실보다 큰 규모의 냉장실이 상측에 있고 냉동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다.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s are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have a larger refrigerating chamber than the freez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on the lower side.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그 상면에 식품을 수납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선반이 각각 구비된다.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horizontally arranged so as to divide the inner space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shelves for storing and supporting food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선반은 거치되는 식품의 크기가 다양해짐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shelves ar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s the size of food to be stored becomes various.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선반을 빼내고 밀어넣는 등 선반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식품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식품을 모두 들어내고 선반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user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helf such as pulling out and pushing the shelf, if the food is stored, all the food must be lifted and the shelf must be mov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선반은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 좌우의 속도 차가 발생하면서 선반이 기울어지게 될 경우 구속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shelf is incli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shelf is inclined, a speed difference occurs between right and lef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형의 손잡이를 회전하여 힘을 적게 들여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반 어셈블리 및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 shelf assembly and a shelf assembly that allow a user to rotate a circular handle to move the shelf up and down with less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품을 거치할 수 있는 제1선반; 상기 제1선반의 코너에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선반; 상기 제2선반의 하부에 결합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구비되며 회전가능한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위치하여 손잡이와 결합하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및 상기 이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lf assembly comprising: a first shelf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a shelf assembly, A plurality of moving parts coupled to the corners of the first shelf and moving up and down; A second shelf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ing unit; A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helf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A rotatable handle provid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 gear which is locat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nd engages with the handle and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handle; A belt provided in the frame and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gear and the mov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lf assembly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마련된 본체; 및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설치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어셈블리는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품을 거치할 수 있는 제1선반; 상기 제1선반의 코너에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선반; 상기 제2선반의 하부에 결합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구비되며 회전가능한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위치하여 손잡이와 결합하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및 상기 이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or a freezing chamber in which foods are stored; And a shelf assembly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wherein the shelf assembly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elf assembly and can store food; A plurality of moving parts coupled to the corners of the first shelf and moving up and down; A second shelf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ing unit; A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helf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A rotatable handle provid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 gear which is locat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nd engages with the handle and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handle; A belt provided in the frame and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gear and the moving part; And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내에 구비된 선반 어셈블리의 손잡이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운동에 의해서 선반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선반을 이동시키는 데 드는 힘을 덜고 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shelf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imply rotating the handle of the shelf assembly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thereby reducing the power required by the user to move the shelf and shortening the time.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이 선반에 거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선반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불편함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helf can be moved up and down as it is while the food is stationary on the shelf,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어셈블리가 설치된 바텀프리저(Bottom-freezer)타입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반 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손잡이와 기어를 분해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프레임에 손잡이와 기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선반에 이동부가 구비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동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선반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어셈블리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ottom-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shel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el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assembly of FIG. 2; FIG.
Fig.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handle and gear disassembled.
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coupling portion to which a handle and a gear are coupled to a frame.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state where the first shelf is provided with a moving part.
7 is a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moving par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helf assembly.
9 is a top view of a shelf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선반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3-도어 버텀프리저(3-door bottom-freezer) 방식의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저장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of a 3-door bottom-freezer type having a shelf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ype of storage room.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고본체(1)의 하측에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3)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본체(1)의 상측에 식품을 보관하는 냉장실(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3)에는 그 냉동실(3)을 서랍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냉동실도어(5)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2)에는 그 냉장실(2)을 양쪽에서 여닫이방식으로 개폐하는 복수 개의 냉장실도어(4)가 설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eezing chamber 3 for refrigerating and storing food under the refrigerator main body 1, a refrigerating chamber 2 for storing foo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 . The freezing chamber 3 is provided with a freezing chamber door 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3 in a drawer manner and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hamber doors 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2 from both sides, (4) is installed.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에서 선반 어셈블리를 보인 도면들이다.FIGS. 2 to 9 show the shelf assembly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2)의 내벽면에는 식품의 높낮이에 따라 제2선반(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반 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2, a shelf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 to move the second shelf 1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ood.

상기 선반 어셈블리(100)는,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선반(50)과, 상기 제1선반(50)의 코너에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30), 상기 이동부(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선반(10), 상기 제2선반(10)의 하부에 결합되며 결합부(13)가 형성된 프레임(12)과, 상기 결합부(13)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한 손잡이(22), 상기 손잡이(22)와 결합하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24),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24) 및 상기 이동부(30)와 맞물려 회전하는 벨트(40)로 이루어진다.The shelf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shelf 5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elf assembly and adapted to store foo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shelves 50 that are coupled to the corners of the first shelf 50 and move up and down A second shelf 10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ing unit 30 and a frame 12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helf 10 and in which a coupling unit 13 is formed A gear 24 provided in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handle 22 so as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belt 40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moving part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선반(1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0)의 이동에도 상기 제2선반(10)에 거치된 식품들이 상기 제2선반(10) 바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선반(10)의 모서리에 지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shelf 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food stored in the second shelf 10 from falling down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helf 10 even when the second shelf 10 is moved, a support jaw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second shelf 1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선반(10)의 하부에는 상기 제2선반(10)과 결합하는 프레임(12)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12)은 내부에 상기 벨트(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a frame 12 coupled to the second shelf 1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shelf 10. At this time, the frame 12 includes the belt 40 therein.

또한, 상기 프레임(12)의 전방 중앙에는 결합부(13)가 형성되어,상기 결합부(13)에 상기 손잡이(22)가 상기 기어(24)와 결합하여 구비된다.A coupling portion 13 is form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frame 12 so that the handle 22 is engaged with the gear 24 in the coupling portion 13.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코너에는 상기 이동부(3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홈(12a)이 형성되며 상기 홈(12a)에 후술할 이동부(30)의 나사형 축(32)의 상부 끝에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2)과 상기 이동부(30)가 결합될 수 있다.3, a groove 12a is formed at a corner of the frame 12 so that the moving part 30 can be provided. The groove 12a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moving part 30 A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readed shaft 32 so that the frame 12 and the moving unit 3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프레임(12)의 코너에는 각각 상기 프레임(12)을 하부 방향으로 연장시킨 연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12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14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rame 12, respectively.

상기 연장부(14)는 각각 상기 이동부(30)를 내측에 포함할 수 있고 외관상 상기 이동부(30)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Each of the extending portions 14 may include the moving portion 30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is provided to prevent the moving portion 30 from being visible.

상기 연장부(14)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선반(50)과 결합되는바 결합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장부(14)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양 끝을 꺾어 한 쌍의 플랜지부재(16)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xtending portion 14 is formed by bending both left and right ends of each extending portion 14 in order to strengthen the bar coupling strength with the first shelf 50, 16).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의 코너에 각각 상기 이동부(3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2)의 코너마다 상기 연장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30)를 내측에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oving part 30 may be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la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extension part 14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frame 12, 30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코너에 상기 이동부(30)와 상기 연장부(14)가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는 총 4개의 이동부를 구비하게 되는바 다른 복수개의 이동부가 구비되는 경우들보다 좌우대칭되게 균형적으로 상기 제2선반(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3, when the moving part 30 and the extending part 14 are formed at respective corners, the la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tal of four moving parts, So that the second shelf 10 can be moved symmetrically an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선반 어셈블리(10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반(50)이 위치하고 상기 제1선반(50)은 상기 프레임(12)의 연장부(14)와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3, a first shelf 5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helf assembly 100 and the first shelf 50 may be coupled to the extension 14 of the frame 12 .

상기 연장부(14)에 구비된 상기 플랜지부재(16)가 상기 제1선반(50)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선반(5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the first shelf 50 so that the flange member 16 provided on the extended portion 14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helf 50.

통상적인 식품의 높이와 상기 제2선반(10)의 이동에 따른 제2선반(10)과 제1선반(50)의 간섭을 고려할 때 상기 제2선반(10)이 상기 제1선반(5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연장부(14)와 상기 제1선반(50)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helf 10 is positioned on the first shelf 50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a normal food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shelf 10 and the first shelf 50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shelf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14 and the first shelf 5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선반(50)의 외측에서 상기 제1선반(50)과 접촉하며 상기 제1선반(50)을 관통하는 고정부(6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60, which contacts the first shelf 50 and penetrates the first shelf 50 at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helf 50, May be included.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제1선반(50)을 외측면에서 감싸도록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60)의 상하방향의 양단을 꺾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강화부재(62, 64)를 형성할 수 있다. 편의상 상기 한 쌍의 강화부재를 제1강화부재(62), 제2강화부재(64)라 한다.As shown in FIG. 3, the fixing portion 6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shelf 50 from the outer side, and includes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60, which are bent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60, (62, 64) can be formed. The pair of reinforcing members is referred to as a first reinforcing member 62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64 for convenience.

상기 제1강화부재(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선반(5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선반(5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62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ward of the first shelf 50 through the first shelf 5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강화부재(62)는 상기 이동부(30)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30)가 상기 제2선반(10)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제2선반(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62 may be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moving unit 30 so that the moving unit 30 may disperse the load received from the second shelf 10 So that the second shelf 10 can be more stably moved.

한편, 상기 제2강화부재(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선반(50)의 하부면과 외측에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3,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64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50.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60)가 상기 제1선반(50)의 외측면과 접하며 제2강화부재(64)는 상기 제1선반(50)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제1강화부재(62)는 상기 제1선반(5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제1선반(50)에 강하게 고정된다.The fixing member 6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64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50 an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62 are tightly fixed to the first shelf 50 because they ar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helf 50.

따라서, 상기 제1선반(50)에 강하게 고정된 고정부(60)에 상기 이동부(30)가 결합 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제1선반 내부에 구비된 수단에 상기 이동부(30)가 결합 되는 경우보다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v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fixed part 60 firmly fixed to the first shelf 50, the moving part 30 is simply coupled to the means provided inside the first shelf 50 The shelf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firmly fixed.

즉, 제2선반(1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단단히 결합시켜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위험을 방지하고 불편을 덜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100)는 상기 고정부(60)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since the second shelf 10 can be stably moved without being shaken and tightly coupled, the risk of the user is reduced and the inconvenience can be reduced, so that the shelf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fix the fixing portion 60 .

또한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100)는 상기 프레임(12)에 구비되는 손잡이(22)와 기어(24)를 포함한다.The shelf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22 and a gear 24 provided on the frame 1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결합부(13)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12)의 하부에는 상기 손잡이(22)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22)와 결합하여 상기 기어(24)가 구비된다.3, the handle 1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 and the handle 22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12, The gear 24 is provided.

상기 손잡이(22)가 상기 프레임(12)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선반은 식품을 거치하는 곳이고 두 선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바로 아래면까지 식품이 닿는 경우는 거의 없어 상기 제2선반(10)의 하부 일정공간은 사공간이 되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함이다.The knob 2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2 so that the shelf is normally a place where food is placed and the food between the two shelves does not touch food directly below the shelf The lower fixed space of the second shelf 10 is a dead space, so that it is utilized.

또한 식품을 거치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2)가 상기 제2선반(10)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식품을 인입,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2)와 간섭을 일으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handle 2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lf 10 when the food is being mounted,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handle 22 when the food is taken in or drawn out. This is because of concern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2)는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형으로 구비된 상기 손잡이(22)를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선반(10)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는바 다른 형태로 손잡이가 구비되어 손잡이가 이동하는 반경이 커지는 불편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3, the handle 22 is preferably circular. This is because the second shelf 10 can be moved by simply rotating the handle 22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that the handle is provided in a different shape,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2)는 상기 기어(24)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와 결합 되는 일측에 돌출부(220,222,2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handle 22 includes projections 220, 222, and 224 at one side coupled to the gear so as to be firmly engaged with the gear 24.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축(220), 상기 축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 지지부(222), 상기 손잡이 지지부(222)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어 삽입부(224)로 구성된다.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shaft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a handle support portion 222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and a gear insertion portion 224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support portion 222.

상기 축(220)은 상기 원형 손잡이(22)의 중심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지지부(222)는 상기 축(220)의 상부에 상기 축(220)보다 반경이 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지지부(222)에 의해 상기 손잡이(22)가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haft 2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ircular knob 22 and the knob support portion 222 is formed to have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shaft 220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220. This is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handle 22 to the frame 12 by the pull holding part 222 as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기어 삽입부(224)는 기어(24)와 결합하여 상기 기어(2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24)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된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ear 24 so that 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can be engaged with the gear 24 and fix the gear 2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삽입부(224)는 평탄면과 완곡면을 가진 기둥형상과 상기 평탄면(224a)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224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돌출편(224b)이 구비됨으로써 기어 삽입부(224)가 단순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상기 손잡이(22)와 상기 기어(24)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4, 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may further include a columnar shape having a flat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and a protruding piece 224b protruding from the flat surface 224a. have. This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firmly engage the handle 22 and the gear 24 rather than 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being formed in a simple pillar shape by the provision of the projecting piece 224b.

상기 기어(24)에는 상기 기어 삽입부(224)가 관통해서 상기 손잡이(22)와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6)는 상기 기어 삽입부(224)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평탄면과 평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형상의 관통부(26)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ear 24 is form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26 through which 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penetrates to engage with the handle 22. [ The penetration portion 26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and is formed of a penetration portion 26 having a shape including a flat surface and a projecting piece protruding from a flat surface as described above .

상기 기어(24)는 후술할 결합부(13)의 기어 고정부(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ar 24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gear fixing portion 124 of the engaging portion 13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상기 기어(24)는 상기 손잡이(22)와 결합하며 상기 벨트(40)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 모양의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ear 24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handle 22 and to be engaged with the belt 40 so as to have a saw-tooth-like circumference as shown in FIG.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손잡이(22)가 삽입하여 관통하는 결합홈(120), 상기 손잡이(22)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손잡이 고정부(122), 상기 기어(24)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 기어 고정부(12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 includes an engaging groove 120 through which the handle 22 is inserted, a handle fixing portion 122 formed to fix the handle 22, a gear formed to fix the gear 24, And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124.

상기 결합홈(120)은 홈의 크기에 따라 제1홈(120a)과 제2홈(120b)으로 나누어 형성된다. 상기 제1홈(120a)은 상기 손잡이의 돌출부(220, 222, 2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가장 큰 반경을 가진 상기 손잡이 지지부(222)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groove 120 is divided into a first groove 120a and a second groove 120b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oove. The first groove 120a preferably has a larger radius than the handle support 222 having the largest radius at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s 220, 222 and 224 of the handle can be inserted.

상기 제2홈(120b)은 상기 제1홈(120a)의 일측에 형성되며 이미 상기 제1홈(120a)을 통하여 삽입된 손잡이(22)가 상기 제2홈(120b) 쪽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홈(120b)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 지지부(222) 보다는 작고 상기 손잡이의 축(220)과는 같거나 큰 반경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groove 12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roove 120a and the knob 22 already inserted through the first groove 120a moves toward the second groove 120b, It is preferable to have a radius that is smaller than the knob support part 222 and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at of the shaft 220 of the knob so as not to fall into the two grooves 120b.

이에 따라,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의 손잡이(24) 및 기어(24)의 조립과정에 있어서 생산자는 상기 손잡이(22)를 먼저 상기 프레임(12)의 하부에서 결합부의 제1홈(120a)으로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의 돌출부가 모두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22)를 상기 제2홈(120b)으로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22)가 상기 손잡이 지지부(222)보다 반경이 작은 제2홈(120b)에 걸려 상기 프레임(12)의 하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handle 24 and the gear 24 of the la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er first inserts the handle 22 into the first groove 120a of the engaging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 The handle 22 is moved to the second groove 120b so that the handle 22 is engaged with the second groove 120b having a radiu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handle support portion 222, (12).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홈(120b)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손잡이(22)가 결합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2홈(120b)에 위치한 후 상기 프레임(12)의 하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므로 보다 강하게 상기 손잡이(22)를 상기 프레임(12)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The handle fixing portion 122 is formed close to the second groove 120b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handle 22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 after being positioned in the second groove 120b in the coupling process so that the handle 22 is more strongly engaged with the frame 12. [ to be.

따라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는 상기 제2홈(120b)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는 상기 손잡이(22)의 축(220)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2)의 손잡이 지지부(222)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와 접하여 상기 손잡이(22)가 고정된다.Therefore, the handle fix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close to the second groove 120b and protrude. In this case, the handle fixing part 122 is formed to be protruded by the height of the shaft 220 of the handle 22 so that the handle supporting part 222 of the handle 22 is in contact with the handle fixing part 122, (22) is fixed.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손잡이(22)가 상기 프레임(12)에 직접 접하여 회전하지 않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에 접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12)과의 마찰을 줄여 상기 프레임(12)과 손잡이(2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handle 22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ame 12, the handle 22 rotates in contact with the handle 12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frame 12, The wear of the frame 12 and the handle 22 can be prevented.

상기 기어 고정부(124)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122)의 외측에 더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어 고정부(124)는 상기 기어(24)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gear fix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radius on the outside of the handle fixing portion 122.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ear fixing portion 124 is formed to protrude by the height of the gear 24.

상기 기어의 관통부(26)로 손잡이의 기어 삽입부(224)가 관통해 상기 기어(24)가 상기 손잡이(22)와 결합하게 되고 상기 기어(24)를 상기 프레임(12)에 결합시키는 경우 기어 고정부(124)가 상기 기어(24) 하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기어(24)가 흔들리지 않고 프레임(12)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gear insertion portion 224 of the handle passes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26 of the gear so that the gear 24 is engaged with the handle 22 and the gear 24 is engaged with the frame 12 The gear fixing portion 124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gear 24 so that the gear 24 can be engaged with the frame 12 without shaking.

상기 기어 고정부(124)가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어(24)가 상기 프레임(12)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The gear fixing portion 124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gear 24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frame 12.

또한, 상기 기어(24)가 상기 프레임(12)과 닿는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프레임(12)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게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contact of the gear 24 with the frame 12 is reduced and friction with the frame 12 can be reduc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ear 24 protrudes as shown in FIG.

즉 먼저 상기 손잡이(2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에 고정시키고, 상기 기어(24)를 상기 프레임(12) 위에서 상기 프레임(12) 방향으로 끼워넣어 상기 손잡이(22)와 상기 결합부(13)에 고정시킨다.The handle 22 is first fixed to the frame 12 as described above and the gear 24 is fitted over the frame 12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12 to form the grip 22 As shown in Fig.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제1선반(50)과 결합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코너에 위치하여 상하운동을 하는 나사형 축(32), 상기 나사형 축(32)과 맞물려서 상기 나사형 축(32)을 승하강시키는 맞물림부재(3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moving unit 30 includes a screw shaft 32 disposed at a corner of the frame 12 and moving up and down as shown in FIG. 6, And an engagement member 34 that engages with the screw shaft 32 to move the screw shaft 32 upward and downward.

상기 맞물림부재(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강화부재(62)에 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형 축(32)이 상기 맞물림부재(34)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esh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62 as shown in FIG. 6 and the threaded shaft 32 may pass through the meshing member 34.

상기 맞물림부재(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34a)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34 may include a guide tube 34a as shown in FIG.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제2선반(10)에 식품이 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선반(10)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선반(50)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제1선반(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두께가 얇은 스틸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60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helf 50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second shelf 10 when food is stuck to the second shelf 10, And may be provided with a thin steel plate formed to penetrate the steel plate 50.

다만, 상기 스틸플레이트는 두께가 얇아 상기 나사형 축(32)을 이동시키는 나사산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나사형 축(32)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제2선반(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teel plate is thin, it is difficult to form a thread for moving the threaded shaft 32 and it is difficult to stably move the threaded shaft 32, so that a twist phenomenon occurs and the second shelf 10) can be difficult to move up and down.

따라서, 상기 맞물림부재(34)에 가이드관(34a)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형 축(32)이 상기 가이드관(34a)을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나사형 축(32)이 접하는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진다.A guide tube 34a is provided in the engaging member 34 so that the threaded shaft 32 is moved through the guide tube 34a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threaded shaft 32 contacts It becomes thick.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관(34a) 내부에 상기 나사형 축(32)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산을 충분히 형성하여 상기 나사형 축(32)의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form a thread for moving the threaded shaft 32 into the guide tube 34a, thereby sec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hreaded shaft 32. [

또한, 상기 제1강화부재(62)에 상기 맞물림부재(34)가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비틀림 현상 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나사형 축(32)과 상기 제2선반(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gagement member 34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62, the screw shaft 32 and the second shelf 10 can be moved more vertically without torsion. .

상기 나사형 축(32)의 상부 끝은 상기 프레임(12)의 홈(12a)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홈(12a)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2)과 상기 이동부(30)가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threaded shaft 32 i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2a of the frame 12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12a so that the frame 12 and the moving part 30 are engaged can do.

한편, 상기 나사형 축(32)은 상기 벨트(40)와 맞물리는 머리(32a)와 상기 맞물림부재(34) 및 상기 제1강화부재(62)와 접촉하는 몸통(32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머리(32a)는 상기 벨트(40)가 맞물려서 돌아갈 수 있도록 톱니바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eaded shaft 32 is formed to include a head 32a engaged with the belt 40 and a body 32b contacting the engaging member 34 an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62 . The head 32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gged wheel so that the belt 40 can be engaged and rotated.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40)와 맞물려 구비된 상기 나사형 축(3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나사형 축(32)은 상기 맞물림부재(34)의 가이드관(34a)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8, the threaded shaft 32 engaged with the belt 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elt 40 and the threaded shaft 32 is rotated by the engagement member 34 along the threading formed inside the guide tube 34a.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40)는 상기 프레임(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형 축(32)과 상기 기어(24)에 맞물리도록 구비된다.8, the belt 40 is positioned within the frame 12 and is adapted to engage the threaded shaft 32 and the gear 24.

따라서, 상기 손잡이(22)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22)에 결합된 기어(24)도 함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기어(24)의 톱니에 맞물려 구비되는 상기 벨트(40)가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knob 22 is rotated by the user, the gear 24 coupled to the handle 22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belt 40 ).

이 때 벨트(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벨트(40)와 맞물려 구비되는 상기 나사형 축(32)도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나사형 축(32)은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므로 상기 제2선반(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as the belt 40 moves, the threaded shaft 32 engaged with the belt 40 also rotates. Since the threaded shaft 32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The second shelf 1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상기 벨트(40)는 상기 기어(24)의 회전을 상기 이동부(30)에 전달하여 본 발명 선반 어셈블리(100)의 구동을 실현시키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belt 40 is provided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gear 24 to the moving unit 30 to realize driving of the lath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벨트(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이동부(30)에 맞물려 폐곡선을 이루도록 구비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8, the belt 40 is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moving parts 30 to form a closed curve.

벨트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벨트의 이동범위에 제한이 있게 되고 벨트의 이동에 따라 제2선반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2선반(10)의 이동범위에도 제한이 생기게 된다.When the belt is not made of a closed curve,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belt,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shelf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elt, .

즉, 본 발명의 벨트(40)가 프레임(12) 내부에 폐곡선을 이루면서 이동부(30)에 맞물리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2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선반(10)의 높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bel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moving part 30 while forming a closed curve in the frame 12, the user can continuously rotate the knob 22 in either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helf 10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내부에 가이드필러(18)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pillar 18 inside the frame 12 as shown in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필러(18)는 상기 프레임(12) 중 전방 프레임의 가운데 구비되는 기어(24)와 코너에 구비되는 이동부(30)의 사이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 9, the guide pillars 18 are provided between the gear 24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frame of the frame 12 and the moving unit 30 provided at the corner.

또한, 상기 가이드필러(18)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필러(18)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필러(18)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guide pillars 18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illars 18, and the guide pillars 18 may have a variety of sizes.

상기 벨트(40)는 상기 기어(24) 및 상기 가이드필러(18)와 맞물려서 구비된다.The belt 40 is engaged with the gear 24 and the guide pillar 18.

다만 상기 벨트(40)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므로 상기 기어(24)와 상기 가이드필러(18)에 상기 벨트(40)가 맞물리는 부분이 반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owever, since the belt 40 i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belt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gear 24 and the portion where the belt 40 is engaged with the guide pillars 18 are reversely forme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40)가 상기 기어(24)의 전방부와 맞물려서 구비되는 것과 반대로 상기 가이드필러(18)의 경우 후방부와 상기 벨트(40)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9, the belt 40 is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gear 24, and in the case of the guide pillars 18, the rear portion and the belt 40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

또한, 상기 벨트(40)가 상기 기어(24)의 후방부 및 상기 가이드필러(18)의 전방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lt 40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gear 24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pillar 18.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벨트(40)가 상기 기어(24)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필러(18)와도 맞물리므로 더욱 팽팽하게 유지되고 상기 기어(24)와 상기 가이드필러(18)가 상기 벨트(40)와 맞물리는 부분이 반대이므로 상기 벨트(40)가 상기 기어(24)와 접하는 선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40 is meshed with not only the gear 24 but also the guide pillars 18 so that the gear 24 and the guide pillars 18 are held in tension by the belt 40 The area of contact of the belt 40 with the gear 24 is increased.

따라서, 상기 기어(24)와 상기 벨트(40)가 넓은 선면적을 가지도록 접하므로 기어(24)가 적은 횟수만 회전하더라도 상기 벨트(40)의 이동범위가 넓어지게 되어 적은 시간과 힘을 들여 상기 제2선반(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gear 24 rotates only a small number of times, the belt 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elt 40 with a wide line area, so that the moving range of the belt 40 is widened, The second shelf 10 can be moved up and down.

1: 본체 2: 냉장실
3: 냉동실 4: 냉장실 도어
5: 냉동실 도어 10: 제2선반
12: 프레임 13: 결합부
14: 연장부 16: 플랜지부재
18: 가이드필러 22: 손잡이
24: 기어 26: 관통부
30: 이동부 32: 나사형 축
32a: 머리 32b: 몸통
34: 맞물림부재 34a: 가이드관
40: 벨트 50: 제1선반
60: 고정부 62: 제1강화부재
64: 제2강화부재 120: 결합홈
120a: 제1홈 120b: 제2홈
122: 손잡이 고정부 124: 기어 고정부
220: 축 222: 손잡이 지지부
224: 기어 삽입부 224a: 평탄면
224b: 돌출편
1: Main body 2: Refrigerator room
3: Freezer 4: Refrigerator door
5: Freezer door 10: Second shelf
12: Frame 13:
14: extension part 16: flange member
18: guide filler 22: handle
24: gear 26:
30: moving part 32: threaded shaft
32a: head 32b: torso
34: engaging member 34a: guide tube
40: belt 50: first shelf
60: fixing part 62: first reinforcing member
64: second reinforcing member 120: engaging groove
120a: first groove 120b: second groove
122: Handle fixing part 124: Gear fixing part
220: shaft 222: handle support
224: gear inserting portion 224a: flat surface
224b:

Claims (16)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품을 거치할 수 있는 제1선반;
상기 제1선반의 코너에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선반;
상기 제2선반의 하부에 결합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구비되며 회전가능한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및 상기 이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A first shelf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helf assembly and capable of receiving food;
A plurality of moving parts coupled to the corners of the first shelf and moving up and down;
A second shelf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ing unit;
A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helf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A rotatable handle provid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 gear which is locat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nd engages with the handle and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handle;
A belt provided in the frame and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gear and the moving part;
Wherein the shelf assembly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벨트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하운동을 하는 나사형 축;
상기 나사형 축과 맞물려서 나사형 축을 승하강시키는 맞물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includes: a screw-type shaft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belt and moves up and down;
An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the screw shaft to move up and down the screw shaft;
Wherein the shelf assembly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재는 상기 나사형 축을 감싸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축은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해 상하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gagement member further comprises a guide tube surrounding the threaded shaft,
And the threaded shaft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guid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코너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내에 상기 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at a corner of the frame,
And the moving part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어와 결합되는 일측에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축;
상기 축보다 반경이 큰 손잡이 지지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어에 삽입되는 기어 삽입부;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has a projection on one side to be engaged with the gear
The projection having an ax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A handle support portion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e axis;
A gear insertion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ll hold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gear;
Wherein the shelf assembly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삽입부는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ear insertion portion includes a flat surface and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fla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기어 삽입부가 관통해서 결합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gear includes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gear insertion portion is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결합홈;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 고정부;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를 고정시키는 기어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A handle fixing part formed to protrude so as to fix the handle;
A gear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andle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gear;
Wherein the shelf assembly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제1홈;
상기 손잡이 지지부 보다는 작고 상기 손잡이의 축과는 같거나 큰 반경을 가지는 제2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gaging groove has a first groove having a radius larger than a radius of the pull holding portion;
A second groove smaller than the handl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radius equal to or greater than an axis of the handle;
Wherein the shelf assembly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과 접하며 상기 제1선반을 관통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선반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선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ur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lf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shelf;
Wherein the fixing par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ward of the first shelf to move the second she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와 상기 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필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pillar located inside the frame and provided between the moving part and the gear;
Wherein the shelf assembly further compris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필러와 상기 기어가 상기 벨트와 맞물리는 면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어셈블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uide pillar and the gear engage the belt.
식품이 저장되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마련된 본체; 및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설치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어셈블리는
선반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품을 거치할 수 있는 제1선반;
상기 제1선반의 코너에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선반;
상기 제2선반의 하부에 결합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구비되며 회전가능한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위치하여 손잡이와 결합하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및 상기 이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refrigerating chamber or a freezing chamber in which food is stored; And
And a shelf assembly install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shelf assembly
A first shelf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helf assembly and capable of receiving food;
A plurality of moving parts coupled to the corners of the first shelf and moving up and down;
A second shelf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ing unit;
A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helf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A rotatable handle provid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 gear which is located at an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and engages with the handle and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handle;
A belt provided in the frame and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gear and the moving part;
Wherein the refrigerator is a refrigera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벨트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하운동을 하는 나사형 축;
상기 나사형 축과 맞물려서 나사형 축을 승하강시키는 맞물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ving unit includes: a screw-type shaft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belt and moves up and down;
An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the screw shaft to move up and down the screw shaft;
Wherein the refrigerator is a refrigera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코너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내에 상기 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at a corner of the frame,
And the moving part is provided in the extended pa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과 접하며 상기 제1선반을 관통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선반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선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ecur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lf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shelf;
Wherein the fixing part is provided to protrude inward of the first shelf and moves the second shelf.
KR1020130010316A 2013-01-30 2013-01-30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014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316A KR102014787B1 (en) 2013-01-30 2013-01-30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316A KR102014787B1 (en) 2013-01-30 2013-01-30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98A true KR20140097798A (en) 2014-08-07
KR102014787B1 KR102014787B1 (en) 2019-08-27

Family

ID=5174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316A KR102014787B1 (en) 2013-01-30 2013-01-30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7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840A (en) * 2017-10-18 2018-03-0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compartment humidity regulation mechanism and refrigerator
WO2020046235A3 (en) * 2018-07-12 2020-05-28 Arcelik Anonim Sirketi Shelf height adjustment mechanis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043A (en)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Shelf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JP2004286411A (en) * 2003-03-25 2004-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JP3648138B2 (en) * 2000-03-27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JP4111038B2 (en) * 2000-03-27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KR20100056026A (en) *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00128099A (en) * 2009-05-27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with height adjustment storage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8138B2 (en) * 2000-03-27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JP4111038B2 (en) * 2000-03-27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KR20040059043A (en)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Shelf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JP2004286411A (en) * 2003-03-25 2004-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KR20100056026A (en) *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00128099A (en) * 2009-05-27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with height adjustment storag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840A (en) * 2017-10-18 2018-03-0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compartment humidity regulation mechanism and refrigerator
CN107747840B (en) * 2017-10-18 2019-11-0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compartment humidity regulation mechanism and refrigerator
WO2020046235A3 (en) * 2018-07-12 2020-05-28 Arcelik Anonim Sirketi Shelf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787B1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478B2 (en) Refrigerator
US10731916B2 (en) Refrigerator
US10876788B2 (en) Refrigerator
US10935306B2 (en) Refrigerator
US10443923B2 (en) Refrigerator
US8047623B2 (en) Refrigerator
KR101949738B1 (en) Rail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102114074B1 (en)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20103B1 (en) A storing container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US20090026906A1 (en) Refrigerator
EP3764046A1 (en) Refrigerator
KR20150031011A (en) Refrigerator
EP3546866B1 (en) Refrigerator
KR100954518B1 (en) A refrigerator and shelf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KR20140134865A (en) Refrigerator
KR20140097798A (en)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090047566A (en) Roller type slide for household electric appliaces
EP2933405A1 (en)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271961B1 (en) A fixing structure for vegetables room door in refrigerator
KR102163918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