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747A -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747A
KR20140096747A KR1020130009725A KR20130009725A KR20140096747A KR 20140096747 A KR20140096747 A KR 20140096747A KR 1020130009725 A KR1020130009725 A KR 1020130009725A KR 20130009725 A KR20130009725 A KR 20130009725A KR 20140096747 A KR20140096747 A KR 20140096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ursor
display unit
sig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9425B1 (en
Inventor
김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425B1/en
Publication of KR2014009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Abstract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an audio signal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be matched with position information on a screen of a display unit and be stored; selecting a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a curso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mong the categories; and assigning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an audio control signal received to the audio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0001]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서의 위치 기반으로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sound signal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최근 CRT(Cathode Ray Tube)에 이어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보급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digital display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a plasma display panel, Is becoming popular.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음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interest in user interface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sound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ch a digital display is increas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카테고리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coustic signals of a specific category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and selectively controlling acoustic signals included in a specific category selec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 specific object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and selectively controlling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a selected specific obje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신호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향 신호에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 memory for classifying the acoustic signal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storing the acoustic signals by matching with positional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curso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and giving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received in the acoustic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have.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향 신호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may classify the sound signal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Category, and may provide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음향 신호를 배경음과 사람의 음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음 및 상기 사람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배경음 및 상기 사람의 음성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The memory may classify and store the sound signal into a background sound and a human voice, and the controller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sound and the voice of the person based on a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may assign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sound and the voice of the person.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별로 음향 신호를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Also, the memory classifies and stores sound signals for each objec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correspond to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can be given to the sound sign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별로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부의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신호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 memory for classifying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matching the sound signals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cursor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mong the acoustic signals stored in the memory and giving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an acoustic control signal received in the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can do.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위치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위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select an object displayed at the cursor position, and may provide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select an object closest to the cursor position and apply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한편,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들 각각에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락 중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mory stores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in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stores the matched acoustic signals, and the controller matches the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And may provide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pecific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카테고리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coustic signals of a specific category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electively control acoustic signals included in the selected specific category.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 specific objec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electively control the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활성화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음향 신호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음향 효과가 제어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제어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가 선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제어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가 선택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음향 제어 신호에 따른 음향 효과가 적용될 객체가 선택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show examples of how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3 is activated.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coustic signa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7 is performed.
9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9 is performed.
11 shows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sound effec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speaker to output a controlled acoustic signa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Fig. 14 shows examples in which a speaker to output a controlled acoustic signa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shows examples in which an object to which a sound effect according to a sound control signal is to be applie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17 is performed.
19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20 is performed.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lectronic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TV, 모니터, 노트북, 스마트폰, 프로젝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TV, a monitor, a notebook, a smart phone, a projector, and the lik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100)는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메모리(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전자 기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1,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 memory 170,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1 are not requir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receive a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AV 입력부(120)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AV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a microphone, and the like. The camera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microphone receives the external acoustic signa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a user.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상기 전자 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기기(100) 주변 환경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sense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may detect the state of the user and may sens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may serve as a ba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자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부(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을 소정의 편광각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display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r a flexible display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polarizing film for filter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polarization angl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가 3차원 입체 영상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편광 안경 방식, 셔터 글라스 방식에 따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방식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n image according to a polarizing glasses system or a shutter glass system in order to allow a user to recogniz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However,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음향 출력부(160)는 전자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60)는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60 outputs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sound output unit 16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Also, the sound output unit 160 may output sound through the earphone jack.

메모리(170)는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그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에는 색약의 종류에 따라서 정상인용 영상 데이터를 색약자용 영상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90, and ma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The memory 170 ma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and corresponding sound data. In addition, the memory 170 may store an algorithm for converting normal citation image data to color image data for color blind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color weakness.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7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 An optical disc, and the lik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70 on the Internet.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100)의 시청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영상 출력 상태 제어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90 may perform a video output state control function and a user interface providing function to protect the visual acuity of the view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본 명세서에는, 상기 제어부(190)가 시청자의 시력 보호를 위하여 영상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를 시력 보호 모드라 명명한다. 시력 보호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100)를 통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100)와 상기 주변의 밝기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video output state for protecting the eyesight of the viewer is referred to as a vision protection mode. In the vision protection mode,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100 so as to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order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user's eyes watching the image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0 100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시청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면,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하였다는 알림, 시청 가능 시간 알림,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알림,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s viewing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90 notifies the user that the user has watched the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notifies the user of a viewable time, The user interfac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

이러한 제어부(190)의 기능 수행은 향후 도 2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 본다.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19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1. FIG.

전원부(19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and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and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9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9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Also,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90. [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시청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영상 출력 상태 제어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살펴 본다.In the forego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inafter, a video output state control function and a user interface providing function for protecting a viewer's eyesigh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1.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한다(S100). 음향 신호의 분류 기준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객체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로 정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신호는 사람의 음성 신호와 배경음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음향 신호의 분류 예가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90 classifies the sound signal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stores them in a manner matching with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S100).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of the acoustic signa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may be determined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acoustic signal. In addition, the acoustic signal may be classified into a human voice signal and a background sound category. However, classification examples of acoustic signal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110). 여기서, 커서는 상기 전자 기기(100)의 리모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도 있고, 마우스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방법이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n, the control unit 190 selects a category of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S110). Here, the curso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based on a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based on a gesture of the user, An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by operation of the apparatus. 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curs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음향 카테고리가 선택된 상태에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1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130). 여기서, 음향 제어 신호는 전자 기기(100)의 음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ith the acoustic category selected,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120). Then, the control unit 190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S130). Here, the sou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user's remote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soun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 specific gesture of the user, and the lik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에는 단순한 음량 증가나 음량 감소뿐만 아니라, 배경음 강조 및/또는 약화, 사람의 음성 강조 및/또는 약화, 각종 필터링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의 조합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simple volume increase and a volume reduction but also a background sound emphasis and / or weakening, a human voice emphasis and / or weakening, various filtering functions, .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제어부(190)가 음향 효과 엔진을 제어하여 선택된 음향 신호에 음향 효과를 부여하거나, 음향 출력부(160) 또는 오디오 엠프를 제어하여, 선택된 음향 신호에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음향 효과 엔진은 상기 제어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90)와는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효과 엔진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sound effect engine to give a sound effect to the selected sound signal, or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unit 160 or the audio amp to give a sound effect to the selected sound signal. Here, the sound effect engine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90 or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90. The sound effect engine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200). 즉, 상기 제어부(190)는 각 블락에 대한 음향 신호를 하나의 카테로리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음향 신호는 블락 단위로 제어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0 classifies the sound signal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and stores them (S200). That is, the control unit 190 may store the acoustic signals for each block as one category. Then, the acoustic signal can be controlled on a block-by-block basis.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210). 특정 블락이 선택된 상태에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21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230).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block where the curs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S210). With the specific block selected,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210). Then, the controller 190 gives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to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S230).

즉,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의 블락 단위로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복수의 블락을 동시에 선택하여 그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3, the user can control the sound signal in units of blocks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user may simultaneously select a plurality of blocks and simultaneously control corresponding acoustic signals.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활성화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다.Figs. 4 and 5 show examples of how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3 is activated.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가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의 (a)에서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는 오른손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일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10)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the display driving method when a specific gesture of the user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21. In FIG. 4 (a), the user's specific gesture may be an operation of rocking the right hand to the left or right. Referring to FIG. 4 (b),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the display driving metho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operates the specific button 210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리모콘(200)의 조작에 따라 커서(151)가 특정 패턴으로 움직이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리모콘(200)의 마이크(2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at the cursor 151 moves in a specific patter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 5B,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the display driving method when a voice command of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220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have.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활성화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활성화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 예시된 다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tivation methods of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ctivation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may be applied to other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s exemplified in this specification.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음향 신호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coustic signa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도 6의 (a)는 가로로 1268개, 세로 708개의 좌표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이 6개의 블락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리모콘(200)에 대응되는 커서(15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10)을 조작하는 것을 나타낸다.6A,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which can be implemented with coordinates of 1268 horizontally and 708 vertically, can be divided into six blocks, and a cursor 151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indicates that the user operates the specific button 210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

도 6의 (b)는 사용자의 리모콘(200) 조작에 따른 도 6의 (a)에 도시된 블락별 음향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커서(151)가 위치하는 블락에 따라서 사람의 음성 및 배경음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100)는 커서(151)가 위치하는 블락에 따라서 음향 효과가 부여되는 스피커의 위치 역시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6 (b) shows a sound effect for each block shown in FIG. 6 (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of the user. Referring to FIG. 6 (b),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human voice and background sound according to the block where the cursor 151 is located. It is also not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hange the position of a speaker to which a sound effect is given according to a block where the cursor 151 is loca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7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300). 여기서,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는 그 블락에 표시된 객체일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0 classifies and stores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object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S300). Here,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block may or may not be the object displayed in the block.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을 선택하고(S310), 상기 선택된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한다(S320). 그런 다음,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330).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S310), and sel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lock (S320). Then,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33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230).In step S230, the controller 190 appli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즉, 도 7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에 대한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선택하여 그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7, a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an acoustic signal for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user may simultaneously select a plurality of objects and simultaneously control acoustic signals corresponding to them.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7 is performed.

도 8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커는 특정 영역(Region-C)에 위치하며, 음량 증가를 위한 음향 제어 신호가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9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영역(Region-C)에 대응되는 객체인 승용차의 소리를 크게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display unit 150 is divided into four regions, and a speaker is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Region-C), and a sound control signal for increasing the volume is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122 Lt; / RTI > Then, as shown in FIG. 8B, the control unit 190 can largely change the sound of the passenger car, which i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Region-C).

그러나, 만약, 커서가 다른 영역(Region-D)에 위치한 상태에서 음량 증가를 위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그 영역에 대응되는 버스의 소리를 크기 증가시킬 수 있다.However, if the sound control signal for increasing the volume is received while the cursor is located in another region (Region-D), the controller 190 may increase the sound of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한편, 화면의 상부 영역들(Region-A 및 Region-B)에는 소리를 발생하는 객체가 없으므로, 커서가 상기 영역들(Region-A 및 Region-B)에 위치한 상태에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object generating sound in the upper regions (Region-A and Region-B) of the screen, when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cursor is positioned in the regions (Region-A and Region- , The controller 190 may not perform any operation.

그러나, 상기 영역들(Region-A 및 Region-B)은 화면에 표시된 객체인 승용차나 버스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는 상기 영역들(Region-A 및 Region-B)에 커서가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 명령으로 승용차나 버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However, the regions (Region-A and Region-B) can be set to correspond to passenger cars or buses, which are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state,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in the regions (Region-A and Region-B), the user can control the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 car or bus by voice comman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9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4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S410). 그런 다음,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33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430).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90 classifies and stores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frequency bands (S400). Then, the control unit 190 selects a specific frequency ban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S410). Then,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330). Then, the control unit 190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of the selected frequency band (S430).

즉, 도 9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선택하여 그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9, a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an acoustic signal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user may simultaneously select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simultaneously control acoustic signals corresponding to them.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9 is perform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4개의 블락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블락에는 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커서(151)가 특정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 업 버튼(230) 또는 볼륨 다운 버튼(240)를 조작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만 음량이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display unit 150 may be divided into four blocks, and a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is assigned to each block. When the user operates the volume up button 230 or the volume down button 240 while the cursor 151 is positioned in a specific area, the volume can be controlled only for the acoustic signal of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음향 효과가 제어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11 shows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sound effec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커서(151)의 가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10)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음향 효과를 음량 증가 또는 감소로 달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11A,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button 210 of the user's remote controller 200 is based o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ursor 151 And the sound effect generated by the speaker can be chang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기기(100)는 커서의 세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서도 사용자의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10)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음향 효과를 음량 증가 또는 감소로 달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의 가로 방향의 위치 및/또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량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lso be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ound effect gen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button 210 of the user's remote controller 20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different.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volume is increased or decreased based o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 o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커서의 세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제어 신호가 적용될 스피커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기기(100)는 세로 방향의 커서 위치에 기초하여서도 음향 제어 신호가 적용될 스피커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b),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ler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speaker to which the sound control signal is appli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speaker to which the sound control signal is to be applied even based on the vertical cursor position.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의 가로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달리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기기(100)는 세로 방향의 커서 위치에 기초하여서도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달리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C,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ler 190 can vary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lso vary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vertical cursor posi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12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를 획득한다(S5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510).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S500). Then, the controller 190 receives the sound control signal (S51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 중에서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피커를 선택한다(S5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선택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530).Then, the control unit 190 selects a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from a plurality of speakers outputting the sound signal (S520). Then, the control unit 190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elected speaker (S530).

즉, 도 12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제어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복수의 스피커를 동시에 선택하여 그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12, the user can select a speaker to output a controlled acoustic signal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user may simultaneously select a plurality of speakers and simultaneously control corresponding acoustic signals.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제어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가 선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3은 6개의 스피커(310 내지 360)를 포함하는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에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speaker to output a controlled acoustic signa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Note that. FIG. 13 illustrates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5.1-channel speaker system including six speakers 310 to 360. Referring to FIG.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6개의 스피커에 대응되는 6개의 블락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음향 신호를 제어하고자 하는 스피커에 대응되는 블락에 커서를 위치시킨 다음, 음향 신호 제어 신호를 전자 기기(100)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커서가 위치한 블락에 대응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display unit 150 is divided into six blocks corresponding to six speakers. The user places a cursor on a block corresponding to a speaker for controlling the acoustic signal and then applies an acoustic signal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reby control the acoustic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can do.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제어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가 선택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참고로,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에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적용한 다른 예들이다.Fig. 14 shows examples in which a speaker to output a controlled acoustic signa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For reference, FIG. 14 shows other examples in which the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is applied to the 5.1-channel speaker system shown in FIG.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커서의 가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제어 신호에 따른 음향 효과가 적용될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A,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 speaker to which a sound effect according to a sound control signal is to be appli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커서의 세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제어 신호에 따른 음향 효과가 적용될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b),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 speaker to which a sound effect according to a sound control signal is to be appli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15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객체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6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한다(S610). 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0 classifies and stores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objects (S600). 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S610).

그런 다음,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6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630).Then,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620). In step S630, the control unit 190 provid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즉, 도 15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선택하여 그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15,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sound signal for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may simultaneously select a plurality of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imultaneously control soun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m.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음향 제어 신호에 따른 음향 효과가 적용될 객체가 선택되는 예들을 나타낸다.Fig. 16 shows examples in which an object to which a sound effect according to a sound control signal is to be applie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커서(151)에서 가장 가까운 객체인 승용차를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가 부여될 객체로 선택한 것을 알 수 있다.16A,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assenger car, which is the object closest to the cursor 151, as an object to be imparted with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커서(151)가 위치한 좌표에 표시된 버스를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가 부여될 객체로 선택한 것을 알 수 있다.16 (b), the controller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bus indicated by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cursor 151 is located on an object to be imparted with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도 16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커서(151)가 위치한 블락에 표시된 사람을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가 부여될 객체로 선택한 것을 알 수 있다.16 (c), the controller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person indicated in the block where the cursor 151 is located, as an object to which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is to be given As shown in Fig.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17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객체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객체를 선택한다(S800). 그런 다음,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81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820).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90 classifies and stores sound signals according to objects. 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 specific objec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screen (S800). Then,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810). In step S820, the controller 190 appli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그런 다음, 상기 선택된 객체의 표시 위치가 변경된다(S73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객체의 위치 변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스피커 중 특정 스피커를 선택한다(S740). 그리고 다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750).Then,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lected object is changed (S730). 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 specific speaker among a plurality of speaker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change of the selected object (S740). Then, the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again (S75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 음향 신호를 제어한다(S76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객체에 대한 선택이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70). 만약, 객체에 대한 선택이 해제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객체에 대한 음향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S7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Then,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elected speaker (S760). Then,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ion of the object is released (S770). If the selection of the object is canceled, the controller 190 deactivates the sound control function for the object. However, if not, the controller 190 performs step S720 again.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객체가 선택된 이후에 특정 객체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부여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display position of a specific object is changed after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of the cursor,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Signal.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17 is performed.

도 18의 (a)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의 구성하는 4개의 블락들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가 할당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8의 (b)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가 화면을 구성하는 블락에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18A shows a state in which speakers corresponding to the four block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are allocated. 18 (b) shows that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moves in the block constituting the screen.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가 표시되는 블락에 대응되는 스피커를 음향 효과가 부여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로 선택할 수 있다.18 (c), the controller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peaker corresponding to a block in which an object is displayed is referred to as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imparted with a sound effect .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19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통신부(110)를 통하여 방송 신호가 수신된다(S800). 그러면,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방송 스트림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와 객체의 시간별 좌표값을 추출하여 저장한다(S810). 즉,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객체별로 분류된 음향 신호 및 그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 broadca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800). Then,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extracts and stores the object type and the time-based coordinate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PSIP) of the broadcast stream (S810).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eive the acoustic signal classified by the o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방송 스트림에서 객체별 음향 신호를 추출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한다(S8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객체를 선택한다(S830). 특정 객체가 선택된 상태에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한다(S840).Then, the control unit 190 extracts an object-based sound signal from the broadcast stream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70 (S820). 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 specific objec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S830). When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and the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based on the sound control signal (S840).

도 19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방송 신호에 객체별로 분류된 음향 신호와 객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방송 신호의 PSIP에 포함된 시간 정보,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을 특정 서비스 사이트에 송신하여, 객체별로 분류된 음향 신호와 객체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Unlike the one shown in Fig. The broadcast signal may not include the acoustic signal classified by the objec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ime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PSIP of the broadcast signal to a specific service site,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signa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ject, have.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20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음향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음향 신호를 객체별로 분류하여 식별 수단에 매칭시켜 저장한다(S9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식별 수단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한다(S910). First,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tores a sound signal together with a video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0 classifies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the objects, and stores them by matching with the identification means (S900). Then, the controller 190 sel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means selected by the user (S910).

그런 다음,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된다(S9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S930).Then, a sou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S920). In step S930, the controller 190 appli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즉, 도 20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선택하여 그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20,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sound signal for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may simultaneously select a plurality of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imultaneously control soun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m.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전자 기기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 shown in FIG. 20 is performed.

도 21의 (a)는 자동차에는 식별 수단 '1'이 할당되고, 버스에는 식별 수단 '2'가 할당되고, 사람에서는 식별 수단 '3'이 할당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21의 (b)는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50)을 누르면, 화면에 표시된 객체 중에서 선택 가능한 객체에 대해서는 그 식별 수단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21 (a) shows that the identification means '1' is assigned to the vehicle, the identification means '2' is assigned to the bus, and the identification means '3' is assigned to the person. 21 (b) shows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specific button 250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object that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identification means.

도 21의 (c)는 특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리모콘(200)을 통하여 식별 수단 '3'을 선택할 경우,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식별 수단 '3'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객체인 사람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음량 증가를 위한 음향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선택된 사람의 음성 신호를 크게 변경한다.21 (c), when the user selects the identification means '3'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0 on the specific screen, the control unit 19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ets the predetermine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means '3' It represents the choice of a person. In this state, when a sound control signal for increasing the volume by the user is received, the controller 190 greatly changes the voice signal of the selected person.

이상에서 살펴본, 전자 기기 구동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driving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code a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00: 전자 기기 110: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음향 출력부 170: 메모리
180: 전원부 190: 제어부
200: 리모콘 310~360: 스피커
100: electronic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display unit
160: Acoustic output unit 170: Memory
180: power supply unit 190: control unit
200: Remote control 310 ~ 360: Speaker

Claims (16)

디스플레이부;
음향 신호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향 신호에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 display unit;
A memory for classifying the acoustic signal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storing the acoustic signals by matching with positional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curso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and giving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control signal received to the acoustic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향 신호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ignal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 block where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음향 신호를 배경음과 사람의 음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음 및 상기 사람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배경음 및 상기 사람의 음성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Classifies the acoustic signal into a background sound and a human voice,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sound and the human voice is selected based on a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background sound and the human voice To the electronic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별로 음향 신호를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Classifying and storing acoustic signals for respective object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rein,
Wherein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음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Classifies and stores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frequency bands,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an acoustic signal included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a block where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control signal to the acoustic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frequency band Electronic devic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좌표 및 상기 수신된 음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향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controls the volume of the acoustic signal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based on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received acoustic control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가로 방향의 위치 또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량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determines whether the volume is increased or decreased based on the horizontal position o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ur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가로 방향의 위치 또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sets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differently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좌표에 대응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speak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디스플레이부;
음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별로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부의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 display unit;
A memory for classifying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matching the sound signals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cursor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giving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a sound control signal received in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위치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Selects an object displayed at a position of the cursor and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위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Selects an object closest to a position of the cursor and gives a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락들 각각에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락 중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블락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is matched and stor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rein,
Wherein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is given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object stored in the block matching the block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상기 커서의 위치 또는 상기 선택된 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피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 plurality of speak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And controls the volume of the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or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object among the plurality of speakers in response to the received acoustic control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객체가 선택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수신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효과를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object is chang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fter the specific object is selec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control signal is given to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object And the electronic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특정 네트워크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객체별로 분류된 음향 신호 및 상기 객체별로 분류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specific network,
And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signal classified by the object and the acoustic signa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KR1020130009725A 2013-01-29 2013-01-29 electronic device KR102039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25A KR102039425B1 (en) 2013-01-29 2013-01-29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25A KR102039425B1 (en) 2013-01-29 2013-01-29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47A true KR20140096747A (en) 2014-08-06
KR102039425B1 KR102039425B1 (en) 2019-11-01

Family

ID=5174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725A KR102039425B1 (en) 2013-01-29 2013-01-29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4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61A1 (en) * 2020-10-19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700A (en) * 1999-03-25 2001-02-2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Method and system for sound projection for computer display
JP2008071354A (en) * 2006-09-14 2008-03-27 Avaya Technology Llc Audible computer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KR20100006862A (en) * 2008-07-10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utpu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116147A (en)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erforming remote control fucntion for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700A (en) * 1999-03-25 2001-02-2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Method and system for sound projection for computer display
JP2008071354A (en) * 2006-09-14 2008-03-27 Avaya Technology Llc Audible computer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KR20100006862A (en) * 2008-07-10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utpu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116147A (en)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erforming remote control fucntion for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61A1 (en) * 2020-10-19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425B1 (en)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0688B2 (en) Visual ai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495029B2 (en) Head mount 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55780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recognition thereof
US9030465B2 (en) Vehicle user interface unit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US95949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US10045066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9332105B2 (en) Communica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35484B1 (en) Head mounted display
KR20160016907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14012830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31712B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CN110933452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lovely face gift and storage medium
KR20160060846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EP31190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5210580A (en) Display system and wearable device
US11240466B2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video calling method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and video call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US104169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39425B1 (en) electronic device
KR2015014108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52501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CN109918882B (en) Image encryp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40019545A (en) Image outputting device
KR102582332B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olling mobile apparatus by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027813A (en) Glass type terminal
KR2022001866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