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199A -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199A
KR20140095199A KR1020130007813A KR20130007813A KR20140095199A KR 20140095199 A KR20140095199 A KR 20140095199A KR 1020130007813 A KR1020130007813 A KR 1020130007813A KR 20130007813 A KR20130007813 A KR 20130007813A KR 20140095199 A KR20140095199 A KR 20140095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polymer
solution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2726B1 (en
Inventor
김은경
박태훈
김병관
신해진
박치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26B1/en
Publication of KR2014009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1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which can operate at a low temperature same as the body temperature, is safe on a human body, and is useful as a thermal conductive material; and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manufactured by the method.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3-1000 times of thermal efficiency when compared to a conventional organic material-based thermoelectric device.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a thin film of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etho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본 발명은 열전 소재로서 유용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useful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and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ethod.

갈수록 늘어나는 에너지 사용량을 충당하기 위하여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태양발전, 풍력발전, 원자력발전, 조력발전, 지열발전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미래 에너지원으로서 자연계 및 생체, 인체의 운동 또는 열과 같은 에너지원을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to cover the ever increasing use of energy. In recent years, not only solar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nuclear power generation, tidal power generation and geothermal power generation, which are generally known, have been sought to utilize energy sources such as natural systems, living bodies, human bodies or heat as future energy sources.

압전 소자의 경우 기차의 철로나 도로 밑에 삽입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기차 및 차량이 지나가면서 가하는 압력을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용도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 일본의 지하철 역, 유럽의 댄스 공연장 등에 설치된 사례는 사람이 걷거나 뛰는 과정에서의 압력을 기반으로 에너지 생성을 하고 있다. 열전소자도 이와 같은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열전 소재란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재이다. 단, 기존의 에너지 발전 방식은 연료를 태우거나 다른 어떤 에너지를 활용하여 터빈을 돌려서 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라면, 열전소자는 이런 중간 과정 없이 열을 바로 전기로 변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열에너지, 정확하게는 온도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에너지 발전 또는 사용 과정에서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piezoelectric elements,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inserting under the railway or under the road of the train, and it has been studied for converting the pressure applied by the train and the vehicle to energy into energy. Recently, however, Is generating energy based on pressure in the process of walking or running. Thermoelectric devices also fall into this category. Thermoelectric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can convert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However, if the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method is a method of burning the fuel or using some other energy to turn the turbine to obtain energy,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the advantage of converting the heat directly into electricity without such intermediate process. And the condition required to generate electricity is thermal energy, which is precisely the temperature difference, which means that the heat energy can be recycled in the form that can not be used in other energy generation or use processes.

이러한 현상이 발견된 것은 1800년대 초기로, 그 이후 많은 연구와 함께 물리적인 이해가 뒷받침되어 오늘날에는 그 특성에 대한 수치적인 평가 기준이 확보되었고, 부분적으로는 열전소자가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This phenomenon was discovered in the early 1800s and has since been supported by a lot of research and physical understanding, and nowadays numerical evaluation criteria for its properties are secured, and in some cases thermoelectric de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열전 소재의 성능은 열전성능 지수(figure of merit)는 ZT=S2σ/k로 표현된다. 여기서, S는 제벡계수, σ는 전기전도도, k는 열전도도,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이 ZT값이 얼마인가에 따라 그 사용가능 분야가 정해진다. 현재는 ZT값이 1을 조금 넘는 단계에서 상용화되고 있지만, 이는 상온보다 훨씬 높은 온도 조건을 요구한다. 이렇게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열전소자는 무기물계 반도체 물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높은 열전 특성을 얻기 위해 복합체, 나노 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 performance of the thermoelectric material is expressed by the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 S 2 σ / k. Where S is the Seebeck coefficient, σ i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k is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 is the absolute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ZT value, the field of use is determined. Currently, the ZT value is commercialized at just over 1, but this requires a much higher temperature condition than room temperature. The thermoelectric devices,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are based on in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In recent years, researches on composites and nanostructur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obtain higher thermoelectric properties.

무기물계 반도체 물질은 열적 안정성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작동할 수 있기에 자동차 및 공장의 폐열을 활용하여 에너지 생산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단단하고 결정성을 가지므로 유연한 소자로의 제작이 어렵고, 여전히 물질 자체의 독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고온뿐만 아니라 인체의 에너지 중 열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인체의 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생성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경우인 압전 발전의 예는 이미 세계 곳곳에서 사람의 무게를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많이 보고 되었다. 인체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조금 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압전과 같이 인체의 접촉 없이 무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인체에 접촉되어 최대한 열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체의 굴곡에 맞추어 유연하게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고온의 열을 방충하는 다른 공업 시스템이 아니라 체온과 같은 저온에서도 에너지 생성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 같은 조건을 생각하면 기존의 무기물계 반도체 물질은 유독성 및 단단한 특성으로 인해 적용이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유기물계 열전 소재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높은 열전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have high thermal stability and can operate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so they can generate energy using waste heat from automobiles and factories. However, since it is basically hard and has a crystallinity,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flexible device, and it is still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toxicity of the substance itself.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made to generate energy using not only high temperature but also heat of the human body. Another example of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which can generate energy through the human body's energy, has already been reported to generate energy through the weight of a person already in the world. Using the human body's heat energy requires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heat as much as possibl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rather than using the weight without touching the human body like the piezoelectric. And it should be able to be made flexible 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of the human body. It should be able to generate energy at low temperatures, such as body temperature, rather than other industrial systems that insulate heat at high temperatures.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it can be seen that conventional in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are difficult to apply due to their toxicity and rigi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is, studies on organic thermoelectric material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Among them, research on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capable of having a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has been made steadily.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무기물 소재를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유기 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기 태양전지의 응용 분야를 바탕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기본적으로 유기물이므로 무기물 반도체에 비해 쉽게 그 구조를 변형하여 다양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열전 소재로 활용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강점은 낮은 열전도도로 인해 증가하는 ZT 값이다. 전기전도성 고분자의 경우 본질적으로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어, 높은 열전성능 지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유기물을 기반으로 하는 열전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소자 제작에 있어 매우 유리하고, 프린팅 방식을 통해 보다 단순하고 저렴한 공정으로 소자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열전 복합 소재로서 사용되어 소자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되기도 한다. 일례로 미국특허 제5,472,519호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의 열전 소재로서의 가능성과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제특허공개 제WO2010/048066호 및 제WO2012/115933호에서는 열전 복합 소재의 지지체로서의 전도성 고분자를 제시하고 있다. Electroconductive polymer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they can substitute inorganic materials at a low cost and are based on application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ransistors, and organic solar cells. Sinc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is basically an organic material, it can easily change its structure and induce a change in various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with inorganic semiconductors. The most significant advantage of using this as thermoelectric material is the ZT value which is increased due to low thermal conductivity. In the case of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it has inherently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a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dex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thermoelectric composition based on an organic material has basically flexible characteristics, it is very advantageous in production of a device, and a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 and inexpensive process through a printing method. These features are also used as thermoelectric composite materials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device. For example, U.S. Patent No. 5,472,519 discloses the possibility of a thermoelectric material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and a method for making a device. International Publication Nos. WO2010 / 048066 and WO2012 / 115933 disclose a conductive polymer as a support of a thermoelectric composite material I am suggesting.

뿐만 아니라 나노입자, 나노선에 대한 열전 특성이 연구됨에 따라, 유기물 나노입자, 나노선으로서의 열전 소재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전기 전도성 유기물 나노선은 미국특허공개 제2004/0246650호 및 미국특허 제 7,097,757호에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나노입자 및 나노선은 물질의 상태밀도를 조절하여 높은 제벡 계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nanoparticles and nanowires are studied, interest in thermoelectric materials as organic nanoparticles and nanowires is increasing. For example, electroconductive organic nanowires are report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04/0246650 and U.S. Patent No. 7,097,757. These nanoparticles and nanowires have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state density of the material to obtain a high Seebeck coefficient.

열전성능 지수에서 열전도도를 제외하면, 열전 조성물은 열전 특성의 평가 기준인 출력인자를 통해 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출력인자는 제벡계수의 제곱과 전기전도도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그 동안 유기물계 열전 조성물은 낮은 열전도도에도 불구하고 낮은 출력인자로 인해 열전소재로서의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일례로 일본특허공개 제2000-323758호에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로서 폴리아닐린을 사용하고 적층이나 연장 등으로 열전 변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열전 변환 성능이 낮고, 실용 레벨에 이르고 있지 않다. 또한, 미국특허 제5,472,519호에는 전도성 고분자로 폴리(poly)(3-옥틸 티오펜), 도핑제로서 염화철을 몰비 2:1로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전기 전도성이 낮아 열전 변환 성능이 실용 레벨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를 통해 개선된 전기 전도도를 바탕으로 다시 열전 소재로서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리고 전도성 고분자의 경우 도핑정도를 조절하여 캐리어 농도를 바꾸어 줌으로써 전기 전도도와 제벡 상수 값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캐리어 농도가 증가하면 모빌리티 증가에 의해 전기 전도도는 증가한다. 반대로 제벡 계수를 캐리어 농도가 감소하면 증가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도핑 정도를 조절하여 제벡 계수의 제곱과 전기 전도도의 곱인 최대 출력인자가 최대 값이 얻어질 수 있도록 연구한 논문이 보고된 바 있다(Olga Bubnova, et al., Nature Materials, vol. 10 (2011) p.429 및 Re'da Badrou Aich, et al., Chem. Mater., vol. 21 (2009) p.751). 도핑정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환원법과 전기화학적 환원법이 있다. 상기 논문은 각각 화학적 환원법과 전기화학적 환원법을 사용하였다. 화학적 환원법을 사용한 논문은 출력인자 값이 최대 324μW/mK2 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화학적 환원법은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정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전기화학적 환원법을 통해 출력인자를 향상 시킨 두 번째 논문은 물질 자체의 특성이 우수하지는 않지만 정확한 도핑정도를 제어했다는 점에서는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전기화학적 환원법은 물질이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전극 기판 위에 형성되어야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었다. 이는 전기적 환원법을 적용하여 실제 열전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극 기판의 사용에 따른 공정의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 전도도가 충분히 높아서 전기 전도성 고분자 자체가 전극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면 앞서 언급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전기 전도성 고분자 필름을 형성하고 그 자체로 전극으로 활용하여 출력인자를 높이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인체의 피부온과 환경온의 차이에서 실제로 에너지 생성을 확인하였다.Excepting the thermal conductivity in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dex, the thermoelectric composition can determine the efficiency through the output factor, which is an evaluation criterion of the thermoelectric property. The output factor can be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square of the Seebeck coefficient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meantime, the organic thermoelectric composition has not received great attention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due to low output factor despite its low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23758 discloses use of polyaniline a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nd improvement of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performance by lamination or extension, but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performance is low and the practical level is not reached. In addition, U.S. Patent No. 5,472,519 discloses the use of poly (3-octylthiophene) as the conductive polymer and 2: 1 molar ratio of the iron chloride as the dopant. However, sinc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low, It has not come. Recently, i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based on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through active research. In the case of the conductive polym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Zebe constant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carrier concentration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doping. As the carrier concentration increas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d mobility. Conversely, the Seebeck coefficient increases as the carrier concentration decreases. In this connection, a paper has been reported which can maximize the maximum output factor, which is the product of the square of the Seebeck coefficient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by adjusting the degree of doping (Olga Bubnova, et al., Nature Materials, vol. 10 (2011) p.429 and Re'da Badrou Aich, et al., Chem.Mater., Vol. 21 (2009) p.751).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doping include chemical reduction and electrochemical reduction. The above paper used chemical reduction and electrochemical reduction methods, respectively. For the paper using chemical reduction method, the output parameter value was reported to be 324 μW / mK 2 maximum. However, the chemical reduct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accurately controlling the degree of doping of the conductive polymer. The second paper, which improves the output factor through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method, is not good i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tself, bu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ols the degree of precise doping.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chemical reduction method has a limitation that the material can be formed only on an electrode substrate having an electric conductivity.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using the electrode substrate to make an actual thermoelectric device by applying the electrical reduction method. I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high enough so that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tself can be used as an electrod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forming a high-conductivity polymer film and increasing the output factor by utilizing it as an electrode will be described. This confirms the actual energy productio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kin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미국특허 제5,472,519호(1995.12.05 등록)U.S. Patent No. 5,472,519 (registered on December 5, 1995) 국제특허공개 제WO2010/048066호(2010.04.29 공개)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2010 / 048066 (published on April 29, 2010) 국제특허공개 제WO2010/048066호(2012.08.30 공개)WO2010 / 048066 (published Aug. 30, 2012) 미국특허공개 제2004-0246650호(2004.12.09 공개)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2004-0246650 (published on December 12, 2004) 미국특허 제7,097,757호(2006.08.29 등록)U.S. Patent No. 7,097,757 (registered on August 29, 2006) 일본특허공개 제2000-323758호(2000.11.24 공개)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23758 (published Nov. 24, 2000)

Olga Bubnova, et al., Nature Materials, vol. 10 (2011) p. 429 Olga Bubnova, et al., Nature Materials, vol. 10 (2011) p. 429 Re'da Badrou Aich, et al., Chem. Mater., vol. 21 (2009) p. 751 Re'da Badrou Aich, et al., Chem. Mater., Vol. 21 (2009) p. 751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온도와 같은 저온에서 작동이 가능하고 인체에 안전하며 유연하여 열전 소재로서 유용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which can be operated at a low temperature such as a human body temperature and which is safe and flexible to the human body, thereby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useful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및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and the thin film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산화제, 중합 완화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산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화 용액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를 첨가하여 용액중합하거나, 또는 상기 산화 용액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상기 도막에 대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의 증기를 공급하여 증기중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reparing an oxidizing solution containing an oxidizing agent, a polymerization modifier, a copolymer comprising a polyalkylene glycol as a unit, and a solvent; Then, a solution of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added to the oxidizing solution, or a coating film is formed by applying the oxidizing solution. Then, the vapor of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supplied to the coating fil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comprising the step of polymerizing a conductive polymer.

상기 산화제는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DL-주석산(DL-tartaric acid),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염화철 (ferric chloride), 황산톨루엔 철(iron p-toluenesulfonate), β-나프탈렌술폰산(β-naphthalenesulfonic acid),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캄포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xidiz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monium persulfate, DL-tartaric acid, poly (acrylic acid), copper chloride, ferric chloride, p-toluenesulfonic acid, camphorsulfon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xidizing solution I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상기 중합 완화제는 pKa 3.5 내지 12의 염기성 물질일 수 있으며, 산화제 1몰에 대하여 0.1 내지 2의 몰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modifier may be a basic substance having a pKa of 3.5 to 12,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 molar ratio of 0.1 to 2 based on 1 mol of the oxidizing agent.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polymer is preferably a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as a unit, more preferably a ternary co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poly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00 g / mol, and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상기 용매는 알코올계 화합물,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메틸케톤, 테트라클로로에탄,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cohol compound, tetrahydrofuran, dioxin,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acetone, methyl ketone, tetrachloroethane, toluene,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산화 용액은 폴리알킬렌글리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증점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xidizing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kylene glycols,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thickeners,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제조방법은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후, 중합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으로 하여 전해질 용액 중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polymeriz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adjusting the doping amount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by an electrochemical method using a polymerized electroconductive polymer as an electrode and applying a voltage in an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전기전도도가 500S/cm 이상일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may be 500 S / cm or mor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ethod.

상기 열전소자는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p-타입(p-type)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과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n-타입(n-type)으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 반도체의 박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and a thin film of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which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is a p-typ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located on the substrate, Type (n-typ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of the organic semiconductor or the inorganic semiconductor.

상기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substrate may be flexible.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detail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열전소자는, 종래 유기물 기반 열전소자와 비교했을 때 3 내지 1000배 증가된 열전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the thermoelectric efficiency increased by 3 to 1000 time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rganic-based thermoelectr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박막형 열전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박막형 p-n 접합 열전소자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형 열전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hin-film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of the thin film type pn junction thermoelectric element manufactured in Example 4. FIG.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cked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the specific embodiments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자연계 및 생체, 인체의 운동 또는 열과 같은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한 열전 소재로서 주로 이용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 특히 산화 중합형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도핑 정도에 따라 다른 열전 특성을 나타낸다. BACKGROUND ART [0002]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especially oxidative polymerization 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s, which are mainly used as thermoelectric materials for use as electric energy by utilizing an energy source such as natural or living body, human body motion or heat, exhibit different thermoelectric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oping.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과정을 조절하여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그 결과로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자체 전극으로 사용하여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환원법을 통해 산화정도, 즉 도핑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낮은 전도도도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전기전도도와 제벡계수를 조절하여 열전소자에 적용시 높은 출력인자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by controlling the polymerization process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as a result,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s used as a self-electrode, and the degree of oxida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ow conductiv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and controls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Seebeck coefficient to exhibit a high output factor when applied to a thermoelectric device .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산화제, 중합 완화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산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그리고 상기 산화 용액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를 첨가하여 용액중합하거나, 또는 상기 산화 용액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상기 도막에 대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의 증기를 공급하여 증기중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중합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oducing an oxidation solution comprising an oxidizing agent, a polymerization modifier, a copolymer comprising a polyalkylene glycol as a unit and a solvent (Step 1) Polymerizing a solution of the monomer for forming a polymer or applying the oxidizing solution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n supplying a vapor of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o the coating to polymerize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2). ≪ / RTI >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preparing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계 1) (Step 1)

단계 1은 산화제, 중합 완화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산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Step 1 is a step of preparing an oxidizing solution containing a solvent and a copolymer containing an oxidizing agent, a polymerization modifier, a polyalkylene glycol as a unit, and a solvent.

상기 산화제는 모노머의 중합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후에는 도판트(dopant)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The oxidizing agent is a substance that induces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and may also function as a dopant after polymeriz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상기 산화제로는 중합에 의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NH4)2S2O8), DL-주석산(DL-tartaric acid),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염화철 (ferric chloride), 황산톨루엔 철(iron p-toluenesulfonate), β-나프탈렌술폰산(β-naphthalenesulfonic acid),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캄포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oxidizing agent include ammonium persulfate (NH 4 ) 2 S 2 O 8 , DL-tartaric acid (DL-tartaric acid), and the like. acid, poly (acrylic acid), copper chloride, ferric chloride, iron p-toluenesulfonate,? -naphthalenesulfonic acid, p P-toluenesulfonic acid, camphorsulfonic acid, and a mixture thereof.

상기 산화제는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제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산화제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미반응 산화제의 잔류에 따른 부반응 발생 및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 전도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제는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4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The oxidiz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If the content of the oxidizing agent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effect of adding the oxidizing agent is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of the oxidizing agent is more than 50% by weight, side reactions may occur due to the remaining unreacted oxidizing agent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may be deteriorated. More preferably, the oxidiz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5 to 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상기 중합 완화제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시 산화제로 인해 낮은 pH, 구체적으로는 약 pH 1의 낮은 pH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산화제로서 철 이온 함유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철 이온의 작용을 상대적으로 늦추어 모노머의 중합으로 사슬이 긴 고분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합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polymeric emollient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low pH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due to the oxidizing agent during polymeriz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specifically, the low pH of about pH 1. Especially when the ferrous ion-containing substance is used as the oxidizing agent, , It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polymerization rate so that a long chain polymer can be formed by 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중합 완화제로는 pKa 3.5 내지 12의 염기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Ka가 3.5 미만이면 pH 보완 효과가 미미하여 중합 속도 조절이 어렵고, pKa가 12를 초과하면 산화 용액의 pH가 지나치게 높아져 중합반응이 억제되고, 그 결과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 완화제는 pKa 5 내지 12의 염기성 물질인 것이 좋다.A basic material having a pKa of 3.5 to 12 is preferably used as the polymerization modifier that performs such action. If the pKa is less than 3.5, the effect of compensating the pH is insignificant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olymerization rate. If the pKa is more than 12, the pH of the oxidizing solution becomes excessively high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inhibited. As a result,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may be lowered. More preferably, the polymerization modifier is a basic substance having a pKa of 5 to 12.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 완화제는 상기 범위 내의 pKa 값을 갖는 아민계 화합물이거나, 또는 피리딘계, 이미다졸계, 피롤계 등과 같은 질소원자 함유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의 이미다졸계 화합물, 피리딘, 피페리딘, 피롤리딘, 4-메틸-3-피리딘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페닐피리딘, 3-(4-피리디닐)아닐린, 4-(4-피리디닐)아닐린, 4-페닐-2-피리딘아민, N-메틸[4-(4-피리디닐)페닐]메탄아민, 4,4'-바이피리딜, 2,2'-디메틸-4,4'-바이피리딘, 이소퀴놀린(Isoquinoline), 6-이소퀴놀리닐아민, 6-메틸이소퀴놀린, 5-이소퀴놀린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polymerization modifier may be an amine compound having a pKa value within the above range, or a nitrogen atom-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heterocyclic compound such as pyridine, imidazole, pyrrole, etc. More specifically, 1-imidazole-based compounds, pyridine, piperidine, pyrrolidine, 4-methyl-3-pyridineamine, 4-dimethylaminopyridine, 4-phenylpyridine, 3- (4- pyridinyl) aniline, 4- 4-pyridinyl) aniline, 4-phenyl-2-pyridineamine, N-methyl [4- (4- pyridinyl) phenyl] methanamine, 4,4'- , 4'-bipyridine, isoquinoline, 6-isoquinolinylamine, 6-methylisoquinoline, 5-isoquinoline amine or triethylamine. Of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more than two species.

[화학식 1] [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부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Wherein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d a butyl group.)

상기 중합 완화제는 산화제 1몰에 대하여 0.1 내지 2의 몰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에 대한 중합 완화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즉 1:0.1몰 미만인 경우, pH 보완 효과가 미미하고, 단사슬의 고분자가 형성되기 쉬우며, 그 결과로 전기 전도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다. 한편 산화제에 대한 중합 완화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즉 1:2몰 초과인 경우 산화제의 산화 작용을 지나치게 억제하여 중합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다.The polymerization modifi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a molar ratio of 0.1 to 2 based on 1 mol of the oxidizing agent. When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modifier to the oxidizing agent is too low, that is, when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modifier is less than 1: 0.1 mole, the effect of complementing the pH is insignificant, the polymer of the single chain is easily formed, and the electric conduction improving effect is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modifier to the oxidizing agent is excessively high, that is,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1: 2, the oxidizing action of the oxidizing agent is excessively suppressed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difficult to occur.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공중합체'라 함)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반응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지만, 산화제가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합의 결과로 형성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배향을 정렬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전기 전도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중합체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삼원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A copolymer comprising the polyalkylene glycol as a uni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polymer') does not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but prevents the oxidizing agent from crystallizing, And helps to align the orientation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s the copolymer, a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may be used. Preferably, a co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with a ter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 And a ter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as a unit may be used.

이들 공중합체는 종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피롤 등과 같은 통상의 계면활성제에 비해 박막 형성 및 전기적 특성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These copolymers exhibit superior effects in film form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surfactants such as polyethylene oxid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polyvinyl alcohol, or polyvinylpyrrole,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in polymeriz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Mw) 500 내지 1,000,000g/mol인 것이 좋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g/mol 미만이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모폴로지 변화에 크게 관여하지 못해 전기적 특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000,000g/mol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큰 공중합체가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 채널을 차단할 우려가 있다. More preferably, the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00 to 1,000,000 g / mol.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500 g / mol,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conductive polymer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morphology of the conductive polymer.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more than 1,000,000 g / mol, There is a risk of blocking.

상기 공중합체는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공중합체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공중합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 채널 형성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고, 미반응 공중합체 잔류에 따른 부반응 발생의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중합체는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9 내지 36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The copolym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If the conten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of the copolymer is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of the copolymer is more than 40% by weight, there is a fear of obstructing the conductive channel form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a side reaction There is a concern. More preferably, the co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9 to 3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상기 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1차 또는 2차 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알코올계 화합물(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등);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메틸케톤, 테트라클로로에탄 또는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lcohol-based compounds (for exampl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pentanol, etc.) containing primary or secondary alcohols having 1 to 10 carbon atoms; Or an organic solvent such as tetrahydrofuran, dioxan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acetone, methyl ketone, tetrachloroethane or toluene may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m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용매는 산화 용액 중에 잔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용해도 및 혼합성 등을 고려하여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vent may be contained in the oxidizing solution in an amount of 5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in consideration of solubility and mixing properties.

상기 산화 용액은 첨가제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xidizing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polyalkylene glycol as an additive.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일 수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polyalkylene glycol may be a poly (alkylene of 2 to 6 carbon atoms) glycol such as polyethylene glycol or polypropylene glycol, and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00 g / mol.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은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alkylene glycol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상기 산화 용액은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형성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증점제 등의 첨가제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산화 용액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The oxidizing solu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and thicken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either singly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teriorate.

상기와 같은 산화제, 중합 완화제, 공중합체, 용매, 그리고 선택적으로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첨가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산화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An oxidizing solu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above-mentioned oxidizing agent, polymerization modifier, copolymer, solvent, and optionally polyalkylene glycol and additive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단계 2) (Step 2)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산화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를 용액중합 또는 증기중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계이다.Step 2 is a step of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by solution polymerization or steam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using the oxidizing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1.

상세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산화 용액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를 첨가하여 용액중합하거나, 또는 상기 산화 용액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상기 도막에 대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의 증기를 공급하여 증기중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solution is polymerized by adding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o the oxidizing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1, or by applying the oxidizing solution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n the vapor of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steam-polymerized to form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상기 용액중합 및 증기중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액중합에 의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산화 용액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를 첨가한 후, 기판, 예컨대 유리 기판, 고분자 필름 또는 웨이퍼 등에 바코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스핀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중합을 실시한다. 이 같은 실시공정에 따라 전기 전도성 고분자가 박막의 형태로 제조된다.The above solution polymerization and vapor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Specifically, when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form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added to the oxidizing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1, and then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coated on a substrate, such as a glass substrate, a polymer film or a wafer, Printing, inkjet printing or spin coating to form a thin film, and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또한, 증기중합에 의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산화 용액을 기판, 예컨대 유리 기판, 고분자 필름 또는 웨이퍼 등에 바코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스핀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도막을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의 증기에 노출시켜 중합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증기 중합을 실시하는 경우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가 기체상에서 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모노머를 중합한 후에 기판상에 도포하는 경우에 비해 기판과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과의 밀착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formed by vapor polymerization, the oxidizing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1 may be applied to the substrat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 polymer film or a waf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bar coa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 formed coating film is exposed to the vapor of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o effect polymerization. When the vapor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in this way,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can be polymerized in the gas phase,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is improv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onomer is polymerized after the monomer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polymerized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용액 또는 증기 중합시, 중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산화 용액의 도막 또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산화 용액의 도막을 50 내지 11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1시간동안 가열하는 공정을 선택적으로 더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중합이 완료된 박막 형태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에 대해서는 알코올계 용매 또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선택적으로 더 실시할 수 있다. The step of heating the coating film of the oxidizing solution containing the coat of the oxidizing solution or the monomer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t a temperature of 50 to 110 캜 for 5 minutes to 1 hour to promote polymerization during the solution or vapor polymerization is selectively performed The thin film 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 which has been polymerized can be selectively washed with an alcoholic solvent or distilled water and then dried.

상기 중합에 사용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로는, 통상 산화 중합에 의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형성시 사용되는 모노머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닐린 또는 아닐린 유도체, 피롤 또는 피롤 유도체,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o be used in the polymerization, monomers used in the formatio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by oxidation polymerization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Specifically, aniline or aniline derivatives, pyrrole or pyrrole derivatives, 3,4-ethylenedioxythiophene or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 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 디옥시 티오펜(Polyethylene dioxy thiophene, PEDOT)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formed by 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may b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or a derivative thereof.

상기 단계 2에서의 공정의 결과로 제조되는 전도성 고분자는 박막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박막에 대한 지지 기판으로는 앞서 설명한 유리 기판, 웨이퍼 또는 고분자 필름 등의 다양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연성을 갖는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conductive polymer produced as a result of the step in the step 2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At this time, as the supporting substrate for the thin film, various substrates such as the above-described glass substrate, wafer or polymer film can be used. In particular, a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can be used.

상기 제조방법은 중합 완화제와 함께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중합 공정을 조절함으로써,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에 비해 높은 전기 전도도, 구체적으로는 500S/cm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중합 완화제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약 1.3 내지 1,000 배 더 개선된 전기전도도이다.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can control the polymerization process by using a copolymer containing a polyalkylene glycol as a unit together with a polymerization modifier, so that it has a high electric conductivity, specifically 500 S / cm Or more can be produced. ≪ tb > < TABLE > This is about 1.3 to 1,000 times more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when using only the polymerization modifier.

종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기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에서도 전기적 방법은 전기 전도성 고분자 내 도핑량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기적 방법을 이용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은, 전극, 예를 들면 인듐 틴 옥사이드(ITO) 전극 위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위치시킨 후 전극에 전기를 가하여 실시한다. 그러나, 열전소자의 경우에는 ITO 전극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더러, 종래 제조방법에 다라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전도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ITO 전극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주로 화학적 방법만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도핑하였다. Conventionally, an electrical method and a chemical method are known as a method of controlling doping of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Among them, the electrical method has an advantage of easily controlling the doping amount in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Electrodepositio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using an electrical method is performed by pla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on an electrode, for example, an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 and then a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ode. However, in the case of a thermoelectric device, the ITO electrode is not required, and since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is not sufficiently high,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ITO electrode. Therefore, The polymer was doped.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가 현저히 증가된 전기 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그 자체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전기적 자극을 통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 내 도핑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체온과 환경온의 차이를 이용한 열전 소재로서 이용시 최대 출력인자를 나타낼 수 있는 전기 전도도 및 제벡계수를 갖도록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has a remarkably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tself is used as an electrode to control the doping ratio in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In particular, the doping ratio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can be easily controlled so as to have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Seebeck coefficient that can exhibit the maximum output factor when used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body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전극으로 하여 전해질 용액 중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기화학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산화정도, 즉, 도핑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시 사용된 산화제가 도펀트로서 역할을 한다.Accordingly, the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by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or a chemical method of applying a voltage in an electrolyte solution us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epared in the step 2 as an electrode, , That is, adjusting the doping amount. At this time, the oxida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serves as a dopant.

상세하게는, 전기 화학적 방법에 의해 도핑량을 조절하는 경우 전해질 용액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전극으로서 넣고, 참고 전극(예를 들면, Ag/Ag+)과 카운터 전극(예를 들면, 백금(Pt) 전극)이 들어간 3전극 상태에서 전압을 가하여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산화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지나치게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박막이 손상되지 않는 -2.5 내지 2.5V의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산화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when the doping amount is adjusted by an electrochemical method, a thin film of the conductive polymer prepared in the step 2 is inserted into an electrolyte solution as an electrode, and a reference electrode (for example, Ag / Ag +) and a counter electrode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thin film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a voltage in a three-electrode state including a platinum (Pt) electrode. In this case, when an excessively high voltage is applied,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may be damag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degree of oxidation by applying a voltage within a range of -2.5 to 2.5 V, which does not damage the thin film.

또한 상기 전해액으로는 통상 전기화학적 방법에 따른 도핑시 사용되는 전해액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부틸아민퍼클로레이트 또는 리튬퍼클로레이트 등의 전해질을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아세톤니트릴 등의 용매 중에 용해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해액은 전해질을 0.05 내지 1M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electrolytic solution used for doping according to an electrochemical method. Specifically, those prepared by dissolving an electrolyte such as tetrabutylamine perchlorate or lithium perchlorate in a solvent such as propylene carbonate or acetone nitrile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may contain the electrolyte at a concentration of 0.05 to 1M, preferably 0.1 to 0.5M.

또한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화학적 방법에 의해 도핑량을 조절하는 경우,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테트라키스 (디메틸아미도)에틸렌(Tetrakis(dimethylamino)ethylene, TDAE) 증기에 노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controlled by a chemical method, the thin film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exposing to tetrakis (dimethylamido) ethylene (TDAE) vapor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에 대한 도핑 공정 중에서도 도핑율 제어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electrochemical method in that doping rate control is easy in the doping process for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열전소자의 출력인자는 전기전도도와 제벡계수 제곱의 곱으로 나타낸다. 또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통상 산화정도가 높아지면 캐리어의 농도가 높아져서 전기 전도도는 증가하고 제벡계수는 감소한다. 반대로 산화정도가 낮아지면 캐리어의 농도가 낮아져서 전기 전도도는 감소하고 제벡계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산화공정을 통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산화정도, 즉 도핑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출력인자의 값이 최대값이 되도록 전기 전도도 및 제벡계수를 갖는 전기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The output factor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square of the Zeb center. In addition,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usually increases as the degree of oxidation increases, so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s and the Seebeck coefficient decreases. Conversely, when the degree of oxidation is lowered, the carrier concentration is lowered, the electric conductivity decreases and the Seebeck coefficient increases. Therefore, by conducting the oxid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at is, the doping ratio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to produce a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having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Seebeck coefficient so that the value of the output factor becomes the maximum value.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박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or a thin film containing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져, 고체 전해 콘덴서, 유기 EL 소자, 유기 태양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터치 패널, 전지 등의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 또는 열전소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는 산화공정을 통해 출력인자의 값이 최대값이 되도록 하는 전기 전도도 및 제벡계수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열전소자의 열전재료로서 특히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organic EL devices, organic solar cells, organic transistors, touch panels, and batteries; Or a thermoelectric element. Also,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may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Seebeck coefficient so that the value of the output factor is maximized through the oxidation process, and as a result, it is particularly useful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ethod.

상기 열전소자는 도핑 조절을 통해 출력인자를 증가시킨 전기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활용하여 제작가능한 수평형, 박막형 또는 적층형 구조의 소자일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 device of a horizontal, thin film or stacked structure which can be fabricated by utiliz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material having an increased output factor through doping control.

일례로, 적층형의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p-타입(p-type)으로서 포함되는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과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n-타입(n-type)으로서 포함되는 유기물 또는 무기 반도체의 박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acked structu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include a substrate, and a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form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ed as a p-type, And may further include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semiconductor thin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ed as an n-typ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이때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 웨이퍼 또는 고분자 필름 등의 다양한 기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용액 중합 또는 증기중합을 통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휘어지고 접을 수 있는 가요성(flexability)을 가지며, 원하는 크기만큼 잘라서 사용이 가능한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ubstrate may be a variety of substrates such as a glass substrate, a wafer, or a polymer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o-foldable flexibility is improv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hrough solution polymerization or vapor polymerization , And a usable substrate can be used by cutting to a desired size.

상기 유기물 또는 무기 반도체의 박막 형성 물질로는 테트라티아풀발린-테트라시아노퀴노다이메탄(tetrathiafulvalene-tetracyanoquinodimethane) 또는 n-타입으로 도핑된 탄소나노튜브(C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thin film forming material of the organic or inorganic semiconductor, tetrathiafulvalene-tetracyanoquinodimethane or n-type doped carbon nanotube (CNT)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열전소자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기판 위에 열전 소재로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n-타입으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 반도체의 박막을 더 포함하는 경우 통상의 박막 형성 공정, 예를 들면, 몰드법, 모세관내 미소몰딩법(micromolding in capillaries, MIMIC), 포토리소그라피법, 또는 잉크젯 프린팅법 등을 이용한 유기물 또는 무기 반도체의 박막 형성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on a substrate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nd further includes a thin film of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semiconductor as n- It may further include a thin film forming process of an organic or inorganic semiconductor using a conventional thin film forming process, for example, a molding process, a micromolding in capillaries (MIMIC), a photolithography process, or an inkjet printing process .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열전소자는, 열전 소재로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수평형, 박막형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열전소자의 각 제조방법에 대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except that a thin fil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produc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is used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In this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manufacturing method of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flat type, a thin film type and the lik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이용하여 유연한 열전소자의 제작 및 양산화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mass-produce a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by us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화학 약품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시그마 알드리치사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The chemical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unless otherwise noted.

실시예 1-1.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Example 1-1.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4g의 p-톨루엔술폰산을 6g의 부탄올에 넣고, 충분히 용해시켰다. 결과로 제조된 용액을 0.45㎛ 크기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수집한 후, 수집된 여과 용액에 피리딘 138.5㎕와 중량평균 분자량 2800g/mol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공중합체 2g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산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로서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331㎕를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4 g of p-toluenesulfonic acid was added to 6 g of butanol and sufficiently dissolved.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having a size of 0.45 mu m, and the filtered solution was collected. Then, 138.5 mu l of pyridine and a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800 g / mol 2 g of the terpolymer was added and sufficiently mixed to prepare an oxidizing solution. 331 占 퐇 of 3,4-ethylenedioxythiophene as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added and uniformly mixed.

결과로 수득된 혼합용액을 유리 기판에 1500rpm으로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유리 기판 위에 형성된 박막을 70℃로 가열된 핫플레이트 위에 옮겨 중합을 진행하였다. 1시간 정도 중합반응을 실시한 후, 박막이 노란색에서 검푸른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상온에서 냉각된 박막을 증류수에 담궈 세척하고, 질소 건을 통해 남은 용액을 불어낸 후, 다시 7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와 같은 냉각 후 세척 및 가열공정을 동일하게 2회 더 반복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The resultant mixed solution was spin-coated on a glass substrate at 1500 rpm to form a thin film. The thin film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was transferred onto a hot plate heated to 70 占 폚 to conduct polymerization. Aft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ompleted for about 1 hour,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 film was changed from yellow to dark blue and then cooled at room temperature. The thin film cooled at room temperature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washed, and the remaining solution was blown out through a nitrogen gun, followed by heating at 70 DEG C for 20 minutes. The cooling and heating processes after cooling were repeated two more times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thin films of electroconductive polymer.

0.1M 테트라부틸아민퍼클로레이트/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전해질 용액에, 상기에서 제조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전극으로 하고, Ag/Ag+ 참고전극과 Pt 카운터 전극을 담궜다. 초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산화상태와 비슷한 전위상태인 0.5V를 시작 전위로 하여 0.01V/s로 전위상태를 바꿔주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Ag / Ag + reference electrode and Pt counter electrode were immersed in a 0.1 M tetrabutylamine perchlorate / propylene carbonate electrolyte solution, us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epared above as an electrode.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was prepared by changing the potential state at 0.01 V / s with the initial potential of 0.5 V, which is similar to the oxidation state of the initially conductive polymer thin film.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도핑 정도를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으로 확인하였다. The degree of doping of the prepared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was confirm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그 결과, 초기 상태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정도는 28 내지 30%이었으며, 출력인자가 가장 높은 상태에서는 20 내지 22%의 도핑 정도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the doping level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in the initial state was 28 to 30%, and the doping level of 20 to 22% was exhibited at the highest output factor.

실시예 1-2.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Examples 1-2.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4g의 염화 철을 6g의 에탄올에 넣고, 충분히 용해시켰다. 결과로 제조된 용액을 0.45㎛ 크기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수집한 후, 수집된 여과 용액에 피리딘 138.5㎕와 중량평균 분자량 5800g/mol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 2g를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산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로서 3,4 에틸렌디옥시티오펜 331㎕를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4 g of iron chloride was added to 6 g of ethanol and sufficiently dissolved. The resultant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0.45 mu m filter, and the filtered solution was collected. To the collected filtrate was added 138.5 [mu] l of pyridine and a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800 g / 2 g of the terpolymer was added and sufficiently mixed to prepare an oxidizing solution. Then, 331 占 퐇 of 3,4-ethylenedioxythiophene as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added and uniformly mixed.

결과로 수득된 혼합용액을 유리 기판에 1800rpm으로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유리 기판 위에 형성된 기판을 50℃로 가열된 핫플레이트 위에 옮겨 중합를 진행하였다. 2시간 정도 중합반응을 실시한 후, 박막이 노란색에서 검푸른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상온에서 냉각된 박막을 에탄올에 담궈 세척하고, 질소 건을 통해 남은 용액을 불어낸 후, 다시 7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와 같은 냉각 후 세척 및 가열공정을 동일하게 2회 더 반복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The resultant mixed solution was spin-coated on a glass substrate at 1800 rpm to form a thin film. The substrat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was transferred onto a hot plate heated to 50 占 폚 to conduct polymerization. After polymerization reaction for about 2 hour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 film was changed from yellow to dark blue and then cooled at room temperature. The thin film cooled at room temperature was immersed in ethanol and washed, and the remaining solution was blown out through a nitrogen gun, and then heated again at 70 ° C for 10 minutes. The cooling and heating processes after cooling were repeated two more times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thin films of electroconductive polymer.

실시예 1-3.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Examples 1-3.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4g의 p-톨루엔술폰산을 6g의 에탄올에 넣고, 충분히 용해시켰다. 결과로 제조된 용액을 0.45㎛ 크기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수집한 후, 수집된 여과 용액에 피리딘 70㎕와 이미다졸 80㎕, 중량평균 분자량 2800g/mol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 2g, 첨가제로서 수평균 분자량 6000g/mol의 폴리에틸렌글리콜 0.5g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산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로서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331㎕를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4 g of p-toluenesulfonic acid was added to 6 g of ethanol and sufficiently dissolved. The resultant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having a size of 0.45 mu m, and the filtered solution was collected. Then, 70 mu l of pyridine, 80 mu l of imidazole,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800 g / 2 g of a ternary copolymer of glycol-polyethylene glycol and 0.5 g of polyethylene glycol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g / mol as an additive were added and thoroughly mixed to prepare an oxidizing solution. 331 占 퐇 of 3,4-ethylenedioxythiophene as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added and uniformly mixed.

결과로 수득된 혼합용액을 유리 기판에 1300rpm으로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유리 기판 위에 형성된 박막을 55℃로 가열된 핫플레이트 위에 옮겨 중합을 진행하였다. 1시간 정도 중합반응을 실시한 후, 박막이 노란색에서 검푸른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상온에서 냉각된 박막을 증류수에 담궈 세척하고, 질소 건을 통해 남은 용액을 불어낸 후, 다시 7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와 같은 냉각 후 세척 및 가열공정을 동일하게 2회 더 반복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The resultant mixed solution was spin-coated on a glass substrate at 1300 rpm to form a thin film. The thin film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was transferred onto a hot plate heated to 55 캜 to conduct polymerization. Aft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ompleted for about 1 hour,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 film was changed from yellow to dark blue and then cooled at room temperature. The thin film cooled at room temperature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washed, and the remaining solution was blown out through a nitrogen gun, followed by heating at 70 DEG C for 20 minutes. The cooling and heating processes after cooling were repeated two more times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thin films of electroconductive polymer.

실시예 1-4.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Examples 1-4.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2g의 p-톨루엔술폰산을 8g의 부탄올에 넣고, 충분히 용해시켰다. 결과로 제조된 용액을 0.45㎛ 크기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수집한 후, 수집된 여과 용액에 피리딘 69.25㎕와 중량평균 분자량 2800g/mol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 1g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산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2 g of p-toluenesulfonic acid was added to 8 g of butanol and sufficiently dissolved. The resultant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0.45 mu m filter, and the filtered solution was collected. To the collected filtrate was added 69.25 mu l of pyridine and a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800 g / mol 1 g of the terpolymer was added and sufficiently mixed to prepare an oxidizing solution.

상기에서 제조한 산화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판에 1800rpm으로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PET 기판 위에 형성된 박막을 50℃로 가열된 핫플레이트 위에 옮겨 가열하였다. 10분 정도 가열한 후,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로서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70℃에서 가열하여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증기로 가득 찬 용기에 상기 박막을 넣고, 30분 동안 중합을 진행하였다. 중합 완료 후 박막을 에탄올에 담궈 세척하고, 질소 건을 통해 남은 용액을 불어낸 후, 다시 7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와 같은 냉각 후 세척 및 가열공정을 동일하게 2회 더 반복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The oxide solution prepared above was spin-coated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at 1800 rpm to form a thin film. The thin film formed on the PET substrate was heated on a hot plate heated to 50 캜 and heated. After heating for about 10 minutes, 3,4-ethylenedioxythiophene as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heated at 70 DEG C to put the thin film into a container filled with 3,4-ethylenedioxythiophene vapor, And polymerization proceeded. After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the thin film was immersed in ethanol, washed, and the remaining solution was blown out through a nitrogen gun, followed by heating at 70 DEG C for 10 minutes. The cooling and heating processes after cooling were repeated two more times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thin films of electroconductive polymer.

0.1M 리튬퍼클로레이트/아세톤니트릴의 전해질 용액에, 상기에서 제조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전극으로 하고, Ag/Ag+ 참고전극과 Pt 카운터 전극을 담궜다. 초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산화상태와 비슷한 전위상태인 0.5V 를 시작 전위로 하여 0.01V/s로 전위상태를 바꿔주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Ag / Ag + reference electrode and Pt counter electrode we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of 0.1M lithium perchlorate / acetone nitrile us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epared above as an electrode.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was prepared by changing the potential state at 0.01 V / s with the initial potential of 0.5 V, which is similar to the oxidation state of the initially conductive polymer thin film.

비교예 1.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Comparative Example 1.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상기 실시예 1-1에서 피리딘을 277㎕ 사용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1 was repeated except that 277 占 퐇 of pyridine was used in Example 1-1 and a ter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was not used. A thin film of conductive polymer was prepared.

비교예 2.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Comparative Example 2.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상기 실시예 1-1에서 피리딘을 사용하지 않고, 중량평균 분자량 2,800g/mol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를 4g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4 g of a ter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800 g / mol was used instead of pyridine in Example 1-1. To prepare a thin fil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비교예 3.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제조Comparative Example 3. Thin Film Produ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상기 실시예 1-1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 대신에 수평균 분자량 6,000g/mol 폴리에틸렌글리콜을 4g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1 was repeated except that 4 g of polyethylene glycol in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g / mol was used instead of the ter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in Example 1-1 To prepare a thin fil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시험예 1Test Example 1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에 대해 전기 전도도와 제벡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Seebeck coefficient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s prepared in Examples 1-1 to 1-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11-1 1-21-2 1-31-3 1One 22 33 전기 전도도(S/cm)Electrical Conductivity (S / cm) 13601360 12901290 12101210 700700 600600 400400 제벡 계수(μW/K)Seebeck coefficient (μW / K) 7575 7373 7070 6565 6868 6262 출력 인자(μW/mK2)Output factor (μW / mK 2 ) 765765 687687 593593 296296 277277 154154

시험예 2 Test Example 2

상기 실시예 1-1 및 1-4에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에 대한 도핑 조절시, 0.5V를 시작 전위로 하여 0.01V/s로 전위상태를 바꿔주면서 0.1V 단계마다 전기 전도도와 제벡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및 3은 각각 실시예 1-1 및 1-4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에 대한 도핑 조절시 전기 전도도와 제벡 계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In Examples 1-1 and 1-4,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Seebeck coefficient were measured at each 0.1 V step while varying the electric potential at 0.01 V / s with the starting potential of 0.5 V when controlling the doping of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2 and 3, respectively. Tables 2 and 3 below show the results of observing changes in electric conductivity and Seebeck coefficient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s of Examples 1-1 and 1-4, respectively, when doping was controlled.

전위electric potential 전기 전도도
(S/cm)
Electrical conductivity
(S / cm)
오차범위
(S/cm)
error range
(S / cm)
제벡계수
(μW/K)
Seebeck coefficient
(μW / K)
오차범위
(μW/K)
error range
(μW / K)
출력 인자
(μW/mK2)
Output parameter
(μW / mK 2 )
22 720720 8181 4949 1.51.5 173173 1.51.5 16901690 101101 4949 1.31.3 406406 1.31.3 20602060 141141 5050 1.01.0 515515 1.11.1 21202120 131131 5050 0.90.9 530530 0.90.9 18401840 101101 5050 1.21.2 460460 0.70.7 17201720 9999 6363 1.21.2 683683 0.50.5 13501350 5050 7575 1.81.8 759759 0.30.3 12801280 6464 9696 2.12.1 11801180 0.10.1 920920 4545 117117 2.12.1 12601260 00 720720 5858 127127 3.03.0 11611161 -0.1-0.1 450450 4141 138138 2.32.3 857857 -0.2-0.2 370370 4949 149149 2.12.1 821821 -0.3-0.3 260260 4040 156156 2.22.2 633633 -0.4-0.4 220220 2121 159159 5.05.0 556556 -0.5-0.5 140140 3131 182182 6.16.1 464464 -0.6-0.6 100100 3535 185185 5.15.1 342342 -0.7-0.7 110110 4040 184184 6.06.0 372372 -0.8-0.8 9090 3030 190190 7.07.0 323323 -0.9-0.9 100100 2929 186186 6.26.2 346346 -1-One 100100 3535 186186 6.76.7 346346 -1.5-1.5 6060 1515 192192 4.64.6 221221 -2-2 5050 1111 190190 5.25.2 181181

전위electric potential 전기 전도도
(S/cm)
Electrical conductivity
(S / cm)
오차범위
(S/cm)
error range
(S / cm)
제벡 계수
(μW/K)
Seebeck coefficient
(μW / K)
오차범위
(μW/K)
error range
(μW / K)
출력 인자
(μW/mK2)
Output parameter
(μW / mK 2 )
22 800800 5555 5050 22 200200 1.51.5 17501750 8585 5050 1.81.8 438438 1.31.3 20002000 160160 5050 1.51.5 500500 1.11.1 20002000 153153 5151 1.31.3 520520 0.90.9 17001700 140140 5050 22 425425 0.70.7 15801580 120120 6565 2.12.1 668668 0.50.5 12001200 8585 7575 2.52.5 675675 0.30.3 10001000 7272 9595 1.81.8 903903 0.10.1 850850 5050 115115 2.32.3 11241124 00 700700 5151 125125 2.22.2 10941094 -0.1-0.1 450450 5353 135135 3.13.1 820820 -0.2-0.2 350350 5151 146146 22 746746 -0.3-0.3 250250 5858 151151 5.85.8 570570 -0.4-0.4 220220 4646 156156 4.54.5 535535 -0.5-0.5 130130 5353 172172 5.15.1 385385 -0.6-0.6 9090 3838 180180 6.76.7 292292 -0.7-0.7 9090 4545 185185 6.16.1 308308 -0.8-0.8 9191 4242 186186 6.16.1 315315 -0.9-0.9 8888 3737 188188 5.25.2 311311 -1-One 9090 3333 188188 4.34.3 318318 -1.5-1.5 7070 2828 189189 5.15.1 250250 -2-2 6060 2626 190190 4.74.7 217217

실시예 2-1. 열전소자의 제조Example 2-1. Manufacture of thermoelectric devices

ITO 필름 기판에 포토레지스트(MicroChem사의 Su-8 2000™)를 코팅하고 광마스크를 통해 에칭한 후, 금 전극을 증착하였다. 증착한 금 전극만을 남기고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다시 포토레지스트(MicroChem 사의 Su-8 2000™)를 코팅하고 전극의 양 끝 부분에만 에칭이 일어나도록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칭하였다. 에칭의 결과로 생긴 공간에 프린팅 방법을 통해 상기 실시예 1-1에서의 산화 용액을 주입하고, 60℃에서 2시간, 80℃에서 2시간, 그리고 110℃에서 20분 동안 중합을 진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면 증류수를 이용하여 남아있는 산화제를 세척, 제거하여, ITO 기판 위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The ITO film substrate was coated with a photoresist (Su-8 2000 ™ from MicroChem), etched through a photomask, and then a gold electrode was deposited. The photoresist was removed by leaving only the deposited gold electrode, and then photoresist (Su-8 2000 ™ manufactured by MicroChem Co., Ltd.) was coated thereon and etched using a photomask so as to etch only the both ends of the electrode. The oxidation solution in Example 1-1 was injected into the space resulting from the etching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60 ° C for 2 hours, at 80 ° C for 2 hours, and at 110 ° C for 20 minutes. After the polymerization was completed, the remaining oxidizing agent was washed and removed using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laminate including a thin film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on the ITO substrate.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도핑을 조절하기 위해 0.1M 테트라부틸아민퍼클로레이트/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전해질 용액에 상기에서 제조한 적층체를 전극으로 하여, Ag/Ag+ 참고전극 및 Pt 카운터 전극과 함께 침지하였다. 초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산화상태와 비슷한 전위상태인 0.45V를 시작 전위로 하여 0.01V/s로 전위상태를 바꿔주면서 0.1V 에서 정지하였다. 도핑 조절 완료 후 상기 전해질 용액에서 조립체를 꺼내어 에탄올로 수차례 세척하였다.In order to control the doping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the laminate prepared above was used as an electrode in an electrolyte solution of 0.1 M tetrabutylamine perchlorate / propylene carbonate and dipped together with Ag / Ag + reference electrode and Pt counter electrode. The initial electric potential was 0.45 V, which is similar to the oxidation state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and was stopped at 0.1 V while changing the electric potential to 0.01 V / s at the starting potential. After completion of the doping adjustment, the assembly was taken ou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washed several times with ethanol.

상기 도핑 조절이 완료된 조립체에서, 남아있는 각 전극의 다른 한쪽 부분의 공간에 n-타입 유기물로서 테트라티아풀발린-테트라시아노퀴노다이메탄(tetrathiafulvalene-tetracyanoquinodimethane) 용액을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최종적으로 두 물질의 접합이 가능하도록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통해 금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열전소자를 제조하였다.
In the assembly where the doping adjustment is completed, tetrathiafulvalene-tetracyanoquinodimethane solution is injected as a n-type organic material into the space of the other part of each of the remaining electrodes, A thermoelectric device was fabricated by forming a gold electrode through a photoresist pattern so that the material could be bonded.

실시예 2-2. 열전소자의 제조Example 2-2. Manufacture of thermoelectric devices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적층제의 도핑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적층체를 TDAE(Tetrakis(dimethylamino)ethylene) 증기에 10분간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열전소자를 제조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2-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laminate was exposed to TDAE (Tetrakis (dimethylamino) ethylene) steam for 10 minutes in order to control the doping rate of the laminate prepared in Example 2-1 Thereby preparing a thermoelectric element.

시험예 3Test Example 3

상기 실시예 2-1 및 2-2에서 제조된 열전소자에 대해 단위 면적당 p-n 접합 수 및 단위면적당 출력과 전체 출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s manufactured in Examples 2-1 and 2-2, the number of p-n junctions per unit area, the output per unit area, and the total output were measured.

상세하게는 단위면적당 p-n 접합 수는 p-type으로 사용된 전기전도성 고분자와 n-type으로 사용된 테트라티아풀발린-테트라시아노퀴노다이메탄의 쌍수를 계산하였고, 단위면적당 출력 및 전체 출력은 전체 열전소자의 양 끝단에서 생성되는 출력을 멀티미터로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number of pn junctions per unit area wa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pairs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used as the p-type and the tetrathiafulvaline-tetracyanoquinodimethane used as the n-type, and the output per unit area and the total output were The output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was measured by a multimeter.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단위 면적당 p-n 접합 수
(개/cm2)
Number of pn junctions per unit area
(Pieces / cm 2 )
단위 면적당 출력 (nW/cm2)Output per unit area (nW / cm 2 ) 전체 출력(4x4cm2) (nW/cm2)Total power (4 x 4 cm 2 ) (nW / cm 2 )
실시예 2-1Example 2-1 5050 9898 14271427 실시예 2-2Example 2-2 3030 5656 814814

실시예 3-1 내지 3-3. 박막형 열전소자의 제조Examples 3-1 to 3-3. Manufacture of thin film type thermoelectric devices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T 기판(11) 위에 은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도포하여 스트라이프 패턴의 전극(12)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13)을 가로 6mm 세로 30 mm로 잘라낸 후, 도 1에서와 같이 지그재그의 형태로 일 전극의 한 끝과, 인접한 전극의 반대쪽의 한 끝이 연결되도록 각각 접합하여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형 열전소자를 제조하였다.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electrodes 12 of a stripe pattern are formed by applying silver paste on the PET substrate 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in Examples 1-1 to 1-3 The thin film 13 of the prepared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cut to a width of 6 mm and a length of 30 mm. Then, one end of one electrode and one end of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adjacent electrode were connected in a staggered manner as shown in FIG. A thin film type thermoelectric element includ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prepared in Examples 1-1 to 1-3 was prepared.

실시예 4. 박막형 p-n 접합 열전소자의 제조Example 4: Preparation of thin film p-n junction thermoelectric device

박막형 p-n 접합 소자의 제조를 위해 p-타입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와 n-타입으로 특성이 변형된 CNT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A p-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n-type modified CNT were prepared in the following manner for the production of a thin film p-n junction device.

상세하게는 CNT 20mg 을 SDS (sodium dodecylsulphonate) 60mg 과 함께 물에 넣고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시킨 후, CNT 분산 용액을 종이에 떨어뜨려 건조시키고 과량의 SDS를 물로 씻어내었다. 상기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면 저항이 200Ω/cm2 이하가 되도록 한 후, 제조한 CNT 종이를 NaBH4 1M 용액에 12시간 동안 침지하여 n-타입으로 특성이 바뀌도록 하였다. Specifically, 20 mg of CNT was dispersed in water together with 60 mg of sodium dodecylsulphonate (SDS), dispersed by ultrasonication, and then the CNT dispersion solution was dropped on paper and dried, and excess SDS was rinsed with water. The above procedure was repeated several times to make the surface resistance to be 200 Ω / cm 2 or less, and the CNT paper thus prepared was dipped in a 1 M NaBH 4 solution for 12 hours to change its characteristics to n-type.

또한 기판으로서 두께 50㎛의 PET를 사용하고,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로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형성용 모노머인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에 대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핑을 조절하여 p-타입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and 2 except that PET having a thickness of 50 탆 was used as a substrate and 3,4-ethylenedioxythiophene, which is a monomer for forming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was used as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he thin film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The thin film of the prepared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thin film of the p-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

상기에서 제조된 제조된 p-타입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및 n-타입으로 준비된 CNT 종이를 50℃에서 1시간 동안 각각 건조하였다.The thus prepared p-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and n-type prepared CNT paper were each dried at 50 ° C for 1 hour.

전극으로는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고, 상기에서 건조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과 CNT는 은 접착제를 통해 연결하였다. 이때 은 접착제를 완전히 굳히기 위해 80℃ 오븐에서 5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제조된 연결체는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끼워 넣고 열처리를 통해 완벽히 봉합하여 박막형 p-n 접합 소자를 제조하였다(도 2 참조).
An aluminum foil was used as the electrode, and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dried in the above was connected to the CNT through a silver glue. At this time, the adhesive was dried in an oven at 80 ° C for 5 hours to completely cure the adhesive. The prepared connecting body was sandwiched between laminate films and completely sealed by heat treatment to produce a thin film type pn junction element (see FIG. 2).

실시예 5. 적층형 열전소자Example 5: A laminated thermoelectric element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형 열전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서 파란색 기판은 p-타입 전도성 고분자 필름(22)이고, 회색 기판은 PET 기판(21)이며, 검정색 기판은 n-타입 CNT 필름(23)이다. 도 3의 구조를 갖는 적층형 열전소자(20)의 제조를 위해, p-타입 전기 전도성 고분자 필름(22)과 n-타입 필름(23)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cked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blue substrate is a p-type conductive polymer film 22, the gray substrate is a PET substrate 21, and the black substrate is an n-type CNT film 23. 3, a p-typ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film 22 and an n-type film 23 were prepared in the following manner.

상세하게는, 30㎛ PET 기판(2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제조하였다.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조절을 위해, 0.1M 테트라부틸아민퍼클로레이트/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전해질 용액에, 상기에서 제조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전극으로 하여 Ag/Ag+ 참고전극 및 Pt 카운터 전극과 함께 침지한 후, 초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산화상태와 비슷한 전위상태인 0.5V를 시작 전위로 하여 -0.01V/s로 전위상태를 바꿔주어 0.1V까지 도핑을 조절하여 p-타입의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22)을 준비하였다. In detail, a thin fil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a 30 m PET substrate 21 was used. Ag / Ag + reference electrode and a Pt counter electrode were immersed in a 0.1 M tetrabutylamine perchlorate / propylene carbonate electrolyte solution using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prepared above as an electrode for controlling the doping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The thin film 22 of the p-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 was prepared by controlling the doping to 0.1 V by changing the potential state at -0.01 V / s at a starting potential of 0.5 V, which is a potential state similar to the oxidation state of the initial electroconductive polymer thin film. Were prepared.

n-타입의 CNT 필름(23)은, CNT 20mg 을 SDS(sodium dodecylsulphonate) 60 mg 과 함께 물에 넣고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시킨 후, CNT 분산 용액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필터를 통해 걸러내고 과량의 SDS를 물로 수차례 씻어내었다. 상기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면 저항이 200Ω/cm2 이하가 되도록 한 후, PTFE 위에 형성된 n-타입의 CNT 필름을 NaBH4 1M 30 ml 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5중량% 수용액 1ml를 첨가하여 제조한 용액에 12시간 동안 침지하여 제벡계수의 절대값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n-타입으로 특성이 바뀌도록 하였다. The n-type CNT film 23 is prepared by dispersing 20 mg of CNT in water together with 60 mg of sodium dodecylsulphonate (SDS), ultrasonically dispersing it, and then dispersing the CNT dispersion solution through a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ter The excess SDS was rinsed several times with water. The above process was repeated several times to make the surface resistance to be 200 Ω / cm 2 or less. Then, 1 ml of a 5 wt% polyethyleneimine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30 ml of NaBH 4 1M solution of the n-type CNT film formed on the PTFE The solution was immersed in the solution for 12 hours to increase the absolute value of the Seebeck coefficient and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to n-type.

상기에서 제조한 n-타입의 CNT 필름(23)을 가로 4cm, 세로 1cm로 잘라내고, PET 기판(21) 위에 형성되어 도핑이 조절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22)도 동일한 크기로 잘라서 준비하였다. 이를 한 층씩 쌓아 올리고 한쪽 끝은 p-n 접합이 될 수 있도록 은 페이스트를 통해 p-n 접합부(24)를 형성시켜 적층형 열전소자(20)를 제조하였다. The n-type CNT film 23 prepared above was cut to a width of 4 cm and a length of 1 cm and a thin film 22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formed on the PET substrate 21 and controlled for doping was prepared by cutting to the same size . The stacked thermoelectric element 20 was fabricated by forming a p-n junction 24 through a silver paste so as to stack one layer at a time and a p-n junction at one en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박막형 열전소자
11 기판
12 전극
13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
20 적층형 열전소자
21 기판
22 p-타입 전기 전도성 고분자 막
23 n-타입 CNT 필름
24 p-n 접합부
10 Thin film type thermoelectric element
11 substrate
12 electrodes
13 Thin film of electroconductive polymer
20 Laminated thermoelectric element
21 substrate
22 p-type electroconductive polymer membrane
23 n-type CNT film
24 pn junction

Claims (18)

산화제, 중합 완화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산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화 용액에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를 첨가하여 용액중합하거나, 또는 상기 산화 용액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상기 도막에 대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 형성용 모노머의 증기를 공급하여 증기중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Preparing an oxidation solution comprising an oxidant, a polymerization modifier, a copolymer comprising a polyalkylene glycol as a unit, and a solvent; And
A solution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adding a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to the oxidizing solution, or a coating film is formed by applying the oxidizing solution, and then the vapor of the monomer for form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is supplied to the coating film, Step of polymerizing the polymer
Wherei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is a 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가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DL-주석산(DL-tartaric acid),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염화철 (ferric chloride), 황산톨루엔 철(iron p-toluenesulfonate), β-나프탈렌술폰산(β-naphthalenesulfonic acid),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캄포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xidiz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monium persulfate, DL-tartaric acid, poly (acrylic acid), copper chloride, ferric chloride, wherei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p-toluenesulfonate, beta -naphthale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camphorsulfonic acid, and mixtures thereof.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가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xidiz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완화제가 pKa 3.5 내지 12의 염기성 물질인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ization modifier is a basic substance having a pKa of 3.5 to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완화제가 산화제 1몰에 대하여 0.1 내지 2의 몰비로 포함되는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ization modifier is contained in a molar ratio of 0.1 to 2 per mole of the oxidizing ag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is a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as a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삼원 공중합체인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is a ter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g/mol인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00 g / m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산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xidizing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알코올계 화합물,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메틸케톤, 테트라클로로에탄,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coholic compound, tetrahydrofuran, dioxin,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acetone, methyl ketone, tetrachloroethane, toluene, and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용액이 폴리알킬렌글리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증점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xidizing solution further comprises an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kylene glycols,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thickeners, and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후, 중합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으로 하여 전해질 용액 중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기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polymeriza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adjusting the doping amount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by an electrochemical method using a polymerized electroconductive polymer as an electrode and applying a voltage in an electrolyte solution.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제13항에 있어서,
전기전도도가 500S/cm 이상인 전기 전도성 고분자.
14. The method of claim 13,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having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500 S / cm or more.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thin fil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가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p-타입(p-type)으로서 싱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을 포함하는 열전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mprises a substrate and a thin film of a thi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s the p-type, located on the substr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박막과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n-타입(n-type)으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 반도체의 박막을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n film of an organic or inorganic semiconductor as an n-typ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of the electroconductive polym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것인 열전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ubstrate is flexible.
KR1020130007813A 2013-01-24 2013-01-24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KR101602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813A KR101602726B1 (en) 2013-01-24 2013-01-24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813A KR101602726B1 (en) 2013-01-24 2013-01-24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99A true KR20140095199A (en) 2014-08-01
KR101602726B1 KR101602726B1 (en) 2016-03-11

Family

ID=5174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813A KR101602726B1 (en) 2013-01-24 2013-01-24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2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614A (en) * 2015-02-27 2016-09-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228242A1 (en) * 2016-04-05 2017-10-11 AI Silk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nductive polymer conductor
KR20190061753A (en) * 2017-11-28 2019-06-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ated with Conductive Polym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04550A (en) * 2019-02-27 2020-09-04 박광태 Cooling and heating device of cup holder by automatic thermostat using thermoelectric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519A (en) 1994-06-27 1995-1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ducting polymer thermoelectric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2000323758A (en) 1999-05-06 2000-11-24 Science Univ Of Tokyo Organic thermoelectric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US20040246650A1 (en) 1998-08-06 2004-12-09 Grigorov Leonid N. Highly conductive macromolecular materials and improved methods for making same
US7097757B1 (en) 2002-07-30 2006-08-29 Fractal Systems, Inc. Polymers having an ordered structural state
WO2010048066A2 (en) 2008-10-20 2010-04-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and thermoelectric device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material
US20110261430A1 (en) * 2008-03-26 2011-10-27 Smr Patents S.A.R.L. Processes for producing electrochromic substrates and electrochromic articles made therefro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519A (en) 1994-06-27 1995-1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ducting polymer thermoelectric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040246650A1 (en) 1998-08-06 2004-12-09 Grigorov Leonid N. Highly conductive macromolecular materials and improve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00323758A (en) 1999-05-06 2000-11-24 Science Univ Of Tokyo Organic thermoelectric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US7097757B1 (en) 2002-07-30 2006-08-29 Fractal Systems, Inc. Polymers having an ordered structural state
US20110261430A1 (en) * 2008-03-26 2011-10-27 Smr Patents S.A.R.L. Processes for producing electrochromic substrates and electrochromic articles made therefrom
WO2010048066A2 (en) 2008-10-20 2010-04-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and thermoelectric device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material
KR20110086047A (en) * 2008-10-20 2011-07-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material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lga Bubnova, et al., Nature Materials, vol. 10 (2011) p. 429
Re'da Badrou Aich, et al., Chem. Mater., vol. 21 (2009) p. 751
김소연,석사학위논문(2008) *
최상일,석사학위논문(201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614A (en) * 2015-02-27 2016-09-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228242A1 (en) * 2016-04-05 2017-10-11 AI Silk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nductive polymer conductor
KR20190061753A (en) * 2017-11-28 2019-06-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ated with Conductive Polym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04550A (en) * 2019-02-27 2020-09-04 박광태 Cooling and heating device of cup holder by automatic thermostat using thermoelectr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26B1 (en)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Enhancements in the mechanical stretchability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PEDOT: PSS for flexible electronics applications
Guo et al. Effect of energy alignment, electron mobility, and film morphology of perylene diimide based polymers as electron transport layer on the performance of perovskite solar cells
JP5789580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JP5670980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Hou et al. Synthesis and absorption spectra of poly (3-(phenylenevinyl) thiophene) s with conjugated side chains
Ates et al. Conducting 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s
Volkov et al. Asymmetric aqueous supercapacitor based on p-and n-type conducting polymers
US7981323B2 (en) Selenium contain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polymers
JP5651606B2 (en) Photo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 donors
Gross et al. From isotropic to anisotropic conductivities in P (NDI2OD-T2) by (Electro-) Chemical doping strategies
KR101602726B1 (en)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JP2013098299A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Zhang et al. Property modulation of two-dimensional lead-free perovskite thin films by aromatic polymer additives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field-effect transistors
Kwon et al. Rational design of a main chain conjugated copolymer having donor–acceptor heterojunctions and its application in indoor photovoltaic cells
Cai et al. Self-assembly of 1-pyrenemethanol on ZnO surface toward combined cathode buffer layers for inverted polymer solar cells
Zheng et al. Chemical polymerization of hydroxymethyl and chloromethyl functionalized PEDOT: PSS
JP2015046298A (en)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9484516B2 (en)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Yang et al. Universal hole transporting material via mutual doping for conventional, inverted, and blade-coated large-area organic solar cells
Xu et al. Thickness-insensitive anode interface layer for high-efficiency organic solar cells
WO2012121417A1 (en) Conducting polymer / redox polymer blends via in-situ oxidative polymerization - preparation methods and application as an electro-active polymeric materials
Luo et al. A multifunctional fluorinated polymer enabling efficient MAPbI3-based inverted perovskite solar cells
Jo et al. Development of a conjugated donor-acceptor polyelectrolyte with high work function and conductivity for organic solar cells
Nasrun et al. Cathode interlayer based on naphthalene diimide: a modification strategy for zinc-oxide-free inverted organic solar cells
JP2015141944A (en)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