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683A -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683A
KR20140094683A KR1020130006220A KR20130006220A KR20140094683A KR 20140094683 A KR20140094683 A KR 20140094683A KR 1020130006220 A KR1020130006220 A KR 1020130006220A KR 20130006220 A KR20130006220 A KR 20130006220A KR 20140094683 A KR20140094683 A KR 2014009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cy
url
user
r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민
우현
김은영
김경모
김철웅
Original Assignee
(주)링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커 filed Critical (주)링커
Priority to KR102013000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683A/ko
Publication of KR2014009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현재의 화폐 제도는 분할될 수 없는 특정 금액을 표명하는 불환지폐에 기초한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백원 동전, 천원 권, 및, 만원 권은 분할될 수 없는 각각의 지폐 금액에 의해 표명된다. 본 발명은 원, 엔, 및, 달러를 포함하는 특정 국가의 통화량을 표명하는 금액을 정수 일(1)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정수 일(1)에 대응하는 웹 URL을 할당한 URL기반의 통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ONEY USING THE SPACE WEB}
본 발명은 공간 웹 기술, 모바일 기술, 및 HTML5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통화 시스템을 IPv6를 포함하는 웹 URL에 기초한 URL통화 및 상기 URL통화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기록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어느 한 국가나 사회의 지하 경제를 일소하거나 현격히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리통화제도(管理通貨制度)는 통화관리 당국이 통화를 금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하고 통화의 공급량을 통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통제 내지 관리는 대외 환시세의 유지, 물가의 안정, 기타 경제 일반의 안정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금본위제도 아래에서 통화의 공급량은 금의 증감에 따라 제약을 받는 데 대하여, 관리통화제도 아래에서는 관리 당국이 통화의 발행량을 관리한다. 공개시장정책, 할인정책 등 통화관리정책은 금본위제 아래서도 시행되었으나 관리통화제도는 그 역할을 강조, 보다 효과적으로 한 것이다. 브레튼 우즈 체제 붕괴 이후 오늘날은 관리통화제도가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금 본위제에서 은행권 발행량은 당국의 금 보유액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반면에 관리통화제도 아래에서는 행정부의 통화 정책에 따르며, 화폐 가치는 보통 중앙 은행인 당국의 정책에 의해 움직이며 따라서 그 가치는 불안정하다. 통화관리 당국은 통화 정책을 통해 화폐 가치를 안정시키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중앙 은행은 시중 은행의 담보에 대하여 통화를 발행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 경우 통화 가치는 시중의 신용을 담보로 한다. 반면에 행정부가 국채를 발행하여 중앙 은행이 인수하는 경우, 통화 가치는 징세권, 국고 등 행정부의 신용을 담보로 한다. 이 원칙에 어긋나는 정책이 이루어지면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일어난다. 관리통화제도는 은행권의 발행량이 본위 실물의 비축량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경기와 물가 조정을 위한 통화량 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통화 당국이 행정부에 종속적인 경우 경기를 위한 지속적인 금융 완화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전자화폐는 지급 결제의 수단으로 화폐 대신에 기존의 화폐가 가지는 성질을 전자적인 정보로써 변환시킨 것이다. 전자화폐는 지금의 주화나 지폐를 대체하는 일종의 현금으로 주로 소액 거래가 그 목적이다. 다시 말하면 주화나 지폐가 지닌 속성을 고스란히 이어 받는다는 얘기다. 이때 다만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이 종이나 금속이 아닌 디지털정보인 것이다.
전자화폐는 그 운용방식에 따라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사용하는 네트워크형과 칩 카드에 가치를 저장해 사 용하는 IC 카드형(칩 카드, 스마트카드, 인텔리전트 카드)으로 나뉜다.
네트워크형 전자화폐는 PC에 그 가치를 저장, 온라인 지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고객이 거래은행의 계좌에 서 인터넷 내에 설치된 전자화폐사의 계좌로 일정금액을 이체한 뒤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대금을 판매자의 계좌 로 이체하는 방식이다.
IC 카드형은 반도체 칩이 내장된 카드에 현금을 이체 받아 휴대하고 있다가 상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컴퓨터나 카드인식기에 넣어 결제하는 방법이다. 인터넷에서는 물론이고 IC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소매점에서도 대금을 지불할 수 있고 개인 간에도 가치를 교환할 수 있다. 후불방식의 신용카드와는 달리 금융기관 등에 돈을 미리 예치해 놓은 뒤 해당금액 한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선불카드이다. IC카드를 이용하려면 은행이나 신용카드사로부터 본인명의의 계좌로 연결된 IC카드를 발급받으면 된다. 돈이 떨어지면 재충전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들은 지하경제를 일소하거나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없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등장과 HTML5 표준의 정립은 보다 효과적인 통화 시스템을 가능케하며, 기존의 기술로는 불가능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가능케하므로, 상기 기술을 이용하여, 지하경제를 포함한 화폐 정책과 관련된 기존의 시스템을 더 한층 갱신할 필요가 제기된다.
선행기술조사를 위해 특허청 키프리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양한 검색어로 본 발명의 제안과 유사한 특허 검색을 위해, 권리 구분을 특허, 행정처분을 전체, 발명의 명칭을 (화폐+금융+지폐), 초록을 (화폐+통화+지폐)*(컴퓨터+스마트폰+단말기+단말장치+인터넷+웹+앱+url+uri)으로 한 검색식 TL=[화폐+금융+지폐]*AB=[(화폐+통화+지폐)*(컴퓨터+스마트폰+단말기+단말장치+인터넷+웹+앱+url+uri)]으로 도출한 258건의 검색 결과 가운데, 본 발명의 방법, 목적 및 효과 측면에서 최소한의 유사성을 가진 4건의 내용을 엄밀하게 분석하였다.
국내공개번호 제1020120129840호 ‘근접 통신을 이용한 전자화폐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단말’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과 전자화폐매체를 구비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점의 보안채널 및 보안키에 관한 방법으로서, 공개키와 개인키를 특징으로 하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인증서버 및 금융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적으로 유사하지만,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바는 특정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 아니다.
국내등록번호 제1011990000000호 ‘속성 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제1사용자가 전자화폐에 속성 정보를 부여한 뒤, 제2사용자에게 상기 화폐를 전달하고, 제2사용자는 상기 속성 정보에 의거하지 않고서는 자금을 집행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금사용의 제약 방법이다. 반면, 본 발명이 제시하는 다수의 방법 및 시스템 중 하나는 제1사용자와 같은 특정인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여 수립한 규칙에 의거하여 자금의 용도가 결정되고, 그 사용이 제약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술적으로 진보한 방법이다.
국내등록번호 제1010880290000호 ‘스마트카드와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화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정보, 혈관정보, 음성정보, 홍채정보, 및 장평정보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으로 사용자의 통신단말기와 직접 접촉하는 스마트카드에 의한 인증 프로세스를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의 지문정보, 혈관정보, 음성정보, 홍채정보, 및 장평정보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을 하는 방법 면에서 본 본 발명의 방법과 유사하나, 본 발명은 (상기 등록 발명이 제시하는 사용자단말기 내부 또는 직접 접촉가능한 USB 저장장치가 아니라) 웹의 특정 장소에 위치한 인증 서버가 사용자의 생체정보뿐 아니라,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단말기의 동서남북 방향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규칙 기반의 인증 프로세스를 특징으로하는 기술적으로 진보한 방법이다.
국제출원번호 제PCT/US2010/045319호 ‘상호작용형 네트워크 기반 정보 객체들의 화폐화’은 청구항 제1항에서, 실세계 엔티티를 나타내는 정보 객체를 정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보 객체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 객체는 연관된 소유자를 가진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바, 재화와 용역 각각에 할당된 고유한 URL 및 웹페이지에 상기 재화와 용역의 실소유주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웹 개념과 일유사점이 있지만, 상기국제출원번호가 전자상거래의 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반해, 본 발명은 화폐 그 자체의 생성과 유통 방법을 제시하므로, 발명의 방법은 물론, 그 목표와 효용이 완전히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달리, URL 기반의 통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하 경제를 제거하거나, 그 규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GPS와 나침판, 타이머 및 통신 모듈이 장착된 사용자단말장치, 일반적인 통신 및 컴퓨터 장치, 웹 서버의 기능을 겸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통화앱 탬플릿, 사용자DB와 통화DB, 상기 통화앱 탬플릿을 복제하여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한 통화앱, 통화앱이 획득한 생체정보 및 사용자단말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본인 인증 과정을 수행할 인증시스템, 및 본 발명의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과 절차를 규정한 규칙DB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단계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지하 경제를 일소하거나 현격히 줄이고, 지폐 사용의 불편함을 줄하며, 거래의 투명성을 진작하고, 전자화폐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기존 통화를 URL통화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통화DB, 사용자통합DB, 및 인증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URL통화의 소유권 이전 과정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통화DB의 특정 통화구간의 특정 단위통화에 할당된 URL에 연결된 웹페이지 및 상기 거래에 수반된 재화에 할당된 URL과 웹페이지에 거래 내용을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규칙DB의 적용 대상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시스템 공동 작성과 갱신 과정을 도시한 그림.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 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 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 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 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 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 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 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 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레시피”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의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열람할 수 있는 수동 또는 능동적인 레시피 형식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레시피 형식으로서 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JavaScript, PHP, Ruby,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를 포함하여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열람하거나,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문서 형식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레시피에 해당된다.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시피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레시피가 위치하고 있는 주소를 URL로 입력하며, 그 주소 형식으로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가 많이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웹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 들에 있는 파일들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해야 될 서비스의 종류, 서버의 위치(도메인 네임), 파일의 위치를 포함한다. URL의 일반적인 체계(syntax)는 "프로토콜://호스트이름/경로/파일이름?파라미터"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는 복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도 복수 이상 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www.linkr.com/a/b/c.html?x=1&y=2 와 같은 URL에 있어서, 프로토콜은 http, 호스트이름은 www.linkr.com, 경로는 /a/b/, 파일이름은 c.html, 그리고 파라미터는 x, y 두 개로서 값은 각각 1, 2로 볼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간 웹'은 웹의 특정장소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 탬플릿’, 또는, 달리 표현하면, ‘탬플릿’을 복제하여 생성된 ‘응용프로그램 인스턴스’, 또는, 달리 표현하면, ‘인스턴스’를 설치한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및, 웹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들이, 기설정되어 웹의 특정장소에 저장된, 여타 탬플릿 계층 구조와 구별되는 어느 한 특정한 탬플릿 계층 구조 내의 특정한 탬플릿, 및 상기 특정한 탬플릿을 복제한 인스턴스들이, 기설정되어 웹의 특정 장소에 저장된, 여타 규칙의 계층 구조와 구별되는 어느 한 특정한 규칙의 계층 구조 내에 저장된 특정한 규칙에 의하여, 생성, 동작, 통신, 수정, 변경, 갱신, 삭제, 또는, 소멸되며, 상기 탬플릿 계층구조 상의 어느 한 탬플릿, 및, 상기 규칙의 계층 구조 상의 어느 한 규칙의 작성과 갱신은 위키피디어 방식 및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DVCS)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인스턴스는 식별 가능하고, 특정 가능한, 어느 하나의 시간 및 기간 단위, 공간 및 장소 단위, 사물, 개념, 사람, 및, 조직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특정한 대상을 표명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한 대상은 자신을 표명하는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아키텍처이다.
인터넷(102)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단말장치가 서버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웹의 특정장소'란 웹을 통해 데이터를 인출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 표현이다.
‘앱’,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프로그램’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앱’은 또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기기용 ‘앱’을 통칭하며, 컴퓨터 장치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스크립트와 데이터의 조합을 표현한다.
‘앱’은 또한,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된 ‘네이티브 앱’, 웹의 특정장소로부터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웹 앱’, 및 상기 두 종의 앱 특징을 모두 갖는 ‘하이브리드 앱’을 포함한다.
‘장소'는 물리적 공간 및 장소를 의미한다.
‘웹의 특정장소’는 사용자단말장치, 웹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마켓, 스토어, 콘텐츠 저장장소, 웹 서버, 웹 데이터베이스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웹 사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 PC, 차량 네비게이션이 그러한 웹의 특정장소에 속한다.
‘사용자단말장치'는, 앱을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구비한 PC, 노트북, PMP, 핸드헬드 PC, 태블릿 PC,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PC, IPTV, 네비게이션 장치, 및 컴퓨터 기능을 가진 정보 통신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규칙’은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력을 성립시키게 할 법령, 규칙, 규정, 제도 및 기술을 포함하는 명문화된 지침과 상기 명문화된 지침을 컴퓨터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탬플릿' 또는 ‘앱 탬플릿'은 컴퓨터 장치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며, 직접 차량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자신을 복제한 불특정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앱을 생성할 목적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 또는 원형이다. 어느 한 탬플릿은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통화앱 탬플릿'은 상기 탬플릿의 일종으로, ‘통화앱'의 ‘탬플릿'으로 역할한다.
‘인스턴스'는 상기 탬플릿을 복제하여 차량정보로 초기화한 뒤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한 응용프로그램이다.
‘통화앱 인스턴스' 또는 ‘통화앱'은 상기 인스턴스의 일종으로, ‘통화앱 탬플릿'을 복제하고 특정 사용자단말장치의 정보로 초기화한 것이다.
‘관리서버’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장소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탬플릿의 생성과 저장, 인스턴스의 생성과 저장 등의 역할을 담당이다.
‘단위통화'는 특정 통화의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단위통화는 일(1)원이다.
‘GPS’는 통상의 단독측위 GPS, 상대측위(DGPS), 후처리 상대측위(DGPS), 실시각 상대측위(DGPS), Inverted GPS, Inverted RTK, 간섭계(Interferometry)의 원리를 적용한 GPS, ? iRTK(inverted Real Time Kinematic)를 포함하여, GPS 및 GPS를 응용한 위성측위시스템을 통칭한 표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하나 이상의 모듈로 나누고 있지만, 이러한 분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어느 한 모듈을 둘 이상의 모듈로 나누어 그 목적을 성취하거나, 반대로, 둘 이상의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합쳐 그 목적을 성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 의한 모듈 분류는 오직 본 발명에 의해 성취하려는 목적과 방법, 그리고 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은, 사용자단말장치(200)와 관리서버(300)로 구성되며, 사용자단말장치(200)는 스마프폰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사용자단말장치는 통화앱(203), 사용자DB(201), 및 내부DB(202)를 포함하며, 관리서버(300)는 주로 웹 서버 상에서 동작하고, 통화앱 탬플릿(301), 규칙DB(302), 사용자통합DB(303), 통화DB(304), 및 인증시스템(305)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장치(200)와 관리서버(300)는 통상적인 유무선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A장소, B장소, 및 C장소는 화폐 교환이 발생한 물리적 또는 추상적 공간 및 장소이다. 통화앱(203)은 사용자단말장치에서 동작하는 네이티브앱, 웹앱 또는 하이브리드앱일 수 있으며, 내부DB(202a 및 202b)는 상기 통화앱이 수집하거나 생성한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이다. 또한, 상기 규칙DB는 지불과 수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동할 방법과 절차를 저장한다.
통화앱 탬플릿(301)을 인출, 복제, 및 초기화하여, ‘통화앱 인스턴스’ 또는 ‘통화앱’(203)을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하는 과정은 통상의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방법인 YUI(Yahoo User Interface), Sencha, jQuery Mobile, 및 PhoneGap을 이용하여 상기 앱 탬플릿(Template) 또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웹의 특정장소에 저장하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단말장치로 이를 인출하여 복제한 뒤, 상기 사용자단말장치에 네이티브 앱(Native App)의 형식으로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고유의 식별코드와 함께 웹의 특정장소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웹에 접속하여 웹앱(Web App)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방법, 또는 상기 두 방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앱(Hybrid App)의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탬플릿 및 그를 복제한 인스턴스의 코드(Code)를 특정하지는 않고, 다만, 통상적인 탬플릿과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어느 한 국가 또는 사회의 화폐발행액, 본원통화, M1, M2, 또는 Lf 통화량에 대응하는 웹 URL을 생성하고, 통화의 기초 단위 각각에 상기 URL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년 모월 한국의 본원통화량이 50조원이라면, 상기 50조원의 ‘본원통화 풀(Money Pool)’을 구성하고, 상기 본원통화 풀의 ‘원' 화폐단위의 최소 정수인 일(1)원 각각에 대응하는 50조 개의 IPv6 URL로 ‘URL 풀(URL Pool)’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50조원의 일부 금액에 대응하는 일부 개의 URL을 할당하거나, 10개 또는 100개 단위로 UPL을 할당하거나, 또는 상기 50조 원 가운데 일부 금액에 해당하는 일부 URL로 구성된 ‘URL통화 풀(URL Pool)’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50조 원 모두에 URL을 할당한 URL 풀을 가정하면, 첫 URL과 끝 URL(02)은 연속적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풀은 시작 URL의 주소(01)와 50조 번째 URL 주소(02)만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URL은 IPv6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IPv8을 포함하는 여타의 URL 방법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화DB(304)는 상기 본원통화 풀을 구성하는 일부 금액의 소유자 각각으로부터 소유권을 획득하고, 상기 소유자 각각의 소유 금액에 해당하는 URL 갯수 또는 ‘URL 화폐’를 상기 각각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존 화폐발행액, 본원통화, M1, M2, 또는 Lf 통화량의 전부 또는 일부를 ‘URL 화폐’로 치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원통화 십만원을 상기 통화DB에 제공한 소유자는 10만개의 URL을 받게 된다. 상기 통화DB에 수집된 본원통화의 소유자 및 상기 소유자로부터 본원통화를 획득하고, 그 댓가로 지급한 URL의 갯수 및 각각의 주소 정보는 상기 사용자통합DB(303)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거래를 포함하는 URL 화폐의 유통에 있어서, 소유자 또는 거래당사자 각각의 본인 인증 방법과 절차는 인증시스템(30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A가 특정 거래에 대한 대금으로 사용자B에게 백만원(1,000,000원)을 URL 화폐로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이는 상기 A가 상기 B에게 백만개의 특정 URL 주소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백만개는 시작 주소가 끝 주소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일 수 있고, 또는, 몇 개의 단절된 주소 공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A가 상기 B에게 상기 A 소유의 URL통화 백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하려고 할 때, 인증시스템(305)은 상기 A의 사용자단말장치(200a)의 사용자DB(201) 및 내부DB(202)로부터 지문, 혈관문, 홍채문 및 성문을 포함하는 상기 A의 생채정보, 상기 사용자단말장치에 저장된 시각 및 위치 정보, 상기 장치의 동서남북 방향 정보, 중력장 대비 전후좌우 상태 정보, 통화 이전과 관련된 거래 정보, 상기 금액과 수취인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DB에 저장된 상기 A와 B의 신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A의 신원 인증 과정을 진행하고, 또한 규칙DB(302)에서 관련 규칙을 인출하여, 상기 백만원의 소유권 이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표 1]은 상기 사용자단말장치로부터 인증시스템이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일실시예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소유권 이전이 승인되면, 상기 A의 사용자단말장치가 전달한 정보와 더불어, URL 화폐 백만원의 소유자를 B로 변경할 것을 통화DB(304)에 요청함으로써, 상기 백만원의 소유권을 변경하고, 그 사실을 상기 B의 통화앱(200b)에 전달할 수 있다. 자금 이전 거래에서 상기 규칙DB(302)의 역할은 후술한다.
도 5를 참조하여, 통화DB(304)와 URL통화는 각기 소유자 변동에 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년 모월 모시, 특정 URL, 0001:0db8:85a3:0042:1000:8a2e:0370:7334로 시작하여 연속한 50조 개의 URL로 표명되는 URL통화DB에서, 2001:0db8:85a3:0042:1000:8a2e:0370:7334f로 시작하는 URL통화 백만원(101)의 소유권이 A로부터 B로 이전되었다는 정보가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URL통화DB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상기 URL 2001:0db8:85a3:0042:1000:8a2e:0370:7334이 가리키는 웹의 특정 장소에 [표 2]과 같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URL통화 풀은 50조 개의 URL로 구성되지만, 상기 50개 각각에 대해 웹의 특정 장소 또는 웹페이지를 할당할 필요는 없다. 상기 백만원의 소유권 이전 예에서 보듯, 백만개의 연속된 URL 중에서 첫 URL인 하나의 URL에 대해서만 웹페이지 또는 특정장소를 할당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물론, 연속적이지 아니한 몇 개의 주소 구간으로 백만개가 구성된다면, 각 구간 별로 하나의 URL을 추출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URL통화의 장점 중 하나는 특정 금액 구간을 구성하는 어느 단위통화(한국의 경우, 1원)에 대해서도 웹페이지를 할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백만원을 구성하는 백만개의 단위통화 중, 어느 단위통화에 대해서도 URL과 고유한 웹페이지를 할당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거래 사유에 관련된 특정 재화나 서비스에 대해서도 고유한 URL과 웹페이지(102)를 할당하고, 거래 내용을 기록함으로써, 거래 사유를 명료하게 기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여타 냉장고와 구별되는 고유한 식별코드를 갖는 특정 냉장고를 구매한 다음, 상기 특정 냉장고의 고유한 식별코드에 할당된 고유한 URL과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냉장고의 소유권 이전을 포함하는 거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기존 화폐 시스템에 대비한 본 발명의 URL통화 시스템의 장점이 현저하다. 가령, 기존 화폐 시스템에서, 특정인 A가 지갑의 만원권 10장 중에서 어느 한 장으로 식사비 6,000원을 지불하고 4,000원을 거슬러 받는 경우의 예에서, 상기 10매의 만원권 중 어느 1매, 상기 만원을 구성하는 1매의 천원권 중에서 어느 6 매, 상기 식당 주인의 금고에 있는 불특정 금액 중에서 천원권 어느 4매를 특정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상거 거래에 오고 간 금액을 특정할 수 있고, 거래 사유가 상기 URL 화폐 자체에 기록되므로, 이른바 지하경제의 존립 근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URL 화폐를 원래의 본원통화, M1통화 등으로 치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통화 시스템과 본 발명의 URL 통화시스템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시장 참여자들 간에 합의된 규칙에 기반하여 자금 이전 좌정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자금 집행의 투명성과 보안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RL주소, 2001:0db8:85a3:0042:1000:8a2e:0370:7334f로 시작하는 연속된 주소에 매칭된 일억원(100,000,000)의 자금을 컴퓨터 서버 및 부대 장비 구매로 그 용도를 확정하고, 집행권한을 특정 직위의 자로 규정하며, 인증 방법을 성문과 장소로 규정한 규칙을 규칙DB에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인증시스템(305)이 특정 자금의 소유권 이전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규칙을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URL주소의 일억원에 대한 집행 규칙을 [표 3]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화DB(304)는 본 발명의 ‘URL통화 풀’을 구성하는 전체 URL 주소들 중에서 일정 구간에 대한 ‘자금 용도’ 정보를 저장하고, 규칙DB(302) 및 인증시스템(305)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pat00003
도 6을 참조하여, 규칙DB(302)는 통화앱 탬플릿(301), 통화앱 인스턴스(203), 사용자통합DB(303), 통화DB(304) 및 규칙DB(302)의 생성, 갱신 및 운용에 관한 제반 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규칙DB에 저장된 제반 규칙을 한국어를 포함하는 자연언어로 기술하고, 상기 자연어로 표현된 규칙을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인공언어로 번역한 내용을 저장함으로써, 사람과 기계가 모두 상기 규칙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DB는 특정URL주소로 시작하는 일정 금액 구간에 대한 소유자 정보를 기록해야 한다.’라는 자연어 문장이 규칙DB의 자연어 모듈(311)에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문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표현이 상기 규칙DB의 인공어 모듈(312)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통화앱 탬플릿, 사용자DB, 내부DB, 통화DB, 사용자통합DB 및 규칙DB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모듈 각각을 웹의 특정 장소에 게시하고, 상기 통화앱을 설치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단말장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istributed VCS)의 방법으로 그 내용을 추가, 수정, 변경 및 삭제하며, 그러한 변경 내용을 상기 탬플릿을 복제한 인스턴스 전체에 일괄 적용할 수 있다.
100: 자금 이체가 발생한 장소 200: 사용자단말장치
201: 사용자DB 202: 내부DB
203: 통화앱 300: 관리서버
301: 통화앱 탬플릿 302: 규칙DB
303: 사용자통합DB 304: 통화DB
305: 인증시스템 311: 자연어 규칙 모듈
312: 인공어 규칙 모듈

Claims (6)

  1. GPS와 나침판, 타이머 및 통신 모듈이 장착된 사용자단말장치, 일반적인 통신 및 컴퓨터 장치, 웹 서버의 기능을 겸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통화앱 탬플릿, 특정 통화의 특정 금액에 대응하는 갯수의 URL주소 및 각 URL 구간의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는 통화DB, 상기 관리서버의 통화앱 탬플릿을 복제하여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한 통화앱, 상기 통화앱이 획득한 사용자의 생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웹의 특정 장소에 집결하여 저장한 사용자통합DB,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된 통화앱과 소통하는 방법으로 특정인 또는 시스템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시스템, 및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반 모듈 각각의 동작 방법과 절차를 규정한 규칙DB를 포함하는 모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2. 관리서버를 설치하고, 규칙을 수립하여 규칙DB에 수록하는 단계, URL통화를 생성하여 통화DB에 저장하는 단계, 특정 통화앱이 특정 URL 통화의 소유권 이전 요청을 인증시스템에 전달하고, 상기 인증시스템이 규칙DB를 참조하여 소유권 이전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관리서버를 설치하고, 규칙을 수립하여 규칙DB에 수록하는 단계는,
    웹 서버의 기능을 포함하는 관리서버에 통화앱 탬플릿을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의 이를 인출, 복제 및 초기화하는 각자의 특정 통화앱을 설치하는 과정;
    상기 특정 통화앱이 상기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장치에 저장된 사용자DB 및 내부DB의 정보를 포함하여, 자금 소유권 이전과 관련된 거래의 내용을 기록하는 과정;
    URL 통화의 소유권 이전 과정;
    신원 인증 과정;
    및,
    상기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 각각이 수행할 역할을 자연어 및 인공어의 쌍으로 된 규칙 형식으로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DB는 사용자단말장치의 GPS,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액셀러로미터(Accelerometer), 콤파스(Compass) 및 카메라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과 이들 하드웨어 자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DB는 사용자단말장치에 저장된 사용자의 건강 이력, 연령, 성별, 국적, 혈액형, 성문, 지문, 홍채, 혈관, 및, 기타 신체 특징과 같은 사용자 생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DB 및 내부DB의 정보를 웹의 특정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통합DB로 수집하여 통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URL통화를 생성하여 통화DB에 저장하는 단계는,
    어느 한 사회 또는 국가의 화폐발행액, 본원통화, M1, M2, 또는 Lf 통화량에 대응하는 갯수의 웹 URL, 또는 상기 통화량의 일부에 해당하는 URL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의 기초 단위 또는 화폐 금액의 최소 정수 각각에 상기 URL을 할당하여, URL통화풀(URL Money Pool)을 구성하는 과정;
    URL통화풀(URL Money Pool)을 그 소유권에 따라 분할한 구간 또는 URL통화금액을 확정하는 과정;
    상기 구가 또는 URL통화금액에 할당된, 상기 금액 만큼의 정수 일(1) 각각에 할당된 URL 중, 첫 URL에 웹페이지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구간의 소유권 획득 또는 이전과 관련된 고유한 재화나 서비스 각각에 대해 고유한 URL과 웹페이지를 할당하는 과정;
    및,
    자금의 소유권 이전 사유를 명료하게 기록하기 위해, 상기 특정 정수 일(1)에 할당된 웹페이지 및 상기 고유한 재화나 서비스에 할당된 고유한 URL의 웹페이지에 상기 거래 내용을 기록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특정 통화앱이 특정 URL 통화의 소유권 이전 요청을 인증시스템에 전달하고, 상기 인증시스템이 규칙DB를 참조하여 소유권 이전을 완성하는 단계는,
    관리서버가 소유권 이전 요청자의 상기 통화앱으로부터 이전할 URL통화 또는 URL통화구간을 통화DB 내에서 특정하는 과정;
    관리서버가 상기 URL통화 또는 URL통화구간에 할당된 규칙을 규칙DB에 검색하는 과정;
    관리서버가 상기 검색된 규칙에 따라 상기 요청자의 신원 확인에 필요한 생채 정보, 사용자정보 및/또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필요 시, 상기 URL통화의 소유권 이전에 관련된 거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관리서버가 상기 규칙DB를 참조하여, 소유권 이전의 내용과 결과를 상기 통화DB, 및 상기 이전된 URL통화 또는 통화구간의 특정 URL에 매핑된 웹페이지에 기록하는 과정;
    또는,
    상기 소유자의 요청 및 상기 절차에 따라, 본 발명의 URL통화를 원래의 본원통화, M1, M2, 또는 Lf로 되돌리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웹의 특정 장소에 게시하고, 상기 통화앱을 설치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단말장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istributed VCS)의 방법으로 그 내용을 추가, 수정, 변경 및 삭제하며, 그러한 변경 내용을 상기 통화앱 탬플릿을 복제한 통화앱 인스턴스 전체에 일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KR1020130006220A 2013-01-20 2013-01-20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KR20140094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220A KR20140094683A (ko) 2013-01-20 2013-01-20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220A KR20140094683A (ko) 2013-01-20 2013-01-20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683A true KR20140094683A (ko) 2014-07-31

Family

ID=5174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220A KR20140094683A (ko) 2013-01-20 2013-01-20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062B1 (en) Mobile wallet for non-tokenized cards
Kang Mobile payment in Fintech environment: trends, security challenges, and services
US11615362B2 (en) Universal model scoring engine
US119546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account activation
US20160026999A1 (en) Tracking card usage using digital wallet
US20210150624A1 (en) Intelligent population of interface elements for converting transactions
US9646297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financial transaction card related mobile apps
US20160292783A1 (en) Online marketplace interface having a network of qualified user offers
US20230074653A1 (en) Federated identifiers for cross-platform interoperability
US20200242600A1 (en) System for leveraged collaborative pre-verification and authentication for secure real-time resource distribution
US20220067703A1 (en) Multi-tenants payment refresh tokens
US20230410076A1 (en) Embedded card reader security
US20130226804A1 (en) Multi-source debit card object oriented system and method
Alchuban et al. The usage of financial technology payments during the pandemic of covid-19
US11281765B1 (en) Toke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640595B2 (en) Embedded card reader security
KR20140094683A (ko) 공간 웹 기반의 화폐 시스템
US20140201060A1 (en) Computer program,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with immediate access to funds via a hybridized secured line of credit
US20190188694A1 (en) Payment systems and methods with card-on-file tokenization
CA3088109A1 (en) Provisioning of payment acceptance to payment account holders
US2024008692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Synthetic Graphs That Simulate Real-Time Transactions
JP5377199B2 (ja) 信用情報機関に提供された個人信用情報の開示システム
US2019023660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Merchant Account for a Merchant
Monkiewicz et al. Digital finance: Basic terminology
Pandey et al. The Impact of Unified Payment Interface (UPI) on Small Business: A Study with Reference to Bangalore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