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405A -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 Google Patents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405A
KR20140093405A KR1020130005672A KR20130005672A KR20140093405A KR 20140093405 A KR20140093405 A KR 20140093405A KR 1020130005672 A KR1020130005672 A KR 1020130005672A KR 20130005672 A KR20130005672 A KR 20130005672A KR 20140093405 A KR20140093405 A KR 2014009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permeable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700B1 (ko
Inventor
이학렬
이한별
Original Assignee
이학렬
이한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렬, 이한별 filed Critical 이학렬
Priority to KR2013000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7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뚜껑(16)에 의해 그 상부 개방부가 개폐되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에는 배수구(14)를 구비하는 함체(12)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P)과 냉각재(I)를 함께 담는 단열박스(10)를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12)의 내부공간은 상기 보관물(P)과 냉각재(I)가 배치되는 보관공간(124), 및 상기 냉각재(I)가 녹아 발생된 액체(W)가 흘러내려 모이는 액체분리공간(122)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124)과 상기 액체분리공간(122)은, 상기 함체(12)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도록 분리되며; 상기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은, 상기 보관공간(124)과 상기 액체분리공간(122)의 경계면으로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를 구비하고,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는 상기 보관공간(124)에 배치된 보관물(P)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I)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122)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W)만이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식 등의 보관물을 저온에서 일시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저온의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을 별도로 분리하여 차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한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야외 나들이, 캠핑, 낚시 등의 활동시 필요한 음식이나 기타 물품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이스박스는 대체로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티렌 폼 등의 단열재로 만든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 등의 함체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함체의 상부는 개폐가능한 커버 또는 뚜껑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함체의 내부 공간에, 저온 보관을 원하는 음식 등의 물품 즉 보관물을 얼음과 같은 냉각재와 함께 집어넣게 된다.
이와 같이 아이스박스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0℃ 이하의 냉각재를 함께 집어넣고, 예를 들어 20 ~ 30℃ 정도의 상태에서 방치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각재인 얼음은 액상의 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얼음이 녹아서 발생된 액체 즉 물은 아직 녹지않은 얼음 및 보관물과 뒤섞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아이스박스 내부가 지저분해지고, 물에 젖어있는 보관물을 아이스박스 외부로 꺼내야 하므로 불편하고, 얼음이 물에 닿아 상대적으로 빨리 녹아내리는 경향이 있어 저온 보관 시간이 짧아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비록 얼음이라는 냉각재가 일반인의 입장에서 비교적 저가의 비용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술한 문제들이 해소되어야 한다는 기술적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냉각재로서, 고체-액체 상변이를 하는 얼음이 아니라, 고체-기체 상변이를 하는 드라이아이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 내에 고체-액체 상변이를 하는 냉각재를 담은 구조의 아이스팩을 사용하는 예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드라이아이스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물질이며 실온에서는 급격하게 기화하므로 보관이 어렵다. 때문에 일반인이 얻기 힘들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어, 고가의 의약용 제품의 보관 등의 특수 목적에만 사용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아이스팩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나일론과 PE(폴리에틸렌)를 합지한 봉지 형태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소형 상자 형태의 외피 내에 물과 폴리머의 혼합물인 냉매를 넣고 얼려 사용한다. 이러한 아이스팩은 현재 축산물이나 수산물의 택배시 널리 사용 중이다. 그러나 아이스팩은 일정한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스박스 내부 공간 중 아이스팩이 점유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서 보관물을 위한 공간이 크게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외피를 개봉하여 냉매 중 물을 완전히 말려서 버려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이스박스 내부에서 아이스팩의 외피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경우에는, 내부의 냉매가 녹은 액체가 흘러나와 보관물과 섞이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한편 냉각재와 보관물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 예를 들어 국내 특허 등록 10-0797019 (2008.1.16 등록)의 등록공보에는 아이스박스의 내부공간을 통기성 격벽부재를 사용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격벽 부재가 아이스박스 내의 공간을 구획하여 냉각재와 보관물을 따로 별도의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냉각재와 보관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분리용 격벽부재가 냉각재의 냉각 효과를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 비록 격벽부재에 기체가 통과되는 통기공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는 드라이아이스와 같이 냉기흐름이 기체로서 구현되는 냉각재의 경우에만 적용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의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보관물이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저온의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을 별도로 분리하여 차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 내부 공간에서,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수성 구조물을 통과하여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저장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적어도 그 바닥이 투수성인 함체, 바구니, 또는 주머니의 형태로서 그 내부에 보관물을 담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꺼낼 때 투수성 구조물에 담긴 채로 꺼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뚜껑에 의해 그 상부 개방부가 개폐되며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에는 배수구를 구비하는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냉각재를 함께 담는 단열박스를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보관물과 냉각재가 배치되는 보관공간, 및 상기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가 흘러내려 모이는 액체분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은,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투수성 구조물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도록 분리되며;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의 경계면으로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상기 액체분리공간측에 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스페이서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단턱에 접촉하여 수직방향에서 하방으로의 진행이 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가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 중 소정 위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수단은, 돌기가 홈에 끼워지는 돌기-홈 구조, 자력에 의해 탈착되는 구조, 또는 벨크로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를 바닥면으로 하여 그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그물망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함체 내에 복수 개가 삽입되어 상기 함체의 보관공간을 별도로 구분된 복수의 보관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저온의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을 별도로 분리하여 차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아이스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 내부 공간에서,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수성 구조물을 통과하여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저장된 후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적어도 그 바닥이 투수성인 함체, 바구니, 또는 주머니의 형태로서 그 내부에 보관물을 담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꺼낼 때 투수성 구조물에 담긴 채로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 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는 단열박스(10)와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아이스박스'는, 개폐가능한 내부공간에 보관물과 냉각재를 함께 수납시키는 단열재로 만들어진 벽체를 포함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므로,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의 견고한 벽체로 된 형상을 가지는 아이스박스(Ice box)를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아이스박스'가 이것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단열성 벽체를 제조한 아이스백(Ice bag)도 포함하는 의미로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단열박스(10)는, 종래의 아이스박스에 있어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함체(12), 배수구(14), 뚜껑(16)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12)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단열성 재질로 만든 바닥면 및 측벽면을 구비한다. 함체(12)의 바닥면이나 측벽면 중 하부에는 배수구(14)가 구비된다. 함체(12)의 상부면은 개방부를 이루는데, 이 개방부는 역시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뚜껑(16)에 의해 개폐된다. 이들 이외에, 함체(12)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아이스박스를 잡기 편하게 하는 손잡이나 어깨에 맬 수 있게 하는 끈이 부착될 수 있고, 뚜껑(16)이 함체(12)에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압박하는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단열박스(10)는 그 내부공간에 보관물(P)과 냉각재(I)를 수납하는 일반적인 아이스박스 자체와 대체로 유사하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는, 이 단열박스(10) 내에 삽입되는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이다. 이 투수성 구조물은, 무엇보다도 먼저, 단열박스(10)의 함체(12)의 내부공간을 인접하지만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즉 상부의 보관공간(124) 및 하부의 액체분리공간(122)으로 분할하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보관공간(124)은 보관물(P)과 냉각재(I)가 배치되는 공간이다. 한편 액체분리공간(122)은, 보관공간(124)에서 예컨대 얼음과 같이 고체인 냉각재(I)가 녹아 발생된 액체(W) 즉 물이 흘러내려 모이는 공간이다. 보관공간(124)에 보관 중인 보관물(P)에서 액체 성분이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역시 액체분리공간(122)으로 모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함체(12)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수평의 인터페이스 면이면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를 구비한다.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는 보관공간(124)에 배치된 보관물(P)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I)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122)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22)는 액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견고한 하나의 다공판(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32)는 하나 이상의 수평의 지지프레임 (322)과 그 위에 겹쳐 놓이는 하나의 그물망(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도 4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42)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함체나 바구니 형상을 하는 그물망 구조물의 하부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방식으로,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92)는 수평의 지지프레임 없이 그물망(923)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를 함체(12)의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각각 스페이서 방식, 상단 부착방식, 및 단턱 접촉방식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들 방식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채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 방식은, 도 1 및 도 2의 제 1 실시예와 도 3의 제 2 실시예와 도 8의 제 6 실시예와 도 9의 제 7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액체분리공간(122)의 높이(H)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23, 33, 83, 93)를 채용한 방식이다. 이들 스페이서는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82, 92)의 하부면 즉 액체분리공간(122)측에 면하는 표면에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3, 33, 83, 93)는 각각 가느다란 수직 기둥 형태로서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런 형태와 배치의 스페이서로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서, 스페이서의 형태는,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하부면과 함체(12)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H)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라면 제한없이 가능하다.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위치도 반드시 모서리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투수성 인터페이스 하부면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수로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턱 접촉방식은, 도 6의 제 4 실시예와 도 7의 제 5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함체(12)의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120)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방식이다. 이 단턱(120)은 함체(12)의 바닥면과의 간격(H)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H)의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돌출 형상이다.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는 단턱(120)에 그 가장자리의 하부면이 접촉하며, 이에 따라 수직방향에서 하방으로의 진행이 중지되고, 이에 따라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에 대해 상부에서 하부로 보관물과 냉각재의 무게가 실린다고 하더라도,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는 단턱(120)에 걸려 하방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따라서 함체(12)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H)가 유지될 수 있다.
상단 부착방식은, 도 4 및 도 5의 제 3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42)를 함체(12)의 바닥면과의 간격(H)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함체(12)의 내부공간 중 소정 위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51, 52)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탈착수단은, 도시된 예에서는, 돌기-홈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한편으로는 투수성 구조물(40) 측에 결합돌기(51)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함체(12)의 측벽면 상단에 결합홈(52)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돌기(51)를 결합홈(52)에 끼워 부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투수성 구조물(40)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함체(12)에 결합홈(52)이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투수성 구조물(40)에 결합홈(52)이 형성되고 함체(12)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는 예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이러한 돌기-홈 구조의 탈착수단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구조의 탈착수단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51)와 결합홈(52) 대신 그 위치에 소형의 자석을 구비시켜, 자석끼리 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일명 찍찍이라고도 하는 벨크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기능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인 투수성 구조물의 두번째 주요한 기능은, 보관물 및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의 제 1 실시예와 도 3의 제 2 실시예와 도 4 및 도 5의 제 3 실시예와 도 9 내지 도 11의 제 7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수성 구조물(20, 30, 40, 90)은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90)를 바닥면으로 하여 그 상단이 개방되고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측벽부(26, 36, 46, 96)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투수성 인터페이스와 측벽부는,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 수납공간에는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가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인 투수성 인터페이스 외에, 측벽부(26, 36, 46, 96)도 역시 다공성 구조, 바람직하게는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측벽부(26, 36, 46, 96)를 통해 냉기흐름이 통할 수 있으므로,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투수성 구조물(90)이 하나의 아이스박스의 단열박스(10)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냉각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투수성 구조물(90)이 함체(12) 내에 복수 개가 삽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12)의 상대적으로 큰 용적의 보관공간(124)을 별도로 구분된 복수의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의 수납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구조물(20, 30, 40, 70, 80)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28, 38, 48, 78, 88, 98)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는 투수성 구조물을 함체(12) 내부공간에서 꺼내거나 그 안으로 집어넣는 행위를 용이하게 하며, 더 나아가 투수성 구조물의 수납공간에 넣어져 있는 보관물을 투수성 구조물과 함께 함체(12)의 내부공간으로부터 꺼내거나 그 안으로 집어넣기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투수성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재료는 막이나 직물의 그물망 구조 형태의 유연한 소재일 수도 있고, 금속망이나 단단한 플라스틱 판과 같은 경질 소재일 수도 있고, 유연한 소재와 경질 소재를 혼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들 재료는 보관물 및 물과 항시 접촉하게 되므로, 녹이 슬지 않고, 물과 얼음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며, 촉감이 좋으며, 스크랫치로 인해 보관물의 표면에 상처를 낼 염려가 없으며, 보관물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특징들을 하나 이상 채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제 1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있는 상자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20)이 삽입된다.
이 투수성 구조물(20)은 투수성 인터페이스(22), 이를 바닥면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26), 및 다리 즉 스페이서(23)를 포함한다. 투수성 인터페이스(22)는 테두리 프레임(221)에 둘러싸이고 다수의 관통공(223)을 구비하는 하나의 다공판(222)으로 구성된다. 측벽부(26)는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26)의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24)이 포함되고 측벽부(2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2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27)에는 2개의 손잡이(28)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있는 상자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30)이 삽입된다.
이 투수성 구조물(30)은,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그물망 구조의 투수성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하는 외에, 이를 바닥면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36), 및 다리 즉 스페이서(33)를 포함하는 점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투수성 인터페이스(32)는 테두리 프레임(321)에 둘러싸이고 다수의 지지프레임(322)을 구비하는 하나의 그물망(323)으로 구성된다. 측벽부(36)도 역시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36)의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34)이 포함되고 측벽부(3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3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37)에는 손잡이(38)가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없는 바구니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40)이 삽입된다.
이 투수성 구조물(40)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그물망 구조의 바구니 형태로 연속되는 측벽부(46)와 바닥면인 투수성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하며, 탈착수단으로서 돌기-홈 구조(51, 52)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46)의 모서리는 그대로 연속되는 그물망 구조로서 이어져 있으며, 측벽부(4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4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개방부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47)에는 손잡이(48)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없고 보관공간에 대해 분리되어 있는 수납공간이 없는 수평 플레이트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60)이 삽입된다.
이 투수성 구조물(60)은, 수납공간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는 달리, 수납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며, 다만 다수의 관통공(63)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판 형태의 투수성 인터페이스(62)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함체(12)의 내부면에 형성된 단턱(120)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높이 H인 액체분리공간(122)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5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없고 수납공간도 없으며 손잡이 달린 수평 플레이트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70)이 삽입된다.
이 투수성 구조물(70)은,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공간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단턱(120) 구조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높이 H인 액체분리공간(122)을 형성한다는 점도 제 4 실시예와 같다. 다만, 테두리 프레임(721)과 그 내부에 교차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722) 및 지지프레임(722)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그물망(72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투수성 인터페이스(72)를 가진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그리고 이 투수성 인터페이스(72)의 테두리 프레임(721)에는 두 개의 손잡이(78)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6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있고 수납공간이 없는 손잡이 달린 수평 플레이트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80)이 삽입된다.
이 투수성 구조물(80)은,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공간을 가지지 않지만, 단턱(120) 구조가 아니라 스페이서(83)에 의해 고정된 높이 H인 액체분리공간(122)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투수성 인터페이스(82)는 테두리 프레임(821)과 그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823)이 형성된 하나의 다공판(822)으로 굿어된다. 그리고 이 투수성 인터페이스(82)의 테두리 프레임(821)에는 두 개의 손잡이(88)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 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7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리 있는 상자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30)과 유사한 투수성 구조물(90)이 "복수개" 삽입된다.
도시된 예에서 3개가 삽입되는 투수성 구조물(30)은 각각, 그물망 구조의 투수성 인터페이스(92)를 포함하고, 이를 바닥면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96), 및 다리 즉 스페이서(93)를 포함한다. 투수성 인터페이스(92)는 테두리 프레임(921)에 둘러싸인 하나의 그물망(923)으로 구성된다. 측벽부(96)도 역시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96)의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94)이 포함되고 측벽부(9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9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97)에는 손잡이(98)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스박스 내부에, 투수성 구조물을 사용하여, 음식 등의 보관물과 얼음 등의 냉각재가 수납되는 보관공간과는 별도로 액체만이 모이는 액체분리공간이 제공된다. 액체분리공간에는 얼음이 녹은 물이나 보관물에서 흘러나오는 액상의 물질이 모일 수 있으며, 배수구를 통해 손쉽게 아이스박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박스에서 보관 중인 보관물이 얼음물과 섞이지 않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보관물이 더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더 오랫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더 나아가 냉각재로서 저가이며 얻기 쉬운 얼음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물과 얼음을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캠핑이나 낚시 등의 야외 활동시 아이스박스를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편리하고 저렴하면서도 냉각 효과가 큰 아이스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투수성 구조물을, 보관공간과 액체분리공간을 분할하는 투수성 인터페이스 외에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에 의하면, 아이스박스로부터 보관물을 꺼낼 때, 투수성 구조물의 수납공간에 담겨있는 보관물들을 한꺼번에 꺼낼 수 있다는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아이스박스 내에서 보관공간이 복수의 투수성 구조물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의 하나의 보관공간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수납공간에 서로 성질이 다른 보관물을 수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수납공간에는 음료수들을 넣고, 다른 수납공간에는 요리할 식재료 중 고기종류를 넣고, 또 다른 수납공간에는 채소류를 넣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납공간에는 각각 보관물과 냉각재를 전부 넣을 수도 있지만, 보관물만 수납할 수도 있고, 냉각재만 수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아이스박스 내의 공간을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체계화시킬 수 있어, 아이스박스 내에서 원하는 물건을 찾기 위해 보관물들을 뒤적이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등의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 단열 박스
12 : 함체
120 : 단턱부
122 : 액체분리공간
124 : 보관공간
14 : 배수구
16 : 뚜껑
20, 30, 40, 60, 70, 80, 90 : 투수성 구조물
22 : 투수성 인터페이스
221 : 투수성 인터페이스 테두리 프레임
222 : 다공판
223 : 관통공
23 : 스페이서
24 : 수직 모서리 프레임
26 : 측벽부
27 : 상부 테두리 프레임
51 : 결합돌기
52 : 결합홈

Claims (10)

  1.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뚜껑에 의해 그 상부 개방부가 개폐되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에는 배수구를 구비하는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냉각재를 함께 담는 단열박스를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보관물과 냉각재가 배치되는 보관공간, 및 상기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가 흘러내려 모이는 액체분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은,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투수성 구조물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도록 분리되며;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의 경계면으로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만이 통과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상기 액체분리공간 측에 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스페이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단턱에 접촉하여 수직방향에서 하방으로의 진행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가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 중 소정 위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돌기가 홈에 끼워지는 돌기-홈 구조, 자력에 의해 탈착되는 구조, 또는 벨크로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를 바닥면으로 하여 그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함체의 보관공간을 별도로 구분된 복수의 보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함체 내에 복수 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그물망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KR20130005672A 2013-01-18 2013-01-18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KR10145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5672A KR101455700B1 (ko) 2013-01-18 2013-01-18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5672A KR101455700B1 (ko) 2013-01-18 2013-01-18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05A true KR20140093405A (ko) 2014-07-28
KR101455700B1 KR101455700B1 (ko) 2014-11-03

Family

ID=5173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5672A KR101455700B1 (ko) 2013-01-18 2013-01-18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10B1 (ko) * 2015-09-15 2016-03-09 김대수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KR200488482Y1 (ko) * 2018-06-28 2019-02-08 신경용 탈부착 가능한 손전등을 내부조명으로 구비한 아이스박스
WO2019093767A1 (ko) * 2017-11-08 2019-05-16 최병달 아이스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873A (zh) * 2016-10-20 2017-01-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蓄冷箱
KR102445173B1 (ko) 2020-08-27 2022-09-22 에이스유통주식회사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5074A (en) * 1982-01-18 1986-01-21 Morgan Marshall M Ice tray for use with a portable ice chest
US6193097B1 (en) * 2000-02-25 2001-02-27 Miguel Angel Martin Perianes Portable cool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10B1 (ko) * 2015-09-15 2016-03-09 김대수 액화연료가스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WO2019093767A1 (ko) * 2017-11-08 2019-05-16 최병달 아이스박스
KR200488482Y1 (ko) * 2018-06-28 2019-02-08 신경용 탈부착 가능한 손전등을 내부조명으로 구비한 아이스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700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700B1 (ko)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US7178673B1 (en) Beach cooler system
US7861552B1 (en) Insulated food carrier and organizer
US105439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temperature within a cooler
US6085926A (en) Floating cooler with drink tray
US6574983B2 (en) All purpose portable ice chest
US20170101301A1 (en) Unique self-pressurizing, self-cooling beverage system, having impact-and-vibration-absorbing systems, anti-shaking anti-rolling clamping system, root-beer-float system, beverage-dispensing system, and multi-height spigot system
JP3187021U (ja) 冷熱凍カップ
KR20140048860A (ko) 절연 컨테이너용 강성 붕괴가능 라이너
WO2008124283A1 (en) Portable coolers
US20150253056A1 (en) Food Container
WO2021145971A1 (en) Collapsible hard-sided cooler
US20030173361A1 (en) Modular cooler apparatus
US11199353B2 (en) Cooler with a secondary compartment
US8695372B1 (en) Beverage cooling device with adjustable cooling air sliding plate
US20140352350A1 (en) Smarter Cooler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RU115055U1 (ru) Термосумка
US20100064720A1 (en) Single Component Flat Panel Cooling Apparatus
KR101984648B1 (ko) 아이스박스
JP5920694B2 (ja) 携帯用クーラーボックス
KR200467329Y1 (ko) 서랍식 반찬냉장고
JP2006204690A (ja) 生鮮食品用保冷台
JPS6324840Y2 (ko)
CN215246920U (zh) 隔水保温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