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142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142A
KR20140093142A KR1020130005598A KR20130005598A KR20140093142A KR 20140093142 A KR20140093142 A KR 20140093142A KR 1020130005598 A KR1020130005598 A KR 1020130005598A KR 20130005598 A KR20130005598 A KR 20130005598A KR 20140093142 A KR20140093142 A KR 2014009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d
rear cover
frame
fasten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병길
변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142A/en
Publication of KR2014009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frame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a back cover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and a fastening unit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frame, and includes a rotatable gear rod and a fastening element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gear ro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Among them, a liquid crystal panel of an LCD includes a TF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image can be displayed using light provided from the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excellent visibility.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한 기어로드(Gear Rod)와 상기 기어로드와 연동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fram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 back cov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rame, and a back cover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frame. And a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rotatable gear rod and fastening means for interlocking with the gear rod.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어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로드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수직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can vertically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ear ro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rod.

또한,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기어로드는 웜기어(Warm Gear)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and the gear ro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orm gear type.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어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홀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cover, and the frame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ans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rod .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located, and the housing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passes.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가이드하기 위한 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rame may include a hole or a groove for guiding the housing.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며 제 1 기어로드와 상기 제 1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후면커버의 장변(Long Side)에 대응되며 제 2 기어로드와 상기 제 2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and including a first gear rod and a first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rod, And a second coupling unit including a second gear rod and a second coupl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second gear rod.

또한, 상기 제 2 기어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어로드의 길이보다 킬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 gear rod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ear rod.

또한, 상기 제 1 기어로드의 회전 시 상기 제 2 기어로드가 회전하고, 상기 제 2 기어로드의 회전 시 상기 제 1 기어로드가 회전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gear rod rotates when the first gear rod rotates, and the first gear rod rotates when the second gear rod rotates.

또한, 상기 제 1 기어로드와 상기 제 2 기어로드는 베벨 기어(Bevel Gear)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gear rod and the second gear ro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vel gear type.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대응되며 제 1-1 기어로드와 상기 제 1-1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1-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1-1 체결부 및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대응되며 제 1-2 기어로드와 상기 제 1-2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1-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1-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and including a first gear rod and a first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rod, -1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corresponding to a second short side against the first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second gear rod and the first-second gear rod,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1-1 기어로드와 연동되는 제 2-1 기어로드와 상기 제 2-1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2-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2-1 체결부 및 상기 제 1-2 기어로드와 연동되는 제 2-2 기어로드와 상기 제 2-2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2-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2-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1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1 gear rod interlocked with the first-first gear rod and a second-1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second-first gear rod, And a 2-2 coupling unit including a 2-2 gear rod interlocked with the 1-2 gear rod and a 2-2 coupl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2-2 gear rod.

또한, 상기 제 2-1 기어로드와 상기 제 2-2 기어로드는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first gear rod and the second-second gear rod may be physically divided.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자석부(Inner Magnetic Part) 및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 자석부에 대응되는 외측 자석부(Outer Magnetic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자석부와 상기 외측 자석부는 상기 후면커버를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ner magnetic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and the rear cover, and an outer magnetic part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cover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magnet, , The inner magnet portion and the outer magnet portion may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rear cover therebetween.

또한, 상기 외측 자석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벽(Wall) 또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magnet portion may be installed in a wall or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inner magne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프레임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는 스피커(Speaker)가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that is recessed toward the frame, and a speaker may be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또한, 상기 후면커버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Dir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Cover) 것이 가능하다.The rear cover may include a horizontal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he vertical portion ma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수직부분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portion having elasticity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과 후면커버 사이에 내측 자석부를 배치하고 아울러 후면커버의 후방에 외측 자석부를 배치함으로서, 내측 자석부와 외측 자석부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agnet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rear cover and the outer magnet portion is disposed behind the rear cover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inner magnet portion and the outer magnet portion It is effectiv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후면커버를 고정함으로써, 후면커버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cover by fixing the frame and the rear cover using magnet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후면커버를 고정함으로서 스크류 등의 다른 체결수단의 사용을 줄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by reducing the use of other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by fixing the frame and the back cover using magnets.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3 내지 도 56은 기어를 이용하여 후면커버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7 내지 도 68은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9 내지 도 82는 또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13 are view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to 42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S. 43 to 5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frame to a rear cover using gears; FIGS.
FIGS. 57 to 68 are views for explaining fastening portion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FIG.
FIGS. 69 to 82 are views for explaining fastening portions of still another configuration; FIG. And
8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includ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 and / or "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anel),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panel. However,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ganic display panel But is not limited to,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13 are view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학층(Optical Layer, 110) 및 광원부(Light Source Part, 12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0B), 프레임(Frame, 1600)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광학층(110)과 광원부(120)를 포함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액정 패널일 수 있다.1,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light unit 10B including a display panel 100, an optical layer 110 and a light source part 120, A frame 1600, and a back cover 130.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optical layer 110 and the light source unit 120,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a liquid crystal panel.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for displaying an image may include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광학층(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layer 1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rear cover 130.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ptical layer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heet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he optical layer 1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ism sheet and a diffusion sheet though not shown.

광원부(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Light Source)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may be a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120.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may be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chip or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hip.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may be a colored LED or a white LED that emits at least one color among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and the like.

백라이트 유닛(10B)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도 가능하고,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도 가능하다.The backlight unit 10B may be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or an edge type backlight unit.

백라이트 유닛(10B)의 후방에는 프레임(1600) 및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hat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are disposed behind the backlight unit 10B.

광원부(120)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백라이트 유닛(10B)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에, 광원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들이 프레임(1600)에 소정 패턴(Pattern)으로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2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1600. For example, when the backlight unit 10B is a direct-type backlight uni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ed in the light source unit 120 may be arranged in a frame 16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후면커버(130)는 백라이트 유닛(10B)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30 can protect the backlight unit 10B from external impact and pressure.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면 기판 및 후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인 액정 패널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display panel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내측 자석부와 외측 자석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게가 가벼운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표시 패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detail, since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using the inner magnet portion and the outer magnet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weight of the display panel is ligh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display panel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rganic display panel.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유기 표시 패널인 경우에 프레임(16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착시트(미도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an organic display panel, the frame 16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by an adhesive sheet (not shown) or the like.

도 2에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2 show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동부(300Q)에서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10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300Q.

여기, 도 2에서는 구동부(300Q)가 하나의 모듈(Module)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구동부(300Q)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 형태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부(300Q)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제어하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제어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lthough the driving unit 300Q is shown as one module in FIG. 2, the driving unit 300Q may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modules. For example, the driver 300Q may be divided into a data driver (not shown)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ignals supplied to the data lines and a scan driver (not shown)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ignals supplied to the scan lines It is.

이러한 구동부(300Q)는 구동보드(Driving Board)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Such a driving unit 300Q can be referred to as a driving board.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교차하는 스캔 라인(S1~Sm)과 데이터 라인(D1~D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위치에 서브 픽셀(Sub Pixel, P)이 배치될 수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scan lines S1 to Sm and data lines D1 to Dn which intersect with each other. A sub pixel (P)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can line and the data line cross each other.

스캔 라인은 서브 픽셀로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캔 라인은 구동부(300Q)가 생성한 스캔 신호의 공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scan lines can supply the scan signals to the sub-pixels. Preferably, the scan line may provide a supply path of the scan signal generated by the driver 300Q.

데이터 라인은 서브 픽셀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라인은 구동부(300Q)가 생성한 데이터 신호의 공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line may supply the data signal to the subpixel. Preferably, the data line may provide a supply path for the data signal generated by the driver 300Q.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소거(Erase) 신호가 공급되는 소거 라인(Erase Line)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organic EL display panel 100 may further include an erase line to which an erase signal is supplied.

다음, 도 3을 살펴보면 서브 픽셀의 구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subpixel is shown.

서브 픽셀은 유기 셀(OLE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픽셀은 제 1 트랜지스터(Tr1), 제 2 트랜지스터(Tr2), 제 3 트랜지스터(Tr3) 및 커패시터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pixel may comprise an organic cell (OLED). In addition, the sub-pixel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nsistor Tr1, a second transistor Tr2, a third transistor Tr3, and a capacitor portion C.

스캔 라인(Scan)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되면, 제 1 트랜지스터(Tr1)가 턴-온(Turn-On)되고, 이때 데이터 라인(Data)으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커패시터부(C)의 양단에는 전원 전압(VDD)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Vd)의 차이만큼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커패시터부(C)에는 (VDD-Vd)의 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line Scan, the first transistor Tr1 is turned on. When a data signal is supplied to the data line Data, A voltage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VDD and the voltage Vd of the data signal is applied so that the voltage of (VDD-Vd) can be stored in the capacitor portion C.

그러면, 제 3 트랜지스터(Tr3)의 게이트(Gate) 단자에 (VDD-Vd)의 전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제 3 트랜지스터(Tr3)가 턴-온 되고, 이에 따라 커패시터부(C)에 저장된 (VDD-Vd)의 전압에 따른 전류가 유기 셀(OLED)로 공급되어 유기 셀(OLED)이 발광하게 된다.Then, the voltage of (VDD-Vd)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Tr3, whereby the third transistor Tr3 is turned on, and accordingly the voltage VDD- Vd)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emits light.

한편, 소거 라인(Erase)으로 소거 신호가 공급되면, 제 2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될 수 있다. 그러면, 커패시터부(C)의 양단이 단락(Short) 됨으로써, 커패시터부(C)에 충전된 전압이 모두 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3 트랜지스터(Tr3)가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그러면, 유기 셀(OLED)의 발광이 정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rase signal is supplied to the erase line Erase, the second transistor Tr2 can be turned on. Th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unit C are short-circuited, so that all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unit C can be discharged, so that the third transistor Tr3 is turned off . Then, the emiss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be stopped.

여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소거라인(Erase)이 생략되는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Here,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10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n erase line is omitted in the organic EL display panel 100 may be possible.

도 4는 유기 셀의 발광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luminescence of an organic cell.

도 4를 살펴보면, 유기 셀은 음극(200)과 양극(260) 사이에 전자 주입층(210), 전자 수송층(220), 발광층(230), 정공 수송층(240), 정공 주입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organic cell include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210, an electron transport layer 220, a light emitting layer 230, a hole transport layer 240, and a hole injection layer 250 between the cathode 200 and the anode 260 .

음극(200)과 양극(260)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계조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음극(200)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 주입층(210) 및 전자 수송층(220)을 통해 발광층(230)으로 이동한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200 and the anode 260, a gradation current is supplied, and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cathode 200 are emitted through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210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220, .

아울러, 양극(260)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250) 및 정공 수송층(240)을 통해 발광층(230)으로 이동한다.The holes generated from the anode 260 mov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230 through the hole injection layer 250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240.

이때, 발광층(230)에서는 전자 주입층(210)과 전자 수송층(220)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 주입층(250)과 정공 수송층(240)으로부터 공급된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충돌에 의해 발광층(230)에서 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electrons supplied from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210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220 and holes supplied from the hole injection layer 250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240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light emitting layer 230 to recombine. Light is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230 due to collision of electrons and holes.

이러한, 발광층(230)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양극(260)으로 공급되는 계조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The luminance of ligh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230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gradation current supplied to the anode 260.

여기, 도 4는 유기 셀의 구조 및 발광 원리의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여기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기 셀은 전자 주입층(210), 전자 수송층(220), 정공 수송층(240), 정공 주입층(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Here,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and luminescence principle of the organic cel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4 her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210,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220, the hole transport layer 240, and the hole injection layer 250 may be omitted in the organic cell.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해 액정 패널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이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하의 설명에서 광학층(110) 및/또는 광원부(120)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play panel 100 is a liquid crystal panel,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organic EL display panel.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100, the optical layer 110 and / or the light source 120 may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5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에는 브라켓(Bracket, 140)이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기판(111)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bracket 14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bstrate 111 of the display panel 100. In order to attach the bracket 140 to the rear substrate 111, an adhesive layer 400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111 and the bracket 140.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체결을 위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When the bracket 14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111 by using the adhesive layer 40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substrate 111 and the bracket 140 from being pinche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fixatio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fastening means such as a supporting means and a screw.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기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bracket 140 and the rear substrate 111, groov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racket 140 facing the rear substrate 111, and an adhesive layer 400 may be formed on the grooves.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bracket 140, thereby facilitating the process.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접착층(400)보다 더 연장된 부분(W1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bracket 14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111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portion W1A that is longer than the adhesive layer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portion W1 that extends further than the bracket 1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브라켓(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bracket 140 can be variously changed.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베이스부(1000)와 머리부(1002)를 연결하는 기둥부(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베이스부(1000)와 후면패널(110)의 사이에 접착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6, the bracket 140 includes a base portion 1000, a head portion 1002, and a column portion 1001 connecting the base portion 1000 and the head portion 1002 . Here, the adhesive layer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portion 1000 of the bracket 140 and the rear panel 110.

다르게 표현하면, 브라켓(140)은 함몰부(홈)를 포함하고 접착층(400)이 적용되는 제 1 면(Firs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돌출부(1001) 및 제 1 돌출부(100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돌출부(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1001)는 후면패널(111)의 폭방향(수직방향(DRV))으로 후면패널(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002)는 제 1 돌출부(1001)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DRH, 길이방향,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데, 제 1 돌출부(1001)와 제 2 돌출부(1002)는 뒤집어진 L 형상(Inverted L-shape)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bracket 14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including a depression (groove) and to which the adhesive layer 400 is applied. In addition, the bracket 14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001 extending from a second surface opposed to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1002 exten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1001. Here, the first projection 1001 may extend away from the rear panel 111 in the width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DRV) of the rear panel 111. [ The second protrusion 1002 extends from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00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and the first protrusion 1001 and the second protrusion 1002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It is possible to have an inverted L shape (inverted L-shape).

이하에서는, 브라켓(140)이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기둥부(1001)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브라켓(140)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bracket 140 includes the base unit 1000, the head unit 1002, and the column unit 1001 will be describe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140 described below.

도 6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상부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머리부(1002)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브라켓(140), 보조 브라켓(4800)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브라켓(140)을 제 1 브라켓(140)이라 하고, 보조 브라켓(4800)을 제 2 브라켓(4800)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s in the case of FIG. 6, the auxiliary bracket 48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40. This auxiliary bracket 4800 can be seated on the top of the bracket 140. For example, the auxiliary bracket 4800 can be seated in the head portion 1002 of the bracket 140. [ The bracket 14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racket 140 and the auxiliary bracket 480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racket 4800 although the brackets 140 and 4800 are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후면기판(111)에 근접하게 위치한 부분(480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브라켓(4800)에서 후면기판(111)에 근접한 부분을 저고도부분(4801)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racket 4800 may include a portion 4801 located close to the rear substrate 111. 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portion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close to the rear substrate 111 as the low-height portion 4801. [

후면기판(111)의 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의 높이(HA2)는 브라켓(140)의 최대 높이(HA1)보다 낮을 수 있다.The height HA2 of the low-altitude portion 4801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may be lower than the maximum height HA1 of the bracket 140, assuming that the height is measur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111. [

또한,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은 브라켓(14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방향으로 소정 거리(LA1) 연장될 수 있다.The low-altitude portion 4801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may extend beyond the bracket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A1 toward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100. [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된 제 1 레지(Ledge, 4802)와 제 2 레지(4801)를 포함하고,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는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번호 미지정)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는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t least one auxiliary bracket 4800 includes a first ledge 480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and a second ledge 4801, and the first ledge 4802 and the second ledge 4802, (Not show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In addition, the extension may b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4802 and 4801.

이러한 경우, 제 1 레지(4802)는 제 2 돌출부(1002)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Fram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은 제 1 레지(4802)와 접촉(Contact)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eg 480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1002 and a frame (not shown). In addition, the frame may contact the first leg 4802. This configuration can be further specified below.

아울러, 도 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될 수 있다.7, the optical layer 110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rear cove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auxiliary bracket 4800. [ For example, the optical layer 110 may be disposed in the low-altitude portion 4801 of the secondary bracket 4800.

또한,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에 고정되지 않고,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Further, the optical layer 110 is not fixed to the auxiliary bracket 4800 but may be placed in the low-altitude portion 4801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 In this case, the optical layer 110 may be movab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이처럼,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면, 광학시트부(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소정 거리(Z1)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optical layer 1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sheet portion 110 and the rear substrate 111 of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Z1, An air gap 6500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substrate 111 and the optical layer 110.

이처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When the air layer 6500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bstrate 111 and the optical layer 110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by the air layer 6500.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조 브라켓(4800)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도 8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상부에는 광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부(120)는 광학층(110)과 함께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light source 120 may be disposed on the optical layer 110.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unit 120 may be disposed in the low-altitude portion 4801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together with the optical layer 110.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직하타입(Direct Type) 광원부(120)를 갖는 경우이다.In this case, the backlight unit 10B has a direct type light source unit 120. [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레지(4802)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9, the optical layer 1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ledge 4802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도 9에는 광학층(110)의 상부에 도광판(Light Guide Plate, 7000)이 배치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엣지타입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FIG. 9 shows a case where a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Plate) 7000 is disposed on the optical layer 110.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hat the backlight unit 10B includes an edge type light source portion as an edge type backlight unit.

도 10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에는 홀(1003)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hole 1003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140.

이러한 홀(1003)을 통해 연결 프레임(Connection Frame, 50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다.A connection frame (5000) can be connected to the bracket (140) through the hole (1003).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프레임(5000)의 일부가 브라켓(140)의 홀(1003)에 단순히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The connection frame 5000 is not fixed to the bracket 140 but a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5000 can be simply inserted into the hole 1003 of the bracket 140.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5000)에 전달되는 비틀림 등의 외력이 브라켓(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by suppressing the external force, such as twist,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frame 50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bracket 140.

이러한 경우, 보조 브라켓(4800)은 복수의 브라켓(1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50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bracket 48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brackets 140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on frame 5000.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측벽(5004)과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탭(Tab Portion, 5003)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탭(5003)은 브라켓(140)의 제 1 연장부에 형성된 홀(1003)을 관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frame 50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abs 500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with the side walls 5004, wherein the first tabs 5003 extend through the brackets 140, Through the hole 1003 formed in the first extended portion of the base plate 1003.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DRH)으로 제 1 탭(5003)의 폭은 브라켓(140)의 제 2 돌출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first tab 500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bracket 140. [

또한, 연결 프레임(5000)에는 홀(5001)이 형성되고, 보조 브라켓(4800)에도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에 대응되는 홀(48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과 보조 브라켓(4800)의 홀(4804)을 통해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100)이 연결 프레임(5000)과 보조 브라켓(4800)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홀(1003)(또는 홈)에 끼워지는 제 1 탭(5003) 및 보조 브라켓(4800)과 체결되는 측벽(5004)을 포함할 수 있다.A hole 5001 is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5000 and a hole 4804 corresponding to the hole 5001 of the connection frame 5000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bracket 4800. Through the hole 5001 of the connection frame 5000 and the hole 4804 of the auxiliary bracket 4800, the coupling means S100 such as a screw can connect the connection frame 5000 and the auxiliary bracket 4800. The connection frame 5000 may include a first tab 5003 that fits into the hole 1003 (or groove) of the bracket 140 and a side wall 5004 that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racket 4800 .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의 제 1 탭(5003)은 수평부분이라 하고, 측벽(5004)은 수직부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first tab 5003 of the connection frame 5000 ma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portion, and the side wall 5004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portion.

도 11을 살펴보면, 보조 브라켓(4800)에 프레임(1600)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frame 1600 may be disposed on the auxiliary bracket 4800.

아울러, 도 12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은 소정의 체결수단(S11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12, the auxiliary bracket 4800 and the frame 1600 can be fastened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S110.

도 13을 살펴보면, 소정 영역에서는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이 소정의 체결수단(S110)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영역에서는 보조 브라켓(4800)과 연결 프레임(5000)이 소정의 체결수단(S1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13, the auxiliary bracket 4800 and the frame 1600 are fastened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S110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auxiliary bracket 4800 and the connecting frame 5000 are fastened by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S100).

도 14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14 to 4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1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자석부(Inner Magnetic Part, 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inner magnetic part 500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이러한 내측 자석부(500)는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은 각각 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ner magnet portion 500 can magnetically couple the frame 150 with the back cover 130. In such a case,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may each include an iron material.

이에 따라,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연결할 수 있다. 혹은, 또 다른 체결수단의 개수/크기 등을 줄이더라도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충분히 강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can be connected without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sufficiently strongly even if the number / size of other fastening means is reduced.

도 15를 살펴보면, 내측 자석부(500)는 하나의 프레임(1600)에 복수개가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plurality of inner magnet units 500 may be applied to one frame 1600.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can be improved.

내측 자석부(500)는 프레임(160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rame 1600.

이를 위해, 도 16의 경우와 같이, 내측 자석부(500)는 홀(H2)을 포함하고, 프레임(1600)은 내측 자석부(500)의 홀(H2)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16,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ncludes a hole H2, and the frame 1600 has a groove or hole H1 corresponding to the hole H2 of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 ≪ / RTI >

여기서, 수정의 체결수단(S120)이 내측 자석부(500)의 홀(H2)과 프레임(1600)의 홈 또는 홀(H1)에 삽입되어 내측 자석부(500)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quadrangular fastening means S120 is inserted into the hole H2 of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and the groove or hole H1 of the frame 1600 so that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can be connected to the frame 1600 have.

혹은 내측 자석부(500)는 후면커버(13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ner magnet part 500 may be fastened to the rear cover 130.

혹은 내측 자석부(500)는 자력으로 프레임(1600)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임(1600)은 내측 자석부(500)가 자기적으로 부착되기 위해 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r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can be attached to the frame 1600 with magnetic force. In such a case, the frame 1600 is capable of including an iron material for magnetically attaching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또는, 내측 자석부(500)는 프레임(1600)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1600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이처럼, 내측 자석부(500)가 자력으로 프레임(1600)에 부착된 경우 및/또는 내측 자석부(500)가 프레임(1600)에 용접되는 경우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s attached to the frame 1600 by magnetic force and / or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s welded to the frame 1600,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may not be used.

도 17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은 후면커버(13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frame 1600 may include a protrusion 1610 protruding toward the rear cover 130.

아울러, 내측 자석부(500)는 프레임(1600) 돌출부(1610)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may be disposed on the protrusion 1610 of the frame 1600.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내측 자석부(5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도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can be magnetically connected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s relatively thin,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can be magnetically connected more effectively.

도 18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에는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이탈 방지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이탈 방지부(600)는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frame 16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eparture prevention part 600 for preventing the inner magnet part 500 from coming off. The first deviation preventing portion 600 can prevent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from being separated.

제조 공정 시 제 1 이탈 방지부(600)를 프레임(1600)에 용접한 상태에서, 내측 자석부(500)를 제 1 이탈 방지부(600)에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it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nto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600 while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600 is welded to the frame 160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는, 후면커버(130)에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arrange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cover 130.

도 19의 (A)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내측 자석부(500)의 주위에 배치되며, 프레임(160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A, the rear cover 130 may include a protrusion 610 disposed around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and protruding toward the frame 1600.

이러한 돌출부(610)는, 도 20의 경우와 같이, 링(Ring)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610)는 내측 자석부(500)를 감싸고, 이에 따라 내측 자석부(50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Such a protrusion 610 can have a ring shape as in the case of Fig. The protruding portion 610 surrounds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so that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can be firmly fixed.

또한, 도 19의 (B)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에는 제 2 이탈 방지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B,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ortion 62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over 130. [0064] Referring to FIG.

이러한 제 2 이탈 방지부(620)는 후면커버(130)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거나 혹은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ortion 620 may be welded to the rear cover 130 or attached by an adhesive lay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130)의 후방에 위치하며, 내측 자석부(500)에 대응되는 외측 자석부(Outer Magnetic Part, 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magnetic part 700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cover 130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magnet part 500.

이러한, 외측 자석부(7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벽(Wall, 770) 또는 거치대 등의 소정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The outer magnet part 700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tructure such as a wall 770 or a mount for mounting the display device.

내측 자석부(500)와 외측 자석부(700)는, 도 22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를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magnet portion 500 and the outer magnet portion 700 can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rear cover 130 therebetween, as in the case of FIG.

이러한 경우, 벽걸이용 거치대 등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770) 또는 거치대 등의 구조물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 wall 770 or a cradle without using a device such as a wall mount stand.

도 23을 살펴보면, 외측 자석부(700)는 자력을 띄는 베이스 자석(710) 및 베이스 자석(710)에 형성된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23, the outer magnet portion 700 may include a base magnet 710 having magnetic attraction and a hole H3 formed in the base magnet 710. [

이러한 구성에서 소정의 체결수단(720)이 홀(H3)을 관통하여 벽(770) 또는 거치대 등의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자석부(700)가 벽(770) 또는 거치대 등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720 can be connected to the structure such as the wall 770 or the cradle through the hole H3. Accordingly, the outer magnet portion 700 can be fixed to the structure such as the wall 770 or the mount.

도 24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에는 외측 자석부(7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헤. 외측 자석부(700)의 주위에 배치되며, 프레임(160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또 다른 돌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24, in order to prevent the outer magnet portion 7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ar cover 130, And another protrusion 630 disposed around the outer magnet portion 700 and protruding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oward the frame 1600. [

이러한 또 다른 돌출부(630)는, 앞선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Ring)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Such another protruding portion 630 can have a ring shap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이러한 또 다른 돌출부(630)는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후면커버(130)에 연결되거나 접착제, 접착시트 등에 의해 후면커버(130)에 부착될 수 있다.The other protrusion 63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30 by a method such as welding or may be attached to the rear cover 130 by an adhesive, an adhesive sheet or the like.

도 25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내측 자석부(500)를 향해 함몰되며, 외측 자석부(700)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 자석부(7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25, the rear cover 130 may include a first depression 131, which is recessed toward the inner magnet unit 500 and into which the outer magnet unit 700 is inser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viation of the outer magnet portion 700 from being released.

이처럼, 후면커버(130)에 외즉 자석부(700)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13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시, 제 1 함몰부(131)의 깊이(W1) 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770) 혹은 거치대 등의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first depressed portion 131 is formed in the rear cover 130, the depth W1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131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epth W1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131,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tructure such as the wall 770 or the mount can be reduced.

도 26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외측 자석부(700)를 향해 함몰되며, 내측 자석부(500)가 삽입되는 제 2 함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과정에서 외측 자석부(700)와의 접점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26, the rear cover 130 may include a second depression 132, which is recessed toward the outer magnet unit 700 and into which the inner magnet unit 500 is inser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engagement of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n addition, it is easy to check the contact point with the outer magnet part 700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isplay device.

도 27 내지 도 28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프레임을 향해 함몰되는 제 3 함몰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함몰부(133)는 복수의 내측 자석부(500)들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내측 자석부(500)는 제 3 함몰부(133)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27 to 28, the rear cover 1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epression 133 that is recessed toward the frame. The third depressed portion 133 may be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plurality of inner magnet portions 500. That is, the plurality of inner magnet portions 500 can be disposed around the third depression 133.

제 3 함몰부(133)에는 스피커(Speaker, 8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함몰부(13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가 배치될 수 있다.A speaker (speaker) 80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depression 133. For example, a relatively bulky woofer speaker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depression 133. [

이처럼,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스피커(80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스피커(80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스피커(800)를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스피커(800)의 사이즈 뿐 아니라 형태도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eaker 800 is disposed in the third depression 133 of the rear cover 130, the size of the speaker 800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speaker 800 is mounted on the third depression 133 of the rear cover 130, the size of the speaker 800 as well as the shape of the speaker 800 can be freely changed.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배치되는 스피커(8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speaker 800 disposed at the third depression 133 of the rear cover 1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아울러, 제 3 함몰부(133) 내에는 홀(H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le (H4) may be formed in the third depression (133).

이러한 홀(H4)을 통해 스피커(800)와 구동보드(Driver Board, 83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800)와 구동보드(830)를 연결하는 케이블(820)이 홀(H4)을 통과할 수 있다.The speaker 800 and the driver board 830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hole H4. For example, a cable 820 connecting the speaker 800 and the drive board 830 can pass through the hole H4.

여기서, 구동보드(820)는 스피커(800)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스피커(800)에 공급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board 820 may supply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peaker 800 to the speaker 800.

도 29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스피커(8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800)의 출력부분(810)은 스피커(8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29, the output portion 810 of the speaker 800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peaker 800 when the speaker 800 is mounted on the third depression 133 of the rear cover 130 .

여기서, 스피커(800)의 출력부분(810)은 스피커(800)의 음이 출력되는 부분일 수 있다.Here, the output portion 810 of the speaker 800 may be a portion where the sound of the speaker 800 is output.

이러한 경우, 도 30의 경우와 같이, 스피커(800)에서 출력된 음성이 스피커(800)와 벽(770) 혹은 거치대 등의 구조물 사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지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도 30에서 화살표가 음성의 발산을 의미할 수 있다.30,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800 can be effectively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peaker 800 and the structure such as the wall 770 or the cradle. In Fig. 30, arrows may indicate the divergence of voice.

아울러, 스피커(800)에서 출력된 음성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 스피커(800)의 출력부분(81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충분히 큰 간격(W3)이 마련될 수 있다.A sufficiently large gap W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portion 810 of the speaker 800 and the rear cover 130 so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800 can be effectively radiated to the outside.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스피커(800)가 장착되는 경우, 스피커(800)를 보호하기 위해, 도 31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31, in order to protect the speaker 800 when the speaker 800 is mounted on the third depression 133 of the rear cover 130, the rear cover 130 protrudes rearward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134.

이러한 돌출부(134)는, 스피커(800)가 제 3 함몰부(133)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피커(800)보다 소정 높이(W4)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134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W4 from the speaker 800 in a state where the speaker 800 is disposed in the third depression 133. [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770) 등에 충돌하더라도 스피커(8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display device collides with the wall 770 or the like, damage to the speaker 800 can be prevented.

도 32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돌출부(134)는 구동보드(830)가 위치한 영역과 중첩(Overlap)할 수 있다.32, the protrusion 134 of the rear cover 130 may overlap an area where the driving board 830 is located.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에 돌출부(134)를 형성하게 되면,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서 구동보드(830)가 배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아울러 스피커(8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rotrusion 134 is formed on the rear cover 130, a sufficient spac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so that the drive board 830 can be disposed,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speaker 800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도 32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840은 소정의 회로부품일 수 있고, 부호 900은 하부커버(Bottom Cover)일 수 있다. 하부커버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32, reference numeral 840 may be a predetermined circuit component, and reference numeral 900 may be a bottom cover. The lower cover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3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H)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130H) 및 제 1 방향(DRH)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V)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Direction, 130V)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H)을 수평방향이라 하고, 제 2 방향(DRV)를 수직방향이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33, the rear cover 130 includes a horizontal part 130H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RH and a second direction DRV 120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RH. (Vertical Direction, 130V), which extends to the left side of FIG. Here, the first direction DRH ma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RV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덮는(Cover) 것이 가능하다.Here, the vertical portion 130V of the rear cover 130 is capable of covering at least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수평부분(130H)은 적어도 프레임(16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130H of the rear cover 13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located behind the frame 1600.

후면커버(1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제 1 위치(PST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인성 개선될 수 있다.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exposed while the rear cover 130 is mount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panel 100 at the first position PST1, the user can observe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In this case,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내측 자석부(500)를 배치하여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자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 및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후면커버(130)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When the inner magnet portion 50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to magnetically connect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easy to apply the rear cover 130 including the rear and side portions of the display panel 100.

도 34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적어도 수직부분(130V)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a buffer 130A having elasticity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at least a vertical portion 130V of the rear cover 130. FIG.

이러한 완충부(130A)는 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30)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물,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0), 프레임(1600)의 사이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130A)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 cushioning portion 130A can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rear cover 130 and the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rear cover 130, for example,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frame 1600 have. For example, the buffer portion 130A may be made of a sponge material.

또한, 완충부(130A)는 어두운 색, 예컨대 검은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buffer part 130A can have a dark color, for example, a black color.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유기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도 35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프레임(16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는 접착층(1600A)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an organic display panel, the frame 16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s in the case of FIG. In this case, an adhesive layer 1600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ame 1600 and the display panel 100. [

이러한 경우에도,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vertical portion 130V of the rear cover 130 can cover at least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도 36을 살펴보면, 제 2 방향(DRV)으로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보다 소정 높이(W5) 만큼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the vertical portion 130V of the rear cover 130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W5 from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second direction DRV.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ar cover 130 can prevent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from being damaged.

도 37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방향(DRH)의 가로 방향으로의 단면, 즉 B1-B2라인을 따라 절단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을 보면, 도 37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양쪽 측면이 각각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에 의해 덮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7 (A),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cut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first direction DRH, that is, along the line B1-B2, Both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covered by the vertical portion 130V of the rear cover 130, respectively, as in (B) of FIG.

도 38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방향(DRH)의 세로 방향으로의 단면, 즉 C1-C2라인을 따라 절단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을 보면, 도 38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은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에 의해 덮이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에는 하부커버(Bottom Cover, 900)가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8A,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first direction DRH, that is, along the C1-C2 line,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is covered by the vertical portion 130V of the rear cover 130 and the bottom cover 900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as shown in (B) can do.

즉,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은 후면커버(130)에 의해 가려지는데 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 공간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is obscured by the rear cover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is open to the space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rear cover 130 It is.

하부커버(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cover 900 can support the display panel 100.

아울러, 하부커버(900)는 프레임(1600) 및/또는 후면커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ver 90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1600 and / or the rear cover 130.

도 39를 살펴보면, 하부커버(900)는, 제 1 영역(AR1)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Front Surface)의 일부를 가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9, the lower cover 900 may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s in the first area AR1.

자세하게는, 도 37 및 도 3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영역(SS1), 제 2 단변영역(SS2) 및 제 1 장변영역(LS1)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영역(LS2)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하부커버(9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37 and 38, in the first short side region SS1, the second short side region SS2 and the first long side region LS1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covered by the lower cover 900 in the second long side region LS2 of the display panel 100. [

도 40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내측에는 가이드부(Guide Part, 1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00)는 용접에 의해 후면커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1100)와 후면커버(130)의 내측면 사이에 접착층(1120)이 배치되어 가이드부(1100)를 후면커버(130)에 부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0, a guide part 1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ar cover 130. The guide portion 1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30 by welding. An adhesive layer 1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uide portion 1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30 to attach the guide portion 1100 to the rear cover 130.

가이드부(1100)에는 홈(1110)이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1110 may b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1100.

이러한 가이드부(1100)의 홈(1110)에는 소정의 구조물이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다.A predetermined structure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110 of the guide portion 1100.

예를 들면, 도 41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 및 보조 브라켓(4800)의 끝단이 가이드부(1100)의 홈(1110)에 끼워질 수 있다.41, the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5000 and the auxiliary bracket 4800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s 1110 of the guide portion 1100. [

또는, 도 42의 경우와 같이, 경우에 프레임(1600)의 끝단이 가이드부(1100)의 홈(1110)에 끼워질 수 있다.42, the end of the frame 1600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1110 of the guide portion 1100. [

도 43 내지 도 56은 기어를 이용하여 후면커버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43 to 5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frame to the rear cover using gears.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4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3,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upling part 1200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130 and the frame 1600.

이러한 체결부(1200)는 회전 가능한 기어로드(Gear Rod, 1210)와 기어로드(1210)와 연동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 S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1200 may include a rotatable gear rod 1210 and fastening means S130 interlocked with the gear rod 1210.

이러한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체결부(1200)는 하우징(1200H)를 포함하고, 하우징(1200H)이 후면커버(130)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혹은 하우징(1200H)과 후면커버(130)의 내측면 사이에 접착층(1200A)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1200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30. 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1200 includes the housing 1200H, and the housing 1200H can be welded to the rear cover 130 and connected. Or the adhesive layer 1200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00H and the back cover 130. [

또한, 하우징(1200H)에는 체결수단(S130)이 위치하고, 체결수단(S130)이 관통하는 홀(H5)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200H may include a hole H5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S130 is located and the fastening means S130 penetrates.

프레임(1600)은 체결부(1200)에 대응하는 홀(Hole, H6)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600 may include a hole H6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1200. [

여기서, 체결부(1200)의 체결수단(S130)은 기어로드(1210)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1600)의 홀(H6)에 삽입되거나 홀(H6)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means S130 of the fastening part 1200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le H6 of the frame 1600 as the gear rod 1210 rotates.

체결수단(S130)은 기어로드(1210)의 회전에 따라 기어로드(12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수직운동할 수 있다.The engaging means S130 can vertically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ear rod 12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rod 1210. [

이러한, 체결수단(S130)과 기어로드(1210)는, 도 44의 경우와 같이, 웜기어(Warm Gear)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S130 and the gear rod 1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orm gear type as in the case of FIG.

도 44를 살펴보면, 기어로드(1210)는 회전축(1210B)과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분(1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수단(S130)은 기어로드(1210)의 나사부분(1210A)에 대응되는 제 1 나사부분(S130A)과 프레임(1600)의 홀(H6)에 대응하는 제 2 나사부분(S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로드(1210)가 회전하면 나사부분(1210A)에 맞물리는 체결수단(S130)의 제 1 나사부분(130A)을 포함하는 체결수단(S130)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수단(S130)의 제 2 나사부분(130B)이 프레임(1600)의 홀(H6)에 삽입되어 프레임(1600)과 체결부(1200)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44, the gear rod 1210 may include a threaded portion 1210A having a threaded portion with the rotating shaft 1210B. The engaging means S130 is provided with a first thread portion S130A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1210A of the gear rod 1210 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S130B corresponding to the hole H6 of the frame 1600 . Here, when the gear rod 1210 is rotated, the fastening means S130 including the first threaded portion 130A of the fastening means S130 engaging the threaded portion 1210A can be rotated. The second screw portion 130B of the fastening means S130 is inserted into the hole H6 of the frame 1600 so that the frame 1600 and the fastening portion 1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ver 130 can be connected.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200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130.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에 대응되며 제 1-1 기어로드(1210-1)와 제 1-1 기어로드(1210-1)에 연동되는 제 1-1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1 체결부(1200-1) 및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에 대응되며 제 1-2 기어로드(1210-2)와 제 1-2 기어로드(1210-2)에 연동되는 제 1-2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2 체결부(1200-2)를 포함할 수 있다.45, the coupling portion 1200 corresponds to the first short side (SS1) of the rear cover 13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rod 1210-1 and the first short side -1 fastening portion 1200-1 including a first fastening means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rod 1210-1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1200-1 includ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1200-1 formed on the first short side SS1 of the rear cover 130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pposing to the first and second gear rods 1210-2 and 1210-2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and second gear rods 1210-2 and 1210-2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200-2 including a second fastening part 1200-2.

제 1-1 체결부(1200-1)는 제 1-1 하우징(1200H-1)을 포함하고, 제 1-2 체결부(1200-2)는 제 1-2 하우징(1200H-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first coupling portion 1200-1 includes the first-first housing 1200H-1 and the first-second coupling portion 1200-2 includes the first-second housing 1200H-2. can do.

프레임(1600)에는 제 1-1 체결수단 또는 제 1-2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홀(H6)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600 may be formed with a hole H6 through which the 1-1 engaging means or the 1-2 engaging means is inserted.

또는, 체결부(1200)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fastening portion 1200 can be disposed in the frame 1600. [

예를 들면, 도 46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는 소정의 체결수단(S140)에 의해 프레임(1600)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6, the fastening portion 1200 can be fastened to the frame 1600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S140.

아울러, 체결부(1200)의 체결수단(S130)이 삽입되는 홀(H7)을 포함하는 홀 하우징(1220)이 후면커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A hole housing 1220 including a hole H7 into which the fastening means S130 of the fastening part 1200 is inserted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30. [

이러한 경우, 홀 하우징(1220)은 후면커버(130)에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홀 하우징(122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접착층(1220A)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hole housing 1220 can be welded to the rear cover 130 and connect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hat an adhesive layer 1220A is formed between the hole housing 1220 and the rear cover 130.

체결부(12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7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에서 체결수단(S130)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하우징(1200H)을 설치하고, 각각의 하우징을 바(Bar, 1200B)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fastening part 1200 can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7,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housing 1200H in the region where the fastening means S130 is arranged in the fastening part 1200, and connect the respective housings with the bars (1200B) Do.

도 48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은 체결부(12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프레임(1600)의 홈(1620)은 체결부(1200)의 하우징(1200H)에 대응될 수 있다. 체결부(12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1620)은 홀로 대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8, the frame 1600 may include a groove 1620 for guiding the fastening part 1200. In more detail, the groove 1620 of the frame 1600 may correspond to the housing 1200H of the fastening part 1200. [ The groove 1620 for guiding the fastening part 1200 can be replaced by a hole.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연결 과정에서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용이하게 정렬(Align)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can be easily align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또는, 도 49 내지 도 50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의 하우징(1200H)에는 프레임(160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00P)를 포함하고, 프레임(1600)에는 돌출부(1200P)에 대응되는 홈 또는 홀(H9)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0)의 돌출부(1200P)기 프레임(1600)의 홈 또는 홀(H9)에 삽입될 수 있다.49 to 50, the housing 1200H of the fastening part 1200 includes a protrusion 1200P projecting toward the frame 1600, and the frame 160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200P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00P A groove or a hole H9 may be formed. The projecting portion 1200P of the fastening portion 120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r the hole H9 of the base frame 1600. [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연결 과정에서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용이하게 정렬(Align)시킬 수 있다.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can be easily align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

후면커버(130)의 단변(SS) 뿐 아니라 장변(Long Side)에도 체결부(12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astening part 1200 on the long side as well as the short side SS of the back cover 130. [

예를 들면, 도 51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S,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며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와 제 1 기어로드(1201-1, 1210-2)에 연동되는 제 1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 체결부(1200-1, 1200-2)를 포함할 수 있다.51, the fastening portion 1200 corresponds to the short side SS (first short side SS1 and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rear cover 130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first coupling portions 1200-1 and 1200-2 including first coupling means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rods 1201-1 and 1210-2, .

아울러,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장변(Long Side), 예컨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에 대응되며 제 2 기어로드(1310)와 제 2 기어로드(1310)에 연동되는 제 2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200 corresponds to a long side of the rear cover 130 such as a first long side LS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rod 1310 and the second gear rod 1310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1300 including second fastening means (not shown)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제 2 체결부(1300)에 포함되는 체결수단은 앞선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300 can be sufficiently deduce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프레임(1600)에는 제 2 체결부(1300)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홀(H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600 may have a hole H10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300 is inserted.

도 52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어로드(1310)의 길이(L2)는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The length L2 of the second gear rod 1310 disposed on the long side of the rear cover 130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first gear rods 1210-1 and 1210-2, It can be long.

제 2 기어로드(1310)와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gear rod 1310 and the first gear rods 1210-1 and 121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예를 들면, 제 1 기어로드(1310)와 제 2 기어로드(1210-1, 1210-2)는 베벨 기어(Bevel Gear)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ear rod 1310 and the second gear rods 1210-1 and 1210-2 may be connected by a bevel gear type.

자세하게는, 도 53의 경우와 같이, 제 2 기어로드(1310)의 끝단에는 제 1 베벨 기어(1300BG)가 배치되고,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의 끝단에는 제 2 베벨 기어(1200BG)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베벨 기어(1300BG)와 제 2 베벨 기어(1200BG)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53, a first bevel gear 1300BG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gear rod 1310 and a second bevel gear 1300BG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gear rods 1210-1 and 1210-2. The gear 1200BG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he first bevel gear 1300BG and the second bevel gear 1200BG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의 회전 시 제 2 기어로드(1310)가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기어로드(1310)의 회전 시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가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gear rod 1310 can rotate when the first gear rods 1210-1 and 1210-2 rotate. In addition, the first gear rods 1210-1 and 1210-2 can rotate when the second gear rod 1310 rotates.

따라서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연결 과정에서 작업자가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를 회전시켜 제 1 체결부(1200)에 포함된 체결수단을 프레임(1600)의 홀(H6)에 삽입하면, 제 2 기어로드(1310)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이로 인해 제 2 체결부(1300)에 포함된 체결수단이 프레임(1600)의 홀(H10)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The operator rotates the first gear rods 1210-1 and 1210-2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00 can be moved to the frame 1600, The second gear rod 1310 rotates in conjunction therewith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300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H10 of the frame 1600 It is.

한편, 제 2 체결부(1300)는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300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예를 들면, 도 54의 경우와 같이, 제 2 체결부(1300)는 제 1-1 기어로드(1210-1)와 연동되는 제 2-1 기어로드(1310-1)와 제 2-1 기어로드(1310-1)에 연동되는 제 2-1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2-1 체결부(1300-1) 및 제 1-2 기어로드(1210-2)와 연동되는 제 2-2 기어로드(1310-2)와 제 2-2 기어로드(1310-2)에 연동되는 제 2-2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2-2 체결부(1300-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54,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00 includes a second-1 gear rod 1310-1 interlocked with the first-first gear rod 1210-1, A second-first coupling portion 1300-1 including a second-first coupling means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rod 1310-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300-1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2 coupling portion 1300-2 including a second-second coupling means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second gear rod 1310-2 and the second-second gear rod 1310-2 can do.

여기서, 제 2-1 기어로드(1310-1)와 제 2-2 기어로드(1310-2)는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Here, the 2-1th gear rod 1310-1 and the 2-2th gear rod 1310-2 can be physically divided.

제 2-1 체결부(1300-1)는 제 2-1 하우징(1300H-1)을 포함하고, 제 2-2 체결부(1300-2)는 제 2-2 하우징(1300H-2)을 포함할 수 있다.The 2-1 coupling portion 1300-1 includes the 2-1 housing 1300H-1 and the 2-2 coupling portion 1300-2 includes the 2-2 housing 1300H-2. can do.

제 2-1 체결수단과 제 2-2 체결수단은 앞선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다.The 2-1 fastening means and the 2-2 fastening means can be sufficiently deduce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제 2-1 기어로드(1310-1)와 제 1-1 기어로드(1210-1)는 서로 연결되고, 제 2-2 기어로드(1310-2)와 제 1-2 기어로드(1210-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2-1th gear rod 1310-1 and the 1-1th gear rod 121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2-2th gear rod 1310-2 and the 1-2th gear rod 1210-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예를 들면, 도 55의 경우와 같이, 제 2-1 기어로드(1310-1)의 끝단에는 제 1-1 베벨 기어(1300BG-1)가 배치되고, 제 1-1 기어로드(1210-1)의 끝단에는 제 2-1 베벨 기어(1200BG-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1 베벨 기어(1300BG-1)와 제 2-1 베벨 기어(1200BG-1)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아울러, 제 2-2 기어로드(1310-2)의 끝단에는 제 1-2 베벨 기어(1300BG-2)가 배치되고, 제 1-2 기어로드(1210-2)의 끝단에는 제 2-2 베벨 기어(1200BG-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2 베벨 기어(1300BG-2)와 제 2-2 베벨 기어(1200BG-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55, the first-first bevel gear 1300BG-1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first gear rod 1310-1, The second-first bevel gear 1200BG-1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 bevel gear 1200BG-1. In addition, the first-first bevel gear 1300BG-1 and the second-first bevel gear 1200BG-1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first-second bevel gear 1300BG-2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second gear rod 1310-2, and a second-second bevel gear 1310BG- The gear 1200BG-2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he first-second bevel gear 1300BG-2 and the second-second bevel gear 1200BG-2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이러한 경우, 도 5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 2-1 기어로드(1310-1) 및 제 2-2 기어로드(1310-2)의 길이(L4)는 제 1-1 기어로드(1210-1) 및 제 2-2 기어로드(1210-2)의 길이(L3)보다 짧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gth L4 of the second-first gear rod 1310-1 and the second-second gear rod 1310-2, which are disposed on the long side of the rear cover 13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3 of the first-first gear rod 1210-1 and the second-second gear rod 1210-2.

도 57 내지 도 68은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Figs. 57 to 68 are views for explaining fastening portions of different configurations. Fig.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연결하는 체결부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will be described.

도 57을 살펴보면, 체결부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1400),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1410), 제 1 플레이트(1400)와 제 2 플레이트(141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Connection Plate, 1420) 및 연결 플레이트(1420)에 배치되는 조인트 팬(Joint Fan, 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체결부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되고 조인트 팬(1430)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서포터(Suppo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섬령한다.Referring to FIG. 57,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late 1400, a second plate 1410, a first plate 1400, and a second plate 1410, which are disposed in the frame 1600, And may include a joint plate 1420 disposed on a connection plate 1420 and a joint plate 1420 disposed on the connection plate 1420.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disposed in the rear cover 130 and having a hole corresponding to the joint fan 1430. For supporters, the following is given.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1 플레이트(1400) 및 제 2 플레이트(1410)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142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1400 and the second plate 1410.

이를 위해, 제 1 플레이트(1400)는 제 1 돌출부(1400P)를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1 돌출부(1400P)에 대응하는 홀(1420H)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2 돌출부(1420P)를 포함하고, 제 2 플레이트(1410)는 제 2 돌출부(1420P)에 대응하는 홀(1410H)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plate 140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400P and the connection plate 1420 may include a hole 1420H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1400P. 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1420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1420P, and the second plate 1410 may include a hole 1410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1420P.

제 1 플레이트(1400)의 제 1 돌출부(1400P)가 연결 플레이트(1420)의 홀(1420H)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58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1 돌출부(1400P)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58, the first plate 1400P of the first plate 1400 is engaged with the hole 1420H of the connecting plate 1420 so that the first plate 1400P is engaged with the hole 1420H of the connecting plate 1420, .

도 59를 살펴보면, 조인트 팬(1430)은 제 1 플레이트(1400)와 연결 플레이트(1420)의 체결지점에서 연결 플레이트(1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420)가 제 1 돌출부(1400P)를 축으로 회전할 때, 조인트 팬(1430)도 연결 플레이트(1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59, the joint fan 14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1420 at the fastening point of the first plate 1400 and the connecting plate 1420.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plate 1420 rotates about the first protrusion 1400P, the joint fan 1430 can rotate together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connection plate 1420. [

연결 플레이트(1420)의 제 2 돌출부(1420P)가 제 2 플레이트(1410)의 홀(1410H)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1420)는 이동가능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late 1420 may be movable while the second protrusion 1420P of the connecting plate 1420 is fitted in the hole 1410H of the second plate 1410. [

예를 들면, 도 60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420)가 제 1 돌출부(1400P)를 축으로 회전하면, 제 2 플레이트(1410)는 연결 플레이트(14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플레이트(1410)의 상/하 운동 시에 조인트 팬(1430)은 회전할 수 있다.60, when the connecting plate 1420 rotates about the first protrusion 1400P, the second plate 1410 moves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late 1420 . Accordingly, the joint fan 1430 can rotate when the second plate 1410 moves upward / downward.

이러한 구성의 체결부는 프레임(1600)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 of the frame 1600. [

예를 들면, 체결부는 프레임(1600)의 제 1 단변(SS1) 영역에 위치하며 제 1-1 플레이트(1400-1), 제 2-1 플레이트(1410-1), 제 1 연결 플레이트(1420-1), 제 1 조인트 팬(1430-1)을 포함하는 제 1 체결부 및 프레임(1600)의 제 2 단변(SS2) 영역에 위치하며 제 1-2 플레이트(1400-2), 제 2-2 플레이트(1410-2), 제 2 연결 플레이트(1420-2), 제 2 조인트 팬(1430-2)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short side SS1 region of the frame 1600 and includes a first 1-1 plate 1400-1, a second 1-1 plate 1410-1, a first connecting plate 1420-1, 1), a first fastening part including the first joint fan 1430-1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ncluding the first 1-2 plate 1400-2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400-2, which are located in the second short side SS2 region of the frame 1600,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plate 1410-2, a second connection plate 1420-2, and a second joint fan 1430-2.

도 62를 살펴보면, 서포터(1500)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서포터(1500)는 조인트 팬(1430)이 삽입되는 홀(15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2, the supporter 150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over 130. In addition, the supporter 1500 may include a hole 1510 through which 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아울러, 서포터(1500)도 체결부에 대응하여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er 1500 may also be disposed at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rear cover 13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s.

도 63을 살펴보면, 조인트 팬(1430)은 길이와 폭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3, the joint fan 1430 may have a shape having a different length and a different width.

여기서는 조인트 팬(1430)의 길이(L10)가 조인트 팬(1430)의 폭(L11)보다 더 큰 경우를 가정한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length L10 of the joint fan 1430 is larger than the width L11 of the joint fan 1430. [

연결 플레이트(1420)의 회전에 의해 조인트 팬(1430)의 길이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fan 1430 can be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plate 1420. [

예를 들어, 도 64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조인트 팬(1430)의 길이방향(DL1)과 제 2 플레이트(1410)의 길이방향(DL2) 사이의 각도를 제 1 각도(θ1)라 가정한다. 추가로, 도 65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제 1 지점과 다른 소정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조인트 팬(1430)의 길이방향(DL1)과 제 2 플레이트(1410)의 길이방향(DL2) 사이의 각도를 제 2 각도(θ2)라 가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plate 14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64, the longitudinal direction DL1 of the joint fan 143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L2 is assumed to be the first angle? 1. 65, when the second plate 141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second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poi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DL1 of the joint fan 1430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14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2 is assumed to be the second angle [theta] 2.

여기서,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는 서로 다를 수 있다.Here, the first angle? 1 and the second angle? 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처럼,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가 서로 다른 것은 조인트 팬(1430)의 길이(L10)가 폭(L11)과 다르기 때문이다.The first angle? 1 and the second angle?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 length L10 of the joint fan 1430 is different from the width L11.

도 64의 제 1 각도(θ1)와 도 65의 제 2 각도(θ2)를 비교하면, 제 1 각도(θ1)가 제 2 각도(θ2)보다 더 작을 수 있다.When the first angle? 1 in FIG. 64 is compared with the second angle? 2 in FIG. 65, the first angle? 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2.

이러한 경우, 도 66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인트 팬(1430)은 서포터(1500)의 홀(1510)에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cond plate 1410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second position, 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510 of the supporter 1500, or is inserted from the hole 1510 Can be separated.

이를 위해, 도 66의 경우와 같이, 서포터(1500)에 형성된 홀(1510)의 후면커버(130)의 장변(LS1, LS2) 방향으로의 폭(L12)은 후면커버(130)의 단면(SS1, SS2) 방향으로의 폭(L13)보다 더 클 수 있다.66, the width L12 of the hole 1510 formed in the supporter 1500 in the long side LS1, LS2 direction of the rear cover 130 is larger than the width L12 in the cross section SS1 of the rear cover 130 , SS2), as shown in Fig.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면 조인트 팬(1430)은 후면커버(130)의 장변(LS1, LS2)으로 나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plate 14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second position, the joint fan 1430 may be disposed at the long sides LS1 and LS2 of the rear cover 130. [

이에 따라, 후면커버(130)의 장변(LS1, LS2) 방향으로의 폭(L12)이 단면(SS1, SS2) 방향으로의 폭(L13)보다 큰 형태를 갖는 홀(1510)에 조인트 팬(1430)이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510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L12 of the rear cover 130 in the long side LS1 and LS2 directions is larger than the width L13 in the end SS1 and SS2 directions. May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hole 1510. [

또한, 도 66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2 지점에서 소정의 제 1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다.66, when the second plate 1410 moves from the predetermined second point to the predetermined first point, 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510 of the supporter 1500 Can be rotated. In this case, the joint fan 1430 is coupled to the supporter 1500, so that the frame 1600 and the back cover 130 can be connected.

이처럼,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 내에서 회전하기 위해 서포터(1500)와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조인트 팬(1430)이 삽입되고 회전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er 1500 and the rear cover 130 so that the joint fan 1430 rotates in the hole 1510 of the supporter 1500, May be preferably provid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65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에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되고, 도 64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포터(1500)에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le 1510 of the supporter 150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65, and the joint fan 1430 is moved from the hole 1510 to the supporter 15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as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예를 들면, 도 64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에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되고, 도 65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포터(1500)에 연결되는 경우도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in the state shown in FIG. 64, the joint fan 143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le 1510 of the supporter 1500 and the joint fan 1430 is moved from the supporter 1500 to the supporter 150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er 1500 in a state where they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510 of the apparatus.

도 68을 살펴보면, 제 1 플레이트(1400)에는 차단벽(1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벽(1401)은 제 2 플레이트(1410) 및/또는 연결 플레이트(1420)의 과도한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8, a blocking wall 1401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1400. This blocking wall 1401 may intercept excessive movement of the second plate 1410 and / or the connecting plate 1420.

도 69 내지 도 82는 또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Figs. 69 to 82 are views for explaining fastening portions of still another configuration. Fig.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연결하는 체결부(15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1500 for connecting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will be described.

도 69를 살펴보면, 체결부(1500)는 베이스부(Base Part, 1510), 베이스부(1510)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1 후크(First Hook, HK1)를 포함하는 이동부(Move Part, 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부(15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Connection Part) 및 핸들부(Handl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와 핸들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69, the fastening part 1500 includes a base part 1510, a moving part 1520 movably connected to the base part 1510 and including a first hook HK1, ). The coupling part 15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and a handle part (not show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베이스부(1510)는 제 1 개구부(First Opening, 1500H1)를 포함하고, 제 1 후크(HK1)는 제 1 개구부(150H1)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510 includes a first opening portion 1500H1 and the first hook HK1 may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150H1.

아울러, 베이스부(1510)는 복수의 홀(H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홀(H12)은 베이스부(1510)를 후면커버(130) 혹은 프레임(1600)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5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H12. The plurality of holes H12 may be used to connect the base portion 1510 to the rear cover 130 or the frame 1600. [

도 70의 (A)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프레임(16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부(1520)는 프레임(1600)과 베이스부(1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1510)는 프레임(160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0 (A), the base portion 1510 can be connected to the frame 1600. In this case, the moving part 15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1600 and the base part 1510. [ In detail, the base portion 1510 may be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short sides SS1 and SS2 of the frame 1600. [

아울러, 도 70의 (B)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500)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연결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00)는 이동부(1520)에 배치되는 제 1 후크(HK1)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 HK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0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0 (B), the fastening part 15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1700 disposed on the rear cover 130. The connecting portion 1700 may include a second hook HK2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HK1 disposed in the moving portion 1520. [ The connection portion 170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s SS1 and SS2 of the rear cover 130. [

또는, 도 71의 (A)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1510)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부(1520)는 후면커버(130)과 베이스부(1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151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71 (A), the base portion 1510 can be disposed on the rear cover 130. In this case, the moving part 15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cover 130 and the base part 1510. In detail, the base portion 1510 may be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s SS1 and SS2 of the rear cover 130. [

아울러, 도 71의 (B)의 경우와 같이, 연결부(1700)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연결부(1700)는 프레임(160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FIG. 71 (B), the connecting portion 1700 can be disposed in the frame 1600. [ In detail, the connecting portion 170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s SS1 and SS2 of the frame 1600. [

한편, 체결부(1500)는 스프링부(Spring Part, 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astening part 1500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part 1530.

이러한 스프링부(1530)는, 도 72의 경우와 같이, 일단이 베이스부(15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1520)에 연결될 수 있다.72, one end of the spring portion 153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5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1520. [

이를 위해, 베이스부(1510)는 제 3 후크(Third Hook, HK3)를 포함하고, 이동부(1520)는 제 4 후크(Fourth Hook, HK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1530)의 일단은 제 3 후크(HK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4 후크(HK4)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the base portion 1510 may include a third hook (HK3), and the moving portion 1520 may include a fourth hook (HK4). Here, one end of the spring portion 153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hook HK3,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hook HK4.

도 73을 살펴보면, 이동부(1520)의 제 1 후크(HK1)는 베이스부(1510)의 제 1 개구부(1500H1) 내에서 전진 및/또는 후진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3, the first hook HK1 of the moving part 1520 may be movable forward and / or backward within the first opening 1500H1 of the base part 1510. FIG.

도 74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제 2 개구부(Second Opening, 1500H2)를 더 포함하고, 이동부(1520)는 제 2 개구부(1500H2)에 대응하는 홀(H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74, the base portion 15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pening portion 1500H2, and the moving portion 1520 may further include a hole H1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1500H2 .

소정의 체결수단(S200)이 베이스부(1510)의 제 2 개구부(1500H2)를 관통하여 이동부(1520) 홀(H13)에 체결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S200 can be fastened to the hole H13 of the moving part 1520 through the second opening part 1500H2 of the base part 1510. [

이러한 체결수단(S200)은, 도 75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HK1)와 연동하여 제 2 개구부(1500H2) 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This fastening means S200 may be movable in the second opening 1500H2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ook HK1, as in the case of Fig.

도 76을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제 3 개구부(Third Opening, 1500H3A, 1500H3B) 및 제 3 후크(HK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후크(HK3-1)는 앞선 도 72에서 설명한 제 3 후크(HK3)와 위치 및/또는 형태는 다를 수 있으나 스피링부(1530)의 일단이 연결된다는 점에서 유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6, the base portion 15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pening (Third Opening, 1500H3A, 1500H3B) and a third hook HK3-1. Here, the third hook HK3-1 may be similar in position and / or shape to the third hook HK3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2, but in that one end of the spiral part 1530 is connected.

자세하게는, 베이스부(1510)의 제 3 개구부는 제 3-1 개구부(1500H3A) 및 제 3-2 개구부(1500H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1 개구부(1500H3A) 및 제 3-2 개구부(1500H3B)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3 후크(HK3-1)가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third opening of the base portion 1510 may include a third-first opening portion 1500H3A and a third-second opening portion 1500H3B. Here, the third hook HK3-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hird-first opening portion 1500H3A and the third-second opening portion 1500H3B.

아울러, 이동부(1520)에는 제 3 개구부(1500H3A, 150H3B)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 4 후크(Fourth Hook, HK4A, HK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152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hook (HK4A, HK4B) exposed through the third openings (1500H3A, 150H3B).

제 4 후크(HK4A, HK4B)는 제 4-1 후크(HK4A) 및 제 4-2 후크(HK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1 후크(HK4A) 및 제 4-2 개구부(HK4B) 중 적어도 하나에 스프링부(1530)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hooks HK4A and HK4B may include a 4-1 hook HK4A and a 4-2 hook HK4B. Her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portion 15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4-1 hook HK4A and the 4-2 opening portion HK4B.

제 4 후크(HK4A, HK4B), 특히 제 4-1 후크(HK4A)는 앞선 도 72에서 설명한 제 4 후크(HK4)와 위치 및/또는 형태는 다를 수 있으나 스피링부(1530)의 타단이 연결된다는 점에서 유사할 수 있다.The fourth hooks HK4A and HK4B, and particularly the fourth-first hook HK4A, may have a different position and / or shape from the fourth hook HK4 described in the foregoing FIG. 72, but the other end of the spiral portion 1530 is connected Can be similar in point.

베이스부(1510)와 이동부(15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4-1 후크(HK4A)는 제 3-1 개구부(1500H3A)를 통해 노출되고, 제 4-2 후크(HK4B)는 제 3-2 개구부(1500H3B)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The 4-1 hook HK4A is exposed through the 3-1 opening 1500H3A and the 4-2 hook HK4B is exposed through the 3-1 opening 1500H3A while the base 1510 and the moving part 1520 are engaged, 2 openings 1500H3B.

아울러, 도 77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1530)도 제 3-1 개구부(1500H3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77, the spring portion 1530 may be exposed through the 3-1 opening 1500H3A.

베이스부(1510)가 프레임(1600) 혹은 후면커버(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부(1530)는 이동부(1520)의 이동에 따라 그 길이가 변동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pring portion 15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1520 while the base portion 1510 is fixed to the frame 1600 or the rear cover 130. [

도 78을 살펴보면, 체결부(1500)에 포함된 핸들부(1800)는 베이스부(15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스프링부(153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78, the handle portion 1800 included in the fastening portion 15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510, and the length of the spring portion 1530 can be changed by rotation.

이러한 핸들부(1800)는 제 1 부분(First Part, 1810), 제 1 부분(1801)에 형성되는 제 1 홀(First Hole, H20), 제 1 부분(1810)에 연결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 1820) 및 제 2 부분(1820)에 형성되는 제 2 홀(Second Hole, H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1800 includes a first part 1810, a first hole H20 formed in the first part 1801, a second part H20 connected to the first part 1810, And a second hole (H21) formed in the first portion 1820 and the second portion 1820. [

이러한 핸들부(1800)는 제 1 홀(H20)을 통해 베이스부(15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180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510 through the first hole H20.

제 2 홀(H20)은 제 1 연장방향(First Extension Direction, DRE1)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First Extension Part, H20A) 및 제 1 연장방향(DRE1)과 교차하는 제 2 연장방향(Second Extension Direction, DRE2)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Second Extension Part, H2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ole H20 has a first extension part H20A extending in a first extension direction DRE1 and a second extension part H20A intersecting the first extension direction DRE1. (Second Extension Part, H20B) exte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DRE2).

여기서, 제 1 연장방향(DRE1)과 제 2 연장방향(DRE2) 사이의 각도(θ3)는 0°-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theta] 3 between the first extending direction DRE1 and the second extending direction DRE2 is 0 [deg.] - 90 [deg.].

또한, 제 2 연장부분(H20B)의 크기는 제 1 연장부분(H20A)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H20B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H20A.

도 79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핸들부(1800)의 제 2 홀(H21)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1500P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520)는 제 1 홀(H20)을 관통하고, 제 1 홀(H20) 내에서 이동가능한 제 2 돌출부(1500P2)를 포함할 수 있다.79, the base portion 151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500P1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H21 of the handle portion 1800. Referring to FIG. The moving part 152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500P2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H20 and is movable in the first hole H20.

핸들부(1800)는 제 1 돌출부(1500P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1800 can rotate about the first projection 1500P1.

도 80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연장부분(H20A)에 위치하는 경우, 도 80의 (B)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1530)는 탄성에 의해 그 길이(S1)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art 1520 is located in the first extending part H20A as in the case of FIG. 80A, as in the case of FIG. 80B, the spring part 1530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S1 thereof is relatively short due to elasticity.

반면에, 도 81의 (A)의 경우와 같이, 핸들부(1800)가 회전하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홀(H20) 내에서 제 1 연장부분(H20A)에서 제 2 연장부분(H20B)으로 이동할 수 있다.81A, when the handle portion 1800 is rotated, the second protrusion 1500P2 of the moving portion 15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xtended portion H20A in the first hole H20, To the second extended portion H20B.

이처럼,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도 81의 (B)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1530)에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1530)의 길이(S2)가 길어질 수 있다.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art 152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extending part H20B,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spring part 1530 as in the case of FIG. 81 (B) Accordingly, the length S2 of the spring portion 1530 can be increased.

다르게 표현하면, 도 80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연장부분(H20A)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의 길이를 제 1 길이(S1)라고 가정한다. 아울러, 도 81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의 길이를 제 2 길이(S2)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2 길이(S2)는 제 1 길이(S1)보다 클 수 있다.In other words, as in the case of FIG. 80A, 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art 1520 is located in the first extending part H20A, the length of the spring part 1530 is set to be the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length is S1. 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art 1520 is located at the second extending part H20B as in the case of FIG. 81A, the length of the spring part 1530 is set to the second length S2 ). In this case, the second length S2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S1.

아울러,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돌출부(1500P2)는 제 2 연장부분(H20B)에 걸리게 되어 스프링부(1530)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art 15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extending part H20B,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is caught by the second extending part H20B,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increased length.

이는, 제 1 연장부분(H20A)의 제 1 연장방향(DRE1)과 제 2 연장부분(H20B)의 제 2 연장방향(DRE2)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This may be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first extending direction DRE1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H20A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xtending direction DRE2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H20B.

아울러, 제 1 홀(H20)의 제 2 연장부분(H20B)은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걸리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크기가 작아도 관계없다. 이에 따라, 제 2 연장부분(H20B)의 크기는 제 1 연장부분(H20A)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Since the second extended portion H20B of the first hole H20 is a portion where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ortion 1520 is caught, the size may be small. Accordingly, the size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H20B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H20A.

도 81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홀(H20)의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가 당겨져서 도 8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HK1)와 제 2 후크(HK2)가 이탈될 수 있다.81, 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part 1520 is positioned in the second extended part H20B of the first hole H20, the spring part 1530 is pulled and the A), the first hook HK1 and the second hook HK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반면에, 도 80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홀(H20)의 제 1 연장부분(H20A)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거나 약해져서 도 8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HK1)와 제 2 후크(HK2)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projection 1500P2 of the moving unit 1520 is positioned in the first extended portion H20A of the first hole H20 as in the case of FIG. 80, the force applied to the spring portion 1530 The first hook HK1 and the second hook HK2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s in the case of FIG. 82 (B). Accordingly, the frame 1600 and the rear cover 130 can be connected.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로서 방송신호 수신기(Broadcasting Signal Receiver)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폰 등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8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includ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또한,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80Q)는 앞선 도 1 내지 도 82에서 상세히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디스플레이부라고 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80Q may correspond to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2 below. Hereinafter,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portion.

아울러, 앞선 도 2에서 설명한 구동부(300Q)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어부(170Q)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0Q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can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Q described below.

아울러, 적어도 앞선 도 35에서 설명한 구동보드(830)는 적어도 이하에서 설명할 제어부(170Q)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the driving board 830 described in the preceding FIG. 35 can include at least a control unit 170Q to be described below.

도 8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83, a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er 105Q,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 storage unit 140Q,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 controller 170Q, A display unit 180Q, an audio output unit 185Q, a power supply unit 190Q, 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5Q may include a tuner 110Q, a demodulating unit 120Q,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Q.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may be provided and the network interface 130Q may not be included in the tuner 110Q and the network interface 130Q may b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so as not to include the signal line 120Q.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Q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20Q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Q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Q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Q. The control unit 170Q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무선 통신부에 대응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may correspon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scribed above in detail.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Q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Q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Q or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Q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urn on / off the power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select a channel, select a channe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Q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Q.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Q or the demodulation unit 12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to generate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Q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Q.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Q can control overall operation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tuner 110Q to control the tuner 110Q to select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Q can control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180Q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Q or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Thereby generating a driving signal.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85Q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Q,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Q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throughout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or output voice or vibration.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does not include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but receives the imag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hav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한 기어로드(Gear Rod)와 상기 기어로드와 연동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을 포함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A fram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 back cover positioned behind the frame; And
A faste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frame, the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rotatable gear rod and fastening means for interlocking with the gear ro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어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로드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수직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vertically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ear rod as the gear rod rotat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기어로드는 웜기어(Warm Gear) 타입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upling means and the gear ro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orm gear ty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어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홀로부터 이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cover,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hole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gear r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housing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located,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pas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가이드하기 위한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hole or groove for guiding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며 제 1 기어로드와 상기 제 1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후면커버의 장변(Long Side)에 대응되며 제 2 기어로드와 상기 제 2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ortion
A first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and including first gear rods and first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rods;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long side of the rear cover and including a second gear rod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gear rod;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어로드의 길이보다 긴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gear ro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ear r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로드의 회전 시 상기 제 2 기어로드가 회전하고,
상기 제 2 기어로드의 회전 시 상기 제 1 기어로드가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gear rod rotates when the first gear rod rotates,
And the first gear rod rotates when the second gear rod rotat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로드와 상기 제 2 기어로드는 베벨 기어(Bevel Gear) 타입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gear rod and the second gear rod are connected by a bevel gear ty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대응되며 제 1-1 기어로드와 상기 제 1-1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1-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1-1 체결부; 및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대응되며 제 1-2 기어로드와 상기 제 1-2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1-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1-2 체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1-1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and including a 1-1 gearing rod and a 1-1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1-1 gearring; And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corresponding to a second short side of the rear cover against the first short side, the first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rod and the first gear rod, 2 fastening portion;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1-1 기어로드와 연동되는 제 2-1 기어로드와 상기 제 2-1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2-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2-1 체결부; 및
상기 제 1-2 기어로드와 연동되는 제 2-2 기어로드와 상기 제 2-2 기어로드에 연동되는 제 2-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제 2-2 체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 2-1 coupling unit including a 2-1 gear rod interlocked with the 1-1 gear rod and a 2-1 coupl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2-1 gear rod; And
A second-2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second gear rod interlocked with the first-second gear rod and a second-second fasten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second-second gear rod;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기어로드와 상기 제 2-2 기어로드는 물리적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first gear rod and the second-second gear rod are physically divid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자석부(Inner Magnetic Part) 및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 자석부에 대응되는 외측 자석부(Outer Magnetic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자석부와 상기 외측 자석부는 상기 후면커버를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magnet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and the rear cover, and an outer magnetic portion located behind the rear cover, the outer magne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magnet portion,
Wherein the inner magnet portion and the outer magnet portion are magnetically coupled with each other with the rear cover interposed therebetwee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자석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벽(Wall)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uter magnet portion is installed in a wall or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display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inner magn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프레임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는 스피커(Speaker)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cover further includes a depression that is recessed toward the frame,
And a speaker is disposed in the depres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Direction);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Cover)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cover may include a horizontal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 RTI >
And the vertical portion covers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분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 buffer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KR1020130005598A 2013-01-17 2013-01-17 Display Apparatus KR201400931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98A KR20140093142A (en) 2013-01-17 2013-01-1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98A KR20140093142A (en) 2013-01-17 2013-01-17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42A true KR20140093142A (en) 2014-07-25

Family

ID=5173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98A KR20140093142A (en) 2013-01-17 2013-01-17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14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19B1 (en) * 2023-12-29 2024-03-06 주식회사 이노스텍 LCD pane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19B1 (en) * 2023-12-29 2024-03-06 주식회사 이노스텍 LCD pane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3140A (en) Display Apparatus
USRE46796E1 (en) Display apparatus
KR101710188B1 (en) Display Apparatus
US841636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45670B1 (en) Display device
EP2447763A2 (en) Display device
KR101758835B1 (en) Automatic rollable display device
KR20140093139A (en) Display Apparatus
US20220039275A1 (en) Display device
KR20140093141A (en) Display Apparatus
KR20140093142A (en) Display Apparatus
US9064432B2 (en) Display device
KR101820922B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408025A1 (en) Mobile terminal
KR101437287B1 (en) Display Apparatus
KR101324777B1 (en) Display Apparatus
KR101923586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43916B1 (en) Display Apparatus
KR102509391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36402B1 (en) Display Apparatus
KR20170084470A (en) Display apparatus
KR20120124564A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84331A (en) Display Apparatus
KR101843910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70327B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