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137A -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137A
KR20140093137A KR1020130005583A KR20130005583A KR20140093137A KR 20140093137 A KR20140093137 A KR 20140093137A KR 1020130005583 A KR1020130005583 A KR 1020130005583A KR 20130005583 A KR20130005583 A KR 20130005583A KR 20140093137 A KR20140093137 A KR 2014009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person
deactivated
unit
fingerprint
fingerpri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철
박정제
안혜진
주효민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3000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137A/ko
Publication of KR2014009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 지문센서부, 처리부, 알림부 그리고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력부는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을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 지문 센서부는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다. 처리부는 입력부를 통해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지문 센서부를 통해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특정인을 비활성화 처리한다. 알림부는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을 알린다. 그리고 수신부는 지문 센서부로 입력된 지문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USER DEVICE, METHOD OF MANAGING SPECIFIC PERSON OF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뱅킹 등 개인 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잠금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전화 기능, 부가 기능, 또는 국제 전화 기능 등에 잠금 장치를 적용시키고,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밀번호가 노출되었을 때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점, 사용자 입장에서 비밀번호를 기억해 두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식을 보완하고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식을 통한 잠금 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좌우로 긴 바(Bar) 형태의 센서에 손가락을 긁듯이 지문을 인식시키는 '슬라이딩 방식' 지문 인식 센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지문 인식 센서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다른 기능과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도 행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을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지문 센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특정인을 비활성화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을 알리는 알림부; 그리고 상기 지문 센서부로 입력된 지문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비활성화 처리된 상기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마크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이 선택되고, 지문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특정인이 비활성화 처리되는 단계;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이 알려지는 단계; 그리고 지문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지문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마크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인을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처리해 놓고,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본인의 지문 인증을 통해서 메시지의 열람 및 통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보호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특정인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 수신 및 전화 요청이 왔을 경우 통신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숨김 기능 사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적어도 일부분에 지문 센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문 센서부(12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와 표시부(1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0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자체로서 입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는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표시부(10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워크스테이션 등에 별도의 지문 인식 장치가 연결된 경우도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부(12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형 지문 센서부(1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를 지문 센서부(120)에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면 연속적으로 부분적인 단편 영상(P1~P4)이 획득된다.
즉, 사용자의 지문 영상이 단편적이지만 서로 연속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획득된다.
지문 센서부(120)에서 읽어들인 단편 지문 영상들은 하나의 지문 영상으로 정합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해당 사용자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는 사용자의 등록된 지문 영상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지문 센서부(120)를 통해 획득된 당해 지문 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 영상과 비교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특정인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 수신 및 전화 요청이 왔을 경우 통신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지문 센서부(120), 처리부(130), 알림부(140) 그리고 수신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10)는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을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P)이 터치됨으로써 선택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도 4의 (a)에는 선택 명령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 의해 입력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타일러스 등에 의한 터치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 명령은 한 번에 하나의 특정인에 대해서만 입력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특정인에 대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락처 리스트 상에서 이미 선택된 대상에 대한 식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선택된 특정인(P)은 다른 색상, 글자체 등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문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다.
지문 센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처리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지문 센서부(120)를 통해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특정인을 비활성화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30)는 지문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특정인을 비활성화 처리하게 된다.
즉,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의 선택 명령이 입력된 후 지문 센서부(120)에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처리부(130)는 해당 특정인을 비활성화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130)에 의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P)은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락처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다. 또는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락처 리스트에 비활성화 마크(103)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의 이러한 표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알림부(140)는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을 알릴 수 있다.
즉,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활성화된 특정인으로부터 통화 연결이 요청된 경우(전화가 걸려 온 경우), 알림부(140)는 화면에 지문 인식 요구창(10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는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화가 걸려 옴과 함께 지문 인식 요구창(105)이 표시되면, 전화를 건 사람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인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수신부(150)는 지문 센서부(120)로 입력된 지문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도 5의 (b)에서와 같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활성화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알림부(140)는 화면에 메시지 도착 알림창(107)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멀티 미디어 메시지(MMS)뿐만 아니라, 이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도착 알림창(107)에는 지문 인증을 요구하는 내용이 더 기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시지의 도착을 알림과 함께 지문 인증을 요구하는 내용의 메시지 도착 알림창(107)이 표시되면, 메시지를 보낸 사람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인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수신부(150)는 지문 센서부(120)로 입력된 지문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도 6의 (b)에서와 같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열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따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특정인을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처리해 놓고,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지문 인증을 통해서 메시지의 열람 및 통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보호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숨김 기능 사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이 선택되고, 지문 정보가 입력되어 특정인이 비활성화 처리되는 단계(S21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인의 선택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에 의한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특정인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렇게 특정인이 선택되고,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선택된 특정인은 비활성화 처리될 수 있다.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연락처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지거나,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마크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이 알려지는 단계(S220)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비활성화된 특정인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거나 메시지가 온 경우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는 지문 인증을 요구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건 사람이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인 것이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지문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지문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S230)가 진행될 수 있다.
이처럼, 특정인을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처리해 놓고,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본인의 지문 인증을 통해서 메시지의 열람 및 통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보호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입력부
120: 지문 센서부
130: 처리부
140: 알림부
150: 수신부

Claims (7)

  1.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을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지문 센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특정인을 비활성화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을 알리는 알림부; 그리고
    상기 지문 센서부로 입력된 지문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비활성화 처리된 상기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지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마크와 함께 표시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4.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특정인이 선택되고, 지문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특정인이 비활성화 처리되는 단계;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이 알려지는 단계; 그리고
    지문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지문 정보가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인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지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처리된 특정인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마크와 함께 표시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05583A 2013-01-17 2013-01-17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93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83A KR20140093137A (ko) 2013-01-17 2013-01-17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83A KR20140093137A (ko) 2013-01-17 2013-01-17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37A true KR20140093137A (ko) 2014-07-25

Family

ID=5173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83A KR20140093137A (ko) 2013-01-17 2013-01-17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171A (zh) * 2019-04-03 2019-09-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引导用户注册指纹的方法和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171A (zh) * 2019-04-03 2019-09-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引导用户注册指纹的方法和电子设备
WO2020199159A1 (zh) * 2019-04-03 2020-10-0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引导用户注册指纹的方法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1247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nlock inputs
US10021543B2 (en) Short message service reading method and device
AU2011312743B2 (en)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KR101449681B1 (ko) 지문을 이용한 메시지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US20150319173A1 (en) Co-verification method, two dimensional cod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EP2650808A1 (en) Method for integrating account management function in input method software
EP3493056A1 (en)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16030650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an application
WO2014066451A1 (en)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MX2014008883A (es) Metodo, aparato terminal y servidor para transmitir datos de comunicacion de campo cercano.
WO2018214748A1 (zh) 应用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20284081A1 (en) Messag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messaging interface for messaging application
US9398450B2 (en) Mobile survey tools with added security
CN109219003B (zh) 信息加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7193645A1 (zh) 一种显示数据的方法、装置和终端
US20140162605A1 (en) Mobile terminal and logi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93137A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6712960B (zh) 验证码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KR20140044145A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잠금 기능 사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351131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17163B (zh) 一种交互方法及终端设备
US963322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detecting unauthorized data modification
US9311490B2 (en) Delivery of contextual data to a computing device while preserving data privacy
KR101449937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4221921B (zh) 用于移动银行的即时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