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687A -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687A
KR20140092687A KR1020130005058A KR20130005058A KR20140092687A KR 20140092687 A KR20140092687 A KR 20140092687A KR 1020130005058 A KR1020130005058 A KR 1020130005058A KR 20130005058 A KR20130005058 A KR 20130005058A KR 20140092687 A KR20140092687 A KR 2014009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sources
multicarrier
genera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영
장순혁
정환석
김광준
이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2687A/ko
Priority to US14/152,449 priority patent/US20140199075A1/en
Publication of KR2014009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6Multiwavelength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72Wavelength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1Power control, e.g. to keep the total optical power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는,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광원을 입력하는 N개의 광원 입력부와,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 간의 주파수 간격을 F/N[Hz]로 조정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 carrier light source generator}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의 채널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소셜 네트워크의 성장은 인터넷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통신을 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대용량화와 고속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 중 대표적인 방법에는 여러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섬유에 실어 전송하는 파장분할 다중방식(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WDM이라 칭함)이 있다. WDM은 광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광증폭기 등의 능동소자들의 사용 대역 이내에서 수십~수백 개의 파장을 사용함으로써 광 네트워크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그런데 WDM의 경우 사용 파장을 가지는 광원들이 필요하고, 이러한 수십~수백 개의 광원들의 파장을 정밀하게 조정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는 비선형 소자, 변조기 등의 소자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파장을 가지는 캐리어들(carriers)을 생성시키는 멀티 캐리어(Multi carrier) 생성 기술이 있다. 이 방법에는 크게 비선형 소자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과 변조기들의 조합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비선형 소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리카 나노 와이어, 비선형 광섬유에 주기성을 가지는 클락 광원을 입력하면, 비선형 소자의 특성에 따라 사광파 혼합(Four-Wave Mixing), 상호 위상 변조, 자기 위상 변조 등의 비선형 효과들이 발생하고, 이들의 조합은 슈퍼 콘티넘(super continuum)과 같이 수백~수천 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들의 조합들로 변화하게 된다. 이 방법은 비선형 소자의 특성에 따라 수천 개까지의 광원들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사용되는 비선형 소자의 특성을 정밀하게 조정해야하는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광 변조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위상 변조기 또는 세기 변조기들을 이용하여 광신호의 변조시 발생하는 캐리어 성분들의 조합으로 수십 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용되는 변조기에 따라 수 개에서 수십 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생성할 수 있고, 파장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변조기 특성의 한계에 의해 생성 가능한 파장의 수가 한계를 지니는 단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발생 광원들의 파장 간격을 쉽게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는,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광원을 입력하는 N개의 광원 입력부와,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 간의 주파수 간격을 F/N[Hz]로 조정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N개의 광원 입력부를 대상으로 선택적인 온오프 방식을 통해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원들 중에서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할 광원을 취사선택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N개의 광원 입력부에 대한 선택적 온오프 방식을 통해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kF/N(1≤k≤N, k는 정수이며, N의 약수) [Hz]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할 광원 선택 시에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간격을 기초로 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는, N개의 광원 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로 입력되는 광원들의 파장과 광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원들을 결합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하는 광 결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은, F/N[Hz] 간격으로 각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와,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상기 각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이 조정된 광원들을 N개의 광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의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적용하여,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단순히 N개의 광원과 이들의 상태를 공유하고 조정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추가하여 이를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적용함에 따라, 각 광원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만 하면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3개의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4개의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1)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와 제어부(12)를 포함하며, 광 결합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표적으로 파장분할 다중방식(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WDM이라 칭함) 광전송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WDM 광전송 시스템은 균일한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광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장치 중 하나가 멀티 캐리어 생성기(Multi carrier light source generator)(2)이다.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F[Hz]의 균일한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Multi carrier light source)을 생성한다.
현재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광통신 네트워크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종류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멀티 캐리어 생성 기술의 진화가 요구된다. 특히 플렉시블 광통신 네트워크(flexibl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를 위해서는 멀티 캐리어 생성 기술에서 캐리어들 간 주파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캐리어들 간 주파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1)는 F[Hz] 간격으로 광원을 생성시키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각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이 F/N[Hz]인 N개의 광원을 입력한다. 도 1에서 주파수 단위는 [Hz]로 표시하였으나, [GHz] 등의 다양한 단위로 확장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는,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광원을 입력한다. 이때, 제어부(12)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F/N[Hz] 간격으로 조정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N=f1-f2=f2-f3=…=fN -1-fN으로 주파수 간격을 조정한다.
제어부(12)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의 동작을 제어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로 입력되는 광원들의 파장과 광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2)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를 대상으로 선택적인 온오프(on/off) 방식을 통해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에서 생성된 광원들 중에서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할 광원을 취사선택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2)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에 대한 선택적 on/off 방식을 통해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kF/N(1≤k≤N, k는 정수이며, N의 약수)[Hz]로 조정한다. 예를 들어, 광원 입력부가 4개인 경우,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F/4, F/2(2F/4), F(4F/4)[Hz]로 조정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할 광원 선택 시에, 제어부(1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간격을 기초로 하여 광원을 선택할 수 있다.
광 결합기(14)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에서 생성되는 광원들을 결합하여 이를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한다. 광 결합기(14)는 광 커플러(optical coupler) 또는 어레이 웨이브 가이드(array wave guid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1)의 주파수 간격 조정 결과에 따르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1)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N[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가 파장 간 간격 조정을 위해, 제1 광원 입력부(10-1)를 제외한 나머지 광원 입력부(10-2,10-3,…,10-N)들을 모두 오프(off)시키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Hz]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제1 광원 입력부(10-1)가 아닌 다른 광원 입력부 하나를 on시켜 하나의 광원을 선택하고 나머지 광원들을 off시켜도 F[Hz]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 스펙트럼이 가능하다. 이때 시작 주파수가, 입력된 광원의 주파수에 따라 조금씩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광원 입력부(10-2)만을 on시켰을 때 출력되는 광 스펙트럼은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를 선택적으로 on/off시킴에 따라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데,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양한 주파수 간격 조정 실시 예들을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광원 입력부(10-1)와 제2 광원 입력부(10-2)를 통해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광원을 입력시킬 때, 멀티 캐리어 생성기(2)가 F[Hz]의 주파수 간격을 갖는 광원을 생성한다면, 2개의 광원 입력부(10-1,10-2)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F/2[Hz]로 설정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한다. 즉, F/2=f1-f2가 된다.
2개의 광원 입력부(10-1,10-2)를 모두 on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1 광원 입력부(10-1)를 on시키고 제2 광원 입력부(10-2)를 off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2 광원 입력부(10-2)를 on시키고, 제1 광원 입력부(10-1)를 off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F[Hz] 주파수 간격을 가지지만, 전체 광원들은 F/2[Hz]만큼 이동된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3개의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원 입력부(10-1), 제2 광원 입력부(10-2) 및 제3 광원 입력부(10-3)를 통해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광원을 입력시킬 때, 멀티 캐리어 생성기(2)가 F[Hz]의 주파수 간격을 갖는 광원을 생성한다면, 3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3)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F/3[Hz]로 설정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한다. 즉, F/3=f1-f2=f2-f3가 된다.
3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3)를 모두 on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3[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1 광원 입력부(10-1)를 on시키고 제2 광원 입력부(10-2)와 제3 광원 입력부(10-3)를 off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2 광원 입력부(10-2)를 on시키고, 제1 광원 입력부(10-1)와 제3 광원 입력부(10-3)를 off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F[Hz] 주파수 간격을 가지지만, 전체 광원들은 F/2[Hz]만큼 이동된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4개의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원 입력부(10-1), 제2 광원 입력부(10-2), 제3 광원 입력부(10-3) 및 제4 광원 입력부(10-4)를 통해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광원을 입력시킬 때, 멀티 캐리어 생성기(2)가 F[Hz]의 주파수 간격을 갖는 광원을 생성한다면, 4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3,10-4)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F/4[Hz]로 설정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한다. 즉, F/4=f1-f2=f2-f3=f3-f4가 된다.
4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3,10-4)를 모두 on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4[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1 광원 입력부(10-1)와 제3 광원 입력부(10-3)를 on시키고 제2 광원 입력부(10-2)와 제4 광원 입력부(10-3)를 off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1 광원 입력부(10-1)를 on시키고, 나머지 광원 입력부(10-2,10-3,10-4)를 모두 off시키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2)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F[Hz]의 주파수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광원이 생성되는 광 스펙트럼을 출력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F[Hz] 간격을 가지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F/N[Hz] 간격을 가지는 N개의 광원을 입력함으로써 주파수 간격이 조정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2)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광원을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on/off시킴으로써 주파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1)의 제어부(12)는 F/N[Hz] 간격으로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한다(500). 그리고,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이 조정된 광원들을,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를 통해 입력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한다(510).
일 실시 예에 따라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 조정 단계(510)에서, 제어부(12)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를 대상으로 선택적인 on/off 방식을 통해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에서 생성되는 광원들 중에서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할 광원을 취사선택하여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 조정 단계(510)에서, 제어부(12)는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에 대한 선택적 on/off 방식을 통해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kF/N(1≤k≤N, k는 정수)[Hz]로 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510)에서, 제어부(12)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할 광원 선택 시에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간격을 기초로 하여 선택한다.
나아가, 광 결합기(14)를 이용하여 N개의 광원 입력부(10-1,10-2,…,10-N)를 통해 생성되는 광원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멀티 캐리어 광원 간격 조정 단계(510)에서는, 광 결합기(14)를 통해 결합된 광원을 멀티 캐리어 생성기(2)에 입력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10-1,10-2,…,10-N : 광원 입력부
12 : 제어부 14 : 광 결합기
2 : 멀티 캐리어 생성기

Claims (11)

  1.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광원을 입력하는 N개의 광원 입력부; 및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각 광원 간의 주파수 간격을 F/N[Hz]로 조정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를 대상으로 선택적인 온오프 방식을 통해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원들 중에서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할 광원을 취사선택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에 대한 선택적 온오프 방식을 통해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kF/N(1≤k≤N, k는 정수이며, N의 약수)[Hz]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할 광원 선택 시에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간격을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로 입력되는 광원들의 파장과 광 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원들을 결합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하는 광 결합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7. F/N[Hz] 간격으로 각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 및
    F[Hz]의 주파수 간격으로 멀티 캐리어 광원을 생성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상기 각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이 조정된 광원들을 N개의 광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를 대상으로 선택적인 온오프 방식을 통해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원들 중에서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할 광원을 취사선택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에 대한 선택적 온오프 방식을 통해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kF/N(1≤k≤N, k는 정수이며, N의 약수)[Hz]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 간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할 광원 선택 시에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간격을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광 결합기를 이용하여 상기 N개의 광원 입력부를 통해 생성되는 광원들을 결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 캐리어 광원들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 결합기를 통해 결합된 광원을 상기 멀티 캐리어 생성기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방법.
KR1020130005058A 2013-01-16 2013-01-16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2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058A KR20140092687A (ko) 2013-01-16 2013-01-16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4/152,449 US20140199075A1 (en) 2013-01-16 2014-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carrier light sourc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058A KR20140092687A (ko) 2013-01-16 2013-01-16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87A true KR20140092687A (ko) 2014-07-24

Family

ID=5116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058A KR20140092687A (ko) 2013-01-16 2013-01-16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99075A1 (ko)
KR (1) KR201400926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9276B2 (ja) * 2015-01-13 2019-10-16 富士通株式会社 光伝送装置、光伝送システム、及び、送信波長制御方法
CA2990915A1 (en) * 2017-01-18 2018-07-18 Rolls-Royce Corporation Bond layer for ceramic or ceramic matrix composite
US10998982B2 (en) * 2019-04-18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mitter for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0911152B2 (en) 2019-04-18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based decoding of data received over an optical communication path
US10911155B2 (en) 2019-04-18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for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1018776B2 (en) 2019-04-18 2021-05-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based decoding of data received over an optical communication path
US10951342B2 (en) 2019-04-18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0938485B2 (en) 2019-04-18 2021-03-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rror control coding with dynamic ranges
US10897315B2 (en) 2019-04-18 2021-01-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based decoding of data received over an optical communication path
US10873392B2 (en) 2019-04-18 2020-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0873393B2 (en) 2019-04-18 2020-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eiver training for throughput increases in optical communications
US10892847B2 (en) 2019-04-18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lind detection model optimization
US10911141B1 (en) 2019-07-30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ally selecting a channel model for optical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909B1 (ko) * 1995-10-30 1998-11-16 양승택 주파수 이동기를 이용한 의사등간격 다채널 주파수 발생장치
US8155524B2 (en) * 2008-06-13 2012-04-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ple channels in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ith reduced raman crosstalk and nonlinear distortions
US9008515B2 (en) * 2010-10-07 2015-04-14 Alcatel Lucent Direct laser modulation
US8660428B2 (en) * 2010-12-31 2014-02-25 Infinera Corporation Variable channel spacing in a coherent transmission system
US8644704B2 (en) * 2011-04-21 2014-02-04 Fujitsu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n adaptive channel grid of an optical network
US9419742B2 (en) * 2011-12-30 2016-08-16 Infinera Corporatio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unable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9075A1 (en)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2687A (ko) 멀티 캐리어 생성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1588572B2 (en) Wavelength converter and optical transmission device that includes wavelength converter
US20130089333A1 (en) Photonic integrated transmitter
US10263722B2 (en) Multi-wavelength balanced optical transmission networks
EP2988442B1 (en) Receiving device and optical switching network apparatus
US20120224856A1 (en) Optical modulation device and optical modulation method
ITTO971097A1 (it) Circuito opto-elettronico divisore di frequenza e relativo procedimento di impiego.
JP2005241902A (ja) 光通信用光装置
WO2013097384A1 (zh) 一种超密集波分复用系统及方法
Schröder et al. Colorless flexible signal generator for elastic networks and rapid prototyping
WO2015135296A1 (zh) 一种基于光梳的roadm上下路收发的系统、方法及终端
US11888561B2 (en) Beamforming systems, networks, and elements configured for simultaneous optical up/down conversion and beamforming
JP3447664B2 (ja) 光送信器および光送信器制御方法
JP2007201540A (ja) 光信号送信装置
Shimizu et al. Demonstration of 8× 12.5 Gbit/s all-optical OFDM system with an arrayed waveguide grating and waveform reshaping
EP2958253A1 (en) Optical device comprising mode-locked laser components
JP3819922B2 (ja) 多波長一括発生装置
Chen et al. Key technologies for elastic optical networks
JP3825789B2 (ja) 多波長一括発生装置
JP4471952B2 (ja) 多波長一括発生装置
JP2010148007A (ja) 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変調光信号の生成方法
US10615878B2 (en) Optical signal modulation
EP1326353A1 (en) Optical transmitter for generation of an optical data signal out of at least two input modulation signals and modulation means
Shiraiwa et al. Multi-Signal Power Collective Equalization for Dynamic Optical Path Operation
JP2015103831A (ja) 光分岐装置および光挿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