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051A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051A
KR20140092051A KR1020130004293A KR20130004293A KR20140092051A KR 20140092051 A KR20140092051 A KR 20140092051A KR 1020130004293 A KR1020130004293 A KR 1020130004293A KR 20130004293 A KR20130004293 A KR 20130004293A KR 20140092051 A KR20140092051 A KR 2014009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uthentication number
securit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사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사곤
Priority to KR102013000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2051A/ko
Publication of KR2014009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편의성은 높이고 인증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지갑 등에 넣을 수 있는 박형의 카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 접촉 또는 가압에 반응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외부 접촉 또는 가압시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SECURITY DEVICE AND SYST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보안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금융거래, 출입 통제와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정당 사용자 인증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인증을 위한 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특히 은행 인터넷 거래, 전자결제 등과 같은 전자 금융 분야에서 보안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불법 금융 거래 내지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아이디/패스워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분실한 경우 이를 되찾는 과정도 번거롭고, 사용자들은 대부분의 사이트를 동일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하나의 패스워드가 유출되면 다른 모든 사이트의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보안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 OTP 보안 서비스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OTP(One Time Password) 서비스 방식은 사용자가 인증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가변적인 인증 암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OTP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OTP 발생기에 챌린지 값을 입력하고, 상기 OTP 발생기로부터 상기 챌린지 값에 대한 레스펀스 값이 발생되면 이에 해당하는 인증번호를 스마트폰 내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직접 입력하여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OTP(One Time Password) 서비스 방식의 경우, 인증번호를 생성한 후 사용자는 특정 인증 서버에 접속한 통신 단말기에 직접 인증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특히 다수의 숫자열로 이루어진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숫자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인증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하는 시간적 낭비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OTP 발생기의 경우 1회용 배터리 등의 이유로 소정 부피의 수납 공간이 확보되는 토큰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에 따라 자체 부피에 의해 OTP 발생기를 지갑 등에 넣고 다니기 어려워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종래 직접 입력 방식보다 인증실패(Error)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 장치를 지갑 등에 넣을 수 있는 박형의 카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 접촉 또는 가압에 반응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외부 접촉 또는 가압시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외부 접촉 내지 가압에 반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 상기 버튼에 의한 신호 발생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인증번호를 리더기를 통해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을 포함하는 상기 보안 장치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또는 관리 서버에게) 인증을 요구받고(또는 요청하고), 상기 인증 요구(또는 인증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인증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단지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이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가 통신 단말기로 즉시 전송되어 최종 인증까지 자동으로 완료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종래 직접 입력 방식보다 인증실패(Error)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증번호의 자동 송신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칩으로서 특히 NFC 칩을 탑재시키고, 이렇게 구비된 NFC 칩을 적극 활용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전원 소스(예컨데, 배터리 등) 없이 커패시터만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조합 구성함으로써, 보안 장치를 지갑 등에 넣을 수 있는 박형의 카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업무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보안 장치(100), 통신 단말기(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리 서버(300)와 통신 단말기(200)는 통신망(120)으로 연결되며, 통신 단말기(200)와 보안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110)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보안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따라 인증번호를 발생시켜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구성부에 해당한다. 여기서, 보안 장치 (100)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는 관리 서버(300)에 의해 그 유효성이 확인되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게 된다. 보안 장치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200)는 보안 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200)는 인증번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USB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통신 모듈은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단말기(200)에 접속 및 분리되는 USB형 리더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장치(100)와 통신 단말기(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 통신 방식을 인증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우 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은 USB형 NFC 리더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단말기(20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전자통신기기로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고,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넷북, PDA를 들 수 있다.
또는, 통신 단말기(200)는 보안 및 인증을 위해 건물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고, 출입 현황 등을 기록하는 출입관리 단말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300)는 전자 금융거래, 출입 통제와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이벤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정당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구성부에 해당한다.
관리 서버(300)에 의한 정당 사용자 인증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인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는 인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근거가 기록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별도의 서버와 연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근거란, 예컨데, 정당 사용자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패스워드이거나, 또는 무작위로 생성되는 난수의 일회용 패스워드일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대표적인 예로, 금융거래의 처리 및 관리를 위한 금융기관 서버일 수 있고, 또는 건물의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 현황 등을 기록하기 위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관리 단말기와 연계된 출입 보안 서버일 수도 있다.
관리 서버(300)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보안 이벤트 발생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인증번호를 전송받아 인증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통신망(120)은 예컨데, 유선 통신망을 비롯하여,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4G)망, 와이브로(WiBro)망, 와이파이(Wifi)망, 사내 통신망과 같이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관리 서버(300)는 이처럼 보안 이벤트 발생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인증번호를 전송받아 인증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여기서 보안 이벤트의 경우 통신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300)에게 인증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통신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증을 요구받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보안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상 특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100)는 전원부, 버튼(10), 중앙처리부(20), 근거리 무선 통신칩(50), 및 외장재(8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40) 및 스위치 회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부는 버튼(10), 중앙처리부(20), 근거리 무선 통신칩(50) 및 디스플레이부(4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부로서 배터리와 같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원부는 코인 배터리 내지 태양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장치(100)는 NFC 칩(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경우 전원부는 배터리 내지 태양전지 대신 커패시터(60)가 될 수 있다. 즉, 전원부로서의 커패시터(60)가 NFC 칩(50)에 의한 RF 발생 에너지를 수확 저장하여 전기적으로 충전됨으로써, 보안 장치(100)는 추가의 전력 소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커패시터(60) 하나만으로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버튼(10)은 외부 접촉 또는 가압에 반응하는 구성부로서, 인증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버튼(10)을 누르거나 터치하면 이에 따라 중앙처리부(20)는 인증번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버튼(10)은 적어도 가압 또는 접촉을 위한 부위가 외장재(8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데, 도 2 실시예의 경우 카드형 외장재(80)의 전면(前面)에 가압 또는 접촉을 위한 부위가 노출되게 형성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10)은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또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터치 스위치의 경우 사용자의 접촉 또는 가압에 반응하여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며, 이러한 터치 스위치의 종류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트 스위치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압력을 가하면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버튼(10)을 터치 스위치로 구성하면 보안 장치(100)를 박형으로 구성함에 유리하나 소비전력이 높은 단점이 있고, 버튼(10)을 택트 스위치로 구성하면 소비전력은 낮으나 물리적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안 장치(1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그에 적합한 타입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처리부(20)는 버튼(10)의 외부 접촉 또는 가압시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구성부로서 CPU 내지 MCU 형태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다.
중앙처리부(20)는 기본적으로 인증번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연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더 나아가 기억장치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 기억장치로부터 필요 정보를 읽는 기능, 및 디스플레이부(40)에 인증번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장치는 중앙처리부(20)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메모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중앙처리부(20)에 의해 발생되는 인증번호는 정당 사용자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번호이거나, 또는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무작위로 생성하는 난수 즉, OTP(One Time Passwor)일 수 있다.
인증번호를 고유한 식별번호로 구성할 경우, 특정 보안 장치(100)에 내장된 중앙처리부(20)는 해당 기억장치에 기록된 식별번호 내지 패스워드를 항시 고정적으로 발생시킨다.
인증번호를 OTP로 구성할 경우, 중앙처리부(20)는 장치에 탑재된 OPT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매회 가변하는 패스워드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OPT 생성 알고리즘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 값이 변동하는 OTP 번호에 사용자 정의된 함수가 적용되어 예측 불가한 변수(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알고리즘이다.
한편, 중앙처리부(2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10)이 가압 또는 접촉되었을 때, 이에 반응하는 버튼(10)에 의해 인증번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버튼(10)은 외부 접촉 내지 가압에 반응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중앙처리부(20)는 이렇게 발생된 신호에 근거해 전술한 인증번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버튼(1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인증번호의 생성을 직접 명령하는 제어신호일 수 있고, 또는 보안 장치(100)의 전원의 온(0N)/오프(OFF) 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먼저, 버튼(1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가 제어신호일 경우, 버튼(10)은 중앙처리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10)의 접촉 내지 가압시 발생되는 전기신호가 중앙처리부(20)로 입력되어 인증번호의 생성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로 동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버튼(1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가 온/오프에 의한 신호일 경우, 버튼(10)은 보안 장치(100)의 전원의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전원 버튼 기능을 하게 되고, 버튼(10)의 접촉 내지 가압에 의해 전원을 온(ON)시키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어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10)을 눌러 온(On)시키면 이에 따라 발생된 신호가 중앙처리부(20)로 입력되어 인증번호의 생성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버튼(1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온/오프에 의한 신호로 구성한다면, 보안 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스위치 회로(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우, 중앙처리부(20)와 전원부(60) 사이에 스위치 회로(70)가 구비되고, 버튼(10)은 스위치 회로(70)와 연결되어 버튼(10)의 작동에 의해 스위치 회로(70)가 온/오프 동작하게 된다.
한편, 버튼(10)을 중앙처리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번호의 생성을 직접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더라도, 보안 장치(100)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회로(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장치 전원(즉, 스위치 회로)의 온/오프 동작만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부(예컨데, 전원버튼)가 버튼(10)과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칩(50)은 중앙처리부(20)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를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구성부이다.
즉, 보안 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칩(50)을 통해 인증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통신 단말기(200)는 자체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장치(100)에 구비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5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으로 형성된다. NFC 칩(50)은 중앙처리부(2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중앙처리부(20)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인증번호 정보를 무선 송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55)가 구비되어 있다. 안테나(55)는 RF 안테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안테나(55)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층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층은 구리(Cu)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증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버튼(10)을 누르면, 이에 따라 중앙처리부(20)는 인증번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인증번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50)에 의해 통신 단말기(200)로 즉시 전송되는 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200)에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40)는 외장재(80)의 일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중앙처리부(20)에 의해 생성된 인증번호(90)를 시각적으로 외부에 표시해준다. 디스플레이부(40)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대표적인 예로 E-Paper, LCD, LED 및 OLE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보안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40)를 관리, 제어하여 목적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버(30)가 더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재(80)는 전원부, 중앙처리부(20), 근거리 무선 통신칩(5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내부에 격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부로서,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박형 시트로 형성된다.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시트는 상면 시트, 하면 시트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코어 시트로 형성되고, 중앙처리부(20)를 포함한 구성부들은 코어시트에 부착시켜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보안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번호의 자동 송신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칩(50)으로서 특히 NFC 칩을 탑재시키고, 이렇게 구비된 NFC 칩을 적극 활용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전원 소스(예컨데, 배터리 등) 없이 커패시터(60)만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조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보안 장치(100)를 지갑 등에 넣을 수 있는 박형의 카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통해 인증이 완료되기까지의 업무 흐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업무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구체적으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경우, 관리 서버(300)는 은행의 금융 업무를 처리, 관리 및 인증하기 위한 은행 서버이고, 보안 장치(100)는 OTP를 발생시키는 OTP 발생기로 구성하였으며, 통신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내지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하였다.
단계 1. 금융 거래를 목적하는 사용자는 본인의 스마트폰 내지 컴퓨터(200)를 통해 해당 은행의 웹페이지에 로인그 접속한다(S10).
단계 2. 특정 회원이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해당 은행에 소정의 금융 거래를 요청하면 상기 은행의 서버(300)는 접속을 시도한 통신 단말기에게 OTP 인증을 요구한다(S20).
단계 3. OTP 인증을 요구받은 사용자(즉, 회원)는 보안 장치(100)에 마련된 버튼(10)을 눌러 인증번호 생성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보안 장치(100)는 인증번호(즉, OTP)를 생성하여 자체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칩(즉, NFC 칩)을 통해 생성된 인증번호를 해당 통신 단말기(200)로 즉시 전송하게 된다(S30).
단계 4. 인증번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기(200)는 이를 해당 관리서버(즉, 은행서버)에 전송한다(S40). 이 때 전송 방식은 전술한 통신망(12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5.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인증번호를 전송받은 은행서버(300)는 해당 인증번호가 정당한지 검증하는 인증번호 유효성 확인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은행서버(300)는 IDC(Internet Data Center) 서버(400)와 연계하여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펀, 은행서버(400)에 의한 인증번호 유효성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인증 완료 메세지를 해당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S60).
단계 5의 과정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는 목적하는 금융 거래를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버튼 20: 중앙처리부
30: 드라이버 40: 디스플레이부
50: 근거리 무선 통신칩(NFC 칩) 55: 안테나
60: 전원부 내지 커패시터 70: 스위칭 회로
80: 외장재 100: 보안 장치
200: 통신 단말기 300: 관리 서버

Claims (12)

  1.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외부 접촉 또는 가압에 반응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외부 접촉 또는 가압시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인증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칩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이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NFC 칩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상기 보안 장치는 별도의 추가적인 전력 소스 없이 상기 커패시터만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보안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전원버튼이고,
    상기 버튼의 접촉 또는 가압에 의해 전원을 온(ON)시키면 이에 따라 발생된 신호가 상기 중앙처리부로 입력되어 상기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는 OTP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무작위 생성되는 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또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E-Paper, LCD, LED 및 OLE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인증번호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중앙처리부, 근거리 무선 통신칩 및 디스플레이부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박형 시트에 내장되어, 상기 보안 장치는 카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8. 보안 장치, 리더기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으로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 접촉 내지 가압에 반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한 신호 발생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인증번호를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칩을 포함하는 상기 보안 장치;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또는 관리 서버에게) 인증을 요구받고(또는 요청하고), 상기 인증 요구(또는 인증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상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칩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이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NFC 칩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상기 보안 장치는 별도의 추가적인 전력 소스 없이 상기 커패시터만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보안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전원버튼이고,
    상기 버튼의 접촉 또는 가압에 의해 전원을 온(ON)시키면 이에 따라 발생된 신호가 상기 중앙처리부로 입력되어 상기 인증번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리더기는 NFC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이고,
    상기 NFC 리더기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접속 및 분리되는 USB형 NFC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20130004293A 2013-01-15 2013-01-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92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293A KR20140092051A (ko) 2013-01-15 2013-01-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293A KR20140092051A (ko) 2013-01-15 2013-01-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051A true KR20140092051A (ko) 2014-07-23

Family

ID=5173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293A KR20140092051A (ko) 2013-01-15 2013-01-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2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83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전원 센서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83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전원 센서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64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conduct mobile payment transactions
TWI591507B (zh) 佈建及驗證一電子裝置上之認證
US20190205575A1 (en) Smart card system comprising a card and a carrier
US20170195322A1 (en) Entry and exi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terminal and server for the same
JP6808850B2 (ja) 指紋認識カード及び指紋認識カードを用いた電源作動方法
KR101575687B1 (ko) 생체인식 본인인증 방법
WO2015030912A1 (en) Secure provisioning of credentials on an electronic device
CN105452987A (zh) 管理使用电子设备的低功率模式的近场通信
WO2015080844A1 (en) Provisioning of credentials on an electronic device using passwords communicated over verified channels
KR101896163B1 (ko) 햅틱 피드백을 이용하여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 인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5012151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tering data
KR20110002968A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를 위한 휴대용 저장 장치
KR20140092051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시스템
KR101103189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를 이용한 공인 인증서 발급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29032A (ko) 공인 인증서 발급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단말 및 기록매체
KR20110002967A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실명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를 위한 휴대용 저장 장치
KR20110005612A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오티피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오티피 장치 및 기록매체
KR100736379B1 (ko)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 및 표시기능을 갖는 스마트카드
KR100727866B1 (ko)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용 스마트카드 리더 장치
JP2006092444A (ja) 入出金システム
KR20170062115A (ko) 금융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