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411A -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 - Google Patents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411A
KR20140091411A KR1020130003662A KR20130003662A KR20140091411A KR 20140091411 A KR20140091411 A KR 20140091411A KR 1020130003662 A KR1020130003662 A KR 1020130003662A KR 20130003662 A KR20130003662 A KR 20130003662A KR 20140091411 A KR20140091411 A KR 2014009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base plate
hull
install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724B1 (ko
Inventor
손창수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06Articulated towers, i.e. substantially floating structures comprising a slender tower-like hull anchored relative to the marine bed by means of a single articulation, e.g. using an articulated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은 미리 결정된 사이즈와 형상으로 제작된 문풀 커버(moon pool cover)를 육상에서 문풀의 하부 개구에 설치하여 문풀의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문풀 커버 설치단계; 해상에서 선체를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체 안벽 접안단계; 문풀 내로 터렛을 설치하는 터렛 설치단계; 및 문풀 커버를 제거하는 문풀 커버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Turret constructing method and moon pool cover used the same}
본 발명은,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렛의 해상 작업이 가능하여 터렛 설치에 따른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서 가스 또는 원유를 시추하는 시추선(drill ship)이나 FPSO(부유식 원유생산 하역 저장설비)는 시추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터렛(turret)을 구비하고 있다.
터렛은 보통 선박의 한쪽 선단부, 통상 선수부에 마련된 수직 개구부 또는 문풀(moon pool)에 장착되고, 체인 등에 의해 해저의 광구 플랫폼(subarea well platform)에 고정되어 선박을 계류하게 된다.
또한 터렛은 선박이 터렛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선박에 설치되어, 시추작업을 하는 동안 광구 플랫폼으로부터 선박으로의 가스 또는 원유의 이송을 위한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이송경로를 제공한다.
즉, 해상의 선박이 가스 또는 원유가 이송되는 동안 바람,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해 유동하는 경우에도 선박이 고정된 터렛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선박의 유동에 상관없이 가스 또는 원유가 고정된 터렛 내부의 튜브 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터렛을 LNG-FPSO 등에 설치하려 할 때는 도크(Dock)나 육상에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만약 도크의 반목 높이 제한처럼 작업의 장애 요인이 발생할 경우에는 터렛의 도크 또는 육상 작업이 어려워 터렛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감안한 새로운 터렛 설치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7620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렛의 해상 작업이 가능하여 터렛 설치에 따른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터렛 설치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사이즈와 형상으로 제작된 문풀 커버(moon pool cover)를 육상에서 문풀의 하부 개구에 설치하여 상기 문풀의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문풀 커버 설치단계; 해상에서 상기 선체를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체 안벽 접안단계; 상기 문풀 내로 터렛을 설치하는 터렛 설치단계; 및 상기 문풀 커버를 제거하는 상기 문풀 커버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렛 설치단계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부 터렛(lower turret)을 상기 문풀의 내부로 설치하는 하부 터렛 설치단계; 및 상기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터렛의 상부로 상부 터렛(upper turret)을 배치하여 결합시키는 상부 터렛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렛 설치단계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터렛의 상부로 갠트리 스트럭쳐(gantry structure)를 설치하는 갠트리 스트럭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풀 커버 설치단계 후에 상기 문풀 커버가 설치된 선체를 해상으로 진수시키는 선체 진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풀 커버 제거단계 전에 상기 선체를 상기 안벽으로부터 이안시키는 선체 안벽 이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풀 커버 설치단계 시 볼트 방식에 의해 상기 문풀 커버가 상기 문풀의 하부 개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문풀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볼트 결합용 외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볼트 결합용 외벽체를 포함하는 문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리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다수의 빗살형 보강리브; 및 격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빗살형 보강리브들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다수의 격자형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결합용 외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렛의 해상 작업이 가능하여 터렛 설치에 따른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의 제작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된 터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의 제작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터렛 설치방법에 적용되는 문풀 커버(moon pool cover, 150)는 도 1의 (a) 내지 (e)의 단계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문풀 커버(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52,153)와,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M, 도 2 참조)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볼트 결합용 외벽체(15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문풀 커버(150)의 밑면을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51)가 실질적으로 문풀(M)의 하부 개구를 차폐한다. 문풀(M)이 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51) 역시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보강리브(152,153)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51)를 보강하는 다수의 빗살형 보강리브(152)와, 격자 형상을 가지며, 빗살형 보강리브(152)들보다 높게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51)를 보강하는 다수의 격자형 보강리브(153)를 포함한다.
빗살형 보강리브(152)들과 격자형 보강리브(153)들 모두는 해당 위치에서 용접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볼트 결합용 외벽체(154)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M)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볼트 결합 시 고무 패킹 등이 볼트 결합용 외벽체(154) 영역에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 결합용 외벽체(154)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결합된다. 이는 문풀(M)이 실제 거대한 홀(hole)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문풀 커버(150)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a)처럼 문풀(M)의 직경을 고려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51)를 재단하거나 용접하여 붙여 결합시킨다. 그런 후에, (b)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빗살형 보강리브(152)들을 용접하여 붙이고, 이어 (c)처럼 격자형 보강리브(153)들을 용접하여 붙여 베이스 플레이트(151)를 보강한다.
그런 다음, (d)처럼 볼트 결합용 외벽체(154)들을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붙여 용접함으로써, (e)처럼 문풀 커버(150)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문풀 커버(150)를 이용하여 터렛(100) 설치 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렛 설치방법은, 문풀 커버 설치단계(S10), 선체 진수단계(S20), 선체 안벽 접안단계(S30), 터렛 설치단계(S40), 선체 안벽 이안단계(S50), 그리고 문풀 커버 제거단계(S60)를 포함한다.
문풀 커버 설치단계(S10)는 도 2 및 도 3처럼 육상에서 문풀(M)의 하부 개구에 문풀 커버(150)를 설치하여 문풀(M)의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단계이다.
이때에 사용되는 문풀 커버(150)는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52,153)와, 베이스 플레이트(151)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M)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볼트 결합용 외벽체(154)를 포함하는 문풀 커버(150)이다.
문풀 커버(150)의 설치 작업은 육상에서 볼트 작업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은 없다.
선체 진수단계(S20)는 도 4처럼 문풀 커버(150)가 문풀(M)의 하부 개구에 설치된 선체(2)를 해상으로 진수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선체(2)를 해상으로 진수시키더라도 문풀(M)의 하부 개구가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문풀(M) 내로 해수의 유입은 없다.
선체 안벽 접안단계(S30)는 도 5처럼 해상에서 선체(2)를 안벽에 접안시키는 단계이다. 선체(2)를 안벽에 접안됨으로써 터렛(100) 설치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터렛 설치단계(S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풀 커버(150)에 의해 그 하부가 막힌 문풀(M) 내로 터렛(1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터렛 설치단계(S40)는, 도 6처럼 하부 터렛(120, lower turret)을 문풀(M)의 내부로 설치하는 하부 터렛 설치단계(S41)와, 도 7처럼 하부 터렛(120)의 상부로 상부 터렛(110, upper turret)을 배치하여 결합시키는 상부 터렛 설치단계(S42)와, 도 8처럼 상부 터렛(110)의 상부로 갠트리 스트럭쳐(130, gantry structure)를 설치하는 갠트리 스트럭쳐 설치단계(S43)를 포함한다.
하부 터렛(120), 상부 터렛(110) 및 갠트리 스트럭쳐(130) 설치 시 모두 해상 크레인(C)이 이용될 수 있다. 하부 터렛(120), 상부 터렛(110) 및 갠트리 스트럭쳐(130)에 대한 구조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선체 안벽 이안단계(S50)는 도 9처럼 안벽에 접안된 선체(2)를 안벽에서 이안시키는 단계이다. 이때는 선박의 엔진을 이용하여 심해로 출항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풀 커버 제거단계(S60)는 도 10처럼 문풀 커버(15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는 심해로 출항된 선체(2)의 하부로 잠수부 등이 들어가서 문풀 커버(150)가 결합된 볼트 등을 풀어냄으로써 자중에 의해 문풀 커버(150)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문풀 커버(150)가 제거되면 문풀(M) 내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후에 터렛(1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렛(100)의 해상 작업이 가능하여 터렛 설치에 따른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된 터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전술한 터렛 설치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도 12와 같은 형태의 터렛(100)이 선박(1)의 선체(2)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직 개구부인 문풀(M)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는 터렛(100)에 대한 설명인데, 터렛(100)의 구조가 반드시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을 필요는 없지만 터렛(100)이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선체(2)와의 슬라이딩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터렛(100)을 제공할 수 있어 유리하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터렛(100)은 해저의 광구 플랫폼(미도시)에 체인(140)에 의해 연결되어 선박(1)을 계류하는 한편, 터렛(100)을 회전축으로 하여 선체(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 구조에 의해 선체(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의 선박(1)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시추선(drill ship) 또는 FPSO(부유식 원유생산 하역 저장설비) 등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선박(1)을 이용하여 시추작업 또는 하역작업을 하는 동안 선체(2)는 바람이나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해서 유동할 수 있다.
터렛(100)과 이에 접촉되는 문풀(M)의 선체(2) 외벽은 터렛(100)의 자중과 선체(2)의 유동에 의해 축하중과 수평하중을 동시에 받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터렛(100)에는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며 선체(2)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렛(100)은 문풀(M) 내에 설치되는 상부 터렛(110)과, 터렛(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선체(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 조립체(122, 123)가 마련되는 하부 터렛(120)을 포함한다. 상부 터렛(110)의 상부에는 갠트리 스트럭쳐(130, gantry structure)가 마련되는데 이 역시 터렛(100)의 한 구조물로 간주한다. 터렛(100)의 설치 순서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하부 터렛(120), 상부 터렛(110) 및 갠트리 스트럭쳐(130)의 순서이다.
상부 터렛(110)과 하부 터렛(120)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렛(100)의 상부와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 또는 원유의 시추 및 하역을 보조하는 구조물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상부 터렛(110)의 상부에는, 갠트리 스트럭쳐(130)와, 갠트리 스트럭쳐(130)의 하부 지지체를 구성하는 파이핑 데크(137, piping deck)와, 메자닌 데크(138, mezzanine deck)가 설치된다.
갠트리 스트럭쳐(130)는 시추된 가스 또는 원유의 하역을 위한 장비이며, 갠트리 스트럭쳐(130)의 지지 구조물 내부에는 스위블 스택(133, swivel stack)과 이에 연결되는 유틸리티 파이프(131)가 설치될 수 있다. 유틸리티 파이프(131)는 파이핑 데크(137)와 메자닌 데크(138)에 의해 지지되며 선박(1) 내로 유도될 수 있다.
스위블 스택(133)은 상부 터렛(110)에 고정 결합되며, 이에 연결되는 유틸리티 파이프(131)가 선박(1)의 회전 유동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있어, 선박(1)의 회전 유동에 의해 유틸리티 파이프(13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유틸리티 파이프(131)는 터렛(100) 내에 설치되는 라이징 튜브(132, rising tube)에 연결된다. 라이징 튜브(132)는 해저 광구 플램폼에 연결되어 있어, 광구로부터 채취된 가스 또는 원유가 라이징 튜브(132)를 통해 유틸리티 파이프(131)로 이송되 수 있다.
라이징 튜브(132)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튜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는 터렛(100)이 체인(140)에 의해 해저 광구 플랫폼에 고정되나 해류나 파도에 의해 어느 정도 유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라이징 튜브(132)가 터렛(100)의 유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부 터렛(110)은 터렛(100)에 가해지는 축하중을 주로 지지하며 선박(1)이 터렛(100)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상부 터렛(110)은 상부 터렛 지지체(111)와, 상부 터렛 지지체(111)에 연결되는 상부 베어링 조립체(112, 113)를 포함한다.
상부 터렛 지지체(111)는 원통형상이며, 상부 베어링 조립체(112, 113)에 의해 선체(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부 베어링 조립체(112, 113)는, 선체(2)에 연결되는 베어링 지지부재(113)와, 베어링 지지부재(113)에 슬라이딩되며 상부 터렛 지지체(111)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112)을 포함한다.
베어링 지지부재(113)가 문풀(M)의 상부 선체(2) 외벽에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이에 결합되는 상부 터렛 지지체(111)의 외경도 하부 터렛 지지체(121)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 지지부재(113)는 선체(2)에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베어링 지지부재(113)은 선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베어링 지지부재(113)에는 상부 베어링(112)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지지턱(113a, 도 13 참조)이 형성된다. 베어링 지지턱(113a)은 문풀(M)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상부에 상부 베어링(112)이 접촉하는 수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베어링(112)은 트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일반적인 트러스트 베어링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하중을 지지하며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부 베어링 조립체(112, 113)는 주로 터렛(100)에 가해지는 축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나, 후술되는 하부 베어링 조립체(122, 123)를 보조하여 수평하중도 함께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부 터렛(120)은 상부 터렛(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부 터렛 지지체(121)와, 하부 터렛 지지체(121)에 연결되는 하부 베어링 조립체(122, 123)를 포함한다.
하부 터렛 지지체(121)는 상부 터렛 지지체(111)에 연결되며, 상부 터렛 지지체(111)에 비하여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서 대체로 원뿔형상으로 마련될수 있다.
하부 터렛 지지체(121)를 상부 터렛 지지체(111)에 비하여 외경을 크게 하는 이유는, 터렛(100)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최대한 분산하여 지지하기 위함이다. 즉, 하부 터렛 지지체(121)의 외경을 크게 하면 이에 결합되는 하부 베어링(122)과 선체(2)에 결합되는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단위 면적당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의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를 적용할 수 있는 등 설계 제한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 베어링 조립체(122, 123)는 터렛(100)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지지하며 선체(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터렛 지지체(121)에 결합되는 하부 베어링(122)과, 하부 베어링(122)이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는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를 포함한다.
하부 베어링(122)은 하부 터렛 지지체(121)의 하부 즉, 외경이 최대인 부분에 고정 결합되며, 구름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미끄럼 베어링의 경우 윤활을 위하여 하부 베어링(122)의 소재는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의 소재에 비하여 무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는 문풀(M)의 선체(2) 외벽을 따라 결합되는 베어링 접촉벽부(124)와, 베어링 접촉벽부(124)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슬릿 플레이트(1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베어링 접촉벽부(124)가 선체(2)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베어링 접촉벽부(124)는 선체(2)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베어링 접촉벽부(124)는 소정 두께를 가지고 원통 형상의 문풀(M)의 선체(2) 외벽에 결합된다. 아울러, 베어링 접촉벽부(124)의 슬릿 플레이트(125)가 결합되는 면에는 슬릿 플레이트(125)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슬릿 플레이트(125)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접촉벽부(124)가 선체(2)에 결합됨으로써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의 베어링 접촉면은 선체(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이에 의해 하부 베어링(122)은 터렛(100)에 수평하중이 작용할 때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에 먼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베어링(122)이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가 아닌 선체(2)에 먼저 접촉하여 선체(2) 또는 하부 베어링(122)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슬릿 플레이트(125)는 복수의 슬릿 플레이트(125)를 연결하여 베어링 접촉벽부(124)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독립 슬라이딩 패드(123)의 베어링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슬릿 플레이트(125)는 베어링 접촉벽부(124)의 폭에 맞추어 다수 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베어링 접촉벽부(124) 따라 전체 면적에 걸쳐 결합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베어링 접촉벽부(124)와 같은 원형 링의 형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렛(100)의 해상 작업이 가능하여 터렛 설치에 따른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터렛장치 110 : 상부 터렛
111 : 하부 터렛 지지체 112 : 상부 베어링
113 : 베어링 지지부재 120 : 하부 터렛
121 : 상부 터렛 지지체 122 : 하부 베어링
123 : 독립 슬라이딩 패드 125 : 슬릿 플레이트
150 : 문풀 커버 151 : 베이스 플레이트
152 : 빗살형 보강리브 153 : 격자형 보강리브
154 : 볼트 결합용 외벽체

Claims (9)

  1. 미리 결정된 사이즈와 형상으로 제작된 문풀 커버(moon pool cover)를 육상에서 문풀의 하부 개구에 설치하여 상기 문풀의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문풀 커버 설치단계;
    해상에서 상기 선체를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체 안벽 접안단계;
    상기 문풀 내로 터렛을 설치하는 터렛 설치단계; 및
    상기 문풀 커버를 제거하는 상기 문풀 커버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렛 설치단계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부 터렛(lower turret)을 상기 문풀의 내부로 설치하는 하부 터렛 설치단계; 및
    상기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터렛의 상부로 상부 터렛(upper turret)을 배치하여 결합시키는 상부 터렛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렛 설치단계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터렛의 상부로 갠트리 스트럭쳐(gantry structure)를 설치하는 갠트리 스트럭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풀 커버 설치단계 후에 상기 문풀 커버가 설치된 선체를 해상으로 진수시키는 선체 진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풀 커버 제거단계 전에 상기 선체를 상기 안벽으로부터 이안시키는 선체 안벽 이안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풀 커버 설치단계 시 볼트 방식에 의해 상기 문풀 커버가 상기 문풀의 하부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문풀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볼트 결합용 외벽체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방법.
  7.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둘레 벽면을 형성하되 문풀의 하부 개구에 볼트 결합되는 볼트 결합용 외벽체를 포함하는 문풀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리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다수의 빗살형 보강리브; 및
    격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빗살형 보강리브들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다수의 격자형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문풀 커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결합용 외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문풀 커버.
KR1020130003662A 2013-01-11 2013-01-11 터렛 설치방법 KR10152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662A KR101523724B1 (ko) 2013-01-11 2013-01-11 터렛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662A KR101523724B1 (ko) 2013-01-11 2013-01-11 터렛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11A true KR20140091411A (ko) 2014-07-21
KR101523724B1 KR101523724B1 (ko) 2015-05-28

Family

ID=5173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662A KR101523724B1 (ko) 2013-01-11 2013-01-11 터렛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18A (ko) * 2014-07-24 2016-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터렛의 동적 거동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58A (ko) 2020-11-06 2022-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 구조물 설치용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190A (ja) * 1994-10-19 1996-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抵抗減少型ムーンプール付き浮体構造物
KR101670867B1 (ko) * 2009-11-20 2016-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동적 안정화 구조를 갖는 해상부유구조물
KR101616039B1 (ko) * 2010-03-12 2016-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문풀의 해치 커버 장치
KR101259616B1 (ko) * 2011-02-25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18A (ko) * 2014-07-24 2016-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터렛의 동적 거동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724B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616B1 (ko) 터렛장치
RU2647364C1 (ru) Плавучий турельный причал с проницаемой клеткой турели
KR20100124733A (ko) 해수 외부에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릴을 갖는 부유식 지지물
KR101523724B1 (ko) 터렛 설치방법
US9909274B2 (en) Wind turbine parts handling method and device
KR20150097188A (ko) 터렛용 계류 체인의 손상 방지장치
US20110094432A1 (en) Gravity anchor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US9650111B2 (en) Mooring system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ame
JP2012011850A (ja) 水中流出油回収船
KR101750762B1 (ko) 터렛 설치 방법
KR102156952B1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516207B1 (ko) 마우스홀 충격저감장치
KR101616362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RU2438912C2 (ru) Способ переоборудования танкера
KR101741525B1 (ko) 계류 장치
US20130020801A1 (en) Sleeve For Tendon Bottom Connector
KR20100040436A (ko) 회수 파이프를 구비하는 선박
KR101606696B1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101616848B1 (ko) 스위블 스택
KR102125104B1 (ko) 해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드릴십
JP2014058274A (ja)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KR101526365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방법
KR101722376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