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25A -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25A
KR20140089825A KR1020130001733A KR20130001733A KR20140089825A KR 20140089825 A KR20140089825 A KR 20140089825A KR 1020130001733 A KR1020130001733 A KR 1020130001733A KR 20130001733 A KR20130001733 A KR 20130001733A KR 20140089825 A KR20140089825 A KR 2014008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signal
audio
pow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825A/en
Publication of KR2014008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in a display device which can output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at the same time or at a similar point. The device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udio signal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from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device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based on the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의 오디오 출력을 듣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TV)를 파워 온(POWER ON)시키면 디스플레이 기기(TV)에서 수초 후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반면에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는 파워-온 신호를 수신한 후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및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출력 시점이 비디오 신호의 출력 시점보다 늦어졌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시그널을 공용단자로 입출력하는 에이브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한국 특허 출원 2006-0000550에 개시되어 있다.Generally, when a user turns on a display device (TV) to hear an audio output of an audio output device (sound bar) of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TV) transmit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 few seconds later . At this time,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hereas the audio output device (sound bar) receives the power-on signal and then receives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so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audio signal is delayed from the output timing of the video signal. An AV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digital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o a comm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0000550.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파워 온시킬 때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를 파워-온시킬 수 있는 신호를 오디오 신호와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또는 유사한 시점에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n audio output apparatus that output a signal capable of powering on an audio output apparatus (sound bar) to an audio output apparatus (sound bar) together with an audio signal when the display apparatus is powered on, And an audio out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n audio signal at the same time or at a similar time, and a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시키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udio output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from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ler for powering on an audio output device based on a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includ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특정 주파수가 미리설정된 주파수일 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 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unit may power 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when a specific frequency of the audio signal is a preset frequency.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되고,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제2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is powered on based on a first power-on signal, receives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generates an audio signal including a second power- Wow; And an audio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power-on signal, being powered on based on a second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제1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오디오 출력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이면 상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device is in the audio output mode when the first power-on signal is receiv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device is in the audio output mode, A first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containing the audi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power-on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파워-온 신호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시키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사운드 모드에 따라 출력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includes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power-on signal; A second controller for powering up the audio output device based on a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sound mod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 audio signal output by the second controlle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대기상태에서 상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dio out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generat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in a display device;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power-on signal in a standby state in the audio output apparatus; Power-on the audio output device based on a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파워 온시킬 때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를 파워-온시킬 수 있는 신호(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 또는 특정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와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에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또는 유사한 시점에 출력할 수 있다.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that can power on an audio output apparatus (sound bar) when powering on a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Sound bar) with the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video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video and audio signal (audio signal)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At the same time or at a similar time poi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output apparatus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dio output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output apparatus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파워-온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로부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201)와;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파워-온(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lifier, AMP)(203)와;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from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powered on, as shown in FIG. 1; And a controller 202 for powering 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based on the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 audio output apparatus 200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mplifier (AMP) 203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And a speaker 204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파워-온(Power-On) 신호(제1 파워-온 신호)에 따라 파워 온 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제어부(102)는 파워-온 버튼 또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파워-온을 위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파원-온 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지털 텔레비전, PDP(Plasma Display Panel) 텔레비전, LCD(Liquid Crystal Display) 텔레비전, LED(Light Emitting Diod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First, the display device 100 is powered on according to a power-on signal (first power-on signal) generated by a us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2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power on the display device 100 by receiving a power-on button or an infrared signal for power-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display device may be a digital television, a plasma display panel (PDP) televisi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elevision, a light emitting diode (LED) television, or the like.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메모리의 마지막 기록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사운드 바 모드(오디오 출력 모드)인지 아닌지를 확인(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와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케이블) 또는 무선망을 통해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예를 들면, 사운드 바 시스템)(200)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를 나타낸다. When the power-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audio output mod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2 checks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sound bar mode (audio output mode) by checking the last recorded state of the memory of the display device 100. Here, the audio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audio is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for example, a sound bar system) 200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wired interface (for example, a cable) Lt; / RTI >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이면 파워-온 신호(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이면 상기 오디오 신호를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송신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가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02 controls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to transmit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second power-on signal)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tting unit 103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in the audio output mode, .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audio output mode, the controller 102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200 through a SPDIF (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transmitter. On the other hand,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in the audio output mode, the controller 102 outputs audio through the internal speaker of the display device 100.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상기 제어부(202)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201)를 통해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파워-온시킨다.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is powered on based on a power-on signal included in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tting unit 10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2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receives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in a standby state, and outputs a power-on signal And turns on the audio output device 200 based on the signal.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마지막(이전 파워-오프 전)에 설정된 사운드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운드 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모드는 게임 모드, 음악 모드, 시네마 모드, 스포츠 모드 등과 같은 사운드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스테레오 모드 등일 수도 있다. 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202 confirms the sound mode set by the user last (before power-off) and sets the confirmed sound mode. Here, the sound mode may be a sound mode such as a game mode, a music mode, a cinema mode, a sports mode, or a mono mode, a stereo mode, or the like.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설정된 사운드 모드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기(amplifier, AMP)(203)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점에 맞추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증폭기(203)에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02 outputs the audio signal to an amplifier (AMP) 203 according to the set sound mode. The controller 202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amplifier 203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display time of the display device 100.

상기 증폭기(203)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한다. The amplifier 203 amplifies the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204.

상기 제어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볼륨 레벨이 선택되거나 음소거(Mute)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201)에 상기 선택된 볼륨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음소거(Mute)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02 controls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to transmit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lume level or the mute signal to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tting unit 103 when a volume level is selected by the user or a mute signal is received.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mute.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201)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선택된 볼륨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음소거(Mute)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고, 그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증폭기(203) 및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audio signal based 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lume level received via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or data corresponding to the mute, Through the amplifier (203) and the speaker (20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dio output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dio output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워-온(Power-On) 신호(제1 파워-온 신호)가 발생하면 파워 온 한다(S11).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제어부(102)는 파워-온 버튼 또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파워-온을 위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파원-온 시킨다. First, the display device 100 is powered on when a power-on signal (first power-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S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2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power on the display device 100 by receiving a power-on button or an infrared signal for power-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파워-온 신호가 수신(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2).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메모리의 마지막 기록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사운드 바 모드(오디오 출력 모드)인지 아닌지를 확인(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 또는 사운드 바 모드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와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케이블) 또는 무선망을 통해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예를 들면, 사운드 바 시스템)(20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를 나타낸다.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audio output mode when the power-on signal is received (S1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2 checks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sound bar mode (audio output mode) by checking the last recorded state of the memory of the display device 100. Here, the audio output mode or the sound bar mode refers to an audio output mode (for example, a sound bar system) 200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wired interface (e.g., a cable) Indicates a mode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가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부트 로고(Boot Logo)를 출력하여(S13) 비디오 신호를 표시부(101)에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를 내부 스피커(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한다(S14). 즉,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가 아니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만을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를 시청한다. 여기서, 상기 S13 및 S14 단계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in the audio output mode, the control unit 102 outputs a boot logo of the display device 100 (S13), outputs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01, To an internal speaker (not shown) (S14). That is,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in the audio output mode, the user views video and audio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lone. Here, since steps S13 and S14 are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사운드 바 모드)이면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한다(S15).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오디오 출력 모드이면 특정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송신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한다.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audio output mode (sound bar mode), the controller 102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200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tter 103 (S15).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audio output mode, the control unit 102 outputs an audio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through a SPDIF (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transmission unit.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02)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파워-온한다(S17). The control unit 202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powers 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when an au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ssion unit 103 in a standby state at step S17.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특정 주파수(Fc)가 미리설정된 주파수일 때(S16)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파워-온 시킬 수도 있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특정 주파수(Fc)가 미리설정된 주파수가 아니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S18). 상기 S16 단계는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02 may power 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when the specific frequency Fc of the received audio signal is a preset frequency S16,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may be kept in the standby state if the frequency Fc is not the preset frequency (S18). The step S16 may or may not be performed.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고, 상기 부트 로고를 출력하고(S19),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설정된 사운드 모드를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한다(S20).The control unit 102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ssion unit 103 and outputs the boot logo (S19) And outputs it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03 (S20).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마지막(이전 파워-오프 전)에 설정된 사운드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운드 모드를 설정한다(S21). 여기서, 상기 사운드 모드는 게임 모드, 음악 모드, 시네마 모드, 스포츠 모드 등과 같은 사운드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스테레오 모드 등일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02 confirms the sound mode set at the last time (before power-off) by the user, and sets the confirmed sound mode (S21). Here, the sound mode may be a sound mode such as a game mode, a music mode, a cinema mode, a sports mode, or a mono mode, a stereo mode, or the like.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설정된 사운드 모드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기(amplifier, AMP)(203) 및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한다(S22). The control unit 202 outputs the audio signal through an amplifier (AMP) 203 and a speaker 204 according to the set sound mode (S22).

상기 제어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설정된 사운드 모드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상기 표시부(101)를 통해 출력한다(S23). The control unit 102 outputs the sound mode finally set by the user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and outputs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01 (S23).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파워 온시킬 때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를 파워-온시킬 수 있는 신호(예를 들면,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특정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에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를 동시에 또는 유사한 시점에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의 오디오 출력을 듣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TV)를 파워 온(POWER ON)시키면 디스플레이 기기(TV)에서 수초 후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반면에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는 파워-온 신호를 수신한 후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및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출력 시점이 비디오 신호의 출력 시점보다 늦어졌다. Therefore,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apparatus that can output a signal (e.g., a power-on signal) capable of powering on an audio output apparatus (Sound bar) and outputting the video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00 Video and audio at the same time or at a similar time. For example, conventionally, when a user turns on a display device (TV) to hear an audio output of an audio output device (sound bar),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TV) . At this time,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hereas the audio output device (sound bar) receives the power-on signal and then receives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so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audio signal is delayed from the output timing of the video signal.

상기 제어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볼륨 레벨이 선택되거나 음소거(Mute)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3)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201)에 상기 선택된 볼륨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음소거(Mute)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전송(송출)한다(S24). The control unit 102 controls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to transmit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lume level or the mute signal to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through the audio signal transmitting unit 103 when a volume level is selected by the user or a mute signal is received. (Send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mute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S24).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201)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선택된 볼륨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음소거(Mute)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고, 그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증폭기(203) 및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한다(S25).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audio signal based 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lume level received via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01 or data corresponding to the mute, Through the amplifier 203 and the speaker 204 (S2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파워 온시킬 때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를 파워-온시킬 수 있는 신호(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 또는 특정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와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사운드 바)에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또는 유사한 시점에 출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powering on th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Power-on signal included in an audio signal or an audio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to an audio output device (sound bar) together with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video to the display section, The video and audio signals can be output simultaneously or at a similar time through the device 20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제1 외부 전극 12: 제2 외부 전극
13: 제1 내부 전극 14: 제2 내부 전극
11: first outer electrode 12: second outer electrode
13: first internal electrode 14: second internal electrode

Claims (9)

디스플레이 기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시키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An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An audio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from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ler for powering on an audio output device based on a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The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특정 주파수가 미리설정된 주파수일 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turns on the audio output device when a specific frequency of the audio signal is a preset frequency.
제1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되고,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제2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 display device powered on based on a first power-on signal, receiving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generat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second power-on signal;
And an audio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power-on signal, being powered on based on a second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 / RTI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제1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오디오 출력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이면 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device is in an audio output mode when the first power-on signal is received and generat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second power-on signal if the display device is in the audio output mode; ;
And an audio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power-on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제2 파워-온 신호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제2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시키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사운드 모드에 따라 출력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The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 audio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power-on signal;
A second controller for powering up the audio output device based on a second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sound mod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 audio signal output by the second controlle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디스플레이 기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대기상태에서 상기 파워-온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파워-온 신호를 근거로 파워-온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Generat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power-on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power-on signal in a standby state in the audio output apparatus;
Power-on the audio output device based on a power-on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And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mplifying the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특정 주파수가 미리설정된 주파수일 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파워-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owering up the audio output device when a specific frequency of the audio signal is a preset frequency.
KR1020130001733A 2013-01-07 2013-01-07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98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33A KR20140089825A (en) 2013-01-07 2013-01-07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33A KR20140089825A (en) 2013-01-07 2013-01-07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25A true KR20140089825A (en) 2014-07-16

Family

ID=517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33A KR20140089825A (en) 2013-01-07 2013-01-07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8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9183B2 (en) Home theater system, video / audio reproduction device,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US9986358B2 (en) Sound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speaker device, audio signal adjust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628893B2 (en) Method of auto-pausing audio/video content while using headphones
JP2007104138A (en) Video sound output apparatus,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apparatus
US20120230525A1 (en) Audio device and audio system
MXPA01010077A (en) Remote control having an audio port.
JP2012248257A (en) Video and audio device, and video and audio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US20060256986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JPWO2016199699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TWM519370U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djusting equalizer settings according to the hearing physiological condition and audio playing device
KR102409376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90221A (en) Multi-mode audio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WO2010107179A2 (en) Multifunctional television using a human body sensor
JP2011004315A (en) Video and audio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JP4035154B1 (en) Video / 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device
CN111491191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airing set top box and Bluetooth headset and multimedia playing system
US20060264250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16033774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enuation of an audio signal
US20090238396A1 (en)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TWI639345B (en) Sound colle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decting whether the sound collection equipment is in use
KR20140089825A (en) Audio outputt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0567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hdmi audio setting
US9924363B2 (en) Wireless security system for wireless audio device
TWM526241U (en) Sound adjustment device
US20100198376A1 (en) Personal audi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