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597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597A
KR20140086597A KR1020120157286A KR20120157286A KR20140086597A KR 20140086597 A KR20140086597 A KR 20140086597A KR 1020120157286 A KR1020120157286 A KR 1020120157286A KR 20120157286 A KR20120157286 A KR 20120157286A KR 20140086597 A KR20140086597 A KR 2014008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ompression space
cylinder
discharge port
cylind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웅
문석환
조국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597A/ko
Publication of KR2014008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28Internal leakag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가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그리고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를 연결하는 베인부로 이루어져 케이싱에 고정된다. 그리고 롤링피스톤이 베인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외측 압축공간과 내측 압축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회전체의 무게를 줄여 동일 냉력 대비 동력 손실이 작고 베어링 면적이 좁아 냉매 누설을 줄일 수 있으며 실린더의 용적을 용이하게 확대 변경할 수 있다. 또, 각 압축공간에서 냉매가 서로 반대쪽으로 토출되어 압축기의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 개의 실린더에 2개의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1실린더-2압축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콘과 같은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사이클로 약칭함)에 적용되고 있다. 냉매 압축기는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는 등속형 압축기 또는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인버터형 압축기가 소개되고 있다.
압축기는 통상 전동부인 전동부와 그 전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압축부가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밀폐형 압축기라고 하고, 전동부가 케이싱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를 개방형 압축기라고 할 수 있다. 가정용 또는 업소용 냉동기기는 대부분 밀폐형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밀폐형 압축기는 실린더의 개수에 따라 단식 밀폐형 압축기와 복식 밀폐형 압축기로 구분할 수 있다. 단식 밀폐형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한 개의 압축공간을 갖는 한 개의 실린더가 설치되는 반면, 복식 밀폐형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한 개씩의 압축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복식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1흡입-2토출 방식과 1흡입-1토출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흡입-1토출 방식은 복수 개의 실린더 중에서 제1 실린더에 어큐뮬레이터가 1차 흡입유로로 연결되고, 제2 실린더는 어큐뮬레이터가 연결된 제1 실린더의 토출측에 2차 흡입유로로 연결되어 냉매가 2단 압축된 후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방식이다. 반면, 1흡입-2토출 방식은 복수 개의 실린더가 한 개의 흡입관에 분지되어 연결되고, 복수 개의 실린더에서 냉매가 각각 압축되어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 1흡입-2토출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1흡입-2토출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케이싱(1)의 내부에 전동부(2)가 설치되고, 전동부(2)의 하측에는 압축부(3)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부(2)와 압축부(3)는 크랭크축(23)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21은 고정자, 22는 회전자이다.
압축부(3)는 크랭크축(23)을 지지하도록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케이싱(1)에 고정되며,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의 사이에는 중간플레이트(33)에 의해 분리되는 제1 실린더(34)와 제2 실린더(3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플레이트(33)에는 흡입관(11)이 연결되는 흡입구(33a)가 형성되고, 흡입구(33a)의 끝단에는 제1 실린더(34)와 제2 실린더(35)의 각 압축공간(V1)(V2)으로 연통되는 제1 흡입홈(33b)과 제2 흡입홈(33c)이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23)에는 제1 편심부(23a)와 제2 편심부(23b)가 대략 180°의 간격을 두고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편심부(23a)와 제2 편심부(23b)의 외주면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제1 롤링피스톤(36)과 제2 롤링피스톤(37)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 실린더(34)와 제2 실린더(35)에는 제1 롤링피스톤(36)과 제2 롤링피스톤(37)에 각각 압접되어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을 각각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제1 베인(미도시)과 제2 베인(미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도면부호 5는 어큐뮬레이터, 12는 토출관, 31a 및 31b는 토출구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1흡입-2토출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전동부(2)에 전원이 인가되어 그 전동부(2)의 회전자(22)와 크랭크축(23)이 회전을 하면 제1 롤링피스톤(36)과 제2 롤링피스톤(37)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제1 실린더(34)과 제2 실린더(35)로 번갈아 흡입하게 된다. 이 냉매는 제1 롤링피스톤(36)과 제1 베인 그리고 제2 롤링피스톤(37)과 제2 베인에 의해 압축되면서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에 구비된 각각의 토출구(31a)(31b)를 통해 케이싱(1)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1흡입-2토출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제1 편심부(23a)와 제2 편심부(23b)가 크랭크축(2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축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형성됨에 따라 편심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증가하게 되어 압축기의 진동과 마찰손실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각 베인이 각 롤링피스톤(36)(37)에 압접되어 흡입실과 압축실을 분리하는 것이나 운전조건에 따라서는 각 베인과 각 롤링피스톤(36)(37)이 서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냉매 누설이 발생되면서 압축기 효율이 저하될 수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국내등록특허 10-0812934호와 같이 한 개의 실린더에 두 개의 압축공간을 갖는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가 소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압축기에서 실린더와 피스톤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이하, 1실린더-2압축실 압축기로 약칭함)는 피스톤(44)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44)은 상부하우징(41)에 결합되어 케이싱(1)에 고정 결합되고, 실린더(43)는 크랭크축(23)의 편심부(23c)에 결합되어 피스톤(44)에 대해 선회하도록 상부하우징(42)과 하부하우징(42) 사이에서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있다.
상부하우징(41)의 일측에는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의 각 흡입실에 연통되도록 장공 형상의 흡입구(41a)가 형성되고, 상부하우징(41)의 타측에는 제1 압축공간(V1)과 토출공간(S2)의 각 압축실에 연통되도록 제1 토출구(41b)와 제2 토출구(4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3)는 제1 압축공간(V1)을 형성하는 외측 실린더부(45)와, 제2 압축공간(V2)을 형성하는 내측 실린더부(46)와, 외측 실린더부(45)와 내측 실린더부(46) 사이를 연결하여 흡입실과 압축실을 분리하는 베인부(47)로 이루어져 있다. 외측 실린더부(45)와 내측 실린더부(46)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베인부(47)는 수직으로 세워진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실린더부(45)의 내경은 피스톤(44)의 외경보다 크게, 내측 실린더부(46)의 외경은 피스톤(4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측 실린더부(45)의 내주면은 피스톤(44)의 외주면과 한 점에서 접하고 내측 실린더부(46)의 외주면은 피스톤(43)의 내주면과 한 점에서 접하여 각각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을 형성할 수 있다.
피스톤(44)은 환형으로 형성되고, 실린더(43)의 베인부(47)가 미끄러지게 삽입되도록 부시홈(44a)이 형성되며, 부시홈(44a)에는 피스톤(44)이 선회운동을 하도록 롤링부시(48)가 설치되어 있다. 롤링부시(48)는 반원형의 흡입측 부시(48a)와 토출측 부시(48b)가 베인부(47)의 양쪽에서 평탄면이 베인부(47)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43a 및 44a는 측면흡입구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1실린더-2압축실 압축기는, 크랭크축(23)에 결합되는 실린더(43)가 피스톤(44)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으로 번갈아 흡입하고, 이 흡입된 냉매는 외측 실린더부(45)와 내측 실린더부(46) 그리고 베인부(47)에 의해 압축되어 제1 토출구(41b)와 제2 토출구(41c)를 통해 케이싱(1)의 내부공간으로 번갈아 토출하게 된다.
이로써,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이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모멘트와 마찰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흡입실과 압축실을 분리하는 베인부(47)가 외측 실린더부(45)와 내측 실린더부(46)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압축공간의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1실린더-2압축실 압축기는, 피스톤(44)이 고정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실린더(43)가 회전함에 따라 동일 냉력 대비 동력 손실이 크고, 베어링 면적이 넓어 그만큼 냉매가 누설될 우려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1실린더-2압축실 압축기는, 실린더(43)의 외주면 일부가 상부하우징(4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선회운동을 함에 따라 실린더(43)의 용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부하우징(41)의 직경을 확대하여야 하고 이는 결국 케이싱(1) 자체를 확대 변경하여야 하므로 압축기의 용적 조절이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의 1실린더-2압축실 압축기는, 제1 토출구(41b)와 제2 토출구(41c)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먼저 토출되는 냉매가 토출공간(S2)에서 일종의 맥동 현상을 유발시켜 압축기의 진동 소음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의 무게를 줄여 동일 냉력 대비 동력 손실이 작고 베어링 면적이 좁아 냉매 누설을 줄일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실린더의 용적을 용이하게 확대 변경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각 압축공간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서로 완충되면서 맥동 현상을 감소시켜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도록 각각 축수부를 갖는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고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가 베인부로 연결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및 상기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사이에서 상기 베인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을 외측 압축공간과 내측 압축공간으로 분리하는 롤링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의 축수부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내측 토출구는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중에서 축수부의 외경이 작은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도록 각각 축수부를 갖는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고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가 베인부로 연결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및 상기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사이에서 상기 베인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을 외측 압축공간과 내측 압축공간으로 분리하는 롤링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외측 토출구와 상기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내측 토출구가 각각 서로 다른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를 갖는 실린더가 고정되고 그 실린더 안쪽에서 롤링피스톤이 선회운동을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겁고 큰 실린더가 회전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동일 냉력 대비 동력 손실이 작고 베어링 면적이 좁아 그만큼 냉매가 누설될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또, 실린더가 고정되고 롤링피스톤이 선회운동을 하는 한편 외측 실린더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고정부가 형성되어 케이싱의 내주면과 실린더의 외주면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그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실린더의 직경을 확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린더의 용적을 용이하게 확대 변경할 수 있다.
또, 외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제1 토출구와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토출되는 냉매가 서로 완충되어 맥동 현상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1흡입-2토출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단면도로서, 실린더와 피스톤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축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II-II"선단면도,
도 7은 도 6의 "III-III"선단면도로서, 압축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하부베어링을 보인 저면도,
도 9는 도 4에서 외측 압축공간과 내측 압축공간의 압축과정을 보인 횡단면도,
도 10은 도 4에 따른 압축기에서 롤링피스톤과 그에 따른 부재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축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II-II"선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II"선단면도로서, 압축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하부베어링을 보인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케이싱(1)의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부(2)가 설치되고, 전동부(2)의 하측에는 1개의 실린더에 2개의 압축공간(V1)(V2)을 갖는 압축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전동부(2)는 케이싱(1)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자(21)와, 고정자(21)의 안쪽에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22)와, 상기 회전자(22)의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후술할 롤링피스톤(140)에 전달하는 크랭크축(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자(21)는 링 형상의 강판을 적층한 라미네이션이 케이싱(1)에 열박음하여 고정 결합되고, 라미네이션에 코일(C)이 권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자(22)는 링 형상의 강판을 적층한 라미네이션에 영구자석(미도시)이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크랭크축(23)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편심지게 돌출되어 롤링피스톤(140)이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부(23a)가 형성될 수 있다.
압축부(100)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크랭크축(23)을 지지하는 상부베어링 플레이트(이하, 상부베어링)(110) 및 하부베어링 플레이트(이하, 하부베어링)(120)과, 상부베어링(110)과 하부베어링(120) 사이에 구비되어 압축공간(V)을 형성하는 실린더(130)와, 크랭크축(23)에 결합되어 실린더(130)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압축공간(V)의 냉매를 압축시키는 롤링피스톤(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베어링(110)은 케이싱(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접 결합되고, 하부베어링(120)은 실린더(130)와 함께 상부베어링(110)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베어링(110)에는 후술할 제1 압축공간(V1)에 연통되는 제1 토출구(112a)가 형성되고, 하부베어링(120)에는 후술할 제2 압축공간(V2)에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베어링(110)에는 제1 토출구(112a)를 수용하도록 토출커버(150)가 결합되고, 하부베어링(120)에는 제2 토출구(122a)를 수용하도록 하부챔버(16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베어링(120)과 실린더(130) 그리고 상부베어링(110)을 차례대로 관통하는 토출유로(F)가 형성되어 하부챔버(160)의 내부공간과 토출커버(150)의 내부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상부베어링(110)과 하부베어링(120)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축구멍(111a)(121a)을 갖는 축수부(111)(1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베어링(110)의 축구멍(111)의 내경(D1)이 하부베어링(120)의 축구멍(121)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크랭크축(23)은 편심하중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상부베어링(110)에 주로 지지됨에 따라 그 상부베어링(110)에 접하는 부위의 직경이 하부베어링(120)에 접하는 부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베어링(110)의 축수부(111) 외경(D11)이 하부베어링(120)의 축수부(121) 외경(D2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토출구가 상부베어링(110)에 형성되면 그 제2 토출구 또는 그 제2 토출구를 수용하는 토출안내홈이나 그 토출안내홈에 설치되는 제2 토출밸브가 상부베어링(110)의 축수부(111)를 침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부베어링의 축수부 강도가 저하될 수 있어 상부베어링의 길이를 증가시켜 압축기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크랭크축을 포함한 회전체의 편심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토출구(122a)와 그 제2 토출구(122a)를 수용하는 제2 토출안내홈(122b) 그리고 그 제2 토출안내홈(122b)에 설치되는 제2 토출밸브(182)를 하부베어링(120)에 형성하는 것이 축수부 침범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실린더(130)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외측 실린더부(131)와, 외측 실린더부(131)의 내측에 압축공간(V)을 이루도록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내측 실린더부(132)와, 외측 실린더(131)와 내측 실린더부(132) 사이를 반경방향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을 각각의 흡입실과 압축실로 분리하는 베인부(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인부(133)는 후술할 제1 흡입구(131b)와 제1 토출구(11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실린더부(131)는 그 외주면이 케이싱(1)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용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외측 실린더부(131)의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베어링(110)과 하부베어링(120) 사이에서 볼트(B1)로 체결되는 것이 실린더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외측 실린더부(131)의 일부는 케이싱(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돌출고정부(131a)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돌출고정부(131a)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 압축공간(V1)에 연통되는 제1 흡입구(13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31b)에는 어큐뮬레이터(5)에 연결되는 냉매흡입관(1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실린더부(131)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부베어링(110)과 하부베어링(120)에 밀착되는 높이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체결구멍(131c)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체결구멍(131c)의 사이에는 토출유로(F)를 이루는 복수개의 토출안내구멍(131d)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실린더부(132)는 그 중심부에 크랭크축(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축구멍(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실린더부(132)의 축구멍(132a)의 중심은 크랭크축(23)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실린더부(132)는 그 높이(H2)가 외측 실린더부(131)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 실린더부(132)의 하면은 하부베어링(120)에 접하도록 외측 실린더부(131)의 하면과 같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반면 상면은 후술할 롤링피스톤(140)의 구동전달부(142)가 상부베어링(110)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30)는 그 실린더(130)의 외측 실린더부(131)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31c)을 통해 상부베어링(110)의 체결구멍(112b)과 하부베어링(120)의 체결구멍(122b)에 볼트(B1)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베인부(1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실린더부(131)의 내주면과 내측 실린더부(132)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인부(133)의 상면에는 후술할 롤링피스톤(140)의 구동전달부(142)가 내측 실린더부(132)와 베인부(133)의 일부를 복개하여 얹히도록 단차부(13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연결단(133b)에서 단차부(133a)까지를 제1 베인부(135)라고 하고 내측 연결단(133c)에서 단차부(133a)까지를 제2 베인부(136)라고 할 때, 제1 베인부(135)의 축방향 높이는 외측 실린더부(131)의 축방향 높이(H1)와 동일한 높이로, 제2 베인부(136)의 축방향 높이는 내측 실린더부(132)의 축방향 높이(H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인부(135)의 반경방향 길이(L1)는 후술할 부시홈(145)의 내경(또는 롤링부시의 외경)(D3)보다 크지 않게,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단차부(133a)에 의해 외측 실린더부(131)의 내주면과 롤링피스톤(140)의 외주면(또는 롤링부시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롤링피스톤(140)은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외측 실린더부(131)와 내측 실린더부(132)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부(141)와, 피스톤부(141)의 상단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크랭크축(23)의 편심부(23c)에 결합되는 구동전달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부(141)는 대략 사각 단면을 갖는 원형띠 모양의 환형으로 형성되고, 피스톤부(141)의 외경은 외측 실린더부(131)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피스톤부(141)의 외측에는 제1 압축공간(V1)이, 피스톤부(141)의 내경은 내측 실린더부(13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피스톤부(141)의 내측에는 제2 압축공간(V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부(141)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제1 흡입구(131b)와 제2 압축공간(V2)을 연통시키는 제2 흡입구(141a)가 형성되고, 제2 흡입구(141a)의 일측, 즉 제2 흡입구(141a)와 하부베어링(120)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122a)의 사이에는 베인부(133)가 후술할 롤링부시(140)를 사이에 두고 관통하여 미끄러지게 삽입되도록 부시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시홈(145)은 대략 원형 모양이나 그 부시홈(145)의 반경방향으로 베인부(133)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피스톤부(141)의 외주면과 내주면에서 불연속면으로 된 외측 개구면(145a)과 내측 개구면(145b)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시홈(145)의 반경방향으로는 베인부(133)가 삽입되고, 베인부(133)의 좌우 양측에는 롤링부시(170)의 흡입측 부시(171)과 토출측 부시(172)가 각각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링부시(170)는 평평한 면이 베인부(133)의 양쪽 측면에 각각 미끄러지게 접하고 둥근 면이 부시홈의 주면에 미끄러지게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동전달부(142)는 크랭크축(23)의 편심부(23a)가 결합되도록 편심부 구멍(142a)을 갖는 환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전달부(142)의 편심부 구멍(142a) 주변, 즉 구동전달부(142)의 상측면에는 상부베어링(110)의 베어링면과의 사이에 배압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와 넓이를 갖는 단차홈(142b)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차홈은 상부베어링(110)의 축방향 베어링면(112c)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22c는 토출유로를 이루는 관통구멍, 181은 제1 토출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전동부(2)의 코일(C)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자(22)가 크랭크축(23)과 함께 회전을 하면, 크랭크축(23)의 편심부(23c)에 결합된 롤링피스톤(140)이 상부베어링(110)과 하부베어링(1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베인부(133)에 안내되어 외측 실린더부(131)와 내측 실린더부(132)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을 번갈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10의 (a)와 (b)에서와 같이 롤링피스톤(140)이 외부 실린더부(131)의 제1 흡입구(131b)를 개방하면 그 제1 흡입구(131b)를 통해 냉매가 제1 압축공간(V1)의 흡입실로 흡입되어 롤링피스톤(140)의 선회운동에 의해 제1 압축공간(V1)의 압축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고, 이 냉매는 도 10의 (c)와 (d)에서와 같이 제1 토출밸브(181)를 열고 제1 토출구(112a)를 통해 토출커버(15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베인부(133)의 상면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지만 롤링부시(170)에 의해 제2 압축공간(V2)의 흡입실과 압축실이 차단되어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도 10의 (c)와 (d)에서와 같이, 롤링피스톤(140)이 제2 흡입구(141a)를 개방하면 제1 흡입구(131b)와 제2 흡입구(141a)를 통해 냉매가 제2 압축공간(V2)의 흡입실로 흡입되어 롤링피스톤(140)에 의해 제2 압축공간(V2)의 압축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고, 이 냉매는 도 10의 (a)와 (b)에서와 같이 제2 토출밸브(182)를 열고 제2 토출구(122a)를 통해 하부챔버(160)로 토출되며, 이 냉매는 토출유로(F)를 통해 토출커버(15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였다가 케이싱(1)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일련이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130)가 고정되고 그 실린더(130) 안쪽에서 롤링피스톤(140)이 선회운동을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겁고 큰 실린더가 회전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동일 냉력 대비 동력 손실이 작고, 베어링 면적이 좁아 그만큼 냉매가 누설될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실린더(130)가 고정되고 롤링피스톤이 선회운동을 하는 한편 외측 실린더부(131)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고정부(131a)가 형성되어 케이싱(1)의 내주면과 실린더(130)의 외주면 사이에 여유공간(S)이 형성됨에 따라, 그 여유공간(S)을 이용하여 실린더(130)의 직경을 확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린더(130)의 용적을 용이하게 확대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제1 토출구(112a)와 제2 토출구(122a)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토출되는 냉매가 서로 완충되어 맥동 현상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롤링피스톤의 구동전달부가 피스톤부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도 11에서와 같이 롤링피스톤(140)의 구동전달부(142)가 피스톤부(141)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전달부(142)가 피스톤부(141)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제1 토출구(122d)는 하부베어링(120)에, 제2 토출구(112d)는 상부베어링(1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2 토출구(112d)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 그 제2 토출구(112d)가 상부베어링(110)의 축수부(111) 외주면과 간섭되어 상부베어링(110)의 축수부(111) 외주면 일부를 침범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서와 같이 제2 토출구(112d)는 상부베어링(110)의 축수부(111) 밖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1실린더-2압축실 방식의 로터리 압축기는, 구동전달부(142)가 피스톤부(141)의 하단에 형성됨에 따라 롤링피스톤(140)과 하부베어링(120) 사이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구동전달부(142)가 피스톤부(141)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피스톤부(141)의 하면이 롤링피스톤(140)의 무게 전체를 받지만 그 피스톤부(141)의 하면이 적정한 실링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피스톤부(141)의 하면에 단차홈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피스톤부(141)의 하면과 하부베어링(120)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을 줄이기가 난해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피스톤부(141)의 하단에 구동전달부(14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구동전달부(142)의 하면에 단차홈(142b)을 형성하여 마찰면적이 확대되지 않으면서도 단차홈(142b)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배압력에 의해 롤링피스톤(140)이 부상하면서 마찰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1 : 케이싱 2 : 전동부
23 : 크랭크축 23c : 편심부
100 : 압축부 110 : 상부베어링
112a : 제1 토출구 120 : 하부베어링
122a : 제2 토출구 122b : 제2 토출안내홈
122c : 관통구멍 130 : 실린더
131 : 외측 실린더부 131a : 돌출고정부
131b : 제1 흡입구 132 : 내측 실린더부
133 : 베인부 133a : 단차부
140 : 롤링피스톤 141 : 피스톤부
142 : 구동전달부 145 : 부시홈
V1,V2 : 외측, 내측 압축공간

Claims (9)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도록 각각 축수부를 갖는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결합되고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가 베인부로 연결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및
    상기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사이에서 상기 베인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을 외측 압축공간과 내측 압축공간으로 분리하는 롤링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의 축수부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내측 토출구는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중에서 축수부의 외경이 작은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링 플레이트의 축수부 내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토출구는 상기 축수부의 내경이 작은 쪽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외측 토출구는 상기 내측 토출구가 형성되는 베어링 플레이트와 다른 쪽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
  4.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도록 각각 축수부를 갖는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고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가 베인부로 연결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및
    상기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사이에서 상기 베인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을 외측 압축공간과 내측 압축공간으로 분리하는 롤링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외측 토출구와 상기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내측 토출구가 각각 서로 다른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의 축수부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내측 토출구는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중에서 축수부의 외경이 작은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의 축수부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압축공간에 연통되는 내측 토출구는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 플레이트 중에서 축수부의 외경이 큰 베어링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토출구는 출구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축기.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피스톤은,
    상기 외측 실린더부와 내측 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에 결합되는 구동전달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부는,
    상기 외측 압축공간의 흡입실과 압축실을 분리하는 제1 베인부; 및
    상기 내측 압축공간의 흡입실과 압축실을 분리하는 제2 베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베인부의 높이와 제2 베인부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압축기.
KR1020120157286A 2012-12-28 2012-12-28 압축기 KR20140086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286A KR20140086597A (ko) 2012-12-28 2012-12-28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286A KR20140086597A (ko) 2012-12-28 2012-12-28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597A true KR20140086597A (ko) 2014-07-08

Family

ID=5173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286A KR20140086597A (ko) 2012-12-28 2012-12-28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5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623B1 (ko) 압축기
US20030108438A1 (en) Compressor
KR101637446B1 (ko) 로터리 압축기
EP1975413A1 (en) Multi stage rotary compressor
KR20100036130A (ko) 크랭크축 및 이를 적용한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101667710B1 (ko) 로터리 압축기
JP2009002298A (ja) ロータリ圧縮機
KR20140086552A (ko) 압축기
KR101970528B1 (ko) 압축기
US11326605B2 (en) Dual cylinder rotary compressor with intermediate plate that flows both cylinders to the muffler
KR101978960B1 (ko) 압축기
KR101587174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587170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462935B1 (ko)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101549863B1 (ko)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20140086482A (ko) 압축기
KR20140086542A (ko) 압축기
KR20140086597A (ko) 압축기
KR20140086544A (ko) 압축기
KR20140086511A (ko) 압축기
KR20140086606A (ko) 압축기
JP4024056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101984514B1 (ko) 압축기
KR20140086598A (ko) 압축기
KR100585810B1 (ko) 이중 셀을 구비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