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291A -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291A
KR20140086291A KR1020120156598A KR20120156598A KR20140086291A KR 20140086291 A KR20140086291 A KR 20140086291A KR 1020120156598 A KR1020120156598 A KR 1020120156598A KR 20120156598 A KR20120156598 A KR 20120156598A KR 20140086291 A KR20140086291 A KR 2014008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cheduling
base station
cell
frequency se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범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291A/ko
Publication of KR2014008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진행시 가입자마다 서로 다른 RF(radio frequency) 품질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는, 기지국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며,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SUBCARRIER SCHEDULING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진행시 가입자마다 서로 다른 RF(radio frequency) 품질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해 셀(cell) 구조를 갖는다. 셀이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구역을 의미한다. 다중 접속 시스템(multiple access system)은 일반적으로 다중 셀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셀 내에는 기지국을 설치하여 단말기를 중계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알고리즘은 모든 가입자들을 동일하게 처리하여 10MHz 대역폭(bandwidth)의 600개 부반송파(subcarrier)들 중 가용한 것들을 모든 가입자들에게 동일하게 할당한다.
도 1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확인을 위한 장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종래의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신호 발생기(SG: sigal generator)를 기지국(eNB)과 사용자 단말(UE) 사이의 링크에 연결하고 특정 부반송파 대역에 AWGN(addictive white gaussian noise)을 인가하면 기지국(eNode-B)은 잡음(noise)이 섞인 부반송파(subcarrier) 대역을 피해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처리량(throughput)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동일한 셀(cell) 내에서도 부반송파(subcarrier)의 상태가 전계의 세기 즉, 강전계/중전계/약전계 별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용자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특정 부반송파 들은 최소한 강전계에서는 사용할 수 있음에도 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 가능한 스케줄링 자원이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06192호 (2001.01.26. 공개)
본 발명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진행시 가입자마다 서로 다른 RF(radio frequency) 품질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는, 기지국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를 포함하되, 스케줄링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및 기지국 간의 트래픽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은, a) 기지국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 상태에 적합하도록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무선 자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기지국 전체의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확인을 위한 장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 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셀 경계(cell edge) 지역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에 해당하는 부반송파(subcarrier) 들을 최적(best)으로 할당하고, 셀 중앙(cell center)에 위치한 사용자(user)들은 비교적 모든 부반송파가 실질적으로 양호하므로 셀 경계 지역에서 스케줄링하고 남은 부반송파들을 집중 스케줄링한다. 즉, 기존의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향상시켜 강전계에 위치한 가입자에게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반송파를 할당하여 스케줄링 자원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실시하여 10MHz 대역(band)에 있는 600개의 부반송파 중에서 일정 임계값(threshold) 이상의 RF 품질이 양호한 것들만 약전계 가입자에게 할당하고, 그 밖의 나머지 부반송파들에게는 강전계에 위치한 가입자에 할당하여 개선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실시한다. 기지국은 각 부반송파들의 RF 품질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며, 각 부반송파들의 RF 품질 정보는 간섭값(interference value),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등을 기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또는 향후 개발될 4G 등) 및 기지국(eNB)(20) 및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10)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셀(cell)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서로 다른 종류의 셀이 혼재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E)(10), 셀을 관리하는 기지국(eNB)(20), SON(Self Organizing & optimizing Networks) 서버(30) 및 MME(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셀은 독자적으로 코어망과의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20)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km 내외의 반경을 갖는 매크로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은 GSM망, CDMA망과 같은 2G 이동통신망, LTE망, WiFi망과 같은 무선인터넷망, WiBro망 및 WiMax망과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 단말기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인 관리 서버(OAM 서버)(50)는 기지국(20)의 구성 정보의 관리를 담당한다. 관리 서버(50)는 SON 서버(30) 및 MME(4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SON 서버(30)는 기지국 설치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기지국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ME(40)는 사용자 단말(10)의 호 처리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MME(40)는 기지국 제어기(BSC)의 기능을 수행하며, 자신에 연결된 기지국에 대하여 자원 할당, 호 제어, 핸드오버 제어, 음성 및 패킷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100)는 위치 추정부(110), 제어부(120) 및 스케줄링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1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20)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추정부(110)는 해당 기지국(20)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10)이 셀 경계에 위치하는지 또는 셀 중앙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로서, 위치 추정부(110)는 사용자 단말(10)이 기지국(20)으로 리포팅(reporting)하는 CQI(channel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CQI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셀 중앙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고, CQI가 소정 임계값 이하이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위치 추정부(110)는 각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20)으로부터 지리적으로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기지국(20)으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면 셀 중앙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기지국(20)으로부터 소정 반경을 벗어나는 지역에 위치하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추정부(11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셀 경계 또는 셀 중앙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추정 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20)는 위치 추정부(110)에서 판단한 사용자 단말(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10)이 기지국(20)으로 리포팅하는 CQI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CQI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부(130)를 제어하고, CQI가 소정 임계값 이하이면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스케줄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셀 경계에서 셀 중앙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을 중지하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스케줄링부(130)를 제어하고, 셀 중앙에서 셀 경계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스케줄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스케줄링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기지국(20)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10)에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케줄링부(130)는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고, 셀 중앙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스케줄링부(130)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할 경우 각 부반송파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품질을 갖는 부반송파에 대해서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우선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케줄링부(130)는 각 부반송파의 간섭값, RSRP, SINR 등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높은 품질을 갖는 부반송파부터 순차적으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에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케줄링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 및 기지국(20) 간에는 트래픽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multi user)가 특정 기지국에 접속하면(S110), 우선 기지국(20)의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 각각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기지국(20)으로 전송되는 CQI 또는 위치 등록 정보 등을 이용하여 추정한다(S120). 추정된 각 사용자 단말(10)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이 셀 경계에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0). 한편, 사용자 단말(10)이 셀 중앙에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제어하여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에는 상위 품질의 부반송파를 할당하고(S150), 셀 중앙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에는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에 할당하고 남은 부반송파를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0). 이후 사용자 단말(10)과 기지국(20)은 할당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트래픽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170).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eNB: 기지국 UE: 사용자 단말
SG: 신호 발생기 10: 사용자 단말
20: 기지국 30: SON 서버
40: MME 50: 관리 서버
100: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110: 위치 추정부
120: 제어부 130: 스케줄링부

Claims (17)

  1.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로서,
    기지국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고, 셀 중앙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링부를 더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할 경우 상기 부반송파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품질의 부반송파로부터 순차적으로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우선 할당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정보는,
    간섭값(interference value),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을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리포팅하는 CQI(channel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CQI가 임계값 이상이면 셀 중앙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CQI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리적 이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면 셀 중앙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반경을 벗어나는 지역에 위치하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셀 경계 또는 셀 중앙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리포팅하는 CQI(channel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CQI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고려하여 셀 경계에서 셀 중앙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을 중지하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셀 중앙에서 상기 셀 경계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
  10.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반송파 스케줄링 장치를 포함하되,
    스케줄링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및 기지국 간의 트래픽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a) 기지국이 관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고, 셀 중앙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은,
    상기 부반송파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품질의 부반송파로부터 순차적으로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우선 할당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리포팅하는 CQI(channel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CQI가 임계값 이상이면 셀 중앙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CQI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리적 이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면 셀 중앙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반경을 벗어나는 지역에 위치하면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리포팅하는 CQI(channel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CQI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고려하여 셀 경계에서 셀 중앙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적용을 중지하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셀 중앙에서 상기 셀 경계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부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KR1020120156598A 2012-12-28 2012-12-28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40086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98A KR20140086291A (ko) 2012-12-28 2012-12-28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98A KR20140086291A (ko) 2012-12-28 2012-12-28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291A true KR20140086291A (ko) 2014-07-08

Family

ID=5173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598A KR20140086291A (ko) 2012-12-28 2012-12-28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2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620A (ko) * 2017-02-13 2019-10-16 어펌드 네트웍스 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스, 인크. 공유 ran에서의 리소스 제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620A (ko) * 2017-02-13 2019-10-16 어펌드 네트웍스 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스, 인크. 공유 ran에서의 리소스 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53B1 (ko) 클라우드 기반 사이드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및 이를 위한 기지국 인터페이스
JP523155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再選択
US929496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allocate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55544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arrier measurement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2082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2827653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2175362A1 (en) Performing measurements in a digital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EP3187013B1 (en) Methods and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97572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KR2010009693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20220256558A1 (en) Sharing of radio resources between mtc and non-mtc using sharing patterns
CN112105059B (zh) 分流方法和分流控制的基站
CN102577472B (zh) 无线通信系统、基站、无线通信方法及存储介质
JP2010147906A (ja) 混雑度に応じた異種無線システムの切替方法、無線端末及びプログラム
WO2014124740A1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hetnet
KR20140086291A (ko) 부반송파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EP2782390B1 (en) Cell handover method and base station
KR102053113B1 (ko) 동적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080303B1 (ko) 서빙 eNB와 이를 이용한 동적 자원 할당 방법
KR102050926B1 (ko) 가입자 분포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4449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스케줄링 방법 및 기록 매체
Laine Performance Management o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CN116599637A (zh) 一种上行物理共享信道的波形切换方法和系统
EP2627028A1 (en) Resource allocation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KR101539618B1 (ko) 유틸리티 함수 기반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