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176A -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176A
KR20140086176A KR1020120156349A KR20120156349A KR20140086176A KR 20140086176 A KR20140086176 A KR 20140086176A KR 1020120156349 A KR1020120156349 A KR 1020120156349A KR 20120156349 A KR20120156349 A KR 20120156349A KR 20140086176 A KR20140086176 A KR 2014008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portable device
housing
termi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호
김헌성
서문규
김광성
탁승식
홍대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176A/ko
Publication of KR2014008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휴대용 기기의 도킹 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복수의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가 택일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에 접속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 종류의 휴대용기기에 대해 호환이 가능한 도킹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이를 갖춘 외부 전자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종류의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기기의 도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제작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를 말하며, MP3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및 휴대용 단말기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휴대용 기기만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요구되는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 감상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에 있어서도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소형화된 기기 내에서는 고용량, 고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스피커 장치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기기 자체가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설치되는 저장 매체의 용량이 제한되어 대용량의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근래에는 휴대용 기기의 충전과 동시에 외부스피커 장치,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도킹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휴대용 기기의 종류마다 커넥터의 크기와 형상이 다르고, 이러한 휴대용 기기에 대해 한 종류에 대해서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도킹장치가 마련되어, 타 휴대용 기기에 대해서는 호환이 가능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종류에 대해 도킹을 할 수 있는 도킹 장치를 마련하여, 하나의 외부 전자장치에 대해 여러종류가 호환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킨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복수의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가 택일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에 접속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의 일단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택일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는 90도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에 고정된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가 택일적으로 휴대용기기의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일정한 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2안착부는 제1안착부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듀얼단자부는 상기 회동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휴대용 기기와 전기적신호를 교환 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는 복수 종류의 휴대용기기에 대해 호환이 가능한 도킹장치를 마련하여, 전원공급 및 외부 전자장치에 대한 접속에 대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가 구비된 외부 전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의 내부구조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가 구비된 외부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외부 전자장치(10)는 외부 스피커 장치, 외장 하드 디스크등 한정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스피커 장치에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15)의 도킹장치(20)를 설명한다.
도킹장치(20)는 외부 전자장치(10)에 휴대용 기기(15)를 도킹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킹 장치의 구비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외부 전자장치(10) 상에 구비되거나, 일측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는 외부 스피커 장치에 일측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의 내부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킹장치(2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상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0)은 도킹장치(2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휴대용 기기(15)를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하우징(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상면이 지면과 평행해도 되고, 기울어 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30)의 상면에는 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31)를 통해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5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하우징(30)의 상면 내측에는 회동부(52)의 양단이 배치될 수 있도록, 회동부안착부(32)가 마련된다. 회동부안착부(32)는 회동부(52)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크도록 내경이 구비되어, 회동부(52)가 회동부안착부(32)상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회동부(52)의 회전을 통해 복수의 접속단자(54)가 택일적으로 각각의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가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30)의 상면과 일정각도를 이루게 된다.
접속단자부(50)는 복수의 휴대용기기에 대해 택일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우징(30) 상에 구비된다. 접속단자부(50)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0)의 상면에 개구(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나, 그 배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단자부(50)는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동부(52)와, 회동부(52)에 결합되어, 복수의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접속단자(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회동부(52)는 회전가능하도록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회동부(5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이 지지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부(52a)와 복수의 접속단자(54)가 결합, 구비되는 접속단자결합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부(52)의 양단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회동지지부(52a)는 회동부안착부(32)에 배치된다. 회동안착부(32)는 회동지지부(52a)의 양단이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회동안착부(32)는 회동지지부(52a)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동지지부(52a)의 외경만큼 홀이 구비되도록 구비된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동안착부(32)는 하우징(30)의 개구(31)의 하단에 배치되어 하우징(30)내부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회동지지부(52a)는 회동부안착부(32)에 배치되어, 회동부(52)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회동부(52)가 회동부안착부(3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회동부(5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자결합부(52b)는 하우징(30)의 개구(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접속단자결합부(52b)는 복수의 접속단자(54)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복수의 접속단자(54)는 접속단자결합부(52b)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접속단자(54)는 개수를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복수의 접속단자(54)는 종류가 다른 휴대용 기기(15)의 형상이 상이한 커넥터가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접속단자(54a)는 하우징(30)의 전면쪽에 배치되는 접속단자이고, 제2접속단자(54b)는 제1접속단자(54a)의 뒤쪽으로 배치되는 접속단자이다.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는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결합하여, 휴대용 기기(15)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거나, 도킹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장치(10)에 대해 전기적신호를 교환하도록 구비된다.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는 회동부(52)의 접속단자결합부(52b)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접속단자(54)의 일단은 접속단자결합부(52b)에 회동부(52) 축방향에 일치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접속단자(54)의 타단은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의 이격되는 정도는 90도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 정도를 통해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 시, 접속된 휴대용 기기(15)의 하단이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 중 어느 하나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제1안착부(34)와, 제2안착부(36)를 포함한다. 제1안착부(34)와 제2안착부(36)는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 중 어느 하나가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시에 다른 하나는 하우징(30)의 상면보다 상측과 동일하거나 낮게 배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 시, 접속된 휴대용 기기의 하단이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제1안착부(34)와 제2안착부(36)는 회동부(52)를 중심으로 하우징(30)의 상면에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제1안착부(34)는 하우징(30)의 상면에 대해 제1접속단자(54a)의 두께만큼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동부(52)에 고정된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가 택일적으로 접속가능상태가 되도록 하우징(30)의 상면과 일정한 각을 유지하기 위해, 제2안착부(36)는 제1안착부(34)보다 하우징(30) 상면에 대해 더 오목하게 형성된다. 오목한 정도는 접속단자(54)의 두께, 하우징(30)의 상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 접속단자(54)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등에 영향을 받아 달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는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세워질 때, 지면과 하우징(30)의 상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회동부(52)의 일단에는 외부에서 회동부(52)를 회전조작 가능하도록 조작부(70)가 마련된다. 조작부(70)는 회동부(52)의 일단과 결합되고, 몸체는 절곡되어, 타단은 회동부(52)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조작부(70)의 타단은 하우징(30)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조작부(70)의 타단은 하우징(30)의 측면에 구비된 조작부이동레일(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조작부이동레일(40)은 조작부(70)의 타단이 회동부(52)의 회전에 따라 원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호형상으로 구비된다.
하우징(30)의 내측에는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54)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 전기장치와 전기적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72)가 구비된다. 전원단자(72)는 회동부(52)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회동부(52)의 단부와 연결되어 접속단자(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회동부(52)의 접속단자결합부(52b)에 연결되어 접속단자(54)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원단자(72)의 배치는 접속단자(54)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으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휴대용 기기(15)의 도킹장치(20)의 동작에 관해 기술한다.
외부 전자장치(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휴대용 기기(15)의 도킹장치(20)에 휴대용 기기(15)가 거치된다. 자세하게는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도킹장치(20)의 접속단자(54)를 접속시켜 거치시킨다. 도킹장치(20)의 하우징(3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동부(52)에는,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가 구비된다. 회동부(52)의 일측에 마련되는 조작부(70)에 의해 회동부(52)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는 회동부(5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2는 제2접속단자(54b)가 해당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가능하도록 세워진 상태이고, 도 3은 제1접속단자(54a)가 해당 휴대용 기기(15)의 커넥터와 접속가능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제1접속단자(54a)와 제2접속단자(54b)에 대해 택일적으로 하나의 접속단자(54)를 세우도록 회전시켜 해당 접속단자(54)에 해당하는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를 결합, 접속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는 제1안착부(34), 제2안착부(36) 중 하나에 안착이 되어, 하우징(30)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전원단자(72)는 회동부(52)의 일측에 연결되고, 나아가 접속단자(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 또는 전기적 신호의 교환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외부 전자장치 15 : 휴대용기기
20 : 도킹장치 30 : 하우징
32 : 회동부안착부 34 : 제1안착부
36 : 제2안착부 40 : 조작부이동레일
50 : 접속단자부 52 : 회동부
52a : 회동지지부 52b : 접속단자결합부
54 : 접속단자
70 : 조작부 72 : 전원단자

Claims (8)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복수의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가 택일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에 접속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의 일단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따라 택일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는 90도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에 고정된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가 택일적으로 휴대용기기의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일정한 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2안착부는 제1안착부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단자부는
    상기 회동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기기의 커넥터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휴대용 기기와 전기적신호를 교환 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KR1020120156349A 2012-12-28 2012-12-28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KR20140086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349A KR20140086176A (ko) 2012-12-28 2012-12-28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349A KR20140086176A (ko) 2012-12-28 2012-12-28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76A true KR20140086176A (ko) 2014-07-08

Family

ID=5173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349A KR20140086176A (ko) 2012-12-28 2012-12-28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1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3546A (zh) * 2014-07-28 2016-12-1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带有能旋转的多插头连接器的扩展坞
KR20170001257U (ko) * 2014-09-08 2017-04-11 애플 인크. 일체형 디바이스 지지 구조체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WO2019103622A1 (en) * 2017-11-27 2019-05-31 Customme As Charger for charging of a mobil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3546A (zh) * 2014-07-28 2016-12-1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带有能旋转的多插头连接器的扩展坞
EP3175517A4 (en) * 2014-07-28 2018-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king station with rotatable multi-plug connector
KR20170001257U (ko) * 2014-09-08 2017-04-11 애플 인크. 일체형 디바이스 지지 구조체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WO2019103622A1 (en) * 2017-11-27 2019-05-31 Customme As Charger for charging of a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845B2 (en) Docking station for media player
JP5841456B2 (ja) クレードル装置
KR102367586B1 (ko) 전자 장치
US20130335914A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JPWO2007111078A1 (ja) 卓上充電器ホルダ
US8811007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20150103483A1 (en) Detach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05176372A (ja) ディスプレイ位置可変型携帯用端末機及びその作動方法
US2008028698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Direction Rotation Connector
KR20140086176A (ko)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TW200406082A (en) Disassembling-type antenna apparatus
CN101094467B (zh) 具有铰链制动器的便携终端
US9584916B2 (en) Stereo microphone device
CN100411246C (zh) 移动通信终端的天线装置
US7136281B2 (en) Display an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CN209767757U (zh) 一种便携usb蓝牙音箱
KR101384652B1 (ko) 차량용 거치대
WO2012164526A1 (en) System for connecting a protable device to an apparatus, docking apparatus comprising said system
WO2019233080A1 (zh) 充电支架
CN100474095C (zh) 用于便携无线终端的照相机镜头部件
CN201860531U (zh) 便携式终端
CN112423170A (zh) 一种基于角度变换的音效可调式音响
US20110188221A1 (en) Extended player
CN215764255U (zh) 一种能用于展平打开的便携电子终端的运动机构
CN216280795U (zh) 一种便捷式补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