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382A -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382A
KR20140085382A KR1020140041233A KR20140041233A KR20140085382A KR 20140085382 A KR20140085382 A KR 20140085382A KR 1020140041233 A KR1020140041233 A KR 1020140041233A KR 20140041233 A KR20140041233 A KR 20140041233A KR 20140085382 A KR20140085382 A KR 20140085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erosol
main body
blo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868B1 (ko
Inventor
신준원
한정호
김삼곤
이창국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4004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8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는, 에어로졸발생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상저장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저장부는, 본체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발생부에 의해 에어로졸(aerosol)로 기화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 및 액체 수용부에 결합되어 에어로졸을 통과시키며, 에어로졸에 함유 가능한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며, 본체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 액체 수용부는 파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로부터 액상저장부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의 흡입 시 액상의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Cartridge and apparatus to inhale aerosol having the same}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로부터 액상저장부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의 흡입 시 액상의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최근 전기 발열 방식을 이용하여 니코틴 용액과 같은 용액을 증기화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실제로 다수의 사람들이 이를 통해 흡연하고 있으며, 그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부연 설명하면, 이러한 에어로졸 흡입장치는 농축액이 함유된 액체를 기화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분무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에어로졸발생부, 니코틴 용액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액상저장부, 액상저장부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마우스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저장부는 니코틴 용액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액체 수용부와, 액체 수용부의 액체가 기화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액상저장부는 배터리 및 에어로졸발생부 등이 내장되는 본체와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액체 수용부의 액체가 모두 소진된 경우 본체로부터 분리된 후 다른 액상저장부를 본체에 결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로졸 흡입장치에 있어서는, 본체로부터 분리된 액상저장부를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임의의 물질을 액상저장부에 넣을 수 있어 오남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액체 수용부의 액체가 완전히 기화되지 않음으로 인해 액상의 물질이 경로 형성부로 유출될 수 있는데, 이 때 액상이 경로 형성부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액상이 마우스피스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이질감,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액상저장부의 재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기화되지 않은 액상의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새로운 액상저장부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로부터 액상저장부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액체 수용부의 액체 중 완전히 기화되지 못하고 에어로졸에 함유되는 액상의 물질 또는 응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액상의 물질을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의 격막 구조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흡입에 따른 이질감,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는, 에어로졸발생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상저장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로서, 상기 액상저장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에어로졸발생부에 의해 에어로졸(aerosol)로 기화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통과시키며, 상기 에어로졸에 함유 가능한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는 파쇄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로부터 액상저장부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의 흡입 시 액상의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벽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벽에는 상기 액체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되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걸림홈을 형성하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선단 부분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파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본체의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정도가 증가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돌기의 선단은 상기 본체의 내벽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액체 수용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 파쇄됨으로써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액체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결합되는 중공의 경로몸체; 상기 경로몸체의 내벽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격벽; 및 상기 저지격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저지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지격벽 또는 상기 저지돌기에 의해 저지된 상기 액상의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저지격벽의 일측에서 상기 경로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액상 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는, 에어로졸발생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로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에어로졸발생부에 의해 기화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의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벽에 형성된 걸림부재에 걸림 결합되는 피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걸림부재에 상기 피걸림부재가 걸려 상기 액체 수용부가 파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로부터 액상저장부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이며, 상기 액체 수용부에 형성된 상기 피걸림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 가능한 홈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는, 에어로졸발생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로서, 상기 에어로졸발생부에 의해 기화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통과시키며, 상기 에어로졸에 함유 가능한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경로몸체; 및 상기 경로몸체의 내벽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격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액체 수용부의 액체 중 완전히 기화되지 못하고 에어로졸에 함유되는 액상의 물질 또는 결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액상의 물질을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의 격막 구조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흡입에 따른 이질감,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저지격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돌기; 및 상기 저지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지격벽 또는 상기 저지돌기에 의해 저지된 상기 액상의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저지격벽의 일측에서 상기 경로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액상 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로부터 액상저장부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수용부의 액체 중 완전히 기화되지 못하고 에어로졸에 함유되는 액상의 물질 또는 응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액상의 물질을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의 격막 구조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흡입에 따른 이질감,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가 구비된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에서 액체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에서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가 구비된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100)는, 배터리(미도시)와 에어로졸발생부(111) 등이 내장되는 본체(100)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 실시예의 액상저장부(120)와, 액상저장부(120)이 일측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피스는 액상저장부(12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본체(110)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그 내부 공간에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고 그 선단부에는 흡입 동작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 다이오드(미도시) 또는 흡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내부 공간에는 제어부인 전자칩(미도시)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고, 또한 흡입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미도시)는 재충전이 가능한 폴리머 리튬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후단부에는 에어로졸발생부(111)가 내장된다. 이러한 에어로졸발생부(111)는 액상저장부의 액체 수용부(130)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어로졸발생부(111)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액체 수용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발열체의 발열 작용에 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액상저장부(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액상저장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본체(110)에 액상저장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액상저장부(120)의 액체 수용부(130)는 에어로졸발생부(111)와 인접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120)의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Ⅱ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에서 액체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에서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단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120)는, 본체(110)의 후단부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본체(110)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부(130)와, 액체 수용부(130)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결합되며 증기화화된 에어로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액체 수용부(130)는, 대략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향미 용액, 예를 들면 니코틴 용액과 액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수용부(130)로부터 액체가 에어로졸발생부(111) 방향으로 제공되고 액체가 에어로졸로 발생된 후 후술할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액체 수용부(130)의 액체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액상저장부(120)는 본체(110)로부터 분리된 후 다른 액상저장부(120, 액체가 수용된 새로운 액상저장부(120)를 본체(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흡입장치(100)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액체 수용부가 리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임의의 물질을 액체 수용부에 리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체의 오남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액체 수용부(130)는 본체(110)로부터 분리 시 파쇄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액체의 오남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본체(110)의 후단부의 내측벽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2)가 구비되고, 액체 수용부(130)의 외벽에는 걸림돌기(112)에 걸림 되는 걸림홈(131)이 구비된다. 본체(110)의 후단부에 액체 수용부(130)가 결합되면, 본체(110)의 걸림돌기(112)에 액체 수용부(130)의 걸림홈(131)이 걸리게 된다.
그런데, 반대로 본체(110)로부터 액체 수용부(130)를 분리시킬 때 걸림홈(131)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부(130)의 선단 플레이트(136)가 걸림돌기(112)에 걸림으로써 본체(110)로부터 액체 수용부(13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없으며, 이에 힘을 가하여 액체 수용부(130)를 본체(110)로부터 빼내는 경우 걸림돌기(112)에 액체 수용부(130)의 선단 플레이트(136)가 걸려 결국 액체 수용부(130)로부터 선단 플레이트(136)가 분리되게 된다.
즉, 액체 수용부(130)가 부분적으로 파쇄됨으로써 액체 수용부(130)의 내부가 노출되며 이로 인해 다른 액체를 액체 수용부(130)에 리필하더라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110)로부터 액체 수용부(130)를 분리시킬 때 액체 수용부(130)가 파쇄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12) 및 걸림홈(131)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걸림돌기(112)는, 본체(110)의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본체(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정도가 증가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걸림돌기(112)의 선단(112a)은 본체(110)의 내벽에 대해 직각 구조를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체 수용부(130)는 본체(110)의 후단부에 삽입될 때, 경사진 걸림돌기(112)를 따라서 본체(110) 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며, 액체 수용부(130)가 본체(110) 내로 삽입이 완료되면 걸림돌기(112)에 걸림홈(131)이 걸릴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131) 역시 걸림돌기(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걸림돌기(112)에 걸림홈(131)이 걸릴 시 걸림돌기(112)의 선단(112a)과 걸림홈(131)을 형성하는 선단 플레이트(136)의 일부분이 접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돌기(112) 및 걸림홈(131)의 구조에 의해, 본체(110) 내로 액체 수용부(130)의 인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만 반대로 본체(110)로부터 액체 수용부(130)의 분리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액체 수용부(130)의 파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 액체 수용부(130)에서 선단 플레이트(136)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플레이트(136)와 액체 수용부(130)의 주요 몸체(135)가 연결되는 부분(137)은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0)로부터 액체 수용부(130)를 분리할 때 액체 수용부(130)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흡입장치(100)의 본체(110)로부터 액상저장부(120)를 분리할 때 액체가 수용된 액체 수용부(130)가 파쇄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상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는, 에어로졸발생부(111)에 의해 무화된 에어로졸의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측은 액체 수용부(130)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마련되고 타측은 마우스피스와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를 지나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에어로졸발생부(111)의 에어로졸 발생된 결과 모든 액체가 에어로졸로 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액상으로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 내에서 응축에 의해 액상의 물질이 발생되어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를 따라 에어로졸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액상의 물질이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를 지나 사용자에게 흡입되는 경우 이질감 및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 내에서 액상의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는 액상 저지를 위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수용부(130)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결합되는 중공의 경로몸체(151)와, 경로몸체(151)의 내벽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액상의 물질을 제거하는 저지격벽(152)과, 저지격벽(152)의 상부에서 본체(110)의 선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돌기(153)와, 저지격벽기(152)의 하측에 구비되어 액상의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 물질(154a)이 수용된 흡수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지격벽(152)은 끝단이 흡수부재(154)가 있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형상을 갖되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저지격벽(152)의 면을 따라 에어로졸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액상의 물질의 경우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저지격벽(152)으로부터 흡수부재(154)로 낙하되어 흡수부재(154)의 흡수 물질(154a)에 흡수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재(154)의 입구 부분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짐으로써 액상의 물질의 흡수부재(154)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옮겨질 수 있다.
한편, 저지격벽(152)의 사이를 통과한 에어로졸은, 상부에 배치된 V자 형상의 저지돌기(153)에 의해 양측으로 갈라진 후 마우스피스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에 여전히 액상의 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액상의 물질은 저지돌기(153)에 부딪힌 후 저지격벽(152)의 상부벽을 따라 흡수부재(154)로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저지격벽(152)의 상부벽 역시 내측으로 경사진 유선형을 가짐으로써 액상의 물질의 낙하는 물론 에어로졸의 경우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저지격벽한편,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120)는 외부 조건에 따라 응축물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 내에서 액상의 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는, 저지격벽(152)의 일측(마우스피스 방향)에서 경로몸체(15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응축 등에 의해 액화된 액상의 물질의 이동을 저지하는 액상 저지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저지부재(155)는 액상의 물질을 일시적으로 가둘 수 있는 측벽 구조로 마련되며, 액상 저지부재(155)에 부딪힌 액상의 물질은 저지격벽(152)을 따라 흡수부재(154)로 이동하여 흡수부재(154)의 흡수 물질(154a)에 흡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는, 액체 수용부(130)의 액체 중 완전히 기화되지 못하고 에어로졸에 함유되는 액상의 물질 또는 응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액상의 물질을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의 격막 구조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흡입에 따른 이질감,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150)의 격막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격막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220)의 액체 수용부(230)는 본체(210)에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는데, 본체(210)로부터 액체 수용부(230)가 분리될 때 액체 수용부(230)가 파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210)의 내측에는 걸림부재(212)가 구비되고, 액체 수용부(230)의 외벽에는 피걸림부재(231)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걸림부재(212)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피걸림부재(231)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홈 형상의 걸림부재(212)는 후단이 본체(210)의 내벽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본체(210)의 선단으로 갈수록 홈 깊이가 얇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돌기 타입의 피걸림부재(231)는 걸림부재(2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체(210)에 대한 액체 수용부(230)의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만, 본체(210)에 대한 액체 수용부(230)의 분리는 걸림부재(212)와 피걸림부재(231)의 간섭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분리를 위해 외력을 가하는 경우 액체 수용부(230)의 파쇄, 액체 수용부(230)에 대한 선단 플레이트(236)의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210)에 대한 액체 수용부(230)의 결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반대로 본체(210)로부터 액체 수용부(230)를 분리시키는 경우 액체 수용부(230)가 파쇄됨으로써 액체 수용부(23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홈 및 돌기에 따른 걸림 구조에 의해 액체 수용부의 파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로부터 액체 수용부를 분리할 때 액체 수용부의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라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에어로졸 흡입장치 110 : 본체
112 : 걸림돌기 120 : 액상저장부
130 : 액체 수용부 131 : 걸림홈
150 :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 151 : 경로몸체
152 : 저지격벽 153 : 저지돌기
154 : 흡수부재 155 : 액상 저지부재

Claims (3)

  1. 에어로졸발생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발생부에 의해 기화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통과시키며, 상기 에어로졸에 함유 가능한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경로몸체; 및
    상기 경로몸체의 내벽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격벽;
    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저지격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저지돌기; 및
    상기 저지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지격벽 또는 상기 저지돌기에 의해 저지된 상기 액상의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경로 형성부는,
    상기 저지격벽의 일측에서 상기 경로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상의 물질을 저지하는 액상 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장치용 액상저장부.
KR1020140041233A 2014-04-07 2014-04-07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KR10150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233A KR101504868B1 (ko) 2014-04-07 2014-04-07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233A KR101504868B1 (ko) 2014-04-07 2014-04-07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10A Division KR101465846B1 (ko) 2012-12-27 2012-12-27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382A true KR20140085382A (ko) 2014-07-07
KR101504868B1 KR101504868B1 (ko) 2015-03-20

Family

ID=5173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233A KR101504868B1 (ko) 2014-04-07 2014-04-07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6855A (ja) * 2016-01-08 2019-03-1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無効化手段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構成要素
CN114468360A (zh) * 2016-12-16 2022-05-13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5503A1 (en) * 2018-08-17 2020-10-01 Shenzhen Relx Technology Co., Ltd. Vapor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53B1 (ko) * 2010-09-27 2011-01-28 신종수 전자담배
KR101222528B1 (ko) * 2010-12-28 2013-01-15 신종수 전자담배
KR20110006928U (ko) * 2011-06-10 2011-07-07 남동환 전자담배
KR200461081Y1 (ko) * 2012-05-25 2012-06-22 (주)잔티아시아 액상 역류방지구조를 갖는 전자담배용 카트리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6855A (ja) * 2016-01-08 2019-03-1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無効化手段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構成要素
US11864591B2 (en) 2016-01-08 2024-01-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ment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disabling mechanism
CN114468360A (zh) * 2016-12-16 2022-05-13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方法及装置
CN114468360B (zh) * 2016-12-16 2023-12-22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868B1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846B1 (ko)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US20220040423A1 (en) Mobile inhaler and a container for using therewith
EP3837999B1 (en) Mist inhaler devices
RU2714784C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ра
JP7234490B2 (ja) 蒸気供給システムのための液体保管タンク
RU2597531C2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с герметичным картриджем
EP4111889A1 (e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1430312B1 (ko)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KR101504868B1 (ko) 액상저장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로졸 흡입장치
KR101545767B1 (ko) 에어로졸 흡입장치
CN110709125B (zh) 具有可更换雾化器的气溶胶产生系统
KR20130003007U (ko) 액체 보충용기를 포함하는 무화기
US11266181B2 (en) Heating-type flavor inhaler
KR20100006995U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120025569A (ko) 기화 흡입 장치
KR101165778B1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101193644B1 (ko) 기화 흡입 장치
KR20090003871U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0443406Y1 (ko) 전자 담배
KR200467877Y1 (ko) 저장공간이 개선된 액상저장부를 갖는 전자담배.
KR101162683B1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110079592A (ko) 기화 흡입 장치
KR200467156Y1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200005159A (ko) 궐련형태 전자담배
KR20110079585A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