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680A -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680A
KR20140084680A KR1020120154388A KR20120154388A KR20140084680A KR 20140084680 A KR20140084680 A KR 20140084680A KR 1020120154388 A KR1020120154388 A KR 1020120154388A KR 20120154388 A KR20120154388 A KR 20120154388A KR 20140084680 A KR20140084680 A KR 2014008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information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7400B1 (en
Inventor
김의웅
김동철
김훈
김병삼
이세은
김상숙
김윤숙
김지영
이효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00B1/en
Publication of KR2014008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processing complex and a ri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rice processing complex including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polished rice and to a ri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To this end, the ri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drying storage center and a rice processing complex, wherein the rice processing complex includes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which stores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multiple types of warehoused or delivered rice classified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processing or the degree of processing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warehoused rice along with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ultiple storage tanks which store the multiple types of the rice by type; a quality measuring unit which stores the quality of the rice stored in the storage tank including rice bran;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nd transmits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nhulled rice among the multiple types of rice; multiple auto weigher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n entrance gate and an exit gate of each storage tank, detect the weight of the warehoused or delivered rice, and transmit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and rice information of the rice; and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ich matches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ice provided from the auto weigher with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stores the matched information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and manages the stored information.

Description

미곡종합 처리장 및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0002]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

미곡종합 처리장 및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미곡종합처리장 뿐만 아니라 도정된 쌀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미곡종합 처리장 및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processing plant and a ri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processing plant and a ri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quality of rice, as well as a rice processing plant.

일반적으로 벼농사의 형태는 크게 논벼 재배와 밭벼 재배로 나뉘는데 논에 물을 대고 농사를 짓는 논벼 재배가 여러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벼농사의 대부분은 수도작(水稻作)이며 밭벼 재배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In general, rice farming is largely divided into rice paddy cultivation and paddy rice cultivation. Most of the rice cultivation is rice paddy cultivation, and rice paddy cultivation is very rare because paddy rice cultivation that cultivates rice paddies is advantageous in many aspects.

한국의 벼농사는 보통 4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파종하여 9월 중순 또는 하순경이 성숙기가 되어 수확을 하게 된다. Rice farming in Korea is usually planted from the beginning of April to the middle of the year, and mid / late September is mature and harvested.

일반적으로 한 농가가 재배하는 벼농사 면적은 0.8 헥타르이고, 5.5톤의 벼를 재배한다. Generally, the farming area of one farm is 0.8 hectare, and 5.5 tons of rice is grown.

이와 같이 농가에 의해 수확된 벼들은 지역에 있는 건조저장시설에 반입되거나 미곡종합처리장에 반입되어 유통된다. Thus, the rice harvested by the farmers is brought into dry storage facilities in the area or brought into the rice processing plant and circulated.

여기서, 건조저장시설(DSC, Drying & Storage Center)은 농민들이 수확한 벼를 반입, 건조 및 저장만을 담당하는 곳이고,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는 반입, 건조, 저장 및 도정을 수행하는 곳이다. Here, the DSC (Drying & Storage Center) is the place where farmers harvest the rice harvested, dry and store only, and the RPC (Rice Processing Complex) It is a place to perform.

미곡종합처리장의 규모화 정책에 따라 시ㅇ 군별로 미곡종합처리장의 통합이 진행되고 있어 하나의 미곡종합처리장은 다수의 반입, 건조 및 저장시설을 보유하게 되어, 미곡종합처리장과 다수의 반입, 건조 및 저장시설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In accordance with the scale-up policy of the Mizoroku General Treatment Plant, the integration of the Mizoroku General Treatment Plant is progressing by city, and one Mizoguchi General Treatment Plant will have a large number of carry-in, dry and storage facilities. Comprehensive management including storage facilities became necessary.

종래 건조저장시설은 수확된 벼(수분이 24% 내외)를 투입구에 투입하고, 투입구에 반입된 벼들은 이송장치를 통해 조선기로 이동되어 1차 이물질이 선별된 후 호퍼스케일을 통해 반입된 중량 및 수분이 측정된다. Conventionally, dry storage facilities are used to feed the harvested rice (about 24% moisture) to the input port, and the rice carried into the inlet port is moved to the shipper through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rst foreign object is sorted, The moisture is measured.

이후, 반입된 벼를 건조시설로 이동시켜 수분이 24% 내외의 벼를 15% 내외로 건조시킨 후 사일로와 같은 저장시설에 저장하게 된다. Then, the transferred rice is moved to the drying facility, and the rice of about 24% moisture is dried to about 15% and stored in a storage facility such as a silo.

그러나 저장시설의 크기가 200~500톤 규모이기 때문에 하나의 저장탱크에는 다수의 농민이 수확한 벼들이 혼합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미곡종합처리장으로 이동되어 도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However, because the size of the storage facility is 200 to 500 tons, a single storage tank contains a mixture of rice harvested by a large number of farmers and is transport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where it is processed.

한편, 미곡종합처리장 주변의 농가들은 상기 건조저장시설을 거치지 않고 바로 미곡종합처리장에 수확한 벼를 반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farmers around the rice processing plant can import the rice harvested in the rice processing plant immediately without going through the drying and storing facility.

이와 같이 벼를 반입한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투입구과 배출구에 연류계가 설치되어 도정 과정 후 수율만을 계산하였다.
In this way, rice gardens were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rice paddy harvesting plant, and only yields were calculated.

한편, 사일로내의 곡물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여 곡물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고, 사일로에 곡물의 재고를 측정할 수 있는 재고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사일로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곡물자동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0560호, 2002년 06월 21일) 출원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ventory measuring device that can measure the exact temperature of the grain in the silo and manage the quality of the grain, and can measure the stock of grain in the silo, and the silo is automatically managed and operated remotely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280560, June 21, 2002), which is intended to provide an automatic grain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e grain size of rice grains.

도 1은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grain management apparatus of a conventional rice grain processing plan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는 벼 등의 곡물을 저장하는 사일로(10), 벼 등의 곡물의 중량을 측량하는 중량측정장치(30), 중량측정장치(30)와 연결되어 곡물의 재고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재고측정장치(40), 사일로(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기 등의 단위기계 장치들을 제어하는 단위기계제어장치(50), 사일로(10)에 저장되어 있는 벼 등의 곡물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는 곡온, 외기 측정장치(60), 및 재고측정장치(40), 단위기계제어장치(50), 곡온. 외기 측정장치(60)들과 연결되어 이들 각각의 장치들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도록 관리하는 종합관리장치(7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automatic grain management system of a rice processing plant includes a silo 10 for storing cereals such as rice, a weighing apparatus 3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cereals such as rice, a weighing apparatus 30, A unit control device 50 for controlling the unit mechanical devices such as a stirrer installed in the silo 10, a silo 10,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6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cereals such as rice, an outside air measuring unit 60, and an inventory measuring unit 40, a unit machine control unit 50, And an overall management device 70 connected to the ambient air measurement devices 60 to manage the respective devices in a comprehensive manner.

그러나,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에서는 단순히 사일로의 중량을 중량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하고 그 시일로에 저장된 곡물의 재고 관리만을 수행할 뿐 각 재배자별 곡물의 유통정보 및 품질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ast automatic grain management system of the rice processing plant, merely the weight of the silo is measured by the gravimetric apparatus and only the inventory management of the grain stored in the sealer is performed, and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the quality information of each grainman are provided There is no problem.

또한 미곡종합처리장은 건조저장시설에 의해 건조된 벼들을 반입받ㅇ 도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ice processing plant will carry out the process of importing the dried rice by the dry storage facility.

그러나 종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농민이 반입한 벼가 혼합되어 저장되거나 혼합되어 도정이 수행됨에 따라 해당 농민이 생산한 벼의 이력 추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y storage facility and rice processing pl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ce of the rice produced by the farmer can not be tracked because the rice mixed with the rice brought in by the farmer is stored or mixed.

그 뿐만 아니라, 종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도난에 대한 재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theft in the conventional dry storage facility and the rice gravel general treatment plant.

그 이유로 종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외부 경비업체에 위탁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실제로 저장된 벼가 도난되더라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For this reason, conventional dry storage facilities and rice processing plants are entrusted to and managed by an external security compan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method that can be confirmed even if the stored rice is stolen.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농민들이 수확한 벼를 건조, 저장 및 도정 시 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저장소의 입구 및 출구 게이트에 변화하는 중량을 검측하는 중량검측장치를 설치하고 그 중량 검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중량변화정보로부터 혼합되는 반입 벼를 구별하여 관리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 rice harvested by a plurality of farm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ce grain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an apparatus is installed and rice grain to be mixed is discriminated and managed from weight chan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eight detec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지역에 위치한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이 연계되어 반입된 벼가 관리됨으로써 포장되어 나가는 완제품에 정확한 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ccurate history management to be carried out on packaged products by managing the rice in which the dry storage facility located in the area is connect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반입 농가별 이력관리가 됨으로써 저장된 벼의 도난여부도 확인할 수 있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ri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stolen rice has been stolen by managing the history of rice according to the import farmhouse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반입되어 도정된 쌀의 잔존 미강 및 도정편차를 측정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measuring the rice germination and the deviation of rice grains brought in and harvest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반입되어 도정된 쌀의 단백질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measuring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of imported ri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을 포함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은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 정보, 반입된 미곡의 품질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을 각각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미곡의 잔존미강을 포함한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부,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 중에서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각각의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입고되거나 출구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미곡 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To accomplish this, in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dry storage facility and the rice processing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ce processing plant includes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ypes of rice rice,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kinds of music pieces for each type, a quality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quality including the remaining rice balls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nd receiving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ice from the plurality of types of rice cakes, a weigh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weight of rice balls installed in or discharged from the entrance gates and the exit gates of the respective storage tanks, A plurality of flow meters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balls and the rice information; And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ice balls provided from the circulation system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미곡종합처리장은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 정보, 반입된 미곡의 품질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을 각각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To this end, the rice processing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weight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imported rice, together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types of music in each type;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미곡의 잔존미강을 포함한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부,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 중에서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각각의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A quality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quality including remaining rice bran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receiving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ice from the plurality of kinds of rice bran, an inlet and an outlet for each of the storage tanks, A plurality of flow meters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rice to be received or delivered and delivering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And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weigh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rice balls provided from the culture system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은 각 공정별로 연류계를 설치하여 원료의 입고에서 부터 가공 공정 생산 출하 공정까지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installing a flow meter in each process and tracking the history from the receipt of the raw material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production and delivery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원료, 현미, 백미 연류계의 투입, 가공량을 저장 관리하여 도정 수율을 산출하며, 각 과정 별로 설치된 저장탱크의 품명과 재고량의 관리가 가능하며, 제품생산, 주문관리, 출고관리, 반품관리를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yield by storing and managing the input and processing amounts of raw materials, brown rice, and white rice floury, and can manage the name and inventory amount of the storage tank installed for each process, Management, and return management.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공정의 투입 가공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PC로 연류계를 제어할 수 있어 가공 운전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연류계 운전 상태를 PC 한곳에서 관리하게 됨으로 문제 발생 시 대응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input amount of each process in real time and control the flow meter by a PC, so that the processing operation can be made easy and simple,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low meter can be managed in one PC, Can have excellent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공정별 도정 수율이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가공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수기로 작성했던 보고서들을 전산화하여 미곡처리장 내에서 보고서 자료를 공유 작성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a product by monitoring the processing state by calculating the yield rate of each process in real time, and it is possible to computerize the reports written by hand, It is effective.

그리고 본 발명은 생산주문 지시 시스템을 추가 하여 관리자가 생산에 주문된 제품을 전송하며, 생산자는 이를 터치모니터로 주문량을 확인하여 제품을 제고하고, 생산이 완료 되면 관리자는 제품 생산 여부를 관리자 컴퓨터로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는 또 다른 뛰어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production order indication system, and the manager transmits the product ordered to the production. The producer confirms the order quantity by using the touch monitor and improves the product. When the production is completed, There is another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NMG 시약 처리를 하지 않고도, 쌀 시료의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를 측정하여 도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게 쌀 시료에 남아있는 잔존 미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maining rice bran in a rice sample simply and quickly by measuring the color intensity ratio (CBB) index of the rice sample without processing the NMG reagent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조명을 통해 쌀 시료의 모든 방향에 균일한 빛이 조사됨에 따라 그림자효과 등과 같이 화상 처리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시료 표면의 색상이나 형태 등의 이미지 손실 없이 잔존 미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uniform light is irradiated to all directions of rice samples through ring illumin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factors that hinder image processing such as a shadow effect, Can be measured.

도 1은 종래 미곡종합처리장의 곡물 자동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미곡종합처리장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반입 및 건조저장시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반입 및 도정되는 유통과정이 모니터링부를 통해 표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품질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CBB 단립 측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 미강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각 단계에서의 처리 영상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grain management apparatus for a conventional rice grain processing pla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ice cake processing plant in a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arry-in and dry-store facility in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distribution process carried in and taken out in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S. 3 and 4 through the monitoring unit.
FIG.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quality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CBB monopol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n apparatus for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measuring remaining rice br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equence of processing images in each step according to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미곡종합처리장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서 건조저장시설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은 미곡종합처리장(100)과 다수개의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ce cake processing plant 100 and a plurality of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미곡종합처리장(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 식별정보 입력부(120), 하나 이상의 연류계(130-1 내지 130-n), 유통정보 관리부(140),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 재배자 정보 처리부(160)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를 포함하며, 원료탱크(101), 현미처리부(102), 현미탱크(103), 백미처리부(104), 백미탱크(105), 품질 측정부(106) 및 포장처리부(10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rice processing center 100 includes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one or more flow meters 130-1 to 130-n,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A raw meat processing section 150, a cultivator information processing section 160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170 and includes a raw material tank 101, a brown rice processing section 102, a brown rice tank 103, a rice processing section 104, A backflow tank 105, a quality measuring section 106, and a packaging processing section 107. [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벼, 현미 및 백미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재배자 식별정보는 재배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품종, 필지 등일 수 있다. 또한, 동일 작목반에서 동일한 품종을 동일한 재배방법으로 재배하여 반입한 벼는 미곡종합처리장에서 필요할 때 동일한 재배자로 취급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stores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carried or discharg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ice, brown rice and white rice. Here,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name of a grower,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 address, a telephone number, a variety, a parcel, and the like. In addition, rice of the same variety can be treated as the same grower at the rice paddy processing plant when the same variety is cultivated by the same cultivation method.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저장탱크인 원료탱크(101)에 입고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이거나 재배자의 정보가 포함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더기이거나,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receives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ice to be received in the stock tank 101 as a storage tank and transfers the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may be a key input device directly input by an administrator, an RFID reader for reading an RFID tag including information of a grower, or a barcode reader.

연류계(130-1 내지 130-n)는 저장탱크인 원료탱크(101), 현미탱크(103) 및 백미탱크(105)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저장탱크로 저장되거나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이때, 연류계(130-1 내지 130-n)는 유통정보 관리부(140)와 이더넷, WiFi, 지그비,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systems 130-1 to 130-n are installed in the inlet and outlet gates of the raw material tank 101, the brown rice tank 103 and the white rice tank 105 which are storage tanks, , Brown rice or white rice, and transmits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of rice, brown rice or white rice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At this time, the flow meters 130-1 to 130-n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Ethernet, WiFi, ZigBee, and Bluetooth.

품질 측정부(106)는 백미 탱크에(105)에 저장되어 있는 쌀의 품질을 측정한다. 품질 측정부(106)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quality measuring unit 106 measures the quality of the rice stored in the rice tanks 105. The configuration of the quality measurement unit 106 will be described later.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각 연류계(130-1 내지 130-n)로부터 제공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호퍼스케일을 통해 측정된 중량 및 수분 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matches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rice, brown rice or white rice provided from each of the culture systems 130-1 to 130-n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And stores it in the management database 110. Weight and moistur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hopper scale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또한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각 연류계(130-1 내지 130-n)로부터 제공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 정보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남은 벼,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을 확인하고, 재배자별 벼, 현미 또는 백미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also confirms the weight of the remaining rice, brown rice or white rice stored in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rice, brown rice or white rice provided from each of the culture systems 130-1 to 130-n , Rice grower, brown rice, or white rice, and matches the information with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한편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벼, 현미 또는 백미의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다른 재배자의 벼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all of the rice, brown rice or white rice by the grow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through the circulation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150,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exit gate of the device.

또한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가 가공되어 저장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오픈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로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beer processing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grower may check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to open the entrance gate of the storage tank in which the rice for each grower is processed and stored, so that rice is stored for each grower in the same storage tank.

그리고 재배자 정보 처리부(160)는 백미로 가공된 쌀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한다. Then, the cultivat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60 confirms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rice processed into white ric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and inputs the information to the RFID tag or the barcode.

또한 미곡종합처리장(100)의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로부터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과 미곡종합처리장(100)은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이동통신망, 와이브로와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전용망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of the rice rough processing plant 100 can receiv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dried rice delivered from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 At this time,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and the rice gravel processing plant 100 may use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using a TCP / IP,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Bro, or a dedicated network.

그리고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은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 식별정보 입력부(220), 다수개의 연류계(230-1 내지 230-n), 유통정보 관리부(240) 및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를 포함한다.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include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20, a plurality of flow meters 230-1 to 230-n,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Or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250.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stores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carried or discharged.

저장탱크(201)는 반입되는 벼를 저장한다. The storage tank 201 stores the rice to be loaded.

그리고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저장탱크(201)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20 receives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brought into the storage tank 201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연류계(230-1 내지 230-n)는 각 저장탱크(201)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저장탱크(201)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이때, 연류계(230-1 내지 230-n)는 유통정보 관리부(140)와 이더넷, WiFi, 지그비,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flow-through systems 230-1 to 230-n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and the exit gate of each storage tank 201 to detect the weight of the rice being put into or out of the storage tank 20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At this time, the flow meters 230-1 to 230-n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Ethernet, WiFi, ZigBee, and Bluetooth.

유통정보 관리부(240)는 연류계(230-1 내지 230-n)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 뿐만 아니라, 조합원 수매 결과, 출고 중량, 평균 수분 결과 등을 관리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matches the ric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low meters 230-1 to 230-n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20, . In addition to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result of purchasing a member, output weight, and average moisture result.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는 저장탱크(201)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송한다. 이때 미곡종합처리장(100)으로 전송되는 유통정보에는 재배자 식별 정보, 건조된 벼의 중량, 건조하고 저장한 건조저장시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The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unit 250 confirms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ried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201 and deliver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100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100 do.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ice complex processing plant 100 includes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eight of the dried r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ried and stored dry storage facility.

한편, 재배자 정보 처리부(260)는 저장탱크(201)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ultivat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60 can check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ried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201 and delivered to the rice paddy processing plant 100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and input the information to the RFID tag or the barcode have.

한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미곡종합처리장(100)과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21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ice cake processing system 100 and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of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have a monitoring unit 180 for provi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or 210 to the manager .

모니터링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곡종합처리장(100)과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수행되는 반입, 저장, 건조, 가공 공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5, the monitoring unit 180 can display information on the carry-in, store, dry, and process steps performed in the rice cake processing plant 100 and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have.

본 발명에 따른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미곡종합처리장(100)은 원료인 벼를 저장하는 원료탱크(101), 저장된 원료를 현미로 가공하기 위한 현미처리부(102), 현미처리부(102)에서 가공된 현미가 저장되는 현미탱크(103), 현미탱크(103)에 저장된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백미처리부(104), 백미처리부(104)를 통해 가공된 백미를 저장하는 백미탱크(105) 및 가공된 백미를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며, 원료탱크(101)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제 1 연류계(130-1)와 제 2 연류계(130-2)가 설치되고, 현미탱크(103)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제 3 연류계(130-3)와 제 4 연류계(130-4)가 설치되며, 백미탱크(105)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제 5 연류계(130-5)와 제 6 연류계(130-6)가 설치된다. The rice processing plant 100 includes a raw material tank 101 for storing rice as a raw material, a brown rice processing unit 102 for processing the stored raw materials into brown rice, a brown rice tank 103 for storing brown rice processed in the brown rice processing unit 102, A rice processing unit 104 for processing the brown rice stored in the brown rice tank 103 into white rice, a white rice tank 105 for storing white rice processed through the rice rice processing unit 104, and a packaging unit for packaging the processed white rice, A first circulation system 130-1 and a second circulation system 130-2 are provided at the inlet gate and the outlet gate of the raw material tank 101 and the inlet and outlet gates of the brown rice tank 103 A third flow system 130-3 and a fourth flow system 130-4 are installed and the fifth flow system 130-5 and the sixth flow system 130-4 are connected to the inlet gate and the exit gate of the white rice tank 105, (130-6).

이와 같이 원료탱크(101), 현미탱크(103) 및 백미탱크(105)의 입구 또는 출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2 연류계(130-2) 내지 제 6 연류계(130-6)는 유통정보 관리부(140)에 연결된다. The second to third flow systems 130-2 to 130-6 installed at the inlet or outlet gates of the raw material tank 101, the brown rice tank 103 and the white rice tank 105 ar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따라서 재배자가 수확하여 반입된 벼는 원료탱크(101)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원료탱크(101)에 저장되는 벼는 다른 재배자가 수확한 벼가 혼합되어 저장된다. Therefore, the rice is harvested by the grower and stored in the raw material tank 101. At this time, the rice stored in the raw material tank 101 is mixed with the rice harvested by the other grower.

그리고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식별정보 입력부(120)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이거나 재배자의 정보가 포함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더기이거나,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receives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imported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may be a key input device directly input by an administrator, an RFID reader for reading an RFID tag including information of a grower, or a barcode reader.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원료탱크(101)의 입구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1 연류계(130-1)로부터 반입되는 벼의 중량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벼의 위치정보에 매칭시켜 유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벼의 위치정보는 제 1 연류계(130-1)로부터 벼의 중량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원료탱크(101)가 된다. The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carried in from the first circulation system 130-1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of the raw material tank 101, and matches the information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ic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database.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ice becomes the raw material tank 101 a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is supplied from the first circulation system 130-1.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원료탱크(101)에 임의의 재배자 벼가 반입되는 동안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의 중량은 변화하게 되고 임의의 재배자 벼가 모두 저장되면 원료탱크(101)내 벼의 중량은 변화하지 않게 됨으로써 반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hanges the weight of the rice stored in the stock tank 101 while the arbitrary rice grower is brought into the stock tank 101. When all the arbitrary rice growers are stored, The weight of the rice paddy does not change so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importing is completed and stor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이후,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를 현미 가공하기 위해 원료탱크(101)의 출구게이트를 통해 현미처리부(102)로 배출하게 되면, 제 2 연류계(130-2)는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의 중량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140)로 제공한다. The second flow system 130-2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tank 101 through the outlet gate of the raw material tank 101 to discharge the rice stored in the raw material tank 101 to the brown rice processing unit 102,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stored i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2 연류계(130-2)로부터 변화되는 원료탱크(101)에 저장된 벼의 중량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벼의 중량정보를 비교한다. The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ompar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stored in the raw material tank 101, which is changed from the second circulation system 130-2, wit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stor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만약, 원료탱크(101)로부터 출구게이트를 통해 배출된 벼의 중량이 반입 시 저장된 임의의 재배자 벼의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저장된 재배자의 벼가 원료탱크(101)로부터 모두 배출됐음을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If the weight of the ric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gate from the raw material tank 101 exceeds the weight of the arbitrary grower rice stored at the time of import,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stores the rice of the stored grower from the raw material tank 101 And updates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to indicate that they have all been discharged.

이와 함께, 원료탱크(101)로부터 배출된 벼는 현미처리부(102)를 통해 현미로 가공된 후 현미탱크(103)의 입구게이트를 통해 저장된다. At the same time, the rice discharg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101 is processed into brown rice through the brown rice processing unit 102, and then stored through the inlet gate of the brown rice tank 103.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현미탱크(103)의 입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3 연류계(130-3)로부터 현미탱크(103)에 저장되는 현미의 중량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현율(사용된 벼 중량 대비 생산된 현미중량비율) 및 현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brown rice stored in the brown rice tank 103 from the third culture system 130-3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of the brown rice tank 103. [ Her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determine the fading rate (the proportion of the brown rice produced to the weight of the used rice) and the state of brown rice.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2 연류계(130-2)와 제 3 연류계(130-3)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정보를 통해 미곡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곡의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미곡의 중량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미곡(벼, 현미, 백미)의 상태 정보, 수율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미곡이란 벼, 현미 및 백미 등을 통칭하므로 통상 미곡, 곡물 또는 쌀로 표기할 수 있다. The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rice music 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rice provided from the second rice gauge 130-2 and the third rice culture system 130-3, And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to update it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also check status information and yield information of rice (rice, brown rice, white rice). Here, ric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rice, brown rice and white rice, so it can be generally expressed as rice paper, grain or rice.

이후, 현미는 다시 백미로 가공하기 위해 현미탱크(103)의 출구게이트를 통해 백미처리부(104)로 배출된다. Thereafter, the brown rice is discharged to the rice processing unit 104 through the outlet gate of the brown rice tank 103 for processing into rice white again.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현미탱크(103)의 출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4 연류계(130-4)로부터 현미탱크(103)에서 배출되는 현미의 중량정보를 전달받는다.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weight information of brown rice discharged from the brown rice tank 103 from the fourth flow-through system 130-4 installed at the outlet gate of the brown rice tank 103.

이와 같이 현미탱크(103)로부터 배출된 현미는 백미처리부(104)에서 백미로 가공된 후 백미탱크(105)에 저장된다. The brown rice discharged from the brown rice tank 103 is processed into white rice in the white rice processing unit 104 and stored in the white rice tank 105.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백미탱크(105)의 입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5 연류계(130-5)로부터 백미탱크(105)에 저장되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전달받는다.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hite rice stored in the white rice tank 105 from the fifth flow system 130-5 installed at the inlet gate of the white rice tank 105. [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4 연류계(130-4)와 제 5 연류계(130-5)로부터 제공되는 현미 또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통해 현미 또는 백미의 위치를 확인하고, 백미의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백미의 중량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정백수율(사용된 현미중량 대비 생산된 백미중량 비율) 및 백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현율과 정백수율로부터 전체적인 도정수율(사용된 벼의 중량대비 생산된 쌀의 중량비율)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brown rice or the white rice 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brown rice or the white rice provided from the fourth rice culture system 130-4 and the fifth rice culture system 130-5, The location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hite rice and updat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determine the whiteness yield (the ratio of the weight of white rice produced to the weight of the brown rice used) and the state of white rice.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overall yield (weight ratio of rice produced to the weight of rice used) can be confirmed from the yield and grain yield.

이후, 백미탱크(105)에 저장된 백미는 판매를 위해 포장부로 전달되고, 포장부에서는 기 설정된 단위로 포장하게 된다. Thereafter, the white rice stored in the white rice tank 105 is delivered to the packaging unit for sale, and the packaging unit is packed in predetermined units.

이때,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백미탱크(105)의 출구게이트에 설치된 제 6 연류계(130-6)로부터 백미탱크(105)에서 배출되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전달받는다.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hite rice discharged from the white rice tank 105 from the sixth flow system 130-6 installed at the outlet gate of the white rice tank 105.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140)는 제 6 연류계(130-6)로부터 제공되는 백미의 중량정보를 통해 백미의 위치를 확인하고, 백미의 위치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백미의 중량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벼의 최종 도정수율정보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The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white rice 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white provided from the sixth flow system 130-6, match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ice white wit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grower To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At this time, information on final yield of rice can be also checked and managed.

한편,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벼가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다른 재배자의 벼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함으로써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벼, 현미 또는 백미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If it is confirmed that all the rice grown by the grow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the rice-ripping process control unit 150 for each grower may control the rice- . By thus blocking the outlet gate of the storage tank, the rice, brown rice or white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can be physically separated.

또한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150)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 현미가 가공되어 동일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오픈하도록 제어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ripper processing control unit 150 for each grower checks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to control the rice gardens and brown rice for each grower to be processed so that the entrance gates of the same storage tanks are opened so that rice for each grower is stored in the same storage tank .

그리고 재배자 정보 처리부(160)는 포장처리부(106)에서 백미탱크(105)에 저장된 백미를 포장 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확인하여 포장되는 재배자 식별정보,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할 수 있다.
The cultivat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60 can input the rice white stored in the white rice tank 105 in the packaging processing unit 106 to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FID tag or the barcode packag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110 upon packaging .

한편 농민들이 재배한 벼를 건조저장시설에 반입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bringing rice grown by farmers into the dry storage facility will be explained.

먼저,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는 농민으로부터 반입되는 벼를 투입구를 통해 저장탱크(201)에 저장한다. First, in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rice stored in the storage tank 201 is loaded into the storage tank 201 through the inlet.

이때,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저장탱크(201)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바코드 또는 RFID 리더기이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장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20 receives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brought into the storage tank 201,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20 may be a barcode, an RFID reader, or a key input device that can directly input information.

또한 각 저장탱크(201)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연류계(230-1 내지 230-n)는 저장탱크(201)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유통정보 관리부(240)로 전달한다. Also, the flow meters 230-1 to 230-n,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and the exit gate of each storage tank 201, detect the weight of the rice being put into or out of the storage tank 201,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그러면, 유통정보 관리부(240)는 연류계(230-1 내지 230-n)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재배자 식별 정보,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벼의 중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The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40 matches the ric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low meters 230-1 to 230-n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220, 210).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stores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carried in or discharged,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한편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는 저장탱크(201)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송한다. The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unit 250 confirms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ried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201 and deliver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100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100 do.

이와 같이,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로부터 출고된 벼는 미곡종합처리장(100)으로 반입된다. In this way, the rice leaves from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are brought into the rice processing plant 100.

이때, 해당 벼의 정보는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의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와 미곡종합처리장(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의 통신에 의해 전달된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rice is transmitted by the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unit 250 of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and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of the rice gravel processing plant 100 by communication.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출고되는 벼의 정보를 미곡종합처리장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통해 저장탱크(201)로부터 출고되어 미곡종합처리장(100)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한 후 이를 미곡종합처리장에서 리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rice information from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is carried out through a cultivat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rice may be check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and input to the RFID tag or the barcode, and then read and suppli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이와 같이,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출고되는 벼 또는 미곡종합처리장에서 반입하여 벼의 유통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ice can be carried in the rice or rice paddy processing plant discharged from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and the distribution management of rice can be performed comprehensively.

한편, 모니터링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곡종합처리장(100)과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에서 수행되는 반입, 저장, 건조, 가공 공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5, the monitoring unit 18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arry-in, storage, drying, and processing operations performed in the rice cake processing plant 100 and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Lt; / RTI >

또한,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은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250)를 통해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곡종합처리장(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로 전송하고, 미곡종합처리장(100)의 모니터링부(18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저장시설(200-1 내지 200-n)의 작동 조건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n transmi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210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unit 250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of the rice- And the monitoring unit 180 of the rice cake processing plant 100 uses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o transmi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y storage facilities 200-1 to 200- It can be displayed to the administrator and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품질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품질 측정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quality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quality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의하면, 품질 측정부는 단백질 및 수분 성분 측정 장치, 벌크 미곡 셀, 벌크 미곡 평활화 장치, 미곡 자동 이송장치, 미곡 단립 공급장치, 단립미곡 공급 테이블, CBB 단립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품질 측정부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 the quality measuring unit includes a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a bulk microwell cell, a bulk microwaves smoothing device, a microwaves automatic feeding device, a microwast monolith feeding device, a monolithic microwave feeding table, and a CBB monolith measuring device.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quality measurement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적외선, 가시광선을 이용한 잔존 미강 측정 방안과 쌀의 영상을 이용한 잔존 미강 측정 방안을 혼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먼저 쌀의 영상을 이용한 잔존 미강 측정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easuring residual rice bran by using near-infrared rays and visible rays and a method of using remaining rice bran by using image of rice. Hereinafter, a method for measuring residual rice bran by using image of rice will be described.

쌀의 영상을 이용한 잔존 미강 측정 방안은 도 6에서 미곡 단립 공급장치(650),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60), CBB 단립 측정장치(670)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쌀의 영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쌀이 단립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쌀의 영상을 측정하기 위해 상자 및 단립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미곡 단립 공급장치(650)를 포함한다. The remaining rice bran measuring method using images of rice includes a rice bran feeder 650, a rice bran feeder table 660, and a CBB blanket measuring device 670 in FIG. In order to measure the image of ric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rice should be provided as a single piece. Thu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ce gonad feeder 650 that includes a box and a single feed for measuring images of rice.

본 발명과 관련하여 쌀은 좌우 회전이 가능한 상자(미도시) 내부에 저장된다. 즉, 상자는 모터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며, 내부에 영상을 측정하기 위한 쌀이 저장된다. 제어 신호에 의해 상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면,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쌀이 단립공급장치(미도시)로 이동한다. 단립공급장치는 상자로부터 제공받은 쌀을 하나씩 배출한다.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rice is stored inside a box (not shown) that is capable of turning left and right. That is, the box is rotatable by the motor, and the rice for measuring the image is stored therein. When the box is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control signal, the rice stored therein moves to the solid feed device (not shown). The single-sided feeding device discharges the rice supplied from the box one by one.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60)은 원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곡 단립 공급장치(650)에서 배출된 쌀을 제공받는다.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6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미곡 단립 공급장치(650)에서 배출된 쌀은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0)에 안착되며, 안착된 쌀은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60)의 회전에 의해 CBB 단립측정 장치(670)로 이동한다. 즉, 안착된 쌀은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0)에 회전에 의해 CBB 단립 측정장치(670)의 측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쌀의 영상을 측정하기 위해 상자에 저장되어 있는 쌀을 하나씩 CBB 단립 측정 장치(670)로 이동시킨다. 물론,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60)은 일정 시간 주기로 회전하기 때문에 미곡 단립 공급장치(50)에서 배출된 쌀을 연속하여 CBB 단립 측정 장치(670)에서 측정할 수 있다.The rice grains feeder table 6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nd is supplied with rice discharged from the rice grains feeder 650. The rice grains feed table 66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and the rice discharged from the rice grains feeder 650 is placed on the rice grains feed table 60 and the rice placed on the rice grains feed table 660 And moves to the CBB monolith measurement device 670 by rotation. That is, the seized rice is mov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CBB monolith measurement device 670 by rotation on the rice grain separating feed table 6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ce stored in the box is moved one by one to the CBB monolith measurement device 670 to measure the image of the rice. Of course, since the rice grain separating feed table 60 rotates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rice discharged from the rice grain separating feeder 50 can be continuously measured by the CBB separator 670.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CBB 단립 측정 장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CBB 단립 측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Hereinafter, the CBB measure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shows a CBB monopol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의하면 CBB 단립 측정 장치는 투명판(720), 링조명(710), 역광부(730), 영상 획득부(700) 및 영상 처리부(740)가 포함된다. 7, the CBB monopole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720, a ring illumination 710, a backlight 730, an image acquisition unit 70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740.

전술한 구성에서, 투명판(720)은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도정된 미곡이 놓이게 된다. 이때, 투명판(720)은 반투명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판(720)에는 미곡 공급을 위한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the transparent plate 7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plate, and the ground glass is placed thereon.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plate 720 may also be realized as translucent. The transparent plate 720 may be provided with arrangements for feeding the rice balls.

링조명(710)은 투명판(720) 상부에 배치되며, 링 모양의 확산판을 통해 미곡에 빛을 조사(照射)한다. 이때, 링조명(710)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링조명(710) 중앙에 위치한 미곡의 상부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조사됨에 따라 미곡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그림자 효과 등과 같은 화상 처리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The ring illumination 710 is disposed above the transparent plate 720, and irradiates the light through the ring-shaped diffusion plate. At this time,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ring illumination 710 is irradiated uniformly in all the direction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icrograph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ing illumination 710, so that the factors hindering image processing such as a shadow effect, Can be removed.

그리고 역광부(730)는 투명판(720)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투명판(720) 상에 놓인 미곡에 빛을 조사한다. 이때, 역광부(730)로부터 조사된 빛은 미곡을 투과한다. The backlight unit 7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transparent plate 720, and irradiates light on the transparent plate 720.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730 passes through the music.

영상 획득부(700)는 링조명(710)을 통해 조사된 빛이 미곡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영상을 획득하고, 역광부(730)를 통해 조사되어 미곡을 투과한 빛으로부터 형성되는 투과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7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The image acquiring unit 700 acquires a reflection image formed by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ring illumination 710 on the microwaves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image formed from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backlight unit 730 through the backlight unit 730 . The image acquiring unit 700 preferably use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영상 처리부(740)는 영상 획득부(700)에 의해 여라 단계의 밝기를 조절하면서 다수의 조합된 획득한 반사영상 또는 투과영상을 통해 미곡영역과 배경영역을 분리(Segmentation)하고, 역광부(730)에 의해 획득한 투과영상에서 미곡의 투과 잔존미강영역을 구분하며, 미곡의 표면 밝기와 색상을 이용하여 반사영상의 미곡 영역에서 반사 잔존미강영역을 구분한 후 투과 잔존미강영역과 반사 잔존미강영역을 조합하여 최종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투과 잔존미강영역과 반자 잔존미강영역인 과피와 호분층은 색상이 상이함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740)는 반사영상에서 미곡의 각 영역 즉, 과피, 호분층 및 전분층의 색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투과영상에서 각 영역의 투과도를 이용하여 구분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740 separates the raw image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through a plurality of combined images obtain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700 while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 After separating the remnant corpuscle area from the rough area of the reflection image using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surface of the corpuscle, the remaining permeable remnant corpuscle and the remaining remnant corpuscle area Are combined to detect the final remaining unoriginated region. At this time, the permafrost area and semi-semi-permanent perforated area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hue and color. Here, the image processor 740 divides the reflected image by using the colors of the beat, the horny layer, and the starch layer, and distinguishes the transmitted image using the transmittance of each region.

이때, 영상 처리부(740)는 하기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최종 잔존미강영역 즉, 과피(A), 호분층(B)을 전체 미곡(과피(A), 호분층(B) 및 전분층(C)의 컬러 미강면적비율 CBB(Colored Bran Balance) 인덱스로 정의하여 잔존미강을 산출한다. 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740 divides the final remaining unirradiated region, that is, the perianth (A) and the endothelial layer (B) into whole rag loops (perianth (A), horny layer (B) C) is defined as a colorized steel balance area CBB (Colored Bran Balance) index to calculate the remaining unprocessed ric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A : 과피, B : 호분층 및 C : 전분층의 면적이다.
Here, A: perianth, B: frontal layer and C: area of starch layer.

그 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740)는 투과영상을 통해 내부밀도, 내부균열 및 투과도 차이 등을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740 can detect the internal density, the internal crack, and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through the transmitted image.

또한 영상 처리부(740)는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를 이용하여 도정도 및 백도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 도정도 및 백도 사이에는 각각 다음의 [수학식 2], [수학식 3] 및 도 6과 같이 비선형관계가 나타난다. Also, the image processor 740 can estimate the degree of whiteness and whiteness using the color space ratio (CBB) index. Here,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tone Ratio (CBB) index, the degree of incidence and the degree of whiteness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s (2), (3) and FIG.

따라서 영상 처리부(740)에서는 SAS 다중회기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상수와 결정계수를 구할 수 있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표 2]와 같다.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도정도 및 백도 별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 실험 모델의 결정계수는 0.99 이상이므로 모델이 측정치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립에서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로도 도정도와 백도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740, an experiment constant and a determination coefficient can be obtained using a SAS multi-session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and [Table 2].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CBB index by the degree of whiteness and whiteness is more than 0.99, so that the model agrees well with the measured value. CBB) index,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egree and degree of whiteness.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C0, a, b는 실험 상수, x는 도정도이다.
Where C0, a, b are experimental constants and x is degrees.

[수학식 2]의 상수는 다음의 표와 같다. The constants of Equation (2)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Experimental coefficients for Eq.(2)Experimental coefficients for Eq. (2) R2 R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aa bb -7.5472-7.5472 107.5594107.5594 0.22840.2284 0.99900.9990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Figure pat00005
: 실험상수,
Figure pat00006
: 백도이다. here,
Figure pat00005
: Experimental constant,
Figure pat00006
It is white.

[수학식 3]의 상수는 다음의 표와 같다. The constants of Equation (3)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Experimental coefficients for Eq.(3)Experimental coefficients for Eq. (3) R2 R 2 aa bb cc dd 1972.491972.49 0.159380.15938 3.16447e+063.16447e + 06 0.787190.78719 0.99720.9972

그 뿐만 아니라, 도정 시스템을 통해 도정된 쌀 정립 60립의 CBB 인덱스의 평균값에서 차이가 많은 10립을 제외한 50립의 CBB 인덱스 차이를 하기의 [수학식 4]를 통해 계산한다. In addition, the CBB index difference of 50 lips excluding 10 lob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CBB index of 60 rice ribs determined through the scanning system,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이하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쌀의 단백질 및 수분을 측정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쌀의 단백질 및 수분을 측정하는 시스템은 단백질 및 수분 성분 측정 장치(610), 벌크 미곡 셀(630), 벌크 미곡 평활화 장치(620), 미곡 자동 이송장치(64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쌀의 단백질 및 수분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inafter, a method for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of r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ystem for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in rice includes a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610, a bulk microwave cell 630, a bulk microwave equalizing device 620, and a rice automatic transfer device 640.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other constituent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can be included in the system for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of rice.

벌크 미곡 셀(630)은 내부에 단백질이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쌀이 벌크 형태로 저장된다. 벌크 미곡 평활화 장치(620)는 벌크 미곡 셀에 저장되어 있는 쌀의 상단을 평탄하게 한다. 미곡 자동 이송 장치(640)는 벌크 미곡 평활화 장치(620)에 의해 상단에 평탄하게 된 쌀이 담겨있는 벌크 미곡 셀(630)을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610)로 이송한다.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In the bulk rice cell 630, rice for storing protein or moisture is stored in a bulk form. The bulk music equalization smoothing device 620 smoothes the top of the rice stored in the bulk rice cell. The automatic rice feeder 640 feeds the bulk rice cracker cell 630 containing the rice flattened at the top thereof to the protein and moisture measuring device 610 by the bulk rice cracking smoother 620. Hereinafter, a protein and moi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FIG. 8 shows a protein and moi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tein and moi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에 의하면, 단백질 및 수분 측정 장치는 광 생성부, 광 전송 케이블, 발광부, 수광부, 반사 광 전송 케이블, 측정부를 포함한다. 광 생성부(800)는 쌀의 단백질 및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생성한다. 광 생성부(800)에서 생성하는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주파수는 미리 설정된다. According to Fig. 8, the protein and moisture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light generating unit, an optical transmission cable, a light emitting unit, a light receiving unit, a reflected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a measurement unit. The light generating unit 800 generates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for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of rice. The frequencies of the near-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or 800 are set in advance.

광 전송 케이블(810)은 광 생성부(800)에서 생성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발광부(820)로 전송한다.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810 transmits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or 800 to the light emitting unit 820.

발광부(820)는 광 전송 케이블(810)을 통해 제공받은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벌크 미곡 셀에 담겨있는 쌀에 조사한다. 수광부(830)는 쌀에 조사되어 반사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수광한다. 반사 광 전송 케이블(840)은 수광부(830)에 의해 수광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측정부(850)로 전달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820 irradiates the rice containing the near infrared ray or visible light supplied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810 in the bulk fine cell. The light receiving unit 830 receives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reflected by the rice. The reflected optical transmission cable 840 transmits the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830 to the measuring unit 850.

측정부(850)는 수신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반사 스펙트럼을 분석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곡의 스펙트럼은 분광광도계의 구동을 위하여 전용 프로그램인 WinSI를 이용하여 400 내지 1500nm의 파장을 이용하여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The measuring unit 850 analyzes the reflection spectrum of the received near-infrared ray or visible ray.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rum of the R < K > is measured by using a dedicated program WinSI to drive the spectrophotometer, using a wavelength of 400 to 1500 nm.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 미강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각 단계에서의 처리 영상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9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measuring residual corpus lute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equence of processed images in each step according to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존 미강 측정 방법은 별 다른 기재가 없는 한 영상 처리부에 의해 수행된다. As shown in FIG. 9, the residual corpuscular measuring method i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unless otherwise specified.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획득부에 의해 촬영된 미곡의 반사영상 또는 투과영상을 추출한다(S500). 여기서, 영상 획득부에 의해 촬영되는 반사영상은 링조명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는 미곡을 촬영한 영상이다. 이때 링조명의 조명 밝기는 0 내지 100 lux 인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a reflection image or a transmission image of a raw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as shown in FIG. 10A is extracted (S500). Here, the reflec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s an image of a minute-wave in which the light irradiated by the ring illumination is reflected. The illumination brightness of the ring illumination is preferably from 0 to 100 lux.

이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반사영상 또는 투과영상에서 배경 영역과 미곡 영역을 분리한다(S502). Next, as shown in FIG. 10B, the background region and the rough region are separated from the extracted reflection image or the transmission image (S502).

이후,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영상에서 미곡의 투과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한다(S504). 여기서, 영상 획득부에 의해 촬영된 투과영상은 역광부에 의해 조사된 빛이 투과된 미곡을 촬영한 영상이다. 이때, 역광부의 조명 밝기는 0 내지 100 lux 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10C, the remaining un-corpuscular region of the tear is detected in the transmitted image (S504). Here, the transmitted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is an image of a captured imag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backlight unit. In this case,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100 lux.

또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영상의 미곡 영역에서 반사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한다(S506). Further, as shown in Fig. 10D, the reflected unmachined region is detected in the rough region of the reflected image (S506).

이후,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영상을 통해 검출한 투과 잔존미강영역과 반사영상을 조합하여 최종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한다(S508). 여기서, 최종 잔존미강영역은 반사영상에서 미곡의 각 영역 즉, 과피, 호분층 및 전분층을 색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투과영상에서 각 영역의 투과도를 이용하여 구분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E, the final remaining unmachined region is detected by combining the transmitted unmachined region and the reflected image detected through the transmitted image (S508). Here, the final remaining corpuscle region is divided into regions of raindrops in the reflection image, that is, the pericarp, the colony and the starch layer, by using color, and the permeability of each region in the transmitted image is used.

이어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피, 호분층 및 전분층의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를 산출한다(S510). Next, as shown in FIG. 10F, the color-proof area ratio (CBB) index of the pericarp, horny layer, and starch layer is calculated (S510).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여기서 A : 과피, B : 호분층 및 C : 전분층의 면적이다.
Here, A: perianth, B: frontal layer and C: area of starch lay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쌀의 단백질 및 수분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쌀의 단백질 및 수분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of r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measuring protein and moisture of r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S1100단계에서 쌀의 단백질 및 수분 측정에 사용될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In step S1100, the frequency band of the near infrared ray or visible ray to be used for measuring the protein and moisture of the rice is set.

S1102단계에서 설정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생성한다.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having the frequency band set in the step S1102 are generated.

S1104단계에서 생성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미곡(쌀)에 조사한다.The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generated in step S1104 are irradiated to rice (rice).

S1106단계에서 조사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이 쌀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스펙트럼을 수신한다.Infrared light or visible light irradiated in step S1106 is reflected by the rice.

S1108단계에서 수신한 반사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쌀의 수분 또는 단백질 함량을 분석한다.The moisture content or the protein content of the rice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reflection spectrum received in step S1108.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610: 단백질 및 수분 측정장치 620: 벌크 평활화 장치
630: 벌크 미곡 셀 640: 미곡 자동 이송장치
650: 미곡 단립 공급장치 660: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
670: CBB 단립 측정장치
610: Protein and moisture measuring device 620: Bulk smoothing device
630: Bulk drooping cell 640: Raw material automatic feed device
650: Raw material feeding device 660: Raw material feeding table
670: CBB discrete measuring device

Claims (17)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종합처리장을 포함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은,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 정보, 반입된 미곡의 품질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을 각각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미곡의 잔존미강을 포함한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부;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 중에서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각각의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입고되거나 출구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미곡 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 관리 시스템.
In a rice cak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dry storage facility and a rice processing plant,
The rice gravel general treatment plant,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kinds of rice balls, which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before and after the processing, and the degree of processing,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loaded rice balls together with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types of music in each type;
A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quality including remaining rice bran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nd receiving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ice from the plurality of types of rice;
A plurality of flowmeters installed in inlet gates and outlet gates of the respective storage tanks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rice balls to be received or discharged and delivering the detected rice weight information and the rice information; And
And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ice balls provided from the circulation system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부는,
측정하고자 미곡을 보관하는 벌크 미곡 셀;
상기 벌크 미곡 셀에 보관되어 있는 미곡을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조사한 상기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반사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단백질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단백질 및 수분 함량 측정 장치;상기 벌크 미곡 셀에 보관되어 있는 미곡을 공급받아 하나씩 배출하는 미곡 단립 공급장치;
상기 단립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된 미곡에 빛을 조사하여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하는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단립측정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bulk microwell cell for storing raw music to be measured;
A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protein and a moisture content by irradiating a near infrared ray or a visible ray of the microgrooves stored in the bulk microwaved cell and analyzing a reflected spectrum of the irradiated near infrared ray or visible light ray; A single-piece feeding device that feeds and discharges the rice in one single feed;
And a color unevenness area ratio (CBB) unevenness measuring device for detecting a remaining unoriginal area by irradiating light to the unprocessed unrecorded area supplied by the unidirectional feed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단립측정 장치는,
상기 미곡이 놓이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판 상에 놓인 미곡에 빛을 조사하는 역광부;
상기 투명판 상부에 배치되며, 링 모양의 확산판을 통해 상기 미곡에 빛을 조사하는 링조명;
상기 링조명을 통해 조사된 빛이 미곡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역광부를 통해 조사되어 미곡을 투과한 빛으로부터 형성되는 투과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반사영상과 투과영상을 통해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하여 과피, 호분층, 전분층의 면적을 획득한 후 CBB 인덱스를 산출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colorless steel area ratio (CBB)
A transparent plate on which the music is placed;
A backlight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irradiating light on the transparent plate;
A ring lighting unit disposed on the transparent plate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music through a ring-shaped diffusion plate;
An image acquiring unit acquiring a reflection area wher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ring illumination is reflected and formed on the beat, and acquiring a transmission image formed from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beat, irradiated through the back light unit; And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a CBB index after acquiring the area of the pericarp, the horny layer, and the starch layer by detecting the remaining corpuscle area through the reflection image and the transmissio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ring unit,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 관리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09

여기서 A : 과피의 면적, B : 호분층의 면적, C : 전분층의 면적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comprises: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xpression (1). ≪ EMI ID = 1.0 >
[Equation 1]
Figure pat00009

Where A is the area of the perianth, B is the area of the colony layer, C is the area of the starch lay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곡 단립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미곡을 상기 CBB 단립 측정 장치로 이송하는 원판 형태를 갖는 미곡 단립 공급 테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raw single piece feeding table having a disk shape for feeding the raw rice supplied from the raw single piece feeding device to the CBB single piece measur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및 수분 함량 측정 장치는,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생성하는 광 생성부;
상기 광 생성부에서 생성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전송하는 전송 케이블;
상기 전송 케이블에 의해 전송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미곡으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미곡에 의해 반사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수광하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전송하는 반사 광 전송 케이블;
상기 반사 광 전송 케이블에 의해 전송받은 반사광으로부터 상기 미곡의 단백질 또는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light generating unit generat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A transmission cable for transmitt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or;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in a near-infrared or visible light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cable;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reflected by the music piece;
A reflected optical transmission cable for transmitt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ice cake from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by the reflected optical transmission cab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부를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된 재배자별 벼가 모두 배출됨이 확인되면, 해당 저장탱크의 출구게이트를 차단하는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grower processing control unit for blocking the exit gate of the storage tank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ice for each grow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자별 미곡 처리제어부는,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재배자별 벼가 가공되어 저장된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를 제어하여 동일한 저장탱크에 재배자별 벼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vestock-processing control unit for each grower,
And controlling the entry gate of the stored storage tank to store rice in the same storage tank by checking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so that the rice is stored in the same storage tank.
제 2항에 있어서,
백미로 가공된 후 포장되는 백미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grow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packaged after being processed into white rice and inputting the information to the RFID tag or the bar c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는,
상기 건조저장시설의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comprises: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ried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of the dry storage facility.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저장시설은,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 정보, 반입된 미곡의 품질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반입되는 벼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반입되는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상기 각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벼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연류계;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벼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미곡종합처리장에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y storage facility may comprise: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kinds of rice balls, which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before and after the processing, and the degree of processing,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loaded rice balls together with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storing the rice to be importe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receiving and inputting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ice to be brought into the storage tank;
A plurality of flue gas generators installed at inlet gates and outlet gates of the storage tanks to detect the weight of rice to be loaded or unloaded into the storage tank and transmit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rice;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tching weigh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rice provided from the culture system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And
And a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confirm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ried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and deliver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미곡종합처리장에 전달되는 건조된 벼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미곡 유통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ultivat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ried ric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and delivered to the rice processing plant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and inputting the information to an RFID tag or a barcode.
미곡종합처리장에 있어서,
가공 전후나 가공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미곡의 반입되거나 배출되는 중량 정보와 위치 정보, 반입된 미곡의 품질정보를 재배자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을 각각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미곡의 잔존미강을 포함한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부;
상기 복수 종류의 미곡 중에서 벼의 재배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식별정보 입력부;
각각의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게이트와 출구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미곡의 중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복수의 연류계; 및
상기 연류계로부터 제공되는 미곡의 중량 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자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유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
In the rice processing general treatment plant,
A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kinds of rice balls, which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before and after the processing, and the degree of processing,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loaded rice balls together with the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types of music in each type;
A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quality including remaining rice bran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nd receiving gr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ice from the plurality of types of rice;
A plurality of flowmeters installed at inlet gates and outlet gates of each of the storage tanks to detect the weight of the rice balls being loaded or unloaded and to transmit we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rice balls; And
And a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weigh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rice rice provided from the culture system with the cultiv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databas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부는,
측정하고자 미곡을 보관하는 벌크 미곡 셀;
상기 벌크 미곡 셀에 보관되어 있는 미곡을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조사한 상기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반사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단백질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단백질 및 수분 함량 측정 장치;
상기 벌크 미곡 셀에 보관되어 있는 미곡을 공급받아 하나씩 배출하는 미곡 단립 공급장치;
상기 단립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된 미곡에 빛을 조사하여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하는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단립측정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
1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A bulk microwell cell for storing raw music to be measured;
A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for irradiating a near infrared ray or a visible ray of the rice stored in the bulk microwaved cell and analyzing the reflected spectrum of the irradiated near infrared ray or visible ray to measure the protein and the moisture content;
A single-piece single-sided feeding device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the single-piece stored in the bulk dry cell;
And a color unevenness area ratio (CBB) unimolecular measur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ice balls supplied by the single-sided feeding device to detect a remaining rice bran area.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단립측정 장치는,
상기 미곡이 놓이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판 상에 놓인 미곡에 빛을 조사하는 역광부;
상기 투명판 상부에 배치되며, 링 모양의 확산판을 통해 상기 미곡에 빛을 조사하는 링조명;
상기 링조명을 통해 조사된 빛이 미곡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역광부를 통해 조사되어 미곡을 투과한 빛으로부터 형성되는 투과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반사영상과 투과영상을 통해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하여 과피, 호분층, 전분층의 면적을 획득한 후 CBB 인덱스를 산출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colorless steel area ratio (CBB)
A transparent plate on which the music is placed;
A backlight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irradiating light on the transparent plate;
A ring lighting unit disposed on the transparent plate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music through a ring-shaped diffusion plate;
An image acquiring unit acquiring a reflection area wher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ring illumination is reflected and formed on the beat, and acquiring a transmission image formed from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beat, irradiated through the back light unit; And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the remaining corpuscle area through the reflection image and the transmissio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ring unit to acquire the area of the pericarp, the hornbone layer and the starch layer, and then to calculate the CBB index.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및 수분 함량 측정 장치는,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생성하는 광 생성부;
상기 광 생성부에서 생성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전송하는 전송 케이블;
상기 전송 케이블에 의해 전송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미곡으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미곡에 의해 반사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수광하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근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전송하는 반사 광 전송 케이블;
상기 반사 광 전송 케이블에 의해 전송받은 반사광으로부터 상기 미곡의 단백질 또는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light generating unit generat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A transmission cable for transmitt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or;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in a near-infrared or visible light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cable;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reflected by the music piece;
A reflected optical transmission cable for transmitting near infrared rays or visible ray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ice cake from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by the reflected optical transmission cable.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백미로 가공된 후 포장되는 백미의 유통정보를 유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RFID 태그나 바코드에 입력하는 재배자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미곡종합처리장.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And a grow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rice to be packaged after being processed into white rice and inputting the information to the RFID tag or the bar code.
KR1020120154388A 2012-12-27 2012-12-27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101507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88A KR101507400B1 (en) 2012-12-27 2012-12-27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88A KR101507400B1 (en) 2012-12-27 2012-12-27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80A true KR20140084680A (en) 2014-07-07
KR101507400B1 KR101507400B1 (en) 2015-03-31

Family

ID=5173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388A KR101507400B1 (en) 2012-12-27 2012-12-27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4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8890A (en) * 2014-10-13 2015-01-07 扬州大学 Method for calculating rice maturing rate
CN113743390A (en) * 2021-11-08 2021-12-03 山东莱特光电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warehousing method and device for labor protection gloves
CN113776993A (en) * 2021-07-28 2021-12-10 深圳市麦稻智联科技有限公司 Rice online detection system,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equipment
KR20220100251A (en) * 2021-01-08 2022-07-15 최보규 RPC CLOUD SYSTEM PROVIDING CLOUD SERVICE BASED ON I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438B1 (en) 2016-11-17 2017-02-01 주식회사 성산지엔 Central controlling system for milling process
KR102085580B1 (en) 2018-05-10 2020-03-06 한국식품연구원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 of rice processing complex
KR20230144766A (en) 2022-04-08 2023-10-17 최영준 Silo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ilo Level Measurement System of the Smart Rice Processing Complex
KR20230144762A (en) 2022-04-08 2023-10-17 최영준 Silo Level Measurement System for Smart Rice Processing Complex and Smart Rice Processing Complex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388A (en) 2006-12-20 2008-07-10 Korukuraabe:Kk Production system for product derived from rice, method for production, system for production planning and method for production planning
KR101000889B1 (en) * 2008-07-03 2010-12-14 포스코리아(주)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of wet-paddy rice for protein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KR101198846B1 (en) * 2010-12-13 2012-11-07 한국식품연구원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8890A (en) * 2014-10-13 2015-01-07 扬州大学 Method for calculating rice maturing rate
KR20220100251A (en) * 2021-01-08 2022-07-15 최보규 RPC CLOUD SYSTEM PROVIDING CLOUD SERVICE BASED ON IoT
CN113776993A (en) * 2021-07-28 2021-12-10 深圳市麦稻智联科技有限公司 Rice online detection system,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equipment
CN113743390A (en) * 2021-11-08 2021-12-03 山东莱特光电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warehousing method and device for labor protection glo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400B1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00B1 (en)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mbrose et al. High speed measurement of corn seed viability using hyperspectral imaging
Yang et al. Plant phenomics and high-throughput phenotyping: accelerating rice functional genomics using multidisciplinary technologies
Williams et al. Maize kernel hardness classification by near infrared (NIR) hyperspectral imaging and multivariate data analysis
EP2140749A1 (en) Classification of seeds
KR101198846B1 (en) Integrated Rice Distribu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20050004682A1 (en) Computer-assiste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an agricultural product
Fan et al. Individual wheat kernels vigor assessment based on NIR spectroscopy coupled with machine learning methodologies
US98422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haracterizing agricultural products
RU2580394C1 (en) Method of controlling production process
Cubero et al. Application for the estimation of the standard citrus colour index (CCI) using image processing in mobile devices
US20050097021A1 (en) Object analysis apparatus
Wang et al. Non-destructive and in-site estimation of apple quality and maturity by hyperspectral imaging
CN106053383A (en) Near-infrared online detection method for tobacco processing process
Delwiche et al. Analysis of grain quality at receival
Cheng et al. Hyperspectral and imagery integrated analysis for vegetable seed vigor detection
JP7392375B2 (en)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rain inspection equipment
JP2021062315A5 (en)
JP2022146983A (en) Grain inspection device and grow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US200601009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odity information in a supply chain of production
Zhang et al. Hyperspectral detection of walnut protein contents based on improved whale optimized algorithm
Zhang et al. Detection of tomato water stress based on terahertz spectroscopy
Walsh et al. Sampling and statistics in assessment of fresh produce
Zhang et al. Research on a nondestructive model for the detection of the nitrogen content of tomato
EP1489546A1 (en) Computer-assiste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an agricultural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