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634A -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stroll ball - Google Patents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stroll b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634A
KR20140084634A KR1020120154292A KR20120154292A KR20140084634A KR 20140084634 A KR20140084634 A KR 20140084634A KR 1020120154292 A KR1020120154292 A KR 1020120154292A KR 20120154292 A KR20120154292 A KR 20120154292A KR 20140084634 A KR20140084634 A KR 2014008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input
force
magn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9614B1 (en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2015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614B1/en
Publication of KR2014008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effectively returning a slider unit to an original position in a slide input device. A key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input system to input a user′s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comprises: a slider including a circuit board, to which four or more vertical signals can be inputted, and at least one magnet; a frame to support the slider to enable the slider to always move parallel to a base; the base including a magnet for always returning the slider to an origi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f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and a vertical steel ball positioned between the magnet of the slider and the magnet of the base to reduce friction generated during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yping errors during character input can be reduced, and deflection of the slider unit can be efficiently prevented by a small operating force.

Description

이중자석과 강구를 이용하여 미세처짐과 오타를 방지하는 장치.{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stroll bal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micro-deflection and typo using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본 발명은 슬라이드(X,Y) 방향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서 수평 방향(X,Y)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부의 미세 처짐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자석과 그 동위 선상에 위치한 강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동작시 작동력이 가중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슬라이더의 미세한 처짐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수평(xy)이동을 하는 슬라이더부의 수직(z)축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capable of preventing fine deflection of a slider portion capable of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X, Y) in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 a slide (X, Y) direction, And a technique for preventing fine deflection of the slider while suppress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operating force is increased during sliding operation to the utmost while using a steel ball located on the same level. Also, this technique can be used to prevent the vertical (z) axis deviation of the slider portion moving in the horizontal (xy) direction.

미세 처짐이란, 슬라이드 문자 입력 시스템에서, 작동스위치의 복귀력 약화, 동작부위의 마찰력 과다, 작동부의 무게 과중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복귀해야 할 슬라이더가 원위치에 복귀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미세 처짐현상은, 주변 케이스등과의 시각적 불일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미세한 작동거리만으로도 문자입력이 되는 슬라이드 입력시스템의 특성상, 이러한 미세처짐현상으로 인해, 각 슬라이더 방향에 배치된 스위치와의 간격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의도하지 않는 문자등이 입력되는 문제도 발생시킨다.  The micro deflec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lider which should normally return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weakening of the returning force of the operation switch, excessive frictional force of the operating part, heavy weight of the operating part and the like can not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Such fine deflection phenomenon causes a problem of visual inconsistency with the peripheral case and the like.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ide input system in which characters are inputted only by a small working distance, the gap between the switche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each slider becomes uneven due to such fine deflection phenomenon, and unintentional characters are input .

따라서, 슬라이드 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에서는 이러한 미세 처짐을 없애, 외관상으로도 문제가 없고,많은 슬라이드 입력을 한 후에도 항상 원위치에 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refore, in the products using the slide input system, there is no problem in appearance due to elimination of the micro deflection,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technique which can always com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input of many slides is rapidly increasing.

특히 다양한 정보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등을 슬라이더부에 구비하는등 슬라이더부의 자체 장착 부품이 점차 다양해지고 많아짐에 따라 슬라이더부 자체의 무게도 점점 무거워지고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self-mounting parts of the slider portion, such as a touch screen or the like capable of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are provided, the weight of the slider portion itself is getting heavy.

현재 슬라이드 입력 시스템을 적용한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다수의 부품을 장착한 슬라이더부의 미세처짐현상및 이탈 현상을 해결하지 못해, 미세처짐현상 주위 gap을 크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이러한 미세 처짐에 대해서 쉽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미봉책일 뿐 실제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적용된 제품의 상당수는 제품의 관리치수를 조금만 크게 하여도, 치수불량에 따른 외관상의 미세처짐현상과 문자입력 오타, 슬라이더부 자체 이탈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미세처짐 방지 기술들은 미세처짐을 슬라이드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작동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나 고무등의 연성 재질의 탄성력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미세처짐을 방지한다는 일차 목표는 달성할 수 있으나, 편리한 슬라이드 입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입력 방향 자체의 최종 작동력이 낮아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위배하게 된다. In most cases where the present slide input system is applied, the micro-sagging phenomenon and the deviation phenomenon of the slider unit equipped with such a large number of parts can not be solved, and the gap around the fine sagging phenomenon is enlarg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such micro- I can not. However, many of the products to which the actual slide input device is applied have problems such as apparent fine deflection due to dimensional defects, character input mislabeling, deviation of the slider itself, and the like even if the actual size of the product is slightly increased. It is true. However, the existing micro-sag prevention techniques have proposed a method of increasing the actuation force of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slide action of fine deflection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This method can achieve the primary goal of preventing micro-sagging, but violating the precondition that the final actuation force of the slide input direction itself must be low in order to allow convenient slide input.

특히, 최점단 리모콘 스마트폰과 같이 메일, 검색등으로 인해, 많은 문자입력이 필요한 전자 기기등은 작동력을 최대한 낮추어, 잦은 문자입력에도 손가락의 피로도를 최대한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만일 기존의 제시된 방법과 같이 스위치 자체의 작동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나, 고무등의 연성재질의 탄성력을 높이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손가락의 피로도는 쉽게 늘어날 것은 자명하다. 실제 작동력을 상승시킨다 하여도, 미세 처짐현상이 시각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작은 범위의 불일치인데, 이러한 영역에서의 복귀력은 작동이 되는 구간의 힘이 아닌, 작동이 시작되는 구간의 힘이 적용되기 때문에, 그 효과는 미미하다. 특히, 문자입력을 위한 슬라이드입력 장치는 매우 빈번한 사용을 하게 되는데, 수평입력쪽 관련 스위치와 그 구조물은 특성상 내구성에 취약하여, 쉽게 처짐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In particular, electronic devices that require a lot of character input due to mail, search, etc., such as the most remote-control smart phone, are required to lower the operating force to the utmost, and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finger to the frequent character input. If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switch itself or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as in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 is applied, it is obvious that the fatigue of the finger easily increases. Even if the actual operating force is increased, it is a small range of inconsistency that the micro-sagging phenomenon is visually problematic. The returning force in such a range is not the force of the operating range, but the force of the operating range Therefore, the effect is insignificant. Particularly, the slide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s used very frequently. However, the switch and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input side are vulnerable to durability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sagging phenomenon easily occurs.

따라서, 슬라이드 입력장치의 매우 낮은 작동력을 구현하면서, 정확히 원위치에 복귀할 수 있고, 많은 문자입력을 하여도 전혀 미세 처짐현상이 없어 항상 오타없이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한 슬라이더 정렬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lider sorting technology capable of accurately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realizing a very low operating force of the slide input device, to be.

편리한 입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하나 혹은 다수의 연속된 문자를 출력한다고 가정할 때, 수평신호와 수직신호,모두가 가볍고, 예민한 택감을 주어야 하고, 수평신호와 수직신호가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거의 동시에 입력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기술의 경우, 스프링과 같은 텐션(tension)구조체 혹은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미세처짐을 방지하는 복귀력의 수단으로 제시하였다. 이로 인해 수평방향도 무겁고, 불편하면서 수평방향으로의 택감을 거의 느낄수 없어 사용자가 수직버턴을 입력할때와 같은 피드백(feedback)을 전달받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In order to enable convenient input, it is necessary to give a light and sensitive sensation to both the horizontal signal and the vertical signal when assuming that one or a plurality of consecutive characters are outputted, and when the horizontal signal and the vertical signal are inputted at almost the same time .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techniques, a tension structure such as a spring or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is proposed as a means of returning force to prevent micro deflection. 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receive the feedback as when the user inputs the vertical button because the horizontal direction is heavy, and the user can not feel the inconvenience and sense of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는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된 슬라이더부의 원점 복귀를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아닌, 이중 자석과 강구를 적용하여, 슬라이더가 스위치가 작동되는 영역으로 진입시 원점복귀력을 오히려 약화시켜,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따른 택감을 유지하여, 손가락을 통해 올바른 신호처리과정을 알려주고, 이로 인해 문자입력상의 오타가 발생할수 있는 가능성을 줄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적용된 IT기기 혹은 리모컨등의 버턴이 외관 케이스류와 미세하게 불일치되는 현상을 막아, 항상 케이스와 완벽하게 일치되도록 하여, 기기자체의 상품성을 올리는 방법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Here we present a solu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rather than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are applied to the home position return of the operated slider to weaken the home return force when moving the slider to the area where the switch is operated, ,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correct signal processing process through the finger,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ypographical errors on the character inpu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ncreasing the merchantability of the device itself by completely preventing the button of the IT device or the remote control using the slide input device from being slightly inconsistent with the appearance case,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강구를 이용한 슬라이드 입력장치는,A slide input device using a magnet and a steel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시스템으로서,An input system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rection,

4개 이상의 수직 방향 신호가 입력 될 수 있는 회로기판과 한 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슬라이더;A slider including a circuit board on which four or more vertical direction signals can be input and one or more magnets;

상기 슬라이더가 베이스에 대해 항상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A frame supporting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always moves parallel to the base;

조작 명령에 대한 작동 후 슬라이더를 베이스에 대해 항상 원위치에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베이스;및 A base including a magnet to allow the slider to return to its home position always relative to the base after operation on an operating command;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해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슬라이더의 자석과 베이스의 자석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 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이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부의 자석은, 자력이 발생할 수 있는 쇠와 같은 금속 혹은 비금속 물체로 대체 할수 있다. And a vertical steel ball positioned between the magnet of the slider and the magnet of the base to reduc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slider is moved in parallel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In this case, the magnet of the slider portion can be replaced with a metal or a non-metal object such as a metal that can generate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베이스 역시, 상기 슬라이더부가 자석일 경우, 자력이 발생할수 있는 쇠와 같은 금속 혹은 비금속 물체로 대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fpc)으로 대체 할 수 있다. Also, the base may be replaced with a metal or a non-metal object such as a metal, which may generate magnetic force when the slider portion is a magnet. Further, the circuit board may be replaced with a flexible circuit board (fpc).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LCD 모쥴로 대체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can be replaced with an LCD module capable of touch input.

본 발명에 따르면, IT기기와 같은 첨단장치에서 수직입력 혹은 터치입력신호를 받는 슬라이더부의 미세처짐을 전체 작동력의 증가 없이 막아, 수평방향 작동스위치에 의해서 발생하는 택감등의 피드백(feed back) 정보신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슬라이더부의 미세처짐현상을 막아, 문자입력시의 오타발생 현상을 개선 할 수 있다. 또한 미세처짐없이 전체 작동력을 매우 작게 유지할수 있으므로, 버턴의 슬라이드 방향 조작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몇 개의 문자입력뿐 아니라, 메신저나 메일작성과 같은 다량의 문자입력에도 피로감 없이 정확한 문자입력 작업을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e deflection of a slider part receiving a vertical input or a touch input signal in an advanced device such as an IT device is prevented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operating force, and a feed back informa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fine deflection of the slider portion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typo in inputting a character. Further, since the overall operating force can be kept very small without micro-droop, the operation force of the button in the slide direction is lowered. As a result, not only a few characters but also a large amount of characters such as a messenger or an e-mail can be inputted without fatigue.

또한 미끄러짐 방지 기능과 같은 특수기능 부품등을 구비하거나, LCD터치스크린과 같은 정보처리 기능이 있는 슬라이더부의 경우 단순히 몇 개의 버턴만을 구비한 슬라이더부 보다 무게가 증가하여 슬라이더 입력기기등을 세워두거나 눕혀두고 문자입력을 할 경우, 전자 부품 및 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더의 자중에 의해서 쉽게 미세한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전체작동력의 상승없이 방지할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lider portion hav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such as an LCD touch screen, the slider portion is increased in weight than a slider portion having only a few buttons, so that the slider input device or the like can be raised or laid In the case of inputting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minute sagging phenomenon easily due to the weight of the slider provided with electronic parts and devices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operating force.

또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자력이 강해지는 자서의 성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중자석과 강구 방식을 제시하지 못한 기존의 슬라이드 입력 관련 제품들이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등이 관리치수에서 조금만 벗어나도,In addition, since the magnetic attraction is stronger as the distance gets closer, the existing slide input related products, which do not show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pproach, Apart from that,

조립공차의 누적으로 인해 쉽게 외관에서 미세처짐현상이 발생하여, 슬라이더부의 버턴 조립체등이 외관 케이스등과 정렬이 제대로 되어있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이중 자석과 강구의 방법을 적용시, 이러한 부품등의 개별공차, 오류 및 Burr등의 사출불량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정렬을 할수 있다.It has been found that the fine deflection phenomenon occurs easily in the outer appearance due to the accumulation of assembly tolerances and that the button assembly of the slider portion is aligned with the outer case and the like properly. However, when applying the method of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Precise alignment is always possible, regardless of tolerances, errors, and poor injection, such as burrs.

또한 이중자석과 강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입력장치에서는, 슬라이더부의 무게나, 손가락의 누르는 힘 등 외력의 변화에도 일정한 최소한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매끄러운 조작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최소한의 마찰력으로 인해,Further, in the slide input device provided with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 constant minimum frictional forc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such as the weight of the slider portion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finger is changed, and the smooth operation force can be maintained. Because of this minimal frictional force,

작동스위치의 복귀력이 작아도, 미세한량의 처짐 없이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달성할수 있다. Even if the returning force of the operating switch is smal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turn to the home position without deflection of a minute amount.

또한 기존에 제시된 방법과 같이 미세처짐을 막기위해 복잡한 구조의 작동스위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이중자석과 강구를 사용함으로서, 시스템의 소형화 및 제조단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Also, by using a simple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without using a complicated structure operation switching method to prevent fine deflection as in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of the system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또한 수평(xy)운동을 하는 슬라이더에 수직(z)입력이 되어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 슬라이더 입력장치의 특성상, 작동시,작동 후 또는 장시간 사용 후 내구성의 문제로 인해 슬라이더부 자체의 수직(z)축 들뜸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중자석과 강구를 이용하면, 이러한 수직(z)축 들뜸을 자력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Furth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ider input device in which a character is inputted by inputting a vertical (z) to a slider performing a horizontal (xy) motion, the vertical z value of the slider itself due to a problem of durability after operation, Axial lifting can occur. Using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it is possible to magnetically block such vertical (z) axis lif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자석과 강구가 적용된 4접지 조합식 슬라 이드 입력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구조에서 수직입력 방식으로 돔 fpc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구조에서 수직입력 방식으로 PK(Plastic keypad)Type 버턴과 PCB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슬라이더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한 경우, 작동 스위치의 작동력으로 큰 처짐을 막아주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작은 작동력의 스위치를 적용하여, 장시간 동작후 외관상 미세처짐이 나타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기존의 일(z)축 입력 키패드 및 키버턴과 케이스간의 불일치를 막기위해 서 스구조를 적용한 상태 및 미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미세처짐 현상을 외관상 감추기 위해 홀을 추가한 에칭을 적용한 도면
도 8은 미세처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 양쪽의 갭값의 실제 측정 치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택감 곡선을 알아보기 위해 4접지 직렬식 슬라이드 입력구조를 도입한 도면
도 10은 4접지 직렬식 구조에서 작동스위치, 베이스, 프레임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슬라이드 입력기기에서 수직입력이 가능한 회로기판과 문자입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4접지 직렬식 슬라이드 입력 기기의 각 방향 작동스위치 및 수평입력방향 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4접지 직렬식 슬라이드 입력 기기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이동하기 전과 후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택트스위치 작동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철핀 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슬라이더의 수평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력의 변화와 미세처짐구간에서의 실제 작동력과 복귀력의 힘을 나타내고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외부 수직하중에 의해 작동하는 돔스위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슬라이드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택감을 내는 작동스위치의 예상처짐량과 실제처짐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문자입력장치에서 터치로 인 한 정보수신이 가능한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미세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자석과 강구대신 스프링을 적용한 4접지 조합식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미세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적용한 슬라이드 입력장치의 실제 작동력 곡선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수평신호가 스프링에 의해서 택감이 확실하게 전달되지 않아, 오타가 나 오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임의로 슬라이더부의 자석과 베이스부의 자석 을 자력이 없는 일반 강구로 변경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미세처짐방지를 위해 이중 자석과 강구가 아닌, 스프링을 적용한 4접지 조 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처리장치가 자의적으로 수평,수직신호 를 임의 문자 처리에 묶어,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중 자석과 강구 및,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입력장치의 대각선 방향 작동시 작동력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자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미세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적용했을 때와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 할 때, 최종 작동곡선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의 구성인자인 프레임, 슬라이더 부의 자석, 베이스부의 자석,강구,와이어가 연결된 택트스위치,와이어베이 링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문자입력장치로 특정문자를 입 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문자입력장치에서 수평방향의 택감으로 오타를 방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또는 4접지 직렬식 및 8방향 직렬식 입력장치에서 이중자석과 강구가 적용되었을때와 적용되지 않았을 때, 연산처리장치의 처리 및 출력값의 차이점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공주거리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8접지 직렬식을 도입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공주거리가 없는 경우, 각 방향 택트스위치의 작 동여부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공주거리를 확보한 경우, 각 방향 택트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공주거리,작동거리 및 버퍼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 35는 공주거리를 확보현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8방향 이동시 각 방향의 택트 스위치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6은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이동시 오타의 발생 가 능성이 높아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서쪽 공주거리 한계선상에 놓인 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기존의 8방향 시스템에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를 적용한 일례를 도시한 도 면
도 39는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미세처짐현상을 막기위해 코일스프링을 적용했을 때와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했을 때, 최종 작동스위치의 택감을 그래프로 비교한 도면.
도 40은 4접지 조합식 시스템에서 이중자석과 강구를 모두 적용하지 않고, 이중자 석만을 적용했을때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4접지 조합식 시스템에서 슬라이더부와 베이스부사이에 마찰력 저감을 위 해 부시를 삽입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부시가 적용된 일반적 형태의 휴대폰용 힌지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슬라이드 입력장치에서 부싱 및 부싱과 대응면이 매끄러운 것과 그렇치 않 은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매끄러운 부싱을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마이크로 슬립현상과 이로인한 작 동력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에서 강구의 마찰력 발 생방지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에서 강구에 의한 마찰 공차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47은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중 이중 자석이 아닌 싱글 자석을 적용하였을때의 마 찰공차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구조에 이중 자석 과 강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에 FPC등 회로물 없이 강구를 통해 직접 수직입력신호를 처리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강구에 구리 또는 금과 같은 도전물질을 도금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에서 이중자석으로 인해 슬라이더부가 쉽게 이탈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해 트래이에 별다른 고정물 없이 담아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에서 외부의 모드 전환 으로 문자입력에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했을때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 면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접지 조합식 시스템에서 섬세한 조작력을 구 현하기 위해 동서남북 각 방향에 2개의 신호입력 터미널을 구비한 것을 나 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four-ground combined slide input structure to which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r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dome fpc as a vertical input method in a four-ground combined slide inp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K (Plastic keypad) Type button and a PCB as a vertical input method in a 4-fold combination slide inp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rge deflection is prevented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on switch when deflection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slider occurs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pparent fine deflection appears after a long time operation by applying a switch with a small operating force so as not to give a load to a finger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 structure is applied and an unused state in order to prevent a discrepancy between a case and a key button of an existing one (z)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etching is performed by adding a hole in order to obscure the phenomenon of fine deflection
Figure 8 shows the actual measured dimensions of both gap values when a fine deflection phenomenon occurs
drawing
Fig. 9 is a drawing introducing a 4-fold serial type slide input structure to examine a coup curve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witch, a base, a frame, and the like in a four-ground,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board on which a vertical input is possible in a slide input device and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witch in each direction and a horizontal input direction of the four-ground in-line type slide input device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ut surface before and after the slider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ur-fold in-line type slide input device
14 is a view showing application of an iron pin which does not generate a magnetic forc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a tact switch operating force
1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the operating for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lider and the force of the actual operating force and the returning force in the fine deflection sec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ome switch operated by an external vertical load;
17 is a graph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an expected deflection amount and an actual deflection amount of an operation switch for applying a tactile sensation applied to the slide input device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ide in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by touching in a 4-fold combinatio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ur-ground combination formula in which a spring is used instead of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to prevent micro-sagging
20 is a view showing an actual operating force curve of a slide input device to which a spring is applied to prevent fine deflection
21 is a view showing that the magnets of the slider portion and the magnets of the base portion are arbitrarily changed to ordinary steel balls having no magnetic force in order to understand a process in which a horizontal signal is not reliably transmitted by a spring,
Fig. 22 is a view showing a four-joint combination type in which a spring is applied instead of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for preventing micro sagging;
23 is a diagram showing that when the user intends to input a character, the processing apparatus arbitrarily arranges horizontal and vertical signals in arbitrary character processing and results in different results
FIG. 24 is a view showing a slid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gnet, a steel ball, and a frame
FIG. 2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operating force in the diagonal direction operation of the four-ground combin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therefrom
Fig. 26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final operating curves when a spring is applied to prevent fine deflection and when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re applied; Fig.
27 is a view showing a frame as a constituent factor of a four-ground combina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of a slider portion, a magnet of a base portion, a steel ball, a tact switch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2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by the 4-fold combinatio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mis-typ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four-folded combined let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ing and the output value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when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re applied and when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re applied in the 4-ground combination type or 4-ground parallel type and 8- Drawings showing differences
3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8-ground tandem type is introduced to examine the concept of a princess distance;
3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act switches in each direction when there is no prime distance in the 8-ground tandem system.
Fig. 33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act switches in each direction when the princess distance is secured in the 8-ground tandem system. Fig.
34 shows princess distance, working distance, and buffer distance in an 8-wire in-line system.
Fig. 35 is a view showing that the tact switches in each direction operate independently in eight directions when the prism distance is secured; Fig.
Fig. 36 is a diagram showing a phenomenon in which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misfit becomes higher when the slider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8-ground in-line system. Fig.
37 is a drawing showing a trigger placed on the west princess distance limit line
3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structure are applied to an existing eight-
Fig. 39 is a graph comparing the tactile sensation of the final operating switch when a coil spring is applied and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re applied in order to prevent micro-sagging phenomenon in an 8-wire in-line system.
Fig. 40 shows a case where only double magnetism is applied without applying both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in a four-ground combination system; Fig.
41 is a view showing insertion of a bush for reducing frictional force between a slider part and a base part in a four-ground combination system;
Fig. 42 is a view showing a hinge for a cellular phone to which a bush is applied; Fig.
Fig. 43 shows that the bushing and the bushing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are not smooth in the slide input device; Fig.
44 is a view showing a micro-slip phenomenon and a deformation state of a working force resulting from application of a smooth bushing.
45 is a view showing a friction force generation prevention method of a steel ball in a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graph showing a friction tolerance due to steel balls in a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7 is a graph showing a friction tolerance when a single magnet, not a double magnet, is applied to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structure; FIG.
FIG. 48 is a view showing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pplied to a four-ground combination slide inp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9 is a graph showing that a steel ball is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gold to transmit a vertical input signal directly to a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a steel ball without a circuit such as an FPC in a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50 is a view illustrating movement of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use of any other fixture, due to the fact that the slider portion does not easily come off due to the double magnet.
FIG. 51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 when switching from a character input mode to a mouse input mode by an external mode change in a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signal input terminals are provided in the directions of north, south, south, east and south to implement a delicate operating force in a four-ground comb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precedents of users, operator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삼차원키패드 입력(Three dimensional input)시스템이란, 인식 가능한 입력 방향(추,axis)을 1방향에서 3방향으로 확장시킨 장치를 말하며, 기존의 수직입력식 버턴 키패드는 인식 가능한 입력이 수직방향 1개이므로, 일차원 키패드(One dimensional input)라 말한다. The three-dimensional input syst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 device in which the recognizable input direction (weight, axis) is extended from one direction to three directions. The conventional vertical input type keypad is a device in which the recognizable input is vertical One direction is called a one-dimensional keypad (One dimensional input).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란, 터미널, 자석등을 안착시키고, 나아가,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리모콘등의 최종 입력기기에 정확히 안착 될 수 있도록 정렬 돌기나 홀 등을 포함하는 부품을 칭힌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base" refers to a component including an alignment projection, a hole, and the like so that a terminal, a magnet, and the like can be seated and the slide input device can be accurately seated in a final input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부란, 베이스 파트에 터미널, 자석등의 부품이 모두 장착된 상태를 칭힌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e por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parts such as a terminal and a magnet are all mounted on the base part.

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드란, 프레임에 의해 항상 베이스에 직교하면서, 수직입력용 회로부품, GND터미널,자석 등을 안착시킬 수 있는 부품을 칭힌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slide" refers to a component which is always orthogonal to the base by a frame, and is capable of placing a vertical input circuit component, a GND terminal, a magnet,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드부란, 슬라이드 단품 파트에 터미널, 자석, 회로PCB, FPC등의 부품이 모두 장착된 상태를 칭힌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lide por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all components such as a terminal, a magnet, a circuit PCB, and an FPC are mounted on a single part of a slide.

명세서 전체에서, 수직입력신호라 할 때, 수직입력축은 x,y,z축 중 z축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vertical input signal is referred to, the vertical input axis means the x, y, and z-axis.

명세서 전체에서, 수평방향은 x,y,z축중 xy평면상의 방향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on the xy plane in the x, y, and z axes.

명세서 전체에서, 수평입력정보는 XY축방향의 행위 과정 혹은 결과로 이루어진 신호를 의미하고, 수직입력정보는 Z축방향의 행위 과정 혹은 결과로 이루어진 신호를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the horizontal input information means a signal in the XY axis direction or a result signal, and the vertical input information means a signal in the Z axis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베이스에 대해 평행 이동을 한다고 하면 xy평면에서 베이스를 기준으로 자체 회전 없이 항상 평행하게 이동함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paralle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means that it always moves in parallel with the base in the xy plane without self-rotation.

명세서 전체에서, 동시입력 삼차원키패드(Three dimensional input with simultaneous operations)는 한 개의 문자를 만들기 위한 수직방향 입력신호와 수평방향 입력신호를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ee-dimensional input with simultaneous operations means outputting characters in a vertical direction input signal and a horizontal direction input signal in order to make one character, without regard to order.

본 명세서에서 통상 삼차원 키패드입력 시스템이라 하면, 동시입력 삼차원 키패드를 의미한다. In the specification, a three-dimensional keypad input system generally refers to a simultaneous input three-dimensional keypad.

명세서 전체에서, 순차입력 삼차원키패드(Three dimensional input with sequential sperations)는 한 개의 문자를 만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수직방향 입력신호와 수평방향 입력신호를 순서를 고려하여, 순서에 따라 다른 문자신호로 출력함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hree-dimensional input with sequential sperations outputs a vertical direction input signal and a horizontal direction input signal by a user in order of a different character signal in order to make one character .

명세서 전체에서, 트리거(trigger)는 베이스에 있는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부의 돌기를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rigger refers to the projection of the slider portion to actuate the actuating switch in the base.

명세서 전체에서, 슬라이더부는 xy평면상으로 프레임에 의해서 베이스에 대해 항상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을 하는 회로기판, 고정제(스크류,접착제,양면테이프등),회로물(터미널등)등을 포함할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lider portion includes a circuit board, a fixing agent (a screw, an adhesive,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provided on a slider that is provided on a slider that always moves parallel to the base by a frame on an xy plane, ), And the like.

명세서 전체에서, 택감이란 스위치가 작동한 지점에서 작동력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손가락이 스위치의 동작을 인지할 수 있는 작동력을 뜻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hacking refers to the operating force at which the finger is able to perceive the operation of the switch due to a sharp decrease in operating force at the point where the switch is actuated.

명세서 전체에서, 강구란 강철 재질의 볼이 아닌 비교적 강한 재질로 구성된 볼을 뜻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teel ball refers to a ball made of a relatively strong material rather than a steel ball.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로 슬립이란, 슬라이더와 프레임간, 프레임과 베이스간, 베이스와 슬라이더간 표면끼리 마찰로 인해 불규칙한 마찰력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micro-slip means that irregular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lider and the frame, between the frame and the base, an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본 명세서에서, 택감곡선이란, 작동스위치의 operating point 및 Yan 포인트중 작동스위치가 눌려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작동감이 끝날때까지의 시점을 위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ysteresis curve means a point in time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starts to be pressed to when the operating point of the operating switch and the operating point of the operating point start to end.

본 명세서에서, 강구란, 일반적인 steel ball만을 단순히 지칭 하는 것이 아닌, 세라믹, 플라스티과 같은 물성이 있는 타 재질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teel balls include not only general steel balls but also other materials hav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eramics and plastics.

여기서 직렬식이란, 동서남북 4개 기본 방향과 북서,북동,남서,남동 4개 대각선 방향중 4개 기본방향의 택감을 4개 기본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작동스위치로 구현하는 것을 직렬식이라 한다. 택감을 4개 기본방향의 작동스위치가 아닌 별도의 작동스위치로 구현하는 것을 조합식이라 한다. Here, the tandem type is referred to as a tandem type in which four basic directions of four basic directions of north, south, west, north, south, south, east and south are implemented by operating switches arranged in four basic directions. It is called combinational type that the tactile sense is realized by a separate operation switch instead of four basic directional operation switches.

본 명세서에서, 8접지 직렬식은 프레임에 의해 항상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8개 방향으로 서로 다른 독립적 신호를 낼수 있으며, 8개의 택감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8-wire in-line type slider, which always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rame, can output independent signals different in eight directions, and has eight tactile switches.

본 명세서에서, 4접지 직렬식은 프레임에 의해 항상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8개의 방향신호를 4개의 독립적 접지신호로 서로 다른 신호를 낼수 있으며, 4개의 택감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our-ground tandem type includes that the slider always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rame can emit eight different direction signals as four independent ground signals and four tactile switches.

본 명세서에서, 4접지 조합식은 서로 다른 신호를 낼수 있는 방향이 총 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방향으로 택감을 낼수 있는 스위치는 한 개 혹은 다수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our-ground combination formula consists of eight directions in which different signals can be output, and a switch capable of taking a tangential direction in these directions means a system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switches.

본 명세서 전체에서 슬라이드 문자입력장치를 8접지 직렬식, 4접지 직렬식, 4접지 조합식의 3개로 구분하는 이유는 3개의 방식 자체를 구분 짓기 위함이 아니라, 이중자석과 강구가 시스템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도시하기 위함임을 명확히 해둔다. The reason for dividing the slide character input device into three pieces of 8-fold serial type, 4-fold serial type, and 4-fold combination typ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s not to distinguish the three types themselves, but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It is clear that this is to show if differences occur.

본 명세서에서, 택감곡선이란, 누르는 힘과 복귀하는 힘이 같은 push switch, hook switch등과 구별하여, 동작력과 복귀력이 다른 작동스위치에서 스위치가 받는 힘에 따른 시간 대비 독특한 동작력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지칭한다. 또한 이 그래프는 스위치가 접촉하기 위한 최소의 힘을 지칭하는 동작력과 스위치가 접촉된 상태에서 단락되기 위한 최대의 힘을 지칭하는 복귀력 모두의 곡선을 지칭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ysteresis curve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unique operation force versus time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to a switch in an operation switch having a different operating force and a different returning force from a push switch and a hook switch in which the pressing force and the returning for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Quot; This graph also refers to both the operating force referencing the minimum force for the switch to contact and the return force referencing the maximum force to be shorted when the switch is in contact.

슬라이드 입력장치에서 수평작동력과 수직작동력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슬라이드 입력장치는 수직입력과 수평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수직입력과 수평입력정보를 입력순서에 구별 없이 적용하는 동시입력 삼차원키패드를 살펴보면,동시입력식 삼차원키패드의 경우, 편리성의 측면에서 수직입력신호와 수평입력신호의 입력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입력지연에 따른 오타의 발생현상도 현저히 줄어들고, 문장입력 속도 자체도 빨라진다. 이렇게 수직입력신호와 수평입력신호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손가락에 의한 입력시, 수직입력신호와 수평입력신호가 치우침 없이 평행을 이루어야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operating force and the vertical operating force in the slide input device will be described. A slide input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based on vertical input and horizontal input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simultaneous input type three-dimensional keypad in which the vertical input and the horizontal input information are applied without distinction to the input order, the inputting of the vertical input signal and the horizontal input signal in the simultaneous input type three- Ideal. When the input is made 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the typos due to the input dela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input speed of the sentence becomes faster. In order for the vertical input signal and the horizontal input signal to be simultaneously input, the vertical input signal and the horizontal input signal must be parallel to each other when shifted by the finger.

이러한 평행은 막연히 수직입력신호를 담당하는 작동스위치의 작동력과 수평입력신호를 담당하는 작동스위치의 작동력을 같게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Such parallelism does not mean that the actuating force of the actuating switch which is vaguely in charge of the vertical input signal is equal to the actuating force of the actuating switch which is in charge of the horizontal input signal.

손가락이 버턴을 누르는 것은 버턴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비교적 큰 작동력도 무리 없이 입력이 가능하지만, 손가락이 버턴을 미는 것는 버턴의 작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큰 작동력은 무리가 오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작동력의 평형을 생각할때는 먼저 수직수평작동보정계수를 생각해야 한다. The finger pressing the button is per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utton. The relatively large operating force can be input without difficulty, but the finger pushing the butt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utton, The crowd comes.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equilibrium of the operat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l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ope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should be considered.

여기서 수직입력의 숫자가 한 개거나 없을 때를 일반 슬라이드 입력장치라 하고, 수직입력을 담당하는 비턴의 수가 2개 이상일 경우를 삼차원키패드라 정한다.  Here,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vertical inputs is one or not is referred to as a general slide input device, and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vertices responsible for vertical input is two or more is defined as a three-dimensional keypa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항 작동거리(101)를 1.0mm로 정한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구조에서, 이상적인 조작력을 구현하기위해 수평입력(108,109)과 수직입력(107)의 균형을 생각하면, 수직방향입력버턴(102)에 대응하는 수직 돔스위치의 작동력(103)을 120g으로 선정했다고 하면, 그에 대응하는 수평입력의 힘(104)은 In the four-fold combination slide input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square working distance 101 is set to 1.0 mm as shown in FIG. 1, the balance between the horizontal inputs 108 and 109 and the vertical input 107 is considered to realize an ideal operation force. If the operating force 103 of the vertical dom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input button 102 is selected to be 120 g, then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input force 104

40g정도로 하고, 이때 수직수평작동보정계수는 0.3이 된다. 여기서 Z축(107)수직입력 작동력(103)을 100g으로 변경하면, 수직수평작동보정계수를 고려하여, xy평면(108,109)상의 수평입력의 힘은 30g정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40 g,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operation correction coefficient is 0.3. When the Z-axis 107 vertical input operating force 103 is changed to 100 g, the horizontal input force on the xy plane 108, 109 is about 30 g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ope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이렇게 되면, 어느 한쪽의 작동력이 증가되거나 감소되도, 수직수평작동보정계수로 인해, 수직(107), 수평(108,109) 어느 한쪽으로 입력의 편중 없이, 편리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In this way, even if the operating force of either one is increased or decreased, a convenient character input is possible without a bias of input in either the vertical (107) or horizontal (108,109) due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ope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문자입력장치는 수직입력 장치로서 돔 및 fpc를 포함할수 있다. 수직입력 장치인 돔(120)및 돔의 스위치를 전달하는 FPC(121)의 예를 들어보면, 현재 휴대폰 및 리모콘 자판입력에 적용되는 dome은 120g,180g,210g,As shown in FIG. 2, the slide character input device may include a dome and an fpc as vertical input devices. For example, the dome 120, which is a vertical input device, and the FPC 121, which transmits a switch of a dome, are 120 g, 180 g, 210 g,

280g 정도의 4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결합 되는 고무키패드의 경도(hardness)차이에 따라서, 저항력이 틀려져, 같은 210gf의 돔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최종 작동력은 280gf~360gf까지 다양하다. 이것은 기존의 일차원키패드의 수직입력 장치라 하더라도, 나라,연령,성별 등으로 차이가 심해, 이상적인 수치를 따지기가 매우 힘들다는 것이다. 다만 여기서, 수직수평작동보정계수라는 생소한 개념을 도입한 것은 이러한 계수 자체를 설명하는 것보다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기재된 슬라이드 작동력의 이해를 돕기위한 것임을 명확히 해 둔다. 슬라이드 입력장치에서의 미세처짐이 발생하는 환경에 대해 살펴보면,PC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의 입력환경과 상이하다. Four of 280g are mainly used. Depending on the hardness difference of the rubber keypad bonded thereto, the resistance is different, and even if a dome of 210 gf is used, the final operating force of the user varies from 280 gf to 360 gf. Even if it is a vertical input device of a conventional one-dimensional keypad, it is very difficult to calculate an ideal value because it is very different from country, age, and sex. Her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unfamiliar concept of vertical and horizontal operation correction coefficients is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slide operating force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ather than describing such a coefficient itself. An environment where fine deflection occurs in the slide input device differs from an input environment of an input device such as a PC keyboard.

PC 키보드의 경우 대부분이 책상위에 두고, 평면상에서 입력을 하게 되지만,슬라이드 입력장치가 주로 사용되는 경우는 대부분이 세로로 세워져 있는 상태 혹은 비스듬하게 하여 사용을 하게 된다. 심지어 지면에 거꾸로 된 채로 조작을 하는 경우도 생각을 할수 있다.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졌을때, 삼차원 키패드 시스템의 일례로, 4방향 조합식의 예를 들면, 수평일 때와는 달리, 수직으로 세울 때,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자체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처짐이 일어난다. Most of the PC keyboards are placed on a desk and input on a flat surface. However, when a slide input device is mainly used, most of the keyboards are vertically erected or used obliquely. You can even think of manipulating it upside down on the ground. In the case of a three-dimensional keypad system, when it is erected vertically to the ground, unlike the four-directional combination, for example, when it is vertical, the slider is deflected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slider itself .

도 3은 수직입력장치로 PK타입 버턴(125)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도시한다. 처짐발생의 예를 보기 위해 도 3에서 슬라이더상의 회로기판(126),키패드사출물(125) 및 돔스위치(127)등을 탈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3 shows a slide input device including a PK type button 125 as a vertical input device. 3 shows a process of removing the circuit board 126, the keypad injection object 125, the dome switch 127, and the like on the slider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자체는 평면(xy)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직으로 세울 경우,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짐(135)이 발생한다. 도 4에서는 슬라이더(133)가 자중에 의해 1.0mm의 처짐량(132,135)으로 내려가기 전(130)과 후(131) 형상을 도시하였다. 4방향 조합식 입력장치의 경우, 와이어등으로 연결된 외부 택트 스위치의 작동력(136,137)의 큰 처짐 발생은 자체적으로 막아준다. 비단 4방향 조합식 입력장치뿐 아니라, 4방향 직렬식, 8방향 직렬식의 경우도, 작동 스위치의 작동력으로 비교적 큰 처짐은 막아 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since the slider itself can move in a plane (xy) direction, when it is vertically erected, it is deflected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FIG. 4 shows the shape before and after the slider 133 is lowered to the deflection amounts 132 and 135 of 1.0 mm by its own weight. In the case of the four-directional combination input device, large deflection of the operating force (136,137) of the external tact switch connected by a wire or the like is prevented by itself. In the case of a four-way combination input device, as well as a four-way tandem type and an eight-way tandem type, a relatively large deflection can be prevented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switch.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40)은 문자입력이 가능한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내부에 있는 슬라이드 방향 작동스위치의 저항력으로 인해, 큰 처짐량은 없지만, 리모콘을 세우지 않았는데도, 약간의 처짐이 발생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수직입력버턴을 포함하는 슬라이더가 베이스를 기준으로 동작 후 정위치에 못한 것으로, 예민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세로방향의 갭(141)과 가로방향의 갭(142)의 차이를 비교적 쉽게 알아낼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remote controller 140 includes a slide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There is no large deflection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slide direction operation switch in the inside, but a slight deflection is shown even though the remote control is not erected. This is because the slider including the vertical input button is not in the correct position after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Even if the user is not a sensitive us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gap 141 and the horizontal gap 142 can be relatively easily found.

도 6에서는 보편적인 일축입력키패드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일축입력키패드를 적용하는 입력기기(150)에서는 입력 방향(151)에 대해서 물리적 버턴(152)의 복귀(156)가 외관 gap문제와 결부되지 않는다. 이것은 이상적인 수평방향 입력 작동스트로크가 0.5mm라고 한다면 그때의 수직방향 입력 스트로크(153)는 0.15mm정도로 수평방향 입력 스트로크에 비해 작고, 또한 작동버턴이 외부 디자인 gap방향(154)과 입력방향(151)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굳이 안착서스(155), 필름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의 완료후 키패드의 Z축방향 눌림량을 쉽게 보정하지 않더라도, 문제의 소지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Figure 6 shows a cross section of a universal uniaxial input keypad. 6, the return 156 of the physical button 152 is not associated with the apparent gap problem in the input direction 151 of the input device 150 using the conventional uniaxial input keypad. If the ideal horizontal direction input stroke is 0.5 mm, then the vertical direction input stroke 153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input stroke by about 0.15 mm, and if the actuating button is in the outer design gap direction 154 and the input direction 151,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Z-axis direction pressing amount of the keypad is not easily corrected after completion of the oper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mounting seat 155, film.

도 6을 참조하면, 수평방향의 sus(149,160)의 유무로 양산 불가능한 구조와 양산 가능한 구조의 차이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양산이 불가능한 구조나 가능한 구조 모두 버턴을 누르는 기능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실제 테스트 결과를 보면, sus구조가 있는 상태에서 sus구조물 장착에 의한 저항력 상승으로 인해 5gf의 작동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같은 작동력의 돔스위치(180gf)를 적용하였을 때, 서스가 없는 구조의 최종 클릭률테스트 결과값은 260gf~280gf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반해 서스가 있는 구조의 최종 클릭률 테스트 결과값은 265gf~285fg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출 및 제작 조건에 따른 작동력 편차를 감안하면, 둘 다 기능상에는 아무런 하자가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non-mass-producible structure and a mass-producible structure du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s (149, 1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press the button in both the structure that can not be mass-produced and the structure that is possible. Specifically, the actual test results show that the operating force of 5 gf tends to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us structure in the presence of the sus structure. When the dome switch (180 gf) with the same operating force is applied, the final CTR results of the chassis-free structure will have a value of 260 gf to 280 gf. On the other hand, the final CTR test result of the structure with the cusp has a value of 265gf ~ 285fg.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no defect in the function in view of the operating force variation according to general injection and production conditions.

하지만, 현재 국내 및 중국, 북미등에서 상기PK타입 키패드는 양산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서스구조가 없을경우, 키패드가 부분적으로 주위 시료케이스와 버턴작동후 불일치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키패드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버턴이 작동후 자연적으로 올라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버턴부와 케이스의 불일치 현상은 문제발생이후에도 기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님은 자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제조사가 상기 일축 키패드의 양산을 금지하는 이유는 이러한 버턴부와 케이스 사이의 정렬이 상품성에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However, at present, the PK type keypad can not be mass-produced in Korea, China, and North America. This is because, in the absence of a chassis structure, the keypad may be partially inconsistent after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ample case and the button, and the button located midway of the keypad may naturally rise after operation. It is obvious that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button and the case is not a factor affecting the function even after the problem occurs. Nevertheless, each manufacturer prohibits the mass production of the unilateral keypad because the alignment between the button part and the case is very closely linked to the merchantability.

도 7에서는 슬라이드 문자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입력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뿐 아니라, 디자인 gap인 수평방향으로도 입력신호를 위해 움직이는 슬라이드 입력장치의 경우, 이것은 제품의 상품성에 곧바로 직결된다. 일반적으로 일축 키패드의 경우, 버턴과 외관 케이스의 gap에 대한 공차가 0.05mm이상이 될 경우, 외관 불량이 된다. 다시 말해, 키패드 버턴 assy가 0.05mm 옆으로 쏠려 있는 경우, 불량처리가 될수 있다. 이것은 제조사가 일방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제품을 받아 보고 일반적인 하자로 반품을 하는 기준이 된다. 도7에서는 8방향 직렬식에서 갭이 보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에칭(171)을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에칭에 홀(172)을 내, 미세처짐으로 인한 갭 편차를 외관상 최대한 막기 위한 것이다. 7 shows an input device having a slide character input system.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a slide input device which is mov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a design gap, for an input signal, this directly affects the merchantability of the product. Generally, in the case of the uniaxial keypad, when the tolerance for the gap between the button and the outer case is 0.05 mm or more, the appearance becomes defective. In other words, if the keypad button assy is pointing sideways 0.05mm, it can be a bad process. This is not a one-sided decision by the manufacturer, but rather a criterion by which the user receives the product and returns it to the general defects. FIG. 7 shows an example using the etching 171 to prevent the gap from being seen in the 8-way in-line type. And the holes 172 are provided in the etching to prevent the gap deviation due to the fine deflection as much as possible.

도 8에서는 좌우 상이한 gap을 가지는 입력장치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을 사용한다 하여도, 외관상 보여지는 미세처짐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도 8을 참고하면, 좌(161) 우(162)의 gap은 각각 0.7mm, 0.2mm로 이러한 치수는 일반인들이 외관상으로 보기에도 확연히 구분이 될수 있다고 판단한다. 8 shows an input device having left and right gaps. As shown in Fig. 8, even if etching is used, the microscopic deflection itself which is apparent can not be prevented. Referring to FIG. 8, the gaps of the left 161 and right 162 are 0.7 mm and 0.2 mm, respectively, and these dimension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appearance of the general public.

도 9에는 4접지 직렬식 문자입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dome을 작동시키기 위한 Plastic Keypad button(201)을 제거하고, 이후에 수직신호를 받기위한 4개의 dome(202)이 포함된 회로기판(203)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마찰력에 의한 작동력증가등의 현상을 막아 이상적인 택감곡선을 알아보기 위해,Fig. 9 shows a four-fold in-line type character input system. 9, there is shown a process for removing a plastic keypad button 201 for operating a dome and then removing a circuit board 203 including four dome 202 for receiving a vertical signal. Here,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increase in operating force due to frictional force,

4개의 모서리(204)에 각각 강구(205)를 배치하였다. And the steel balls 205 are disposed on the four corners 204, respectively.

도 10에는 슬라이더(210)의 수평이동에 따른 동,서,남,북의 신호를 입력할수 있는 작동스위치(211) 4개와 작동스위치를 고정하는 베이스(213) 및 베이스에 대해 항상 슬라이더가 평행이동 하도록 움직이게 하는 프레임(212)을 도시하였다. 10, four operation switches 211 for inputting signals of east, west,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er 210, a base 213 for fixing the operation switch, Gt; 212 < / RTI >

도 11에는, 사용자가 1번 버턴(220)을 누른후, 북서쪽 방향(221)으로 버턴을 밀어 b(222)라는 글자를 치려고 한다면, 사용자는 회로기판(223)상에 1번 키패드 버턴(220)에 해당하는 돔 스위치(224)를 수직방향으로 눌러야 함을 도시한다. 11,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button 220 and then pushes the button in the northwest direction 221 to display a character b (222), the user presses the first keypad button 220 (220) on the circuit board 223, The dome switch 224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224 should be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2에는 사용자가 북서쪽에 있는 글자 b(222)를 입력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과정을 보기 위해 절개(320)한 모습을 나타낸다. FIG. 12 shows an incision 320 of the user to see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nter the letter b 222 in the northwest.

여기서, 대각선(321) 방향으로 슬라이더(322)를 이동할 경우, 이동방향과 각각Here, when the slider 32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diagonal line 321,

반대쪽에 있는 동쪽 작동 스위치(325)와 남쪽 작동스위치(326) 2개가On the opposite side, the east operating switch 325 and the two south operating switches 326

눌리게 된다. 이러한 위치는 GND혹은 다른 조건에 따라 바뀔수 있음은 자명하다. . It is obvious that this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GND or other conditions.

도 13에는 대각선 방향(321)으로 슬라이더를 이동하기 전(330)과 후(331)의 절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FIG. 13 shows cut surfaces before and after the slider is moved in the diagonal direction 321, respectively.

도 14에는 슬라이더를 이동한 후의 절단면을 보면 베이스(341)를 기준으로 강구(342)와 슬라이더(343)가 각각 distance1(344), distance2(345)의 거리로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된 내용을 설명하자면, 대각선 방향(350)으로 슬라이더가 이동한 후 슬라이더(343)와 슬라이더에 포함된 철핀(346),14 shows that the steel ball 342 and the slider 343 are moved to a distance of distance 1 (344) and distance 2 (345),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base 341 as viewed from the cut surface after moving the slider. More specifically, after the slider moves in the diagonal direction 350, the slider 343 and the iron pins 346,

강구 (342), 베이스(341)에 포함된 철핀(347) 및 슬라이더를 평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348)을 도시하였다.A steel ball 342 included in the base 341, and a frame 348 for moving the slider in the parallel direction.

여기에서는 후술할 이중자석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자석핀 대신 자력의 영향이 없는 철핀(346,347)으로 대체 적용하였다. Here,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double magnet described later, instead of the magnet pin, it is replaced with the iron pin (346, 347) which has no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도 15에서는, 앞서 도 14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이동할 경우 작동하게 되는 , 남쪽 스위치와 동쪽 스위치에 대한 작동력과 복귀력 곡선 중 남쪽에 위치한 작동스위치의 작동력(actuation force)및 복귀력 곡선을 도시한다. Fig. 15 shows the actuation force and the return force curve of the operating switch located on the south side of the return force curve and the operating force on the south switch and the east switch, which is operated when the slider is mov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Fig. 14 .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에서는 슬라이더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더의 이동이 시작되는 거리 d1, 택트스위치가 작동되는 거리 d2, 택감이 완료되는 거리 d3로 나누고 이에 따른 작동력(380), 복귀력(381)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전체 동작영역에서 작동스위치의 복귀력(381)은 작동력(380)에 비해 절반 정도의 작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미세처짐이 일어나는 구간(382)을 살펴보면, d1,d2,d3 전 부분에 걸쳐, 미세처짐이 실제로 발생하는 구간(382)에서 작동력(380)과 복귀력(381)은 둘 다 그 값이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구비된 리모컨이 세워져 있을 경우, 슬라이더부의 총무게가 20gf이라고 한다면, 작동스위치는 슬라이더부의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15, the distance d1 at which the slider starts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lider, the distance d2 at which the tact switch is operated, and the distance d3 at which the tactile sensation is completed are divided into an operating force 380 and a returning force 381 ) Are shown in the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return force 381 of the operation switch in the entire operation region has a value about half that of the operating force 380. [ In the section 382 in which the fine deflection takes place, both the operating force 380 and the returning force 381 are very small in the section 382 in which the fine deflection actually occurs over the entire portion of d1, d2, and d3 . If the total weight of the slider portion is 20 gf when the remote controller provided with the actual slide input device is erected, the operation switch can not defeat the self weight of the slider portion and is deflected.

도 16에는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에 우레탄 돌기(392)가 추가된 돔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다. 그림에서 돔스위치는 외부의 힘에는 큰 저항력을 발휘하지만, 돔의 형상이 변형되고 난 후 자체적인 복원시에는 큰 저항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16 shows the operation of the dome switch to which the urethane projections 392 are added to the general tact switch. In the figure, the dome switch exhibits a large resistance to external forces, but does not exhibit a large resistance when the dome is deformed after its own restoration. therefore

작동력(390)과 복원력(391)의 차이가 생긴다. 문자입력후에 슬라이더는 작동력곡선이 아닌 복귀력곡선을 따르는데, 이것은 작동력에 쓰이는 스위치는 택감을 갖기 때문이다. 택감은 작동력을 주는 형상의 특성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는 외부힘에 따라 버티는 힘(393)이 발생하지만, 그 순간이 지나고 나면, 금방 허물어진다.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force 390 and the restoring force 391. After entering a character, the slider follows the return force curve, not the operating force curve, because the switch used for operating force has a hysteresi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that gives the operating force, the tactile force (393) stays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up to a certain extent, but when the moment passes, it quickly breaks down.

하지만, 복귀를 하는 경우, 다시 말해 무너진 형상으로부터 원 형상으로 복원(391)되는 경우에는 형상에 따른 힘이 통상 약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returning, that is, in the case of restoring 391 from the collapsed shape to the circular shape, the force depending on the shape is usually weak.

도 17을 참고하면, 택감은 작동만곡점(485)과 작동저점(484)의 차이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데, 통상 작동만곡점(485)의 힘과 작동저점(484)의 힘 차이가 크면 택감의 감도는 우수해 진다. 다시 말해 돔이 뒤집히는 느낌을 손끝으로 전달받아 사람이 스위치가 작동했음을 좀더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복원력은 형상 자체의 힘이 아닌, 통상의 경우 재질의 고유 탄성력에 의해 나온다. 이러한 탄성 값은 복원력뿐 아니라, 작동력에서도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것은 전체 작동력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복원력을 크게 할 경우, 최대 작동력에서 재질의 탄성에 의한 힘의 비중이 증기하고, 이것으로 택감의 감도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복귀를 하는 경우를 다시 살펴보면, 슬라이더를 대각선방향으로 밀어 문자를 입력할때는 손가락의 힘이 작동하지만, 복귀를 할 때는 슬라이더부의 무게를 정위치에 오게 하는데, 작동스위치의 복귀력을 사용하게 된다. 17, the tactile sense can b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curve point 485 and the operating bottom point 484, and typically the greater the forc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curve point 485 and the operating bottom point 484, The sensitivity becomes excellent. In other words, the sense of turning the dome upside down at your fingertips means that the person can more clearly recognize that the switch is working. The restoring force is not due to the force of the shape itself, but usually due to the inherent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This elasticity value is a major factor not only in restoring force but also in operating force. This is because, when the overall operating force is taken as a reference, when the restoring force is increas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orc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is increased at the maximum operating force. If we look back at the case of returning, the force of the finger is activated when the slider is pushed in diagonal direction, but the return force of the operation switch is used to return the weight of the slider to the correct position.

돔은 자체의 형상이 누르는 힘에는 큰 저항력을 발휘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눌려진후, 형상이 복귀할때는 큰 힘이 발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일 예에서 돔을 예로 들었지만, 일반 작동스위치에 들어있는 리프스프링, 코일복합식스프링등 작동스위치에 들어있는 다른 예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The dome is designed to exert a great resistance to the force of its own shape. However, when the shape is returned after being pressed, a large force can not be exerted. In the example, the dome is taken as an example, but other examples in operation switches such as a leaf spring and a coil combined spring in a general operation switch are similar.

이러한 형상으로 만드는 이유는 위에 도시한 일 예의 경우 돔이 뒤집히는 느낌을 전체 작동력부분에서 크게 하여,손끝에 손가락 힘의 증가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Feedback)을 주어, 정확하고 빠른 문자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작동되었을때, 신호처리를 위한 접점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돔 형상이 외부 힘에 의해 반응하는 데는 높은 저항을 가지도록 되어있지만, 돔의 형상이 복원되는 시점에서는 큰 힘이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The reason for making such a shape is that, in the case of the example shown above, the feeling of upside-down of the dome is increased in the entire operating force portion, and accurate feedback of the increase of the finger force on the fingertip is given, , To maximize contact stability for signal processing when activated. The dome shape is supposed to have a high resistance to react by external force, but a large force can not be exerted at the time when the shape of the dome is restored.

도 17을 참고하여, 이번에는 슬라이더의 무게에 의한 처짐이 아닌 작동스위치 동작후의 처짐 현상을 보면, 도 17에서 동작후의 처짐량(481)은 예상처짐량(480)보다 더 커진다. 이것은 앞서 말한 대로 슬라이더부의 처짐은 작동력(482)곡선이 아닌 복귀력(483)곡선을 따르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17, the deflection amount 481 after the operation in Fig. 17 is larger than the expected deflection amount 480 in this case, not the deflec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slider but the deflection phenomenon after the operation switch operation. This is because, as mentioned above, the deflection of the slider portion follows the return force 483 curve rather than the operating force 482 curve.

따라서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슬라이드 입력 기술을 적용하면, 작은 복귀력으로 인해, 미세처짐발생이 발생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특히, 슬라이더부에 LCD모쥴이나, LED,진동모터와 같은 회로물을 추가할 경우, 이러한 미세처짐현상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micro-deflection occurs due to a small return force when various slide input techniques are used. Particularly, when adding circuits such as LCD modules, LEDs, and vibration motors to the slider part, this fine sagging phenomenon will cause more problems.

도 18에는 수직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PCB회로를 더 많은 정보를 유연하게 입력할수 있는 LCD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한 상태를 도시한다.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a PCB circuit capable of transmitting a vertical input signal is replaced with an LCD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more information with flexibility.

그림에서는 LCD 터치스크린(500)이 슬라이더부(501)에 고정되어 있다. LCD스크린의 터치입력 부위(502)는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어, 나누어진 구역에 터치정보가 입력될경우, 입력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슬라이더부는 LCD모쥴 뿐 아니라, 자석In the figure, the LCD touch screen 500 is fixed to the slider portion 501. The touch input area 502 of the LCD screen is divided into four areas, and when the touch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ivided area, the input signal is processed. The slider part is not only an LCD module,

(503)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회로물의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무게에도 처짐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제시방법으로 할 경우, 상당한 량의 복원력이 필요로 하게 되고, 이것은 결국, 무거운 수평방향의 조작력을 만들게 된다. 현재 다양한 슬라이드 입력방식 기술이 제시되었지만, 최대 수평 작동력 100g미만의 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문자입력을 한후 원위치까지 0.2mm이내의 미세 처짐 현상을 막을수 있는 기술은 제시되지 못한 상태이다. (503). In such a case, since the weight of the circuit becomes heavy,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such a weight, when a conventional presentation method is used, a considerable amount of restoring force is required, which eventually results in a heavy horizontal operating force . Although various slide input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here is no technique to prevent micro-sagging within 0.2 mm from the original position afte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region having a maximum horizontal operating force of less than 100 g.

여기서는 최대 작동력 100g미만의 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문자입력을 한후, 원위치까지 오차범위로 ±0.005mm 이내까지 미세 처짐현상을 막을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o prevent micro-sagging within ± 0.005mm in the error range from the original inp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egion with the maximum operating force of less than 100g.

미세처짐으로 발생할수 있는 문자입력 에러현상을 알아본다. 문자입력에서 택트스위치의 택감곡선은 매우 중요하다. 일축키패드에서는 수직방향의 택감 한 개의 인자로 문자입력이 결정되며, 이것은 약간의 피드백으로도 가능하다. 일축 키패드의 한 종류인 터치LCD모쥴은 택감대신, 그 방향의 문자가 눌리면, 눌린 영역의 글자를 화면상에 크게 표시하거나, 작동음을 임의로 내는 등의 수단으로 비교적 편리하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다. Find out the character input error phenomenon that may occur due to fine deflection. The tactile curve of the tact switch is very important in character input. In the uni-directional keypad, the letter input is determined by a factor of on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also possible with some feedback. The touch LCD module, which is one kind of unilateral keypad, can input characters relatively easily by means of displaying characters on the screen in a large size on the screen or arbitrarily outputting an operation sound when a character in the direction is pressed .

하지만, 삼차원키패드의 경우 수직입력과 수평입력을 동시에 처리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능동적으로 문자의 입력과정을 수직입력,수평입력 모두 손끝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만일 이러한 정보를 제대로 알지 못할 경우, 어느 수평,수직 한쪽 입력만 정확한 시점에 이루어 지지 못해도 오타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three-dimensional keypad, both the vertical input and the horizontal input must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user must actively know the input process of the character at both the vertical input and the horizontal input at the fingertip. If you do not know this information properly, it is possible that typographical errors may occur even if only one horizontal and vertical input is made at the correct tim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문자입력장치에서는 미세처짐이 일어나게 된다. 왜냐하면, 실제 미세처짐현상은 스위치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영역인데, 이 영역에서는 이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중심에 고정시킬수 있는 작동력도 매우 약하기 때문이다.As mentioned above, micro-sagging occurs in general letter input devices. This is because the actual fine deflection phenomenon is the area where the switch starts to operate, because the moving distance in this area is so short that the operating force to fix the slider to the center is also very weak.

도 19에는 4접지 조합식 시스템을 리모콘에 적용한 4접지 조합식 시스템에 세운 상태에서 외관 처짐발생으로 인한 초기 문자입력 오타발생과 문자입력후 마찰력 등으로 인한 슬라이더부의 원점 미복원 현상을 막기 위해 이중자석과 강구 대신 스프링(510)을 대체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19, in order to prevent occurrence of an initial character input omission due to external deflection and restoration of the origin of the slider due to frictional force after inputting characters in a state in which the 4-ground combination system is applied to a 4-ground combination system applied to a remote controller, And a spring 510 instead of a steel ball.

도 20에는 원점상태에서 북서쪽 방향에 할당된 임의의 문자(563)를 입력할 때까지의 4방향 조합식에 적용된 수평입력 스위치, 수직입력 스위치 및 스프링의 작동곡선을 각각 나타냈다. 도 20를 참고하면, 택트스위치는 전형적인 작동력 프로파일(540)를 갖는다. 하지만, 여기에 미세 처짐방지용 스프링이 적용될 경우, 스프링은 탄성계수에 따라 선형적인 그래프(546)를 가지기 때문에 최종 작동력에 대한 20 shows the operation curves of the horizontal input switch, the vertical input switch and the spring applied to the four-direction combination expression from the origin state to the arbitrary character 563 allocated in the north-west direction. Referring to FIG. 20, the tact switch has a typical operating force profile 540. However, when a micro-sag preventing spring is applied thereto, since the spring has a linear graph 546 according to the elastic modulus,

그래프는 직선에 가까운 곡선(549)으로 변하게 된다. The graph changes to a curve 549 that is close to a straight line.

도 20을 참조하면, 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수직입력의 신호는 돔(560)눌림을 택감(562)으로 작동점(561)을 쉽게 알수 있다. 하지만, 미세처짐방지를 위해 스프링을 적용한 경우, 수평신호의 경우는, 택감이 이루어지는 작동점(544)에서 미약했던 스프링 탄성력(547)이 작동저점(548)에서 증가하여 결국Referring to FIG. 20, when the spring is not appli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ng point 561 by sensing the pressing of the dome 560 by the vertical input signal 562. However, when a spring is applied to prevent micro-sagging, in the case of a horizontal signal, the spring elastic force 547 weak at the operating point 544 at which the tactile sense occurs is increased at the operating bottom point 548,

최종 작동력 그래프를 보면, 택트스위치의 택감이 완만(566)하게 변경되었음을 확인할수 있다. 여기서 서쪽 택트스위치의 작동력과 스프링의 거리 변화에 따른 하중 변화를 합친 실제 작동그래프(549)에서는 작동점(563)과 작동저점(564)의 작동력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택트신호의 작동처리과정을 선명하게 알기 힘들게 된다. 또한 스프링은 정작 필요한 미세영역(567)에서 작동력(565)이 작아, 슬라이더를 중심위치에 돌려놓기 위한 저항력 제공에도 실패한것을 그래프를 통해서 알수 있다. 합력의 그래프에서, 전체 작동력은 더 가중되었고, 작동력의 그래프도, 작동구간과 형상붕괴이후의 구간 차이가 작아져, 피드백이 작아져, 손가락 끝을 통한 입력정보의 인식과 예측이 더 힘들게 되었다.  The final actuation force graph shows that the tact switch has changed slightly (566). He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operating force between the operating point 563 and the operating bottom point 564 in the actual operating graph 549 that combines the operating force of the western tact switch and the load variation due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of the spring. In this stat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learly underst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act signal. Also, it can be seen from the graph that the spring 565 is small in the required fine area 567 and thus fails to provide a resistance to return the slider to the center position. In the resultant graph, the total operating force is further weighted, and the graph of the operating for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section and the section after the shape collapse becomes smaller, the feedback becomes smaller and the recognition and prediction of the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fingertip becomes more difficult.

도 21은 정보처리과정에서 이중자석과 강구시스템의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이중자석에 자력이 전혀 없다는 가정을 한다. 정보처리과정에서 수평신호와 수직신호중 수평신호가 스프링에 의해서 택감이 발생되지 않아 문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4접지 조합식의 예를 든다. 모쥴에서 강구(582)는 슬라이더의 운동 마찰력에 의한 추가 문제점등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장착하였고, 슬라이더부의 자석(580)과 베이스부의 자석(581)은 여기서 자력이 전혀 없는 알루미늄 핀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택트스위치(583)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택트스위치는 변위량에 따라 작동을 하여, 이동 변위가 작은 동서남북방향으로 슬라이더가 움직일때는 작동하지 않고, 변위량이 큰 대각선 방향시에는 택트스위치가 작동하여, 대각선 방향 입력시에 택감으로 문자입력을 구별한다. FIG. 21 assumes that there is no magnetic force in the double magnet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system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order to explain the problem that the horizontal signal among the horizontal signal and the vertical signal dur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are not generated by the spring, it is a case of the four-ground combination formula. In the module, the steel ball 582 is mounted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problems due to the dynamic friction of the slider, and the magnet 580 of the slider portion and the magnet 581 of the base portion are here assumed to be aluminum pins having no magnetic force at all. Also, the tact switch 583 connected by a wire assumes that no signal is transmitted. The tact switch operat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displacement, and does not operate when the slider moves in the direction of north, south, east, and south with small displacement, while the tact switch is operated in diagonal direction with a large amount of displacement, .

도 22를 참조하여 신호처리 규칙을 보면, 대각선 방향 문자의 출력은 2개의 서로 다른 터미널 신호(600,601)와 수직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작동하고, 동서남북 방향의 문자출력으로 처리시에는 한 개의 터미널 신호(600)와 한 개의 수직입력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작동함을 도시하였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삼차원 키패드는 동시입력 방식과 순차입력이 있는데, 여기서는 입력의 편리성과 속도등의 이유로 동시입력만을 다룬다고 하였다. 동시입력 시스템에서는 한 개 문자의 생성을 위해 입력되는 수평신호와 수직 신호의 순서를 고려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한 개의 문자만을 출력한다고 하면, 이러한 순서에 의한 오타는 발생하지 않는다. 수평신호와 수직신호는 오직 한 개 문자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22, the output of the diagonal direction character is operated when two different terminal signals 600 and 601 and a vertical input signal are input, and in the case of processing by character output in the north, south, south, and north directions, (600) and when one vertical input signal is input. As mention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keypad has a simultaneous input method and a sequential input. In this case, only the simultaneous input is dealt with because of convenience and speed of the input. In the simultaneous input system, the order of the horizontal signal and the vertical signal input for generating one character is not considered. If the user outputs only one character, no typos in this order will occur. Horizontal and vertical signals are used to make only one character.

하지만, 여러 개의 문자를 만들기 위해 수평,수직 입력을 사용한다면, 연속되어 출력되는 각 문자가 할당하는 수평신호와 수직신호가 무엇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However, if you use horizontal and vertical inputs to create multiple characters, you must determine what horizontal and vertical signals are assigned by each successive output character.

이러한 판단이 되지 않으면, 수평신호와 수직신호는 어떤 문자를 위한 수평신호와 수직신호인지를 연산처리장치가 자의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If such a determination is not made,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will arbitrarily judge which horizontal and vertical signal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gnals are for.

도 23을 참조하면, 작동력 정보가 불분명하여 사용자가 수평방향의 작동처리과정을 제대로 알지 못할 때, 다른 연산처리로 인해 오타가 나는 과정을 알아본다. Referring to FIG. 23, when the operating force information is unclear and the user does not know the operation proce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ocess of misinterpreting due to other opera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도 23에는 사용자가 BC를 의도하여 입력하였을때, 4접지 조합식 입력장치에서 나올수 있는 경우의 수를 도시한다. 이미지상의 사각형(610)은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이러한 의도는 수평입력과 수직입력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자의적으로 판단하여 연산한 결과이다. 오타가 나온 1번째 경우(611)에서 사용자는 B를 입력하기 위해, 1번 버턴을 누르며, 북서쪽 방향(612)으로 슬라이드 하고, 다시 1번 버턴을 누르고, 정북방향(613)으로 슬라이드를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입력된 수평 수직 신호는 1번 버턴이 2회 눌려지고, 북쪽방향이 2번 눌리고, 서쪽방향이 1번눌린 신호밖에 없다. 따라서, 1번째 경우에서, 사용자는 1번 버턴을 누르고, 정북방향으로 슬라이드 했지만, 1번 버턴을 누르기 전에 먼저 북쪽방향은 C가 눌리고, 1번이 눌려 C를 출력하고, 북서방향을 누르려고 의도했던 북쪽방향은 다음 번 눌리는 1번버턴에서 누르려고 했던 것으로 간주하여,정 반대의 글자가 나오게 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BC를 치려고 한다면, 사용자는 수직입력의 신호경우에는 dome의 눌림을 택감으로 인해 어느 단계에서 눌렸는지 알수 있다. 하지만 수평신호의 경우는, 빠르게 이루어지는 문자입력에서 작동력 프로파일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만일 슬라이더부에 4개의 버턴이 있고, 그 중 한 개의 버턴을 사용하여,BC를 치려고 했지만, 결과는 25%의 정확도 밖에 가지지 못한다.
FIG. 23 show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user can input a BC in a 4-ground combination input device when the input is intended. The rectangle 610 on the image is the result of the program arbitrarily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used the horizontal input and the vertical input for this intention. In the first case (611) of typos, the user presses the 1 key to enter B, slid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612, again presses the 1 key, and slides in the north direction 613. However, in reality, the inputted horizontal and vertical signals are only a signal in which the first button is pressed twice, the north direction is pressed twice, and the west direction is pressed once. Therefore, in the first cas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 and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However, before pressing the button 1, the user first presses C in the north direction, outputs C in the north direction, The north direction was considered to have been pressed in the first press of the first button, and the opposite letter appeared. If you try to hit BC here, you can see at what stage the user presses the dome due to the hitting of the dome in case of a vertical input signal. However, in the case of a horizontal signal,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force profile is not recognized in a quick character input. Therefore, if there are four buttons on the slider section and one of them is used to hit BC, the result is only 25% accurate.

도 24에는 이중자석과 강구에 적용되는 쿨롱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조건을 도시하였다. 작동전 형상을 보면, 쿨롱의 법칙을 이행하기 위해 동위선상에 2개의 핀형자석을 한 개는 베이스(621)에 다른 한 개는 슬라이더부(620)에 장착하게 된다. 슬라이더부(622)가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부의 핀모양 자석(620)은 베이스부의 자석(621)과 동위선상에서 멀어지게 되고, 따라서, 자석간의 거리(625)는 멀어지게 된다. Fig. 24 shows conditions for explaining Coulomb's law applied to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In order to comply with Coulomb's law, one of the two pin-type magnets is mounted on the base 621 and the other is mounted on the slider portion 620 in order to fulfill the Coulomb's law. As the slider portion 622 moves, the pin-shaped magnet 620 of the slider portion is away from the magnet 621 of the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gnet 621, and thus the distance 625 between the magnets is distant.

도 25에는 슬라이더가 북서쪽으로 이동할 때 문자입력 시스템에 적용된 작동거리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작동력변화와 이중 자석 및 강구사이의 자기력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25를 참조하면, 와이어에 연결된 택트스위치의 프로파일을 보면 작동거리가 늘어감에 따라 작동력이 점점 커지다가 자동 후 급격히 작동력이 낮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장착된 이중자석의 프로파일(706)을 보면 작동거리가 늘어감에 따라 택트스위치의 작동점 부근에서(705) 오히려 인력(attraction)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것은 슬라이더가 진행됨에 따라 슬라이더부에 있는 자석이 동위선상에 있었던 베이스부의 자석과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자력의 크기를 나타낸FIG. 2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perating force of the tact switch and the change in magnetic force between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ccording to the operating distance applied to the character input system when the slider moves to the northwest. Referring to FIG. 25, the profile of the tact switch connected to the wires shows that as the working distance increases, the operating force gradually increases, and then the operating force decreases sharply. However, as seen from the profile 706 of the mounted double magnet, as the working distance increases, the attraction is reduced rather rapidly near the operating point 705 of the tact switch. This indicates that as the slider progresses, the magnets in the slider portion become larger in magnitude than the magnets in the base portion on the same horizontal line

화살모양(710)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arrow shape 710 becomes smaller.

일반 스위치 구조는 텐션(코일스프링,리프스프링,돔,와이어장력,고무탄성등)구조체이다. 이것은 작동거리가 늘어감에 따라 그에 비례하여 작동력이 커지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자석의 자력은 쿨롱의 법칙(Coulomb's law)에 지배를 받아, 작동거리가 늘어감에 따라 급격히 작아진다. 그래프(706)는 자력이 두 자석 사이의 거리제곱에 반비례하여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general switch structure is tension (coil spring, leaf spring, dome, wire tension, rubber elasticity, etc.) structure. This increases the operating forc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working distance. However,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governed by Coulomb's law, and it decreases sharply as the working distance increases. Graph 706 shows that the magnetic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agnets.

도 25를 참조하면, 이 두개의 합력 그래프(711)를 보면 미세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자석과 베어링 구조를 도입하였음에도, 작동력 프로파일(708)은 거의 영향이 없음을 알게 된다. 쿨롱의 법칙을 적용한 이중자석 및 강구구조를 살펴보면, 자기력은 미세처짐현상이 나오는 영역에서는 자력이 커짐에 따라 적극적으로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원위치하도록 하고, 미세처짐구간을 벗어나면, 자력은 약해져,중요한 피드백 정보를 둔하게 만들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5, it can be seen from the two resultant graphs 711 that the operating force profile 708 has little influence even though the double magnet and the bearing structure are introduced to prevent the fine deflection phenomenon. In the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structure using the Coulomb's law, magnetic force is set in the center of the slider positively as the magnetic force increases in the region where the fine deflection phenomenon occurs. When the magnetic force deviates from the fine deflection region, Do not make information dull.

도 26에는 슬라이더부의 미세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적용한 것과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했을 때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6을 참고하면, 미세처짐 방지를 위해 스프링을 적용했을 때, 곡선은 초기작동력(724)이 작아 초기 처짐도 큰데 반해, 아래의 곡선(725)은 초기 작동력(726)도 우수하여 처짐도 일어나지 않고, 작동택감(723)도 매우 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26 shows a graph when a spring is applied and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re applied to prevent micro-sagging of the slider portion. Referring to FIG. 26, when the spring is applied to prevent micro sagging, the curved line has a small initial operating force 724 and a large initial deflection, while the lower curved line 725 has an excellent initial operating force 726, And the operation select feel 723 is maintained in a very large state.

도 27에는 이중자석과 강구를 구비한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나타낸다. 27 shows a four-ground combination slide input device having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도 27을 참조하면, 이중자석과 강구를 구비할 때 수평및 수직입력신호의 처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Referring to FIG. 27, how the dual magnets and steel balls affect the processing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put signals will be described.

도 27에서 ,프레임(732)에 의해 항상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부(730)에 포함된 원형자석(731)과 슬라이더부와 베이스부간의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강구(733)27, a circular magnet 731 included in the slider portion 730 that always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rame 732, a steel ball 733 for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lider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를 구비하였다. 상기 택트스위치(734)는 슬라이더부의 수평이동 변위량에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에만 택감을 내 사용자에게 대각선 방향 신호를 낸다는 것을 알려준다. 여기서는 택트스위치(734)가 변위량을 알아내기 위해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와이어와 슬라이이더사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용도로. The tact switch 734 informs the user of a diagonal direction signal only when mov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horizontal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slider portion. 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tact switch 734 is connected to the wire to fi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It is also used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slider.

수평 베어링(735)도 적용하였음을 도시한다. Horizontal bearing 735 is also shown.

도 28에는 사용자가 임의의 문자를 입력할 때 수평방향의 택감을 느끼는 단계(804)와 느끼기 전 단계(800)를 점선으로 구분하여 도시한다. 도 28에서 사용자는 BC를 출력하고자 한다. 사용자에 따라 BC중 B를 칠 때 4개의 조건이 나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공통적으로 수직방향의 택감(801)만을 느끼고 수평방향은 아직 택감에 이르기 전단계(800)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하고자 하는 글자 B가 대각선 방향에 있으므로, 대각선 방향의 택감(804)이 손끝에 느껴질때까지 버턴을 밀게 된다. In FIG. 28, a step 804 of feeling a tangible feel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e-feeling step 800 are shown by dotted lines when a user inputs a certain character. In Fig. 28, the user wants to output BC. Depending on the user, there may be four conditions when you hit B during BC. Here, the user commonly feels the vertical direction tactile sense 801,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tays in the front stage 800 until the tactile sense is reached. Therefore, since the user B is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user pushes the button until the tactile sense 804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felt on the fingertip.

도 29에는 수평방향의 택감을 느끼는 단계(810)를 통해 사용자가 오타없이 문자입력을 할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대각선 택감이FIG. 29 shows a method in which a user can input a character without a mistake through a step 810 of sensing a horizontal direction tactile sense. Referring to Figure 29,

나오는 점선부분(810)에서 정해진 대로 대각선 방향일때만 나오는 택감을 느끼고 비로서 손을 떼게 되고, 남은 글자인 C를 올바르게 출력 하게 된다. 점선부분(810)에서는 당연히 수직입력신호는 1개, 수평입력신호는 2개가 있으므로, 연산을 하여 오타없이 B(811)가 출력되게 되고, 이미 출력으로 판정된 글자는 다음 연산에서It senses the tangency that comes out only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determined by the outgoing dotted line portion (810), releases the hand as rain, and outputs the remaining letter C correctly. In the dotted line portion 810, since there are one vertical input signal and two horizontal input signals, B (811) is output without an error due to the calculation, and the character already determined as an output is

계산처리가 되지 않게 된다. The calculation processing is not performed.

그 다음 사용자는 곧바로 C를 치려고 한다. 수평 방향을 수직방향보다 먼저 type할수 있고, 수직방향은 수평방향보다 먼저 칠수도 있다. 따라서 경우의 수가 2배로 늘어난다. 하지만, 수평,수직, 2개의 방향 택감을 손가락에서 느끼고, 화면에 글자Then the user tries to hit C immediately.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typed before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entered before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number of cases doubles. However, you can feel horizontal, vertical, two-way tactile sensation on your fingers,

B가 올바로 출력된 상태이므로 다음 글자에는 영향이 없다. 4방향 조합식에서 수평방향 의 택감은 느끼지 못하면, 동서남북중 미는 방향의 글자가 나오므로, 수평,수직방향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원하는 글자 C를 출력할수 있게 된다. Since B is correctly output, the following characters are not affected. If you do not feel horizontal tack in the 4-way combination formula, you can output the desired letter C regardless of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ecause the letters in the direction of the north, south, east and west are displayed.

이러한 문제를 손가락과 정보처리 장치와의 관계로 살펴보면, 사람의 손가락은 수직방향으로 버턴을 눌렀을 때,손가락이 버턴을 눌러 접지가 되었는지, 아니면 아직 더 눌러야 하는 지의 유무를 알수 없다. 일례로 돔스위치의 경우 작동거리는 0.15mm정도에 불과하다. 택트 스위치의 경우 0.5mm 내외로 매우 작다. 이러한 작은 범위에서, 손가락이 정확히 버턴의 눌림을 인지하는 요소는 택감이다. 이러한 태감이 작동이 되면 그것으로 작동이 된 것을 손끝이 인지하고 다음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수직방향 하나만 보더라도 태감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한 다면, 오타가 나올 가능성이 커지는 것은 자명하다.수평 방향의 경우도 역시 택감을 인시하지 못한다면, 오타의 가능성은 매우 높아진다. 앞서 설명한 4접지 조합식의 연산식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다. When we examine this problem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ger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t can not be known whether the finger of the human being has pressed the but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nger is pressed to the grou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ome switch, the working distance is only about 0.15 mm. The tact switch is very small, around 0.5mm. In such a small range, the factor that the finger perceives accurately the pressing of the button is tactful. If you do not know how to do it, you will be aware that it will work, and if you do not get it 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sibility of typos is also very high if you can not persuade them. The equation of the four-ground combination formula described above is shown in a diagram.

여기서는 불안정한 사람의 손가락이 입력처리장치에 처리되는 상태를 이중 자석과 강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와 적용된 상태로 나누어 살펴본다. 도 30을 참고하면, 이중 자석과 강구가 없을 때, 미세 작동영역에서 손가락은 불완전한 자신의 손가락이 수평방향의 택감을 인지하지 못해, 처리장치에서 자의 적으로 처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입력된 수평방향 신호와 수직방향 신호가 연속되어 만들어지는 문자중 어떤 문자를 위한 입력신호인가를 연산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중자석과 강구가 적용된 경우, 최대 작동력 부근에서 처짐 방지를 위해 구비된 자력이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선명한 수평방향의 택감을 전달받게 된다. 택감이 전달된 경우, 사용자는 출력전에 미리 대각선 방향인지 동서남북 방향인지 출력전에 미리 택감을 통해 알게되어, 다음 문자입력을 진행하게 된다. 택감이 전달된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입력된다는 것을 알게 돼, 신호처리되기 전에 생각에 처리진행을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는 4방향 직렬식의 예를 들었지만, 다른 시스템에서도 택감 발생시 거의 작동력에 영향을미치지 않는 이중자석과 강구시스템을 도입하여 유사한 효과를 낼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tate in which an unstable person's finger is processed by the input processing apparatus is divided into a state in which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re not applied, and a state in which the finger is applied. Referring to FIG. 30, when there is no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the finger in the fine operation area shows that the incomplete finger of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horizontal direction tactile sense, and the processing device arbitrarily processes it. That is,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itself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horizontal-direction signal and the vertical-direction signal are input signals for any of the characters formed consecutively. However, when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re applied, since the magnetic force provided for preventing the sagging hardly affects near the maximum operating force, the user receives a clear horizontal direction tactile sense. When the tactile sensation is transmitted, the user is informed in advance of the output before outputting whether the diagonal direction is in the direction of east-west, north-south, or the like, and proceeds to input the next character. If a hunch is delivered, you know that it is being input in a diagonal direction, so you can tell your idea of the progress of the process before it is signaled. In this example, a four-way tandem system is used. However, other systems can have similar effects by introducing a double magnet system and a steel ball system, which hardly affect the operating force when tumbling occurs.

예를 들어 8방향 조합식의 경우, 대각선 방향에서만 택감을 내어, 동서남북과 대각선을 구별하는데,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할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입력할때는 고유한 택감을 그대로 낼수 있어, 선명한 작동처리 과정을 손가락으로 전달받을수 있다.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이중자석과 강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전에 공주거리 개념을 살펴본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8-way combination type, the diagonal line is distinguished from the diagonal line by separating the diagonal line from the diagonal line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diagonal lines and the double magnet type, the unique tactile sense can be obtained. You can get it with your finger. 8 Before studying the effects of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in a tandem system, consider the princess distance concept.

도 31에는 8접지 직렬식 장치를 나타낸다. 4접지 조합식 장치에서 한 개의 택트스위치로 8개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 복원력을 제공했던 것과 달리, 여기서는 8개 방향에 대응하여, 각각 1개의 택트스위치(840)로 복원력을 대응한 것을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다. 일 예에서 각 방향의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킬 트리거(844)는 슬라이더(845)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1 shows an eight-wire in-line device. In the four-ground combination type device, unlike the case where one tact switch provided slide restoring force in eight directions, in this example, one tact switch 840 corresponding to eight directions corresponds to the restoring force, . In on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trigger 844 for actuating the tact switches in each direction is included in the slider 845.

도31를 참고하면, 8개의 택트스위치를 포함하는 베이스(846)와 베이스를 슬라이더와 항상 수직하면서 평행하도록 하는 프레임(847) 및 택트스위치(840)를 각 방향에 감에 따라 작동시키는 트리거(844)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었음을 알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a base 846 including eight tact switches and a trigger 844 for operating the tact switch 840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844 and the base 844, And a slider including a slider.

도 32에는 공주거리가 없는 상태의 8접지 직렬식 시스템의 작동형태를 도시한다. Fig. 32 shows an operating mode of an eight-wire in-line system without a princess distance.

도 32를 참고하면, 베이스와 프레임 위에 슬라이더를 정확히 일치시키면, 도 32에서 베이스와 결합후 중앙에 정렬했을 때, a1(870) 각방향에 필요한 최소 조립공차를 갖는다. 여기서 a1의 수치는 0.1mm라고 가정한다면,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동쪽으로 이동했을 때, 북동쪽에 있는 택트스위치는 b1(874)이라는 값을 가지게 된다. 이 b1의 값으로 동쪽방향의 택트 스위치(872)뿐만 아니라, 주위의 택트스위치(871,873)도 작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8방향 직렬식의 경우, 택트스위치와 트리거 사이의 공간이 적을 경우, 작동시, 원하는 방향의 택트스위치 뿐만 아니라, 주위의 택트스위치 까지 모두 눌리게 됨을 알수 있다. 신호적으로 이러한 상황은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다. 동쪽과 인접한 택트스위치까지 눌릴경우, 항상 3개 작동 신호중 가운데 신호만을 선별하는 방법등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호적인 문제보다는 3개의 택트스위치가 동시에 눌리기 때문에, 작동력이 매우 높고, 3개의 택트스위치의 작동프로파일이 중첩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신호진행 상태를 손가락으로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2, when the base and the slider are exactly aligned on the frame, the minimum assembly tolerance required for each direction of a1 (870) when aligned with the base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base in FIG. Assuming here that the value of a1 is 0.1mm, when the slider is moved to the east in this state, the tact switch in the northeast will have a value of b1 (874). Not only the tact switch 872 in the east direction but also the surrounding tact switches 871 and 873 are operated by the value of b1. Therefore, when the space between the tact switch and the trigger is small in the case of the 8-way tandem type, it is understood that not only the tact switch in the desired direction, but also the tact switch in the surrounding direction are depressed. This situation can be signaled correctly. When the tact switch adjacent to the east is pushed down, it is possible to process only the middle signal among the three operation signals at all times.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ree tact switche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a signal problem, the operation force is very high, and the operation profiles of the three tact switches are superimposed so that the user can judge the progress of the signal in the slide direction with a finger It is impossible to do.

도 33에는 공주거리가 있는 상태의 8접지 직렬식 시스템의 작동형태를 도시한다. Fig. 33 shows an operation mode of an 8-ground in-line system with a princess distance.

도 33을 참조하면, d1(880)의 치수를 좀더 작게 변경한 것을 알 수 있다. 트리거의 치수를 줄이면, 트리거와 주위 택트스위치에 여유공간(885)이 생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밀면, 8개의 택트스위치중 진행 방향에 있는 한 개의 택트스위치(887)만 작동됨을 알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8방향 직렬식 시스템에서 8방향 시스템에서 총 작동거리(890)를 free stroke,buffer stroke 및 Operating stroke로 구분한다면, 여기서 free stroke는 제품이 기본적으로 주위의 다른 택트스위치를 건드리지 않고, 원하는 방향의 택트만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주거리로 보고, 이러한 공주거리를 포함하면,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한방향의 총거리를 구할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33, it can be seen that the dimension of d1 (880) is changed to a smaller size. Reducing the size of the trigger creates a free space (885) in the trigger and surrounding tact switches. If you slide the slider to the right in this state, you can see that only one tact switch (887)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eight tact switches is activated. Referring to FIG. 34, in a general 8-way tandem system, if the total working distance 890 in an 8-way system is divided into free stroke, buffer stroke and operating stroke, the free stroke means that the product basically moves around other tact switches Without seeing it, you can see it as a princess distance to operate only tact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if you include this princess distance, you can get the total distance in one direction in 8-wire tandem system.

앞서 살펴본 경우와 같이 공주 거리가 없을 경우, 택트 스위치는 원하는 쪽이 아닌 다른 방향의 택트도 동시에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8방향 시스템의 경우, 이러한 공주거리를 필연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공주거리는 아무런 힘이 작용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것은 슬라이드 입력 장치의 경우, 스위치가 작동하는 작동력이 발생한 후, 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더 구조체 혹은 트리거(trigger)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 영역은 원하는 쪽으로 작동하기 위한 선별을 위한 구간이므로, 어떠한 힘도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If you do not have a princess distance as in the previous example, the tact switch will move the tact in the other direction simultaneously. Therefore, in the case of an eight-way system, such a princess distance is inevitably applied. Here princess distance is the area where no force is applied.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slide input device, after the operating force for operating the switch is generated, the slider structure or the trigger is operated by the return force, which is a section for sorting to operate the desired one. Can not be performed.

도 34를 참조하면, 공주 영역에서는 택트의 작동력이 미치지 못하므로, 미세처짐현상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미세처짐현상이란 리모콘을 세우거니 비스듬히 비스듬히 기울렸을 때 뿐아니라, 평면상에서 조작하고 난후 그대로 평행하게 둔 상태에서도 최종 문자입력을 완료하고 나서 슬라이더가 마찰력등의 이유등으로 정확히 복귀를 하지 못하는는 경우도 포함한다. 따라서, 단순히 방향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작동력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미세처짐 현상에 아무런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도 35에는 공주거리를 확보한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작동방식을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 34, since the actuating force of the tact is insufficient in the prime region, a fine sagging phenomenon occurs. In this case, the fine sagging phenomenon is not only when the remote control is erected, but also when the slider is not correctly returned due to frictional force or the like after finishing the final character input even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 Therefore, simply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tact switch along the direction can not exert any effect on the fine sagging phenomenon. Fig. 35 shows an operation method in an 8-ground serial system in which a princess distance is secured.

도 35를 참조하면, 0.3mm의 gap을 확보한후, 동,서(900),남,북,북서(901),북동,남서,남동,8방향으로 이동시 오직 각 방향의 1개 버턴만 눌리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도 35에서 제시한 0.3의 갭은 트리거가 입력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방향의 택트스위치뿐아니라, 인접방향의 택트스위치도 작동되는 것을 막기위한 gap으로 산정되었다. 여기서, 트리거는 이러한 8방향의 gap으로 발생한 공주영역 내에서 위치가 변경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5, after a gap of 0.3 mm is secured, only one button in each direction is depressed when moving in eight directions, east, west, south, north, northwest (901), northeast, southwest, . The gap of 0.3 shown in FIG. 35 is calculated as a gap for preventing the tact switch in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trigger is moved in the input direction, and the tact switch in the adjacent direction from being operated. Here, the trigger can be repositioned in the prime region generated by such eight-directional gaps.

도 36에서는 8방향 시스템에서 공주영역에 의한 미세 처짐현상으로 인한 문자입력시 오타발생현상을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북서쪽에 있는 글자인 B를 입력하려고 한다. 하지만, 트리거는 현재 중심에서 벗어나, 서쪽으로 치우쳐, 서쪽 택트스위치의 액추에이터(910)에 닿아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모르고, 대각선 방향(912)으로 슬라이드(slide)를 시작할 때, 서쪽 스위치와 북서쪽 스위치가 동시에 작동된다. 이런 경우, 연산은 사용자가 A글자를 의도한 것인지 B글자를 의도한 것인지 분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오타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FIG. 36 shows the occurrence of a misfit in a character input due to a fine deflection phenomenon due to a princess area in an 8-directional system. The user tries to enter the letter B in the northwest. However, if the trigger is currently off center, tilted west and touching the actuator 910 of the western tact switch, when the user does not know this information and starts to slide in the diagonal direction 912, And the north-west switch operate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operation will not know whether the user intended the letter A or the letter B intende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ypos increases.

여기서 일례로 든 8방향 직렬식 시스템은 앞서본 바와 같이 free stroke구간으로 인해, 작은 입력거리에서 수직입력신호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슬라이더를 밀게됨에 따라 즉각적으로 돔의 커지는 동작력을 인지할 수 없다. 이러한 공주거리는 공주거리와 작동거리를 합한 총 작동거리를 길게 하면, 상대적으로 공주거리가 작아지지만 이러한 총 작동거리는 수평한계조작거리로 인해 매우 작을 수밖에 없다. 일례로 적용할 수 있는 수평한계조작거리를 1.0mm라고 설정하면, 여기서 free stroke는 0.45mm정도에 이르게 되어 총 작동거리의 절반에 해당하는 공주거리가 생기게 된다. 먼저 이중자석과 강구구조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를 보면, 사람의 머리속에는 슬라이드입력이 진행됨에 따라 손가락 끝에서 수직입력을 담당하는 돔이 되집히지 않아, 조금 더 힘을 늘려야겠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 하지만, 수평입력의 경우 중앙에 위치했다고 판단한 슬라이더가 공주거리 영역의 서쪽 한계선(930)에 위치하여,북서쪽의 입력을 시작하자마자 곧바로 서쪽의 택트 스위치가 눌려 의도한 글자인 B가 아닌 A글자가 찍힐 가능성이 높게 된다. In this example, the 8-way tandem system can not recognize the operation force of the dome instantaneously as the user pushes the slider with the finger like a vertical input signal at a small input distance due to the free stroke interval . These princess distances are relatively small when the total working distance of the princess distance and the working distance is increased, but the total working distance is very small due to the horizontal limit operating distance. For example, if the horizontal limit operating distance is set to 1.0 mm, the free stroke reaches about 0.45 mm, resulting in a princessing distance equal to half of the total working distance. First, when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structure are not applied, the dom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vertical input at the fingertip is not refreshed as the slide input is progressing in the head of the person.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ce should be increased a little mo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input, the slider determin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is located at the west limit line 930 of the princess street area. As soon as the north-west input starts, the tact switch at the west is immediately pressed to write the letter A The possibility becomes high.

도 38에는 기존의 8방향 시스템에 이중 자석과 강구구조를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38에서 슬라이더부는 4개의 자석(920)을 포함한다. 또한 외부 케이스와 고정되는 베이스(921)에는 슬라이더부의 4개의 자석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자석을 포함한다. 이 사이에는 4개의 강구가 삽입되어 있다.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하면, 외력이 없을때, 슬라이더가 항상 베이스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처짐에38 shows an example in which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structure are applied to an existing eight-way system. 38, the slider portion includes four magnets 920. [ Further, the base 921 fixed to the outer case includes four magne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our magnets of the slider portion. Four steel balls are inserted therebetween. When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re applied, the slider is alway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ase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refore,

의한 오타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중자석과 강구구조를 적용했을 때를 보면, 사람의 머리 속에는 슬라이드 입력이 진행시킴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손가락 끝의 힘을 늘려가면서, 돔의 feed back을 받고 있는 과정이 나타난다. 동시에 수평방향의 경우,자신이 생각한 대로 슬라이더가 중앙에서 출발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글자인 B를 출력하게 된다. So that the error does not occur. In addition, when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structure are applied, a process of receiving a feed back of the dome is displayed in the head of a person while actively increasing the force of the fingertip as the slide input proceeds.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lider starts from the center and outputs B, which is the user's intended letter, as it thinks.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문자입력의 오차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중 하나는 문자입력과정의 피드백(feedback)을 손가락을 통해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것에 기인한다. 8 Grounding One of the main causes of error in inputting characters in a tandem system is due to the fact that the user does not know the feedback of the character input process through the finger.

도39에서는 8접지 직렬식 시스템의 문자입력 동작에 따른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작동력 변화를 보여준다. 수평방향 작동력의 가장 이상적인 그래프는 수직방향의 작동력 변화 그래프(941)처럼 작동거리가 점점 길어지면서, 작동력이 점차 증가하다가, 작동이 된후 작동력이 떨어지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작동력의 증가구간(941) 및 감소구간(942)을 통해, 손가락 끝에 힘을 더 주어야 하는지, 원하던 신호결과가 나와 더 이상의 힘을 주지 않아도 되는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미세처짐 방지를 위해 탄성 스프링을 적용할 경우, 이러한 작동력의 증가구간(951)및 감소구간(952)은 명확하게 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는 앞서 예에서 본것과 같이 이중 자석과 강구의 도입으로 역시 개선이 가능하다. 공주거리에서 이중자석과 강구로 인해, 트리거는 항상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각 방향의 작동스위치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탄성스프링이 적용된 경우, 미세한 스프링 작동력의 변경(943)으로 인해, 공주영역에서 작동영역으로 진입할 때의 슬라이더위치를 알 수 없었지만, 이중자석과 강구의 구조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하는 자력(944)으로 인해, 작동영역으로 진입하는 과정을 손끝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공주거리의 변화에 따른 전체 작동거리의 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고도 공주거리 내의 영역에서는 자력의 힘으로, 공구거리 이외의 영역에서는 스위치 작동력의 변화로 문자입력 오타현상을 개선할수 있게 된다. 8접지 직렬식 시스템에서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했을 때의 최종 작동력 Fig. 39 shows the operating force vari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input operation of the 8-ground tandem type system. The most ideal graph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perating force is a case in which the operating force gradually increases as the working distance becomes longer as the vertical operating force change graph 941, and then the operating force is lowered after the operation. In this case, the user is able to distinguish between an increasing period 941 and a decreasing interval 942 of whether to give more force to the fingertip or to give the desired signal result no more force. However, when the elastic spring is applied to prevent micro-sagging, the increase period 951 and the decrease period 952 of the operating force can not be clarified. This problem can also be improved with the introduction of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as seen in the previous example. Due to the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at the princessing distance, the trigger can always be positioned in the center, thereby leaving the same distance in the actuation switch in each direction. Further, when the elastic spring is applied, the user can not know the position of the slider when entering the operating region in the prime region due to the change of the fine spring operating force 943.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944), it is possible to know the process of entering the operation area with the fingertip. Therefore, the user can improve the character input misalignment phenomenon by the force of the magnetic force in the range of the princess distance and the change of the switch operating force in the range other than the tool distance without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entire work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rincess distance . 8 Final actuation force when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are applied in a grounded tandem system

그래프(957)를 살펴보면, 작동력의 증가구간(955)과 감소구간(956)이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똑같은 형상으로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graph 957,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ing period 955 and the decreasing period 956 of the operating force remain the same as when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are not applied.

수직입력방향의 경우, 이러한 키패드 저항력은 수직입력방향의 작동력에 더해져도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210gf짜리 수직입력 스위치에 고무키패드의 저항력 80g의 키패드 저항력이 더해져, 총 한 개 버턴을 수직으로 누를때, 290gf의 힘이 발생한다고 하여도, 수직입력의 경우, 버턴의 윗면을 누르는 형태이기 때문에 손가락에 무리가 없다. 하지만, 수평입력의 경우, 고무 키패드와 저항력은 전혀 없어야 한다. 수평입력의 특성상 작은 힘에 민감하게 움직이면서, 택감을 내고, 그 정보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키패드의 저항력등이 있을 경우, 슬라이이드 방식 문자입력에서 치명적인 결함이 된다. 이러한 저항력에는 슬라이드 입력시의 슬라이더부와 베이스부간의 마찰력도 포함된다. 수직입력에서 마찰력은 고려조건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PK TYPE(Plastic Key)일 경우, PK TYPE 키패드 주위와 케이스 간 혹은 Plastic button사이에 0.1mm 정도의 작은 gap만 확보해 주어도, 이러한 갭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버턴이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평입력에서는 통상적으로 수직입력 버턴을 포함한 다수의 회로물을 장착한 슬라이더 Assy가 모두 같이 움직이게 되므로, 수평방향의 마찰력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vertical input direction, such a keypad resistance force may be added to the operating force in the vertical input direction. For example, if a vertical input switch of 210gf is added to the resistive force of 80g of the keypad of a rubber keypad and a force of 290gf is generated when a total of one button is pressed vertically, There is no pressure on the fingers because it is. However, for horizontal input, there should be no rubber keypad and no resistance. Due to the nature of the horizontal input, it must be sensitive to small forces, tactile, and give that information, so if there is a resistance of the keypad, it becomes a fatal flaw in the input of slides. Such resistance includes the friction between the slider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t the time of slide input. Frictional forces at the vertical input are not considered. In the case of a PK TYPE (Plastic Key), even if a small gap of about 0.1 mm is secured between the PK TYPE keypad and the case or the plastic button, since the button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gap, Because. However, since the slider assemblie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ircuits including the vertical input button are all moved together in the horizontal input, the frictio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comes very important.

도 40과 같이 강구가 없을 경우, 이러한 이중 자석은 슬라이더를 베이스에 당기는 역할을 하여, 이중 자석이 없을 때보다 더 마찰력이 커지게 한다. 이것은 의도하지 않은 저항력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강구를 도입한다. 강구의 롤링(Rolling)으로 인해, 수직방향의 마찰력은 없애지게 된다. 여기서 강구는 거리에 따른 자력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라믹구와 같은 다른 재질로 구성된 볼로 대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런 경우, 세라믹구 주위에 간단한 리브를 세워 세라믹구가 다른 곳으로 이탈하지 않고, 수직방향의 마찰력을 없애는 임무를 충실히 수행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0, when there is no steel ball, such a double magnet serves to pull the slider to the base, thereby making the frictional force larger than when there is no double magnet. This creates unintentional resistance. Therefore, steel balls are introduced here. Due to the rolling of the steel ball, the friction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eliminated. It is clear that the steel ball can be replaced with a ball made of other materials such as a ceramic ball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magnetic force along the distanc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aithfully carry out the task of setting up a simple rib around the ceramic sphere so that the ceramic sphere does not deviate to another place, and eliminates the vertical friction force.

도 40에서 슬라이더부의 자석(952)은 베이스부의 자석(951)과 인력(952)이 작용하여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당기는 힘으로 인해 슬라이더를 수평방향으로 밀 때, 큰 마찰력이 작동하게 된다. 여기에 실제로 touch LCD나 물리키버턴이 추가될 경우, 이 마찰력은 슬라이더의 수평 방향 이동시 더 커지게 된다. In FIG. 40, the magnet 952 of the slider portion is attract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 951 and the attraction force 952 of the base portion. As a result of this pulling force, when the slider is pushed horizontally, a large frictional force acts. If a touch LCD or physical key button is actually added here, this friction becomes larger when the slider moves horizontally.

도 41은 슬라이더부와 베이스 사이에 마찰력 저감을 위해 부시(961)를 삽입하였다. 여기서 부시를 넣은 이유는 슬라이더의 수평방향이동시 슬라이더와 베이스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 42에서는 슬라이더 타입 휴대폰에 사용되는 부시의 예를 도시하였다. 슬라이더부의 개패시 이 부시(972)는 작동 힌지(973)부 자체의 마찰력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많은 open(970),close(971)의 개폐시에도 힌지 자체의 마모등을 막아준다. 도 43을 참조하면, 부싱윗면과 슬라이더부 간의 표면이 매우 매끄러운 것(980)과 그렇치 않은 것(981)의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그림에서 보듯, 표면이 거칠은 경우는 마찰력이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보다 큰 것은 자명하다. 여기서는 부싱이 매끄러울 경우, 마찰력을 알아본다. 하지만, 부싱의 표면이 매끄러울 경우에도 마이크로 슬립현상으로 인해 마찰력은 커지게 된다. 실제 부싱의 표면과 부싱에 대응하는 슬라이더의 표면은 아무리 연마를 하여 매끄럽게 한다고 하여도 각 대응 부의 표면 요철에 따라서, 저속 미끄러짐과 고속 미끄러짐의 불규칙한 반복을 하게 된다. 도 44에서는 이러한 마이크로 슬립이 일어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44을 참고하면, 이러한 마이크로 슬립으로 인해 택감(990)은 불분명해 지게 된다. 하지만, 만일 여기에 강구구조가 들어갈 경우, 이러한 마찰력은 강구의 회전으로 상쇄되게 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수직힘의 증가(995)에도, 마찰력은 강구의 구름저항력으로 대체되어, 수평마찰력(996)은 증가하지 않는다. 41 shows a state in which a bush 961 is inserted between the slider portion and the base for reducing frictional force. Here, the reason for inserting the bushes i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lider and the base when the slider moves horizontally. 42 shows an example of a bush used in a slider type mobile phone. This bushing 972 at the time of disconnection of the slider portion reduce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perating hinge 973 itself. Also, it protects the hinge itself from abrasion even when opening (970) or closing (971). Referring to FIG. 43, there is shown a picture of a very smooth surface 980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hing and the slider, and the like 981.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urface is rough, it is obvious that the frictional force is larger than the smooth surface. Here, if the bushing is smooth, look at the frictional force. However,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bushing is smooth, the friction force becomes large due to the micro-slip phenomenon. Even if the surface of the actual bushing and the surface of the slider corresponding to the bushing are smoothly polished, irregular repetition of low-speed slip and high-speed slip is caused according to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corresponding portions. FIG. 44 shows the case where such micro-slip occurs. Referring to FIG. 44, this micro slip causes the tactile sensation 990 to become unclear. However, if the steel structure enters here, this frictional force is canceled by the rotation of the steel ball. 45, the friction force is replaced by the rolling resistance of the steel ball even at the increase of the vertical force 995, so that the horizontal friction force 996 does not increase.

도 46에는 이러한 구름저항력에 의한 수평마찰력(1000)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여기서 마찰공차가 생기는 이유를 살펴보면, 마찰공차에는 3개의 직접적인 원인이 있음을 알게된다. 슬라이더부의 표면조도(1010), 강구의 조도(1011), 베이스부의 조도(1012)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마찰력공차(friction tolerance)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마찰력 공차는 실제 사람이 느끼는 최소 저항력(1013)과 수치상 거의 같게(1014) 나타나기 때문에 손가락 끝에서 이러한 마찰력은 느끼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손가락 힘의 과도한 힘이 추가된다 하더라도, 마찰력의 세기가 변하지 않고, 또한 마찰력의 공차에도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Fig. 46 shows a graph of horizontal friction force 1000 due to such rolling resistance. If we look at the reason for the frictional tolerance here, we know that there are three direct causes for the frictional tolerance. The surface roughness 1010 of the slider, the roughness 1011 of the steel ball, and the roughness 1012 of the base. Due to these factors, friction tolerance appears. However, since this frictional force tolerance is almost equal to the minimum resistance (1013) felt by an actual person (1014), this frictional force is not felt at the fingertip. In addition, even if an excessive force of the finger force is added, the strength of the frictional force does not change and does not affect the tolerance of the frictional force.

도 47에서는 슬라이더부의 자석을 제거하여 이중자석이 아닌 싱글 자석구조로  In Fig. 47, the magnet of the slider portion is removed to form a single magnet structure

변경하여 적용하였을 때 작동력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럴경우, 쿨롱의 법칙에 따른 자석의 힘(1060)을 사용할 수 없어, 슬라이더부(1061)는 미세처짐 현상을 전혀 막을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강구로 인해, 마찰공차는 이중자석과 강구가 적용되었을때와 같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operating force graph is shown. In this case, the force 1060 of the magnet according to Coulomb's law can not be used, and the slider portion 1061 can not prevent the fine sagging phenomenon at all. However, due to the steel balls, the frictional tolerances are the same as when the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were applied.

도 48에는 4접지 조합식 방식에서 강구의 마찰 공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슬라이더부의 자석(1016), 강구(1019),수평이동을 위한 프레임(1015)이외에 슬라이더부의 접지면과 베이스의 접지면에 각각 서스판(1017,1018)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였다.In Fig. 48,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frictional tolerance of the steel ball in the four-ground combination type system, in addition to the magnet 1016, the steel ball 1019, and the frame 1015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er, the ground plane of the slider and the ground plane of the base And the spans 1017 and 1018 are inserted.

도 49를 참조하면, 이중 자석 사이의 강구에 신호전달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금도금을 한 경우이다. 물론, 금도금 이외에 베어링 자체를 구리등으로 하여 접촉저항을 낮출수 있다. 구리볼(1021)은 수직입력 신호를 Keypad PCB 뒷면에 있는 도금 패드(1020)를 통해, 메인 PCB(1022)에 전달 한다. 도 49에서 Keypad PCB뒷면(1020)은 구리 강구에 신호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도금이 되어 있다. 또한 강구와 닿는 맞은편 main PCB전면부에도 금도금이 되어 있어, Keypad PCB의 수직신호가 FPC등의 연결선 없이 곧바로 main PCB에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9, gold plating is performed to add a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to a steel ball between double magnets. Of course, in addition to gold plating, the bearing itself can be made of copper or the lik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The copper ball 1021 transmits the vertical input signal to the main PCB 1022 through the plating pad 1020 at the back of the keypad PCB. In Figure 49, the keypad PCB backside 1020 is gold plated to facilitate signal transmission to the copper ball. In addition, the front face of the main PC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teel ball, is also gold-plated, so that the vertical signal of the keypad PCB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PCB without connecting lines such as FPC. This can simplify the work process.

도 50에는 트레이(1031)에 삼차원 키패드 모쥴(1030)을 담은 상태를 도시한다. 삼차원키패드의 슬라이더부는 자유이동이 가능해야 하기때문에, 다른 제품들 처럼 스크류나 양면 테이프등을 완전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양산라인에서 Sub-Assy상태로 이동중에 슬라이더부가 빠질 위험이나 부품의 정렬이 틀어 질 수 있다. 또한 이동중의 작은 충격으로 슬라이더부(1033)의 베어링(1034)이나, 택트스위치(1035)등이 빠져나올 수 있다. 이중 자석과 강구를 사용하면, 작은 손가락힘으로 슬라이더를 베이스부에 탈부착할 수 있어, 라인에서 트래이에 보관하여, 다른 작업장으로 쉽게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라인 작업뿐 아니라, 다른 부분에서도 이러한 이중 자석 체결의 장점을 쉽게 응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50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keypad module 1030 is loaded in the tray 1031. FIG. Since the slider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keypad must be free to move, it is impossible to fix the screw,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completely like other products. Therefore, there is a danger that the slider portion may be dislocated or misalignment of components may occur while moving from the mass production line to the sub-assy state. Also, the bearing 1034 of the slider portion 1033, the tact switch 1035, and the like can escape through a small impact during the movement. Using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slider to the base part with a small finger force, and it is possible to store it in a train in a line and easily move it to another work place. However, it is obvious that not only the line work but also other parts can easily apply the advantages of this double magnet fastening.

도 51에는 정밀한 마우스 동작제어를 위해 이중자석과 강구를 도입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마우스제어는 총 8개 속도로 가능하다. Fig. 51 shows a case in which a double magnet and a steel ball are introduced for accurate mouse motion control. Referring to FIG. 51, mouse control is possible at a total of eight speeds.

1번 버턴을 누르고 북쪽(1043)으로 살짝 버턴을 옮기면 중속의 느린 속도로 커서가 움직인다. 1번 버턴을 누르고 북쪽(1043)으로 세게 버턴을 옮기면 중속의 빠른 속도로 커서가 움직인다. 2번 버턴을 누르고 북쪽(1043)으로 살짝 버턴을 옮기면 고속의 느린 속도로 커서가 움직인다. 2번 버턴을 누르고 북쪽(1043)으로 세게 버턴을 옮기면 고속의 빠른 속도로 커서가 움직인다. 3번 버턴을 누르고 북쪽(1043)으로 살짝 버턴을 옮기면 저속의 느린 속도로 커서가 움직인다. 3번 버턴을 누르고 북쪽(1043)으로 세게 버턴을 옮기면 저속의 빠른 속도로 커서가 움직인다.Pressing the 1 key and moving the button slightly to the north (1043) will move the cursor at medium and slow speed. Press button 1 and move the button to the north (1043). Pressing the 2 button and moving the button slightly to the north (1043) will move the cursor at high speed and slow speed. Move the cursor to the north (1043) by pressing the 2 button and move the cursor at high speed. Pressing the 3 button and moving the button slightly to the north (1043) moves the cursor at a slower speed. Move the cursor to the north (1043) by pressing the 3 button. The cursor moves at a low speed.

3번 버턴을 옮기지 않고, 클릭하여 수직입력만 될 경우, 상용되는 마우스(1042)의 왼쪽(1040) 버턴 기능이 실현된다. 4번 버턴을 누르고, 옮기지 않고 클릭하여 수직입력만 될 경우, 상용되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턴(1041) 기능이 구현된다. If the user does not move the third button but clicks the vertical input, the left button function (1040) of the conventional mouse 1042 is realized. When the user presses the 4th button and clicks the button without moving the mouse, only the right mouse button (1041) of the common mouse is implemented.

도 52에는 동서남북 각 방향에 터미널이 각각 2개씩 배치된 4접지 조합식 입력장치를 도시한다. 도 52를 참조하면, 북쪽(1052)방향의 터미널 수가 저속(1055),고속(1056) 각각 2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 사이에 수평적으로 서로 다른 gap(1053,1054)이 있어 살짝 누를 때와 세게 누를 때, 신호가 달라짐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2개의 터미널을 사용하였지만, 각 방향에 대치되는 터미널 수와 gap의 값에 따라 마우스커서의 이동제어 및 문자처리를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단순한 자석을 슬라이더부와 베이스부에 각각 장착하고, 그 사이에 강구를 배치하여, 미세처짐을 막고, 이로 인해 정확한 문자입력을 수행하도록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적용하면, 입력기기의 크기를 쉽게 줄일수 있고,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끌어당기는 자석의 성질을 추가적인 전력 소비없이 항상 이용할 수 있으므로, 리모컨이나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이 점차 배터리의 사용량이 중요해지는 IT기기에서 전력 소비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 52 shows a four-ground-combined-type input device in which two terminal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s of north, south, south and north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52,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terminals in the north direction 1052 is two at low speed 1055 and two at high speed 1056, respectively. Make sure that the signal changes when there is a horizontally different gap (1053, 1054) between the terminals so that they are pressed and pressed firmly. Although two terminals are used here, it is obvious that the movement control of the mouse cursor and the character processing can be finer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erminals and the gap value that are opposed to each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magnet is mounted on the slider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respectively, and a steel ball is disposed between the slider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thereby preventing fine deflection and thereby performing accurate character input. By apply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nput device can be easily reduced,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lso, since the properties of attracting magnets are always available without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IT devices, where battery usage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such as remote control,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중자석의 성질을 대체 할 수 있는 다른 물질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슬라이더부의 자석을 베이스부의 자석이 끌어당길수 있는 저렴한 철과 같은 물질로 대체할 경우, 혹은 베이스부의 자석을 슬라이더부의 자석이 끌어당길수 있는 저렴한 철과 같은 물질로 대체할 경우, 제조상의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replaced by other materials that can replace the properties of the double magnets.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 the magnet of the slider portion with a material such as iron which can attract the magnet of the base portion or replace the magnet of the base portion with a material such as iron which can attract the magnet of the slider portion , Manufacturing

단가 절감이 가능하다. Cost reduction is possible.

이중 자석과 강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입력장치의 적용 대상에는 모든 종류의 입력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인터넷이 가능한 TV에서 인터넷 검색 및 메일작성을 위한 문자입력가능 리모콘용 키패드, SNS등 문자메세지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키패드, 문서작성 및 마우스 제어를 위한 테블릿 PC용 키패드등이 포함될수 있다.  The slide input device having the double magnet and the steel ball may include all kinds of input devic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texts for Internet browsing and mail writing on an Internet-enabled TV, a keypad for a remote control, a keypad for a smart 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text messages such as SNS, and a keypad for a tablet PC for document creation and mouse control.

또한 이중 자석과 강구로 인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가정용 게임등에 특화된 키패드로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can be precisely controlled, it can be utilized as a keypad specialized for home gam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력이 두 자력 발생 대상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함으로써, 실제 동작시점에서 자력이 약화되어 전체 동작력곡선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명한 택감을 손끝에 전달하여, 항상 오동작 없이 정확한 슬라이드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magnetic force varies with the distance between two magnetic force generating objects, the magnetic force is weakened at the time of actual oper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entire operating force curve can be minimized, The user can transmit clear tactile sensation to the fingertip, thereby enabling precise slide input without malfunctioning at all times.

또한, 슬라이드 모쥴 자체를 조립라인에서 운반하거나, 리모콘등을 뒤집어 들 때 등은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두 개의 자석 혹은 두개의 자력 발생 대상 사이의 자력이 극대화되어, 슬라이더 부가 베이스부에서 이탈되어 재조립이나, 수평베어링등의 부품손실 등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lide module itself is carried on the assembly line or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turned upside down or the like is not operated,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two magnets or two magnetic force generating objects is maximized, Problems such as assembly and loss of components such as horizontal bearings can be drastically improved.

또한 코일스프링이나 리프 스프링과 같은 복잡한형상이 아니라, 단순한 형상의 자석과 강구만을 이용하여 미세처짐을 방지하므로, 슬라이드 장치의 단일 모쥴화,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use a complicated shape such as a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but also to use a magnet and a steel ball of a simple shape to prevent micro-sagging, so that a single module of the slide device can be miniaturized and reduced in weigh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urther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solve many technical problems in the art, as well as those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at is,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1: 동쪽 슬라이드 입력방향
102: 수직입력 버턴
103: 수직입력용 dome
104: 택트스위치
107: 수직입력축
108: 수평방향 입력축의 하나인 x축
109: 수평방향 입력축의 하나인 y축
110: 수평축 및 수직축 입력이 모두 가능한 버턴
120: 수직입력용 dome
121: 수직입력 정보에 관한 신호를 정보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fpc cable
125: 수직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물리키
126: 물리키의 수직입력정보전달과 베이스부의 8방향 신호를 만들기위한
동서남북 기본방향신호를 생성하는 GND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127: 수직입력용 메탈돔 및 실리콘 돌기
130: GND 터미널을 포함하는 슬라이더부
131: 슬라이더부가 처짐이 발생한 상태
132: 슬라이더부의 처짐량
133: 슬라이더의 단면 형상
134: 처짐이 발생했을 때 슬라이더의 단면 형상
135: 처짐량을 보여주는 단면형상
136: 슬라이더부의 큰 처짐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택트스위치의 작동력
137: 슬라이더부의 큰 처짐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택트스위치의 작동력
140: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컨
141: 세로방향의 정렬 불일치
142: 가로방향의 정렬 불일치
149: 양산키패드에 적용된 들뜸방지 서스의 단품형상
150: 통상적인 일축키패드를 포함하는 핸드폰
151: 수직방향의 누르는 힘
152: 수직방향 입력을 대응하는 물리키
153: 수직방향 작동 stroke
155: 키패드가 위로 미세하게 들뜨는 현상을 막아주는 서스
156: dome의 복귀력
160: 양산키패드에 적용된 들뜸방지 서스구조
161: 수평방향 처짐량
162: 수평방향 처짐량
171: 슬라이드 버턴과 케이스 사이의 gap을 외관상 혼란을 주어 회피하기위한 에칭
172: 에칭의 균일한 홀
201: 수직방향입력 및 수평방향 입력을 대응하는 물리키
202: 회로 PCB중 dome의 작동에 대한 신호생성을 위한 패드
203: 회로 PCB
204: 슬라이더부의 모서리
205: 마찰력을 없애기위해 도입한 강구
210: 4접지 직렬식 구조의 슬라이더부
211: 수평방향 부분 작동스위치
212: 4접지 직렬식 구조의 프레임
213: 4접지 직렬식 구조의 베이스
220: 4접지 직렬식 구조의 물리버턴
221: 북서쪽 입력방향
222: 북서쪽 입력방향에 할당된 문자
223: 수직입력 방향 신호를 담당하는 회로기판
224: 회로기판 상의 수직입력 대응 패드
321: 단면을 보기위한 절개방향
322: 4접지 직렬식 입력장치의 슬라이더부
323: 서쪽 작동스위치
324: 북쪽 작동스위치
320: 절개선
326: 남쪽 작동스위치
325: 동쪽 작동스위치
330: 이동전 슬라이더부
331: 이동후 슬라이더부
341: 베이스
342: 강구
343: 슬라이더
344: 강구자체의 미끄러짐 손실이 없을 때 강구에 대한 슬라이더의 이동량
345: 강구자체의 미끄러짐 손실이 없을 때 강구에 대한 베이스의 이동량
346: 자력이 전혀없는 슬라이더부 철판핀
347: 자력이 전혀없는 베이스부의 철판핀
348: 프레임
380: 슬라이드 입력장치에서 작동력 그래프
381: 슬라이드 입력장치에서 복귀력 그래프
382: 미세처짐이 일어나는 구간
383: 최대 작동력 포인트
384: 미세처짐 구간에서 작동력의 힘
385: 최대 작동력 포인트의 힘
386: 최대 작동력 이후 작동력이 급격하게 줄어 최소작동력이 되는 포인트
390: 외부의 누르는 힘
391: 복원되는 힘
392: 우레탄 돌기가 추가된 돔 스위치
393: 외부의 누르는 힘에 대응하는 힘
480: 예상 처짐량
481: 실제처짐량
482: 작동력 곡선
483: 복귀력 곡선
485: 최대작동력
484: 최대작동력 이후 최소작동력 포인트
500: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 장치에 적용된 터치 LCD모쥴
501: 4접지 조합식 슬라이드 입력 장치의 슬라이더부
502: 터치 LCD부의 1번키 영역
503: LCD 슬라이더부의 마그네틱
504: 강구
510: 미세처짐을 막기위해 도입한 스프링
540: 작동력 곡선
544: 최대 작동력 포인트
545: 최대 작동력 포인트 이후 최소 작동력 포인트
546: 스프링의 선형 그래프
547: 택트스위치의 최대 작동력 포인트에서의 스프링 작동력
548: 택트스위치의 최대 작동력이후 최소작동력 포인트에서의 스프링 작동력
549: 택트스위치 작동력 곡선과 스프링의 작동력 그래프를 합친상태
563: 택트스위치 작동력 곡선에서 최대 작동력
564: 택트스위치 작동력 이후 최소 작동력
580: 슬라이더부의 자석
581: 베이스부의 자석
582: 슬라이더부와 베이스부사이에 위치한 강구
583: 작동스위치
600: 동쪽 터미널 신호
601: 남쪽 터미널 신호
603: 4접지 조합식 구조에 미세처짐 방지를 위해 장착한 스프링
610: 수직,수평 정보처리 장치 내에서 임의 판단한 문자입력 의도 그룹
611: 문자입력시 입력의도와 다른 오타가 나온 경우
612: 북서쪽에 할당된 문자
613: 북쪽 슬라이드 방향
622: 작동후의 슬라이더부
623: 베이스부
621: 베이스부의 자석
620: 슬라이더부의 자석
624: 프레임
705 :택트스위치의 최대작동점이후 최소작동점
710 :자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화살표
711 :택트스위치 작동력 및 이중자석과 강구의 자력
에 대한 합력을 나타내는 그래프
723 :작동택감
724 :스프링을 적용하였을 때 미세처짐 발생 영역에서의 초기작동력
726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하였을 때 미세처짐 발생 영역에서의 초기작동력
730 :슬라이더부
731 :슬라이더부의 원형자석
732 :프레임
733: 강구
734 :택트스위치
800 :수평방향의 택감을 느끼지 전단계
801 :수직입력을 담당하는 돔
802 :택트스위치
803 :북서쪽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804 :수평방향의 택감을 느끼는 단계
810 :수평방향의 택감을 느끼는 한계선
811 : 의도한 B값을 출력하기위한 입력정보
840 : 각 수평방향의 택트스위치
844 : 8접지 직렬식 구조의 트리거
845 : 슬라이더
846 :베이스
847 : 프레임
870 :베이스부와 슬라이더부간 조립이 이루어지기 위한
최소 조립공차
871 :북동쪽 작동스위치
872 :동쪽 작동스위치
873 :남동쪽 작동스위치
875 :트리거의 최외각부
880 :트리거의 치수
885 :트리거와 택트스위치 사이의 여유공간
886 :북동쪽 택트스위치
887 :동쪽 택트스위치
888 :남동쪽 택트스위치
890 :총작동거리
889 :공주거리
891 :작동 택트스위치
900 : 한 개만 작동된 서쪽의 작동스위치
901 : 한 개만 작동된 북서쪽의 작동스위치
910 : 트리거와 닿아있는 상태의 서쪽 방향의 작동스위치
911 : 작동된 서쪽 방향의 작동스위치
912 : 북서쪽 입력방향
920 : 8방향 직렬식 시스템에서 슬라이더부에
적용된 자석
921 : 8방향 직렬식 시스템에서 베이스부
930 : 서쪽 공주거리 한계영역
941 : 수직입력 방향의 작동력 그래프에서 작동력 증가구간
942 : 수직입력 방향의 작동력 그래프에서 작동력 감소구간
943 : 미세처짐구간에서의 스프링 탄성작동력
944 : 큰폭으로 감소한 자력에 인해 변형된 최종 작동력곡선
950 : 슬라이더부의 자석
951 : 베이스부의 자석
952 : 이중자석으로 인해 발행하는 인력의 크기
955 :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한 시스템에서 최종 작동력곡선의 작동력 증가구간
956 : 이중자석과 강구를 적용한 시스템에서 최종 작동력곡선의 작동력 감소구간
960 : 물리 버턴
961: 마찰력 저감을 위해 도입한 부시
970 : 열린 상태에서의 힌지부
971:닫힌 상태에서의 힌지부
973 :힌지부
972 :힌지부에 적용된 부싱
980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부싱
981 :거친 표면을 갖는 부싱
990 :마이크로 슬립에 의한 최종 작동력곡선
995 :버턴을 누르는 수직입력힘
996 :슬라이더부 및 강구의 이동방향
1000 :수평마찰력
1010 :표면조도
1011 :강구조도
1012 :베이스조도
1013 :강구의 구름저항에 의해 나타나는 최소 저항력
1014 :최소 저항력에 대한 이상적 그래프(직선)
1016 :슬라이더부의 자석
1017 :슬라이더부에 적용된 SUS계열의 박막판
1018 :베이스부에 적용된 SUS계열의 박막판
1019 :강구
1020 : KEYPAD PCB 후면부에 적용된 금도금영역
1021 :신호전달기능을 겸하는 구리강구
1022 : MAIN PCB전면부에 적용된 금도금 영역
1030 : 4접지 조합식의 삼차원키패드 단품모쥴 Assy
1031 : 트래이
1033 :슬라이더부
1034 :베어링
1035 :택트스위치
1040 :마우스 왼쪽 버턴
1041 :마우스 오른쪽 버턴
1042 :마우스
1043 :북쪽 입력방향
1051 :4접지 조합식 입력장치에 적용된 강구
1052 :북쪽 수평입력방향
1053 :GND와 터미널사이의 좁은 간격
1054 :GND와 터미널사이의 넓은 간격
1055 :저속 터미널
1056 :고속 터미널
1061 :슬라이더부
1060 :쿨롱의 법칙에 따른 이중자석 사이의 자력변화
1080 :슬라이더부에 장착된 GND 터미널
101: East slide input direction
102: Vertical input button
103: dome for vertical input
104: Tact switch
107: vertical input shaft
108: One of the horizontal input shafts, the x-axis
109: One of the horizontal input shafts, the y-axis
110: Button for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input
120: dome for vertical input
121: fpc cable for transmitting a signal related to vertical inpu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5: Physical key for facilitating vertical input
126: Vertical input of the physical key and for making 8-way signal of base part
A circuit board comprising a GND terminal for generating a basic direction signal for north, south, east and west.
127: Metal dome and silicon projection for vertical input
130: a slider part including a GND terminal
131: The state in which the slider portion is deflected
132: deflection of the slider portion
133: sectional shape of the slider
134: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lider when deflection occurs
135: Cross-sectional shape showing deflection
136: Actuation force of tact switch to prevent large deflection of slider
137: Operating force of tact switch to prevent large slack of slider
140: Remote control with character input
141: Vertical misalignment
142: Horizontal misalignment
149: Single piece shape of lift prevention cushion applied to mass production keypad
150: a mobile phone including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keypad
151: Vertical pressing force
152: vertical direction input to the corresponding physical key
153: Vertical working stroke
155: A key to prevent the keypad from moving upwards
156: Return of the dome
160: Suspension preventing structure applied to mass-production keypad
161: Defl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62: Defl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71: Etching to avoid confusion between the slide button and the case
172: uniform hole of etching
201: vertical direction input and horizontal direction input corresponding physical key
202: pad for signal generation for dome operation in circuit PCB
203: Circuit PCB
204: edge of the slider
205: Steel ball introduced to eliminate frictional force
210: 4: Slider part of the grounded tandem structure
211: Horizontal partial operation switch
212: 4 frame of grounded tandem structure
213: 4 Base of series grounded structure
220: 4 Grounding-type physical button
221: Northwest input direction
222: Character assigned to north-west input direction
223: Circuit board for taking the vertical input direction signal
224: Pads for vertical input on circuit board
321: incision direction for viewing section
322: a slider part of the 4-series in-line type input device
323: West operating switch
324: North operating switch
320: Improve section
326: South operating switch
325: East operating switch
330: Slider before moving
331: After moving the slider part
341: Base
342: Steel ball
343: Slider
344: Movement of the slider relative to the steel ball when there is no slip loss of the steel ball itself
345: Movement of the base relative to the steel ball when there is no slip loss of the steel ball itself
346: Slider iron plate pin with no magnetic force
347: Iron plate pin of base part without magnetic force
348: Frame
380: Operating force graph on slide input device
381: Return force graph from slide input device
382: section where fine deflection occurs
383: Maximum operating point
384: Force of operating force in the fine deflection section
385: Maximum operating force point strength
386: Point at which the operating force is suddenly reduced to the minimum operating force after the maximum operating force
390: external pressing force
391: Power to be restored
392: Dome switch with urethane projection
393: Force corresponding to external pressing force
480: expected deflection
481: actual deflection
482: Operating force curve
483: Return force curve
485: Maximum operating force
484: Minimum operating force point after maximum operating force
500: 4 touch LCD module applied to grounded combination slide input device
501: Slider portion of the grounding-type slide input device
502: 1st key area of the touch LCD part
503: Magnetic of LCD slider part
504: Steel ball
510: spring introduced to prevent fine deflection
540: operating force curve
544: Maximum operating point
545: Minimum operating point after maximum operating point
546: Linear graph of spring
547: Spring operating force at maximum operating force point of tact switch
548: Spring operating force at minimum operating force point after maximum operating force of tact switch
549: Combined tact switch operating force curve and spring operating force graph
563: Maximum operating force in tact switch operating force curve
564: Minimum operating force after tact switch operating force
580: magnet of the slider part
581: Magnet in base portion
582: Steel ball located between the slider part and the base part
583: Operation switch
600: East Terminal signal
601: South terminal signal
603: 4 Spring mounted to prevent micro-sag in combination with grounding structure
610: Character input intention group arbitrarily judg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611: When inputting characters and other typos
612: Characters assigned to the northwest
613: North slide direction
622: Slider after operation
623: Base portion
621: magnet of the base part
620: magnet of the slider part
624: Frame
705: Minimum operating point after maximum operating point of tact switch
710: Arrow indicating magnitude of magnetic force
711: Tact switch operating force and magnetic force of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Graph showing the result for
723: Working Tactics
724: Initial work force in the area of micro-deflection when spring is applied
726: Initial work force in the region of fine deflection when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are applied
730:
731: Circular magnet of the slider part
732: Frame
733: Steel ball
734: Tact switch
800: Feeling the sense of horizontal direction
801: Dome responsible for vertical input
802: Tact switch
803: arrow indicating north-west direction
804: Steps to feel horizontal tangible feeling
810: Limi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811: input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intended B value
840: Tact switch in each horizontal direction
844: 8 Trigger on grounded tandem structure
845: Slider
846: Base
847: Frame
870: for the assembly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slider part
Minimum assembly tolerance
871: NORTH OPERATION SWITCH
872: East operating switch
873: Southeast operating switch
875: Outermost part of the trigger
880: Dimensions of trigger
885: Clearance between trigger and tact switch
886: Northeast tact switch
887: East tact switch
888: South east tact switch
890: Total working distance
889: Princess Street
891: Operation tact switch
900: Only one operated western operating switch
901: Operational switch on only one north-west
910: Operation switch in the west with touching the trigger
911: Operated western direction operating switch
912: Northwest input direction
920: In an 8-way tandem system,
Applied magnets
921: In an 8-way in-line system,
930: West Princess Distance Limit Area
941: In the operating force graph in the vertical input direction,
942: Operating force reduction section in the operating force graph in the vertical input direction
943: Spring resilient operating force in the fine deflection section
944: Ultimate operating force curve deformed due to greatly reduced magnetic force
950: magnet of the slider part
951: magnet of the base part
952: Size of manpower due to double magnet
955: Increasing operating force of the final operating force curve in a system with double magnet and steel ball
956: De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final operating force curve in a system with double magnets and steel balls
960: Physical Button
961: Bush introduced for friction reduction
970: Hinge section in the open state
971: Hinge section in the closed state
973: Hinge section
972: Bushing applied to the hinge
980: Bushing with smooth surface
981: Bushing with rough surface
990: Final operating force curve by micro-slip
995: Vertical input force pressing button
996: Movement direction of the slider part and steel ball
1000: Horizontal friction force
1010: Surface roughness
1011: Steel construction drawing
1012: Base illuminance
1013: Minimum resistance due to ball rolling resistance
1014: Ideal graph for minimum resistance (straight line)
1016: magnet of the slider part
1017: SUS series thin film plate applied to the slider part
1018: SUS type thin film plate applied to the base part
1019: Steel ball
1020: Gold plated area applied to the back of KEYPAD PCB
1021: Copper ball which doubles a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1022: Gold plated area applied to the front of MAIN PCB
1030: 4 Ground Combination Type Three-Dimensional Keypad Single Module Assy
1031:
1033: Slider part
1034: Bearings
1035: Tact switch
1040: Left mouse button
1041: Right mouse button
1042: Mouse
1043: North input direction
1051: 4 steel ball applied to grounded combination input device
1052: North horizontal input direction
1053: Narrow gap between GND and terminal
1054: Wide gap between GND and terminal
1055: Low Speed Terminal
1056: Express Terminal
1061: Slider part
1060: Magnetic force change between double magnets according to Coulomb's law
1080: GND terminal mounted on the slider

Claims (7)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시스템으로서,
4개 이상의 수직 방향 신호가 입력 될 수 있는 회로기판과 한 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베이스에 대해 항상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조작 명령에 대한 작동 후 슬라이더를 베이스에 대해 항상 원위치에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베이스;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해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슬라이더의 자석과 베이스의 자석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 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An input system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rection,
A slider including a circuit board on which four or more vertical direction signals can be input and one or more magnets;
A frame supporting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always moves parallel to the base;
A base including a magnet to allow the slid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lways relative to the base after actuation of the manipulation command;
And a vertical steel ball located between the magnet of the slider and the magnet of the base to reduce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slider is moved in parallel with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자석과 상기 베이스의 자석은 동위선상에 있음을 포함하는
입력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s of the slider and the magnets of the base are coplanar
Inpu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해,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의 변위량에 따라 작동하는 동,서,남,북 4개소에 배치된 4개의 방향스위치를 포함하는 입력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four direction switches disposed at four places in east, west, south, and north which operat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slider move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스위치는 동,서,남,북 이외에 추가로 북서,북동, 남서,남동 방향에 대응하는 4개 작동스위치가 추가됨을 더 포함하는 입력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al switch further comprises four operating switches corresponding to north-west, north-east, south-west, and southeast directions in addition to east, west, south and north.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부의 자석은 베이스의 자력에 대응하여 끌어당기는 힘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 of the slider portion includes another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a pull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base.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자석은 베이스의 자력에 대응하여 끌어당기는 힘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 of the base portion comprises another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a pull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base.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부의 회로기판은 터치입력방식이 포함된 LCD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board of the slider unit is an LCD including a touch input method.
KR1020120154292A 2012-12-27 2012-12-27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bearing ball KR101499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92A KR101499614B1 (en) 2012-12-27 2012-12-27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bearing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92A KR101499614B1 (en) 2012-12-27 2012-12-27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bearing b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34A true KR20140084634A (en) 2014-07-07
KR101499614B1 KR101499614B1 (en) 2015-03-09

Family

ID=5173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292A KR101499614B1 (en) 2012-12-27 2012-12-27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bearing b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6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860A (en) 2018-01-15 2019-07-24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Massage chair with magnetic body for preventing airbig def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518B1 (en) * 2001-07-27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One key data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therewith
KR100664944B1 (en) * 2005-08-12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 device of sliding mod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958285B1 (en) * 2008-07-08 2010-05-19 정세운 Digital processing unit having key input unit and key input method
US8633916B2 (en) *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860A (en) 2018-01-15 2019-07-24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Massage chair with magnetic body for preventing airbig def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614B1 (en)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85781A1 (en) Movable Track Pad with Smudge-Resistant Input Surface
CN104769528B (en) Touch-surface component with linkage
JP64421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7602384B2 (en) Haptic feedback touchpad
CN105549752B (en) Magnetically biased retracting key assembly and keyboard
WO2011024435A1 (en) Tactile sensation impar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actile sensation imparting device
EP3346365A1 (en)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20120299832A1 (en) Touchsurface with Level and Planar Translational Travel Responsiveness
US8866774B2 (en) Low power touch screen overlay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CN105308539B (en) Pressing movement on capacitance detecting magnetic keyboard button an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whetheing there is finger
CN103219185A (en) Press key
JP4408429B2 (en) Input device
CN204965394U (en) Touch -control 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20306785A1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3570143B1 (en) Responsive force generator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responsive force generator
KR20140084634A (en) Digital processing unit that can prevent deflections and typing error with applying dual-magnet and stroll ball
US7054152B2 (en) Notebook computer with hidden multimedia controller
US20200013381A1 (en) Sensor and keyboard device
JP2016151777A (en) Input device
CN104915027A (en) Capacitive touch control pen
JP2019075022A (en) Display device
WO2016163061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21176962A1 (en) Input device
US20210223874A1 (en) Touch pen
US20230029716A1 (en) Haptic control device in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