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622A - Flexi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622A
KR20140084622A KR1020120154273A KR20120154273A KR20140084622A KR 20140084622 A KR20140084622 A KR 20140084622A KR 1020120154273 A KR1020120154273 A KR 1020120154273A KR 20120154273 A KR20120154273 A KR 20120154273A KR 20140084622 A KR20140084622 A KR 20140084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neutral axis
distance
stra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0389B1 (en
Inventor
이종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389B1/en
Publication of KR2014008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device layer including multiple light emitting structures formed on the substrate to correspond to multiple pixel areas; and a protection layer formed on the device layer to cover the light emitting structures,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one among the substrate, the device layer, and the protection layer is a neutral axis where stress is zero in a bending state. When the neutral axis is bent with a certain bending radius, the device layer is deformed at a first strain rate based on the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a distance between a first axi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layer and the neutral axis and the protection layer is deformed at a second strain rate based on the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a distance between a second axi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on layer and the neutral axis.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0001] FLEXIBLE DISPLAY DEVICE [0002]

본원은 수명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fetime and reliability.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여러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As the era of informationization becomes full-scale, the display field for visually displaying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is rapidly developing. Accordingly, studies are being continued to develop performance such as thinning, lighten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for various various flat display devices.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들은 공통적으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평판표시패널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평판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을 사이에 둔 한 쌍의 기판이 대면합착된 구조이다.Typical 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commonly include flat panel display panels for realizing images. A flat panel display panel i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ubstrates sandwiching a unique light emitting material or a polarizing material are face-to-face bonded.

최근 들어, 평판표시장치는 플라스틱(plastic)과 같이 연성재료의 기판(flexible substrate)을 포함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such as plastic, can be realiz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display performance even when bent like paper.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연성이 없는 기존의 표시장치보다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Since such a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applied to a wider range than existing display devices having no flexibility,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commercializ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has been continued.

한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하중에 의해 쉽게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므로,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변형 또는 반복되는 형태 변형으로 인해, 플렉서블 표시장치 내의 박막에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박막이 파괴될 수 있다. 이에,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수명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has a property of being easily bent by a load, the shape can be easily changed. Due to this shape deformation or repeated shape deformation, stress is applied to the thin film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so that the thin film can be destroye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time and the relia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re lowered.

본원은 형태 변형에 의한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박막을 설계함으로써, 수명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fetime and reliability by designing a thin film in consideration of stress due to deformation of a shap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의 일 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연성재료로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구조물을 포함하는 소자층; 및 상기 소자층 상에 상기 복수의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 상기 소자층 및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휘어진 상태(bending state)에서 응력이 0이 되는 중립축(neutral axis)이며, 상기 중립축이 임의의 휨 반경으로 휘어진 경우, 상기 소자층은, 상기 중립축의 휨 반경, 및 상기 소자층의 상면에 대응한 제 1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에 기초하는 제 1 변형률로 변형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중립축의 휨 반경, 및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대응한 제 2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에 기초하는 제 2 변형률로 변형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An element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uctures form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on the substrate;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element layer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uctures. Here, the cross section of any one of the substrate, the element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is a neutral axis where the stress is zero in a bending state, and when the neutral axis is bent at an arbitrary bending radius, Layer is deformed to a first strain based on a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 first axis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and the neutral axis and the protective layer has a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a second strain rat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xi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neutral axis.

그리고, 상기 중립축이 기설정된 기준 반경 이상의 휨 반경으로 휘어지는 경우, 상기 제 1 변형률이 상기 소자층을 파괴시키는 제 1 임계 변형률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 1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1 임계 변형률 및 상기 기준 반경에 기초하는 제 1 임계거리 미만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xis and the neutral axis is set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xis and the neutral axis is less than the first critical strain that causes the first strain to break the element layer when the neutral axis is bent at a bending radiu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adius, The critical strain and the first threshold distance based on the reference radius.

또한, 상기 제 2 변형률이 상기 보호층을 파괴시키는 제 2 임계 변형률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 2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2 임계 변형률 및 상기 기준 반경에 대응한 제 2 임계거리 미만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xis and the neutral axis is preferably less than a second critic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ritical strain and the reference radius so that the second strain is less than a second critical strain, to b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각 층에 대해 최고치의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경우인 중립축의 기준 반경과 각 층의 임계 변형률에 기초하여, 각 층에 대응한 축과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휘어지는 형태 변형으로 발생된 응력에 의해 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axis corresponding to each layer and the neutral axis based on the reference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the critical strain of each layer when a maximum stress is generated for each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yer from being broken by the stress generated by the deformed shape deformation.

그러므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수명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lifetime and relia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자층 중 어느 하나의 발광구조물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제 1 휨 반경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제 2 휨 반경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및 제 2 축의 임계 변형률에 대한 일 예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a light emitting structure of the element layers of FIG. 1.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Fig. 1 is bent at a first bending radius;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Fig. 1 is bent at a second bending radius; Fig.
5 is an example of the critical strain of the first and second axes.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xample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자층 중 어느 하나의 발광구조물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제 1 휨 반경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제 2 휨 반경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a light emitting structure of the element layers of FIG. 1.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Fig. 1 is bent at a first bending radius,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Fig. 1 is bent at a second bending radiu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연성재료로 마련되는 기판(110), 기판(110) 상에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한 복수의 발광구조물을 포함하는 소자층(120), 및 소자층(120)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130)을 포함한다.1,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formed of a soft material,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uctur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on a substrate 110, And a protective layer 130 formed on the device layer 120. The protective layer 130 is formed on the device layer 120,

기판(110)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및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연성재료로 마련된다.The substrate 11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plastic.

소자층(120)은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한 복수의 발광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때, 발광구조물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발광구조물은 전기영동표시소자(E-Paper Device), 전기습윤표시소자(Electro Wetting Device),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element layer 12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uctur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s not limited within the range applicable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be any one of an E-paper device, an electro wetting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예시적으로, 발광구조물이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OLED)인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층(120)은 각 화소영역에 대응한 구동스위치소자(DTr) 및 유기발광소자(E)를 포함한다. 2, the element layer 120 includes a driving switch element DTr corresponding to each pixel region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region, ).

구체적으로, 소자층(120) 중 반도체층(121)은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데,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21a), 액티브영역(121a)의 양측면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되는 소스영역(121b) 및 드레인영역(121c)을 포함한다.A semiconductor layer 121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he semiconductor layer 121 includes an active region 121a constituting a channel and a source region 121b formed by doping impurities on both sides of the active region 121a 121b and a drain region 121c.

제 1 층간절연막(122a)은 반도체층(121)을 덮도록 기판(110) 상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a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so as to cover the semiconductor layer 121. [

게이트전극(123)은 제 1 층간절연막(122a) 상에, 액티브영역(121a)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하도록 형성된다.The gate electrode 123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a so as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with the active region 121a.

제 2 층간절연막(122b)은 게이트전극(123)을 덮도록 제 1 층간절연막(122a) 상의 전면에 적층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b is formed so as to be lamin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a so as to cover the gate electrode 123. [

소스전극(124a)은 제 2 층간절연막(122b) 상에 소스영역(121b)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하도록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122a, 122b)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소스영역(121b)과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드레인전극(124b)은 제 2 층간절연막(122b) 상에 드레인영역(121c)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하도록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122a, 122b)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영역(121c)과 연결된다.The source electrode 124a is form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b so as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with the source region 121b and is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121b through the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s 122a and 122b 121b. Similarly, the drain electrode 124b is form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b so as to overlap at least part of the drain region 121c and through the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s 122a and 122b Drain region 121c.

이로써, 반도체층(121), 게이트전극(123), 소스전극(124a) 및 드레인전극(124b)을 포함하는 구동스위치소자(DTr)가 마련된다.Thereby, the driving switch element DTr including the semiconductor layer 121, the gate electrode 123, the source electrode 124a, and the drain electrode 124b is provided.

제 3 층간절연막(122c)은 소스전극(124a) 및 드레인전극(124b)을 덮도록 제 2 층간절연막(122b) 상의 전면에 형성된다.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c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b so as to cover the source electrode 124a and the drain electrode 124b.

뱅크(125)는 제 3 층간절연막(122c) 상에 복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외곽과 대응하는 격벽으로 형성된다.The bank 125 is form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c as a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유기발광소자(E)는 제 3 층간절연막(122c) 상에 복수의 화소영역 각각과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전극(126a, 126b),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유기층(126c)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전극(126a)은 제 3 층간절연막(122c)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전극(124b)과 연결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 is form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c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6a and 126b facing each other and an organic layer 126c.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26a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24b through the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2c.

다시 도 1을 이어서 설명한다.1 will be described again.

보호층(130)은 소자층(120)을 외부의 물리적,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AlOx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된다.The protective layer 130 is formed to protect the element layer 120 from external physical and electrical impacts, and is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lO x .

한편, 기판(110), 소자층(120) 및 보호층(130)을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휘어진 상태(bending state)에서 응력이 0이 되는 면, 즉 중립축(NA: neutral axis)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any on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substrate 110,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is a surface where the stress becomes zero in a bending state, NA: neutral axis).

이때, 중립축(NA)은 기판(110), 소자층(120) 및 보호층(130) 각각의 두께와 재료 및 이들의 전체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기판(110), 소자층(120) 및 보호층(13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중립축(NA)은 소자층(120)의 단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neutral axis NA controls the substrate 110,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by adjusting the thickness and material of each of the substrate 110,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Layer 130 may be any one of the cross-sections. 1, the neutral axis NA may be a cross-section of the element layer 120. In one embodimen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의 제 1 하중(F1)이 인가된 플렉서블 표시장치(101)인 경우, 중립축(NA)은 제 1 하중(F1)에 대응한 제 1 휨 반경(R=r1)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나, 중립축(NA)의 길이는 변형되지 않으므로, 중립축(NA)의 변형률은 0으로 유지된다. 즉, 중립축(NA)에는 실질적으로 제 1 하중(F1)에 따른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3, in the cas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1 to which the first load F1 in the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neutral axis NA has a first bending radius (R = 1)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ad F1, r1, and the length of the neutral axis NA is not deformed, so that the strain of the neutral axis NA is maintained at zero. That is, stress along the neutral axis NA substantially does not occur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load F1.

그러나,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1 축(A1), 및 보호층(13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2 축(A2)은 중립축(NA)의 바깥쪽에서 볼록하게 휘어진다. 이에, 제 1 및 제 2 축(A1, A2)은 제 1 하중(F1)에 의해 휘어지면서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변형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축(A1, A2), 및 이들에 대응한 소자층(120) 및 보호층(130)에는 제 1 하중(F1)에 따른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second axis A2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30 are curved convexly outside the neutral axis NA. Thus,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are deformed to be longer by being bent by the first load F1. Therefore, a tensile stress due to the first load F1 i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and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구체적으로,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1 축(A1)은 중립축(NA)의 바깥쪽에서 중립축(NA)으로부터 제 1 이격거리(Y1)만큼 이격된다. 이에, 제 1 축(A1)은 중립축(NA)의 휨 반경(R), 즉 제 1 휨 반경(R=r1)보다 제 1 이격거리(Y1)만큼 더 큰 휨 반경(=r1+Y1)으로 볼록하게 휘어진다. Specifically, the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neutral axis NA by the first distance Y1 from the outside of the neutral axis NA. Therefore, the first axis A1 is a bending radius (= r1 + Y1) that is larger than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i.e., the first bending radius R = r1 by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1 It bends convexly.

그러므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제 1 휨 반경(r1)으로 변동시키는 제 1 하중(F1)에 의해, 제 1 축(A1) 및 그를 포함한 소자층(120)은 제 1 휨 반경(r1) 및 제 1 이격거리(Y1)에 기초하는 제 1 변형률로 변형된다. The first axis A1 and the element layer 120 including the first axis A1 are deformed by the first load F1 changing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to the first bending radius r1, And is deformed to a first strain based on the radius r1 and the first spacing distance Y1.

이와 마찬가지로, 보호층(13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2 축(A2)은 중립축(NA)의 바깥쪽에서 중립축(NA)으로부터 제 2 이격거리(Y2)만큼 이격된다. 이에, 제 2 축(A2)은 중립축(NA)의 휨 반경(R), 즉 제 1 휨 반경(R=r1)보다 제 2 이격거리(Y2)만큼 더 큰 휨 반경(=r1+Y2)으로 볼록하게 휘어진다. Similarly, the second axis A2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neutral axis NA by the second distance Y2 from the outside of the neutral axis NA. Therefore, the second axis A2 is a bending radius (= r1 + Y2) that is larger than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i.e., the first bending radius R = r1 by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Y2 It bends convexly.

그러므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제 1 휨 반경(r1)으로 변동시키는 제 1 하중(F1)에 의해, 제 2 축(A2) 및 그에 대응한 보호층(130)은 제 1 휨 반경(r1) 및 제 2 이격거리(Y2)에 기초하는 제 2 변형률로 변형된다. The second shaft A2 and the corresponding protective layer 130 ar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F1 by the first load F1 which varie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to the first bending radius r1, And is deformed to a second strain based on the bending radius r1 and the second spacing distance Y2.

더불어, 제 2 축(A2)은 제 1 축(A1)보다 중립축(NA)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므로, 동일한 하중을 받더라도 제 1 축(A1)보다 큰 변형률로 변형된다. 즉, 제 2 이격거리(Y2)는 제 1 이격거리(Y1)보다 크므로, 제 2 변형률은 제 1 변형률보다 크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axis A2 is farther from the neutral axis NA than the first axis A1, the second axis A2 is deformed to a greater strain than the first axis A1 even under the same load. That is, since the second spacing distance Y2 is larger than the first spacing distance Y1, the second strain rate is larger than the first strain rate.

이러한 제 1 및 제 2 축(A1, A2)과 달리, 기판(110)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축(A3, A4)은 중립축(NA)의 안쪽에서 볼록하게 휘어진다. 즉, 제 3 및 제 4 축(A3, A4)은 제 1 하중(F1)에 의해 휘어지면서 길이가 더 짧아지도록 변형된다. 그러므로, 제 3 및 제 4 축(A3, A4), 및 이들을 포함한 기판(110)에는 제 1 하중(F1)에 따른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Unlike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110 are curved convexly from the inside of the neutral axis NA.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are deformed to be shorter by being bent by the first load F1.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axes A3 and A4 and the substrate 110 including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generate compressive stres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load F1.

이때, 제 1 및 제 2 변형률과 마찬가지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제 1 휨 반경(r1)으로 변동시키는 제 1 하중(F1)에 의해, 제 3 축(A3)의 변형률은 제 1 휨 반경(R=r1) 및 제 3 축(A3)과 중립축(NA) 간의 이격거리에 기초하고, 제 4 축(A4)의 변형률은 제 1 휨 반경(r1), 및 제 4 축(A4)과 중립축(NA) 간의 이격거리에 기초한다.At this time, as in the first and second strains, the strain of the third axis A3 is determined by the first load F1 that varie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to the first bending radius r1, The first bending radius r1 and the fourth bending radius r2 ar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bending radius R = r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hird axis A3 and the neutral axis NA, A4) and the neutral axis NA.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의 제 2 하중(F2)이 인가된 플렉서블 표시장치(102)인 경우, 중립축(NA)은 제 2 하중(F2)에 대응한 제 2 휨 반경(R=r2)으로 오목하게 휘어지나, 길이는 변형되지 않으므로, 중립축(NA)의 변형률은 0으로 유지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2 to which the second load F2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neutral axis NA corresponds to the second bending radiu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ad F2 R = r2), and the length is not deformed, so that the strain of the neutral axis NA is kept at zero.

그러나,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1 축(A1), 및 보호층(13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2 축(A2)은 중립축(NA)의 안쪽에서 오목하게 휘어진다. 이에, 제 1 및 제 2 축(A1, A2)은 제 2 하중(F2)에 의해 휘어지면서 길이가 더 짧아지도록 변형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축(A1, A2), 및 이들에 대응한 소자층(120) 및 보호층(130)에는 제 2 하중(F2)에 따른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second axis A2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30 are concavely bent inside the neutral axis NA. Thus,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are deformed to be shorter by being bent by the second load F2. Therefore, a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in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and the second load F2.

구체적으로,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1 축(A1)은 중립축(NA)의 안쪽에서 중립축(NA)으로부터 제 1 이격거리(Y1)만큼 이격된다. 이에, 제 1 축(A1)은 중립층(NA)보다 제 1 이격거리(Y1)만큼 더 작은 휨 반경(=r2-Y1)으로 오목하게 휘어진다. Specifically, the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neutral axis NA by a first distance Y1 from the inside of the neutral axis NA. Thus, the first axis A1 is concavely bent with a bending radius (= r2-Y1) smaller than the neutral layer NA by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1.

그러므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제 2 휨 반경(r2)으로 변동시키는 제 2 하중(F2)에 의해, 제 1 축(A1) 및 그에 대응한 소자층(120)은 제 2 휨 반경(r2) 및 제 1 이격거리(Y1)에 기초하는 제 1 변형률(ε_A1)로 변형된다.Therefore, by the second load F2 which varie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to the second bending radius r2, the first axis A1 and the corresponding element layer 120 are arranged in the second The first strain? -2A1 based on the bending radius r2 and the first spacing distance Y1.

이와 마찬가지로, 보호층(130)의 상면에 대응하는 제 2 축(A2)은 중립축(NA)의 안쪽에서 중립축(NA)으로부터 제 2 이격거리(Y2)만큼 이격된다. 이에, 제 2 축(A2)은 중립축(NA)보다 제 2 이격거리(Y2)만큼 더 작은 휨 반경(r2-Y2)으로 오목하게 휘어진다. Similarly, the second axis A2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neutral axis NA by a second distance Y2 from the inside of the neutral axis NA. Thus, the second axis A2 is concavely curved at a bending radius r2-Y2 that is smaller than the neutral axis NA by a second spacing distance Y2.

그러므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제 2 휨 반경(r2)으로 변동시키는 제 2 하중(F2)에 의해, 제 2 축(A2) 및 그에 대응한 보호층(130)은 제 2 휨 반경(r2) 및 제 2 이격거리(Y2)에 기초하는 제 2 변형률(ε_A2)로 변형된다.Therefore, by the second load F2 that varie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to the second bending radius r2, the second axis A2 and the corresponding protective layer 130 are arranged in the second The second strain? -2 based on the bending radius r2 and the second spacing distance Y2.

이러한 제 1 및 제 2 축(A1, A2)과 달리, 기판(110)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축(A3, A4)은 중립축(NA)의 바깥쪽에서 오목하게 휘어진다. 즉, 제 3 및 제 4 축(A3, A4)은 제 2 하중(F2)에 의해 휘어지면서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변형되므로, 제 3 및 제 4 축(A3, A4) 및 이들을 포함한 기판(110)에는 제 2 하중(F2)에 따른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Unlike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110 are concavely curved outside the neutral axis NA.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are deformed to be longer by being bent by the second load F2, so that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and the substrate 110 including the third and fourth axes A3 and A4, Tensile stress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load F2.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에 가해진 하중에 의한 각 축의 변형율은, 하중에 대응한 중립축(NA)의 휨 반경, 및 각 축과 중립축(NA) 사이의 이격거리에 기초한다. 이는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ain rate of each axis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is based on the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NA corresponding to the loa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axis and the neutral axis NA. This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축의 변형율(ε_Ai)은 하중에 대응한 중립축(NA)의 휨 반경(R), 및 각 축과 중립축(NA) 사이의 이격거리(Yi) 간의 비율일 수 있다.As shown in Equation 1, the strain rate? _Ai of each axis may be a ratio between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corresponding to the loa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Yi between each axis and the neutral axis NA .

이러한 수학식 1에 따르면, 하중에 대응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이 작아질수록, 또는 각 축과 중립축(NA) 사이의 이격거리(Yi)가 커질수록, 각 축의 변형률(ε_Ai)은 더 커진다.According to this formula (1), a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corresponding to the load becomes smaller, or as the separation distance Yi between each axis and the neutral axis NA becomes larger, the strain? ) Is larger.

다만, 각 축의 변형율은 무한대로 커질 수 없다. 즉, 각 축의 변형율은 재료의 강도(strength)에 기초한 임계 변형률 이내로 한정된다. 즉, 축의 변형율은 축의 재료를 파괴시키는 임계 변형률까지만 증가될 수 있다.However, the strain rate of each axis can not be increased to infinity. That is, the strain rate of each axis is limited to within a critical strai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That is, the strain rate of the shaft can be increased only up to the critical strain that destroys the material of the shaft.

더불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설계 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은 기준 반경 이상으로 한정된다. 즉, 기준 반경은 중립축(NA)의 휨 반경(R) 중 최소값을 나타낸다. 참고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 중 최대값은 무한대(∞)로서, 중립축(NA)이 평평한 상태인 경우에 해당한다.In addition, in design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is limit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radius. That is, the reference radius represents the minimum value among the bending radii R of the neutral axis NA. For reference, the maximum value of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is infinity (∞), which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neutral axis NA is flat.

이러한 기준 반경은 기판(110) 재료의 강도에 기초하여, 기판(110)을 파손시키지 않는 휨 반경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는, 기준 반경은 제품의 표준치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도 있다. This reference radius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ubstrate 110 material, such that the substrate 110 is not fractured. Alternatively, the reference radiu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value of the product or the designer's intention.

이와 같이 각 축(Ai)의 임계 변형률 및 중립축(NA)의 기준 반경이 기설정됨에 따라, 그에 맞추어 소자층(120) 및 보호층(130)이 파괴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축(A1, A2)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As the critical strain of each axis Ai and the reference radius of the neutral axis NA are set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1 are formed so that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are not broken accordingly. , A2) need to be adjusted.

즉,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기준 반경으로 변동시키는 하중에 의해, 제 1 축(A1) 및 그를 포함한 소자층(120)은 소자층(120)을 파괴시키는 제 1 임계 변형률 미만인 제 1 변형률로 변형되어야 한다. That is, due to the load that varie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by the reference radius, the first axis A1 and the element layer 120 including the first axis A1 are less than the first critical strain that destroys the element layer 120 It should be deformed to the first strain.

그러므로, 이하의 수학식 2와 같이, 제 1 축(A1)과 중립축(NA) 사이의 제 1 이격거리(Y1)는 0 이상이고, 제 1 임계거리(Y1max) 미만인 범위에 해당하고, 이때, 제 1 임계거리(Y1max)는 제 1 임계 변형률(ε_A1max) 및 기준 반경(Rmin)에 기초한다.Therefore,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1 between the first axis A1 and the neutral axis NA is equal to or larger than 0 and falls within a range less than the first critical distance Y1 max ,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2) , The first critical distance Y1 max is based on the first critical strain epsilon A1 max and the reference radius Rmin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와 마찬가지로, 중립축(NA)의 휨 반경(R)을 기준 반경으로 변동시키는 하중에 의해, 제 2 축(A1) 및 그를 포함한 보호층(130)은 보호층(130)을 파괴시키는 제 2 임계 변형률 미만인 제 2 변형률로 변형되어야 한다. Similarly, the second axis A1 and the protective layer 130 including the second axis A1 are deformed by the load that varies the bending radius R of the neutral axis NA by the reference radius, and the second critical strain Lt; RTI ID = 0.0 > strain. ≪ / RTI >

그러므로, 이하의 수학식 3과 같이, 제 2 축(A2)과 중립축(NA) 사이의 제 2 이격거리(Y2)는 0 이상이고, 제 2 임계거리(Y2max) 미만인 범위에 해당하고, 이때, 제 2 임계거리(Y2max)는 제 2 임계 변형률(ε_A2max) 및 기준 반경(Rmin)에 기초한다.Therefore,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and the second axis (A2) and the neutral axis (NA) and the second distance (Y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between the second critic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ange less than (Y2 max), and wherein , And the second critical distance Y2 max is based on the second critical strain epsilon A2 max and the reference radius Rmin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축의 임계 변형률은 각 축의 재료가 갖는 강도(strength)에 기초하여 기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the critical strain of each axis is predetermined based on the strength of each axis material.

도 5는 제 1 및 제 2 축의 임계 변형률에 대한 일 예이다. 5 is an example of the critical strain of the first and second axes.

도 5에서, 가로축은 제 1 및 제 2 축(A1, A2) 각각과 중립축(NA) 간의 이격거리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중립축(NA)의 휨 반경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그래프는 이격거리 및 휨 반경에 따른 임계 변형률을 나타낸 것이다. 5, the abscissa axis represen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and the neutral axis NA, and the ordinate axis represents the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NA. Each graph shows the critical strai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bending radius.

이에, 도 5의 예시에 따르면, 제 1 축(A1)의 임계 변형률은 적색 그래프의 기울기, 즉 대략 0.0005로 나타나고, 제 2 축(A2)의 임계 변형률은 청색 그래프의 기울기, 즉 대략 0.01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the critical strain of the first axis A1 is represented by the slope of the red graph, that is, approximately 0.0005, and the critical strain of the second axis A2 is represented by the slope of the blue graph, .

여기서, 기준 반경(Rmin)이 1㎜라고 가정하면,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임계거리(Y1max)는 5㎛이고, 제 2 임계거리(Y2max)는 10㎛이 된다.Assuming here that the reference radius Rmin is 1 mm, the first critical distance Y1max is 5 占 퐉 and the second critical distance Y2max is 10 占 퐉,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이를 수학식 2 및 3에 대입하면, 제 1 축(A1)이 중립축(N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인 제 1 이격거리(Y1)는 0㎛ 이상, 5㎛ 미만의 범위에 해당하고, 제 2 축(A2)이 중립축(N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인 제 2 이격거리(Y2)는 0㎛ 이상, 10㎛ 미만의 범위에 해당한다.Substituting this into equations (2) and (3),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1, which is the distance that the first axis A1 is spaced from the neutral axis NA, is in the range of 0 占 퐉 to less than 5 占 퐉, The second spacing distance Y2, which is a distance apart from the neutral axis NA, is in the range of 0 占 퐉 to less than 10 占 퐉.

또한, 제 2 이격거리(Y2)는 제 1 이격거리(Y1)과 보호층(130)의 두께를 합한 값에 해당하므로, 보호층(130)의 두께는 제 2 이격거리(Y2)에서 제 1 이격거리(Y1)를 뺀 값(Y2-Y1)이 된다. 그러므로, 보호층(130)의 두께는 0㎛ 초과, 5㎛ 미만의 범위에 해당한다.Since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Y2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1 an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on layer 130,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on layer 130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2 (Y2-Y1)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paration distance Y1.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130 corresponds to a range of more than 0 mu m and less than 5 mu m.

한편, 도 1은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립축(NA)이 소자층(120) 내의 단면, 즉 기판(110)의 상면에 대응한 제 3 축(A3)과,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한 제 1 축(A1)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도 1의 도시와 달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립축(NA)은 소자층(120) 내의 단면이 아닐 수도 있다.1 shows a state in which the neutral axis N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is perpendicular to the third axis A3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in the element layer 1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xis A1. 1,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utral axis NA may not be a cross-section in the element layer 120. [

도 6 내지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xample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립축(NA)은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한 제 1 축(A1)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격거리(Y1)는 0이 된다.6, the neutral axis N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may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120. In other words, At this time,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Y1 becomes zero.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립축(NA)은 보호층(130) 내의 단면, 즉 소자층(120)의 상면에 대응한 제 1 축(A1)과, 보호층(130)의 상면에 대응한 제 2 축(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7, the neutral axis N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 is defined by a first axis A1 corresponding to an end face in the passivation layer 130, that is, the top face of the element layer 120, And the second axis A2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30. [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립축(NA)은 기판(110) 내의 단면, 즉 기판(110)의 하면에 대응한 제 4 축(A4)과, 기판(110)의 상면에 대응한 제 3 축(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8, the neutral axis N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 '' 'has a fourth axis A4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in the substrate 110,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axis A3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

이상과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휘어지는 형태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가 최고치에 달하는 경우인 중립축의 기준 반경과 각 층의 임계 변형률에 기초하여, 각 층에 대응한 축과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로써, 하중에 의한 형태 변형이 1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에도, 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수명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the critical strain of each layer, which is the case where the stress due to warped shape deformation reaches a maximum,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As a result, even when the shape deformation due to the load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the lay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so that the lifetime and relia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100', 100'', 100''': 플렉서블 표시장치
110: 기판 120: 소자층
130: 보호층 NA: 중립축
A1: 소자층의 상면에 대응한 제 1 축
A2: 보호층의 상면에 대응한 제 2 축
A3, A4: 기판의 상, 하면에 대응한 제 3 및 제 4 축
Y1: 제 1 축과 중립축 사이의 제 1 이격거리
Y2: 제 2 축과 중립축 사이의 제 2 이격거리
100, 100 ', 100 ", 100 "': Flexible display device
110: substrate 120: element layer
130: protective layer NA: neutral axis
A1: a first axi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A2: a second axi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A3, A4: third and fourth ax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Y1: Firs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xis and the neutral axis
Y2: secon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xis and the neutral axis

Claims (6)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연성재료로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구조물을 포함하는 소자층; 및
상기 소자층 상에 상기 복수의 발광구조물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기 소자층 및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휘어진 상태(bending state)에서 응력이 0이 되는 중립축(neutral axis)이며,
상기 중립축이 임의의 휨 반경으로 휘어진 경우,
상기 소자층은, 상기 중립축의 휨 반경, 및 상기 소자층의 상면에 대응한 제 1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에 기초하는 제 1 변형률로 변형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중립축의 휨 반경, 및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 대응한 제 2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에 기초하는 제 2 변형률로 변형되며,
상기 중립축이 기설정된 기준 반경으로 휘어지는 경우, 상기 제 1 변형률이 상기 소자층을 파괴시키는 제 1 임계 변형률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 1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1 임계 변형률 및 상기 기준 반경에 기초하는 제 1 임계거리 미만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substrate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An element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uctures form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on the substrate; And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element layer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uctures,
A cross section of any one of the substrate, the device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is a neutral axis in which a stress is zero in a bending state,
When the neutral axis is bent with an arbitrary bending radius,
Wherein the element layer is deformed to a first strain based on a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a distance between a first axis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layer and the neutral axis,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s deformed to a second strain based on a bending radius of the neutral axis and a distance between a second axis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neutral axis,
Wherein when the neutral axis is bent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radius, the first strain is less than a first critical strain,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xis and the neutral axis is less than the first critical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ritical strain and the reference radi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형률이 상기 보호층을 파괴시키는 제 2 임계 변형률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 2 축과 상기 중립축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2 임계 변형률 및 상기 기준 반경에 대응한 제 2 임계거리 미만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train is less than a second critical strain that destroys the protective layer,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xis and the neutral axis is less than a second critic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ritical strain and the reference radiu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임계거리에서 상기 제 1 임계거리를 뺀 값 미만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less than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critical distance from the second critical distan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AlOx를 포함한 단일층 또는 다중층이고,
상기 기준 반경은 1㎜이며,
상기 제 1 임계 변형률은 0.005㎛이고, 상기 제 2 임계 변형률은 0.01㎛인 경우,
상기 제 1 임계거리는 5㎛이고, 상기 제 2 임계거리는 10㎛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ective layer may b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cluding AlO x ,
The reference radius is 1 mm,
Wherein the first critical strain is 0.005 mu m and the second critical strain is 0.01 mu m,
Wherein the first critical distance is 5 占 퐉 and the second critical distance is 10 占 퐉.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0㎛을 초과하고 5㎛ 미만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more than 0 占 퐉 and less than 5 占 퐉.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은 상기 중립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irst axis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neutral axis.
KR1020120154273A 2012-12-27 2012-12-27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960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73A KR101960389B1 (en) 2012-12-27 2012-12-27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73A KR101960389B1 (en) 2012-12-27 2012-12-27 Flexi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22A true KR20140084622A (en) 2014-07-07
KR101960389B1 KR101960389B1 (en) 2019-03-20

Family

ID=5173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273A KR101960389B1 (en) 2012-12-27 2012-12-27 Flexi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38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983A (en) * 2014-07-08 2016-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502393A (en) * 2014-12-26 2018-01-2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Window cov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10164319A (en) * 2018-02-13 2019-08-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Bent display
CN110189636A (en) * 2019-05-31 2019-08-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1383535A (en) * 2020-03-25 2020-07-0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150928A (en) * 2020-09-25 2020-12-2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Flexible cover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 relevant documents disclosed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983A (en) * 2014-07-08 2016-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502393A (en) * 2014-12-26 2018-01-2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Window cov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10164319A (en) * 2018-02-13 2019-08-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Bent display
CN110189636A (en) * 2019-05-31 2019-08-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0189636B (en) * 2019-05-31 2021-06-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1383535A (en) * 2020-03-25 2020-07-0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1383535B (en) * 2020-03-25 2022-07-0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150928A (en) * 2020-09-25 2020-12-2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Flexible cover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389B1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389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864563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wire having reinforced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82159B1 (en)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30485B1 (en) Display device having divided wiring pattern
US953083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substrate curved around support substrate
CN108520887B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07025850B (en) Flexure type display device
KR20210155384A (en) Flexible touch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50020895A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3089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65053A (en) Display device
KR10240290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17057228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210086284A (en) Display apparatus
JP2006503322A (en) Low coefficient substrate for flexible flat panel display
US20220151086A1 (en) Display device
CN108054142A (en) The production method and display base plate of display base plate
CN108008581B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217767406U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CN114071903B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8550604B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backboard, flexible backboard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68243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wire having reinforced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16916714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50063688A (en) Mask for forming organic insulation layer of prote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