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494A -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494A
KR20140084494A KR1020120153962A KR20120153962A KR20140084494A KR 20140084494 A KR20140084494 A KR 20140084494A KR 1020120153962 A KR1020120153962 A KR 1020120153962A KR 20120153962 A KR20120153962 A KR 20120153962A KR 20140084494 A KR20140084494 A KR 2014008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housing
core
assembly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4494A/ko
Priority to CN201310232751.1A priority patent/CN103904825A/zh
Publication of KR2014008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5Heat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속을 발생시켜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어셈블리와, 회전자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는 회전자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와 회전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의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 코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코어 홀더; 및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상기 코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파이프;를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Cooling Apparatus for Axial Flux Permanent Magnet Motor}
본 발명은 모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발열량이 높은 스테이터 코어 주변에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파이프가 배치된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연소식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환경친화적이고, 연비를 고려한 또 다른 형태의 자동차, 즉,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기존의 엔진과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를 연계하여 두 가지의 동력원으로 차량을 구동하고,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만으로 구동하는 만큼,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의 감소와 함께 연비향상의 효과로 인하여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현실대안적인 차세대 자동차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에는 전기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고용량 배터리가 장착되어 필요시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고 차량의 감속, 정지시 재생동력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로 충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전기모터는 크게 영구자석과 같은 다수의 자성체가 구비된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고정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용 전기모터는 차량의 구동력을 위한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모터의 코일로부터 상당한 열이 방출되기 때문에, 모터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모터의 냉각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01045호(출원일 : 2007.06.29)
본 발명은 높은 발열량을 갖는 스테이터 코일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는, 자속을 발생시켜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어셈블리와, 회전자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는 회전자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와 회전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의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 코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코어 홀더; 및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상기 코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파이프는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자 코어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파이프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파이프를 상기 코어 홀더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몰딩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딩 지지부는 상기 코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몰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홀더는 상기 고정자 코어로 전달된 상기 코일의 열을 상기 하우징으로 전도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에 따르면, 높은 발열량을 갖는 코일에 인접하게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파이프가 배치되어 코일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 축방향 자속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축방향 자속 모터의 구조도;
도 2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고정자 어셈블리 및 회전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축방향 자속모터의 고정자 어셈블리 및 회전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구조가 구비된 고정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축방향 자속 모터(Axial Flux Permanent magnet Motor: AFPM)의 전체적인 구성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자속(magnetic flux)을 발생시켜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고정자 어셈블리(110)와, 회전자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는 회전자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상기와 같은 고정자 어셈블리(110) 및 회전자 어셈블리(120)를 수용하는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 어셈블리(110)는 고정자 코어(111) 및 코일(11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자 코어(111)는 권선된 코일(112)을 고정 또는 지지하며, 고정자 어셈블리(110)와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고정자 코어(111)는 하우징(130) 내측에 배치되어 원형 고리 또는 링(ring)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코일(112)은 고정자 코어(111)에 권선(winding) 된다. 코일(112)은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자 어셈블리(120)와 상호 작용하는 자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자 어셈블리(120)는 샤프트(121), 회전판(122), 회전자 코어(123) 및 자성체(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121)는 하우징(13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샤프트(121)는 길이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전후 측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회전판(122)은 샤프트(121)에 체결되어 회전자 코어(123) 및 자성체(124)에 의한 회전력을 샤프트(121)로 전달한다. 회전판(122)는 중심부에 샤프트(121)가 체결된 원판 또는 디스크(disk)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122)은 고정자 어셈블리(1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회전판(122a, 122b)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회전판(122a)을 제 1 회전판(122a), 우측에 배치된 회전판(122b)을 제 2 회전판(122b)으로 지칭한다.
회전자 코어(123)는 회전판(122)에 장착된다. 회전자 코어(123)는 전술한 고정자 코어(111)에 대응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일으키는 자성체(124)를 고정 또는 지지하고, 고정자 어셈블리(110)와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자 코어(123)는 원판 또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원형 고리 또는 링 형태로 배치된 고정자 코어(111)에 대응된다. 또한, 회전자 코어(123)는 고정자 어셈블리(1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회전자 코어(123a, 123b)가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회전판(122a)과 제 2 회전판(122b)에는 각각 회전자 코어(123a, 123b)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회전판(122a)에 장착된 회전자 코어(123a)를 제 1 회전자 코어(123a), 제 2 회전판(122b)에 장착된 회전자 코어(123b)를 제 2 회전자 코어(123b)로 지칭한다.
자성체(124)는 회전자 코어(123)에 장착된다. 자성체(124)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112)을 통해 형성된 회전자계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회전력은 회전판(122)을 통해 샤프트(121)로 전달되어 샤프트(121)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하우징(130)은 내부에 소정정도의 장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와 같은 고정자 어셈블리(110) 및 회전자 어셈블리(120)를 수용한다.
하우징(130)은 고정자 어셈블리(110)를 하우징(130) 내 고정 지지하는 고정자 하우징(131)과,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샤프트(12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자 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우징(130)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센싱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레졸버 스테이터(resolver stator, 141) 및 레졸버 로터(resolver rotor, 14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졸버 스테이터(141)는 하우징(1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레졸버 로터(142)는 샤프트(121) 등의 회전자 어셈블리(120)에 장착되어 회전자 어셈블리(120)와 함께 회전된다. 레졸버 스테이터(141) 및 레졸버 로터(142)는 각각 2 상(phase)의 권선을 가지고, 출력 전압값의 변화를 통해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 등을 검출하게 된다.
도 2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고정자 어셈블리 및 회전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축방향 자속모터의 고정자 어셈블리 및 회전자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고정자 어셈블리(110)는 고정자 코어(111)에 코일(112)이 권선되어 하우징(130) 내에 원형 고리 또는 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어셈블리(110)의 양 측에는 각각 제 1, 2 회전자 코어(123a, 123b)가 배치되며, 제 1, 2 회전자 코어(123a, 123b)는 원형 고리 또는 링 형태로 배치된 고정자 어셈블리(110)에 대응되도록 각각 원판 또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 1, 2 회전자 코어(123a, 123b)에는 각각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성체(124)가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2 회전자 코어(123a, 123b)는 각각 제 1, 2 회전판(122a, 122b)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되게 된다 (도 1 참고).
한편, 고정자 코어(111)는 판(plate) 상의 자성 강판이 복수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고정자 코어 유닛(111a)이 원형 고리 또는 링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 코어(111)가 복수개의 고정자 코어 유닛(111a)으로 형성된 경우, 각각의 고정자 코어 유닛(111a)에는 각각의 코일 유닛(112a)이 권선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자 코어 유닛(111a)은 인접한 고정자 코어 유닛(111a)과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하나의 원형 고리 또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반경방향 자속 모터(Radial Flux Permanent magnet Mortor: RFPM)와 달리 고정자 어셈블리(110)가 발생시키는 자속의 방향이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반경방향 자속 모터의 경우, 고정자(stator)가 발생시키는 자속의 방향이 회전자(rotor)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반해,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고정자가 발생시키는 자속의 방향이 회전자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즉, 축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고정자 어셈블리(110)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방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축방향 자속 모터(100)의 경우, 코일(112)이 샤프트(121)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킴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121)의 길이방향(즉, 회전자 어셈블리(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자속은, 고정자 어셈블리(1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 제 1, 2 회전자 코어(123a, 123b) 및 자성체(124)와 상호 작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제 1, 2 회전판(122a, 122b) 및 샤프트(121)가 회전 구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동일 체적 및 중량의 반경방향 자속 모터에 비해 큰 토크(torque)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단위 체적 또는 단위 중량당 토크에 있어 반경방향 자속 모터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축방향 자속 모터(100)의 경우, 반경방향 자속 모터에 비해 요구되는 토크 대비 장치의 크기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의 고출력화된 구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축방향 자속 모터(100)는 구동 중 고정자 코어(111)에 권선된 코일(112)로부터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는 바, 모터(100)의 안정된 구동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코일(112)을 냉각하여야 하며, 본 실시예의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본 실시예의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150)는 코어 홀더(151), 냉각파이프(152), 몰딩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홀더(151)는 고정자 코어(111)를 하우징(130)의 고정자 하우징(131)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코정자 코어(111)의 말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자 하우징(131)에 고정됨으로써, 고정자 하우징(131)에 고정자 코어(111)를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어 홀더(151)는 고정자 코어(111)로 전달된 코일(112)의 열을 고정자 하우징(131)으로 직접 전도할 수 있도록 열전달 특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냉각파이프(152)는 코일(112)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일(112)에 인접하게 하나 이상이 직렬 배치될 수 있다. 즉, 냉각파이프(152)는 코일(112)이 권선된 고정자 코어(111)에 권취되는 단일의 냉각파이프(152)이거나, 각각의 고정자 코어(111)의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치된 하나 이상의 냉각파이프(152)일 수 있다.
몰딩 지지부(153)는 코어 홀더(151)의 내부에 냉각파이프(152)를 고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파이프(152)가 권취된 고정자 코어(111)의 외측에 몰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 축방향 자속 모터
110 : 고정자 어셈블리
120 : 회전자 어셈블리
130 : 하우징
140 : 센싱부
150 : 냉각구조

Claims (5)

  1. 자속을 발생시켜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어셈블리와, 회전자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는 회전자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와 회전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의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 코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코어 홀더; 및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상기 코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는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자 코어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를 상기 코어 홀더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몰딩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딩 지지부는 상기 코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몰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홀더는 상기 고정자 코어로 전달된 상기 코일의 열을 상기 하우징으로 전도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KR1020120153962A 2012-12-26 2012-12-26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KR20140084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962A KR20140084494A (ko) 2012-12-26 2012-12-26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CN201310232751.1A CN103904825A (zh) 2012-12-26 2013-06-13 轴方向磁束发动机的冷却构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962A KR20140084494A (ko) 2012-12-26 2012-12-26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94A true KR20140084494A (ko) 2014-07-07

Family

ID=5099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962A KR20140084494A (ko) 2012-12-26 2012-12-26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84494A (ko)
CN (1) CN103904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9324A1 (fr) * 2021-04-28 2022-11-03 Renault S.A.S Stator pour machine a flux axial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st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8927A (zh) * 2018-12-18 2019-02-22 南京磁谷科技有限公司 一种与电机定子固连的冷却水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95A (ja) * 1994-06-21 1996-01-12 Fuji Electric Co Ltd 永久磁石同期機の冷却装置
JP3538947B2 (ja) * 1995-03-10 2004-06-14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の冷却装置
GB0902394D0 (en) * 2009-02-13 2009-04-01 Isis Innovation Electric machine- coo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9324A1 (fr) * 2021-04-28 2022-11-03 Renault S.A.S Stator pour machine a flux axial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stator
FR3122537A1 (fr) * 2021-04-28 2022-11-04 Renault S.A.S Stator pour machine à flux axial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s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04825A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9191B2 (ja) 磁気誘導子型回転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体移送装置
US7462968B2 (en) Electric wheel
KR100947518B1 (ko) 다단 회전자를 구비한 코어리스 모터 및 그 모터를 사용한구동장치
JP5058033B2 (ja) 汎用エンジン
US8120215B2 (en) Motor and control unit thereof
JP5635921B2 (ja)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回転電機装置
US10461614B2 (en) Rotor and electrical machine
US8987963B2 (en) Double drive shaft motor of magnetic flux modulation type
US9543792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electric motor, machine, electric generator, and electric generating machine
JP2009011023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モータ
KR101437546B1 (ko) 고정자 어셈블리, 축방향 자속 모터 및 고정자의 제조방법
JP2010525774A (ja) 同心円状に配置された回転子を有するモータ及び前記モータを備える駆動装置
US8796895B2 (e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JP2007110787A5 (ko)
KR20140035549A (ko) 차량용 모터
KR20140084494A (ko) 축방향 자속 모터의 냉각구조
KR100947509B1 (ko) 다단 회전자를 구비한 모터 및 그 모터를 사용한 구동장치
US8689916B2 (en) Apparatus of driving wheels for in-wheel system
JP3184318U (ja) 発電装置
JP2009011069A (ja) 電動装置
KR20150019057A (ko) 냉각 성능이 향상된 축방향 자속 모터의 하우징 구조체
KR20140011446A (ko) 모터 레졸버 장착구조
KR100946649B1 (ko) 다단 회전자를 구비한 모터 및 그 모터를 사용한 구동장치
JP2012210017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JP2008125195A (ja) 電動モータおよびハイブリット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