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850A -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850A
KR20140083850A KR1020130049622A KR20130049622A KR20140083850A KR 20140083850 A KR20140083850 A KR 20140083850A KR 1020130049622 A KR1020130049622 A KR 1020130049622A KR 20130049622 A KR20130049622 A KR 20130049622A KR 20140083850 A KR20140083850 A KR 2014008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viding
providing device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746B1 (ko
Inventor
강재은
양칠렬
이명환
이춘호
이태영
한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140,71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1025B2/en
Priority to PCT/KR2013/012198 priority patent/WO2014104752A1/en
Priority to JP2013269296A priority patent/JP6366270B2/ja
Priority to EP13199682.9A priority patent/EP2750425B1/en
Publication of KR2014008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가 간단하게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Out-of-band)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In-band) 통신을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necting to Service Providing Terminal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서 직접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 단말과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서비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로 다른 디바이스를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고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가 간단하게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Out-of-band)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In-band) 통신을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연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 2 디바이스와 연결된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대역 내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BLE(Bluetooth Low Energy)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제 1 디바이스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맥 주소 및 제 1 디바이스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BLE(Bluetooth Low Energy)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서비스 및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받은 결과를 포함하고,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받은 디바이스인 경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서비스 및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고,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제 2 통신부 및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부는 제 2 디바이스로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전송하고, 제 2 통신부는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내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는 제 1 통신부를 통해 제 2 디바이스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부는 인증 요청부가 수행한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1 통신부가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BLE(Bluetooth Low Energy)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대역 외 통신부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2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부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맥 주소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BLE(Bluetooth Low Energy)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제어할 권한을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 서비스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해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함은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신호 송수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후술할 기기간의 연결을 기반으로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악기 연주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의료용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운송 수단(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비행기, 또는 배 등) 자동 항법 애플리케이션, 주변 기기 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의 조합 등 다양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애드훅(Ad-hoc) 모드의 무선 랜과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의 무선 랜은 기기간에 근거리 통신시 중계기를 통하는지 여부에 따른 통신 방식을 구분하기 위한 일 예이다. 즉, 애드훅 모드의 무선 랜은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기기간에 직접 통신하는 방식의 일 예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WFD)가 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의 무선 랜은 중계기를 통하여 기기간에 통신하는 방식의 일 예로서, 와이파이(WiFi)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애드훅 모드의 무선 랜은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기기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의 무선 랜은 중계기를 통하여 기기간 통신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 구조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바이스 간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의 연결구조는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간의 통신은 중계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 구조가 중계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기기간 직접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기기간 직접 통신 방식은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기기간에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기간 직접 통신 방식의 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V(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및 애드혹(Ad-Hoc) 모드의 무선 랜 통신에 포함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기기간 직접 통신 방식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기간 직접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방식, D2D(Device-to-Device) 통신 방식 또는 P2P(Peer-to-Peer) 통신 방식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조합을 통해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 또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로그인된 클라우드(cloud)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서비스가 상기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일정한 목적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차량에 구비된 헤드 유닛(Head Unit)인 경우,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동영상 재생이나 헤드 유닛을 통한 차량 내 주변 기기 제어 등이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차량에 구비된 헤드 유닛,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장치나 PC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는 동종의 기기 또는 이종의 기기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핸드헬드 PC,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스마트 TV 등 다양한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의 대역 외 통신(130)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120)는 이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인증 절차를 완료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차량에 구비된 헤드 유닛(Head Unit)인 경우,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이미 연결되고 인증된 운전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 때,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자 하는 동승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는 대역 외(Out-of-band) 통신(130)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 외 통신이란, 대역, 채널, 포트 및 연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수행되는 대역 내(In-band) 통신의 대역, 채널, 포트 및 연결과 동일하지 않은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 통신이 대역 내 통신일 수 있다. 대역 외 통신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 외 통신은 간단하게 연결 가능하고 소량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대역 외 통신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대역 외 통신은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확인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확인하는 것은,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수행할 수 있는 대역 내 통신의 통신 방식이 무엇이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확인하는 것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간에 수행되는 대역 외 통신에 포함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대역 외 통신은 제 1 디바이스(110)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간에 내역 내 통신이 연결되기 전,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 간에 수행되는 통신으로 언급될 수 있다. 대역 외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및 상기 각 통신 방식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역 외 통신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 간의 거리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반경 이내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NFC 통신 방식을 통해 리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디바이스(120)는 NFC 태그에 기초하여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 간의 거리는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한다.
BLE 통신 방식은 정보를 계속해서 송출(Broadcast)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대역 외 통신이 BLE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제 2 디바이스(120)는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계속해서 송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바이스(1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20)는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 암호화 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연결 요청 신호, 연결 수락 신호, 연결 통보 신호 및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동영상 재생 서비스, 콘텐트 검색 서비스 및 차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에 동영상 재생 서비스 및 콘텐트 검색 서비스만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내 통신을 통해 동영상 재생 서비스 및 콘텐트 검색 서비스만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12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의 목록에 제 2 디바이스(12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20)를 통해 제어 중인 서비스를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한 성능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가지는 성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한 성능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지는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역 내 통신을 통해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의 맥 주소(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와 같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Passpharse, PIN 코드 및 FILS(Fast Initial Link Setu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 키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역 내 통신을 통해 연결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할 정보를 의미한다. 암호화 키는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10)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이 저장된 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요청 신호는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또한, 연결 수락 신호는 대역 내 통신 연결을 수락하는 신호이다. 연결 통보 신호는 통신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인증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제어가 허용되는 디바이스로 디바이스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대역 내 통신은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110)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간에 수행되는 통신이다. 대역 내 통신의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애드혹(Ad-Hoc) 모드의 무선 랜에 포함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및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랜(WiFi) 통신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제 1 디바이스(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실시예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제 1 디바이스(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실시예는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2 디바이스(120)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프로세스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할 디바이스로서 인증 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인증 프로세스는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 방식 또는 단방향 인증(One-way Authentication)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프로세스는 문구-응답(Challenge-Response) 방식의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은 NFC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어느 한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디바이스(10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12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가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인증 받은 디바이스인 경우, 인증 받은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로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1 디바이스(110)의 맥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제 1 디바이스(110)의 맥 주소 및 제 1 디바이스(110)에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연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내 통신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S25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서비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만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대역 내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만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 2 디바이스(12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미터 내지 100 미터의 반경 이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 대역 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서 제 2 디바이스(120)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 및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후,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대역 외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서(S320), 제 1 디바이스(110)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된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는 제 2 디바이스(120)를 통해 제어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2 디바이스(120)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20)는 수신된 맥 주소와 제 1 디바이스(110)에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20)는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10)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및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어느 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410).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따라 인증 받은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인증 받은 디바이스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차량에 구비된 헤드 유닛, 제 2 디바이스(120)가 운전자의 스마트폰이고, 제 1 디바이스(110)가 동승자의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인증 받은 동승자의 디바이스가 헤드 유닛에 연결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헤드 유닛은 동승자의 디바이스가 컨텐트 재생 서비스 및 컨텐트 검색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서비스의 목록을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서비스 및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S44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기존에 연결되었던 기록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12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제 1 디바이스(110)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제 1 디바이스(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1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통신 연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520).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S5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서비스의 목록을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결정된 서비스 및 제 1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S540).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S610). 즉, 제 2 디바이스(120)는 이전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할 때,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한다(S620). 대역 외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30).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640). 이 때,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검색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650). S650단계는 S640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S640 단계 이후에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실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URL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해 인증을 받을 수 있다(S6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660 단계는 S640 단계에서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의 대역 외 통신에 기반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S670).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 간에 연결된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디바이스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와는 차등적으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2 디바이스(12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 일부만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서비스의 목록을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S680).
다만, S630 단계 이전에, 제 2 디바이스(120)가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바이스(120)는 S630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는 결정된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S670단계 및 S68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S69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S710). 즉, 제 2 디바이스(120)는 이전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할 때,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 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7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은 NFC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및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로 제 1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30). 이 때, 제 1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와 같은 네트워크 ID 등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제 1 디바이스(11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40).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S750).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 간에 연결된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디바이스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와는 차등적으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2 디바이스(12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 일부만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110)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760). 이 때,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관된 식별 정보는 결정된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관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77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실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정보에 URL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고(S780),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79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차량(80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차량(800)에 구비된 헤드 유닛(Head Un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차량(800)에는 좌석 별로 정보를 읽거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NFC 태그가 구비될 수 있다. NFC 태그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읽은 정보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800)에 구비된 NFC 태그와 제 2 디바이스(120) 간에 NFC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운전자가 탑승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S810). 여기서, 제 2 디바이스(120)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NFC 태그는 차량(800)의 운전석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후,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인증을 받을 수 있다(S820). 여기서,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바이스(120)와 제 1 디바이스(110) 간에 NFC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S84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900)의 각 좌석에 제 2 디바이스(12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디바이스(120)는 NFC 태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먼저, 차량에 구비된 제 2 디바이스(120)와 제 1 디바이스(110) 간에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91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92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제어할 권한을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도 10에 나타난 프로세스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차량에 구비된 헤드 유닛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무선 연결할 수 있다(S1010). 여기서, 제 1 디바이스(110)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간의 무선 연결은 대역 내 통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20). 여기서, 인증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운전자의 디바이스가 아닌 동승자의 디바이스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30). 이하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가 동승자의 디바이스로 인식한 디바이스를 동승자 디바이스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운전자의 디바이스인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것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10)가 동승자 디바이스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디바이스(120)는 도 10에 나타난 프로세스가 수행되기 이전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 및 인증이 완료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S1030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110)가 동승자의 디바이스로 인식된 경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를 동승자의 디바이스로서 인증하고,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제어를 허용할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S1040).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서비스의 목록을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S1050).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60).
S1030 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110)가 도 10에 나타난 프로세스가 수행되기 이전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 및 인증이 완료된 운전자의 디바이스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동승자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5).
S1035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동승자 디바이스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045),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S1055). 단계 S1055와 같이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함으로써,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에만 주행 중인 차량의 헤드 유닛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 2 디바이스(120)는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인증을 받을 수 있다(S1101). 제 2 디바이스(120)는 S1101단계를 수행함에 따라서,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00-1)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서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예시에 따르면, 게이트웨이(100-1)는 TV(1110), 에어컨(1120), 조명(1130) 및 냉장고(1140) 등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대역 외 통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S11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외 통신은 NFC 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는 S1102 단계에서 획득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하고,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된 디바이스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1103).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의 범위는 S1102단계에서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10)로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의 목록이 전송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의 범위는 게이트웨이(100-1)가 제 1 디바이스(110)의 연결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와 게이트웨이(100-1) 간에 연결된 통신은 대역 내 통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 내 통신은 무선 랜(WiFi) 통신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1104). 여기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권한에 따라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획득된 디바이스마다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된 권한에 따라서 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각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1)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S1105).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난 프로세스에 따라서 제 1 디바이스(110)가 에어컨, 조명 및 TV에 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한 경우에 제 1 디바이스(110)는 도 12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상술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폰(110-1)이 중계 설비(120-1)에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1310). 여기서, 대역 외 통신은 무선 랜(WiFi) 통신 방식, NFC 통신 방식 및 BLE 통신 방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폰(110-1)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중계 설비(120-1)는 임의의 디바이스들이 접속할 수 있는 중계 설비를 의미한다. 중계 설비(120-1)는 단순히 접속점 역할만을 수행하는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스를 구비한 컴퓨팅 장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피커(100-2) 및 프린터(100-3)와 같은 주변 기기들이 중계 설비(120-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중계 설비(120-1)는 스마트폰(110-1)에 대해 제어를 허용할 주변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13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 설비(120-1)는 중계 설비(120-1)에 연결된 주변 기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중계 설비(1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스마트폰(110-1)에 대해 제어를 허용할 주변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중계 설비(120-1)는 스마트폰(110-1)으로 선택된 기기의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330). 스마트폰(110-1)은 중계 설비(120-1)로부터 수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에 연결하고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110-1)의 사용자는 스마트폰(110-1)이 공공 장소에 설치된 중계 설비(120-1)에 간단하게 NFC 통신 방식에 따른 대역 외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110-1)이 공용 프린터(100-3)를 통해 문서 출력 서비스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한다(S1410).
이후,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대역 외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S1420),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대한 대역 내 통신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S1430).
바람직하게는, 대역 외 통신이 블루투스 통신 방식과 같이 수 미터 또는 수십 미터 이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도 14에 따라 대역 내 통신의 연결을 종료하는 프로세스가 본 발명에 적용되어야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 서비스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해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한다(S1510).
이후,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대역 외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S1520), 제 1 디바이스(110)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로 대역 내 통신을 종료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1530).
바람직하게는, 대역 외 통신이 블루투스 통신 방식과 같이 수 미터 또는 수십 미터 이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도 14에 따라 대역 내 통신의 연결을 종료하는 프로세스가 본 발명에 적용되어야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610).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제 1 디바이스(110) 또는 제 2 디바이스(120)로 전송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10)와 제 2 디바이스(120)가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역 외 통신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S1620), 제 1 디바이스(110)에 대한 대역 내 통신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S1630).
바람직하게는, 대역 외 통신이 블루투스 통신 방식과 같이 수 미터 또는 수십 미터 이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도 14에 따라 대역 내 통신의 연결을 종료하는 프로세스가 본 발명에 적용되어야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고, 제 2 디바이스(120)로부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1710)와,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제 2 통신부(172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제 2 디바이스(12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 2 디바이스(120)에서 제어 중인 서비스를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부(1710)는 제 2 디바이스(120)로 제 1 디바이스(110)의 네트워크 ID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ID는 맥 주소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의 네트워크 및 대역 내 통신 연결 요청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10)로 대역 내 통신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대역 내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연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디바이스(110)는 제 1 통신부(1710)를 통해 제 2 디바이스(120)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1720)는 인증 요청부가 수행한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17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10)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고, 제어부(1700)는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0)는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에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0)는 제 1 디바이스(110)가 제 2 디바이스(12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통신부(1710)가 제 2 디바이스(120)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700)는 제 2 디바이스(12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통신부(1710)에 의해 수행되는 대역 외 통신은 NFC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및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120)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대역 외 통신부(1810)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URL 등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식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내 통신부(1910)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를 제어하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19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7)

  1.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Out-of-band)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In-band)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된 상기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상기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 내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3. 제 2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인 디바이스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상기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맥 주소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2.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받은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받은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4.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6.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내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인증 요청부가 수행한 상기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부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38.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대역 외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인 제 2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상기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맥 주소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4.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
  45.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6.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47.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49622A 2012-12-26 2013-05-02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6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40,715 US10111025B2 (en) 2012-12-26 2013-12-26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PCT/KR2013/012198 WO2014104752A1 (en) 2012-12-26 2013-12-26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3269296A JP6366270B2 (ja) 2012-12-26 2013-12-26 サービス提供端末に連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EP13199682.9A EP2750425B1 (en) 2012-12-26 2013-12-27 Secure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3708 2012-12-26
KR1020120153708 201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850A true KR20140083850A (ko) 2014-07-04
KR102068746B1 KR102068746B1 (ko) 2020-02-11

Family

ID=5173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622A KR102068746B1 (ko) 2012-12-26 2013-05-02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7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768B2 (en) 2015-03-20 2017-01-1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cure Bluetooth communication
US11240662B2 (en) 2017-04-14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1256A1 (en) * 2005-04-04 2006-11-09 Nokia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EP2448134A2 (en) * 2010-10-29 2012-05-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US20120156993A1 (en) * 2010-12-20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1256A1 (en) * 2005-04-04 2006-11-09 Nokia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EP2448134A2 (en) * 2010-10-29 2012-05-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US20120156993A1 (en) * 2010-12-20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768B2 (en) 2015-03-20 2017-01-1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cure Bluetooth communication
US11240662B2 (en) 2017-04-14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746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6270B2 (ja) サービス提供端末に連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98264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355063B1 (ko) 댁내 위치 기반 서비스들
US2016027800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10116505B2 (en) Device control method for registering device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and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2001221B1 (ko)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0958A (ko)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JP2016537933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せ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81926B1 (ko) 주변 기기의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
JP2009177765A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5098162A1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CN103687058A (zh) 用于执行设备间通信的设备和方法
KR20130022224A (ko) 컨텐츠 공유 단말기
JP2014149831A (ja) 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KR102068746B1 (ko)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5481B1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816313B2 (ja) 音声ストリーム配信のための音声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304805B1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60815B1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1716440B2 (en) Portable hub with digital video recorder
JPWO2017130612A1 (ja) サーバ装置、通信装置及び方法
KR20170050235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액세스 포인트, 그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399762B1 (en) Portable hub with digital video recorder
KR20140098648A (ko)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