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329A -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329A
KR20140081329A KR1020120150951A KR20120150951A KR20140081329A KR 20140081329 A KR20140081329 A KR 20140081329A KR 1020120150951 A KR1020120150951 A KR 1020120150951A KR 20120150951 A KR20120150951 A KR 20120150951A KR 20140081329 A KR20140081329 A KR 2014008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cf
sms
user
hss
gru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329A/ko
Priority to US14/654,144 priority patent/US20150319588A1/en
Priority to PCT/KR2013/011785 priority patent/WO2014098461A1/ko
Priority to EP13864662.5A priority patent/EP2938105A4/en
Publication of KR2014008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를 통한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의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에서 SMS 처리 방법은,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또는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MS에서 shared IRS(Implicitly Registered id Set) 가입자인 경우, 즉, 동일한 Public Id를 공유하고 서로 다른 Private Id를 갖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도 의도된 단말로 SMS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P-SM-GW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실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를 통한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MS 네트워크에서 SMS over IP 처리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이하 AS)중 하나인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에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SM-GW는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로부터 서드 파티(third party) 등록(Register)을 통해 수신한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이동국 국제 ISDN 번호) 정보, S-CSCF로 등록에 대한 알림(NOTIFY)을 통해 수신한 SMS over IP 능력(capability) 정보 등을 이용하여 SMS의 발신 또는 착신 과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SMS(Short Message Service)가 UE(User Equipment)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음 과정에 따라 SMS 착신이 처리 된다. 즉, Short Message는 SMS-SC(SMS Service Center)에서 SMS-GMSC(SMS-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SMS-IWMSC(SMS-InterWorking Mobile Switching Center)를 거쳐 IP-SM-GW로 전달되고, 그 후, S-CSCF, P-CSCF(Proxy-CSCF)를 경유하여 UE(User Equipment)로 전달된다.
여기서 S-CSCF는 UE의 세션상태를 관리하며, HSS로부터 전달된 UE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HSS와 연계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 IRS(Implicit Register Set) 가입자인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르더라도 S-CSCF는 SMS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shared IRS(Implicit Register Set) 가입자인 경우, 어떤 단말로 SMS가 전달되어야 하는지 결정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SMS가 shared IRS(Implicit Register Set) 가입자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MS에서 shared IRS(Implicitly Registered id Set) 가입자인 경우, 즉, 동일한 Public Id인 IMPU_C를 공유하고 서로 다른 Private Id를 갖는 IMPI_A와 IMPI_B의 경우에 UE_A(MSISDN_A)로 착신되어야 하는 SMS가 S-CSCF에 의해 UE_B로 전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는 IP-SM-GW가 S-CSCF로 SMS 전달 시에 IMPU_C로 SMS를 전달할 것을 지시하고, 그에 따라 S-CSCF에서 포킹(forking)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개의 동일한 Public Id인 IMPU_C를 갖는 두 개의 단말이 있는 경우, S-CSCF는 어떤 단말로 SMS를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종래 기술에 따르면 IP-SM-GW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데이터 유실에 따른 대비책이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IMS에서 shared IRS(Implicitly Registered id Set) 가입자인 경우, 즉, 동일한 Public Id를 공유하고 서로 다른 Private Id를 갖는 단말이 있는 경우, 의도된 단말로 SMS가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P-SM-GW의 장애에 의한 데이터 유실 시, 복구가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의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에서 SMS 처리 방법은,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또는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의 SMS 처리하는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 장치는,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또는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MS에서 shared IRS(Implicitly Registered id Set) 가입자인 경우, 즉, 동일한 Public Id를 공유하고 서로 다른 Private Id를 갖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도 의도된 단말로 SMS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P-SM-GW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실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SMS(Short Message Service)가 UE(User Equipment)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SMS가 shared IRS(Implicit Register Set) 가입자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SMS over IP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SM-GW(405)의 3rd party 등록(Register)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S 착신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SMS over IP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TS 23.204의 3GPP가 규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300)는 SIP/IP(세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SMS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E(345)는 SMS가 가능한 이동국 또는 기타 통신 장치를 나타낸다. UE(345)는 Gm 인터페이스를 통해 IMS 코어(340)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IMS 코어(340)는 ISC 인터페이스를 통해 IP-SM-GW(335)와 연결된다. IP-SM-GW(335)는 IP 네트워크 코어, 즉, 여기서는 IMS 코어(340)와 GSM/GPRS 네트워크 간에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연동 유닛(IWU)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IMS 코어(340)는 S-CSCF 및 P-CSC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P-SM-GW(335)는 E/Gd 인터페이스를 통해 SMS-GMSC/SMS-IWMSC(320)에 연결된다. 그리고, SMS-GMSC/SMS-IWMSC(320)는 통상의 방식으로 SC(Service Center, 330)에 연결된 다음, SMS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는 통신 종단점을 형성하는 SME(30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구조(300)는 Ro 인터페이스를 통해 IP-SM-GW(335)에 연결된 OCS(330)와, Rf 게이트웨이를 통해 IP-SM-GW(335)에 연결된 CGF/CDF(315)와, 그리고 각각 인터페이스 Cx, Sh, C'를 통해 SMS-GMSC/SMS-IWMSC(320), IP-SM-GW(335) 및 IMS 코어(340)에 연결되는 HSS(325)를 포함할 수 있다.
IP-SM-GW(335)는 IP 기반의 UE(345)와 SC(310) 간의 SMS 전달을 위해 프로토콜 연동에 관한 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은, 예컨대 SS7(시그널링 시스템 7)을 통해 확립된 MAP(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파트: Mobile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을 이용한 SMS-GMSC/SMS-IWMSC(320)에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한다. IP-SM-GW(335)는 E 또는 Gd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MSC 또는 SGSN(Serving Gateway Service Node)로서 SMS-GMSC/SMS-IWMSC(320)에 나타나게 된다. IP-SM-GW(335)가 제공하는 추가 기능성은 SS7을 통해 확립된 MAP 프로토콜을 이용한 SMS-GMSC/SMS-IWMSC(320)에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그 IP-SM-GW(335) 하여금 E 또는 Gd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MSC 또는 SGSN로 SMS-GMSC/SMS-IWMSC(320)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IP-SM-GW(335)는 SMS 메시지의 포맷 및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트랜스포트로서 IMS 메시징을 이용하는 UE(345)와 통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나아가, IP-SM-GW(335)는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와 사용자 장비의 IP(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간의 연관된 정보(knowledge)를 취득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 IP-SM-GW(335)는 IMS에 대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역할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SM-GW(405)의 3rd party 등록(Register)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시스템은 UE_A(401), P-CSCF(402), I-CSCF(403), S-CSCF(404), IP-SM-GW(405)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 406)을 포함한다.
여기서 UE_A(401)는 MSISDN_A, IMPI_A 및 IMPU_C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와 Contact_A의 Contact header를 갖는다.
먼저, IP-SM-GW(405)는 410 단계에서 S-CSCF(404)로부터 3rd party 등록을 통해 단말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및 Contact header 등을 수집한다. 이때, S-CSCF(404)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및 Contact header는 UE_A(401)에서 P-CSCF(402) 및 I-CSCF(403)를 거쳐 S-CSCF(404)로 전달된 것이다.
그 후, 420 단계에서 IP-SM-GW(405)는 HSS(406)로부터 Sh Interface를 통해 Private User Identity에 대한 C-MSISDN을 수집한다. 즉, IP-SM-GW(405)는 UE(401)와 HSS(406)으로부터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나아가 IP-SM-GW(405)는 430 단계에서 S-CSCF(404)로부터 등록에 따른 알림(notify)를 통해 Public User Identity 별 GRUU를 수집한다.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는 전세계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유일한 사용자 에이젼트 식별자를 나타낸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몇몇 어플리케이션들은 특정 UA(User Agent) 인스턴스로 호를 라우팅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누군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URI를 구축하여 분배하도록 요구한다. 여기서 특정 UA 인스턴스로 라우팅하는 URI를 GRUU라 명칭한다. GRUU는 공개(public) GRUU와 임시(Temporary) GRUU로 구분되며, 공개 GRUU는 등록(registration)이 리프레쉬(refresh) 되더라도 항상 동일하며, aor(Address Of Record)의 "gr" URI parameter의 값(value)으로 인스턴트 아이디(instance Id)를 입력하여 생성한다. 임시 GRUU는 등록이 리프레쉬(refresh) 될 때 새로운 임시 GRUU를 생성하여야 하며, 등록 기간 동안 누적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410 단계 내지 430 단계는 SMS 전송을 위한 등록 절차에 해당한다. IP-SM-GW(405)는 등록 절차를 통해 S-CSCF(404)와 HSS(406)으로부터 UE(401)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P-SM-GW(405)는 440 단계에서 HSS(406)으로 Sh Interface를 통해 Private User Identity, Contact header, C-MSISDN, Public User Identity 별 GRUU를 전송하고, HSS(406)은 이를 수신하여 리포지터리 데이터(Repository data)로 저장한다. 이는 IP-SM-GW의 장애에 의한 데이터 유실 시, 복구를 위한 것이다.
도 4에서는 UE_A에 대한 등록 과정만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등록 과정은 네트워크에 접속한 모든 UE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S 착신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시스템은 SMS-SC(501), SMS-GMSC/SMS-IWMSC(502), IP-SM-GW(503), S-CSCF(504), P-CSCF(505), UE_A(506) 및 UE_B(507)을 포함한다.
여기서 UE_A(506)는 MSISDN_A, IMPI_A 및 IMPU_C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와 Contact_A의 Contact header를 갖고, UE_B(507)는 MSISDN_B, IMPI_B 및 IMPU_C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와 Contact_B의 Contact header를 갖는다. UE_A(506)과 UE_B(507)는 모두 동일한 Public ID인 IMPU_C를 가지므로, S-CSCF는 어떤 단말로 SMS를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서 도 4의 430 단계에서 획득한 GRUU를 사용할 수 있다. 즉, SMS 착신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Request-URI에 착신될 MSISDN의 GRUU를 사용하는 것이다. GRUU는 Public User Identity 별로 다르게 수집될 수 있고, 전세계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유일한 사용자 에이젼트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이며 특정 UA 인스턴스로 라우팅하는 URI이므로, SMS 착신과정에서 정확한 목적 UE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GRUU가 없는 경우에는 +sip.instance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착신될 MSISDN의 Contact 정보에 +sip.instance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setting)하여 SMS를 전달함으로써, SMS 착신과정에서 정확한 목적 UE를 알려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510 에 따르면 SMS-SC(501)는 MSISDN_A를 갖는 UE_A(506)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520 에서는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Request-URI에 착신될 MSISDN_A를 갖는 UE_A(506)의 GRUU인 GRUU_C_A를 사용(Request-URI: GRUU_C_A)하여 UE_A(506)로 메시지가 착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비교하여 530 에서는 MSISDN의 Contact 정보에 +sip.instance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setting)(+sip.instance=”INSTANCEID_A”)하여 SMS를 전달하여 UE_A(506)로 메시지가 착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UE_A(506)과 UE_B(507)가 모두 동일한 Public ID를 갖는 경우, 추가로 UE_A(506)만의 고유식별자인 GRUU를 사용하거나 +sip.instance 파라미터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setting)하여 SMS를 전달하여 S-CSCF가 어떤 단말로 SMS를 전달해야 하는지에 명확히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시스템은 SMS-SC(601), SMS-GMSC/SMS-IWMSC(602), IP-SM-GW(603), S-CSCF(604), P-CSCF(605), UE_A(606) 및 UE_B(607)을 포함한다.
여기서 UE_A(606)는 MSISDN_A, IMPI_A 및 IMPU_C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와 Contact_A의 Contact header를 갖고, UE_B(607)는 MSISDN_B, IMPI_B 및 IMPU_C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와 Contact_B의 Contact header를 갖는다.
도 6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UE_A(606)과 UE_B(607)가 모두 동일한 Public ID를 갖는 바, 추가로 UE_A(606)만의 고유식별자인 GRUU를 사용하거나 +sip.instance 파라미터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setting)하여 SMS를 전달하여 S-CSCF가 어떤 단말로 SMS를 전달해야 하는지에 명확히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IP-SM-GW(603)에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620 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5에서의 동작과 일치한다.
IP-SM-GW(603)는 예상하지 못한 장애로 인하여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 도 4의 440 단계에서 HSS(608)에 저장한 리포지터리 데이터를 가져와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즉, IP-SM-GW(603)는 3rd party 등록 절차 수행 시에 Sh Interface를 통해 Private User Identity, Contact header, C-MSISDN, Public User Identity 별 GRUU를 HSS(608)로 전송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따라서 HSS(608)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P-SM-GW(603)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실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SM-GW의 SMS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710 단계에서 제어부는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S-CSCF로부터는 3rd party 등록을 통해 단말의 식별자(Private User Identity)및 Contact header 등을 수집한다. 또한, HSS로부터 Sh Interface를 통해 Private User Identity에 대한 C-MSISDN을 수집한다. 나아가 IP-SM-GW S-CSCF로부터 등록에 따른 알림(notify)를 통해 Public User Identity 별 GRUU를 수집한다.
그 후, 720 단계에서 제어부는 GRUU를 이용할 것인지 또는 +sip.instance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720 단계에서 GRUU를 이용한다고 결정한 경우, 제어부는 730 단계로 진행하여 SMS의 Request-URI를 상기 GRUU로 설정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sip.instance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한다고 결정한 경우, 제어부는 740 단계로 진행하여 +sip.instance 파라미터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750 단계에서 SMS 착신 목적지를 S-CSCF에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고유식별자인 GRUU를 사용하거나 +sip.instance 파라미터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setting)하여 SMS를 전달하여 S-CSCF가 어떤 단말로 SMS를 전달해야 하는지에 명확히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SM-GW의 SMS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는 810 단계에서 710 단계와 마찬가지로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820 단계에서 제어부는 HSS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830단계에서 사용자 정보가 유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실되지 않은 경우에는 85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 정보가 유실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여 HSS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IP-SM-GW(603)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실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그 후, 850 단계 내지 880 단계는 도 7의 720 단계 내지 750 단계와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SM-GW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IP-SM-GW 장치(900)는 통신부(910) 및 제어부(920)를 포함한다. 통신부(910)는 IP-SM-GW 장치(900) 외의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920)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여 IP-SM-GW 장치(9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IMS 네트워크의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에서 SMS 처리 방법에 있어서,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또는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는 단계에서,
    상기 GRUU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SMS의 Request-URI를 상기 GRUU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는 단계에서,
    상기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sip.instance 파라미터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S-CSCF로부터 등록 절차를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HSS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CSCF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GRUU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SCF 및 HSS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HSS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유실한 경우,
    상기 HSS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IMS 네트워크의 SMS 처리하는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 장치에 있어서,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또는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줄 시, 상기 GRUU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SMS의 Request-URI를 상기 GRUU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MS 착신 목적지를 상기 S-CSCF로 알려줄 시, 상기 +sip.instance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sip.instance 파라미터를 Accept-Contact header에 +sip.instance의 값(value)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 시, 상기 S-CSCF로부터 등록 절차를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HSS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을 수신하며, 상기 S-CSCF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GRUU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CSCF 및 HSS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HSS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유실한 경우, 상기 HSS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50951A 2012-12-21 2012-12-21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81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951A KR20140081329A (ko) 2012-12-21 2012-12-21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US14/654,144 US20150319588A1 (en) 2012-12-21 2013-12-18 Method and device for sms processing through ims network
PCT/KR2013/011785 WO2014098461A1 (ko) 2012-12-21 2013-12-18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EP13864662.5A EP2938105A4 (en) 2012-12-21 2013-12-18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MS IN AN IM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951A KR20140081329A (ko) 2012-12-21 2012-12-21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329A true KR20140081329A (ko) 2014-07-01

Family

ID=5097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951A KR20140081329A (ko) 2012-12-21 2012-12-21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19588A1 (ko)
EP (1) EP2938105A4 (ko)
KR (1) KR20140081329A (ko)
WO (1) WO2014098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2147B (zh) * 2014-12-24 2021-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短信投递失败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6176862A1 (zh) * 2015-05-07 2016-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方法及用户设备
CN106921659A (zh) * 2017-02-21 2017-07-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VoLTE与VoWiFi共用IMS账号的方法及装置
CN113225704B (zh) * 2021-04-23 2021-12-17 电子科技大学 基于智能反射面的室内单接入点辐射源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1022A1 (en) * 2007-08-16 2009-05-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nonymous Messaging
US20120173736A1 (en) * 2009-09-18 2012-07-05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supporting a user equipment lacking 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 - gruu support i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 ims
WO2011046476A1 (en) * 2009-10-14 2011-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enabling delivery of a message between an ims domain and a cs domain
KR101211967B1 (ko) * 2010-12-22 2012-12-13 텔코웨어 주식회사 Gruu 사용 가입자의 ims망에서의 cscf 라우팅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8461A1 (ko) 2014-06-26
US20150319588A1 (en) 2015-11-05
EP2938105A1 (en) 2015-10-28
EP2938105A4 (en)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322B2 (en) Enhanced registration messages i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s
CN106717041B (zh) 用于在外地网络中漫游的移动装置的增强的互联网协议多媒体子系统的服务限制和选择控制
JP5213460B2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のネットワークデータベースノードに対してインスタンス識別子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03181126A (zh) Sip通信中针对文本消息的传递报告
EP2712218B1 (en) Short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system
US8811288B2 (en) Method for enabling delivery of a message between an IMS domain and a CS domain
KR20160103092A (ko) 호출 제어 장치와 사용자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40081329A (ko) Ims 네트워크를 통한 sms 처리 방법 및 장치
ES2624232T3 (es) Método, aparato, sistema y producto de programa informático relacionado para gestión de traspaso
EP289864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s session
EP3471379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multi-identity service based on registration of shared identities
US8416723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ssociation-control relations
CN111480355A (zh) 用于使用临时标识符来注册ims订户的方法和装置
KR101926483B1 (ko) 임시 gruu에 대한 ims 복원 지원
WO2015196809A1 (zh) 消息处理方法及装置
US200801869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 change request i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KR20170096531A (ko) Tas 장애 복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tas 장애 복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