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185A -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 Google Patents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185A
KR20140081185A KR1020120150671A KR20120150671A KR20140081185A KR 20140081185 A KR20140081185 A KR 20140081185A KR 1020120150671 A KR1020120150671 A KR 1020120150671A KR 20120150671 A KR20120150671 A KR 20120150671A KR 20140081185 A KR20140081185 A KR 2014008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op antenna
light emitting
output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알에프유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에프유텍크 filed Critical (주)알에프유텍크
Priority to KR102012015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185A/ko
Publication of KR2014008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communicating at a plurality of frequencies, e.g. for managing time multiplexed communication over at least two antennas of different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single light or small number of lights capable of being switched on or off, e.g. a series of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루프 안테나와 태그 칩을 포함하는 태그부와, 상기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루프 안테나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루프 안테나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RFID 태그와의 호환이 가능할 뿐 아니라 태그 칩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RFID 태그의 정보 전달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 효과에 의해 디자인이 돋보이도록 함으로써 상품적 가치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RFID Tag Having State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수동형 RFID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형 RFID 태그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에 관한 것이다.
RFID란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IC칩의 정보를 무선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IC 칩은 태그를 인식하는 장치를 RFID 리더기 또는 RFID 단말기라고 하며, RFID 리더기는 무선 신호를 IC 칩으로 송신하여 IC 칩의 정보를 읽어온다. IC 칩은 RFID 리더기에서 송신된 전파를 받아서 전원으로 사용하고, 전파에 실린 신호를 해독하여 정보를 RFID 리더기로 송신한다. RFID 리더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기 위하여 안테나를 IC 칩과 연결하게 되며, 안테나와 결합된 IC 칩을 RFID 태그(tag)라고 한다. 이 때, IC 칩은 태그칩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내부에 배터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RFID 리더기에서 송신된 전파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RFID 태그를 수동형 RFID 태그라고 한다.
수동형 RFID 태그는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은 RFID 태그로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안테나와 트랜스폰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전자 회로만으로 이루어져 제작단가가 저렴한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형 RFID 태그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동형 RFID 태그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은 RFID 리더(1)와 루프 안테나(3) 및 태그 칩(4)으로 구성되는 수동형 RFID 태그(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2)는 RFID 리더(1)의 판독 거리(R)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만일, RFID 태그(2)가 판독 거리(R)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RFID 태그(2)의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ID카드 등에 내장된 RFID 태그는 리더기에 접촉시 단순히 태그 내에 저장되는 정보만 전달하고 있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정보전달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태그 칩(4)에 LED 모듈(도면 미도시)을 연결하여 태그 칩(4)의 동작 여부를 LED 모듈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기 제조된 RFID 태그에는 적용될 수 없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 모듈 구동에 전력이 소비되므로 RFID 리더(1)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LED 모듈 구동 전력으로 인해 태그 칩(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루프 안테나를 근거리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각 루프 안테나에 태그 칩과 발광부를 연결함으로써 RFID 태그의 정보 전달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존 RFID 태그와의 호환이 가능할 뿐 아니라 태그 칩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RFID 태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ID 태그의 정보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 기능에서 한 발 더 나아가 RFID 태그의 전력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RFID 사용 환경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루프 안테나와 태그 칩을 포함하는 태그부와, 상기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루프 안테나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루프 안테나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는 RFID 태그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상기 제 1 루프 안테나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 모듈은 수신 무선신호의 전력상태 검출을 위해,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직류 전압과 미리 설정된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직류 전압과 상기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고전력 상태, 중전력 상태 및 저전력 상태에 해당하는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비교부 및 비교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비교부의 출력전압에 따라 온/오프 되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고전력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고전력 상태 판별기준이 되는 제1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제1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1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중전력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고전력 상태 판별 기준이 되는 제1 비교전압 및 저전력 상태 판별 기준이 되는 제2 비교전압을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제1 비교전압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비교결과와 상기 제2 비교전압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저전력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제2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상기 제2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3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3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RFID 태그의 발광 모듈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레벨 검출부 및 상기 전력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발광부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력차단 스위치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발광부 간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발광부 간의 전기적 접속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RFID 태그와의 호환이 가능할 뿐 아니라 태그 칩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RFID 태그의 정보 전달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 효과에 의해 디자인이 돋보이도록 함으로써 상품적 가치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형 RFID 태그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발광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비교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발광 모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는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루프 안테나(3)와 태그 칩(4)을 포함하는 태그부(2)와,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서 제 1 루프 안테나(3)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루프 안테나(5)와 제 2 루프 안테나(5)와 연결되는 발광부(6)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발광부(6)가 태그부(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서 제 1 루프 안테나(3)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루프 안테나(5)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RFID 태그를 RFID 리더의 판독 거리 내로 가까이 가져가면 제 2 루프 안테나(5)에 유도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부(6)를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RFID 태그를 캐릭터 형태로 만든다면 특정 지점에 발광부가 위치하게 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2 루프 안테나(5)는 도 2와 같이 제 1 루프 안테나(3)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 1 루프 안테나(3)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출원인은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경우 RFID 리더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전력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이 2개의 루프 안테나 중 어느 하나에 집중되어 어느 하나가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분산되어 태그 칩(4)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다수의 실험 결과, 도 3과 같이, 별도의 제 2 루프 안테나(5)를 제 1 루프 안테나(3)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경우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이 다소 불충분한 경우에도 태그 칩(4)과 발광모듈(6)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적인 결과는 여러 가지 이유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나, 제 2 루프 안테나(5)를 제 1 루프 안테나(3)와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제 2 루프 안테나(5)에 의한 제 1 루프 안테나(3)와 RFID 리더 간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루프 안테나(3)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방사되는 전력을 제 2 루프 안테나(5)가 수신함에 따라 수신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발광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4의 비교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모듈은 제 2 루프 안테나(5)에서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10)와, 정류된 직류 전압과 미리 설정된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직류 전압과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고전력 상태, 중전력 상태 및 저전력 상태에 해당하는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비교부(20) 및 비교부(20)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비교부(20)의 출력전압에 따라 온/오프 되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교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 3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비교기는 입력전압이 고전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제 1 기준전압인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비교기로서, 제1 연산 증폭기(OP-AMP1)를 포함한다. 제1 연산 증폭기(OP-AMP1)의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은 각각 정류부(10)의 출력단, 제1 가변저항(VR1) 및 제1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된다.
제1 가변저항(VR1)은 제 1 기준전압을 제1 연산 증폭기(OP-AMP1)의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연산 증폭기(OP-AMP1)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제 1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두 전압을 비교한다. 또한, 비교결과,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High 상태의 출력 전압을 제1 트랜지스터(TR1)로 출력하고, 정류부(10)의 출력전압이 제 1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Low 상태의 출력 전압을 제1 트랜지스터(TR1)로 출력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제1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의 온(On)/오프(Off)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1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base), 컬렉터(collector) 및 이미터(emitter)에는 각각 제1 비교기의 출력단,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그라운드(Ground, GND)가 연결된다.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적색으로 발광하며, 제1 단 및 제2 단 각각에는 제1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및 제1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가 연결된다.
제1 비교기의 제1 연산 증폭기(OP-AMP1)에서 High 상태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1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 단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온(ON)되어 적색으로 발광한다. 반면에, 제1 비교기에서 Low 상태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1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 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발광하지 않는다. 즉,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전압보다 높을 경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발광함으로써, 고전력 상태임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된다.
제2 비교기는 입력전압이 고전력상태와 저전력상태의 중간인 중전력 상태의 전압인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비교기로서, 제2 및 제3 연산 증폭기(OP-AMP2, OP-AMP3) 그리고 앤드 게이트(AND1)를 포함한다. 제2 연산 증폭기(OP-AMP2)의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은 각각 정류부(10)의 출력단, 제2 가변저항(VR2) 및 앤드 게이트(AND1)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며, 제3 연산 증폭기(OP-AMP3)의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은 각각 정류부(10)의 출력단, 제3 가변저항(VR3) 및 앤드 게이트(AND1)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된다. 제2 및 제3 가변저항(VR2, VR3)은 각각 제 1 기준전압과 제 2 기준전압을 제2 및 제3 연산 증폭기(OP-AMP2, OP-AMP3)의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연산 증폭기(OP-AMP2)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제 1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두 전압을 비교한다. 또한, 비교결과,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High 상태의 출력 전압을 앤드 게이트(AND1)의 제1 입력단으로 출력하고, 정류부(10)의 출력전압이 제 1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Low 상태의 출력 전압을 앤드 게이트(AND1)의
제1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제3 연산 증폭기(OP-AMP3)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제 2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두 전압을 비교한다. 또한, 비교결과,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2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High 상태의 출력 전압을 앤드 게이트(AND1)의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고, 정류부(10)의 출력전압이 제 2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Low 상태의 출력 전압을 앤드 게이트(AND1)의제2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앤드 게이트(AND1)는 제2 및 제3 연산 증폭기(OP-AMP2, OP-AMP3) 각각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AND 연산을 수행하고, 두 연산 증폭기(OP-AMP2, OP-AMP3)가 모두 High 상태인 경우 즉, 제2 비교기로 입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전압과 제 2 기준전압 사이에 속하는 전압인 경우 High 상태의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반면에, 제2 비교기로 입력되는 전압이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전압인 경우, Low 상태의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2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서 제2 발광 다이오드(LED1)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2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base), 컬렉터(collector) 및 이미터(emitter)에는 각각 제2 비교기의 출력단, 제2 발광 다이오드(LED2), 그라운드(Ground, GND)가 연결된다.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녹색으로 발광하며, 제1 단 및 제2 단 각각에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가 연결된다.
제2 비교기의 앤드 게이트(AND1)에서 High 상태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단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2 발광 다이오드(LED2)가 녹색으로 발광한다. 반면에, 제2 비교기의 앤드 게이트(AND1)에서 Low 상태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 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발광하지 않는다. 즉,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1 기준전압과 제 2 기준전압 사이인 경우에만 제2 발광 다이오드(LED2)가 발광함으로써, 수신전력이 매우 높지도 않고 미약하지도 않은 중전력 상태임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된다.
제3 비교기는 입력전압이 저전력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비교기로서, 제4 연산 증폭기(OP-AMP4)를 포함한다. 제4 연산 증폭기(OP-AMP4)의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은 각각 정류부(10)의 출력단, 제4 가변저항(VR4) 및 제3 트랜지스터(TR3)에 연결된다. 제4 가변저항(VR4)은 제 3 기준전압을 제4 연산 증폭기(OP-AMP4)의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 연산 증폭기(OP-AMP4)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제 3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두 전압을 비교한다. 또한, 비교결과,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3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High 상태의 출력 전압을 제3 트랜지스터(TR3)로 출력하고, 정류부(10)의 출력전압이 비교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Low 상태의 출력 전압을 제3 트랜지스터(TR3)로 출력한다.
제3 트랜지스터(TR13)는 제3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서 제3 발광 다이오드(LED3)의 온/오프를 스위칭 하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3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base), 컬렉터(collector) 및 이미터(emitter)에는 각각 제3 비교기의 출력 단, 제3 발광 다이오드(LED3), 그라운드(Ground, GND)가 연결된다. 제3 발광 다이오드(LED3)는 청색으로 발광하며, 제1 단 및 제2 단 각각에는 제3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및 제1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가 연결된다.
제3 비교기의 제4 연산 증폭기(OP-AMP4)에서 High 상태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3 트랜지스터(TR3)의 컬렉터 단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3 발광 다이오드(LED3)가 청색으로 발광한다. 반면에, 제3 비교기에서 Low 상태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3 트랜지스터(TR3)의 컬렉터 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3 발광 다이오드(LED3)는 발광하지 않는다. 즉,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제 3 기준전압일 경우 제3 발광 다이오드(LED3)가 발광함으로써, 저전력 상태임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각 비교기의 출력전압에 따라서 각 발광 다이오드의 온/오프를 스위칭 하는 스위치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비교기의 출력전압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6은 발광 모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정류부(10)의 후단에 전력레벨 검출부(40)와 전력차단 스위치(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 6에는 전력레벨 검출부(40)와 전력차단 스위치(50)의 후단에 비교부(20)와 3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접속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레벨 검출부(40)와 전력차단 스위치(50)의 후단에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만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레벨 검출부(40)는 제 2 루프 안테나(5)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것이고, 전력차단 스위치(50)는 전력 레벨 검출부(40)에서 검출된 전력 레벨에 따라 발광부(3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것이다.
즉, 전력차단 스위치(50)는 제 2 루프 안테나(5)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발광부(6)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발광모듈(6)에서의 전력 소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태그 칩(4)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 2 루프 안테나(5)와 발광부(6) 간에 사용자가 제 2 루프 안테나(5)와 발광부(6) 간의 전기적 접속을 수동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 스위치(7)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발광모듈의 전력 공급을 수동으로 단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RFDI 리더와 태그 간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지 않거나 전력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안테나 스위치(7)를 OFF시켜 RFID 태그의 성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RFID 리더 2 : RFID 태그
3 : 제 1 루프 안테나 4 : 태그 칩
5 : 제 2 루프 안테나 6 : 발광모듈
7 : 안테나 스위치 R : 판독 거리
10 : 정류부 20 : 비교부
30 : 발광 다이오드 40 : 전력레벨 검출부
50 : 전력차단 스위치

Claims (6)

  1.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루프 안테나와 태그 칩을 포함하는 태그부와;
    상기 RFID 리더의 판독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루프 안테나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루프 안테나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는 상기 제 1 루프 안테나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직류 전압과 미리 설정된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직류 전압과 상기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고전력 상태, 중전력 상태 및 저전력 상태에 해당하는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비교부; 및
    비교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비교부의 출력전압에 따라 온/오프 되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고전력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고전력 상태 판별기준이 되는 제1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제1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1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중전력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고전력 상태 판별 기준이 되는 제1 비교전압 및 저전력 상태 판별 기준이 되는 제2 비교전압을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제1 비교전압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비교결과와 상기 제2 비교전압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저전력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제2 비교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상기 제2 비교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3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제3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레벨 검출부; 및
    상기 전력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발광부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력차단 스위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발광부 간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2 루프 안테나와 발광부 간의 전기적 접속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KR1020120150671A 2012-12-21 2012-12-21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KR20140081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71A KR20140081185A (ko) 2012-12-21 2012-12-21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71A KR20140081185A (ko) 2012-12-21 2012-12-21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185A true KR20140081185A (ko) 2014-07-01

Family

ID=5173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671A KR20140081185A (ko) 2012-12-21 2012-12-21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1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86A (ko) * 2017-03-15 2018-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여 차체 정보를 인식하고 작업결과를 저장하는 스마트 태그 시스템
CN114067665A (zh) * 2021-10-19 2022-02-18 惠州中启宏业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识别的防伪防调包电子标签
CN115444230A (zh) * 2022-08-09 2022-12-09 厦门科路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感知开合状态的柜体及其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86A (ko) * 2017-03-15 2018-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태그, 및 이를 이용하여 차체 정보를 인식하고 작업결과를 저장하는 스마트 태그 시스템
CN108628262A (zh) * 2017-03-15 2018-10-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智能标签和使用该智能标签的智能标签系统
CN114067665A (zh) * 2021-10-19 2022-02-18 惠州中启宏业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识别的防伪防调包电子标签
CN114067665B (zh) * 2021-10-19 2024-01-09 惠州中启宏业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识别的防伪防调包电子标签
CN115444230A (zh) * 2022-08-09 2022-12-09 厦门科路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感知开合状态的柜体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4948A1 (en) NFC Tags with Proximity Detection
US7403120B2 (en) Reverse infrastructure location system and method
EP1876556B1 (en) Programmatic control of RFID tags
US8701994B2 (en) Identifying information access device
US75733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116813A1 (en) Radio and optical identification tags
US20100182160A1 (en) Remote control with passive RFID tag and Zigbee arrangement
WO2008051598A3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S9335357B2 (en)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US9177243B2 (en) Passive RFID transponder with powered element
US20170371435A1 (en) Electronic pen
US8068012B2 (en) RFID device and system for setting a level on an electronic device
US20150053758A1 (en) Fi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405952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81185A (ko)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rfid 태그
US10964184B2 (en) Tamper detection device
KR20160070505A (ko) 전자 가격 표시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
KR101537314B1 (ko) 바코드 및 rfid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리더기
CN103714309A (zh) 一体式无线条码及射频读取设备
US20150347800A1 (en) Power supply tap
EP3981225A1 (en) Rfid integrated light infrastructure
KR20110080042A (ko) 수동형 rfid 태그 및 그 구동방법
CN101582110A (zh) Rfid系统及其实现电子标签定位的方法
KR102001389B1 (ko) 발광 소자와 센서를 포함하는 nfc 태그
JP2006053653A (ja) 情報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