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717A -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717A
KR20140080717A KR1020120146174A KR20120146174A KR20140080717A KR 20140080717 A KR20140080717 A KR 20140080717A KR 1020120146174 A KR1020120146174 A KR 1020120146174A KR 20120146174 A KR20120146174 A KR 20120146174A KR 20140080717 A KR20140080717 A KR 2014008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knowledge
task graph
conversation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719B1 (ko
Inventor
박은진
권오욱
이기영
노윤형
정상근
최승권
황금하
양성일
김창현
서영애
김운
나승훈
신종훈
김영길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스크 그래프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와, 대화 라이브러리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와, 슬롯 체계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와, 태스크 지식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상기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의 수정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대화 시스템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TASK GRAPH CONSTRUCT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RSATIONAL PROCESSING SYSTEM BASED ON TASK GRAPH}
본 발명은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태스크 그래프와 연동된 대화 흐름 제어 지식을 동시에 표시하며, 시각적으로 표시된 태스크 그래프의 구조를 사용자가 직접 생성/수정하고, 수정된 태스크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대화 시스템에 적용해서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태스크 기반 대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화 처리 시스템에서 대화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추정하는 역할을 하고, 이와는 다르게 태스크와 관련된 지식은 대화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 두 지식간의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지식은 슬롯 체계가 있으나 서로 다른 역할을 한다. 정리하면, 대화 시나리오는 사용자 발화에 중점을 두고 구축하고, SLU(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학습 모듈에서 학습 말뭉치로 사용된다. 반면, 태스크 그래프와 같이 대화 시스템에서 대화의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은 슬롯 체계, 태스크 지식, 대화 라이브러리 등이 있다.
태스크 기반 대화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조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저장되어 있고, 텍스트 편집기나 별도의 XML 편집기로 작업자가 생성/편집하여, 대화 시스템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이 XML 정보 안에는 현재 상태, 슬롯에 저장된 값, 다음 태스크 분기 조건, 사용자에 대한 응답, 응답 조건 등과 같이 복잡한 정보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XML로 표현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렇게 복잡하게 표현된 대화 그래프 구조를 기존 방법인 텍스트 편집기나 XML 편집기로 편집할 경우, 사용자가 잘못 수정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대화 흐름이 복잡해질 경우 XML 구조가 복잡해짐으로써 구축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사용자는 태스크 그래프로 대화 시스템의 흐름을 파악하고 대화 흐름을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는데, XML로 표현되어 있어 태스크 상호간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스크 그래프의 흐름이 의도한 것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 빨리 이를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어야 하는데, XML 태그 구조가 복잡한 이유로 태스크 그래프의 오류 추적이 힘든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7-0114530호, 대화형 다국어 학습을 위한 대화 예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대화형 다국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2007.12.0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화 시스템에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인 태스크 그래프를 대화 모델 설계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태스크 그래프와 연관된 대화 흐름 제어 지식인 슬롯 체계, 태스크 정보, 대화 라이브러리 등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대화 모델 설계자가 대화 그래프 및 대화 제어 지식을 구축/편집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렇게 구축/편집된 대화 제어 지식이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대화 그래프가 잘 구축되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대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스크 그래프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와, 대화 라이브러리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와, 슬롯 체계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와, 태스크 지식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상기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의 수정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대화 시스템 엔진을 포함하는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스크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를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시각적인 그래프로 표시하고, 개별 태스크와 연결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을 연동하여 표시함으로써, 대화 모델 설계자에게 대화 흐름을 한눈에 읽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태스크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구축 속도 및 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대화 시스템 성능 향상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 흐름 제어 지식 튜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태스크 그래프(301)에서 태스크(304) 사이의 연결 정보를 추가 수정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시스템 응답과 태스크 내의 슬롯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대화 라이브러리를 수정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 중 대화 상에서 나타나는 슬롯의 내용에 해당하는 태스크 정보 지식을 수정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03)를 선택했을 때의 데이터베이스 수정 창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슬롯에 대한 추가/삭제/편집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지식 수정 내용을 확인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대화모델 클라이언트 단말(101),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102), 대화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103),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104),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105), 대화 시스템 테스트 인터페이스(106), 대화 흐름 제어 지식(112), 대화 시스템 엔진(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 흐름 제어 지식(112)은, 태스크 그래프(108), 대화 라이브러리(109), 슬롯 체계(110), 태스크 지식(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화 모델 클라이언트 단말(101)은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102)를 이용하여 태스크 그래프(108)를 수정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대화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103)를 이용하여 대화 라이브러리(109)를 수정할 수 있으며,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104)로 슬롯 체계(110)을 수정하고,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105)로 태스크 지식(111)을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수정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112)은 실시간으로 대화 시스템 엔진(113)에 반영되고, 대화 모델 클라이언트 단말(101)은 대화 시스템 테스트 인터페이스(106)으로 테스트 결과(107)(예를 들어, 대화 로그)을 확인하면서 다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105)를 이용하여 대화 흐름 제어 지식(112)을 수정/보완하여 대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대화 시스템 성능 향상 과정은 도 2와 같으며, 전체적으로 대화 흐름 제어 지식 구축 단계(S201), 사용자 의도 태깅 단계(S206), 대화 이해 학습 단계(S207), 대화 시스템 테스트 단계(S208), SLU(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지식 튜닝 단계(S209), 대화 시스템 지식 튜닝 단계(S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 흐름 제어 지식 구축 단계(S201)는, 슬롯 체계 구축 단계(S202), 대화 라이브러리 구축 단계(S203), 태스크 그래프 설계 단계(S204), 태스크 정보 구축 단계(S2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화 시스템 성능 향상 과정인 대화 흐름 제어 지식 구축 단계(S201)에 중점을 둔다. 일반적인 태스크 기반대화 시스템의 성능 향상 과정은 대화 흐름 제어 지식을 구축하고(S201), 대화 시나리오에 사용자 의도 태깅을 한다(S206).
사용자 의도 태깅 한 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대화 이해 학습을 하고(S207), 학습된 결과를 대화 시스템 테스트 과정을 거친다(S208).
SLU 지식 튜닝 단계(S209)에서는 대화 시스템 테스트한 결과를 보고 사용자 대화 시나리오에 이상이 있는 부분을 수정하여 대화 이해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부분인 대화 시스템 지식 튜닝 단계(S210)에서는 대화 시스템 테스트 결과(S208)를 보고 대화 흐름을 제어 하는 지식을 수정(S201)하여 대화 흐름이 이상한 부분을 중점 튜닝하여 대화 시스템의 응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 요소인 대화 흐름 제어 지식 튜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스크 그래프 표시 창(301), 대화 라이브러리 목록 표시 창(302), 개별 태스크 속성 창(303), 태스크(304), 태스크 속성 갱신 버튼(305), 태스크 추가 버튼(306), 태스크 삭제 버튼(307), 전체 태스크 그래프 저장 버튼(308), 태스크 속성 탭(309), 슬롯 체계 표시 탭(310), 대화 의도 타입 표시 탭(3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징 중 하나는 지식간의 연동 기능이다.
태스크 그래프 표시 창(301)을 중심으로 태스크 속성(309), 슬롯 체계(310), 대화 라이브러리(302)가 연동되어 있어, 태스크(304)를 더블 클릭했을 때 연관된 지식이 그때마다 로딩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대화 모델 클라이언트 단말(101)이 새로운 대화 흐름을 추가하기 원할 경우 태스크 추가 버튼(306)을 클릭하면 새로운 태스크가 생성되어 태스크 그래프 표시 창(301)에 표시될 수 있다.
새롭게 생성된 태스크(304)를 클릭하여 태스크와 태스크 연결선이 겹치지 않게 잘 배치한 뒤에 더블 클릭하면 태스크의 세부 속성이 태스크 속성 탭(309)에 표시되고 태스크(304)와 연결된 대화 라이브러리가 대화 라이브러리 목록 표시 창(302)에 표시될 수 있다.
태스크 속성 창(309)의 내용을 수정하고 대화 라이브러리 창(302)에서 대화 라이브러리를 추가/삭제한 다음 전체 태스크 그래프 저장 버튼(308)을 누르면 수정된 태스크 그래프와 대화 라이브러리가 저장될 수 있다.
태스크 그래프(301)에서 태스크(304) 사이의 연결 정보를 추가 수정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4에서 401은 현재 태스크, 402는 다음 태스크 연결, 403은 다음 태스크, 404는 다음 태스크 연결 표시, 405는 다음 태스크 연결 정보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중 하나인 XML 형식의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태스크 그래프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연결하여 태스크 정보와 연동된 지식을 수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현재 태스크(401)에서 다음 태스크를 연결하는 방법은 현재 태스크에서 앞에 붉은색 박스를 클릭하고 이를 끌어서 다음 태스크(403)에 연결하면 다음 태스크 연결(402) 부분과 같이 태스크 연결선이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태스크 연결 후, 태스크(401)를 더블 클릭하여 태스크 속성 창에서 태스크 연결 정보(405)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연결 조건을 수정하여 현재 태스크(401)에서 다음 태스크(403)으로 넘어가는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태스크 그래프의 개별 태스크는 다음 연결 정보뿐만 아니라 시스템 응답과 태스크 내의 슬롯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대화 라이브러리를 수정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에서 501은 기본 정보 표시 부분, 502는 대화 타입에 따른 정보 표시 부분, 503은 시스템 응답 조건 및 발화 패턴 정의 부분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중 하나인 태스크와 대화 흐름 제어하는 지식을 연동하여 한번에 대화 모델 설계자에게 제시하고 연결된 지식을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화 흐름 제어 지식 중 대표적인 지식으로 시스템 응답 패턴 및 응답 조건이 저장된 대화 라이브러리가 있다. 대화 라이브러리는 해당 태스크를 더블 클릭하면 대화 라이브러리 목록 표시 창(302)에 표시가 되고 목록에서 수정/편집이 필요한 항목을 더블 클릭하면 위 그림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대화 라이브러리 수정 창은 기본 정보 표시 부분(501)과 대화 타입에 따른 정보 표시 부분(502)와 시스템 응답 조건 및 발화 패턴 정의 부분(503)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정보 표시 부분(501)에서 dialog_type에 따라 대화 타입에 따른 정보 표시 부분(502)가 동적으로 변하여 XML에서 필수 항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스템 응답 조건 및 발화 패턴 정의 부분(503)은 발화 조건식 및 복잡한 응답 패턴을 쉽게 수정/삽입 할 수 있도록 트리 그리드로 표시하여 XML 파일과 연동하도록 만들어졌다.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 중 대화 상에서 나타나는 슬롯의 내용에 해당하는 태스크 정보 지식을 수정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6에서 601은 태스크 지식 테이블 목록, 602는 테이블 내용 검색 결과, 603은 데이터 베이스 레코드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스크 정보 지식 검색/수정창의 구조는 태스크 지식 테이블 목록(601)을 표시하는 부분과 테이블 내용 검색 결과(602)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태스크 지식 테이블 목록에서 테이블 이름을 클릭하면 테이블 내용 검색 결과에 데이터 베이스 내의 데이터가 표시가 되고, 수정/추가/삭제가 필요한 데이터 베이스 레코드(603)를 클릭하면 도 7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 수정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 701은 슬롯 명, 702는 팝업 메뉴, 703은 슬롯 값, 704는 레코드 추가 버튼, 705는 현재 레코드 삭제 버튼, 706은 슬롯 추가 버튼, 707은 현재 레코드 저장 버튼을 각각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 레코드 수정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레코드의 슬롯을 추가/삭제/수정할 수 있는 팝업 메뉴(702)가 나타난다.
슬롯 명(701)에서 새로운 슬롯을 정하고 슬롯 값(703)에 슬롯을 적은 후 현재 레코드 저장 버튼(707)을 누르면 현재 수정된 레코드가 저장된다. 만약, 추가로 새로운 레코드가 생성되어야 한다면 레코드 추가 버튼(704)를 클릭하여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고, 현재 레코드 삭제 버튼으로 현재 레코드를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슬롯에 대한 추가/삭제/편집을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슬롯 체계 편집 팝업 메뉴(801), 슬롯 클래스 정보(802), 슬롯 정보(803), 슬롯 값 세부 조건 정의(804), 슬롯 값 세부 조건 정의 추가/삭제 팝업 버튼(805), 현재 슬롯 삭제 버튼(806), 현재 슬롯 저장 버튼(80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화 라이브러리와 태스크 속성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지식이 슬롯 체계이다. 슬롯 체계를 정의하는 부분은 슬롯 체계 표시 탭(310)에서 슬롯을 추가/삭제/수정 할 수 있다.
슬롯 체계 표시 탭(310)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슬롯 체계 편집 팝업 메뉴(801)이 나타난다. 이 슬롯 체계 편집 팝업 메뉴(801)로 슬롯을 추가/편집할 수 있고, 또한 슬롯의 상위 분류인 클래스를 추가/삭제할 수 있다.
슬롯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경우 슬롯 체계 수정 인터페이스가 나타난다.
태스크 그래프와 태스크와 연관된 지식을 수정하고 도 9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지식 수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서 901은 대화 시스템 버전/채널 선택/시작/종료 버튼, 902는 대화 시스템 결과 표시 창, 903은 발화 입력 창, 904는 음성 인식기 제어 창, 905는 발화 입력 버튼을 각각 나타낸다.
대화 시스템 테스트 인터페이스(106)는 대화 시스템 버전/채널 선택/시작/종료 버튼(901), 대화 시스템 결과 표시 창(902), 발화 입력 창(903), 음성 인식기 제어 창(904), 그리고 발화 입력 버튼(90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태스크 그래프의 흐름을 테스트 해볼 수 있고, 대화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시스템 응답을 확인할 수 있다.
대화 모델 클라이언트 단말(101)은 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오류가 있는 대화 흐름을 파악하여 대화 지식을 적적히 수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태스크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를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시각적인 그래프로 표시하고, 개별 태스크와 연결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을 연동하여 표시함으로써, 대화 모델 설계자에게 대화 흐름을 한눈에 읽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태스크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구축 속도 및 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태스크 그래프 구축 기술을 구현한 것이다.
101: 대화 모델 클라이언트 단말
102: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
103: 대화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104: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
105: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
106: 대화 시스템 테스트 인터페이스
112: 대화 흐름 제어 지식
113: 대화 시스템 엔진

Claims (1)

  1. 태스크 그래프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와,
    대화 라이브러리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와,
    슬롯 체계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와,
    태스크 지식의 수정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하는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태스크 그래프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상기 슬롯 체계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태스크 지식 관리 인터페이스의 수정된 대화 흐름을 제어하는 지식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대화 시스템 엔진을 포함하는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KR1020120146174A 2012-12-14 2012-12-14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KR10194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174A KR101940719B1 (ko) 2012-12-14 2012-12-14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174A KR101940719B1 (ko) 2012-12-14 2012-12-14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17A true KR20140080717A (ko) 2014-07-01
KR101940719B1 KR101940719B1 (ko) 2019-01-23

Family

ID=5173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174A KR101940719B1 (ko) 2012-12-14 2012-12-14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587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솔트룩스 모듈형 대화 모델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552A (ko) * 1998-10-02 2001-08-09 포만 제프리 엘 네트워크 협동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14530A1 (en) 2005-01-31 2007-05-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110072847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열려진 사용자 의도 처리를 위한 대화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552A (ko) * 1998-10-02 2001-08-09 포만 제프리 엘 네트워크 협동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5878A (ko) * 1998-10-02 2001-09-07 포만 제프리 엘 대화형 가상 기계를 통한 대화형 컴퓨터
US20070114530A1 (en) 2005-01-31 2007-05-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110072847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열려진 사용자 의도 처리를 위한 대화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587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솔트룩스 모듈형 대화 모델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719B1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796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directional visual scripting for programming languages
US8930895B2 (en) Automatically displaying a related file in an editor
US8868524B2 (en) Floating merge selection viewer
CN108345456A (zh) 页面代码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0120654B2 (en) Domain specific language design
US2013007403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de segment handling
WO2015157470A1 (en) Software test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JP5026451B2 (ja) シナリオ編集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35229A1 (en) Graphical Modelization of User Interfaces for Data Intensive Applications
US9785416B2 (en) Presenting a custom view in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based on a variable selection
US10635855B1 (en) Code comment markup
US11514237B2 (en) Spreadsheet and method for updating same
JP6092686B2 (ja) 運用作業フロー作成支援方法および運用作業フロー作成支援システム
CN114897296A (zh) Rpa流程标注方法、执行过程回放方法及存储介质
KR101940719B1 (ko) 태스크 그래프 기반 대화 처리 시스템의 태스크 그래프 구축 장치 및 방법
JP2013077159A (ja) テスト自動化システム
US11609772B2 (en) Dynamically generating guided tours for software
CN114238072A (zh) Hil需求设计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672509A (zh) 自动化测试方法、装置、测试平台及存储介质
CN113254006A (zh) 机器人交互的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avaldjian et al. Generating content presentation according to purpose
US119951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real-time code of embedded code in a browser-window of a software application
JP5174648B2 (ja) プログラム開発支援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868099A1 (en) Bug management tool
WO2023112772A1 (ja) ロボットプログラミング支援装置、ロボットプログラミング支援プログラム、及び、ロボットプログラミング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