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675A -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675A
KR20140080675A KR1020120145605A KR20120145605A KR20140080675A KR 20140080675 A KR20140080675 A KR 20140080675A KR 1020120145605 A KR1020120145605 A KR 1020120145605A KR 20120145605 A KR20120145605 A KR 20120145605A KR 20140080675 A KR20140080675 A KR 2014008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user terminal
unique number
management server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터치
김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터치, 김진곤 filed Critical (주)오케이터치
Priority to KR102012014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675A/ko
Publication of KR2014008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은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 번호를 덮고 있는 보안 스크래치가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따라 제거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매장 단말기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수신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인증하고,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인증 신호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MOBILE GIFT CERTIFICAT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모바일 상품권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따라 사용자 등록을 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barcode)는 영문, 숫자, 또는 특수 기호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수직 막대들의 조합으로 나타내어 광학적으로 판독이 가능하도록 한 코드이다.
상기 바코드는 상품의 포장에 인쇄되어 가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는 책의 표지에 사용되어 도서 관리를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등의 물품을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코드화하는 방법으로는 세계 상품 코드(universal product cod(UPC)) 체계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본 발명이 이루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의 최종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으며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인증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 번호를 덮고 있는 보안 스크래치가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고유 번호,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고유 번호와 상기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고유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1고유 번호,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식별 코드가 매장 단말기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인증하고,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인증 신호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관리 방법은, 상기 인증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고유 번호,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제2고유 번호와 상기 보안 번호를 삭제하기 위해,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가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보안 스크래치를 포함하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 번호를 덮고 있는 보안 스크래치가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따라 제거됨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고유 번호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스크래치의 일정 부분이 제거되면서 나타난 보안 번호의 개수가 기준 개수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안 스크래치의 상기 일정 부분이 제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유 식별 코드는, 바코드(barc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모바일 상품권의 최종 사용자를 관리 서버에 등록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최종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모바일 상품권의 고유 번호 및 보안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함에 따라,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상품권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상품권을 관리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상품권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 단위 또는 집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베이스(database(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매장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이동 전화기 (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바일 상품권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i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MOLED(passive matrix organic LED)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매장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식별 코드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매장 단말기(300)는 식별 코드(예컨대, 바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라, 매장 단말기(300)는 포스 단말기(point of sale(POS) terminal)일 수 있다. 상기 포스 단말기는 바코드 리더기(barcode read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상품권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 번호를 덮고 있는 보안 스크래치를 긁어냄 터치 동작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S10).
상기 긁어냄 터치 동작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터치한 상태로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긁어냄 터치 동작에 따라 보안 스크래치가 제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12). 상기 긁어냄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1고유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보안 번호를 상품권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4).
상기 제2고유 번호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로써, 숫자, 문자, 특수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안 번호는 보안 스크래치에 의해 덮혀 있는 번호로써,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되어 있는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번호는 긁어냄 터치 동작을 통하여 보안 스크래치가 제거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와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할 수 있다(S16).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1고유 번호와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로 등록된 고유 번호와 상기 제1고유 번호를 추가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등록된 고유 번호와 상기 제1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상품권이 인증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1고유 번호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DB))에 저장할 수 있다(S18).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상기 제1고유 번호를 DB에 저장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최종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상품권이 인증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1고유 번호,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와 보안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20).
상기 식별 코드는 고유한 값을 가지며, 실시 예에 따라 1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식별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2).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식별 코드는 매장 단말기(300)를 통하여 입력, 예컨대 스캐닝(scanning)될 수 있다(S26).
매장 단말기(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상기 식별 코드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28). 관리 서버(200)는 매장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코드를 인증할 수 있다(S30).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상기 식별 코드가 이미 사용된 식별 코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증 결과에 따라 매장 단말기(300)로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2).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로 확인 신호를 더 전송할 수 있다(S34).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S16 단계, S20 단계, S3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듈들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상품권을 관리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된 제2고유 번호와 보안 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등록 및 모바일 상품권 인증 단계(S10 단계 내지 S22 단계)를 거친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된 상기 제2고유 번호와 상기 보안 번호는 식별 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상품권(150)은 제2고유 번호 표시 영역(152)와 보안 번호 표시 영역(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유 번호 표시 영역(152)에는 모바일 상품권(150)의 제2고유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PR032831'은 상기 제2고유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보안 번호 표시 영역(154)에는 보안 스크래치에 의해 보안 번호가 덮혀 있다. 상기 보안 스크래치는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터치한 상태로 상하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터치된 부분의 보안 스크래치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보안 스크래치가 제거되면서 도 4b와 같이 보안 번호가 나타날 수 있다. 도 4b에서 '79502103'은 보안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은 보안 스크래치가 제거되면서 나타난 보안 번호의 개수가 기준 개수와 동일한지에 따라 보안 스크래치의 제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개수가 8개이고 도 4b와 같이 '79502103'의 8개의 숫자가 나타났을 때, 보안 스크래치의 제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번호 표시 영역(154)에서 보안 번호가 표시된 부분 외의 영역에 보안 스크래치가 남아 있더라도 보안 스크래치의 제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안 번호 표시 영역(154)에서 보안 번호의 일정 퍼센트가 노출된 경우, 보안 스크래치의 제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1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매장 단말기(300), 및 구매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400)는 모바일 상품권을 최초로 구매한 구매자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4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상품권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S40).
구매자 단말기(400)는 수신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42).
즉, 모바일 상품권 관리 시스템(10')에서는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자와 사용자가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 등록 및 모바일 상품권 인증 단계(S10 단계 내지 S22 단계)에서 최종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구매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모바일 상품권을 다른 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상품권은 즉, 사용자 등록 및 모바일 상품권 인증 단계(S10 단계 내지 S22 단계)를 거치기 전에 2회 이상 이전될 수 있으며, 모바일 상품권은 구매자 단말기(400)와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에 복수의 단말기들을 거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관리 서버
300 : 매장 단말기
400 : 구매자 단말기

Claims (10)

  1.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 번호를 덮고 있는 보안 스크래치가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고유 번호,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고유 번호와 상기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고유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1고유 번호,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식별 코드가 매장 단말기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인증하고,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인증 신호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고유 번호,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제2고유 번호와 상기 보안 번호를 삭제하기 위해,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인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보안 스크래치를 포함하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7.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 번호를 덮고 있는 보안 스크래치가 사용자의 긁어냄 터치 동작에 의해 제거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고유 번호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스크래치의 일정 부분이 제거되면서 나타난 보안 번호의 개수가 기준 개수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안 스크래치의 상기 일정 부분이 제거된 것을 감지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2고유 번호 및 상기 보안 번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는,
    바코드(barcod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KR1020120145605A 2012-12-13 2012-12-13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KR20140080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05A KR20140080675A (ko) 2012-12-13 2012-12-13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05A KR20140080675A (ko) 2012-12-13 2012-12-13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75A true KR20140080675A (ko) 2014-07-01

Family

ID=5173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605A KR20140080675A (ko) 2012-12-13 2012-12-13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6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7555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416403B (zh) 商品与标签的自动关联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7482929B2 (en) Point-of-sale activation of consumer electronics
US201101611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count information
US9027833B2 (en) Commodity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mmodity information in different forms
US9213960B2 (en) Filtering inventory objects using images in an RFID system
WO2017216929A1 (ja) 医療機器情報提供システム、医療機器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01823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securing data in 2D bar codes using SSL
US20170091504A1 (en) Authenticity tag and methods of encoding and verification
US201800754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4099176A (ja) 多数の復号可能な証印を読み込むように構成されるモバイル・コンピュータ
JP2017016615A (ja) 正規品認証手段および正規品認証システム
KR20140098278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833343U (zh) 基于光学彩码的商品溯源防伪系统
KR20150045543A (ko) Nfc 태그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품인증 및 sns 자동 포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96201A1 (zh) 一种基于有源标签与无源标签的无人售货方法和设备
JP5369930B2 (ja) 携帯端末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0675A (ko)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방법
JP2014032683A (ja) 管理装置、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9643425B (zh) 用于标识产品的系统和方法
NL1040219C2 (nl) Automatisch opzoeksysteem voor geregistreerde objecten.
CN111670429A (zh) 以对象id为中心的工作流
US104884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geographical location of an unmapped object within a defined environment
TWI515594B (zh) 商品防僞驗證系統
RU2021128272A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модуль «умная витр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