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187A -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187A
KR20140079187A KR1020120148859A KR20120148859A KR20140079187A KR 20140079187 A KR20140079187 A KR 20140079187A KR 1020120148859 A KR1020120148859 A KR 1020120148859A KR 20120148859 A KR20120148859 A KR 20120148859A KR 20140079187 A KR20140079187 A KR 2014007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trol unit
setting
pod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8657B1 (en
Inventor
김종관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657B1/en
Publication of KR2014007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1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etting availability of a key fob in a vehicle to set or change availability of one or more key fobs and a method thereof. To that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ing unit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to set a user setting mode or a key fob access mode to change availability of a key fob and outputs a setting signal according to the key input onto a display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 unit which, if the key fob access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in the user setting mode, requests a list of authenticated key fobs to a main control unit, receives the list, composes a key fob access screen including an area for setting availability of each key fob included in the list, outputs the key fob access screen on a display window, and transmits the availability data of each key fob set on the display window through user selection back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which performs authentication of a key fob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and, upon a request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sends the list of the authenticated key fobs to the display control unit or receives the availability data of each key fob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allows or restricts access to the key fob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By doing s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easily set or change availability of a key fob using a user setting mode.

Description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availability of a vehicle '

본 발명은 스마트 키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브 키를 사용함에 있어서, 운전자 요청시, 차량의 표시창에 인증된 포브 키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포브 키 사용 가능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브 키 분실시 특정 포브 키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setting a Pobble key availability of a vehicle to which a smart key system is appli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Pobble key avail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vehicle's Pobble key availability, which can limit the use of a specific Pobble key when a Poble key is lost.

최근, 자동차 전자 키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포브 키(FOB Key)와 같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며, 나아가 상기 포브 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에 키 홈에 상기 ㅍ포브 키 삽입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버튼시동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 버튼시동 기술은 향후 개발 차종의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매우 각광받는 분야로 알려져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with the generalization of automobile electronic keys, a driver opens and closes a door from the outside without pressing a separate key insertion or operation button such as a FOB key, A button start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start the vehicle only by pressing a start button without inserting the lift key into the key groove and this button start technique will be positioned as an important trend of future development vehicles As a result, it is known as a very popular field.

이러한 포브 키는 차량 출고시 두 개 이상이 제공되며, 두 개 이상의 포브 키를 각각 별개로 이용하여 시동 온/오프, 도어 잠금/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uch a paw key is provided at the time of shipment from the vehicle, and two or more paw keys can be separately us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tart-on / off, door lock / unlock, and the like.

그러나, 포브 키가 분실되는 경우 그 분실된 포브 키를 습득한 이용자 또한 해당 포브 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도어 잠금/해제 및 시동 온/오프가 가능하므로 차량 내 물품 및 차량의 도난 위험성이 존재한다.However, if the Pobu key is lost, the user who learned the lost Pobu key can also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Pobu key, and can lock / unlock the door and turn on / off the vehicle, There is a risk of theft.

또한 최근에는 발렛 파킹이 일반화되면서, 차량을 제3자에게 맡기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제3자에 의한 운전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절도 또는 다른 불법적인 방법으로 포브 키를 소지한 사용자에 의한 차량 도난의 소지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valet parking is becoming popular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leave the vehicle to a third person. In such a case, driving by a third party often leads to an accident, and aft or other illegal method There was possession of the vehicle stolen by the user having it.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3207호(2011.06.10 공개, 명칭 ; 포브키를 이용한 차량기능 제한 시스템)에는 차량에서 스마트카드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포브 키를 이용한 차량기능 제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기술에서는 기계식 키의 삽입 여부만을 감지하여 차량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을 제3자에게 맡기는 경우에도 사고 발생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63207 (published on Jun. 10, 2011, entitled Vehicle Function Restriction System Using Pobkey) discloses a technology relating to a vehicle function restriction system using a Pobkey In this technique, only the insertion of the mechanical key is detected to limit the function of the vehicle, so that even when the vehicle is left to a third party, the risk of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포브 키를 분실한 경우 그 분실된 포브 키를 습득한 사용자에 의한 차량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되므로, 반드시 서비스 센터 등을 방문하여 분실한 포브 키에 대한 사용 설정을 변경해야만 하며, 이러한 포브 키의 사용 설정을 변경하는 작업은 관리자 권한을 가진 관리자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브 키 분실시 포브 키의 사용 설정 해지에 따른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ique, if the forgotten key is lost, the access to the vehicle by the user who has learned the lost forgotten key can not be fundamentally blocked, so be sure to visit the service center or the like and change the usage setting for the forgotten key And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use setting of the forbidden key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only by the administrator having the administrator authority, so there was a lot of troubl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orbidden key when the forbidden key is lost.

특허문헌 KR 10-2011-0063207 A 2011.06.10 공개Patent document KR 10-2011-0063207 A Published on Jun. 10, 20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브 키를 사용함에 있어서, 운전자 요청시, 차량의 표시창에 인증된 포브 키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포브 키 사용 가능여부를 사용자 설정모드에 진입하여 간단하게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브 키 분실시 특정 포브 키에 대한 사용 여부를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간단한 절차를 통해 운전자가 직접 포브 키의 접근성을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uthorized Poble key on a display window of a vehicle when a Poble key is requested by a driver, To enable or restrict the accessibility of the Pod Key by a simple procedure without having to visit the service center to enable or disable the specific Pod Key when the Pod Key is lost. And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avail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사용자 설정모드 및 포브(FOB) 키 사용 가능 여부 변경을 위한 포브 키 접근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표시 제어부로 출력하는 설정부, 키조작에 따라 사용자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주제어부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에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에 출력하며 표시창을 통해 설정되는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다시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표시 제어부, 및 포브 키와의 통신으로 포브 키 인증을 실시하며 표시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인증 포브 키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표시 제어부로부터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포브 키에 대한 접근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setting a POD key access mode for changing a user setting mode and a use of a FOB key, When the POD key access mode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setting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the POD key list is requested and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and each of the POD keys is used in the received POD key list And a display for transmi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by the user selection of each fork key set through the display window by configuring the forbidden key access screen including the availability setting area capable of setting the availability, The control unit, and the forbey key to perform the forbidden key authentication, an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key lis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or receiving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the usability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toe key and thereby allowing or limiting access to the toe key, System.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에서, 설정부는, 차량의 스위치, 조그 셔틀, 터치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system for setting the availability of a Pawkey ke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unit is configured by any one of a vehicle switch, a jog shuttle, and a touch screen.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에서, 표시 제어부는, 포브 키 접근 화면 상에서 접근 허용할 포브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브 키에 대해 활성화 설정하고,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해 분실 여부를 묻는 확인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 후 그 확인 화면에서 설정부의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되는 포브 키에 대해 비활성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rbey-key availability sett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activates and sets the selected paw key when the paw key to be allowed to be accessed on the paw-key access screen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confirmation screen asking whether or not the key has been lost, outputs the confirmation screen, and then sets the deactivated display unit to deactivate the forbey key, which is confirmed to be lost through a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on the confirmation screen.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에서, 표시 제어부는,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수신 중 알림 메시지 또는 인증된 포브 키의 위치 알림 메시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rbey-key availability setting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outputs one or more messages selected from a notification message during reception of the authenticated pod-key list or a location notification message of the authenticated po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키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표시 제어부로 출력하는 설정부, 포브(FOB) 키와의 통신으로 포브 키 인증을 실시하고 각 포브 키에 대한 접근 허용 또는 제한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및 주제어부에서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및 포브 키 접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창을 구비한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포브 키 사용 가능여부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설정부의 키조작에 따라 사용자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여,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주제어부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와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에 출력하고, 포브 키 선택여부에 따라 접근 허용 또는 제한할 사용 가능 유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표시창을 통해 설정되는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다시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setting unit for outputting a setting signal in response to a key operation to a display control unit, performing a Forbidden key authentic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FOB key, A method of setting a Pobble key usable state in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main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permission or limitation, and a display control part having a pod key list authenticated by the main control part and a display window for outputting a pod key access screen, Confirming whether the pod key access mode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setting mode is set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requesting and receiving an authorized pod key list from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od key access mode is selected, Configure the forb key access screen, including the availability and availability area where you can set the list and availability of each forb key A step of setting usable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to be permitted or restric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od keys are selected, and a step of setting usable presence / absenc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of each forb key set through the display window,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서 포브 키를 사용함에 있어서, 운전자 요청시 차량의 표시창에 주제어부에서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표시하고 각 포브 키의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포브 키 접근 모드를 마련하여 각 포브 키에 대한 접근 허용 또는 제한을 위한 사용 여부를 운전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브 키 분실시 특정 포브 키에 대한 사용 설정 해지를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간단한 절차를 통해 편리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sing a Pawkey in a vehicle, a Pawkey access mode is provided that displays a list of Pawkey keys authenticated by the main controller in a display window of a vehicle upon request of a driver and can set whether to use each Pawkey By allowing the operator to change whether to allow or restrict access to the token key,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estrict the use of a particular token key in the event of a loss of the token key, without having to visit the service cent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을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각 처리 단계에서 표시창에 출력되는 각 화면 구성을 예시한 참고도들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od-key availability setting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operational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whether or not to use a Pawkey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F are views for illustrating exemplary configurations of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in each processing step in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whether or not a pod key can be used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ystem for and method for setting whether or not a vehicle can use a pod ke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 시스템은, 설정부(10), 표시 제어부(20), 및 주제어부(30)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d-key availability setting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a setting unit 10, a display control unit 20, and a main control unit 30 .

설정부(10)는 차량의 스위치, 조그 셔틀, 터치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사용자 설정모드 및 포브(FOB) 키 사용 가능 여부 변경을 위한 포브 키 접근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표시 제어부(20)로 출력한다. The setting unit 10 includes any one of a vehicle switch, a jog shuttle, and a touch screen, and has a plurality of keys for setting a Pod key access mode for changing the user setting mode and the use of the FOB key , And outputs a setting signal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to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0. [

표시 제어부(20)는 주제어부에서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및 포브 키 접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창(21)을 구비하며, 설정부(10)를 통한 운전자의 키조작에 따라 사용자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주제어부(30)에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전송 요청하여 주제어부(30)로부터 포브 키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에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21)에 출력하며, 표시창(21)을 통해 설정되는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다시 주제어부(30)로 전송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20)에서는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수신하는 도중에 그 포브 키 리스트 수신중임을 표시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창(21)을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인증된 포브 키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창(21)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20 has a pod key list authentic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and a display window 21 for outputting a pod key approach screen. When the user setting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setting unit 10 When the forbidden key access mode is selected, the mainframe unit 30 requests the mainframe unit 30 to transmit the authenticated poby key list, receives the poby key list inform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and sets whether or not each of the forbidden keys can be used in the received poby key list And outpu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window 21.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use the portable telephone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or each of the portable keys set through the display window 21 is input To the main control unit (30).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20 can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bble key list is being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21 during receiving the Poble key list, or a notific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uthenticated Poble key A message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window 21.

또한 표시 제어부(20)에서는 포브 키 접근 화면상에서 설정부(10)를 통한 운전자의 키조작에 따라 접근 허용할 포브 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포브 키에 대해 활성화 설정하고, 반면에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해서는 해당 포브 키의 분실 여부를 묻는 확인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 후 그 확인 화면 상에서 설정부(10)의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되는 포브 키에 대해 비활성화 설정한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control unit 20, when a Pod key to be allowed to be accessed is selected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setting unit 10 on the Pod key access screen, the selected Pod key is activated and set, The POD key is displayed on the confirmation screen ask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POD key is lost or not, and then the POD key is confirmed to be lost through the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10 on the confirmation screen.

주제어부(30)는 포브(FOB) 키(40)와의 통신으로 포브 키 인증을 실시하며, 표시 제어부(20)의 요청에 따라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정보를 구성하여 표시 제어부(20)로 전송하거나, 또는 포브 키 접근 모드를 통해 사용자 설정이 완료되면 표시 제어부(20)로부터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각 포브 키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활성화 설정된포브 키에 대한 접근을 허용 또는 비활성화 설정된 포브 키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The main control unit 30 carries out the Pawkey authentic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FOB key 40. The main control unit 30 constructs the Pawkey list information authentica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display control unit 20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20 (Or activation / deactivation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forbu key) for each forbu key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20 when the user set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forbu key access mode, And restricts access to the parent key that has been granted or disabled.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을 예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키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표시 제어부(20)로 출력하는 설정부(10), 포브(FOB) 키(40)와의 통신으로 포브 키 인증을 실시하고 각 포브 키에 대한 접근 허용 또는 제한을 제어하는 주제어부(30), 및 주제어부(30)에서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및 포브 키 접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창(21)을 구비한 표시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표시 제어부(20)가 동작 주체가 되어 주제어부(30)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포브 키 사용 가능여부 설정 동작을 예시한다.2A and 2B are operational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whether or not a Pobble key can be used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chart includes a setting unit 10 for outputting a setting signal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20, ) Key 40 and for controlling access to or limitation of access to each of the forbidden keys, and a pod key list and a pod key access screen authentic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30, In the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display control unit 20 provided with the display window 21 for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20, the display control unit 20 is an operation main body, do.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은, 포브 키 접근 모드 진입 및 포브 키 리스트 수신단계(S101-S110), 포브 키 사용 가능 유무 설정단계(S111-S116), 및 설정 정보 전송 단계(S117)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a method of setting a Pobble key availabilit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of entering a Pobble key access mode and receiving a Poble key list (S101 - S110) (S111-S116), and a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S117).

포브 키 접근 모드 진입 및 포브 키 리스트 수신단계(S101-S110)는, 설정부(10)의 키조작에 따라 사용자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여,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주제어부(30)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로서, 표시 제어부(20)가 설정부(10)의 키조작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 설정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 사용자 설정모드가 선택되면 포브 키 접근모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가능한 항목(메뉴)을 표시창(21)에 표시하면서 포브 키 접근모드를 선택하는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S102,S103),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주제어부(30)에 포브 키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S104), 주제어부(30)로부터 포브 키 정보를 수신하면서 그 포브 키 정보 수신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창(21)에 출력하는 단계(S105) , 포브 키 정보 수신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여 포브 키 정보 수신 알림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S106,S107), 수신 완료되면 인증 포브 키 정보에 대한 위치 알림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표시창(21)에 출력하는 단계(S108-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step of entering the forbidden key access mode and receiving the forbidden key list (S101 to S110), it is checked whether the forbidden key access mode is selected in a state where the user setting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10,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user setting mode is selected by checking the key operation state of the setting unit 10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20 requests the main control unit 30 to receive an authenticated pod key list (S101). When the user setting mode is selected, a step (S102, S103)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select a pod key access mode while displaying a user-settable item (menu) including the pod key access mode on the display window 21 When the key access mode is selected, the main control unit 30 requests the main control unit 30 to transmit the POD key list (S104).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POD key inform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S106). The step of outpu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isplay window 21 (S105), confirming whether the reception of the pod key information is completed, and ending the output of the pod key information reception notification message And outpu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isplay window 21 for a predetermined time (S108-S110).

포브 키 사용 가능 유무 설정단계(S111-S116)는 주제어부(30)에서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와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21)에 출력한 상태에서 포브 키 선택여부에 따라 접근 허용 또는 제한할 사용 가능 유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주제어부(30)에서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와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21)에 출력하는 단계(S111), 상기 포브 키 접근 화면을 통해 접근 허용(또는 제한)할 포브 키의 선택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12), 포브 키 접근 화면상에서 접근 허용할 포브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포브 키에 대해 활성화 설정하는 단계(S113),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한 분실 여부를 묻는 확인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단계(S114), 확인 화면 상에서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한 분실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S115),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되는포브 키에 대해 비활성화 설정하는 단계(S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orbidden key availability setting step S111 to S116 constitutes a forbey key access screen including a tob key list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and a usable availability setting area for setting the availability of each forbey key, Setting the usable presence information to permit or restrict acc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od key is selected in a state of outputting the pod key to the main control unit (21),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30) (Step S111), an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re is a selection of a Pawkey to access (or restrict) access through the Pawkey access screen Step S112: Activating and setting the selected pod key on the pod key access screen, if the selected pod key is selected on the pod key access screen (S113) (Step S114), a step S115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orgot key not selected on the confirmation screen is lost (S115), a step of deactivating the for-key identified by the key operation (Step S116).

설정 정보 전송 단계(S117)는 표시창(21)을 통해 설정되는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다시 주제어부(30)로 전송하여, 추후 주제어부(30)가 포브 키와의 통신으로 키 인증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포브 키의 접근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처리하는 단계이다.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17 transmits the usability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each of the toe keys set through the display window 21 to the main control unit 30 again so that the main control unit 30 can transmit When the key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key, the usability setting information is process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allowing or limiting the access of the Pove key.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각 처리 단계에서 표시창(21)에 출력되는 각 화면 구성을 예시한 참고도이다.FIGS. 3A to 3F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respective screen configurations output to the display window 21 in each processing step in the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Pawkey key usabilit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사용자 설정모드를 진입하면 제시되는 화면으로서 포브 키 접근모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가능한 항목(메뉴) 표시화면이고, 도 3b는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제시되는 화면으로서 주제어부(30)에 포브 키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한 상태에서 주제어부(30)로부터 포브 키 정보를 수신하면서 그 포브 키 정보 수신중임을 알리는 메시지 표시화면이며, 도 3c는 주제어부로부터 수신 완료된 인증 포브 키 정보에 대한 위치 알림 메시지 표시화면이고, 도 3d는 주제어부(30)에서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와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 포브 키 접근 화면이며, 도 3e는 포브 키 접근 화면상에서 접근 허용할 포브 키가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한 분실 여부를 다시 묻기 위해 제시되는 확인 화면이고, 도 3f는 확인 화면 상에서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되는 포브 키에 대한 비활성화 설정 결과를 제시하는 화면이다. 특히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 진입시 또는 포브 키 접근 모드 진입시 차량의 실내에 존재하는 포브 키의 경우 해당 포브 키의이름이 구별되도록 문자 표시, 또는 그외의 포브 키 정보 표시, Bold Type, 색상 변화, 깜빡임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FIG. 3A is a user-settable item (menu) display screen including a forbidden key access mode as a screen presented when the user set mode is entered, FIG. 3B shows a main screen 30 as a screen presented when the forbidden key access mode is selected, FIG. 3C shows a message display screen for receiving the POD key information while receiving the POD key inform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in a state of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POD key list, FIG. 3D is a Pobb key access screen including a Pobkey list received by the main control unit 30 and a usable setting area for setting whether or not each Pobble key can be used. FIG. If you select a Poble key to allow access on the key access screen, Confirmation screen and which, Figure 3f is a screen presenting results for disabling the key fob is confirmed to the loss by operating the keys on the confirmation screen. In particular, in case of entering the user setting mode or entering the Pobble key approach mode, a character display or other Pobble key information display, a Bold type, a color change, a flicker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And the lik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for and method for setting the Paw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을 위해 설정부(10)의 키를 조작(S101)하여 사용자 설정모드로 진입하게 되면(S101의 Y분기), 표시 제어부(20)는 그 내부 표시창(21)을 통해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은 포브 키 접근모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가능한 항목(메뉴) 표시화면을 출력(S102)한다.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 of the setting unit 10 (S101) to enter the user setting mode (Y branch of S101), the display control unit 20 displays the internal display window 21 (Menu) display screen including the forbey-key access mode as illustrated in FIG. 3A (S102).

다음으로 다시 사용자가 설정부(10)의 키를 조작(S103)하여 포브 키 접근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S103의 Y분기), 표시 제어부(20)는 주제어부(30)에 포브 키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S104)하고, 아울러 주제어부(30)로부터 포브 키 정보를 수신하면서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은포브 키 정보 수신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창(21)에 출력(S105)한다. Next, when the user again operates the key of the setting unit 10 (S103) and enters the Pod key access mode (Y branch of S103), the display control unit 20 transmits the Pod key list to the main control unit 30 (S104), and also outputs a message to the display window 21 (S105) informing that the POD key information is being received, as illustrated in FIG. 3B, while receiving the POD key inform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FIG.

이후 표시 제어부(20)는포브 키 정보 수신이 완료되는지를 확인(S106)하여 수신 완료되면(S106의 Y분기) 포브 키 정보 수신중 알림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S107)한다. 이어서 주제어부(30)로부터 수신된 인증 포브 키 정보에 대한 위치 알림 메시지(도 3c)를 표시창(21)에 출력(S108)하면서 미리 지정된 시간(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초) 이 경과되는지를 판단(S109)하여 시간이 경과되면(S109의 Y분기) 해당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S110)하고 다시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부(30)에서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와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21)에 출력(S111)한다.Thereafter, the display control unit 20 confirms whether the reception of the token key information is completed (S106). When the reception is completed (Y branch of S106), the display control unit 20 ends the output of the notification message during reception of the token key information (S107). Next, a position notification message (FIG. 3C) for the authentication fork ke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is output to the display window 21 (S108) (Step S109). When the time has elapsed (Y branch of S109), the output of the message is terminated (S110). Then, as illustrated in FIG. 3D, A pobkey key access screen including a pobkey key list and a usable / non-usable setting area for setting whether or not each pod key can be used is configured and output to the display window 21 (S111).

마지막으로, 표시 제어부(20)는상기 포브 키 접근 화면(도 3d) 상에서 사용자가 설정부(10)의 키조작을 통해 접근 허용(또는 제한)할 포브 키를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S112)하여, 포브 키 접근 화면 상에서 접근 허용할 포브 키(도면 상에서는 포브 키 #1)가 선택되면 선택된 포브 키(포브 키 #1)에 대해서는 활성화 설정(S113)한다.Finally, the display control unit 20 confirms whether the user selects a Pawkey for accessing (or limiting) access via the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10 on the Pawkey access screen (FIG. 3D) (S112) When the forb key (the forb key # 1 in the drawing) to be permitted to access is selected on the forb key access screen, the activation setting (S113) is performed for the selected forb key (forb key # 1).

아울러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포브 키#2)에 대한 분실 여부를 묻는 확인 화면(도 3e)을 구성하여 표시창(21)에 출력(S114)하고, 상기 확인 화면 상에서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포브 키 #2)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부(10)의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하는 경우(S115의 Y분기) 해당 포브 키에 대해 비활성화 설정(S116)하면서 분실로 확인되는 포브 키(포브 키#2)에 대한 비활성화 설정 결과화면(도 3f)을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설정된 포브 키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주제어부(30)로 전송(S117)하여 추후 주제어부(30)가 포브 키와의 통신으로 키 인증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포브 키의 접근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Fig. 3E)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unselected fork key (the forbey key # 2) is lost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window 21 (S114) (POBKEY # 2) that is confirmed to be lost while being inactivated (S116) for the corresponding PODK key when the user confirms the loss of the PODK # 2 by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10 (Y branch of S115) (Fig. 3F), and transmits the pod key enable / disable setting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30 in step S117 so that the main control unit 30 can communicate with the pod key 30 , The usability setting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allowing or limiting the access of the pod key, and all operations are termin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설정부 20 : 표시 제어부
30 : 주제어부 40 : 포브 키
10: setting unit 20: display control unit
30: main control unit 40:

Claims (7)

사용자 설정모드 및 포브(FOB)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변경을 위한 포브 키 접근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표시 제어부로 출력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의 키조작에 따라 사용자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주제어부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에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에 출력하며, 상기 표시창을 통해 설정되는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다시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표시 제어부; 및
포브(FOB) 키와의 통신으로 포브 키 인증을 실시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상기 표시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 제어부로부터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포브 키에 대한 접근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A set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setting a pod key access mode for changing a user setting mode and a use mode setting of the FOB key and outputting a setting signal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When the forbidden key approach mode is selected in the user setting mode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the authenticated pod key list is requested and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each forbidden key is set in the received pod key list A display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a forbey key access screen including a usable presence / absence setting area and to output the usable presence / absenc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each of the main keyboards; And
(FOB) key,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ed pod key lis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display control unit, or transmits the pod key lis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receiving or limiting the access to the pod keys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차량의 스위치, 조그 셔틀, 터치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is configured by any one of a switch, a jog shuttle, and a touch screen of a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포브 키 접근 화면상에서 접근 허용할 포브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포브 키에 대해 활성화 설정하고,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한 분실여부를 묻는 확인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 후 그 확인 화면에서 설정부의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되는 포브 키에 대해 비활성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orbey key to be allowed to access on the forbidden key access screen is selected, activation is made for the selected forbidden key, a confirmation screen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forgotten key is not selected is outputted, and then, Wherein the vehicle is set to deactivate for the forbey key identified as lost through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인증된 포브키 리스트 수신 중 알림 메시지 또는 인증된 포브 키의 위치 알림 메시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시스템.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outputting at least one message selected from among a notification message during receipt of an authenticated token key list or a location notification message of an authenticated token key.
키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표시 제어부로 출력하는 설정부, 포브(FOB) 키와의 통신으로 포브 키 인증을 실시하고 각 포브 키에 대한 접근 허용 또는 제한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및 주제어부에서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 및 포브 키 접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창을 구비한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포브 키 사용 가능여부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설정부의 키조작에 따라 사용자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여, 포브 키 접근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된 포브 키 리스트를 주제어부(30)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포브 키 리스트와 각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유무 설정영역을 포함한 포브 키 접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창에 출력하고, 포브 키 선택여부에 따라 접근 허용 또는 제한할 사용 가능 유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시창(21)을 통해 설정되는 각 포브 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 가능 유무 설정정보를 다시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forbidden key authentication by communication with a setting unit and a FOB key for outputting a setting signal in response to a key oper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for controlling permission or restriction of access to each of the forbidden keys, And a display control unit having a display window for outputting a pod key access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t is confirmed whether the Pod key access mode is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user setting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When the Pod key access mode is selected, the Pod key list is requested to the main control unit 30 and received step;
(b) Configure the forb key access screen including the received tob key list and available availability setting area to set whether or not to use each forb key,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window. Establishing the availability information; And
(c) transmitting usability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to each of the toe keys set through the display window (21) to the main control unit again. W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인증된 포브키 리스트 수신 중 알림 메시지 또는 인증된 포브 키의 위치 알림메시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a)
And outputting at least one message selected from among a notification message during reception of the authenticated token key list or a notification message of the location of the authenticated token ke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포브 키 접근 화면상에서 접근 허용할 포브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포브 키에 대해 활성화 설정한 후, 선택되지 않은 포브 키에 대한 분실 여부를 묻는 확인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확인 화면에서 설정부의 키조작을 통해 분실로 확인되는 포브 키에 대해 비활성화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포브 키 사용 가능 여부 설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tep (b)
Configuring and outputting a confirmation screen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a forbidden key that has not been selected has been lost after activating the selected forbidden key when the forbidden key to be permitted access is selected on the forbidden key access scree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activating the Pod key confirmed to be lost through a key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on the confirmation screen.
KR1020120148859A 2012-12-18 2012-12-18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KR101418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59A KR101418657B1 (en) 2012-12-18 2012-12-18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59A KR101418657B1 (en) 2012-12-18 2012-12-18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87A true KR20140079187A (en) 2014-06-26
KR101418657B1 KR101418657B1 (en) 2014-07-14

Family

ID=5113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859A KR101418657B1 (en) 2012-12-18 2012-12-18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6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517A (en) * 2014-12-31 2016-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ob theft loss preven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421B1 (en) * 2015-12-15 2022-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larm output system and thereof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87B1 (en) * 2004-10-25 2010-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immobilizer system
KR100745575B1 (en) * 2005-10-11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multiple electronic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4661B1 (en) * 2006-08-0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bluetooth handsfree
JP5529779B2 (en) 2011-02-07 2014-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Electronic key registr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517A (en) * 2014-12-31 2016-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ob theft loss preven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657B1 (en)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5275B2 (en) Gateway-based anti-theft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12859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wireless mobile device as a smart key
US8751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vehicle computing platform configuration information
US9275208B2 (en) System for vehicular biometric access and personalization
CN105278677B (en) Vehicle computing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wearable device
US11142166B2 (en) Sharing system using valet key
US11021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vehicle function control
US20160150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Automobile
CN105398405B (en) Master reset of vehicle
KR101754876B1 (en) Smart key system applied double security and double security method for vehicle using the same
CN109649330B (en) Vehicle sharing system
CN106154997B (en) Vehicle-mounted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vehicle control program updating method and system
CN111762126A (en) Vehicle intelligent key management method and vehicle control unit
KR20160030175A (en) Method for securing a command to be applied to a motor vehicle
CN107215330B (en) Mobile user terminal device, technical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user during remote control of mobile user terminal device
KR1014186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fob key availability of the vehicle
JP2019091221A (en) Valet key and valet key control method
US20210162948A1 (en) Sharing system
JP7206794B2 (en) mobile control system
CN11584171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vehicle,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9091222A (en) Bullet key control system and bullet key
JP6414526B2 (en) Remote control system
EP41514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3220935A1 (en) Vehicle access right control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1588371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