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529A - Jumping Twister - Google Patents

Jumping Twi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529A
KR20140078529A KR1020130100722A KR20130100722A KR20140078529A KR 20140078529 A KR20140078529 A KR 20140078529A KR 1020130100722 A KR1020130100722 A KR 1020130100722A KR 20130100722 A KR20130100722 A KR 20130100722A KR 20140078529 A KR20140078529 A KR 20140078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shaft
dead center
swing
sw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2285B1 (en
Inventor
오지윤
Original Assignee
오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윤 filed Critical 오지윤
Priority to KR102013010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285B1/en
Publication of KR2014007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rehabilitation. A user of the apparatus can twist his or her body and vertically jump at the same time. The apparatus comprises a first contact part, a second contact part, a shaft, a swing bar, and a swing guide.

Description

트위스터{Jumping Twister}Twister {Jumping Twist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를 좌우로 비틀면서 트위스트(Twist) 운동하며 동시에 상하로 점프(jump)하는 운동을 병행하는 신체단련 및 신체재활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training apparatus and a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that perform a twist movement while a user twisting the body to the left and right and simultaneously perform a movement to jump up and down.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는 좌우 회전과 상하 운동이 서로 연계하여 이루어지도록,In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left-right rotation and the up-

상기 회전판이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좌회전(하방-좌회전 행정),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우회전(상방-우회전 행정),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우회전(하방-우회전 행정),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좌회전(상방-좌회전 행정)의 4개의 행정 순서를 1사이클로 완료하는 4행정좌우회전수단이 추가로 구비된 기구가 개시되어 있는 바, 등록특허 제625014호 (2006.09.11); 등록특허 제786976호 (2007.12.11);가 그것이며, 상품명으로 ‘트위스트런’이라 불리운다.(Down-right rotation stroke) while asc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going downward (down-right rotation stroke)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moving upwards (down-right rotation stroke) (Left-turn rotation), and a four-stroke left-right rotation means for completing the four stroke sequences of the four-stroke left-right rotation means. Registered patent No. 786976 (Dec. 11, 2007); and the product name is called 'twist run'.

하지만, 베이스가 최저점에 위치하는 하사점에서 방향이 전환되며 베이스가 최고점에 위치하는 상사점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이 진행한다. 따라서 원래 하사점으로부터 트위스트 점프를 시도하여 상사점을 넘어서야만 다른 하사점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의 결과로 사용자의 숙달 정도에 관계없이 또,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량의 정도에 관계없이 정하여진 상사점을 무조건 뛰어넘어가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우기가 쉽지 않으며 설령 숙달된 사용자라 할지라도 실수로 뛰어넘지 못하고 걸리게 되면 중심을 잃고 쓰러질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However, the direction changes at the bottom dead center where the base is at the lowest point, and the rotation continu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top point where the base is at the pea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to another bottom dead point only after attempting a twist jump from the bottom dead center and beyond the top dead center. As a result of this action, regardless of the degree of mastery of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unconditionally jump over the determined upper limi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the user's desired amount of exercis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learn, even experienced users can not jump by mistake.

위와 같은 어려움 및 위험을 해소하고자 본원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제1218831호(2012.12.28)가 개시되어 있는 바, 하사점에서 운동이 시작되어 좌우로 회전하면서 점진적으로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2행정 1사이클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그런데, 다수의 커넥터를 힌지연결하도록 되어 있어서 복잡한 구성으로 제작 원가가 크고 또, 기구의 힌지축에 가해지는 무리한 하중으로 내구성이 불리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fficulties and risk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sclosed a patent No. 1218831 (Dec. 28, 2012). As the motion starts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two strokes It is a mechanism to perform one cycle.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connectors are hinge-connecte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due to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the durability is unfavorable due to an excessive load applied to the hinge axis of the mechanism.

본 발명은, 하사점(가장 낮은 지점)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진행하고 상사점(가장 높은 지점)에서는 회전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하고 또, 사용자의 수준에 맞추어 스스로 상기 상사점을 정하도록 하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continu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lowest point),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switched at the top dead center (highest point), and the top dead center is set by itself However,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부재하더라도 점프 가능하고, 튼튼하고 간단한 구성을 취하여 내구성 및 제장비용에서 유리한 실시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jumped even when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s not present and can take a robust and simple configuration to provide an advantageous implementation in durability and cost.

상기한 과제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제1접촉부; 제2접촉부; 샤프트; 스윙바; 스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tact portion; A second contact portion; shaft; Swing bar; And a swing guide.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샤프트가 축받이될 샤프트축받이가 구비되고 또, 상기 스윙가이드가 힌지연결되게 된다.The main frame has a shaft bearing to which the shaft is to be supported, and the swing guide is hinge-connected.

상기 제1접촉부 또는 상기 제2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하중을 받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 하중을 전달한다.Wherein either the first contact portion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receives a load of the user; And the other transfers loads to the outside.

상기 샤프트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축받이로부터 축받이되어, 상기 제1접촉부의 좌우 회전축 및 상하 슬라이딩의 승하강축이 된다.One end of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is supported by the shaft bearing, and becomes a right and left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vertical acceleration axis of up and down sliding.

상기 스윙바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된다.The swing ba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상기 스윙가이드는 그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윙바에 힌지연결된다.One end of the swing guide is hinged to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wing bar.

상기 연결은, 애초에 한 몸체로 형성된 것 또는 각자 다른 몸체로 형성되어 조립; 부착; 고정;된 것을 말한다.The connection may be formed as a body initially or as a separate body and assembled; Attach; Fixed.

상기 힌지연결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The hinge connection means that the hinge connection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 refracting manner.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하사점에서는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고 상사점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전환되는 것이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user continuously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 rotation is switc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top dead center.

그러므로 별도의 탄성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인위적이 비틀기 회전력 또는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하사점에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관성에 의하여 다시 상기 스윙가이드가 꼬이면서 상사점으로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elastic body, the swing guide can be twisted up to the top dead center due to the artificial torsion torque of the user or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falling of the user due to the inertia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또한, 상기 상사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그리고 적응할 수 있는 위치에서 스스로 정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top dead center is determined by the user in a desired and adaptable position, the top dead center can be used freely.

본 발명에 의하면, 하사점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이 진행되고 상사점에서는 회전의 방향이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상사점을 스스로 선택해 편안하게 운동을 실시하고, 이에따라 처음에 하사점부터 천천히 시작하여 쉽게 숙달하고, 숙달 후에는 크게 동작하여 칼로리 소모가 큰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 continu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switched at the top dead center, the user can select the top dead center of the desired height and perform the motion comfortably. It is easy to get started and easy to master, and after exercising it can be performed with a large calorie expenditure.

즉, 상사점에서 회전 방향이 전환되고 하사점에서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므로, 하사점으로부터 조금씩 좌우 증폭하는 방식으로 좌우 회전 및 상하 점프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트위스트 점프 운동을 실시하기가 매우 쉽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의 상사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점프를 원하는 높이만큼만 수행할 수 있어서 운동의 강약을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rotation direction is switched at the top dead center and the rotation continu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left-right rotation and the up-and-down jumping movement can be started by slightly amplifying the bottom dead center point.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carry out the twist jump motion, and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top point of the desired height to meet the user's body condition. The jump can be performed only at a desired height,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can be adjusted as needed.

또한, 접촉부에 발로 올라서서 실시하는 뜀뛰기 운동은 물론, 앉아서 TV 등을 보는 간이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좌우 허리를 돌려서 운동을 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simple chair to watch TV and sit down as well as a jump jump exercise on the contact part.

특히. 사용자의 하중을 떠받쳐 원위치 복원 시키는 탄성체의 구비 없이도, 그네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중력 낙하로 축적된 에너지가 발산될 방향을 바꾸어 다시 상사점으로 점프할 수 있다.Especially. It is possible to jump back to the top dead center by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ergy stored in the gravitational drop can be diverted by using the same principle as the swing without the need for an elastic body for restoring the user's load on the floor.

한편, 제작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간단한 구성이 가능하여서 내구성 및 제작비용에 유리한 실시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ructure that is robust and simpl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urability and production cost.

도 1 제1실시의, A1 정단면도 또는 배면 단면도; A2 (좌, 우) 측면도; A3 평면도 또는 저면도;
제2실시의, B1 정면도 또는 배면도; (좌, 우) 측면도; B3 평면도 또는 저면도;
도 2 A 사시도; B 투시된 사시도;
도 3 부분적으로 분해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A 저면사시도; B 저면사시도; C 사시도;
도 4 동작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A 사시도; B 저면사시도;
도 5 상기 제1실시의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A 하사점에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B 상사점에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A 상기 하사점에서의 정면 투시도; B 상기 상사점에서의 정면 투시도;
도 7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련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되는 상태의 예시도
도 8 탄성체가 추가되는 경우를 보인 것으로서, A 인장스프링; B 압축스프링; C 충격완화 탄성부재;의 예시도 및 동작도
도 9 A 스윙가이드와 스윙바의 연결을 예시하여 보인 부분도; B 스윙가이드와 제1접촉부의 연결을 예시하여 보인 부분도; C 스윙가이드의 신축 쿠션을 예시하여 보인 부분도; D 샤프트와 스윙바의 연결 및 스윙바의 휨 쿠션을 예시하여 보인 부분도;
도 10 접촉부 중에서 외부에 하주을 전달하는, A 제2접촉부의 다른 실시를 보인 정면도; B 상기 다른 실시를 지면과 같은 바닥에 밖아서 설치한 예시도; C 하나의 메인프레임의 지지측 상에 다수의 샤프트와 같은 구성을 설치한 경우를 보인 예시도; D 제1접촉부의 다른 예시를 보인 정면도;
도 11 굵은선으로 간략히 정면을 보인 것으로서, A 메인프레임(200)의 아치형태를 보인 예시도; B 및 C는 스윙가이드(400)를 비스듬하게 세운 것을 보인 예시도; D 및 E는 메인프레임의 전달측(220) 및 제2접촉부(120)의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 A 및 B는 스탠딩 의자의 좌판을 대신하여 설치하는 예시도
1 is a front section view or a rear section view of A1 of the first embodiment; A2 (left, right) side view; A3 plan view or bottom view;
B1 front view or rear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Left, right) side view; B3 plan view or bottom view;
Figure 2A A perspective view; B perspective view;
Fig. 3 is a partial exploded view, with A bottom perspective view; B Bottom perspective; C perspective;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which is an A perspective view; B Bottom perspectiv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t the bottom dead center point A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Fig.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t the top dead center;
6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t the bottom dead center; B A front perspective view at the top dead center;
Figures 7A-D illustrate examples of operating states illustrating a series of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case where an elastic body is added; B compression spring; C shock-absorbing elastic member; Fig.
9A is a partial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the swing guide and the swing bar; B is a partial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 swing guide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C swing guide; Fig. Shown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the D shaft to the swing bar and the flexure cushion of the swing bar;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 second contact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from the contact portion; Fig. B is an exampl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another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same floor as the floor; C i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hafts are provided on the support side of one main frame; D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FIG. 11 is an example of an arch shape of the A main frame 200, which is shown with a bold line in a front view; FIG. B and C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swing guide 400 is shown being erected obliquely; D and E are different views of the transmission side 22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of the main frame
Figs. 12A and 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eat is installed in place of a seat of a standing chair

본 발명은 주된 실시와 상기 주된 실시의 상하를 뒤집은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주된 실시를 위주로 본 발명을 전개하기로 하고 같은 원리가 상하를 뒤집은 형태에도 적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 신체단련기구인 트위스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in the form of an inverted version of the main embodiment and of the main embodim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 scribed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main embodiment, and the same principle is applied to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reversed. Hereinafter, a tw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제1접촉부(110) 및 제2접촉부(120)로 된 접촉부(100); 메인프레임(200); 샤프트(300); 스윙가이드(400); 스윙바(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part (100) comprising a first contact part (110) and a second contact part (120); A main frame 200; A shaft 300; Swing guide 400; And a swing bar (500).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상기 샤프트(300)가 축받이될 샤프트축받이(211)가 구성되고 또 상기 스윙가이드(400)가 연결될 스윙가이드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frame 200 may include a shaft bearing 211 to which the shaft 300 is to be supported and a swing guide fixing portion to which the swing guide 400 is connected.

상기 제1접촉부(110) 또는 상기 제2접촉부(120)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와 접촉하여 하중을 받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한다. 상기 외부는 바닥이 될 수도 있고 받침과 같은 어떤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Wherein either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is in contact with a user and receives a load; And the other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to transmit the load. The exterior may be a floor or a structure such as a b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샤프트(30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접촉부(110)에 연결(p)되고 상기 샤프트축받이(211)로부터 축받이되어, 상기 제1접촉부(110)의 좌우 회전축 및 상하 슬라이딩의 승하강축이 된다.One end of the shaft 300 is p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is supported by the shaft bearing 211 to be a right and left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a vertical axis of upward and downward sliding .

상기 스윙바(500)는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에 연결(p)된다.The swing bar 5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300.

상기 스윙가이드(400)는 그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힌지연결(hp)되고, 타단이 상기 스윙바(500)에 힌지연결(hp)된다. 상기 스윙가이드고정부가 별도로 구비되어서 여기에 힌지연결(hp)되더라도 메인프레임(200)에 힌지연결(hp)되는 것으로 본다.One end of the swing guide 400 is hinged to the main frame 200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wing bar 500. The swing guide fixing part is separately provided and hinge connection (hp) is applied to the main frame 200 even if the hinge connection is mad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접촉부(110) 또는 상기 제2접촉부(120)가 하사점(가장 낮은 위치)에서는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고 상사점(가장 높은 위치)에서는 회전 방향이 바뀌어서 역회전 하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continuously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lowest position)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changes at the top dead center (the highest position) .

더욱 구체적으로,More specifically,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축받이하는 샤프트를 회전(및 승하강)하도록 지지하거나 연결된 스윙가이드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측(210); 상기 지지축(210)에 걸히는 하중을 제2접촉부에 전달하는 전달측(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금속, 탄소섬유,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강한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된다.The main frame 200 includes: a supporting side 210 for supporting a load of a swing guide that supports or rotates a bearing shaft; And a transmission side 220 for transmitting a load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210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refore, it is designed to withstand a strong load by using materials such as metal, carbon fiber, and synthetic resin.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전후가 트인 액자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 외에 상자(box) 혹은 공(ball)처럼 폐쇄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에 의하면 수평인 지지측(210)과 수직인 전달측(220)이 세로로 만나서 한 몸체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목적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지지측(210)은 반드시 수평일 필요 없고, 상기 전달측(220)도 반드시 수직일 필요 없다.  The main frame 200 may take the form of a frame in the form of a back and forth grid as in the examples of FIGS. 1, 2, 5 and 6, and may take a closed form such as a box or a ball .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drawing, the horizontal supporting side 210 and the vertical transmitting side 220 meet vertically and are connected as one body. However, if the desired function can be achieved, the support 210 need not be horizontal, and the delivery side 220 is not necessarily vertical.

본 발명에서 세로로 만난다고 함은 수직(직교)로 만나거나, 교차하거나, 비스듬히 만나서 서로 평행하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meet vertically means to meet vertically (orthogonally), intersect, or obliquely meet and not parallel to each other.

메인프레임(200)의 도면 예시는 주로, 지지측(210)의 좌단에 좌 전달측(220)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측(210)의 우단에 우 전달측(220)의 상단이 연결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The illustration of the main frame 200 mainly shows that the upper end of the left transfer side 220 is connected to the left end of the support sid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transfer side 220 is connected to the right end of the support side 210 Giving.

하지만, 도 11의 D 및 E의 예시와 같은 형태도 가능한데, 도 11 D는 메인프레임의 전달측(220)이 수평으로 되어있고 그 끝에 제2접촉부(120)가 외부에 고정될 준비를 하고 있고, 도 11 E는 제2접촉부(120)가 오히려 윗 방향으로 되어서 외부에 고정될 준비를 하고 있다.However,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example of D and E of Fig. 11 is also possible. Fig. 11D shows that the transmission side 220 of the main frame is horizontal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is prepared to be fixed to the outside , FIG. 11E shows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is upwardly directed to be fixed to the outside.

또, 상기 전달측(220)은 좌우(혹은 전후) 구분없이 단 하나만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튼튼한 구조물의 형태를 취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livery side 220 can be provided with only one without separating left and right (or back and forth).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take the form of a stronger structure.

메인프레임(200)은 하중을 잘 견디도록, 도 11 C와 같이 피라미드 형태와 같은 것을 취할 수 있다. 또, 도 11 A의 예시와 같은 아치(arch)형태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지지측(210) 및 전달측(220)의 구분은 각자 기능에 의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도 마찬가지이다.The mainframe 200 may take the form of a pyramid shape as shown in FIG. 11C to withstand the load. 11A. In this ca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pporting side 210 and the transmitting side 220 depends on each function, and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the same.

또, 도 10 C의 예시는 메인프레임(200)의 지지측(210)을 수평으로 길게 연장하고 거기에 다수의 샤프트축받이(211); 스윙가이드(400); 등을 설치하여서 다수의 제1접촉부(110)를 구성하는 실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10C, the supporting side 210 of the main frame 200 is horizontally elongat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haft bearings 211; Swing guide 400;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110 are formed. This structure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도면에 예시된 전달측(220)과는 다른 형태를 취하지만 상기 지지측(210)을 지지하는 구성이라면, 상기 도면에 예시된 형태의 전달측(220)은 생략될 수도 있고 그 대신에 상기 지지하는 구성을 상기 전달측(220)의 일종으로 본다. 즉, 상기 전달측(220)은 상기 지지측(210)의 하중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구조, 구성이면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측(210) 및 전달측(220)은 처음부터 한 몸체로 생성되거나, 각자 따로 만들어진 후 연결(p)되도록 할 수 있다.
In a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delivery side 220 illustrated in the figures but supports the support side 210, the delivery side 220 of the type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omitted, The configuration is regarded as a kind of the transmission side 220. That is, the delivery side 220 may have a structure and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support side 210. The support side 210 and the transmission side 220 of the main frame may be formed as one body from the beginning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n connected (p).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있어서, 샤프트축받이(211)는 도 3 A의 예시처럼 상기 메인프레임(200) 몸체 상부 즉, 상기 지지측(210)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게 하거나, 별도로 부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 1 A, 도 2 B 및 도 4 B의 예시처럼 상기 샤프트축받이(211)에 샤프트(300)가 관통하도록 끼워진다. 이를 통하여 상기 샤프트(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시처럼 상기 제1접촉부(110)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 및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승하강축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In the main frame 200, the shaft bearing 211 may have a hole formed vertically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main frame 200, that is, the support side 210, as shown in FIG. 3A, Respectively. Then, as shown in FIGS. 1A, 2B, and 4B, the shaft 300 is inserted into the shaft bearing 211 through the shaft. 4 to 6, the shaft 300 serves as a rotation shaft for allow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to rotate left and right, and a raising and lowering shaft for allow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to slide up and down.

또 도 3 A의 예시처럼, 상기 지지측(210)에는 상기 샤프트축받이(211)를 가운데에 두고 그 양측으로 각각 스윙가이드(400)가 힌지연결(hp)로 고정된다. 상기 스윙가이드(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구비될 수 있지만, 전후측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3개를 한 조로 하여서 전후좌측 등의 형태가 가능하고 또 4개 이상을 한 조로 하여서 전후좌우 모든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윙가이드(400)는 3개를 한 조로 하는 경우에 삼각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메인프레임의 지지측(210) 역시 위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상 또는 별 형태를 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swing guide 400 is fixed to the support side 210 by a hinge connection hp at both sides of the shaft bearing 211 at the center. The swing guide 40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lternatively, three swing guides 400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left sides and four or more swing guides 400, . The swing guide 400 may be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when three sets are arranged, and the supporting side 210 of the main frame may have a triangular shape or a star shape as viewed from the upper plane.

또, 샤프트(300)에 대하여 스윙가이드(400)를 비스듬하게(평행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는 바. 도 11 B는 위쪽이 더 멀고 아래쪽이 더 가깝게, 도 11 C는 아래쪽이 더 멀고 위쪽이 더 가깝게 설치된 예시이다.In addition, the swing guide 400 can be installed obliquely (not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shaft 300. FIG. 11B i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side is farther away, the lower side is closer and FIG. 11C is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side is farther and the upper side is closer.

본 발명에서 힌지연결(hp)은 굴절 가능한 연결을 말하는데, 도 9 A처럼 핀을 통하거나; 도 9 B처럼 고리형태의 체결을 통하거나; 고무, 합성수지 등의 휨, 굴절이 가능한 부재로 된 조인트를 통하거나; 스피어조인트(sphere joint) 혹은 십자조인트(universal joint)를 통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connection (hp) refers to a refractable connection, such as through the pin as shown in Fig. 9A; As shown in Fig. 9B; A joint made of a member capable of bending or bending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Through a sphere joint or a universal joint; Can be achieved.

또한, 스윙가이드(400)의 부재 자체를 휨, 꺽임이 가능한 줄(string, wire)과 같은 것으로 선택하여서 상기 힌지연결(hp)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윙가이드(400)와 지지측(210)의 연결 혹은, 스윙가이드(400)와 스윙바(500)와의 연결은 굴절하지 않게 고정되어 부동(不動)하더라도, 상기 줄 자체가 휘면서 굴절하여 힌지의 역할을 대신 수행한다. 따라서 이 역시 본 발명의 힌지연결(hp) 범주에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ember of the swing guide 400 can be selected as a string or wire capable of bending and tilting, thereby performing the hinge connection hp. In this case, even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ng guide 400 and the support side 210,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ng guide 400 and the swing bar 500 is fixed so as not to bend, Instead, it acts as a hinge. Thus, this is also in the hinge connection (hp)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제1, 2접촉부(100: 110, 120) 중 사용자의 하중을 직접 받고 이를 지지할 쪽은, 사용자가 발을 딛고 올라서서 몸을 좌우로 틀면서 트위스트 및 점프운동 하거나, 의자 또는 의자의 좌판을 대용하여 엉덩이로 낄고 앉아 허리를 좌우로 돌리는 운동을 실시하기 알맞은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 가령, 평평한 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막대 등을 연결하거나 엮어서 평평하게 만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표면에는 미끄러짐을 예방할 부재를 덧댈 수 있고, 쿠션을 부여할 부드러운 부재를 덧댈 수도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2, 4 and 5,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100 (110, 120), which receives the user's load directly and supports it, Twisting and jumping while turning the body to the left or right, substituting the seat of a chair or a chair, putting it in a hip, and taking a proper shape to exercise the turning of the waist side to side. For example, it can take the form of a flat plate. Also, pipes, rods, etc. can be connected or weaved to make them flat. On its surface, a member for preventing slippage can be attached and a soft member for cushioning can be added.

특히, 의자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바닥에 앉아서 TV 등을 보는 때에 사용할 간이 의자도 가능하며 이때, 좌우 허리를 돌려서 운동을 겸하며 시청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의자 혹은 사무용 의자와 같은 일반 의자의 좌판에 얹어서도 사용 가능하다. 더하여, 상기 좌판을 뜯어내고 그 대신에 의자 프레임에 제1 또는 제2접촉부를 고정시키면 운동을 겸할 수 있는 체력단련 의자가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앉더라도 최초 앉는 지점이 하사점이므로, 운동을 원하지 않을 시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최초의 방향이 유지된다. 상기 고정은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조이거나, 별도의 체결 클렘프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기타 공지된 체결방법을 인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as a substitute for a chair, a simple chair to be used when sitting on the floor and watching TV or the like is also possible.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waist can be rotated to watch motion. It can also be placed on the seat of a common chair, such as a rotating chair or an office chair. In addition, i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are fixed to the chair frame instead of removing the seat, the chair can be used as a fitness training chair. Even if the user sits down, since the first sitting point is the bottom dead center,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exercise, the first direction specified by the user is maintained. The fixation can be accomplished by fastening with a fastening screw or fastening by fastening a separate fastening collar and other known fastening methods.

도 12 A 및 B의 도시는, 바와 같은 곳 사용되는 받침판(ch1); 좌판지지프레임(ch2); 좌판으로 이루어진 스탠딩의자(ch)의 형태에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적용하는 예시이다. 의자 좌판을 끼울 좌판고정부(ch3)에 상기 좌판을 대신하여 본 발명의 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도 10 D와 같이 상하를 뒤집은 형태의 제1접촉부(110)와 상기 좌판고정부(ch3)를 서로 끼워서 고정, 체결하는 실시를 예시한다. 한편, 도 1 또는 도 5 등과 같은 형태에서는 제2접촉부(120)의 저부를 상기 좌판고정부 또는 상기 좌판지지프레임(ch2) 상단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부착은 용접, 리벳팅 등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2접촉부(120)에 아래로 돌출하는 별도의 체결돌기와 같은 것을 형성하여 상기 좌판고정부(ch3)에 끼워 고정할 수도 있다.Figs. 12A and B show a base plate ch1 used as the base plate; A seat support frame ch2; And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rm of a standing chair (ch) made up of a seat. Th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lace of the above-mentioned seat plate in the seat board fixing section ch3 for fitting the seat back of the chair. As shown in Fig. 10D, the first contact section 110, An example in which they are sandwiched, fixed and fastened together is illustrated. 1, 5, and so on,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mounting portion or the seat support frame ch2. The attachment may be welding, riveting, or the like. Alternatively, a separate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may be formed and fixed to the left plate fixing portion ch3.

기본적으로, 상기 제1, 2접촉부(100: 110, 120) 중 외부에 하중을 전달할 쪽은, 바닥과 같은 외부에 놓이거나 고정되기 알맞은 형태를 취한다. 이때. 사용자와 접촉하는 쪽의 접촉부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를 뒤집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Basically, th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100 (110, 120) for transmitting a load to the outside takes a form suitable for being placed on or fixed to the outside such as a floor. At this time. It may take the same form as the contact portion on the side contacting the user. In this case, you can use upside down.

더하여, 야외에 고정된 체육시설에 적합하도록 도 10의 예시처럼, 제1접촉부(110) 또는 제2접촉부(120)는 바닥 특히 지면(ground)에 밖혀 고정될 수 있도록 말뚝 형태도 취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운동기구가 배치될 특정한 대상물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상을 맞추어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may take the form of a pile so as to be fixed to the floor, particularly to the ground, so as to be suitable for an outdoor sports facili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exerci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match the shape of a specific object to be placed.

샤프트(300)는 도 5 B의 예시처럼, 제1접촉부(110)가 좌우 수평 회전하고 상하 승강/하강할 수 있도록 회전축 및 승하강축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00)는 회전 가능한 회전축의 형태를 취하며 동시에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승하강축의 형태로 제공된다.As shown in FIG. 5B, the shaft 300 serves as a rotating shaft and a lifting / lowering shaft so that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110 horizontally rotates left and right and can move up and down. Therefore, the shaft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tatable rotary shaft and in the form of a vertical descent shaft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simultaneously.

도 1의 A1 및 B1; 도 2 B; 도 3 B; 도 4 B; 도 6;의 예시처럼, 상기 샤프트(30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접촉부(110)의 평평한 몸체에 대하여 세로로, 수직 고정되도록 연결된다.A1 and B1 in Fig. 1; 2B; 3B; 4B; 6, the shaft 300 is connect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fixed to the flat body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s shown in FIG.

한편, 역으로 도 1의 실시와 같은 경우에는 제1접촉부(110)가 밑에 놓여서 바닥에 접촉하므로, 제2접촉부(120)가 위에 놓여서 사용자와 접촉하면서 회전 및 승하강 하게 된다. 단지, 상하를 뒤집어서 제1,2 접촉부의 접촉하는 대상만 서로 바뀌므로, 이 경우의 실시도 본 발명의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시킨다.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since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s placed on the bottom and contacts the flo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is placed on the top and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while contacting the user. However, since only the objects to be contact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are turned upside down, the embodiment of this case is included in the sam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1 및 B1; 도 2 B; 도 3의 B 및 C; 도 4 내지 도 6;의 예시에서, 스윙바(500)는 마치 그네의 발판과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충분한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제공되며 막대(또는 봉) 형상을 취한다. 상기 샤프트(300)와의 연결(p)은 상기 스윙바(500)의 가로방향 중간에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을 세로(혹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p)하여 고정한다.A1 and B1 in Fig. 1; 2B; B and C in Fig. 3; In the example of FIGS. 4-6, the swing bar 50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withstand a sufficient load, taking the shape of a rod (or rod), since it is similar to a swing of a swing. The connection p with the shaft 300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haf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by p connecting the swing bar 5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도 9 D의 예시처럼, 상기 스윙바(500)가 어느정도 탄성력이 있어 휨이 가능한 부재로 만들어지면 최고 하중이 걸리는 하사점(가장 낮은 위치)에서 탄성 쿠션으로 낙하충격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스윙바(500)는 금속, 고무뭉치, 합성수지 등의 부재로 된 막대, 봉 혹은 판스프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9D, when the swing bar 500 is made of a member that is somewhat resilient and capable of being bent, the drop impact can be reduced by the elastic cushion at the bottom dead center (lowest position) where the highest load is applied. That is, the swing bar 500 may take the form of a bar, rod, or plate spring made of a metal, a rubber bundle,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 세로 연결이라 함은, 직각된(수직) 연결은 물론, 둔각 및 예각의 비스듬한 연결을 포함한다. 상기 ‘비스듬한’이란 서로 평행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비스듬한 연결은 그 경사에 의한 운동궤적이 특유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상 재미를 가하거나; 사용자 필요에 의한 주문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longitudinal connection " includes a rectangular (vertical) connection as well as an obtuse angle and an acute angle. The 'oblique' means that the oblique connection is not parallel to each other. The oblique connection may have a specific trajectory of movement due to its inclination. Thus, it may be fun to exercise; According to user-specific order; It can be produced.

또, 본 발명에서 연결(p)은, 각각 따로 만들어진 후 용접, 나사(또는 리벳팅), 끼움 등을 통하여 하나로 고정되거나, 절삭; 금형; 다이캐스팅; 주물; 등을 통하여 처음부터 하나로 만들어져 있는 상태의 것을 말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s (p) are separately formed and then fixed together by welding, screw (or riveting), fitting, or the like; mold; Die casting; fetish; It is a state of being made from the beginning through one's back.

도 1의 A1 및 B1; 도 2 B; 도 3의 A 및 C; 도 4 내지 도 6;의 예시에서, 스윙가이드(400)는, 그 상하 양단이 각각 지지측(210) 및 스윙바(500)에 고정되어 굴절될 수 있도록 힌지연결(hp) 된다. 상기 스윙가이드(400)는 봉, 막대 등의 부재가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스윙가이드(400)는 스트링(string), 와이어(wire)와 같은 줄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줄 자체가 휠 수 있으므로 상기 힌지연결(hp)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별도의 굴절 가능한 힌지(hinge) 구성을 마련하지 않고 고정하더라도 이를 힌지연결(hp)로 보기로 한다.A1 and B1 in Fig. 1; 2B; 3 A and C; 4 to 6, the swing guide 400 is hinged (hp) so that its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support side 210 and the swing bar 500 and can be refracted. The swing guide 400 may be a member such as a rod or a rod. However, the swing guide 400 may be provided as a string or a wire. In this case, the swing guide 400 may replace the function of the hinge connection hp. Therefore, even if a separate refracting hinge structure is not provided, it is regarded as a hinge connection (hp).

도 9 C의 예시처럼, 하사점에서 쿠션(cushion) 능력을 갖기 위하여 어느정도 탄성 신축할 수 있는 인장스프링이 스윙가이드(400)로 제공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에는 스판기능의 소재나, 고무, 코일스프링 등이 있다. 상기 쿠션의 탄성력은 상기 스윙가이드(400)가 하사점에 도달할 때에 사용자가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그 에너지를 비축하여 다시 점프하여 뛰어 오르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의 역할은 상기 스윙바(500)의 쿠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9C, a tension spring may be provided in the swing guide 400, which may be somewhat elastically stretchable to have a cushioning capability at the bottom dead center. Tension springs are made of spun material, rubber, and coil springs. The elastic force of the cushion can help to reduce the impact the user receives when the swing guide 40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reserve the energy, and jump and jump again. This elastic force also plays a role in the cushion of the swing bar 500.

상기 탄성력과 관련해서 탄성 스프링(s)을 추가할 수 있으며 도 8의 여러 예시와 같은 것이 가능하다. 도 8 A는 메인프레임의 지지측(210)과 스윙바(500)를 인장 스프링(s)으로 연결하여서 인장탄성력을 이용하며; 도 8 B는 스윙바(500)와 제2접촉부(120)를 압축 스프링(s)으로 연결하여서 압축탄성력을 이용하고; 도 8 C는 제2접촉부(120)에 고무볼 스프링(s)과 같은 충격흡수용 부재를 부착하여서 하사점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의 예시이다.
It is possible to add the elastic spring s with respect to the elastic force,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same as the various examples of Fig. FIG. 8A illustrates the use of a tension spring to connect the support side 210 of the main frame and the swing bar 500 with a tension spring s; FIG.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s) is used to connect the swing bar 50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with a compression spring (s); 8C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shock absorbing member such as a rubber ball spring s is attach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to absorb impact at the bottom dead center.

본 발명의 기구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에서,Referring to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of Figs. 5 to 7,

사용자가 몸을 틀면서 도 5 B처럼 제1접촉부(110)를 좌우로 회전(spin)시키면, 상기 제1접촉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샤프트(300)의 하단에 구비된 스윙바(500)가 함께 좌우로 회전하고, 상기 스윙바(500)의 좌우측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의 지지측(210)에 고정되는 스윙가이드(400) 좌우측 한 쌍이 서로 엇갈리게 비틀리면서 도 5 B 및 도 6 B의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지지측(210)과 상기 스윙바(500)의 수직 거리는 좁혀진다. 즉, 도 6 A의 거리(d1)에서 도 6 B의 거리(d2)가 되면서 상기 샤프트(300)가 상기 제1접촉부(110)를 위로 밀어내어 상기 회전(spin)에 연동하여 상기 제1접촉부(110)가 상승(up)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rotates the body, the swing bar 5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300,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 pair of right and left swing guides 400 that are fixed to the support side 210 of the main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wing bar 500 are twisted to each other to be in a state of FIG. 5B and FIG. 6B At this time, the perpendicular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side 210 and the swing bar 500 is narrowed. 6B, the shaft 300 pushes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upward,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n other words, the distance d2 of FIG. (110) rises up.

이와 같은 원리를 따라서 도 7 도시의 동작과 같이, 처음 도 7 A의 하사점(down max) 상태에서; 가압되는 회전(spin 1)에 의해 도 7 B와 같이 상승한 후 도 7 C와 같은 상사점(up max)에 도달하고; 도 7 D와 같이 회전방향이 역전되어 반대방향 회전(spin 2)하면서 다시 처음의 도 7 A의 하사점(down max) 상태로 되돌아 간다.In accordance with this principle, as in the operation shown in Fig. 7, in the state of downmax (down max) of Fig. 7A, 7B by a rotation (spin 1) being pressed and reaches a top point as shown in FIG. 7C; The rotation direction is reversed as shown in FIG. 7D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spin 2), and the state is returned to the bottom point (down max) of FIG. 7A.

즉, 상기 제1접촉부(또는 제2접촉부)가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가는 제1행정과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되돌아가는 제2행정으로 이루어진 1사이클을 반복하면서 트위스트 및 점프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twist and jumping motions are repeated while repeating one cycle including the first stroke in which the first contact portion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moves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and the second stroke in which the first contact portion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return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제1접촉부(110); 제2접촉부(120); 메인프레임(200); 샤프트(300); 스윙가이드(400); 스윙바(500);A first contact portion 110; A second contact portion 120; A main frame 200; A shaft 300; Swing guide 400; A swing bar 500;

Claims (3)

사용자가 점프 및 회전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기구에 있어서,
메인프레임; 접촉부; 샤프트; 스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
In a mechanism in which a user can perform a jump and rotational motion,
Mainframe; Contact; shaft; And a swing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샤프트가 축받이되어 좌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fram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스윙가이드가 굴절 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wing guide is hingab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KR1020130100722A 2013-08-23 2013-08-23 Jumping Twister KR101552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722A KR101552285B1 (en) 2013-08-23 2013-08-23 Jumping Twi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722A KR101552285B1 (en) 2013-08-23 2013-08-23 Jumping Twi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529A true KR20140078529A (en) 2014-06-25
KR101552285B1 KR101552285B1 (en) 2015-09-15

Family

ID=5113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722A KR101552285B1 (en) 2013-08-23 2013-08-23 Jumping Twi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285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014B1 (en) 2005-06-15 2006-09-20 백경일 Twist and hopping exercise machine
KR100786976B1 (en) 2007-03-12 2007-12-17 백경일 Twist and hopping exercis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285B1 (en)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76B1 (en) Twist and hopping exercise machine
TWI259099B (en) Training machine
GB2538123A (en) Rowing machine
CN101108274A (en) Static pedaling fitness apparatus with lateral swinging
US8936533B2 (en) Trampoline with dual spring elements
CN101987059A (en) Exercise machine for strengthening a waist muscle
US20050070403A1 (en) Balanced type stepper
US20070287602A1 (en) Training apparatus simulating skiing
AU2014268288A1 (en) Cushion trampoline
KR20130116531A (en) Folding multipurpose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KR101552285B1 (en) Jumping Twister
KR20150111597A (en) Inertia Trampoline
US8834326B1 (en) Apparatus for bi-directional torso exercise movements
KR200437499Y1 (en) Multi-riding seesaw
KR20150111598A (en) Trampoline
KR200475333Y1 (en) A trampolin
US20080096741A1 (en) Ab spinner abdominal exerciser
KR20150003624U (en) Extension Means For Trampoline
KR101416968B1 (en) Trampoline and jump exercise apparatus using the same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CN202015449U (en) Dancing machine
CN202983058U (en) Exercise equipment structure
KR20130045114A (en) A exercising machine like a sky walking
CN110215652B (en) Combined sports equipment
CN112023329B (en) Aerobics exercises jump tr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