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227A -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227A
KR20140078227A KR1020120147353A KR20120147353A KR20140078227A KR 20140078227 A KR20140078227 A KR 20140078227A KR 1020120147353 A KR1020120147353 A KR 1020120147353A KR 20120147353 A KR20120147353 A KR 20120147353A KR 20140078227 A KR20140078227 A KR 2014007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evaluator
evaluation
vocatio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효덕
Original Assignee
문효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효덕 filed Critical 문효덕
Priority to KR102012014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227A/ko
Publication of KR2014007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06Q50/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클래스마다 준비되는 복수의 평가자 단말기, 평가자 단말기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평가자 단말기의 입력 사항을 전달받으면 일정 프로그램에 의해 즉각적으로 처리하여 직업적성 평가 결과를 도출시키고 체험자 정보 등 중앙 정보를 평가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서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업체험 클래스를 갖춘 직업체험관의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직업적성 평가가 인터넷이나 오프라인에서 서류에 의해 질문과 응답을 하는 등으로 직업적성을 평가하던 것에 비해 직업체험관에서 생생한 체험을 하게 되며, 평가자도 현실에서 체험자의 직접적인 체험 상황을 눈으로 보고 느끼면서 현장이 아니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다양한 직업적성 요소를 즉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적성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estimation system for vocational aptitude}
본 발명은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직업체험관과 결합된 집중식 정보 입력 및 즉시적 처리를 통한 직업적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직업에 관하여 알아가는 방법으로는 책, 신문, 잡지 또는 TV 매체를 통한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들은 일방적인 직업의 설명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직업에 대해 알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직업 체험을 위해 영업소를 찾아서 직접 현업을 경험한다는 것은 영업소의 영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와, 교육적인 체험을 위한 곳이 아니고 영업이 우선되므로 적절한 형태의 교육적 체험을 하기 어렵다는 양측 모두에서의 단점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체험 환경을 제공할 영업소를 찾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게 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영업소와 비슷한 직업 현장을 설치하고 장래의 희망 직업을 체험할 수 있는 현장체험 학습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직업체험 학습장도 실질적인 직업체험이 이루어지기보다는 해당 직업 관련 단편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직업체험을 통해 체험자의 그 직업에 대한 적성이나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여 체험자가 장래 직업에 대한 관심과 선택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단편적인 설문조사나 적성검사를 통하는 것 외에 즉각적인 직업 적성의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워 해당 직업 체험의 느낌과 그에 대한 평가를 체험자가 체감적으로 연관시키는 데 문제가 있고, 결국 직업 체험의 결과를 체험자가 효과적으로 느끼고 판단하기가 어렵다.
분명히 현장에서만 평가될 수 있는 직업적성 항목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소수의 평가자가 단기간에 다수 인원의 직업체험 평가를 하는 것은 어렵고, 그 순간이 지나면 기억에 의존하여 평가를 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워진다.
이상의 문제점을 고려할 때 직업 현장 체험장의 직업 적성 평가를 위해서는 체험 및 평가 시간을 늘리고 평가자의 전문성을 높이고 체험자의 숫자를 줄이는 기본적인 노력과 함께 주어진 상황에서 최대한 즉각적으로 현장 평가가 이루어지고 기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115583호 등록특허 제10-1170997호
본 발명은 기존의 직업체험관에서의 직업 적성 평가의 문제점을 경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업체험을 하면서 체험자의 직업적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업체험을 하면서 사용자의 직업적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중앙집중식 온라인 입력, 처리를 통해 즉시로 체험자의 직업적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체험을 마친 사용자가 시간지연의 불편과 체험감의 저하 없이 그 체험을 완료하는 시점에서 바로 직업적성 평가 결과를 받고, 확인할 수 있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직업체험 클래스를 갖춘 직업체험관의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클래스마다 준비되는 복수의 평가자 단말기, 단말기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평가자 단말기의 입력 사항을 전달받으면 일정 프로그램에 의해 즉각적으로 처리하여 직업적성 평가 결과를 도출시키고 체험자 정보 등 중앙 정보를 평가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평가자 단말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서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평가자 단말기는 중앙 처리 서버의 정보를 받아 체험자를 등록시킬 수 있고, 등록된 체험자가 신청한 클래스에서의 평가항목을 나타내고, 이들 평가항목에 연결되는 입력가능한 해당란에 평가항목에 대한 점수란 혹은 평가란이 포함되고, 평가란에는 디지탈화된 숫자나 간단한 상용어구 선택이나, 전자펜에 의한 필기 입력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평가자 단말기는 평가란에 평가를 기입할 수 있도록 체험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이런 수단으로는 체험자의 외관에 부착된 광학코드와 평가자 단말기 혹은 그 부속장치의 광학코드 인식기, 체험자에게 부착된 RFID 테그 등의 인식용 집적회로칩과 평가자 단말기 혹은 그 부속장치의 리더(reader)기, 평가자 단말기의 터치패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체험자도 자신의 인적사항과 연관된 체험자 단말기를 구비하거나 혹은 평가자의 단말기를 통해 자신도 평가나 문답에 참여하여 그 정보가 중앙의 서버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체험관에서 체험자가 신청한 해당 회차의 클래스가 종료되면 다음 클래스를 위한 쉬는 시간 혹은 이동 시간 동안 평가자는 체험자에 대한 부가적 점수 부여나 코멘트를 할 수 있고, 다음 클래스가 시작되는 시간에 맞추어 서버는 체험자가 해당 체험에서 얻은 평가항목별 평가나 점수를 종합하여 보고서를 준비할 수도 있다.
체험자가 신청한 클래스를 마치고 접수창구에서 자신의 체험에 대한 직업적성 평가를 요청하면 이미 중앙 서버에 정리된 평가지를 프린트하여 직접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요청이 없어도 미리 등록된 체험자나 그 부모나, 학교와 같은 소속기관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이메일로 통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직업적성 평가가 인터넷이나 오프라인에서 서류에 의해 질문과 응답을 하는 등으로 직업적성을 평가하던 것에 비해 직업체험관에서 생생한 체험을 하게 되며, 평가자도 현실에서 체험자의 직접적인 체험 상황을 눈으로 보고 느끼면서 현장이 아니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다양한 직업적성 요소를 즉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현실적인 적성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업체험이 이루어지면서 시간 지연이나 기다림이 없이 직업체험 클래스를 종료하는 즉시로 직업적성 평가 결과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 체험자가 보다 공감할 수 있고, 자신의 직업적성을 인식하는 데에 보다 현실적인 평가를 받아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직업체험이 단순한 경험 쌓기에서 벗어나 체험자가 보다 적절히 자신의 직업 적성을 알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직업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으로도 체험자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 및 직장을 구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구직과 구인의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도 있고, 적성에 맞는 분야에서 체험자의 노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노동의 가치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1은 본 발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개념도.
도2는 본 발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평가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한 직업적성 평가 보고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4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중요 단계들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직업체험관(100)에는 복수의 직업체험장(120)이 있고, 각 직업체험장(120)마다 직업체험을 위한 클래스가 준비된다. 각각의 직업체험 클래스는 연령 레벨별로 서브 클래스로 더 세분되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직업체험관 전체를 통괄하는 콘트롤 타워로서 직업체험관 관리본부(110)가 설치된다.
각 직업체험장(120)에는 단말기(121)가 준비되고, 관리본부(110)에는 중앙 처리 서버(111)가 설치된다. 단말기(121)와 중앙 처리 서버(111)는 유선 혹은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통합 운영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121)와 중앙 처리 서버(111)는 서로 연관되어 동작될 수 있다.
직업체험장(120)에서 체험자에 대해 이루어진 평가는 단말기(121)와 중앙 처리 서버(111)의 상호작용에 의해 직업적성 평가가 이루어진 보고서가 직업체험장(120) 외부 주체인 체험자(학생:201)나 다른 지정된 자(학부모:202, 학교: 203)에게 이메일이나 서류로서 전달된다.
이하에서 서브 클래스를 고려하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직업체험 클래스를 갖춘 직업체험관은 본 발명의 전제가 된다. 직업 체험관은 직업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분된 공간 내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클래스들을 복수 개 가지고 있다. 각 클래스에는 직업체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 평가하는 평가자가 적어도 한 사람, 바람직하게는 두 명 이상 배치되며, 각 평가자에게는 평가자 단말기가 준비된다.
평가자 단말기는 중앙의 서버 컴퓨터와 랜(LAN)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물론 다른 형태의 통신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참가자는 직업체험관에서 체험, 평가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기본 정보를 등록해야 하며 구별을 위한 인식정보를 담은 인식수단을 받아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이 인식수단(광학코드, 인식칩, 이름표)을 지참하게 된다.
중앙 처리 서버인 컴퓨터는 접수 과정에서 이미 획득한 평가 대상자인 체험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받아 체험자 리스트에 올리고, 신청한 클래스의 종류 및 회차에 배당한다. 즉, 체험자는 체험자가 신청한 클래스에 따라 분류된다. 복수 클래스를 신청할 경우, 제1 클래스에 참가하여 완료되기까지는 제1 클래스가 되고, 차후 순서에 따라 해당 클래스가 된다. 즉, 클래스에 속하는 시간 구분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개별 참가자와 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에 대응하는 인식정보(광학코드 정보, 인식칩 정보, 이름 문자)를 연관시킬 수 있고, 중앙의 서버 컴퓨터는 개별 참가자와 인식수단 대응 인식정보를 그 체험자가 신청하여 배당된 클래스의 평가자의 단말기 즉 단말컴퓨터로 전송한다. 복수 클래스 신청시에는 클래스 순서가 정해지고, 해당 시간에 해당 회차의 클래스에 속한 참가자의 리스트가 서버 컴퓨터에서 평가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단말컴퓨터에는 해당 클래스의 해당 회차에 배정된 복수의 참가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게 되며, 단말컴퓨터는 인식수단 대응 인식정보를 받으면 단말컴퓨터 내의 인식장치나 평가자의 인식력에 의해 참가자를 식별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단말컴퓨터 및 서버는 스프레드 시트와 같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전용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란에 평가를 기입할 수 있도록 세팅되며, 체험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이런 선택 수단으로는 체험자의 외관에 부착된 광학코드에 대응되어 평가자 단말기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혹은 그 부속장치를 이루는 광학코드 인식기, 체험자에게 부착된 RFID 테그 등의 인식용 집적회로칩에 대응되어 평가자 단말기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혹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부속장치를 이루는 RFID 리더(reader)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식수단이 단순히 이름표라면 평가자가 그 이름을 직접 인식하여 평가자 단말기의 리스트 상에서 그 이름을 발견하여 선택하고, 이름에 연관된 해당란에 평가 점수나 문구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평가자 단말기인 단말컴퓨터는 터치패드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자 단말기(1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평가자가 인식장치로 특정 체험자를 선택하였을 때 화면상에 체험자인 학생의 고유 번호(No)와 평가항목인 기본지식, 열의도, 이해력, 창의력, 발달가능성과, 각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를 기재할 수 있는 평가란으로서 등급(Level)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아울러, 표시 스크린에는 평가자인 체험교사 번호(No)와 해당 클래스인 체험교실 구분이 나타나 있다. 물론 이런 표시화면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평가항목은 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항목이 될 수 있고, 개념적 추상적이기보다는 보다 조작적이고 구체적 상황적으로 설정되는 평가항목이 될 수 있다.
클래스는 직업별로 나뉘어 운영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동일한 직업에 대한 것이라도 체험자의 연령이나 수준에 따라 세분되어 등급별로 운영될 수 있다.,
평가자로는 클래스마다 두 사람을 배치하여 평가를 할 수 있다. 평가는 각각 다른 항목을 평가할 수도 있고, 같은 항목을 복수의 사람이 관찰하고 평가하여 보다 객관성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평가자는 교육, 교습 측면에서 보다 전문성을 가진 사람, 예를 들면 교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과 직업에 대한 전문지식 및 경험 측면에서 보다 전문성을 가진 사람, 예를 들면 해당 직업분야 자격증을 가지거나 기능을 인정받은 사람이 평가를 하도록 할 수 있다.
각 클래스는 체험자의 해당 직업에 대한 기본지식, 열의도, 이해력, 창의력, 발달가능성 등을 평가항목으로 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직업적성 평가를 위해 본 발명에서 직업체험은 순수한 체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전적으로 혹은 사후적으로 기본적인 지식 강습과정 및 필기 테스트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현장 직업체험도 상황마다 체험자 그룹에서 일부가 번갈아가면서 추출되어 상황모델로서 역할을 하면서 다른 체험자가 이를 상황극으로 현장 체험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체험 과정을 진행하여 가면서 각 클래스에서 평가자가 인식 장치를 조작하여 단말컴퓨터 상에서 체험자가 선택되면 선택한 상태에서는 평가란이 나타나서 해당 체험자에 대해 평가항목에 대한 수치화된 점수나 문언적 평가를 하여 단말컴퓨터 내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문언적 평가는 비정형적으로 평가자가 입력할 수도 있지만 전형적인 평가문구를 복수 개 준비하고 이들 가운데 선택하여 평가란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평가란의 입력에는 평가의 근거가 된 체험자가 한 행동이나 문구를 평가 근거로 함께 기재할 수도 있다.
평가는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체험자에 대해 반드시 하도록 한 기본 평가와 수시 평가를 반영하여 최종적 평가 결과가 얻어지고, 이 결과에는 평가자의 전체적인 평가 문언 기재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평가는 체험자에 의해서도 일부 이루어질 수 있다. 체험자 평가는 자신에 대한 평가, 다른 체험자에 대한 평가, 직업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평가는 미리 준비된 질문에 대한 답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런 체험자에 의한 평가를 위해 체험자에게도 자신의 인식정보와 연관된 체험자 단말기를 구비하게 하고 체험자 자신도 평가나 문답에 참여하여 그 입력 정보가 중앙의 서버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평가나 문답의 질문은 중앙 처리 서버나 평가자 단말기에서 체험자 단말기에 연동되어 주어지는 것이거나, 체험자 단말기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그 답이나 평가는 체험자에 의해 입력된 후 중앙 처리 서버로 전달되어 직업적성 평가에 반영될 수 있다.
평가자 단말기나 체험자 단말기는 터치패드스크린을 사용하는 태블릿 컴퓨터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슬레이트 PC, PDA, 스마트폰과 같이 입력수단과 표시수단, 서버와의 데이타 통신수단을 갖춘 기기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평가자 단말기나 체험자 단말기에 입력된 정보는 정보입력과 동시에 혹은 정해진 주기마다 중앙의 서버 컴퓨터에 입력되어 서버 컴퓨터 정보를 수정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서버 컴퓨터의 정보를 받아올 수도 있어서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체험관에서 체험자가 신청한 해당 회차의 클래스가 종료되면 다음 클래스를 위한 쉬는 시간 혹은 이동 시간 동안 평가자는 체험자에 대한 부가적 점수 부여나 코멘트를 할 수 있다. 평가자 단말기에서 평가자가 체험 프로그램의 해당 클래스의 종료를 입력하면 종료 입력 당시의 평가 내용이 중앙의 서버 컴퓨터에 다시 입력되면서 입력이 종료되고, 이미 입력된 자료를 바탕으로 서버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정보처리가 이루어져, 가령 다음 클래스가 시작되는 시간에 맞추어, 서버는 체험자가 해당 클래스 체험에서 얻은 평가항목별 평가나 점수를 종합하여 보고서를 완성할 수 있다. 보고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3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나 그래프를 포함하는 형태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누적된 통계나, 함께 클래스를 체험한 다른 체험자를 비교대상으로 포함하여 결과 보고서를 작성할 수도 있다.
평가자 단말기 등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자에 대한 평가는 클래스가 종료하면 중앙 처리 서버에서 종합되어 보고서로 작성되고, 서면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등록된 상기 체험자나 지정된 자의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이메일로 통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자가 신청한 클래스를 마치고 접수창구에서 자신의 체험에 대한 직업적성 평가를 요청하면 이미 중앙 서버에 정리된 평가 보고서를 프린트하여 직접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요청이 없어도 접수 단계에서 미리 등록된 체험자나 그 부모나, 학교와 같은 소속기관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이메일로 통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직업적성 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정리하면 평가 과정은 도4의 흐름도와 같은 기본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평가 과정은 체험자의 신청 및 중앙 처리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기본 정보 입력 단계(S10), 각 체험자에 대한 인식수단 교부 및 중앙 처리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말기로의 인식정보 전송 단계(S20), 단말기에서 구체적 평가로서 점수나 문자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자에 대한 구체적 직업적성 평가 단계(S30), 단말기에 입력된 평가정보를 단말기가 중앙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평가 정보 전송단계(S40), 중앙 처리 서버에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평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하는 직업적성 평가 보고서 작성 단계(S50), 중앙 처리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보고서 교부, 전송 단계(S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해 상기된 실시예만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의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직업체험관 110: 직업체험장
111: 단말기 120: 관리본부
121: 중앙 처리 서버 201: 학생
202: 학부모 203: 학교

Claims (5)

  1. 복수의 직업체험 클래스를 갖춘 직업체험관의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마다 준비되는 복수의 평가자 단말기,
    상기 평가자 단말기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평가자 단말기의 입력 사항을 전달받아 일정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여 직업적성 평가 결과를 즉각적으로 도출시키고, 체험자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중앙 정보를 상기 평가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서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자 단말기는 상기 중앙 처리 서버의 정보를 받아 체험자를 표시할 수 있고, 소속된 클래스에서의 평가항목에 대한 상기 체험자별 평가란을 표시하여 상기 평가란에 점수나 문자로 이루어진 평가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입력의 편의를 위해 상기 평가자 단말기는 터치패드스크린을 채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자 단말기는 체험자를 인식하고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체험자에게 부착되거나 지참되는 광학코드나 RFID 테그에 대응하여 광학코드 인식기나 RFID 리더(reader)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자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상기 체험자 자신의 인적사항과 연관된 인식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서버나 상기 평가자 단말기에서 주어지는 질문이나 내장되어 있는 질문에 대해 상기 체험자가 평가나 문답에 참여하도록 하는 체험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자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자에 대한 평가는 상기 클래스가 종료하면 상기 중앙 처리 서버에서 즉각적으로 종합되어 보고서로 작성되고,
    서면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등록된 상기 체험자나 지정된 자의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이메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KR1020120147353A 2012-12-17 2012-12-17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KR20140078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53A KR20140078227A (ko) 2012-12-17 2012-12-17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53A KR20140078227A (ko) 2012-12-17 2012-12-17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27A true KR20140078227A (ko) 2014-06-25

Family

ID=5112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53A KR20140078227A (ko) 2012-12-17 2012-12-17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2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55B1 (ko) * 2017-02-20 2018-07-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환가능역량 요인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78981A (ko) * 2019-12-19 2021-06-29 (주)사람인에이치알 내준적 인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55B1 (ko) * 2017-02-20 2018-07-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환가능역량 요인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78981A (ko) * 2019-12-19 2021-06-29 (주)사람인에이치알 내준적 인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lmaç Students' Opinions about the Distance Education to Art and Design Courses in the Pandemic Process.
Accurso et al. SFL praxis in US teacher education: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Liu et al. CALL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How a teacher perceives affordance and fosters learner agency in a technology-mediated language classroom
Newhouse STEM the boredom: Engage students in the Australian curriculum using IC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Blake et al. Toward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ccess for Deaf people
Fedorov The Contemporary Mass Media Education in Russia: In Search for New Theoretical Conceptions and Models
Netland et al. Teaching operations management with virtual reality: Bringing the factory to the students
O’Malley et al. “What Do You Do All Day?!” Navigating the Challenges of School Leadership as an Early Career Principal
Nuttall et al. Policy rhetorics and responsibilization in the form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Leaders in Australia
Ramachandran et al. Incorporating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in science: Lessons learned from an undergraduate seminar
KR20140078227A (ko) 직업적성 평가 시스템
Crumpton et al. Handbook for community college librarians
Papavasiliou et al. Providing assistive ICT lear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a personalised mobile application
KR20090002136A (ko)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평가 및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aufmann et al. Ethical challenges of researching emergent socio-material-technological phenomena: insights from an interdisciplinary mixed-methods project using mobile eye-tracking
Boakye Architecture Design Software: A Qualitative Study of Adult Learners’ Experiences
Wahyurini Dramatistic User Experience Design: The Usability Testing of an e-Government System in a Non-Western Setting
Chundur Digital justice: Reflections on a community-based research project
Marcus et al. The learning machine: mobile UX design that combines information design with persuasion design
Massey An examination of principal technology proficiency as it relates to leadership styles
KR101641067B1 (ko)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방과후수업 강사양성 시스템
Joshi et al. FMDB Transactions on Sustainable Techno Learning
Öhrstedt et al. Studying online with special needs: A student perspective
Bignoli et al. 145 ACADEMIC LIBRARY WORKERS IN CONVERSATION Status in academic libraries
Khalaf Digital Awareness for ESL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