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014A -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014A
KR20140078014A KR1020120145832A KR20120145832A KR20140078014A KR 20140078014 A KR20140078014 A KR 20140078014A KR 1020120145832 A KR1020120145832 A KR 1020120145832A KR 20120145832 A KR20120145832 A KR 20120145832A KR 20140078014 A KR20140078014 A KR 2014007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roadcast program
broadcast
broadcasting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242B1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12014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2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품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방송 시에, 상기 상품 정보들을 제공하여 판매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은, 상기 방송 편성표와 동기화된 쇼핑앱 편성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생방송 또는 재방송으로 방송되는 경우, 상기 쇼핑앱 편성표에 따라, 상기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노출된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 열람이 가능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방송 또는 재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의해 미리 촬영된 상품 광고용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용 이미지 확인 후, 상기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METHOD FOR SELLING A PRODUCT WITH A BROADCAST PROGRAM}
본 발명은 상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노출된 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품 판매 방법은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졌으나, 각종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확인한 사용자는 전화주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품을 판매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별도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세트장처럼 꾸며진 가상의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클릭하여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상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 다른 일예로서,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중에, 방송 프로그램 속의 상품을 직접 리모콘이나 마우스 등의 커서를 통해 클릭하여,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생방송 시청 중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품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방송 시에, 상기 상품 정보들을 제공하여 판매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은, 방송 시스템에 의해 방송될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될 상품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표와 동기화된 쇼핑앱 편성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생방송 또는 재방송으로 방송되는 경우, 상기 쇼핑앱 편성표에 따라, 상기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노출된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 열람이 가능한 메뉴를,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쇼핑앱을 통해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황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방송 또는 재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방송 시스템별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별로, 상기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순으로, 상기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들의 인기순으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황별로,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의해 미리 촬영된 상품 광고용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용 이미지 확인 후, 상기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품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방송 시에, 상기 상품 정보들을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제공하여 판매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들을 제공하여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적용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핑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에 적용되는 스마트폰의 일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실행되는 경우에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메뉴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중 결제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적용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핑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적용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마, 영화, 코메디, 스포츠 등과 같은 다양한 장르의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시스템(40),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송되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20),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방송 단말기(3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송되고 있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이용하는 스마트폰(1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방송 시스템(40)은 KBS 또는 MBC 등과 같은 공중파 방송사에 의해 관리되는 시스템은 물론, 다양한 케이블 방송을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사에 의해 관리되는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시스템(40)은 다양한 종류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는 드라마가 될 수 있으나, 영화, 코메디, 스포츠, 뉴스, 교양, 다큐, 광고 등과 같은 다양한 장르가 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쇼핑몰(20)은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서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은 다양한 상품들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고, 상품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 상품을 판매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들에는, 의류, 악세서리, 가구, 연회장, 스포츠 용품, 여행상품, 뉴스자료(통계자료, 일기예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은 상기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 형태로 구성되어,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들을 제공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쇼핑몰(20)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자와의 업무협약에 의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될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방송 시에, 상기 상품정보들을 상기 스마트폰(10)의 앱을 통해 제공하여 판매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업무협약이 있어야만 본 발명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상기 쇼핑몰(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 시스템(4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1), 상기 쇼핑몰의 관리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들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3), 상기 상품정보들과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요청된 판매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저장부(24), 각종 모니터링 정보들을 출력하기위한 출력부(25)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24)에서는, 상기 상품들의 상품정보, 상기 상품들의 상품이미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방송 컨텐츠,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의 회원이력, 상기 사용자들의 구매이력, 상기 사용자들의 결제이력 및 배송정보들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20)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방송 시스템(40)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들의 편성표를 상기 방송 시스템(40)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편성표 동기화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통해 노출되는 상품들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망들을 관리하기 위한 상품공급망 관리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해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관리부,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의 적법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버 및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할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서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성표는, 상기 방송 시스템(40)과 연동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4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나,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20)의 관리자는, 상기 방송 시스템(40)이 제공하는 편성표를 참조하여, 직접 상기 편성표 동기화부에 상기 편성표를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 편성표와 동기화된 쇼핑앱 편성표는 자동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으나, 수동적인 방법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동기화란, 상기 쇼핑몰(20)이, 상기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편성표에 맞게, 자체적으로 편성표를 관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상기 방송 단말기(30)는 상기 방송 시스템(4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들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텔레비전(TV)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쇼핑몰(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특히, 음성통신은 물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 및 앱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쇼핑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은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PC), 테블릿PC 등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폰(10)을 이용해 본 발명이 제공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개인용 컴퓨터로 쇼핑몰에 접속하여 서도 본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실행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에 적용되는 스마트폰(10)의 일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이 실행되는 경우에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메뉴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중 결제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1. 설정 단계 >
우선, 본 발명의 실행에 앞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본 발명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을 설치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10)을 통해 각종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쇼핑몰(20)에 접속하여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에 적용되는 쇼핑앱을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상기한 바와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앱스토어는 상기 쇼핑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으로서, 앱스토어는 쇼핑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App)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쇼핑앱을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앱스토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의 준말로 이용되는 용어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휴대폰에 탑재되는 일정관리, 주소록, 알람, 계산기, 게임, 동영상, 인터넷접속, 음악재생, 내비게이션, 워드, 액셀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앱'이라 함)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한편, 도 3은 상기 스마트폰(10)에 상기 쇼핑앱(11)이 인스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쇼핑앱(11)이 실행되면,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쇼핑몰(10)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10)의 관리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될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저장부(24)를 통해 관리한다.
다음, 상기 방송 시스템(40)은 방송 편성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방송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시스템(40)은 상기 방송 편송표를 상기 스마트폰(10)에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방송 편성표를 수신한 후, 상기 방송 편성표와 동기화된 쇼핑앱 편성표를 저장한다.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쇼핑앱 편성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되면, 상기 스마트폰(10)에서 상기 쇼핑앱(11)을 실행시킨다.
< 2. 생방송 또는 재방송 중 상품 정보 제공 >
상기 쇼핑앱(11)이 실행되면,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쇼핑앱(11)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메뉴들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들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일예들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뉴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시청율 1위 내지 4위 방송사 및 각종 방송사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영화를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및 최고 인기상품들을 열람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방송사의 최고 인기상품을 열람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프로모션 상품을 열람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편성표에 따른 프로그램을 열람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특정 드라마를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 및 방송 프로그램을 회차 별로 검색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던 사용자는, 상기 세부메뉴항목들 중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을 직접 찾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생방송으로 출력되는 동안,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쇼핑앱 편성표에 따라, 상기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 열람이 가능한 메뉴를, 상기 스마트폰의 쇼핑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쇼핑앱을 통해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폰은, 현재 생방송으로 방송되고 있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황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의해 미리 촬영된 상품 광고용 이미지들을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부메뉴항목들 이외에도, 상기 메뉴에는, 도 4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세부메뉴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 3. 생방송 또는 재방송 중 상품 정보 제공 >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생방송 또는 재방송으로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방송 시스템별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별로, 상기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순으로, 또는 상기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들의 인기순으로, 상기 상품정보 열람이 가능한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이 생방송 또는 재방송으로 방송되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생방송 또는 재방송이 종료된 이후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추가적인 세부메뉴들을 이용하여 시스템별, 장르별, 시청률순, 인기순 등으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품들을 검색할 수 있다.
< 4. 구매 요청시 광고용 이미지 제공 >
사용자는, 상기 생방송 또는 재방송을 시청하면서, 또는 상기 생방송 또는 재방송의 시청을 마친 후, 상기한 바와 같은 메뉴들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의해 미리 촬영된 상품 광고용 이미지들은, 사용자가 상기한 바와 같은 세부메뉴항목들을 통해 구매할 상품을 검색한 후, 구매를 요청한 경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가 많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최종 선택단계에서 구매를 취소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를 요청한 경우, 구매 요청된 상품과 관련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의해 미리 촬영된 상품 광고용 이미지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구매를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즉, 상품 구매에 대해 100% 확신을 가지지 못했던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구매 요청이 수신된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상품 광고용 이미지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구매 및 결제 확인 버튼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 5. 결제 >
마지막으로, 상기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매절차를 실행한다.
즉, 상기 쇼핑몰(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한 후, 카드, 모바일, 현금 또는 무통장 입금으로 결제를 선택하면(S502), 해당 수단을 통해 입금이 확인되었는지를 확인한다(S504).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쇼핑몰(20)의 관리자는 상기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배송하며(S506),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배송 여부를 확인한다(S508).
상기 상품을 배송받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상품에 하자가 있거나 또는 상품 의사를 철회하고자 하는 경우(S510)에는 상기 쇼핑몰로 반품의사를 밝힌 후 상기 상품을 반품시킨다(S512).
상기 상품을 배송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하면(S514), 상기 결제금액의 일부가 최종적으로 상기 상품을 공급한 공급자에게 이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제 방식은, 결제금액을 플랫폼 사업자(쇼핑몰 관리자)가 보관 후, 사용자가 물품 구매를 확정할 때, 상기 플랫폼 사업자(쇼핑몰 관리자)가 상기 상품을 공급한 공급자에게 대금을 지급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안심하고 상기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쇼핑몰(20)의 관리자는, 방송사 시스템과 방송 프로그램 제작 이전에, 사용될 상품 기획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사전에 결정된 상품을 상품DB(저장부(44))에 등록하며, 생방송과 동시에, 등록된 상기 상품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시청하면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품 기획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제작진과 반드시 공동으로 추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간단한 몇 번의 매뉴 클릭으로, 구매가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도, 시청에 방해를 받지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상품을 보다 쉽고 신속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세부메뉴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쇼핑앱 상의 편성표상 프로그램 세부메뉴항목을 클릭하면, 출연한 배우(또는 특정 상황)를 중심으로 카테고리를 구성하여 배우(또는 상황) 카테고리 안에 리스트업 되어 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넝쿨당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을 클릭하면, 다양한 출연배우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이 상기 쇼핑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특정 출연배우(예를 들어, 귀남이)를 클릭하면, 상기 출연배우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세부항목메뉴들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들 중에서 특정 상품(예를 들어, 귀남이 자켓)을 선택하면, 상기 쇼핑앱은 상기 귀남이 자켓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상품 정보를 열람한 후 구매를 원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매절차에 따라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넝쿨당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메뉴항목을 클릭한 후, 상기 사용자가 또 다른 특정 출연배우(예를 들어, 귀남이 엄마)를 선택하면, 상기 출연배우가 방문한 다양한 상점들에 대한 세부메뉴항목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연배우(귀남이 엄마)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 상에서, 생일 연회에 참석한 경우, 상기 세부메뉴항목에는 '귀남이 엄마 생일 연회'라는 세부메뉴항목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귀남이 엄마 생일 연회'라는 세부메뉴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연회가 이루어진 연회장소에 대한 정보가 상기 쇼핑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과 같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연회장소에 대한 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연회장소를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구매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상기 연회장소를 예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20)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 속 배우의 스틸컷(드라마의 한장면)이 아닌, 임의로 제작된 다양한 광고용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쇼핑몰(20)의 관리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자 및 배우의 동의하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될 의상 등을 착용한 후, 별도의 광고용 이미지를 제작하여 이를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획득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도 자신이 시청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들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즉, 정보 획득력이 뛰어난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속에 등장한 배우들이 들고 나오는 물건 등의 출처를 쉽게 파악하여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획득력이 뛰어나지 못한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해당 방송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고 싶어도, 어디서 구매해야 하는지를 몰라 구매를 못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쇼핑몰(20)의 관리자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자 등과 미리 협약을 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이 착용하거나 들고 나오는 상품들을 미리 파악하고 준비함으로써,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중에, 사용자가 상기 상품을 바로 파악하여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업무협약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등장인물이 소지한 특정 상품을 발견한 후,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상기 상품을 검색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상기 상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단말기(30)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쇼핑몰(20)에 접속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 이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상기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쇼핑몰(20)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마트폰 20 : 쇼핑몰
30 : 방송 단말기 40 : 방송 시스템

Claims (3)

  1. 방송 시스템에 의해 방송될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될 상품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표와 동기화된 쇼핑앱 편성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생방송 또는 재방송으로 방송되는 경우, 상기 쇼핑앱 편성표에 따라, 상기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노출된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 열람이 가능한 메뉴를,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쇼핑앱을 통해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황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방송 또는 재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방송 시스템별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별로, 상기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순으로, 상기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들의 인기순으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황별로,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별로, 상기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세부메뉴항목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쇼핑앱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의해 미리 촬영된 상품 광고용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용 이미지 확인 후, 상기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들에는, 의류, 악세서리, 가구, 연회장, 스포츠 용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를, 카드, 모바일, 현금 또는 무통장 입금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수행한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단을 통해 결제금액이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을 배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된 상품에 대한 반품이 없으면, 상기 결제금액 중 일부를 상기 상품을 공급한 공급자에게 이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KR1020120145832A 2012-12-13 2012-12-13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KR10143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32A KR101432242B1 (ko) 2012-12-13 2012-12-13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32A KR101432242B1 (ko) 2012-12-13 2012-12-13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14A true KR20140078014A (ko) 2014-06-25
KR101432242B1 KR101432242B1 (ko) 2014-08-22

Family

ID=5112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32A KR101432242B1 (ko) 2012-12-13 2012-12-13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6974A (zh) * 2018-01-18 2018-07-06 上海店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商品分发系统及方法
CN110033349A (zh) * 2019-03-28 2019-07-19 上海兴路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购物交互系统
KR20220036168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간접 광고 제품 리타게팅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69B1 (ko) 2000-05-22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와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JP4603126B2 (ja) 2000-05-23 2010-1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商品提供システムおよび商品提供方法
KR20060119452A (ko) * 2005-05-20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구매 방법 및 상품구매시스템
KR20080106378A (ko) * 2007-02-27 2008-12-05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데이터 방송에서의 연관상품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6974A (zh) * 2018-01-18 2018-07-06 上海店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商品分发系统及方法
CN110033349A (zh) * 2019-03-28 2019-07-19 上海兴路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购物交互系统
KR20220036168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간접 광고 제품 리타게팅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242B1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8665B2 (en) User commentary systems and methods
US20230081175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moting items related to programming content
KR20130108673A (ko) 로컬 인벤토리를 탐색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의 이용
US20130198002A1 (en) Method and process of using meta-data associated with a digital media to advertise local inventory based upon view gps location
US201302053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arketing using conventional scene / timing metadata-embedded video
US8726316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goods and services shown in television and movies
KR101432242B1 (ko)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US20140012666A1 (en) Transferring digital media rights in social network environment
US20130085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selling of products appearing on a display
US107215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media and targeted content
KR20140013258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간접광고 물품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U2017200755A1 (en) User commentary systems and methods
AU2015230867A1 (en) User commentary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