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415A -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415A
KR20140077415A KR1020120146214A KR20120146214A KR20140077415A KR 20140077415 A KR20140077415 A KR 20140077415A KR 1020120146214 A KR1020120146214 A KR 1020120146214A KR 20120146214 A KR20120146214 A KR 20120146214A KR 20140077415 A KR20140077415 A KR 2014007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ntrol unit
light
sig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일
Original Assignee
손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일 filed Critical 손성일
Priority to KR102012014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415A/ko
Publication of KR2014007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는,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장실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1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적외선 센서;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영역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로부터 외부로 진출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전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ESTROOM LIGHT}
본 발명은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과 같이 사람이 일정한 주기 없이 랜덤하게 출입하는 장소의 전등 점등 및 소등을 사람의 출입여부나 내부에 위치하는 사람의 존재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자동으로 전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기술은 근거리 무선통신, 센서, 소형 컴퓨팅 객체로 이루어지며, 기술적 특성은 근거리무선통신, 자율성, 이동성(Networking + Smart + Mobility = Calm Services)이다. 최종적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캄서비스에 의하여 없는 듯 조용하게 리얼 컴퓨팅 서비스를 인간이 의식하지 않게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는 존재할 수 있지만,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은 없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기술이 아니고 IT의 비전이며 IT가 창출할 미래의 서비스 개념이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사용자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검색하기를 강요하는 기존의 컴퓨터와 달리 컴퓨터 스스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은 전통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의 상호작용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사용자를 둘러싸는 주변 공간으로 컴퓨터 파워를 이동시키려는 시도이다.
유비쿼터스 서비스 특성은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능적 명령인식과 상황인식 서비스가 가능하다. 동시에 근거리무선통신과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통신기능을 통하여 단말중심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서비스와 소형 내장형의 특성으로 이동서비스도 가능하다. 따라서 지능적 명령인식, 상황인식, 위치인식 등의 자율형 서비스 및 다양한 통신 그리고 단말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 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통해 화장실과 같이 사람이 일정한 주기 없이 랜덤하게 출입하는 장소의 전등 점등 및 소등을 사람의 출입여부나 내부에 위치하는 사람의 존재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자동으로 전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실과 같이 사람이 일정한 주기 없이 랜덤하게 출입하는 장소의 전등 점등 및 소등을 사람의 출입여부나 내부에 위치하는 사람의 존재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자동으로 전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는,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장실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1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적외선 센서;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영역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로부터 외부로 진출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전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양의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의 카운팅을 수행하며, 상기 양의 카운팅 값 및 상기 음의 카운팅 값을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인원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점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인원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아무도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소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상기 제1 적외선 센서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외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1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외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적외선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상기 제2 적외선 센서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1 내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2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내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적외선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상기 제1 수광부 및 상기 제2 수광부는 상기 전등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적외선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제2 적외선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각각 상기 전등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에 따르면, 랜덤하고 빈번한 출입이 이루어지는 화장실 전등의 점등과 소등을 사용자의 내부 위치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장실 전등을 직접 점등하거나 소등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불이 켜지거나 꺼짐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공공 화장실 등에서 우려되는 병균의 전염 등 위생 문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가 화장실에 설치된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는 제1 적외선 센서(110, 111), 제2 적외선 센서(120, 121), 및 전등 제어부(130)을 포함한다. 제1 적외선 센서(110, 111)는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장실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1 신호를 발생한다. 제1 적외선 센서(110, 111)는 제1 발광부(110) 및 제1 수광부(111)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10)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외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1 적외선을 발광한다. 제1 수광부(111)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외부 사이드에 설치되는 제1 발광부(110)로부터 발광되는 상기 제1 적외선을 수광한다. 예를 들어, 제1 발광부(110)는 화장실 출입문의 일면 바깥쪽 영역에 설치되고, 제1 수광부(111)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다른면 바깥쪽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10)와 제1 수광부(111)는 적외선의 전파경로 상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2 적외선 센서(120, 121)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영역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로부터 외부로 진출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2 신호를 발생한다. 제2 적외선 센서(120, 121)는 제2 발광부(120) 및 제2 수광부(121)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20)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1 내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2 적외선을 발광한다. 제2 수광부(121)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내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2 발광부(120)로부터 발광되는 상기 제2 적외선을 수광한다. 예를 들어, 제2 발광부(120)는 화장실 출입문의 일면 안쪽 영역에 설치되고, 제2 수광부(121)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다른면 안쪽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발광부(120)와 제2 수광부(121)는 적외선의 전파경로 상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적외선 센서(110, 111)과 제2 적외선 센서(120, 121)가 화장실 출입문의 바깥쪽과 안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사람이 바깥쪽에서 화장실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적외선 센서의 제1 발광부(110)로부터 발광되는 적외선 신호를 제1 수광부(111)가 상기 인체로 인해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제1 수광부(111)는 이러한 경우 제1 신호를 전등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수광부(121)도 이러한 경우 제2 신호를 전등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수광부(111) 및 제2 수광부(121)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등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제1 수광부(111) 및 제2 수광부(121)와 전등 제어부(130)는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IrDA)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RF 모듈 및 UWB(Ultra Wide Band)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전등 제어부(130)는 화장실 내부 전등 스위치(140)와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등 제어부(130)는 전등 스위치(140)의 일부 구성으로 설치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등 스위치(130)는 제1 적외선 센서(110, 111)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 신호와 제2 적외선 센서(120, 121)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화장실 내부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화장실 내부 전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전등 제어부(130)는 제1 수광부(111)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2 수광부(121)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람이 화장실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수광부(111)가 먼저 상기 제1 적외선을 수광하지 못하게 되고 바로 이어서 제2 수광부(121)가 상기 제2 적외선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등 제어부(130)는 사람이 화장실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장실 내부 전등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전등 제어부(130)는 제2 수광부(121)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1 수광부(111)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람이 화장실로부터 진출하는 경우, 제2 수광부(121)가 먼저 상기 제2 적외선을 수광하지 못하게 되고 바로 이어서 제1 수광부(111)가 상기 제1 적외선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등 제어부(130)는 사람이 화장실로부터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장실 내부 전등의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등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양의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의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전등 제어부(130)는 상기 양의 카운팅 값 및 상기 음의 카운팅 값을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등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인원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점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등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인원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아무도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소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등 제어부(130)는 제1 적외선 센서와 제2 적외선 센서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정보 이외에도 상기 인원정보의 생성을 통해 화장실 내부에 사람이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전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1 발광부 111: 제1 수광부
120: 제2 발광부 121: 제2 수광부
130: 전등 제어부 140: 전등 스위치
150: 전등

Claims (7)

  1.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장실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1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적외선 센서;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영역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로부터 외부로 진출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2 신호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전등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양의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선정된 시간 내에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의 카운팅을 수행하며, 상기 양의 카운팅 값 및 상기 음의 카운팅 값을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인원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점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인원정보를 통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아무도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 전등이 소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외선 센서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1 외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1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외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적외선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외선 센서는,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1 내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제2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화장실 출입문의 제2 내부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적외선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부 및 상기 제2 수광부는 상기 전등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적외선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제2 적외선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상기 전등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KR1020120146214A 2012-12-14 2012-12-14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KR20140077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14A KR20140077415A (ko) 2012-12-14 2012-12-14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14A KR20140077415A (ko) 2012-12-14 2012-12-14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15A true KR20140077415A (ko) 2014-06-24

Family

ID=5112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214A KR20140077415A (ko) 2012-12-14 2012-12-14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4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41040A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KR20170044419A (ko)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장치 및 방법
KR20060125619A (ko) 동체 진출입 방향 인식장치
JP6369786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照明装置
WO2016142223A1 (en) Presence request via light adjustment
CN108961656A (zh) 一种具有可见光通信系统的应急灯设备及其控制方法
US10932349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commissioning using lighting control system sensors
CN105423251A (zh) 一种可自动照明的智能灯具
JP4811312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及びワイヤレス受信器
KR20140077415A (ko) 화장실 전등 제어장치
TWM442562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alarm device
JP541600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受信器
US20230044169A1 (en) Lighting apparatus with microwave induction
KR2003000992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JP4995607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
KR20220044174A (ko)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및 상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150088005A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JP2001223091A (ja) 照明制御装置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KR20190017091A (ko) 카운트 센서를 이용하는 순차 자동제어 조명 시스템
KR20180123603A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led 조명 시스템
KR101883398B1 (ko) 조명 기구
WO2019188421A1 (ja) 音響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47346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931797B1 (ko)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