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959A -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959A
KR20140075959A KR1020120143780A KR20120143780A KR20140075959A KR 20140075959 A KR20140075959 A KR 20140075959A KR 1020120143780 A KR1020120143780 A KR 1020120143780A KR 20120143780 A KR20120143780 A KR 20120143780A KR 20140075959 A KR20140075959 A KR 2014007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signal
return
mai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4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959A/ko
Publication of KR2014007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4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in circuits having distributed constants, e.g. having very long conductors or involving high frequencies
    • G01R27/06Measuring reflection coefficients; Measuring standing-wave rat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이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메인 신호와,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되돌아오는 리턴 신호를 수신한다. 메인 신호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고, 리턴 신호에서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고,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와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한 후, 차이 값을 토대로 반사 계수를 계산한다.

Description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SWR measurement}
본 발명은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출력 증폭기를 사용한다. 고출력 증폭기는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켜 통화 품질 개선에 기여한다. 그러나, 시스템 출력을 높이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으며, 출력이 높아질수록 시스템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공중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출력이 높다고 해도 공중선 손실이 많으면, 실제 안테나에 방사되는 출력되는 출력도 그만큼 낮아지게 되고, 이는 서비스 커버리지의 감소와 함께 투자비 상승을 가져온다. 따라서, 공중선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열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중선계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시스템은,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메인 신호와, 상기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되돌아오는 리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메인 신호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는 제1 기준 신호 추출부; 상기 리턴 신호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는 제2 기준 신호 추출부;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가 계산한 차이 값을 토대로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 신호 추출부와 상기 제2 기준 신호 추출부는 각각,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리턴 신호를 디지털 메인 신호와 디지털 리턴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상기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디지털 리턴 신호를 복수의 병렬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복수의 병렬 리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기; 상기 직병렬 변환기에서 출력한 복수의 병렬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복수의 병렬 디지털 리턴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변환된 디지털 리턴 신호를 출력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메인 신호에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리턴 신호에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기준 신호 추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신호는 상기 안테나에 인접한 또 다른 안테나에서 발생한 상기 안테나의 리턴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리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이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메인 신호와, 상기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되돌아오는 리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신호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고, 상기 리턴 신호에서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 값을 토대로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크기를 구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리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직렬의 메인 신호 또는 리턴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병렬 신호로 변환된 메인 신호 또는 리턴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채널별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메인 신호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리턴 신호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공중선계의 반사 계수 계산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공중선계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사계수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공중선계의 주파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추출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 측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배치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사계수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연산기(11), 무선 신호 탐지기(12) 및 커플러(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반사계수를 측정한다.
즉, 최종 출력단에 양방향 커플러(13)를 연결하여 반사 신호(FWD 신호)와 수신 신호(REV)를 감지한 후, 무선 신호 탐지기(12)에서 이들 신호를 탐지한다. 그리고 연산기(11)에서 두 신호를 연산하여 반사계수를 구한다.
이렇게 일반적인 시스템(10)은 수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해 2개의 공중선계를 가진다.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수신 다이버시티 뿐만 아니라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동작을 위해 2개 이상의 공중선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공중선계의 주파수 구성은 다음 도 2와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공중선계의 주파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LTE 이전의 시스템은 각각의 공중선계의 주파수가 다르거나 하나의 공중선계에서만 출력이 방출되었기 때문에, 반사계수 측정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LTE는 공중선계의 출력 주파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반사계수를 측정할 때 잡음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공중선계에서 측정된 리턴 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공중선계의 신호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공중선계와 다른 공중선계 신호가 합쳐져서, 오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TE에서 MIMO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반사계수를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연산부(110), 신호 추출부(120) 및 커플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산부(110)와 신호 추출부(120)를 포함하여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100)이라 지칭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해 2개의 공중선계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어느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안테나가 위치해 있는 최종 출력단에 양방향 커플러(1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커플러(130)와 연결된 신호 추출부(120)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신호(이하, '메인 신호'라 지칭함)와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이하, '리턴 신호'라 지칭함)를 감지한 후, 이들 신호에서 각각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각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계산한다.
여기서, 메인 신호는 신호 추출부(120)를 거친 후 커플러(130)의 순방향 포트로 입력되어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고, 리턴 신호는 커플러(130)의 역방향 포트로 입력되어 신호 추출부(120)로 입력된다. 이때, 안테나의 연결 상태가 나쁠 경우 메인 신호의 전력 크기보다 리턴 신호의 전력 크기가 클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연결 상태가 나빠 다른 안테나의 리턴 신호가 자기 리턴 신호에 섞여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산부(110)는 신호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두 개의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연산하여 반사계수를 구한다.
여기서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10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100)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100)은 신호 추출부(120) 및 연산부(110)를 포함하고, 신호 추출부(120)는 신호 수신부(121),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 비교부(124)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21)는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메인 신호와,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반사되어 커플러(130)를 통해 되돌아오는 리턴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는 신호 수신부(121)가 수신한 신호 중 메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신호(이하, '제1 기준 신호'라 지칭함)를 추출하고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확인한다.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는 신호 수신부(121)가 수신한 신호 중 리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신호(이하, '제2 기준 신호'라 지칭함)를 추출하고,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확인한다.
이때 메인 신호 및 리턴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100) 앞단에 연결된 시스템(도면 미 도시)에서 FFT(Fast Fourier Transform, 고속 푸리에 변환)가 수행된 신호이다. 메인 신호와 리턴 신호가 아날로그 형태의 FFT된 신호임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방법이나 FFT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비교부(124)는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가 추출한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와,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가 추출한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 값과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 값의 차이 값을 출력한다.
연산부(110)는 비교부(124)가 출력한 차이 값을 토대로 반사계수를 연산한다. 연산부(110)가 전력 크기 값의 차이 값을 통해 반사계수를 연산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100)에서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 및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의 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를 예로 하여 설명하며,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도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추출부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추출부(122)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22-1), 직병렬 변환기(122-2),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122-3) 및 기준 신호 추출기(122-4)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22-1)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직병렬 변환기(122-2)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22-1)를 거쳐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하나의 직렬 신호를 복수의 병렬로 변환하여 병렬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122-3)는 복수의 병렬 디지털 신호에 각각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역고속 푸리에 변환)를 수행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를 분리한다.
기준 신호 추출기(122-4)는 IFFT가 수행된 복수의 병렬 디지털 신호에서 각각 기준 신호를 추출한다. 이때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기준 신호 등 여러 채널의 신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 신호 추출기(122-4)는 반사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 신호만을 추출하여 비교부(124)로 출력한다.
그리고, 기준 신호 추출기(122-4)는 추출한 두 개의 기준 신호에 대한 각각의 전력 크기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기준 신호 추출기(122-4)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시스템을 통해 반사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계수 측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신부(121)는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메인 신호와 안테나로 출력되지 않고 반송되는 리턴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S100, S110).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는 신호 수신부(121)가 수신한 메인 신호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1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는 신호 수신부(121)가 수신한 리턴 신호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을 계산한다(S120). 기준 신호는 항상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구비된 시스템에서는 안테나별로 기준 신호의 위치가 항상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반사 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안테나가 두 개인 경우의 기준 신호의 배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배치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가 두 개인 경우의 기준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각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100)은 자신의 안테나에서 사용하는 기준 신호 심볼의 위치를 파악하고,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LTE 신호는 수백 개의 캐리어 주파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신호간에는 항상 직교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직교성에 의해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설명을 이어하면, S120 단계에서 제1 기준 신호 추출부(122)와 제2 기준 신호 추출부(123)가 각각 제1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과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을 각각 계산하면, 비교부(124)는 두 개의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값을 받아 전력 값의 차를 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MIMO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므로, 안테나의 연결 상태가 나쁠 경우 리턴 신호에는 인접한 다른 안테나의 리턴 신호가 섞여 들어올 수 있다.
즉, 도 7의 포트가 0인 안테나에 연결된 시스템에서 반사 계수를 구할 때, 안테나의 연결이 불량할 경우 포트가 1인 안테나의 리턴 신호가 포트가 0인 안테나로 유입되어, 자신의 리턴 신호와 함께 섞여 신호 수신부(121)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되는 리턴 신호는 자신의 공중선계와 다른 공중선계에서 발생한 리턴 신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해 두 개의 공중선계를 가지는 경우, 두 개의 공중선계에서 사용하는 주파수가 동일하고 자신의 공중선계의 안테나의 연결이 불량할 경우 다른 공중선계에서 발생한 리턴 신호가 유입된 것이다. 따라서, 비교부(124)는 두 개의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값을 받아 전력 값의 차를 계산한다(S130). 그리고 연산부(110)는 S130 단계에서 계산한 전력 값의 차를 토대로 해당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한다(S14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메인 신호와, 상기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되돌아오는 리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메인 신호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는 제1 기준 신호 추출부;
    상기 리턴 신호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는 제2 기준 신호 추출부;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가 계산한 차이 값을 토대로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 추출부와 상기 제2 기준 신호 추출부는 각각,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리턴 신호를 디지털 메인 신호와 디지털 리턴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상기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디지털 리턴 신호를 복수의 병렬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복수의 병렬 리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기;
    상기 직병렬 변환기에서 출력한 복수의 병렬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복수의 병렬 디지털 리턴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털 메인 신호 또는 변환된 디지털 리턴 신호를 출력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메인 신호에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리턴 신호에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기준 신호 추출기
    를 포함하는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신호는 상기 안테나에 인접한 또 다른 안테나에서 발생한 상기 안테나의 리턴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리턴 신호를 포함하는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
  4. 반사 계수 측정 시스템이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메인 신호와, 상기 메인 신호 중 일부가 되돌아오는 리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신호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고, 상기 리턴 신호에서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전력 크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 값을 토대로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사 계수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크기를 구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메인 신호 또는 상기 리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직렬의 메인 신호 또는 리턴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병렬 신호로 변환된 메인 신호 또는 리턴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채널별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메인 신호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리턴 신호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사 계수 측정 방법.
KR1020120143780A 2012-12-11 2012-12-11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5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80A KR20140075959A (ko) 2012-12-11 2012-12-11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80A KR20140075959A (ko) 2012-12-11 2012-12-11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959A true KR20140075959A (ko) 2014-06-20

Family

ID=5112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780A KR20140075959A (ko) 2012-12-11 2012-12-11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6308B2 (en) 2018-01-3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flection coefficient of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6308B2 (en) 2018-01-3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flection coefficient of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5845B2 (en)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EP3114781B1 (en) Antenna array self-calibration
US8175028B2 (en) Isolation measurement and self-oscillation prevention in TDD-OFDM repeater for wireless broadband distribution to shadowed areas
US84473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uffering scheme for OTDOA based location positioning
US10122476B2 (en) Radio unit with internal parallel antenna calibration
US9277508B2 (en)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transmit power
US20190349048A1 (en) Antenna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718713A (zh) 用于天线校准的方法和装置
JP2010206357A (ja) 無線送受信装置
AU2015201926B2 (en) Configuring Signal Boosters
US10820215B2 (en)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14519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radio frequency device monitoring
EP3396911B1 (en) Main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same
JP2017532550A (ja) 端末機器測位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20200005473A (ko) 중계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465245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WO2015158221A1 (zh) 一种合路器、基站、信号合路系统及信号传输方法
US20180219715A1 (en) Head-end device and method of recovering synchronization detection error using the same
US201801389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roadban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
US9571184B2 (en) Digital unit,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102164109B (zh) 下行频偏补偿方法及用于进行下行频偏补偿的直放站
KR20140075959A (ko) 반사계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9792303B (zh) 确定来自多个天线的总辐射功率的方法和无线电网络节点
US98389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ime delay fine-tuning UTP femto distribution and relay
WO2020227926A1 (en) Radio network node with automatic gain control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