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400A -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400A
KR20140075400A KR1020120143697A KR20120143697A KR20140075400A KR 20140075400 A KR20140075400 A KR 20140075400A KR 1020120143697 A KR1020120143697 A KR 1020120143697A KR 20120143697 A KR20120143697 A KR 20120143697A KR 20140075400 A KR20140075400 A KR 2014007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reference value
sensor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상
박윤경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400A/ko
Publication of KR2014007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 상기 각각의 센서의 감지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센서마다의 감지 신호에 대한 제 1 기준치를 계산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각 센서마다의 제 1 기준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모델링하기 위한 제 2 기준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기준치에서 벗어나는 상기 생체 및 상기 운동 정보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에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A SMART AGENT SYSTEM FOR MODELING UESR’S PSYCHOLOGICAL ANOMALIES BASED UPON USER’S BIO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심리 측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환경의 발전에 따라 원격진료(telemedicine)가 나타났다. 또한, 정보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보급을 통하여, 사람들은 병원을 꼭 방문 해야하는 것이 아닌,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 상태 및 심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체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격진료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Ubiquitous Healthcare)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을 겪지 않으면서 생체 및 운동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체크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은 측정된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모듈이나 응용 프로그램들을 대부분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저장하고,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서버 시설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규모 시설의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미리 설정해놓은 기준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일상 생활에서 수시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정확한 판단을 수행할 수 없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은 사용자의 시계, 반지, 팔찌, 또는 패드 등과 같은 물건에 적용되어 동작하기 위해, 소형화된 크기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화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고, 스마트 에이전트 방식이 구현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심리 상태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보내줄 수 있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 상기 각각의 센서의 감지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센서마다의 감지 신호에 대한 제 1 기준치를 계산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각 센서마다의 제 1 기준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모델링하기 위한 제 2 기준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기준치에서 벗어나는 상기 생체 및 상기 운동 정보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에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생체 및 심리 상태에 대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갑작스런 생체 및 운동 정보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고 신호는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 경찰, 및 사전에 지정된 주위 지인들에게도 경고 신호가 전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위험 상황에 대해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변의 도움을 빠른 시간 내에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과,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한다. 복수의 센서들 각각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거나 분석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이처럼,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직접 저장하거나 분석하지 않음으로써, 구동에 필요한 전력 사용량을 보다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센서들은 소형화된 크기로 제작되어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시계, 팔찌, 및 반지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물건 등에 구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심리 상태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 및 주변 지인들에게 경고 신호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200)의 종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차량에 탑재되는 셋탑 박스 또는 사용자가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 혹은 접촉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일부란,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심전도 센서(110), 온도 센서(120), 습도 센서(130), 가속도 센서(140), 무선 송신부(150), 전원 공급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다른 종류의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심전도 센서(110)는 심장의 수축, 이완에 따른 활동 전위를 감지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심리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주요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심전도 센서(110)는 신체에 접촉되어야 감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체에 닿는 부분의 전기전도도가 좋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온도 센서(120)는 신체의 체온을 일정 주기로 감지하고, 감지된 체온의 변화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하나의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
습도 센서(130)는 자율신경계 변화에 따른 땀샘의 활동 상황을 감지한다. 다시 말해, 습도 센서(130)는 땀샘 분비에 따른 사용자의 발한 정도를 감지하여, 심리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0)는 사용자의 운동 방향 또는 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140)는 사용자의 걸음걸이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보조적인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150)는 각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무선 통신 규격에 맞춰 모바일 단말기(200)에 구비된 무선 수신부(210)로 전송한다. 무선 송신부(150)와 무선 수신부(210)는 서로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Wifi-Direct 및 IEEE 802.11 계열의 Wi-Fi 등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에 필요한 모든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다시 말해, 전원 공급부(160)는 제어부(170)의 동작에 응답하여 각 센서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170)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자세하게, 제어부(170)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부(160)가 각 센서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각 센서들의 동작 여부를 항상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각 센서로부터 감지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무선 송신부(15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의 무선 수신부(210)로 전송되는 과정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2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무선 수신부(210), 메모리부(220), 표시부(230), 및 스마트 에이전트(240)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210)는 각 센서로부터 감지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무선 송신부(150)를 통해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210)는 무선 송신부(150)와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며, 수신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
메모리부(220)는 무선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20)는 스마트 에이전트(240)가 사용자의 심리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에 따른 정보를 저장한다.
표시부(230)는 알람 생성부(245)를 통해 수신된 경고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표시부(23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심리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로써,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에이전트(240)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에 따른 생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심리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마트 에이전트(240)는 생체 정보화부(241), 정보 저장부(242), 정보 분석부(243),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 알람 생성부(245)를 포함한다.
생체 정보화부(241)는 무선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한다. 다시 말해, 생체 정보화부(241)는 무선 수신부(210)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다양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각각 데이터로 생성한다. 그리고 생체 정보화부(241)는 생성된 데이터를 정보 저장부(242)로 전달한다. 여기서 일정한 시간 간격이란,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사전에 정해진 초, 분, 혹은 시간 단위에 따라 각각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화부(241)는 1년의 기간 동안 각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저장하여 정보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1년의 기간 동안 각 시간 단위에 따라 측정된 자신의 생체 및 운동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정 기간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기간 동안 생체 및 운동 정보의 데이터를 계속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42)는 생체 정보화부(241)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보 저장부(242)는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정보 분석부(243)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 저장부(242)는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로부터 분석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변화에 따른 결과를 메모리부(2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 분석부(243)는 정보 저장부(242)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정보 분석부(243)는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시간 단위에 따른 사용자의 평균적인 생체 및 운동 정보 수치를 분석한다. 그리고 정보 분석부(243)는 분석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수치를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243)는 각 시간 단위에 따른 각 센서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분석부(243)는 분석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통해 각 시간 단위에 대한 생체 및 운동 정보의 평균 수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분석부(243)는 계속하여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평균적인 생체 및 운동 정보 수치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는 정보 분석부(243)로부터 분석된 각 센서에 대한 사용자의 평균적인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모델링을 수행한다. 자세하게,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는 정보 분석부(243)와 같이 각 센서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분석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각 센서 마다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를 모두 종합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기준치를 모델링한다. 그리고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는 분석 모델링된 심리 상태 기준치를 정보 저장부(242) 및 알람 생성부(244)로 각각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전도가 갑자기 상승됐을 경우,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심전도 센서(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심리적 변화가 발생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가속도 센서(14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대한 급격한 변화가 함께 감지될 경우,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사용자가 운동이나 달리기를 하고 있는 경우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생체 지식 모델링부(244)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기준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심리적 변화가 주된 요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별다른 경고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급격한 심리적 변화가 발생됐을 경우에만, 알람 생성부(245)를 통해 경고 신호를 사용자에게 발생한다.
알람 생성부(245)는 사용자의 갑작스런 생체 및 운동 정보의 변화에 응답하여 표시부(230)에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말해, 알람 생성부(245)는 사용자의 갑작스런 생체 및 운동 정보의 변화에 따른심리 상태 판단을 수행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알람 생성부(245)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는 표시부(230)를 통해 경고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알람 생성부(245)는 외부 다른 전자 기기로도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알림 생성부(245)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가족, 경찰 혹은 사전에 지정된 지인들에게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 및 운동 정보를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직접적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보안 문제에 대해서도 걱정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의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센서들은 소형화된 크기로써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에 구비된다. S120 단계에서,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감지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하여 직접 저장 및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S1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10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200)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각 시간 단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시간 단위에 따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에 기반하여 각 시간 단위에 따른 사용자의 기준 생체 및 운동정보를 생성한다.
S1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기준 생체 및 운동 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갑작스런 생체 및 운동 정보 변화에 따른 생체 및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하고, 기준 생체 및 운동 정보와 비교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한다.
S1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표시부(230)를 통해 생성된 경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심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갑작스런 생체 및 운동 정보 변화에 따른 경고 신호를 사용자 외에 다른 곳으로도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 200: 모바일 단말기
110: 심전도 센서 210: 무선 수신부
120: 온도 센서 220: 메모리부
130: 습도 센서 230: 표시부
140: 가속도 센서 240: 스마트 에이전트
150: 무선 송신부
160: 전원 공급부
170: 제어부

Claims (8)

  1.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운동 정보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 및
    상기 각각의 센서의 감지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센서마다의 감지 신호에 대한 제 1 기준치를 계산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각 센서마다의 제 1 기준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모델링하기 위한 제 2 기준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기준치에서 벗어나는 상기 생체 및 상기 운동 정보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에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및 운동 정보 측정부는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제 2 기준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에 따른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제 2 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스마트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상기 각 센서마다의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수신하여 데이터로 변환하는 생체 정보화부;
    상기 생체 정보화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각 센서마다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각 센서마다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기준치를 계산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상기 각 센서마다의 제 1 기준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센서마다의 제 1 기준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모델링하기 위한 상기 제 2 기준치를 생성하는 생체 지식 모델링부; 및
    상기 제 2 기준치에 벗어나는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됐을 경우에 상기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생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는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폰, 태블릿 PC, 및 네비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는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또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을 통해 동시에 전달되는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치는 상기 각 센서마다의 감지 신호에 대한 평균치인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KR1020120143697A 2012-12-11 2012-12-11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KR20140075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697A KR20140075400A (ko) 2012-12-11 2012-12-11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697A KR20140075400A (ko) 2012-12-11 2012-12-11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400A true KR20140075400A (ko) 2014-06-19

Family

ID=5112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697A KR20140075400A (ko) 2012-12-11 2012-12-11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7038A (zh) * 2019-06-10 2020-12-11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云平台的大数据智能健康监护系统
KR102303172B1 (ko) * 2021-06-03 2021-09-17 주식회사 아이티로 위험 현장 대응자의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한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7038A (zh) * 2019-06-10 2020-12-11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云平台的大数据智能健康监护系统
KR102303172B1 (ko) * 2021-06-03 2021-09-17 주식회사 아이티로 위험 현장 대응자의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한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6680B2 (en) Low-power signaling for medical devices and medical device personnel
US10448831B2 (en) Wearable sensor
US20150130613A1 (en) Selectively available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140135591A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ting biolog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US20160147965A1 (en) Medical system
EP30753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 signal
US20120101350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Device
US10028660B2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KR10072365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Wcislik et al. Wireless health monitoring system
CN105264585A (zh) 用于确定患者离开安全区域的风险的方法和装置
CN107085668A (zh) 一种健康监测系统
EP2691021A1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a fit or a seizure
Rajasekaran et al. Elderly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CN206214100U (zh) 一种人体智能监控系统
US1176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US20210022679A1 (en) Sensor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when a Sensor Device is Worn
KR20140075400A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심리 인식 파악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시스템
KR20200072112A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6136A (ko) 생체정보인식기
KR20200076240A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Ninikrishna et al. An efficient IoT based body parameters telemonitoring system
Wahane et al. Interactive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