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927A - Device for extrac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t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927A
KR20140073927A KR1020120141963A KR20120141963A KR20140073927A KR 20140073927 A KR20140073927 A KR 20140073927A KR 1020120141963 A KR1020120141963 A KR 1020120141963A KR 20120141963 A KR20120141963 A KR 20120141963A KR 20140073927 A KR20140073927 A KR 2014007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driving force
sheave
wire rope
le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3651B1 (en
Inventor
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4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651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6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 C10B33/08Pushers, e.g. r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action apparatus including rope hooks, a support unit, a wire rope, and a guide roller. The rope hooks are installed on a ram and a leveler of coke equipment. The support unit has a pulley to be abl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ire rope and support the wire rope. The wire rope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pe hooks, and is guided along a passage by the support unit. Thereby a delivering path for delivering the driving force of the ram to the leveler can be prepared. During a process of coal charging and leveling in coke equipment, the extraction apparatus can swiftly and conveniently extract the leveler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ram, when the extraction of the leveler, which is charged into the coke oven of the coke equipment, is delayed from the coke oven.

Description

인출 장치{Device for extraction}Device for extraction < RTI ID = 0.0 >

본 발명은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설비의 조업 도중 피처리물 용기 내부로 진입하는 부속설비를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는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recovering an accessory device entering a material container during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코크스(coke)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코크스 설비는 점결성이 있는 콜(coal)을 코크스 오븐(coke oven)의 내부에 구비된 탄화실에 장입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이를 고온 건류하여 회백색의 단단한 결정체인 코크스와 부생가스(coke oven gas)를 제조한다.The coke plant used in the coke manufacturing process is a system in which cohesive coal is charged into a carbonization chamber provided in a coke oven to block air and is heated at high temperature to produce a hard white color coke And coke oven gas.

코크스의 건류가 완료되면, 코크스는 람(ram)에 의해 탄화실의 외부로 압출된다. 후속하여 탄화실의 상단에 관통 형성된 장입구를 통하여 탄화실의 내부로 콜이 공급된다. 장입구를 통과한 콜은 탄화실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며 탄화실의 하단에서부터 장입구에 근접하는 높이까지 순차적으로 쌓인다. 이에 콜의 상부면에는 장입구를 중심으로 산봉우리 형상의 굴곡면이 형성된다. 탄화실에 콜이 소정량 장입되면 탄화실 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레벨러 도어(leveller door)를 통하여 레벨러(leveller)가 탄화실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장입된 콜의 굴곡진 상부면에 접촉하고, 진입방향으로 전후진을 하며 이를 평탄화시킨다. 평탄화된 콜의 상부면과 이에 대면하는 탄화실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마련되어 가스 이동경로가 형성된다. 형성된 가스 이동경로를 통하여 조업 중 콜로부터 기인하는 다량의 부생가스를 탄화실의 상단에 구비된 상승관으로 원활하게 유도되어 탄화실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carbonization of the coke is completed, the coke is extruded out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by a ram. Subsequently, the call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through the intestinal inlet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Calls that pas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hall fall down to the bottom of the carburizing chamber and accumulate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of the carburizing chamber to a height close to the entrance of the bowling ha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ll, a curved surface in the shape of a peak is formed around the entrance of the bow.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all is charged into the carbonization chamber, the leveler enters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via the leveler doo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and contacts the curved upper surface of the charged call, And flatten it.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tened cal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facing the flattened call, thereby forming a gas movement path. A large amount of byproduct gas originating from the call dur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guided to the uprising pip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through the formed gas moving path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레벨러는 레벨러에 구비된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에 탄화실 내부로 진입하고, 진입 방향으로 전후진을 하며 레벨러에 접촉하는 콜의 굴곡진 상부면을 평탄화시킨다. 이때, 탄화실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에서 레벨러를 둘러싸며 접촉하는 콜 더미가 레벨러의 구동력 이상의 마찰력을 레벨러에 가하거나 또는, 레벨러의 구동부가 손상되는 등의 이유로 레벨러는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레벨러는 레벨러의 일반적인 조업 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탄화실 내부에 잔류하고, 탄화실 내부의 고온의 열에 의한 열 변형 및 처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탄화실 내부에 잔류하는 레벨러를 회수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 인원이 레벨러에 접근하여 체인블록을 레벨러에 연결하고, 체인블록을 구동시켜 레벨러를 회수하는 등의 종래의 작업에서 추가되는 작업이 발생한다.The leveler receives power from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leveler, enters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and advances and retreats in the entering direction, thereby flattening the curved upper surface of the call which contacts the leveler. At this time, there is a case where the call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eveler while entering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eveler due to friction force exceeding the leveling force of the leveler on the leveler or damage to the leveler driving portion do. As a result, the leveler remains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for a time longer than the normal operation time of the leveler, and thermal deformation and disposal phenomenon due to high temperature heat inside the carbonization chamber may occur. Further, in order to retrieve the leveler remaining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a plurality of operation personnel approaches the leveler, connects the chain block to the leveler, and operates the chain block to recover the leveler. do.

이처럼 레벨러가 탄화실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인출되지 못하는 경우 탄화실 내부의 고열에 의한 레벨러의 손상을 초래하고, 레벨러의 회수 작업 동안 코크스 설비의 조업이 지연된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다수의 작업인원의 레벨러 인출 작업 도중 탄화실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화염 및 고열에 의한 작업자의 조업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If the leveler can not be smoothly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the leveler is damaged by the high temperature inside the carbonization chamber and the operation of the coke plant is delayed during the leveler recovery operation. Therefore, additional costs are incur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use an operator's accident due to a flame and a high temperature which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to the outside during the leveler withdrawal operation of a plurality of working personnel.

본 발명은 각종 설비의 조업 과정에서 피처리물 용기에 진입하는 부속설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인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wing device capable of easily drawing an accessory to enter an object vessel during the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본 발명은 부속설비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인출하여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조업사고 및 부속설비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인출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wing device that draws out attached equipment quickly and stably to suppress or prevent worker's accident by manual operation and deformation of attached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출 장치는 피처리물을 인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피인출물의 단부에 구비된 제 1 로프 걸이; 상기 피인출물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구동력공급원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로프 걸이; 상기 피인출물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지지 유닛;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로프 걸이 및 상기 제 2 로프 걸이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rawing a material to be processed, comprising: a first rope hook provided at an end of the object to be drawn; A second rope hanger provided at an end of a driving force supply source located apart from a lower side of the drawn object; A support unit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to be drawn and having at least one sheave; And a wire rope at least partially movable along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pe hook and the second rope hook,

상기 와이어 로프는 양단에 상기 제 1 로프 걸이 및 상기 제 2 로프 걸이에 결합 가능한 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전진 및 후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구동력이 발생되며, 상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피인출물을 후진시켜 인출시킬 수 있다.Wherein the wire rope has joints at both ends that are engageable with the first rope hook and the second rope hook and a driving force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source, The object to be drawn can be withdrawn and withdrawn.

상기 제 1 로프 걸이 및 상기 제 2 로프 걸이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 1 로프 걸이의 중심 위치는 상기 피인출물의 중심축에 정렬되고, 상기 제 2 로프 걸이의 중심 위치는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중심축에 정렬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rope holder and the second rope holder are open upward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first rope holder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awn articl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second rope hold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riving force source Axis.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피인출물의 중심축에 정렬되는 제 1 도르래; 상기 제 1 도르래로부터 상기 구동력 공급원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제 2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sheave that is aligned with a center axis of the drawn object; And a second pulley spaced downwardly from the first pulley toward the driving force source.

상기 제 1 도르래의 회전축은 상기 피인출물의 중심축에 교차하고, 상기 제 2 도르래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도르래의 회전축과 소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sheave intersects the central axis of the drawn object, and the rotary shaft of the second sheave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sheave.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상기 단부에는 안내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안내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중심축에 교차하고,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Wherein a guide roller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the rotation axis of the guide roller intersects a central axis of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and the guide roller has a direction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wire rope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Can be changed.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제 1 도르래 및 상기 안내롤러에 접촉하여 인출 경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제 1 도르래, 상기 제 2 도르래 및 상기 안내롤러에 접촉하여 인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wire rope may contact the first sheave and the guide roller to form a lead-out path, or the wire rope may contact the first sheave, the second sheave, and the guide roller to form a lead-out path.

상기 인출 장치는 코크스 설비에서 운용되는 푸셔 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력공급원은 상기 코크스 설비에서 운용되는 람이고, 상기 피인출물은 상기 코크스 설비에서 운용되고, 상기 탄화실 내부로 장입되는 콜의 상부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레벨러이다.
Wherein the drawing device is mounted on a pusher car operated in a coke plant,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is a coke plant operated on the coke plant, the object is operated in the coke plant, Which is a leveler capable of flattening the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처리물 용기에 진입하는 부속설비를 신속하게 인출 가능한 인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장입되는 콜의 레벨링을 위해 코크스 오븐의 내부로 진입한 레벨러가 콜에 접촉하여 끼임이 발생한 경우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신속하게 인출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draw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drawing out the accessory equipment that enters the object vessel. For example, when the leveler which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coke oven for leveling of the charged cal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ll and is caught, it can be taken out quickly using the take-out device.

이로부터 부속설비 예컨대 레벨러의 고열에 의한 손상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고, 부속설비의 인출 지연으로 인한 설비의 조업지연 예컨대 코크스 오븐의 코크스 건류 지연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속설비의 손상 및 설비의 작업지연에 의해 코크스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rom this it is possible to inhibit and prevent damag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accessory equipment, such as the leveler, and to inhibit and prevent the delay in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for example the delay in coke oven coke owing to delays in drawing of the accessory equipment. Thus, the additional costs incurred in the coke making process can be saved by damaging the accessory equipment and delay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또한, 인출 장치에 의해 부속설비를 안정적으로 인출하므로, 부속설비의 인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조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ccessory apparatus is taken out stably by the draw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orker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accessor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가 장착된 코크스 설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ke plant equipped with a dra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a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iving state of a dra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가 장착된 코크스 설비의 개략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의 개략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다. 여기서 도 3(a)는 람의 전진에 의한 인출 장치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고, 도 3(b)는 람의 후진에 의한 인출 장치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ke plant equipped with a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driving state of the drawing device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slide. Fig. 3 (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driving state of the drawing device due to the slide back of the slid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출 장치(1000)는 코크스 설비(1)에 구비된 코크스 오븐(10)의 외측에 설치되는 푸셔 카(pusher car)(20)에 장착된다. 장착된 인출 장치(1000)는 푸셔 카(20)에 구비된 구동력공급원 예컨대 람(21)에 피인출물 예컨대 레벨러(22)를 연결 가능하다. 람(21) 및 레벨러(22)는 상하방향으로 각기 이격되어 푸셔 카(20)에 장착되고, 코크스 오븐(10)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레벨러(22)는 람(21)의 상측에 위치한다. 람(21) 및 레벨러(22)에는 이를 구동 가능한 구동유닛이 각각 구비되고,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코크스 오븐(10)을 향하여 전진 및 이에 반대 방향을 향하여 후진 가능하다. 람(21) 및 레벨러(22)는 전진에 의해 코크스 오븐(1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후진에 의해 코크스 오븐(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 장치(1000)는 람(21) 및 레벨러(22)가 전진할 때 인출 장치(1000)의 구성요소와 충돌 혹은 접촉하여 각 구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코크스 오븐(10)의 반대측에서 푸셔 카(2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Referring to FIG. 1, a draw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usher car 2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coke oven 10 provided in a coke plant 1. The loaded drawing device 1000 is connectable to a driving force source such as a driving force source 21 provided on the pusher car 20, for example, a leveler 22. The louver 21 and the leveler 22 are mounted on the pusher car 20 and extend toward the coke oven 10,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eveler 2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ntern 21. The louver 21 and the leveler 22 are each provided with a drive unit capable of driving the same and are capable of moving forward from the drive unit to the coke oven 10 and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ouver 21 and the leveler 22 ar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oke oven 10 by advancement and drawn out of the coke oven 10 by backward movement. The drawing device 1000 is configured to move the pusher car 1000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oke oven 10 so that the driving and colliding elements of the drawing device 100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louver 21 and the leveler 22 advance, 20).

도 2를 참조하면, 인출 장치(1000)는 피인출물 예컨대 레벨러(22)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로프 걸이(rope hook)(110), 레벨러(22)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구동력공급원 예컨대 람(2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로프 걸이(120), 피인출물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210, 220)를 구비하는 지지 유닛(support unit)(200) 및 적어도 일부가 지지 유닛(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양단에 각각의 로프 걸이(100)에 연결 가능한 이음부(310) 예컨대 아이 스플라이스(eye splice) 방법에 의해 가공된 고리가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300)를 포함한다. 인출 장치(1000)에는 양단이 람(21) 및 레벨러(22)의 각각의 단부에 장착된 로프 걸이(100: 110, 120)에 삽입 연결되고, 지지 유닛(200)을 ?라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300)에 의해 구동력 전달 경로가 구비된다. 와이어 로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달 경로를 통해 람(21)의 좌우방향 전후진 동작이 레벨러(22)에 전달된다. 이에 인출 장치(1000)는 레벨러(22)에 구비된 구동유닛에 의해 레벨러(22)에 전달되는 동력에 독립하여 레벨러(22)에 작용 가능한 구동력을 레벨러(22)에 제공하고, 이에 레벨러(22)를 코크스 오븐(10)의 외부를 향하여 인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aw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first rope hook 110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a subject, such as a leveler 22, a driving force source, for example, A second rope hanger 120 provided at an end of the louver 21 and a support unit 200 spaced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drawn object and having at least one pulley 210,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can be moved along the support unit 200 and have joints 310 at each en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pe hanger 100 such as wires formed by an eye splice method, And a rope 300. The drawing device 1000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rope hanger 100 (110, 120) at both ends of the louver 21 and the leveler 22, and the wire rope (300).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um 21 in the lateral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leveler 22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rope 300. [ The drawing apparatus 1000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eveler 22 that can act on the leveler 22 independently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leveler 22 by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leveler 22, ) To the outside of the coke oven (10).

제 1 로프 걸이(110)는 레벨러(22)의 후진 방향을 향하는 레벨러(22)의 단부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제 2 로프 걸이(120)는 람(21)의 후진 방향을 향하는 람(21)의 단부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로프 걸이(100: 110, 120)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로프 걸이(100)는 와이어 로프(300)에 의해 로프 걸이(100)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로프 걸이(100)에 결합된 레벨러(22) 전달하는 과정에서 로프 걸이(10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로프 걸이(100)는 예를 들어 체인블록(chain blok) 및 크레인(crane) 등의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s)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후크(hook)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로프 걸이(100)는 인출 장치(1000)에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300)의 공칭지름에 대응하며, 로프 걸이(100)에 접촉되는 영역의 와이어 로프(300)가 지나친 굽힘 하중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로프 걸이(100)는 지지 유닛(200)을 향하여 장착되고, 로프 걸이(100)의 중심위치가 각기 장착되는 레벨러(22) 및 람(21)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정렬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로프 걸이(100)에는 와이어 로프(300)의 이음부(310)를 결합 가능한 개방구간이 형성된다. 개방구간은 로프 걸이(100)의 중심위치에서 각기 장착되는 레벨러(22) 및 람(21)을 향하는 방향 혹은 로프 걸이(100)의 중심위치의 상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 형성된다. 이에 로프 걸이(100)에 작용하는 와이어 로프(300)의 당김 방향과 로프 걸이(100)의 개방구간이 서로 반대측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300)가 로프 걸이(100)에 힘을 가할 때, 개방구간을 통해 로프 걸이(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rope retainer 110 is mounted, for example, by welding to the end of the leveler 22 facing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leveler 22. [ Also, the second rope hook 120 is mounted, for example, by welding to the end of the loupe 21 facing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loupe 21. The shape and size of the rope hooks 100 (110, 1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rope hanger 100 prevents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rope hanger 10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applied to the rope hanger 100 by the wire rope 300 to the leveler 22 coupled to the rope hanger 100. [ Shape and size. The rope hook 100 may have the shape of a typical hook used in lift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chain block and a crane. The rope hanger 100 corresponds to the nominal diameter of the wire rope 300 used in the drawing apparatus 1000 and the wire rope 300 in the area contacting the rope hanger 100 receives an excessive bending load It is possible to have a thickness that can be prevented. The rope hanger 100 is mounted toward the support unit 200 and is mounted so th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pe hanger 100 is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leveler 22 and louver 21, The rope hook 100 is formed with an open section in which the joint 310 of the wire rope 300 can be engaged. The open sec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leveler 22 and the lamb 21 mount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pe hook 100 or upward of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pe hook 100.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wire rope 300 acting on the rope hook 100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rope hook 100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when the wire rope 300 applies a force to the rope hook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pe hanger 100 from departing from the rope hook 100 through the section.

지지 유닛(200)은 레벨러(22)의 중심축에 정렬되는 제 1 도르래(210), 제 1 도르래(210)의 하측에서 람(22)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제 2 도르래(220), 및 레벨러(22)의 중심축에 교차하고, 복수개의 도르래(210, 220)가 장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도르래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도르래 지지부(230)는 각 도르래(210, 22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푸셔 카(20)의 일측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도르래(210, 220)에는 각기 대향하는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관통홀에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어 도르래(210, 220)는 도르래 지지부(230)에 연결되어 그 위치가 푸셔 카(20) 상에 고정된다. 제 1 도르래(210)의 회전축은 레벨러(22)의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 2 도르래(220)의 회전축은 제 1 도르래(210)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위치한다. 이에 공간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람(21)과 레벨러(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300)가 지지 유닛(200)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르래(210, 220)의 직경은 와이어 로프(300)가 견딜수 있는 굽힘 응력에서의 와이어 로프(300)의 곡률반경 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이에 도르래(210, 220)에 접촉하는 와이어 로프(300)의 굽힘으로 인한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300)에 접촉하는 도르래(210, 220) 끝단은 소정 두께를 형성한다. 또한, 도르래(210, 220)의 끝단에는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와이어 로프(300)의 공칭지름에 대응하는 깊이의 홈이 도르래(210, 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support unit 200 includes a first sheave 210 that is aligned with the center axis of the leveler 22 and a second sheave 22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eave 210 in a direction toward the end of the ram 22 And a sheave support 230 which intersects the central axis of the leveler 22 and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on which a plurality of sheaves 210 and 220 are mounted. The pulley support portion 230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pusher car 20 by welding, for example, at a position where the pulleys 210 and 220 are installed. The pulleys 210 and 220 ar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pulleys 210 and 220. The pulleys 210 and 220 are connected to the pulley support portions 230 so that the pulleys 210 ).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sheave 21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enter axis of the leveler 22 and the shaft of rotation of the second sheave 22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sheave 210. The wire rope 300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leveler 22 with the louver 21 spaced apart in the space can be easily moved along the support unit 200. The diameter of the pulleys 210 and 220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wire rope 300 at the bending stress at which the wire rope 300 can withst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damage due to the bending of the wire rope 300 contacting the pulleys 210 and 220. The ends of the sheaves 210 and 220 contacting the wire rope 300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Grooves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nominal diameter of the wire rope 300 are formed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heaves 210 and 22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tating shaft at the ends of the pulleys 210 and 220.

안내롤러(guide roller)(400)는 람(21)의 로프 걸이(100)가 장착되는 단부에서 지지 유닛(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람(21)의 단부에 장착된다. 안내롤러(400)에는 람(21)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교차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안내롤러(400)는 람(21)에 장착된 로프 걸이(100)에 와이어 로프(300)의 타단이 연결될 때, 와이어 로프(300)에 접촉되어 와이어 로프(30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로프 걸이(100)에 삽입 연결된 와이어 로프(300)의 타단이 로프 걸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롤러(400)는 람(21)의 이동방향에 따라 와이어 로프(300)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이 변화한다. 람(21)의 전진시 안내롤러(400)의 하부에 와이어 로프(300)가 접촉하여 이에 안내롤러(400)는 와이어 로프(300)과의 접촉면에 하측으로 압력을 가한다. 람(21)의 후진시 와이어 로프(300)는 람(21)의 후진방향을 향하는 안내롤러(400)의 일측에서 안내롤러(400)에 접촉하고, 이에 안내롤러(400)는 와이어 로프(300)와의 접촉면에 람(21)의 후진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A guide roller 400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drum 21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pport unit 200 at the end where the rope hook 100 of the drum 21 is mounted. The guide roller 400 is freely rotatable with a rotation axis cross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drum 21. The guide roller 400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wire rope 300 from sagging when it contacts the wire rope 300 when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300 is connected to the rope hook 100 mounted on the drum 21 do. Thus,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300 connected to the rope hook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ope hook 100. Further,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wire rope 300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um 21 of the guide roller 400. The wire rope 3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00 at the time of advancement of the lantern 21 so that the guide roller 400 applies pressure downward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wire rope 300. The wire rope 3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400 at one side of the guide roller 400 facing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lantern 21 so that the guide roller 400 rotates the wire rope 300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drum 21.

코크스 설비(1)의 콜(coal) 장입 과정에서 레벨러(22)는 장입되는 콜의 상부면을 레벨렝 하기 위해 코크스 오븐(10)의 내부로 전진 콜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이때, 콜에 접촉한 레벨러(22)가 구동부의 손상 및 레벨러(22)에 접촉하는 콜의 압력으로 인해 코크스 오븐(10)의 외부로 용이하게 회수되지 않는 경우 인출 장치(1000)는 다음과 같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와이어 로프(300)의 일단이 레벨러(22)의 단부에 장착된 제 1 로프 걸이(110)에 삽입 연결된다. 후속하여 와이어 로프(300)는 제 1 도르래(210)의 상부에 접촉하고, 형성된 접촉면을 따라 레벨러(22)의 후진 방향의 하측으로 소정 거리 굴절되며 제 1 도르래(21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지지된다. 이후 와이어 로프(300)는 람(21)의 단부을 향하여 경로가 안내된다. 후속하여 와이어 로프(300)는 안내롤러(400)에 접촉하고, 제 2 로프 걸이(120)에 타단이 삽입 결합되어 인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와이어 로프(300)는 후속하여 제 2 도르래(220) 및 안내롤러(400)에 접촉하고, 제 2 로프 걸이(120)에 타단이 삽입 결합되어 인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300)의 접촉상태에 의해 형성되는 각기 다른 인출 경로는 제 2 도르래(220)와 안내롤러(4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람(21)의 이동방향에 따라 각기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During the coal charging of the coke plant 1, the leveler 22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advancing call into the interior of the coke oven 10 to level the top surface of the loaded call. At this time, if the leveler 22 in contact with the call is not easily recovered to the outside of the coke oven 10 due to the damage of the driving portion and the pressure of the call contacting the leveler 22, Used in combination. One end of the wire rope 30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pe hook 110 mounted on the end of the leveler 22. [ Subsequently, the wire rope 3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eave 210 and is bent down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leveler 22 along the contact surface formed and contact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heave 210 do. Thereafter, the wire rope 300 is guided along the end of the ram 21. Subsequently, the wire rope 300 contacts the guide roller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pe hook 120 to form a pull-out path. Alternatively, the wire rope 300 may subsequently contact the second sheave 220 and the guide roller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ope hook 120 to form a pull-out path. The different drawing paths formed by the contact state of the wire rope 300 are form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econd sheave 220 and the guide roller 400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um 21 as follows.

도 3(a)를 참조하면, 람(21)이 코크스 오븐(10)을 향하여 전진하는 경우 인출 장치(1000)의 인출 경로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제 1 도르래(210)에 접촉하여 경로가 유도된 와이어 로프(300)는 람(21)을 향하여 하측으로 소정 거리 굴절되고, 안내롤러(400)의 하부에 접촉한다. 후속하여 와이어 로프(300)의 타단이 람(21)의 단부에 장착된 제 1 로프 걸이(110)에 삽입 연결된다. 이에 레벨러(22)에 람(21)이 연결되어 람(21)의 구동력을 레벨러(22)에 전달 가능한 전달경로가 형성된다. 람(21)이 전진하고, 따라서 람(21)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300)도 지지 유닛(200)이 형성하는 인출 경로를 따라 람(21)의 전진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에 와이어 로프(300)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로프 걸이(110) 및 이에 연결된 레벨러(22)의 단부에 후진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레벨러(22)가 후진하여 코크스 오븐(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람(21)의 일단이 제 2 도르래(220)에 가까워지며 코크스 오븐(10)을 향하여 전진할 때 와이어 로프(30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도르래(220)에 접촉된다. 람(21)이 전진을 계속하여 람(21)의 일단과 제 2 도르래(220)와의 사이가 멀어지며 람(21)이 전진하면 와이어 로프(300)는 제 2 도르래(220)에서 이격되고, 와이어 로프(300)는 제 1 도르래(210) 및 안내롤러(400)에 접촉하는 인출 경로를 형성한다.3 (a), when the lantern 21 is advanced toward the coke oven 10, the drawing path of the drawing apparatus 1000 is formed as follows. The wire rope 300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ave 210 and guided along the path is bent down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drum 21 and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00.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30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pe hook 110 mounted on the end of the ram 21. A transmission path is formed in which the louver 21 is connected to the leveler 22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loupe 21 can be transmitted to the leveler 22. The wire 21 advances and thus the wire rope 300 connected to the lantern 21 also mov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lantern 21 along the drawing path formed by the supporting unit 200. [ A forc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first rope hook 1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rope 300 and the leveler 22 connected thereto in the backward direction. Thus, the leveler 22 is retracted and drawn out of the coke oven 1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lider 21 approaches the second sheave 220, and at least part of the wire rope 300 contacts the second sheave 220 when moving toward the coke oven 10. The wire rope 3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heave 220 when the ram 21 continues to advance and one end of the ram 21 and the second sheave 220 move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ram 21 advances, The wire rope 300 forms a pull-out path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ave 210 and the guide roller 400.

도 3(b)를 참조하면, 람(21)이 코크스 오븐(10)을 향하여 소정 거리 전진한 상태에서 람(21)이 후진하는 경우 인출 장치(1000)의 인출 경로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제 1 도르래(210)에 접촉하여 제 2 도르래(220)를 향하여 경로가 형성된 와이어 로프(300)는 제 2 도르래(220)의 상부에 접촉한다. 와이어 로프(300)는 람(21)을 향하여 제 2 도르래(220)와의 접촉면을 따라 소정 거리 굴절되며 제 2 도르래(220)의 끝단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지지된다. 후속하여 와이어 로프(300)의 타단이 람(21)의 단부에 장착된 제 2 로프 걸이(120)에 삽입 연결된다. 이에 레벨러(22)에 람(21)이 연결되어 람(21)의 구동력을 레벨러(22)에 전달 가능한 인출 경로가 형성된다. 람(21)이 후진하고, 이에 와이어 로프(300)가 전달 경로를 따라 움직인다. 이때, 람(21)의 단부에 장착된 안내롤러(400)는 와이어 로프(300)에 접촉하고, 형성된 와이어 로프(300)와의 접촉면에 람(21)의 후진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에 와이어 로프(300)는 인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와이어 로프(300)의 일단에 연결된 레벨러(22)에 후진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레벨러(22)가 후진하여 코크스 오븐(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즉, 인출 장치(1000)는 제 2 도르래(220)와 안내롤러(400)가 설치된 상대위치에 의해 람(21)이 전진해도 레벨러(22)가 후진 가능하고, 람(21)이 후진해도 레벨러(22)가 후진 가능하다. 이후 코크스 설비(1)는 후속하여 콜 장입 및 조업을 진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b), the draw path of the drawer 1000 is formed as follows when the drum 21 is moved backward while the drum 21 advances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coke oven 10. The wire rope 3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ave 210 and is routed toward the second sheave 2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heave 220. The wire rope 300 is deflect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econd sheave 220 towards the ram 21 and is contactably supported at least at a part of the end of the second sheave 220.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30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ope hanger 120 mounted on the end of the rack 21. A draw path is formed in which the louver 21 is connected to the leveler 22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loupe 21 can be transmitted to the leveler 22. The wire 21 is retracted, and the wire rope 300 moves along the transmission path.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400 mounted on the end of the drum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ire rope 300 and exerts a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ormed wire rope 300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drum 21. The wire rope 300 moves along the take-out path, and a force is applied to the leveler 2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rope 300 in the backward direction. Thus, the leveler 22 is retracted and drawn out of the coke oven 10. That is, the drawer 1000 can move the leveler 22 backward even if the drum 21 advances due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pulley 220 and the guide roller 400, (22) can be reversed. Thereafter, the coke plant 1 can proceed with the call loading and operation.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코크스 설비의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외의 다양한 설비의 조업 중 요구되는 부속설비의 인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the case of the coke plant,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withdrawal of the subsidiary equipment required during the operation of various other facilitie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코크스 오븐 20: 푸셔 카
21: 람 22: 레벨러
100: 로프 걸이 200: 지지 유닛
300: 와이어 로프 400: 안내롤러
1000: 인출 장치
10: Coke oven 20: Pusher car
21: Lecture 22: Leveler
100: rope hook 200: support unit
300: wire rope 400: guide roller
1000: Drawer

Claims (8)

피인출물을 인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피인출물의 단부에 구비된 제 1 로프 걸이;
상기 피인출물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구동력공급원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로프 걸이;
상기 피인출물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지지 유닛;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로프 걸이 및 상기 제 2 로프 걸이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장치.
An apparatus for withdrawing contaminants, comprising:
A first rope hanger provided at an end of the object to be drawn;
A second rope hanger provided at an end of a driving force supply source located apart from a lower side of the drawn object;
A support unit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to be drawn and having at least one sheave; And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vable along the support unit, the wire rop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rope hook and the second rope hoo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양단에 상기 제 1 로프 걸이 및 상기 제 2 로프 걸이에 결합 가능한 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전진 및 후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구동력이 발생되며, 상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피인출물을 후진시켜 인출시키는 인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 rope has joints at both ends thereof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rope hook and the second rope hook,
A driving force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source, and the drawn object is pulled back by the generated driving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프 걸이 및 상기 제 2 로프 걸이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 1 로프 걸이의 중심 위치는 상기 피인출물의 중심축에 정렬되고, 상기 제 2 로프 걸이의 중심 위치는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중심축에 정렬되는 인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ope retainer and the second rope retainer open upward,
The center position of the first rope hook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awn object,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second rope hook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피인출물의 중심축에 정렬되는 제 1 도르래;
상기 제 1 도르래로부터 상기 구동력 공급원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제 2 도르래를 포함하는 인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sheave aligned with a central axis of the drawn object;
And a second pulley which is spaced downwardly from the first pulley toward the driving force sour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르래의 회전축은 상기 피인출물의 중심축에 교차하고,
상기 제 2 도르래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도르래의 회전축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sheave crosses the central axis of the drawn object,
Wherein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sheave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sheave.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상기 단부에는 안내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안내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중심축에 교차하고,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구동력공급원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4, or 5,
A guide roller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driving force source,
The rotation axis of the guide roller crosses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Wherein the guide roller changes a direction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wire rope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supply sour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제 1 도르래 및 상기 안내롤러에 접촉하여 인출 경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제 1 도르래, 상기 제 2 도르래 및 상기 안내롤러에 접촉하여 인출 경로를 형성하는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ire rope contacts the first sheave and the guide roller to form a lead-out path, or the wire rope contacts the first sheave, the second sheave, and the guide roller to form a lead-out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 장치는 코크스 설비에서 운용되는 푸셔 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력공급원은 상기 코크스 설비에서 운용되는 람이고,
상기 피인출물은 상기 코크스 설비에서 운용되고, 상기 탄화실 내부로 장입되는 콜의 상부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레벨러인 인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wing device is mounted on a pusher car operated in a coke plant,
The driving force source is a coke operated in the coke plant,
Wherein the object to be handled is a leveler operated in the coke plant and capable of leve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ll charged into the carbonization chamber.
KR1020120141963A 2012-12-07 2012-12-07 Device for extraction KR101523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63A KR101523651B1 (en) 2012-12-07 2012-12-07 Device for ext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63A KR101523651B1 (en) 2012-12-07 2012-12-07 Device for ex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27A true KR20140073927A (en) 2014-06-17
KR101523651B1 KR101523651B1 (en) 2015-05-28

Family

ID=5112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63A KR101523651B1 (en) 2012-12-07 2012-12-07 Device for extr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651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0582B2 (en) * 1994-11-04 2004-10-27 株式会社白山製作所 Driving device for cable feeding drum
KR20010105571A (en) * 2000-05-16 2001-11-29 이구택 Levell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651B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598B1 (en) Work treatment installation
CN105460628B (en) A kind of collet automatic wire charging installation system
KR101404115B1 (en) Elbow pipe bending apparatus
CN104891195B (en) Copper ingot automatic stacking device
US20110038391A1 (en) Arc metallurgic furnace slagging door
KR102062109B1 (en) Metal plate auto bending apparatus
WO2022148064A1 (en) Elevator maintenance protection safety device
JP6228740B2 (en) Climbing device and automatic sling-type lifting device
KR101523651B1 (en) Device for extraction
CN105855873A (en) Production equipment of push-and-pull cables
US8596344B2 (en) Handling device for pipes
CN205703212U (en) A kind of production equipment of push-pull cable
US20180208443A1 (en) Coupling unit
CN109405546B (en) Pneumatic feeding mechanism with variable clamping range and bottoming protection
CN109138868A (en) Light maintenance well head automatic operation device
CN111094167B (en)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 mounting device into a mounting position in an elevator shaft
CN105507830B (en) Rack pipe mechanism
JP2002301513A (en) Draw bench
CN114044373A (en) Feeding equipment and garbage disposal station
CN211515927U (en) Automatic large bolt feeder
KR101322901B1 (en) Apparatus blocking coke guide in transfer car
KR20120029721A (en) Lift device for a high place work
KR20020084950A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base metal adhered the top of ladle
CN105987719A (e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motor
CN212769418U (en) Large-size product lifting device for chemical vapor deposition furnace with upper cha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