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811A -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811A
KR20140073811A KR1020120141705A KR20120141705A KR20140073811A KR 20140073811 A KR20140073811 A KR 20140073811A KR 1020120141705 A KR1020120141705 A KR 1020120141705A KR 20120141705 A KR20120141705 A KR 20120141705A KR 20140073811 A KR20140073811 A KR 2014007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address
smartphone
promo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업
Original Assignee
박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업 filed Critical 박기업
Priority to KR102012014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811A/ko
Publication of KR2014007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나 이동통신사의 카카오톡이나 올레톡, 이들을 연결하는 각종 통신망을 매개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이벤트나 번호대기정보, 전자메뉴판 및 상품 주문서 등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각각의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경우, 상기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3단계;및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로부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통신사 서버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에 들어온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Location-Based Service based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locking}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LBS)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가맹점이나 대형 할인 마트가 많이 들어서고 가맹점 간 또는 대형 할인 마트 간에 매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시 및 홍보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이를 테면, 가맹점이나 대형 할인 마트에서는 특정 할인 상품을 정하여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현장에서 음성으로 알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때로는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호객 전담 요원을 별도로 두어야 하는 등 그에 따른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기존에는 할인 행사 상품이나 신상품, 이벤트 등을 알리기 위해서, 일일이 전단지를 제작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렇게 전단지를 제작하는 것은 그 특성상 주로 고급용지와 컬러 인쇄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부담과 자원낭비 더 나아가서는 환경오염의 문제점까지 있다.
또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와 같은 스팸성 데이터를 불특정 다수에게 일괄적으로 발송하는 방식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너무 많은 스팸성 정보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내용도 보지 않고 삭제하거나 스팸 처리를 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상술한 종래의 홍보 방법들은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자발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아닌 불특정 다수에게 일괄적으로 행해지는 일반적인 정보 전달방법이기 때문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해 효율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소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wtwork game)을 이용하여 가게를 홍보하는 방식(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77483호, 참조), 특정 지역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예측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방식(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69618호, 참조), 중소규모 사업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마켓팅 및 사용자을 관리하는 방식(국내 등록특허 제10-0829913호, 참조), 계약 체결시 음식점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음식 주문시 메뉴정보와 함께 스폰서의 판촉정보를 제공하는 방식(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559호, 참조) 등과 같은 다양한 홍보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특정 가맹점이 원하는 사용자에게만 가맹점, 즉 사업주가 원하는 홍보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77483호(2012. 07. 10.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69618호(2012. 06. 28.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0829913호(2008. 05. 19. 등록공고)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559호(2011. 04. 13.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지나칠 때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이벤트나 번호대기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지역기반의 소셜 네트워크와 소셜 커머스를 결합하여 사업주가 원하는 대상의 사용자, 즉 스마트폰에 사업장을 홍보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각각의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경우,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2단계;및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고유 주파수가 무선 송출되는 스마트폰과,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지며, 스마트폰에서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한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와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 전송해주는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와, 사업장과 해당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으며,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각각의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경우,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는 제2단계;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3단계;및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로부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통신사 서버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에 들어온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2실시예는, 고유 주파수가 무선 송출되는 스마트폰과,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지며, 스마트폰에서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한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와 스마트폰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해주는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와, 사업장과 해당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와, 블루투스 AP 또는 와이파이 AP에서 전송된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의 제3실시예는, 각 사업장에 위치한 와이파이 AP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사업장별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사업장의 와이파이 AP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한 경우,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된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읽어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3실시예는, 각 사업장에 위치하여 해당 사업장의 고유 주파수를 가진 와이파이 주소를 무선 송출하는 와이파이 AP와, 와이파이 AP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폰과, 사업장과 해당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의 제4실시예는, 각 사업장에 위치한 와이파이 AP에서 무선 송출되는 사업장별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사업장의 와이파이 AP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한 경우,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는 제2단계; 이동통신사 서버는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에 상기 와이파이 주소와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3단계;및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로부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통신사 서버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에 들어온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4실시예는, 각 사업장과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와, 사업장에 위치하여 해당 사업장의 고유 주파수를 가진 와이파이 주소를 무선 송출하는 와이파이 AP와, 와이파이 AP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여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나 이동통신사의 카카오톡이나 올레톡, 이들을 연결하는 각종 통신망을 매개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이벤트나 번호대기정보, 전자메뉴판 및 상품 주문서 등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카페, 호프집, 은행, 병원 등과 같은 사업장은 사업주가 원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사업장을 홍보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은행이나 병원, 커피숍 등과 같은 사업장에서는 대기번호표 발급기를 대신하여 해당 사업장을 찾은 사용자에게 대기번호표를 발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개시된 시스템에 의해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3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4는 도3에 개시된 시스템에 의해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5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6은 도5에 개시된 시스템에 의해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7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8은 도7에 개시된 시스템에 의해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출원인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카페나 호프집, 음식점,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에 위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 스마트폰(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13)은 카페나 호프집,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 고유 주파수를 무선 송출하며,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사업장의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한다.
각각의 상기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는 스마트폰(13)에서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함께 상기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전송해준다.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사업장과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사업장의 사업주가 접속하여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정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수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사업장의 사업주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정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와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로부터 전송받으며,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와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상기 고유 주파수를 가진 스마트폰(13)에 전송해준다.
더불어,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각종 어플을 공급하는 통상의 포탈 사이트와 함께 사용자들에게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업장으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할인쿠폰 등과 같은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제공한다.
도2는 도1에 개시된 근거리 무선통신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가 지속적으로 무선 송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주변을 지나가게 되면 상기 사업장에 설치된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S11)
이때,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는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전송하게 된다.(S12)
그리고,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고유 주파수를 가진 스마트폰(13)으로 전송하게 된다.(S13)
즉,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제공받아서 스마트폰(13)에 탑재된 어플(APP)을 통해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카페나 호프집, 식당,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즉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범위 내에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들어오게 되면, 상기 사용자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즉 이벤트, 할인행사, 번호대기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는 일일이 사업장의 정보를 얻고자하는 불필요한 행동을 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도3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카페나 호프집, 음식점,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에 위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 이동통신사 서버(14),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 스마트폰(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13)은 카페나 호프집,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 고유 주파수를 무선 송출하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로부터 사업장의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한다.
각각의 상기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는 스마트폰(13)에서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13) 고유 주파수와 함께 상기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해준다.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스마트폰(13)의 사용자들이 회원으로 등록된 카카오톡 혹은 올레톡이며,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 즉,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을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제공해준다.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이동통신사 서버(14)로부터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전송받으며,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와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해준다.
또한,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사업장의 사업주가 접속하여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정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수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사업장의 사업주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정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이동통신사 서버(14)와, 즉 스마트폰(13)의 사용자들이 가입된 카카오톡 혹은 올레톡과 협약에 의해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를 통해 사업장을 방문하는 사용자의 스마튼폰(13)에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해준다.
도4는 도3에 개시된 근거리 무선통신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가 지속적으로 무선 송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주변을 지나가게 되면 상기 사업장에 설치된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S21)
이때,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는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하게 된다.(S22)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23)
그래서,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이동통신사 서버(14)로 전송하게 된다.(S24)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카카오톡 혹은 올레톡에 가입된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하게 된다.(S25)
즉, 상기 스마트폰(13)에 탑재된 어플(APP)을 통해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카페나 호프집, 식당,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즉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범위 내에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들어오게 되면, 상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회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소셜 네트워크와 소셜 커머스를 매개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 즉 이벤트, 할인행사, 번호대기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도5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인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카페나 호프집, 음식점,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즉 특정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AP(11),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 스마트폰(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파이 AP(11)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카페나 호프집,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무선 송출하는, 즉 무선 송출하는 단말기이다. 특히 상기 와이파이 AP(11)를 구비한 사업장에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와 인터넷망 등과 같은 통신망을 매개로 실시간 통신 가능한 단말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업장 사업주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접속하여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수시로 등록할 수 있다.
물론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등록되는 정보는 사업장 사업주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수정 및 변경 가능하며, 반대로 상기 사업장의 사업주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정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각 사업장으로부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서버로서 사업장을 찾은 사용자의 스마트폰(13)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회원으로 등록하는 스마트폰(13) 사용자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다.
또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각종 어플을 공급하는 통상의 포탈 사이트와 함께 사용자들에게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업장으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할인쿠폰 등과 같은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업장으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할인쿠폰 등과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한 스마트폰으로서 와이파이 AP(11)로부터 사업장별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스마트폰(13)은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포함해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파수의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처리용량을 줄이기 위해 와이파이 맥어드레스를 통한 필터링에 의한 탑재된 어플을 위한 주파수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 처리함으로써 스마트폰(13)의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더러 스마트폰(13)에 걸리는 부하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스마트폰(13)으로부터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와이파이 주소를 가지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사업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도5에 개시된 근거리 무선통신인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각 사업장에 위치한 와이파이 AP(11)는 해당 사업장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계속해서 무선 송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해당 사업장 주변을 지나가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13)이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S31)한 경우 스마트폰(13)은 이를 다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재전송하게 된다(S32).
상기 스마트폰(13)으로부터 특정 사업장의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읽어와 스마트폰(13)으로 전송한다(S33).
즉,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제공받아서 스마트폰(13)에 탑재된 어플(APP)을 통해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카페나 호프집, 식당,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즉 와이파이 범위 내에 사용자가 들어오면,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사용자에게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 즉 이벤트, 할인행사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7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인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제4실시예에 의한 구성도이다.
카페나 호프집,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즉 특정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AP(11),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 스마트폰(13), 이동통신사 서버(14)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파이 AP(11)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카페나 호프집,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무선 송출하는, 즉 무선 송출하는 단말기이다. 특히 상기 와이파이 AP(11)는 구비한 사업장에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와 인터넷망 등과 같은 통신망을 매개로 실시간 통신 가능한 단말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업장 사업주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접속하여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가맹점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수시로 등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등록되는 정보는 사업장 사업주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수정 및 변경 가능하며, 반대로 상기 사업장의 사업주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정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스마트폰(13)의 사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각 사업장으로부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이벤트나 할인행사, 사업장 정보, 번호대기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사와의 협약에 의해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이동통신사 서버(14)를 통해 사업장을 찾은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각종 어플을 공급하는 통상의 포탈 사이트와 함께 사용자들에게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업장으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할인쿠폰 등과 같은 소정의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업장으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할인쿠폰 등과 같은 소정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한 스마트폰으로서 와이파이 AP(11)로부터 사업장별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여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마트폰(13)을 소지한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에 SNS, 즉 카카오톡 혹은 올레톡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13)은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포함해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파수의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처리용량을 줄이기 위해 와이파이 맥어드레스를 통한 필터링에 의해 탑재된 어플을 위한 주파수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 처리함으로써 스마트폰(13)의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을뿐더러 스마트폰(13)에 걸리는 부하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스마트폰(13)으로부터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고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상기 와이파이 주소를 가지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사업장 주변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사용자가 특정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지나갈 때마다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이동통신사 서버(14) 자체가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넘겨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도8은 도7에 개시된 시스템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인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각 사업장에 위치한 와이파이 AP(11)는 해당 사업장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계속해서 무선 송출한다(S41).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해당 사업장 주변을 지나가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13)이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S42)한 경우 스마트폰(13)은 이를 다시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재전송하게 된다(S43).
상기 스마트폰(13)으로부터 특정 사업장의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한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44).
그리하면,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읽어와 이동통신사 서버(14)로 전송한다(S45). 그 후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전송받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문자 메시지 등)를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S46)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카카오톡 혹은 올레톡에 가입된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스마트폰(13)에 탑재된 어플(APP)을 통해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카페나 호프집, 식당, 은행 등과 같은 사업장, 즉 와이파이 범위 내에 사용자가 들어오면,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회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 즉 소셜 네트워크와 소셜 커머스를 매개로 사용자에게도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 즉 이벤트, 할인행사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1 : 와이파이 AP 12 :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
13 : 스마트폰 14 : 이동통신사 서버
15 : 블루투스 AP

Claims (24)

  1. 사용자의 스마트폰(13)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각각의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경우,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 전송하는 제2단계;및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13)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3)은 고유 주파수를 계속해서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는 대상이 되는 사용자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는 사업장의 사업주가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6. 고유 주파수가 무선 송출되는 스마트폰(13)과,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지며, 상기 스마트폰(13)에서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전송해주는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와,
    상기 사업장과 해당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와 스마트폰(13)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
  7. 사용자의 스마트폰(13)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각각의 사업장에 위치하여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진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경우,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에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상기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3단계;및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에 들어온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3)은 고유 주파수를 계속해서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는 대상이 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사 서버(14)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이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카카오톡 또는 올레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는 사업장의 사업주가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2. 고유 주파수가 무선 송출되는 스마트폰(13)과,
    각각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사업장별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가지며, 상기 스마트폰(13)에서 무선 송출되는 고유 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와 상기 스마트폰(13)의 고유 주파수를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해주는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와,
    상기 사업장과 해당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와,
    상기 블루투스 AP(15) 또는 와이파이 AP(11)에서 전송된 블루투스 주소 또는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전송받아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
  13. 각 사업장에 위치한 와이파이 AP(11)으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사업장별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3)이 사업장의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13)에서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와이파이 주소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된 상기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읽어와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의 와이파이 AP(11)는 사업장의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계속해서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는 대상이 되는 사용자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는 사업장의 사업주가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18. 각 사업장에 위치하여 해당 사업장의 고유 주파수를 가진 와이파이 주소를 무선 송출하는 와이파이 AP(11)와,
    상기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전송하는 스마트폰(13)과,
    상기 사업장과 해당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와 스마트폰(13)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13)으로부터 전송된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
  19. 각 사업장에 위치한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사업장별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와이파이 주소를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서 수신하였는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3)이 사업장의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13)에서 수신한 해당 사업장의 와이파이 주소를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각각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상기 와이파이 주소와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3단계;및
    상기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에 들어온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AP(11)는 사업장의 고유 주파수를 가진 와이파이 주소를 계속해서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는 대상이 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사 서버(14)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이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14)는 카카오톡 또는 올레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3)은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어플(APP)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3)에 전송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는 사업장의 사업주가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24. 각 사업장과 상기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는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와,
    상기 사업장에 위치하여 해당 사업장의 고유 주파수를 가진 와이파이 주소를 무선 송출하는 와이파이 AP(11)와,
    상기 와이파이 AP(11)에서 무선 송출되는 와이파이 주소를 수신하여 이동통신사 서버(14)에 전송하는 스마트폰(13)과,
    상기 스마트폰(13)에서 전송된 와이파이 주소에 상응하는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를 사업장 홍보 관리 서버(12)로부터 전송받아 스마트폰(13)에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20141705A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40073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705A KR20140073811A (ko)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705A KR20140073811A (ko)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11A true KR20140073811A (ko) 2014-06-17

Family

ID=5112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705A KR20140073811A (ko)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8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49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based on geographic locations visited by mobile device users
JP6612334B2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デバイス
AU20132595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in-store retail experience using location awareness
US20140136312A1 (en)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140279014A1 (en) Push notifications for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CN105243569A (zh) 一种利用优惠券分享进行的社交营销系统及其方法
US201300134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GEO-Based Offers on a Mobile Advertising Display Device
JP5307306B1 (ja) 広告サーバ、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用プログラム
JP2009533954A (ja) メディアメッセージを提供するために無線ビーコンブロードキャスト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201200658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with mobile terminal
JP2013535160A (ja) WiFi近接メッセージング
JP5470102B2 (ja) 携帯端末、車載端末、スタンプカード管理方法、およびスタンプカード管理プログラム
JP6580499B2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方法、およ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KR101033853B1 (ko) 위치기반서비스(lbs)의 로컬존 네트워크망과 소셜네트워크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형 온라인 광고 장치 및 방법
CN102209068A (zh) 服务平台及其广告信息发布方法、广告信息发布系统
KR10101831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바이럴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41277A (ko)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CN102236857A (zh) 服务平台及其广告信息发布方法
CN102238221A (zh) 服务平台及其广告信息发布方法
KR101198154B1 (ko) 위치기반 가맹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가맹점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040065580A (ko) 메시지 전파 방법 및 이를 위한 대응하는 통신 장치들
KR10154257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추천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Lee et al. An NFC-based O2O service model in exhibition-space
KR20170050502A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수집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40073811A (ko)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