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517A -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 주파수 대역들 사용 - Google Patents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 주파수 대역들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517A
KR20140073517A KR1020147008818A KR20147008818A KR20140073517A KR 20140073517 A KR20140073517 A KR 20140073517A KR 1020147008818 A KR1020147008818 A KR 1020147008818A KR 20147008818 A KR20147008818 A KR 20147008818A KR 20140073517 A KR20140073517 A KR 2014007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frequency
lte
controller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398B1 (ko
Inventor
잉 카이
지환 피. 최
희-링 루
블라단 페트로빅
추샹 리
Original Assignee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7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대응하는 방법들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가진 장치는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및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1 송수신기와,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상기 송신기가 상기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지며;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중재기와;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재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 주파수 대역들 사용{USING FREQUENCY BANDS CHARACTERIZED BY TYPE OF UNWANTED INTERFERENCE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9월 12일자로 출원된 발명이 명칭이 "Using Frequency Bands Characterized by Type of Unwanted Interference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611,174호의 우선권 및 2011년 9월 14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Frequency Operation Indication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534,675호의 이득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접한 또는 중첩되는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간섭(interference)을 회피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핸드헬드 플랫폼들을 위한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의 대중성(popularity)은 단일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무선 통신 기술들을 통합할 필요가 있게 해왔다. 그러나, 이 기술들 중 일부의 주파수 대역들은 결과적으로 간섭이 초래되기에 충분히 가깝다. 예를 들어, 비-라이센스된 2.4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은 모바일 무선 표준들(MWS) 기술들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들의 일부에 인접해서 결과적으로 인접 채널 간섭이 초래된다. 스마트폰들과 같은 많은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ISM 및 MWS 기술들 둘 모두는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전화 통화를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을 채용하고, 로컬 영역 네트워킹을 위해 WiFi를 채용하며 그리고 헤드셋을 위해 블루투스를 채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부터의 LTE 송신들은 유입 블루투스 및 WiFi 신호들과 인접 채널 간섭을 야기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블루투스 및 WiFi 송신들은 유입 LTE 신호들과 인접 채널 간섭을 야기할 것이다. 이 인접 채널 간섭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연결된 MWS 기지국들에서도 성능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 양상에서, 일 실시예는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장치는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및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1 송수신기와,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송신기가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지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중재기와,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재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장치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각각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기는 정보 신호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고, 그리고 중재기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은 스퓨리어스 방사(spurious emissions) 및 대역외 방사(out-of-band emission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일 양상에서, 일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방법은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가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유형으로 특징지어지고,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각각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들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대역외 방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일 양상에서, 일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이 수록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기능들은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는 것과,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지고,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것과,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각각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들은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것과, 여기서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들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대역외 방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들의 세부사항들은 첨부된 도면들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다. 다른 특징들이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 그리고 특허 청구 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2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에 따른 주파수 영역들의 선택을 도해적으로 예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여기서 중재기는 LTE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LTE 채널들에 근거하여 WiFi MAC에 WiFi 채널들을 할당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여기서 중재기는 WiFi MAC에 의해 사용되는 WiFi 채널들에 근거하여 LTE 디바이스에 LTE 채널들을 할당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각각의 도면 부호의 선두 숫자(들)는 그 도면 부호가 처음 나타나는 도면의 번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들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상기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통신 기술들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고, 그래서 인접 채널 간섭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MWS 기술들에 의해 사용되는 일부 대역들은 ISM 주파수 대역에 인접해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간섭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는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들로부터 비롯된다. 예를 들어, WiFi 및 블루투스 둘 모두는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다른 통신 시스템(100)의 요소들을 도시한다. 비록,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통신 시스템(100)의 요소들이 일 구성으로 제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구성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0)의 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는 통신을 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UE)(102)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기기(10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102)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기타 등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2)의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2)는 여러 가지 무선 기술들을 채용하는 복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송수신기들은 MWS 송수신기 및 ISM 대역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개수의 송수신기들 및 다른 조합의 무선 기술들이 대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WS 송수신기들은 LTE 송수신기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송수신기들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고, ISM 대역 송수신기들은 WiFi 송수신기들, 블루투스 송수신기들, ZigBee 송수신기들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들은 두 개의 MWS 송수신기들 또는 두 개의 ISM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SM 대역 기기는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들, 주파수 변조(FM) 라디오 수신기들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수신-전용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송수신기들은 WiFi 매체 액세스 제어기(MAC)(104) 및 LTE 디바이스(1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특히, WiFi MAC(104)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10)을 사용하고, LTE 디바이스(108)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14)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10, 114)은 조합될 수 있다.
WiFi MAC(104)은 수신기(WiFi Rx)(116), 송신기(WiFi Tx)(118) 및 WiFi 제어기(106)를 포함한다. LTE 디바이스(108)는 수신기(LTE Rx)(120), 송신기(LTE Tx)(122) 및 LTE 제어기(112)를 포함한다. WiFi MAC(104)은 (여기에 WiFi 신호들(124)로도 지칭되는) 무선 WiFi 프로토콜 신호들(124)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110)를 사용한다. LTE 디바이스(108)는 (여기에 LTE 신호들(126)로도 지칭되는) 무선 LTE 프로토콜 신호들(126)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들(114)을 사용한다.
사용자 기기(102)는 또한, 중재기(128)를 포함한다. 중재기(128), LTE 제어기(112) 및 WiFi 제어기(1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로서 제조될 수 있다. 중재기(128)는 채널 맵(138)을 포함한다. 채널 맵(138)은 중재기(128)의 내부 메모리에 혹은 중재기(128) 외부의 메모리에 혹은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다. 중재기(128)는 송수신기들(104, 108)로부터 정보 신호들(130, 132)을 수신하고, 송수신기들(104, 108)에 제어 신호들(134, 136)을 제공한다. 중재기(128)는 WiFi MAC(104)로부터 정보 신호들(130)을 수신하고, WiFi MAC(104)에 제어 신호들(134)을 제공한다. 중재기(128)는 LTE 디바이스(108)로부터 정보 신호들(132)을 수신하고, LTE 디바이스(108)에 제어 신호들(136)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신호들(130, 132) 및 제어 신호들(134, 136)의 모두가 사용되지는 않는다.
정보 신호들(130, 132)은 무선 신호들(124, 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들의 표시들을 각각 포함한다. 무선 신호들(124, 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들의 표시들은 수신기들(116, 12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들(124, 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들의 표시들, 무선 신호들(124, 126)을 송신하는 송신기들(118, 122)에 의해 채용되는 무선 신호들(124, 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들의 표시들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들은 현재의 주파수 영역들뿐만 아니라 계획된 향후의 주파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표시된 주파수 영역들은 주파수 영역들에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에 관계없이 선택된다. 그러나, 다중-송수신기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송수신기에 의해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타입들은 다중-송수신기 디바이스에서 다른 수신기의 채널들에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정도들까지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은 원하지 않는 간섭의 두 가지 타입 즉, 스퓨리어스 방사 및 대역 외 방사를 고려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이 원하지 않는 간섭의 다른 타입들까지 쉽게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스퓨리어스 방사 및 대역 외 방사는 요구되는 신호가 송신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한 간섭으로 정의된다. 대역 외 방사는 변조 프로세스로부터 비롯되는 채널 대역폭의 바로 외부에 있는 주파수들 상의 방사이지만, 스퓨리어스 방사들을 배제한다. 스퓨리어스 방사는 채널 대역폭의 외부에 있는 주파수들 상의 방사이지만 대역 외 방사들을 배제한다. 스퓨리어스 방사들은 고조파 방사들, 기생 방사들, 상호 변조 기생 신호(intermodulation products) 및 주파수 변환곱(frequency conversion products)을 포함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수신기의 주파수 영역들은 채널들에서의 무선 신호들의 송신에 의해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에 따라 선택된다. 도 2는 20MHz LTE 채널(202)에 대한 이 선택을 도해적으로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채널(202)은 두 개의 영역들 즉, 중앙 영역(영역 0) 및 에지 영역(영역 1)으로 분할된다. 중앙 영역 0은 데이터 채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높고, 에지 영역 1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과 같은 제어 체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높다. LTE 릴리즈 8 및 9에서, PUCCH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동시에 송신되지 않을 것이다. LTE 데이터 채널은 일반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수송하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LTE 제어 채널보다 많은 LTE 업링크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받는다. 예를 들어, LTE 제어 채널은 일반적으로 6개보다 적은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받고, LTE 데이터 채널은 일반적으로, 10MHz와 같은 LTE 대역폭이 할당될 대 10개보다 많은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받는다. 그 결과, 중앙 영역 0은 대역 외 방사들로 특징지어지고, 에지 영역 1은 스퓨리어스 방사로 특징지어진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함께 위치된(co-located) WiFi MAC(104)에 가용한 채널의 선택의 이러한 차이를 채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신호(132)는 LTE 디바이스(108)에 의해 채용되는 LTE 주파수 영역을 중재기(128)에 알려준다. 이 LTE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중재기(128)는 WiFi MAC(104)에 의한 사용에 가용한 하나 이상의 WiFi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고, 제어 신호들(134)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용한 주파수 채널들을 WiFi MAC(104)에 알려준다. 예를 들어, 중재기(128)는 LTE 디바이스(108)에 의해 채용되는 LTE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가용한 WiFi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기 위해 채널 맵(138)을 채용한다. 예시적인 매핑이 표 1에 도시된다.
LTE 주파수 영역 가용한 WiFi 주파수 채널들
0 3 - 11
1 5 - 11
표 1을 참조하면,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지는 LTE 주파수 영역들을 채용하는 것의 이득이 보여질 수 있다. LTE 영역 0은 대역 외 방사로 특징지어지고, LTE 영역 1은 스퓨리어스 방사로 특징지어진다. 스퓨리어스 방사는 일반적으로 대역 외 방사보다 넓은 대역이고, 그래서 대역 외 방사보다 많은 WiFi 채널들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LTE 디바이스(108)가 LTE영역 1에서 송신할 때보다 LTE 디바이스(108)가 LTE영역 0에서 송신할 때 많은 WiFi 채널들이 가용하다.
유사한 매핑들이 다른 종류의 송수신기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기기(102)는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중재기(128)는 LTE 디바이스(108)에 의해 채용되는 LTE 주파수 서브-영역에 근거하여 가용한 블루투스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기 위해 채널 맵(138)을 채용한다. 예시적인 매핑이 표 2에 도시된다.
LTE 주파수 서브-영역 가용한 블루투스 주파수 채널들
0 11 - 79
1 21 - 79
일부 실시예들에서, LTE 주파수 영역들은 비 균일한 대역폭들을 가진 LTE 주파수 서브-영역들로 분할된다. 일 송수신기에서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채널들은 사용자 기기(102)에서의 다른 송수신기에 대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레벨들의 간섭을 생성한다. 주파수의 관점에서, LTE 채널이 WiFi 채널에 가까울수록, LTE 송신은 그 WiFi 채널에 간섭을 더 생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WiFi 대역에 가까운 LTE 서브-영역들은 WiFi 대역으로부터 먼 LTE 서브-영역들보다 좁다(narrow). 일 실시예에서, 정보 신호들(132)은 LTE 디바이스(108)에 의해 채용되는 LTE 주파수 서브-영역을 중재기(128)에 알려준다. 이 LTE 주파수 서브-영역들에 근거하여, 중재기(128)는 WiFi MAC(104)에 의한 사용에 가용한 하나 이상의 WiFi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고, 제어 신호들(134)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용한 주파수 채널들을 WiFi MAC(104)에 알려준다. 예를 들어, 중재기(128)는 LTE 디바이스(108)에 의해 채용되는 LTE 주파수 서브-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가용한 WiFi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기 위해 채널 맵(138)을 채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재기(128)는 상술된 바와 같이 WiFi MAC(104)에 채널들을 할당하기 위해 채널 맵(138)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중재기(128)는 예컨대 LTE와 WiFi 동작 영역들 사이에 충분한 주파수 간격(gap)들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램가능한 임계(threshold)들 또는 주파수 오프셋(offset)들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방식으로 WiFi MAC(104)에 채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주목할 점으로서, 도 2 및 표 1 내지 2의 매핑들 및 영역들은 예로서 도시된 것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매핑들 및 영역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중재기(128)가 LTE 디바이스(108)에 의해 사용되는 LTE 채널들에 근거하여 WiFi MAC(104)에 WiFi 채널들을 할당하는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기기(102)에 대한 프로세스(300)를 도시한다. 비록,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300)의 요소(element)들이 일 구성으로 제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구성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300)의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순서로, 동시에 및 기타 등등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300)의 일부 요소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일 요소가 실행된 직후에 타 요소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300)의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자동적으로 즉, 사람의 개입(human intervention)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02)에서, LTE 제어기(112)는 복수의 LTE 주파수 영역들 중 LTE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고, 여기서 각각의 LTE 주파수 영역은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다. LTE 주파수 영역은 예컨대, eNB 또는 eNodeB(LTE evolved Node B)로서도 지칭되는 기지국에 의해 LTE 디바이스(108)에 할당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단계(304)에서, LTE 디바이스(108)는 LTE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파수 영역에서 무선 신호들(126)을 송신한다.
단계(306)에서, LTE 제어기(112)는 선택된 LTE 주파수 영역을 중재기(128)에 알려준다. 특히, LTE 제어기(112)는 정보 신호(132)를 제공하며, 상기 정보 신호(132)는 선택된 LTE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정보 신호(132)는 상기 표 1에 나열된 LTE 주파수 영역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정보 신호(132)에 응답하여, 중재기(128)는 예컨대, 상술된 바와 같이, 정보 신호(132)에 근거하여 가용한 WiFi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한다. 단계(310)에서, 중재기(128)는 상기 선택된 WiFi 주파수 채널들을 WiFi MAC(104)에 알려준다. 특히, 중재기(128)는 제어 신호(134)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 신호(134)는 상기 선택된 WiFi 주파수 채널들을 나타낸다. 단계(312)에서, WiFi MAC(104)은 그 다음,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WiFi 주파수 채널들 상에서 WiFi 신호들(124)을 송수신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은 또한, WiFi MAC(104)에 의해 사용되는 WiFi 채널에 근거하여 가용한 LTE 채널들을 선택하기 위해 중재기(12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중재기(128)가 WiFi MAC(104)에 의해 사용되는 WiFi 채널들에 근거하여 LTE 디바이스(108)에 LTE 채널들을 할당하는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기기(102)에 대한 프로세스(400)를 도시한다. 비록,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400)의 요소들이 일 구성으로 제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구성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400)의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다른 순서로, 동시에 그리고 기타 등등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400)의 일부 요소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일 요소가 실행된 직후에 타 요소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400)의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자동적으로, 즉 사람의 개입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02)에서, WiFi 제어기(106)는 복수의 WiFi 주파수 영역들 중 WiFi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고, 각각의 WiFi 주파수 영역은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다. 후속적으로, 단계(404)에서, WiFi MAC(104)은 WiFi 프로토콜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 영역에서 무선 신호들(124)을 송신한다.
단계(406)에서, WiFi 제어기(106)는 선택된 WiFi 주파수 영역을 중재기(128)에 알려준다. 특히, WiFi 제어기(106)는 정보 신호(130)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 신호(130)는 선택된 WiFi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단계(408)에서, 정보 신호(130)에 응답하여, 중재기(128)는 예를 들어, 가용한 WiFi 채널들의 선택에 대해 상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 신호(130)에 근거하여 가용한 LTE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한다. 단계(410)에서, 중재기(128)는 선택된 LTE 주파수 채널들을 LTE 디바이스(108)에 알려준다. 특히, 중재기(128)는 제어 신호(136)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신호(136)는 선택된 LTE 주파수 채널들을 나타낸다. 단계(412)에서, LTE 디바이스(108)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LTE 주파수 채널들 상에서 LTE 신호들(126)을 송수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아래의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LTE 기지국의 관점에서, 다운링크 리소스(downlink resource)가 사용자 기기(102)로부터의 WiFi 송신들과의 잠재적으로 높은 간섭으로부터 비롯되는 비성공적인 트랜잭션들에 관여하게 되는 것을 면하게 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리소스는 다른 사용자 기기(102)에 대해 사용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기지국에 대한 리소스 이용 효율이 좋아지게 한다. 사용자 기기(102)의 WiFi 디바이스들의 관점에서, WiFi 수신 리소스가 LTE 업링크 패킷들과의 잠재적으로 높은 간섭으로부터 비롯되는 비성공적인 수신 트랜잭션들을 면하게 된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장점들이 기존 3GPP LET 표준들을 변경함 없이 달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유형으로 수록된 컴퓨터 프로그램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프로세스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이들에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송신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고-레벨 절차형 또는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요구되는 경우 어셈블리 또는 기계 언어로 구현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언어는 컴파일형 또는 해석형 언어일 수 있다.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모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들은 판독-전용 메모리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탈착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자기-광학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및 고체-상태 디스크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유형으로 수록하기에 적절한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탈착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자기-광학 디스크들 및 C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것들 중 어느 것이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로 대체되거나 ASIC들에 통합될 수 있다.
다수의 구현들이 기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구현들은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0)

  1. 장치로서,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및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1 송수신기와,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상기 송신기가 상기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interference)의 각각의 타입(type)으로 특징지어지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중재기(arbiter)와;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재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MWS(Mobile Wireless Standard) 프로토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각각은 ISM 대역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정보 신호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고; 그리고
    상기 중재기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은 스퓨리어스 방사(spurious emissions) 및 대역 외 방사(out-of-band emission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제1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8. 청구항 제1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디바이스.
  9.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지고;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각각은 ISM 대역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대역 외 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15.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이 수록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기능들은: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는 것과,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영역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간섭의 각각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지고;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제어기가 선택한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것과; 그리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에서만 제2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제15항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ISM 대역 프로토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은 MWS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각각은 ISM 대역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들은: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것과, 여기서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영역들 중 상기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대역 외 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47008818A 2011-09-14 2012-09-13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 주파수 대역들 사용 KR101979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4675P 2011-09-14 2011-09-14
US61/534,675 2011-09-14
US13/611,174 2012-09-12
US13/611,174 US8879999B2 (en) 2011-09-14 2012-09-12 Using frequency bands characterized by type of unwanted interference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PCT/US2012/055082 WO2013040162A1 (en) 2011-09-14 2012-09-13 Using frequency bands characterized by type of unwanted interference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517A true KR20140073517A (ko) 2014-06-16
KR101979398B1 KR101979398B1 (ko) 2019-05-16

Family

ID=4783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818A KR101979398B1 (ko) 2011-09-14 2012-09-13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 주파수 대역들 사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79999B2 (ko)
EP (1) EP2756600B1 (ko)
JP (1) JP6150350B2 (ko)
KR (1) KR101979398B1 (ko)
CN (1) CN104025460B (ko)
WO (1) WO20130401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80A1 (ko) * 2014-06-20 2015-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5684B2 (en) * 2011-09-14 2015-11-10 Marvell World Trade Ltd Using non-uniform frequency bands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9801115B2 (en) * 2013-09-04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operations in unlicensed spectrum
US9319901B2 (en) * 2013-09-04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ameter sele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GB2539363A (en) 2014-06-12 2016-12-2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9420588B2 (en) * 2014-07-30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WLAN packet-by-packet bandwidth scheduling for LTE coexistence
EP3761693A1 (en) 2014-11-07 2021-01-06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uplink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method
US9730014B2 (en) * 2014-12-22 2017-08-08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LTE, wi-fi, and bluetooth coexistence
US10356710B2 (en) * 2015-05-01 2019-07-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to utilize channels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11165469B2 (en) * 2015-06-26 2021-11-02 Motorola Mobility Llc RF-antenna archite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8282885B (zh) * 2017-01-06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CN106851762B (zh) * 2017-02-06 2019-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wifi吞吐量的控制方法及装置
US10506592B2 (en) * 2017-04-04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or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channels
IL280438A (en) * 2021-01-26 2022-08-01 Rafael Advanced Defense Systems Ltd A method and system for coexistence and continuous reduction in a multi-purpose ple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0206A1 (en) * 2001-09-27 2003-03-27 Erkka Sointula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mutual interference when co-locating mobile station and bluetooth systems
EP1463365A2 (en) * 2003-03-07 2004-09-29 Nokia Corporation Method, transceiver unit and wireless terminal for avoiding interference by selecting a frequency range not including harmonic frequencies of another colocated transceiver means
WO2006053951A1 (en) * 2004-11-22 2006-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adio access
US20090143095A1 (en) * 2007-11-14 2009-06-04 St Wireless Sa Inter-mode interference prevention i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US20110105027A1 (en) * 2009-10-29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Bluetooth introduction sequence that replaces frequencies unusable due to other wireless technology co-resident on a bluetooth-capable device
KR20110057135A (ko) * 2008-08-11 2011-05-3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576A (en) * 1984-11-16 1989-06-06 Electrospace Systems, Inc. Antenna tracking system
US7583935B2 (en) * 2005-07-08 2009-09-01 Telcom Ventur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co-channel interference
GB2437586A (en) * 2006-04-27 2007-10-31 Motorola Inc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7978784B2 (en) * 2007-04-20 2011-07-12 Marvell International Ltd. Antenna selection and training using a spatial spreading matrix for use in a wireless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379671B2 (en) * 2009-01-30 2013-02-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echniques for extracting a control channel from a received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35204B2 (en) * 2009-01-30 2012-12-18 Wi-Lan,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TV white space spectrum and long term evolution system architecture
US8811241B2 (en) 2009-11-17 2014-08-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existence of plural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s in close proximity
US8819219B2 (en) 2009-12-23 2014-08-26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8331887B2 (en) * 2009-12-30 2012-12-11 Silicon Laboratories Inc. Antenna diversity system with multiple tuner circuits having multiple operating modes and methods
WO2011083568A1 (ja) * 2010-01-06 2011-07-14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514796B2 (en) * 2010-04-01 2013-08-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mitting control data and user data on a physical uplink channel
WO2011157235A1 (en) 2010-06-18 2011-12-22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multiple radio transceivers within the same device platform
EP3322244B1 (en) 2010-10-19 2019-03-13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obile-assisted channel selection in devices having multiple radio transceiv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0206A1 (en) * 2001-09-27 2003-03-27 Erkka Sointula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mutual interference when co-locating mobile station and bluetooth systems
EP1463365A2 (en) * 2003-03-07 2004-09-29 Nokia Corporation Method, transceiver unit and wireless terminal for avoiding interference by selecting a frequency range not including harmonic frequencies of another colocated transceiver means
WO2006053951A1 (en) * 2004-11-22 2006-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adio access
US20090143095A1 (en) * 2007-11-14 2009-06-04 St Wireless Sa Inter-mode interference prevention i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KR20110057135A (ko) * 2008-08-11 2011-05-3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20110105027A1 (en) * 2009-10-29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Bluetooth introduction sequence that replaces frequencies unusable due to other wireless technology co-resident on a bluetooth-capable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0464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80A1 (ko) * 2014-06-20 2015-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65533A1 (en) 2013-03-14
CN104025460B (zh) 2015-12-23
JP6150350B2 (ja) 2017-06-21
EP2756600A1 (en) 2014-07-23
US8879999B2 (en) 2014-11-04
JP2014527380A (ja) 2014-10-09
EP2756600B1 (en) 2018-06-06
KR101979398B1 (ko) 2019-05-16
CN104025460A (zh) 2014-09-03
WO2013040162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398B1 (ko)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원하지 않는 간섭의 타입으로 특징지어진 주파수 대역들 사용
KR101969942B1 (ko)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공존을 위한 비-균일한 주파수 밴드들 이용
JP7016404B2 (ja) 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TWI716696B (zh) 無線通信方法和設備
US2017037455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user detection in spectrum sharing
US10142990B2 (en) Radio node,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in
US10841901B2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00029308A1 (en) Resource Process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e Protocols
CN109392138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和系统
EP363789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170041042A1 (en)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and relate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10034068A (ko) 자원 할당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WO2020061850A1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7172100A1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cellular networks
US9014751B1 (en) Using signal power levels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20210125006A (ko)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10139396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5336370A (zh) 传输随机接入信号的方法和装置
EP3751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rq inform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20093403A1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终端、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