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963A -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963A
KR20140069963A KR1020120137876A KR20120137876A KR20140069963A KR 20140069963 A KR20140069963 A KR 20140069963A KR 1020120137876 A KR1020120137876 A KR 1020120137876A KR 20120137876 A KR20120137876 A KR 20120137876A KR 20140069963 A KR20140069963 A KR 2014006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m
cameras
cctv
camer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희
정보흥
김대원
문화신
문용혁
김정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9963A/ko
Publication of KR2014006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7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additional device,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USB or hardware security module [H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12Details relating to cryptographic hardware or logic circuitry
    • H04L2209/127Trusted platform modules [T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은, 다수의 CCTV 및 IP 카메라들에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이 저장된 TPM(신뢰 보안 플랫폼 모듈)을 각각 탑재하고, 탑재된 상기 TPM을 이용하여 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에 상호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상호 인증에 기반하여 상기 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에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INTER-WORK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IP CAMERAS BASED ON TPM}
본 발명은 신뢰 보안 플랫폼 모듈(Trusted Platform Module, 이하 "TPM"이라 함)을 이용한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P 카메라에 장착되어 있는 TPM을 이용하여 IP 카메라 간의 상호 인증 및 연동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 각종 단말기 등에 대한 보안 위협이 급증하면서, 그 해결 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색 및 개발하고 있다. 이중, 소프트웨어적인 보안 방식이 대다수를 이루는데, 실제로 소프트웨어적인 보안 방식은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가 분실되거나 외부로부터 악의적으로 해킹될 경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적인 데이터가 외부로 고스란히 유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보안 방식은 암호화키가 쉽게 외부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해킹 시 아무런 보호 기능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드웨어를 사용한 보안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TCG(Trusted Computing Group, 이하 "TCG"라 함)의 TPM 칩이다.
구체적으로, TPM 칩은 CPU 프로세서와는 달리 단순히 키 값이나 패스워드, 디지털 인증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암호화 엔진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TPM 칩은 제조될 때 고유의 키인 EK(Endorsement Key)가 할당되고, 소유권 획득 과정을 통해 SRK(Storage Root Key)가 생성되며, 이 키 값들은 칩 외부로 유출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TPM 칩은 그 특성상 기존의 소프트웨어적인 보안 방식이 가지는 여러 취약점들을 보안할 수 있어, 근래 들어 사용자 및 관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TPM은 단말에 장착되어 단말 자체에 대한 플랫폼 무결성 검증, 보증 기능 및 로컬 검증(local verification) 기능을 제공하며, 차폐 영역(shielded location), 보호 능력(protected capabilities) 및 안전한 키 관리 체계, 물리적인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IP 카메라 간 상호 인증 및 연동 기능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관리해줄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Circuit television)은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범죄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CCTV 및 IP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지역적으로 설치 및 운영함으로써 사건/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도 1은 CCTV 및 IP 카메라를 이용한 종래의 일반적인 감시시스템에 대한 계통도로서, 다수의 CCTV 및 IP 카메라(102/1 ­ 102/4)로 구성되는 카메라 그룹(102),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104), 인증 및 접근 제어 서버(106), 게이트웨이(108) 및 클라이언트 그룹(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그룹(102) 내 CCTV 및 IP 카메라(102/1 ­ 102/4)는 일정한 공간에 설치된 촬영기기(예컨대, 카메라 등)를 통해 수집한 영상 정보를 폐쇄적인 유/무선 전송로를 통해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104)로 전송함으로써 특정인만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의 통신장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각 CCTV 및 IP 카메라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리보안 기술 중 하나로써, 특정 위치(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다음에,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104)는 각 CCTV 및 IP 카메라(102/1 ­ 102/4)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하고 영상을 감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며, 인증 및 접근 제어 서버(106)는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104)를 통해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의 보안을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접근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08)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2G, 3G, 4G 등)을 통신 경로로 하여 클라이언트 그룹(110) 내 각 클라이언트(111, 113, 115)와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104) 또는 인증 및 접근 제어 서버(106) 등을 연결하는 관문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그룹(110) 내 각 클라이언트(111, 113, 115)는 이동 통신망과 게이트웨이(108)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 혹은 인터넷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104)로부터 CCTV 및 IP 카메라의 영상을 전달받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 혹은 사용자로서,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모바일 폰(휴대 단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근래 들어, CCTV 및 IP 카메라의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CCTV 및 IP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사람의 얼굴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얼굴 인식 등을 통해 다양한 업무(예컨대, 범인 검거 등)를 자동 처리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유/무선 CCTV 및 IP 카메라,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 및 클라이언트 등과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관련 보안 위협과, 유/무선 CCTV 및 IP 카메라와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 간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과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관련 보안 위협 등 여전히 보안상 취약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67257호(공개일 : 2011. 06. 22.)
본 발명은, IP 카메라 간 발생될 수 있는 연동 기능 수행 시 TPM에 기반한 상호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 및 관리하고, IP 카메라 간 연동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현함으로써 여러 공공기관이나 사설업체들 간에 발생될 수 있는 중복투자를 지양하며, 다양한 공공기관 및 업체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서로 영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CCTV 및 IP 카메라들에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이 저장된 TPM(신뢰 보안 플랫폼 모듈)을 각각 탑재하고, 탑재된 상기 TPM을 이용하여 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에 상호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상호 인증에 기반하여 상기 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에 연동을 수행하는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뢰 보안 플랫폼 모듈(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은 CCTV 및 IP 카메라 간의 연동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투자를 방지함으로써 감시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다양한 공공기관 및 단체, 업체들이 서로 영상 정보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자 및 용의자 추적 및 검거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TPM에 기반한 상호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TPM이 제공해 주는 플랫폼 무결성 기능을 통해 보다 안전한 CCTV 및 IP 카메라 감시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CCTV 및 IP 카메라를 이용한 종래의 일반적인 감시시스템에 대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CCTV 및 IP 카메라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감시시스템에 대한 계통도.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CCTV 및 IP 카메라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감시시스템에 대한 계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다수의 CCTV 및 IP 카메라(202/1 ­ 202/4)로 구성되는 카메라 그룹(202),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204), 게이트웨이(206) 및 클라이언트 그룹(2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그룹(202) 내 CCTV 및 IP 카메라(202/1 ­ 202/4)는 일정한 공간에 설치된 촬영기기(예컨대, 카메라 등)를 통해 영상 정보 등을 수집(획득)하고, 이 수집된 영상 정보를 도시 생략된 유/무선 전송로(폐쇄적인 유/무선 전송로)를 통해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204)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CCTV 및 IP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폐쇄적인 유/무선 전송로를 통해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204)로 전송한다는 것은 특정인(예컨대, 관리자 등)만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의 통신장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CCTV 및 IP 카메라(202/1 ­ 202/4)에는 상호 연동될 CCTV 및 IP 카메라들의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 등이 저장된 TPM이 각각 탑재되는데, 이와 같이 탑재되는 TPM은 CCTV 및 IP 카메라 간의 상호 인증 및 상호 인증에 기반하는 연동 수행(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의 연동 수행)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TPM에 저장되는 CCTV 및 IP 카메라들의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 등은 안전 관리를 위해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상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 암호화된 정보들은 접근 권한을 소지한 관리자만이 TPM의 인증 과정을 득한 후 접근할 수 있도록 관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별도로 구비되는 인증 및 접근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CCTV 및 IP 카메라의 관리 기능, 인증 및 접근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던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각 CCTV 및 IP 카메라(202/1 ­ 202/4)에 탑재된 TPM을 활용하여 이러한 기능들을 대체 수행할 수 있다.
이때, TPM에 저장되는 CCTV 및 IP 카메라들의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 등은 감시시스템 관리자를 통해 TPM에 미리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기존 감시시스템과의 연동을 필요로 하는 CCTV 및 IP 카메라의 요청이 있을 때 추가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더 이상 연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CCTV 및 IP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TPM에 저장되어 사용되는 CCTV 및 IP 카메라들의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 등은 TPM이 제공하는 차폐 영역(shielded location), 보호 능력(protected capabilities) 및 물리적인 보안성을 기반으로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되는 CCTV 및 IP 카메라들은 TPM이 제공해 주는 플랫폼 무결성 검증, 보증 기능 및 로컬 검증(local verification)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CCTV 및 IP 카메라의 플랫폼 무결성 검증을 통해 보다 안전한 감시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TPM이 제공해 주는 안전한 키 생성 및 관리 기능, 다양한 암호 라이브러리 등을 CCTV 및 IP 카메라들 간에 송/수신되는 영상 정보(예컨대, 중요 영상 정보, 사건/사고 이벤트 발생 정보 등)가 외부로 유출되어 악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암호화 기능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호화된 정보들은 접근 권한을 소지한 관리자만이 TPM의 인증 과정을 득한 후 접근할 수 있도록 관리될 수 있다.
즉, TPM이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다양한 보안 기능과 TPM에 저장된 CCTV 및 IP 카메라들의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 등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CCTV 및 IP 카메라 감시시스템을 위협하는 도청, 재전송 공격, IP 교란, DoS/DDoS 공격 등에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불법 또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통한 개인 영상정보 저장 및 이용, 관리자/내부자에 의한 불법 감시 및 공격, 비인가된 사용자 또는 제 3자 침입에 의한 개인 프라이버시 정보 접근, 유출, 침해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을 예방할 수 있다.
더욱이, 각 CCTV 및 IP 카메라(202/1 ­ 202/4)에 각각 탑재되는 TPM에는 상술한 CCTV 및 IP 카메라들의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 이외에도 관리자가 보안상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에,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204)는, 전술한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CCTV 및 IP 카메라(202/1 ­ 202/4)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하고 영상을 감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206)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예컨대, 2G, 3G, 4G 등)을 통신 경로로 하여 클라이언트 그룹(208) 내 각 클라이언트(2081 - 2085)와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204) 등을 연결하는 관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그룹(208) 내 각 클라이언트(2081 - 2085)는 이동 통신망과 게이트웨이(206)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 혹은 인터넷을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204)로부터 CCTV 및 IP 카메라의 영상을 전달받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 혹은 사용자로서, 예컨대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모바일 폰(휴대 단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2 : 카메라 그룹
202/1 ­ 202/4 : CCTV 및 IP 카메라
204 : 영상 감시 및 관제 서버
206 : 게이트웨이
208 : 클라이언트 그룹
2081 ­ 2085 : 클라이언트

Claims (1)

  1. 다수의 CCTV 및 IP 카메라들에 식별 정보, 접근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 값이 저장된 TPM(신뢰 보안 플랫폼 모듈)을 각각 탑재하고,
    탑재된 상기 TPM을 이용하여 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에 상호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상호 인증에 기반하여 상기 각 CCTV 및 IP 카메라 간에 연동을 수행하는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KR1020120137876A 2012-11-30 2012-11-30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KR20140069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876A KR20140069963A (ko) 2012-11-30 2012-11-30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876A KR20140069963A (ko) 2012-11-30 2012-11-30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63A true KR20140069963A (ko) 2014-06-10

Family

ID=5112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876A KR20140069963A (ko) 2012-11-30 2012-11-30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99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intrusion on a cloud computing service
ES2627762T3 (es) Método y sistema para el acceso rápido a una visualización avanzada de las exploraciones médicas usando un portal web dedicado
US20170126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ndpoint hardware assisted network firewall in a security environment
US20140189356A1 (en) Method of restricting corporate digital information within corporate boundary
KR20120035299A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보호처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72085A1 (en) Protecting data in a storage device
KR101534307B1 (ko) 스마트기기를 통한 내부 기밀 자료 유출 방지 및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01792A (zh) 可信授权方法、系统、可信安全管理中心和服务器
Yoon et al. Remote security management server for IoT devices
Jha et al. Security considerations for Internet of Things
Fitwi et al. An agent-administrator-based security mechanism for distributed sensors and drones for smart grid monitoring
Alfaqih et al. Internet of things security based on devices architecture
CN105812338B (zh) 一种数据访问管控方法及网络管理设备
KR20130085473A (ko)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침입 탐지 시스템의 암호화 시스템
Aich et al. Study on cloud security risk and remedy
Lee et al. An efficient key management solution for privacy masking, restoring and user authentication for video surveillance servers
KR101237376B1 (ko) 스마트폰 통합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Bennasar et al. State-of-The-Art of cloud computing cyber-security
Ullah et al. Tcloud: Challenges And Best Practices For Cloud Computing
Al Ladan A review and a classifications of mobile cloud computing security issues
KR20140069963A (ko) Tpm을 이용한 카메라 간 연동 및 관리 방법
Goel et al. A review on security issues and challenges of mobile cloud computing and preventive measures
CN105592021A (zh) 一种新型内网安全防护方法
Monika et al. Data Security is the Major Issue in Cloud Computing-A Review
Jeganathan et al. Secure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rom attackers using intrusion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