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478A -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 Google Patents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478A
KR20140069478A KR1020120136765A KR20120136765A KR20140069478A KR 20140069478 A KR20140069478 A KR 20140069478A KR 1020120136765 A KR1020120136765 A KR 1020120136765A KR 20120136765 A KR20120136765 A KR 20120136765A KR 20140069478 A KR20140069478 A KR 20140069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axial cable
pedestal
electronic device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9193B1 (en
Inventor
훙-쉬엔 치우
첸-충 랴오
Original Assignee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2013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1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6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is allowed to be mounted on a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comprises an antenna coaxial cable, a radiative area, and an antenna pedestal. The antenna pedestal is a case member having a dielectric property inside the case or a separate dielectric base body. At least one base surface of the antenna pedestal is formed such that it is coupled with a shape of an electric conductor which correspondingly arranges the antenna pedestal inside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One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forms the radiative resonance area mounted on the antenna pedestal. A resonance assembly is formed in antenna shapes such as a monopole, groove hole type, etc. A radiative resonance negative pole area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does not peel an insulation enclosure such that a knitted mesh under the insulation enclosure is not exposed to a mesh surface, and enables the insulation enclosure to be tightly coupled with the electric conductor, thereby generating a communications radiation wave by using a current discontinuity.

Description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전자장치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전자장치에 있어서, 대부분의 안테나 재료들은 예컨대 경성 인쇄 회로 기판(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금속 박판 등을 선택하여 미리 소정의 사이즈로 제조 형성한 후, 소정의 사이즈로 탈피된 동축 케이블과 용접 또는 리베팅하여 조립한다. 동축 케이블의 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순차적으로 포지티브 컨덕터(심선(1)이라고도 함), 절연체(2), 그라운드 컨덕터(편직 메쉬(3)라고도 함), 절연외피(4)로 구성된다.In the electronic device, most of the antenna materials are manufactured by selecting a hard printed circuit board (PCB),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 metal thin plate, or the like in a predetermined size in advance, Assembled by welding or riveting the cable. The structure of the coaxial cable is such that a positive conductor (also referred to as a core wire 1), an insulator 2, a ground conductor (also referred to as a knitted mesh 3) (4).

하지만 안테나에 대한 사전 제조 성형이 시간과 원가를 증가할뿐더러, 소정의 사이즈로 탈피된 동축 케이블에 대한 커팅 시간과 원가를 보다 소요하며, 또한 작은 공간에서 안테나 용접기술을 실시하기에 장애가 상대적으로 크고, 동축 케이블과 조립시에도 불량률이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용접방식을 사용하여 조립하려면 공기 필터링 장치를 더 추가 구매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선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개량식 안테나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pre-manufacturing of antennas increases the time and cost, and it takes more time and cost to cut the coaxial cable that has been cu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obstacle to implement the antenna welding technique in a small space is relatively large , And the defect rate increases even when assembled with the coaxial cable. In addition, to assemble using the welding method, additional air filtering devices must be purchas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improved antenna for use in wireless electronic devices.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핸드헬드 타입의 전자장치 및 무선신호를 구비하는 장치 등 일수 있는 바, 예컨대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전화, 텔레비전 또는 무선 공유기 등 일수 있으며,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당해 케이스 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 안테나 모듈의 복사체 브라켓을 구비하는 구조와 상이하며, 상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케이스 내측의 유전 특성을 구비하는 케이스 부재(예컨대 전자장치 케이스 내측의 리브, 걸림 후크 등)이거나, 또는 케이스에서 직접 성형되어 연장된 별도의 유전체 재료 베이스 바디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which may be a desktop compute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device having a wireless signal, such as a laptop, tablet computer, Or a wireless router, and is equipped with a case to mount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in the case, and is different from a structure having a radiator bracket of a conventional antenna module.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includes an antenna coaxial cable, A resonance region and an antenna pedestal, wherein the antenna pedestal may be a case member having a dielectric property inside the case (for example, a rib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case, a hook or the like), or a separate dielectric material Base body.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된다(베이스 면의 형상은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을 구비하는 형상으로서 전자장치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베이스 면의 형상은 오직 평면으로서 접착제를 통해 전자장치 내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의 위치 형상에 접착되어 결합된다).At least one base surface of the antenna pedestal is coupled to a shape of an electrical conductor that corresponds to the antenna pedestal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shape of the base surface is a shape having a fixed post, rib, Or the shape of the base surface is bonded and bonded to the pos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in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dhesive only as a flat surface).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복수개의 관심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2.4GHz 및 5GHz에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으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예컨대 단극, 홈 구멍 타입의 형태 등 기타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아니하고 절연외피 아래의 편직 메쉬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절연외피와 무선 통신장치의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오직 전기 전도 어셈블리만 가리키거나, 또는 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재료일 수 있다)가 직접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특정 사이즈로 탈피하기 위한 커팅 및 웨팅에 소모되는 시간, 원가 및 포인트 용접 기술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고 수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 된다.One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forms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mounted on the antenna pedestal, and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can cover a plurality of interesting communication bands through th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may cover communication bands at 2.4 GHz and 5 GHz through a configuration, and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ther antennas such as a monopole, And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pole reg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does not dissipate the insulation sheath and does not expose the knitted mesh below the insulation sheath to the mesh surface so that the insulation sheath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Or the electrical conductor may b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ereby creating a communication radiation wave using the discontinuity of the curr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s such as the time consumed in cutting and wetting to cut the coaxial cable to a specific size, the cost and the welding technique, and improve the yield, which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 안테나 모듈의 복사체 브라켓을 구비하는 구조와 상이한,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안테나 동축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 그라운드 영역의 전환점으로부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말단까지 연장되어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응하게 일부 절연외피 부분의 편직 메쉬를 제거하여 절연체와 심선을 남김으로써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을 형성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부분 내측의 편직 메쉬는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유전체로 구성되며, 케이스 내의 전기전도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을 구비하여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이 다른 불필요한 전기 전도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호 효과가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can be achieved by 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different from a structure having a radiator bracket of a conventional antenna module, A module comprising: a coaxial cable and a radiation resonant region and an antenna pedestal, wherein the coaxial cable transmits a signal; Wherein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is located at one end side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extends from the turning point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ground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to form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The coaxial cable removes some insulating sheath from the cable body while correspondingly removing the knitted mesh of some insulating sheath to leave the insulator and the core wire to form the radiation resonant positive area, The knitted mesh inside the unremoved portion forms a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The antenna pedestal is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The antenna pedestal is disposed in an electric conductor in the case. The antenna pedestal is provided with a coaxial cable wire groov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in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Is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ther unwante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signal effect is stably maintained.

여기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내측 부재에 의해 직접 형성되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ntenna pedestal is preferably directly formed by the inner member of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base surface of the antenna pedestal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ductor correspondingly placing the antenna pedestal in the case.

또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별도의 유전체 재질의 베이스 바디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ntenna pedestal may be formed of a separate base body of a dielectric material, and at least one base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shape of the electric conductor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pedestal in the case.

또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에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이 구비되어 복사 공진 영역에 대한 고정과 안테나 특성에 대한 조절이 간편하도록 하며,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홈 사이즈는 복사 공진 영역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ntenna pedestal may be provided with a coaxial cable wire groove for easy fixing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adjustment of the antenna characteristics, and a groove size of a part or the whole of the coaxial cable wire groove may be a diameter To be tightly coupled.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않고 직접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와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is tightly coupled with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direct electronic device without breaking the insulating shell.

또한, 상기 전기전도체는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포함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 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대응하는 부착 위치의 편직 메쉬 외층의 적어도 일부분 절연외피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ductor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extends the resonance, attach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extends the resonance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attache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It is desirable to remove the insulating shell at least a portion of the knitted mesh outer layer at the corresponding attachment location.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의 엔드포인트에 위치하는 심선 및 편직 메쉬는 전기전도체의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콘덴서 효과와 균등한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wire and the knitted mesh located at the end point of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pole reg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ectric conductive layering method with an electric conductive material of the electric conductor to form a device equivalent to a capacitor effect, And optimize the bandwidth.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한 구간의 절연외피를 탈피하여 편직 메쉬를 노출하여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noise insulation is suppressed by disposing an insulation shell of one section at a specified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exposing the knitted mesh to install a noise suppression assembly.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한 후, 절연재료를 피복하여 그 기구 강도를 제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is mounted on the specified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by an electrical conduction lap joint method, and t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coated to enhan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또한, 상기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재료 배튼을 함께 성형하거나 또는 분리 성형하여 안테나 페데스탈에 부착함으로써 안테나의 다른 안테나에 대한 격리도를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desira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isola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other antennas by forming or separat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batten that extend the resonance to attach to the antenna pedestal.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복수개의 관심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2.4GHz 및 5GHz에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으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예컨대 단극, 홈 구멍 타입의 형태 등 기타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아니하고 절연외피 아래의 편직 메쉬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절연외피와 무선 통신장치의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오직 전기 전도 어셈블리만 가리키거나, 또는 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재료일 수 있다)가 직접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특정 사이즈로 탈피하기 위한 커팅 및 웨팅에 소모되는 시간, 원가 및 포인트 용접 기술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고 수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forms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mounted on the antenna pedestal, and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can cover a plurality of interested communication bands through th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may cover communication bands at 2.4 GHz and 5 GHz through a configuration, and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ther antennas such as a monopole, And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pole reg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does not dissipate the insulation sheath and does not expose the knitted mesh below the insulation sheath to the mesh surface so that the insulation sheath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Or the electrical conductor may b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ereby creating a communication radiation wave using the discontinuity of the current. 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vercoming problems such as time and cost and point welding technique for cutting and wetting to break a coaxial cable to a specific size and improving the yield.

도 1은 종래의 여러가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다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또 다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유형의 전자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2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3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4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의 제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의 제2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의 제3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사 공진 영역의 정극 엔드 포인트의 심선이 커팅된 편직 메쉬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에 대해 절연외피를 제거하지 않고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하여 연장한 공진 전기전도 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페데스탈의 제1 입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페데스탈의 제2 입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있어서 동축케이블의 편직 메쉬의 특정된 위치에 소정의 절연외피를 탈피하여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를 장착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있어서 동축케이블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동축케이블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동축케이블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의 수요에 따라, 전기전도재료 배튼(batten)을 증가하고, 안테나의 전류를 변화하여 안테나 격리도를 증가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의 수요에 따라 전기전도재료 배튼을 증가한 다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일반 단일 주파수 PIFA 안테나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단일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반 이중 주파수 PIFA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이중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axial cable used in various conventional electronic products.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of the type shown in FIG. 4 having an antenn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of the type shown in Figure 6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first structure of an antenna forming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a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e of the antenna form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third structure of an antenna forming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fourth structure of an antenna forming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a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structure of another possible form of antenna form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e of another possible form of antenna form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third structure of another possible form of antenna form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that a core of a positive electrode end point of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ut knitted mesh. FIG.
16 is a view showing a resonance electric conduction area of a coaxi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is attached and extended without removing an insulation shell.
17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ond stereoscopic view of an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noise suppressing assembly can be mounted by peeling off a predetermined insulation sheath at a specified position of a knitted mesh of a coaxial cable. FIG.
26 is a view showing that an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can be mounted on a coaxial cable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mounting an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on a coaxial cable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mounting an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on a coaxial cable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increasing the antenna conductance by increasing the electrical conducting material batten and varying the current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view showing another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 conductive material batten i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of th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table showing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of a general single frequency PIFA antenna measurement.
32 is a table showing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measurement of a single frequency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33 is a table showing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of a general dual frequency PIFA antenna module measurement.
FIG. 34 is a table showing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measurement of a dual frequency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FIG.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00)는 케이스(110)에 의해 적어도 한개 그룹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할 수 있으며(도면에는 두 개 그룹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도시 함), 상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복사 공진 영역(550) 및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케이스(110) 내측의 유전특성을 구비하는 케이스부재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전체 베이스 바디이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적어도 한쪽 베이스 면이 상기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에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대응하게 장착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 면의 형상은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음),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의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도면에 도시된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또는 후술하는 전기전도체로서 예컨대 전기 전도 재료(350)를 가리킴)의 형상과 맞물려 결합하며, 또는 베이스 면의 형상은 단지 평면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자장치(100)내의 대응하는 전기전도체의 위치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하고, 이 복사 공진 영역(55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 그라운드 영역의 전환점(전기전도체는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또는 후술하는 전기전도체로서 예컨대 전기 전도 재료(350)를 가리킴)으로부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말단까지 연장되며, 예컨대 단극, 홈구멍 타입의 형태 등 다른 안테나 형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사 공진 영역(550)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은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4)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응하게 일부 절연외피(4) 부분의 편직 메쉬(3)를 제거하여 절연체(2)와 심선(1)을 남김으로써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을 형성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4)를 제거하지 않은 부분 내측의 편직 메쉬(3)는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절연외피(4), 편직 메쉬(3), 절연체(2) 및 심선(1)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는 바, 도1을 참조하기 바람)을 형성하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 안테나 신호를 전송 및 접수하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심선(1)이고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이며, 만약 특정 신호의 수요에 의한다면 상기 복사 공진 영역(550)내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안테나 말단 부위에 일정 구간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절연외피(4) 및 편직 메쉬(3)를 보존하여 복사 엔드 포인트의 심선(1,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과 상기 보존한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를 전기 전도되게 연결함으로써 콘덴서 효과와 균등한 장치를 형성하여 안테나의 주파수 및 대역폭을 최적화 한다.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절연외피(4)를 탈피하지 아니하여 절연외피(4) 아래의 편직 메쉬(3)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절연외피(4)와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를 긴밀히 결합(절연외피(4) 및 편직 메쉬(3)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는 바 도1을 참조하기 바라며, 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또는 후에 도시하는 전기 전도 재료(350)일 수 있음)하여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하며, 이하에서는 전자장치(100) 및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각 부재에 대해 각각 더 설명하고자 한다.2 and 3,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group of coaxial cable antenna modules 500 by a case 110. In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can be mounted on the case 110 by means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the radiation resonant region 530. [ 550 and an antenna pedestal 510. The antenna pedestal 510 is a case member having a dielectric characteristic inside the case 110 or a separate dielectric base body as shown in the figure, At least one base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ductor correspondingly mounting the antenna pedestal 510 within the case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electrical conductor in the case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n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shown in the figure or an electrical conductor a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or the shape of the base surface is bonded and bonded to the location of a corresponding electrical conductor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an adhesive only as a plane, One end of the cable 530 forms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that is mounted to the antenna pedestal 510 and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ground region 53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electrical conductors refer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as shown 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a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o the distal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may be formed by removing some of the insulating sheath 4 from the cable body The radiation resonant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is formed by removing the insulator 2 and the core wire 1 by removing the knitted mesh 3 of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sheath 4 correspondingly and the cable body 530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The knitted mesh 3 inside the part that does not remove some of the insulating sheath 4 has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area 570 (the insulating sheath 4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the knitted mesh 3, the insulator 2 ) And the core wire 1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refer to FIG. 1), and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frequency antenna signals through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and the radiation resonance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 And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is an antenna coaxial cable And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is the knitted mesh 3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n the radiation resonant region 550, (1,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of the radiation end point and the insulation sheath 4 and the knitting mesh 3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of the predetermined section are stored in the terminal end portion of the antenna 530,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knitted mesh (3,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of the stored antenna coaxial cable 530 in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nner, a device equivalent to a capacitor effect is formed to optimize the frequency and bandwidth of the antenna.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does not dissociate the insulating sheath 4 so that the knitted mesh 3 under the insulating sheath 4 is not exposed to the mesh surface,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insulating envelope 4 and the knitted mesh 3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see FIG. 1), the electrical conductor is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Which may b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which may b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to generate a communication radiation wave using discontinuous currents, and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

전자장치(100)는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반드시 안테나에 의거하여 수신 또는 발신한다. 예컨대, 안테나는 컴퓨터, 휴대타입의 컴퓨터(예를 들면 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타입의 전자장치(예를 들면 이동전화) 및 무선신호장치(예를 들면 무선 공유기, 데이터 영상 저장), 텔레비전 등 전자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적절한 형태의 상황에 따르면, 안테나는 반드시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콤팩트한 전자장치에 수납되어야 한다(전자장치는 소형이면서 간편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장치의 내부 공간을 축소하면 할수록 제품의 가치를 창조할 수 있음). 이러한 콤팩트형 장치는 휴대 타입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즉 안테나를 구비 가능한 휴대 타입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손목시계 등 기타 몸에 지닐 수 있는 소형 장치 등 보다 작은 휴대 타입의 전자장치일지라도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또한 이동전화, 핸드헬드 타입의 컴퓨터, 리모컨, 라우터, 사진 스캔 비디오 무선 공유기, 게임기,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장치, 무선신호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Such wireless communication always receives or transmits based on an antenna. For example, the antenna may b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 portable computer (e.g., a tablet compute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e.g., a mobile phone) and a wireless signal device Can be installed in the device. According to a more appropriate form of the situation, the antenna must be housed in a relatively compact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evolves in a compact and easy way, so the smaller the interior space of the device, Lt; / RTI > Such a compact device may b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a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provided with an antenna. An electronic device that may be equipped with an antenna may also be a mobile phone, a handheld type computer, a remote control, a ro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A photo scanning video wireless router, a game machin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 a wireless signal device, and the like.

이러한 전자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케이스(110, 또는 외각이라 함)가 설치되며,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또는 기타 적절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케이스(110)의 일부분은 유전체 또는 기타 낮은 전기 전도율의 재료로 형성되어 안테나의 조작에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안테나가 장착 가능한 전자장치(예를 들면 휴대 타입의 컴퓨터)의 실시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하는 휴대 타입의 컴퓨터일 수 있다. 케이스(110)는 단일한 플레이트 바디일 수 있고, 상부 케이스(110A, 커버 또는 뚜껑이라고도 칭함)와 하부 케이스(110B, 케이스 저부 또는 메인 유닛이라고도 칭함)를 핀조인트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힌지(140)의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케이스 부분(110A 및 110B)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120)의 스크린은 상부 케이스(110A)의 표면에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130) 및 터치판(150)등 기타 어셈블리들은 하부 케이스(110B)에 장착할 수 있다. 키보드(130) 및 터치판(150)등의 기능은 터치형의 스크린으로 대체하여 케이스(110) 전체를 단일한 플레이트 바디로 구성할 수 있다. Such an electronic device 100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case 110 (or external angle), and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plastic, ceramic, metal, or other suitable material. In some cases, a portion of the case 110 is formed of a dielectric or other low electrical conductivity materia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antenna, and in this regard, For example, a portable type computer)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case 110. The case 110 may be a single plate body and may be constructed by pin jointing an upper case 110A (also referred to as a cover or a lid) and a lower case 110B (also referred to as a case bottom or a main unit). The case portions 110A and 110B may be rotatably connected using a hinge structure of the hinge 140, for example.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monitor 120 can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A. Other assemblies such as the keyboard 130 and the touch plate 15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case 110B. The function of the keyboard 130 and the touch plate 150 may be replaced with a touch type screen so that the entire case 110 may be formed of a single plate body.

전자장치(100) 중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장착하는 구역에 있어서, 노트북을 예로 들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는 구역(200), 구역(210) 및 구역(220)이다. 구역(200)은 하부 케이스(110B)의 왼쪽 앞측에 위치한다. 구역(210)은 하부 케이스(110B)의 오른쪽 후측에 위치한다. 구역(220)은 상부 케이스(110A)의 모니터(12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는 구역(230), 구역(240) 및 구역(250)에 위치할 수도 있다. 구역(230)은 전자장치(100)의 상부 케이스(110A)의 측변에 위치한다. 구역(240)은 상부 케이스(110A)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구역(250)은 상부 케이스(110A)의 하부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다른 적절한 안테나 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area where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as an example of a notebook, as shown in Fig. 4, a suitable position for installing the antenna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region 200 , Zone 210, and zone 220, respectively. The section 200 is located on the left front side of the lower case 110B. Zone 210 is located on the right rear side of lower case 110B. Zone 220 is located at the top edge of monitor 120 of upper case 110A. As shown in FIG. 5, the antenna may be located in zone 230, zone 240, and zone 250. Zone 230 is located on the side of upper case 110A of electronic device 100. [ Zone 240 is located at the edge of upper case 110A. Zone 25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upper case 110A. Other suitable antenna positions may be used in some cases.

다른 상기 전자장치(100)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전자장치의 실시예와 같으며, 도면에 도시한 전자장치(100)는 핸드헬드 타입의 전자장치로서, 예컨대 모바일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헬드 타입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장치(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또는 기타 적절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120)의 스크린은 전자장치(100)의 전방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6의 모니터(120)는 터치 스크린 모니터(일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장치(100)는 스피커 포트(170) 및 기타 입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160)의 한개 또는 복수개의 버튼은 유저로 하여금 사용자의 입력을 수집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110)에 의하여 전술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할 수 있으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상기 케이스(110)내의 구역(260)에 장착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위치는 도7의 구역(270)과 구역(28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역들은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일반적으로 전술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전자장치(100)내의 임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The other electronic device 10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s. 6 and 7,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shown in the figure is a handheld typ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d may be a handheld type device, and such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case 110.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plastic, ceramic, metal or other suit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monitor 12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monitor 120 of FIG. 6 may be a touch screen monitor (e.g., an exampl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speaker port 170 and other input / output ports. For example, one or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 button 160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by which a user can collect user's input.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on the case 110 by the case 110 and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may be mounted on the case 110, In the region 260 within the chamber. Other suitable locations include zone 270 and zone 280 of FIG. Thus, these area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example, and generally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at any suitable location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100.

상기와 같이 전자장치(100)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한 후, 도2 및 도3을 다시 설명한다면, 전자장치(100)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 접수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의 설계에 따라 특정된 필요한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하는 싱글 밴드(single band) 또는 멀티 밴드(multi band) 안테나(즉 적어도 싱글 밴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멀티 밴드 안테나는 복수개의 모바일 전화의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Wi-Fi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상이한 복사 공진 영역(550) 형태의 안테나는 상이한 주파수대 또는 주파수대의 조합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면, 영역 무선 네트워크 안테나에 사용되는 싱글 밴드 안테나 또는 멀티 밴드 안테나, 모바일 전화 통신 주파수대에 사용되는 멀티 밴드 안테나 및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 안테나에 사용되는 싱글 밴드 안테나를 형성하여야 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임의 적절한 장착 구조에 장착될 수 있다. 배치가 적합한 상황에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300)은 본문에서 설명하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로 간주할 수 있음),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 구조에서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하는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 위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 및 기타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 접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복사 공진 영역(5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사 공진 영역(550)은 단극 타입 설계, 홈구멍 형태 또는 기타 복사 공진 영역(550)을 기반으로 배치될 수 있다. 2 and 3,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s, A single band or a multi band antenna (i.e., at least a single band) covering the required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specifi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can be formed. For example, a multi- Or cover a plurality of Wi-Fi communication bands. An antenna in the form of a different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may be used for a combination of different bands or bands and, again, for example, may be a single band antenna or a multiband antenna used in an area wireless network antenna, Band antenna used for a multi-band antenna and a global position system antenna, and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an be mounted in any suitable mounting structure. In situations where placement is appropriate,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ry 320 may be moun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may be regarded a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described in the text) The other end form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n the structure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is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 320 and other assemblie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Frequency signal and each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may have a radiation resonant region 550 and the radiation resonant region 550 may be a single pole type design, Region 550. < / RTI >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은 형태 성형을 통하여 복사 공진 영역(550)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구조에 포함되며, 복사 공진 영역(550) 내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케이블 말단 중 편직 메쉬(3)를 제거한 후의 절연체(2, 심선(1)을 내포) 부분은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을 형성하고,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절연외피(4)를 제거하지 않고 절연외피(4) 아래의 편직 메쉬(3)를 메쉬 면(편직 메쉬(3)는 절연외피(4)내에 위치, 미도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전자장치(100)의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는 바, 도2를 참조)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복사를 발생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주파수 요구에 도달하도록 하고 그 특성을 최적화 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에서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하는 타단은 탈피를 통해 무선 주파수 소스(330)를 형성하며, 무선 주파수 소스(330)의 포지티브 컨덕터 및 무선 주파수 소스(330)의 그라운드 컨덕터는 용접, 접촉압착 또는 단자 클램핑 등 방식(즉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소스(330)를 도2에 도시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의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에 연결하며, 무선 주파수 소스(330)를 통해 전술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전기를 제공한다. 조작되는 과정에,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이러한 복사 공진 영역(550)을 이용하여 복사를 발생하며, 도9 내지 도11은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구조를 도시하였고,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사용되는 복사 공진 영역(550)의 다른 가능한 형태는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다. 8 to 11,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can form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through shape shaping, and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and the radiation resonance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The portion of the insulator 2 (containing the core wire 1) included in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after the knitted mesh 3 is removed from the cable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n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forms the radiation resonant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and the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57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knitted mesh 3 under the insulating sheath 4 is formed on the mesh surfac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of the electrical conduction assembly 310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discontinuity of the current for copying The other end form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in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s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source 330 through the dissociation to reach the frequency requirement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to optimize its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ve conductor of the radio frequency source 330 and the ground conductor of the radio frequency source 330 are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source 330 using a method such as welding, contact crimping or terminal clamping To the radio frequency connection region 340 of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 320 shown in Figure 2 and allows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 320 described above to be electrically conducted through the radio frequency source 330, (500). In operation, a radio frequency signal used in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generates radiation us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and FIGS. 9 to 11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And another possible form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used in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is shown in Figs. 12 to 14. Fig.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의 엔드포인트의 심선(1)과 편직 메쉬(3)를 연결하여 콘덴서 로딩(410)을 형성하며, 연결방법은 리베팅, 용접, 전기 전도 재료 포인트 사출 등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최적화 한다. 또한 콘덴서 로딩(410)은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 엔드포인트의 심선(1)을 리베팅, 용접, 전기 전도 재료 포인트 사출 등 방식을 통해 금속편 바디, 금속튜브 바디 또는 코팅전기 전도 재료에 연결할 수 있으며, 만약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가 전기 전도 어셈블리와 결합할 수 없거나 또는 공진 전기전도 면적이 충분하지 아니하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외피(4)에 전기 전도 재료(350)를 더 부착하여 공진 전기전도 면적을 증가할 수 있으며, 전기 전도 재료(350)에 대한 부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대응하는 부착위치의 편직 메쉬(3) 외측의 절연외피(4)를 일부분 또는 전부를 제거할 수 있다. 15, the core wire 1 of the end point of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electrode region 560 is connected to the knitted mesh 3 to form a capacitor loading 410. The connection method is a revetment, , An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point injection, etc., to optimize the frequency and bandwidth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The capacitor loading 410 may also connect the core 1 of the radiation resonant cathode region 560 end point to the metal body body, the metal tube body, or the coate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by bending, welding, 16, if the knitted mesh 3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can not engage wit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or if the resonant electrical conductive area is not sufficient, (3) outside the knitted mesh (3) at the corresponding attachment loca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n order to increase the resonant electrical conduction area and to secure the attachment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Part or all of the insulating sheath 4 can be removed.

계속하여 도17 및 도18에 대해 설명할 것이며, 동시에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별도의 유전체 재질의 베이스 바디이거나, 또는 케이스(110)의 내측 부재(후술할 것임)가 연장되어 직접 형성할 수 있으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적절한 위치(표면 또는 내부)에는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540)을 구비하여 복사 공진 영역(550)을 간편하게 고정 가능하고 안테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540)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홈 크기는 복사 공진 영역(550)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긴밀한 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위치는 전자장치(100)의 공간,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만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전기 전도 재료(350)를 가리킴)의 위치와 크기 및 수신 특성과 배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와 긴밀히 결합된다. 따라서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대한 배치는 일반적으로 직립형 배치와 눕힘형 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직립형 배치를 취하였고, 우측의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눕힘형 배치를 취하였다. 또한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상기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배치하도록 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하며, 예컨대 상기 베이스 면의 형상은 한개 이상의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형상을 구비하며,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의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맞물려 결합되거나, 또는 베이스 면의 형상이 안테나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요철 형상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오직 평면으로서 접착제를 통해 전자장치(100)내의 대응하는 전기전도체의 위치 형상과 접착되어 결합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을 주파수 형태 요구에 따라 전술된 복사 공진 영역(550)으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매칭되는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장착하며, 이로하여 전자장치(100)에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조립하는 편리성을 증가한다. 도면은 베이스 면에 안테나 고정 기둥(520)을 설치한 요철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과 인쇄회로기판(300)이 쉽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그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을 통해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에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인쇄회로기판(300)위의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은 용접, 압착 또는 클램핑 등 방식(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을 이용하여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신호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 및 인쇄회로기판(300) 중의 도선(trace)을 통하여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신호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은 포지티브 컨덕터(심선이라고도 함) 및 그라운드 컨덕터(편직 메쉬라고도 함)를 구비하며(포지티브 컨덕터와 그라운드 컨덕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는 바, 도1을 참조 바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그라운드 컨덕터의 특정된 위치에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는 전기전도체로서, 예컨대 금속 스프링 편 링, 전기전도 테이프, 전기전도 금속 박편, 전기전도 금속 와이어 또는 철분말코어 등 전기전도체일 수 있다. Referring now to FIGS. 2 and 3, the antenna pedestal 510 may be a separate base body of dielectric material, or may be an inner member of the case 110 The antenna pedestal 5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include a coaxial cable wire groove 540 at an appropriate position (surface or inside) of the antenna pedestal 510, The resonance region 550 can be easily fixed and the antenna characteristics can be adjusted. In general, the groove size of a part or the whole of the coaxial cable wire gutter 54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radiation resonance area 550 to achieve tight coupling. The location of the antenna pedestal 510 is determined by the spac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location of the electrical conductor (the electrical conductor refers only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ssembly 310, 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as described above) And reception characteristics and is tightly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us, the arrangement for the antenna pedestal 510 can generally take an upright and a reclining arrange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antenna pedestal 510 on the left has an upright configuration and the antenna pedestal 510 on the right has an upright configuration. Also, at least one base surface of the antenna pedestal 510 is coupled to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ductor to correspondingly place the antenna pedestal 510 within the case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shape may have one or more shapes such as fixed columns, ribs, grooves, holes, etc. and may be engaged with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ductor in the case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Holes and the like, and is adhered to and bonded to the positional shape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nductor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adhesive only as a plane, and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bove- The antenna pedestal 510 is mounted on the antenna pedestal 510 which is matched with the antenna pedestal 510 by being formed as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It increases the ionizing. The figure shows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an antenna fixing post 520 is provided on the base surface, which allows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to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may be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connection area 340 via its antenna coaxial cable 530 (e.g., the radio frequency connection area 34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The radio frequency connection region 340 may be signal-connected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using a welding, compression or clamping method (electric conduction laminating method).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 320 may be moun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and may be coupled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through a radio frequency connection area 340 and a trac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0 .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has a positive conductor (also referred to as core wire) and a ground conductor (also referred to as a knitted mesh) (positive conductor and ground conductor not shown in the drawing, see Figure 1) As shown, a noise suppression assembly 400 may be provided at a specified location on the ground conductor as needed, and the noise suppression assembly 400 may be an electrical conductor such as a metal spring ball r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tape, ,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wire, or an iron conductor core.

또한, 이러한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의 내부는 경우에 따라 유전체 또는 전기전도체로 구성되는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구조설계가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도록 하여, 전체적 설계의 수요에 따라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를 대응하게 연장하여 유전체 및 전기전도체의 케이스(110)의 부분을 형성하여 안테나 페데스탈(510)로 사용하며,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110)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 형상과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베이스 면의 형상은 한개 이상의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case 110 of such an electronic device 100 may optionally be comprised of a dielectric or electrical conductor, allowing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to utilize this characteristic, The case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rrespondingly extended to form a portion of the case 110 of dielectric and electrical conductors to be used as the antenna pedestal 510 and the at least one base surface of the antenna pedestal 510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base surface may have a shape such as one or more fixed posts, ribs, grooves, holes, or the like, which may be coupled to an electrical conductor shape that correspondingly places the antenna pedestal 510 within the case 110 .

이로하여 상기와 같은 형태들을 구비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의해 전자장치(100)의 임의 적절한 부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안테나의 주파수 특성을 신속히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전술된 여러 전자장치(100)의 안테나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으로 하여금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이용하여 절연외피(4)를 탈피하지 아니하여 절연외피(4) 아래의 편직 메쉬(3)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절연외피(4)와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절연외피(4)와 편직 메쉬(3)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은 바, 도1을 참조하기 바람)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형성한다.Accordingly,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having the above-described forms can be mounted on any suitable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the antenna pedestal 510,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can be quickly adjus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radiation resonant anode region 570 of one or more of the antenna coaxial cables 530 of the antennas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100 described above by means of the antenna pedestal 510, So that the knitted mesh 3 under the insulating jacket 4 is not exposed on the mesh surface and the insulating jacket 4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tightly coupled ) And the knitting mesh 3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refer to Fig. 1) to form a communication radiation wave using the discontinuity of the current.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다른 가능한 형태는 도19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도면들에 의하면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전술한 전자장치(100)의 환경과 특성의 요구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550)의 형태와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형상을 조절하고, 전기 전도 재료(350)를 부착하여 공진 전기전도 면적을 증가할지 여부에 따라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설계와 사용 상의 영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25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0)내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 또는 기타 어셈블리에 노이즈 간섭이 발생할 경우(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는 전술한 도2 및 도3을 참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소정 구간의 절연외피(4)를 탈피하여 편직 메쉬(420)를 노출함으로써 노이즈를 유도하고,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는 전술한 도2 및 도3을 참조) 예컨대 금속 스프링 편 링, 전기전도 테이프, 전기전도 금속 박편, 전기전도 금속 와이어 등 전기전도체를 결합한 다음,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가 전기전도 되게 함으로써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Other possible configurations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are as shown in Figures 19 to 24, which illustrate that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can be used to provide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design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according to whether the shap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and the shape of the antenna pedestal 510 is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resonance conductive area is increased by attaching the conductive material 350, And in the embodiment of FIG. 25, when noise interference occurs in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ry 320 or other assemblies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ry 320 is shown in FIGS. 2 and 3) 3),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s selected to evacuate the insulating sheath 4 of a predetermined section to expose the knitted mesh 420 to induce noise, The assembly 400 (the noise suppression assembly 400, see FIGS. 2 and 3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 electrical conductor such as a metal spring knob r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tap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wire, Thereby reducing noise by causing assembly 310 to conduct electrically.

도26의 실시예에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대하여 임피던스 특성을 조절해야 할 경우, 복사 공진 영역(550)을 조절하는 이외에,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적절한 위치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설치하여 안테나의 대역폭 및 특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는 예컨대 경성 인쇄회로기판(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금속 박판 등 금속을 구비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대역폭 및 특성의 수요에 따라 상이한 양식 및 크기의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의 장착 시 리베팅, 용접, 전기 전도 재료 포인트 사출 또는 이러한 방식(즉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장착 완성 후, 절연재료 예컨대 열수축 부쉬, 플라스틱 스티커 또는 플라스틱 성형 등을 피복하는 방식으로 그 기구적 강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와 도2 및 도3의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여도 노이즈 억제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26, in order to adjust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for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an impedance adjustment assembly 430 (see FIG. )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bandwid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The impedance control assembly 430 may be made of a material comprising a metal such as, for example,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PCB),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 metal foil and the like, The impedance adjustment assembly 430 of FIG. May be formed using a combination of ribbing, welding,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point injection, or a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i.e., electrical conduction lapping) upon mounting of the impedance control assembly 430.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ttachment,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improved by cover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heat shrinkable bush, a plastic sticker or a plastic molding. Also, even if the impedance control assembly 430 and the electrical conduction assembly 310 of FIGS. 2 and 3 are electrically conducted, a noise suppression function is provided.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조립한 여러가지 형태는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을 두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필요한 크기에 따라 탈피한 후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장착한다. 두개 구간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와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의 금속재료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고 두개 구간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심선(1)이 전기전도 되도록 하며, 그중 전기전도 방식은 리베팅, 용접, 전기전도 페이스트 포인트 사출 등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을 이용한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특정된 위치에 필요한 크기에 따라 편직 메쉬(3)를 제거하되 양측의 편직 메쉬(3)는 보존하여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장착하며, 그중 절연체(2)는 커팅하지 않을 수 있다. 양측에 보존된 편직 메쉬(3)와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의 금속재료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며, 그중 전기전도 방식은 리베팅, 용접, 전기전도 페이스트 포인트 사출 등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27 and FIG. 28,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as shown in FIG. 27 and FIG. And is then lif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size, and then the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430 is mounted. The metal material of the knitted mesh 3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the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430 are electrically conducted and the core wire 1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of the two sections is electrically conducted, Among them, the electric conduction method uses electric conduction lapping method such as riveting, welding, and electric conduction paste point injection. As shown in FIG. 28, the knitted mesh 3 is removed according to the required size of the sam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the knitted mesh 3 on both sides is preserved to mount the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430 , And among them, the insulator 2 may not be cut. The metal material of the knitted mesh 3 and the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430 stored on both sides are electrically conducted. Among them, the electric conduction method may be a method such as riveting, welding, electric conduction paste point injection or the like.

또한, 복수개의 안테나 사이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29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에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기 전도 재료(350)를 부착하는 방식은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550)의 어느 한측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사이즈의 전기전도재료 배튼(360)을 이용하여 공진 전기 전도 재료(350)를 겹이음 할 수 있거나, 또는 공진 전기 전도 재료(350)와 전기전도재료 배튼(360)을 함께 성형하여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부착함으로써,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변화할 수 있으며, 안테나가 다른 안테나에 대한 격리도를 증가할 수 있다. 29 and 30,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may be formed in the antenna coaxial cable 530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50 (not shown) may be formed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 Can be selected on either side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550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haracteristic and the resonance conductive material 350 can be folded using the appropriate size of the conductive material material 360 Or the resonant conductive material 350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batten 360 may be molded together and attached to the antenna pedestal 510 to vary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and to increase the isolation of the antenna can do.

상술한 바로부터, 전체적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특성은 도31에 도시한 일반 단일 주파수 PIFA 안테나 측정의 효율 및 VSWR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2는 단일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냈다. 도 33은 일반 이중 주파수 PIFA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냈다. 도 34는 이중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냈다. 이러한 표에 나타낸 측정 데이터들로부터, 전술된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생산이 빠르고 장착이 빠르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외에도, 최적한 안테나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공개 사용된 기록이 없기 때문에 특허법의 규정에 부합되어 특허권을 수여할 것을 간절히 부탁한다. From the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are shown in the table of efficiency and VSWR of the general single frequency PIFA antenna measurement shown in FIG. Figure 32 shows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of a single frequency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measurement. Figure 33 shows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of a typical dual frequency PIFA antenna module measurement. Figure 34 shows the efficiency and VSWR table of dual frequency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measurements. From the measurement data shown in these tables,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described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best antenna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being quick in production, fast in installatio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 would like to ask for the patent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Act because there is no record.

100: 전자장치 560: 복사 공진 정극 영역
110: 케이스 570: 복사 공진 부극 영역
110A: 상부 케이스 110B: 하부 케이스
120: 모니터 130: 키보드
140: 힌지 150: 터치판
160: 버튼 170: 스피커 포트
200: 구역 210: 구역
220: 구역 230: 구역
240: 구역 250: 구역
260: 구역 270: 구역
280: 구역 300: 인쇄회로기판
310: 전기 전도 어셈블리 320: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
330: 무선 주파수 소스 340: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
350: 전기 전도 재료 360: 전기전도재료 배튼
400: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 410: 콘덴서 로딩
420: 편직 메쉬 430: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
500: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510: 안테나 페데스탈
520: 안테나 고정 기둥 530: 안테나 동축케이블
540: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 550: 복사 공진 영역
100: electronic device 560: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electrode region
110: Case 570: Radiation resonance negative electrode region
110A: upper case 110B: lower case
120: Monitor 130: Keyboard
140: hinge 150: touch panel
160: Button 170: Speaker port
200: Zone 210: Zone
220: Section 230: Section
240: Zone 250: Zone
260: Zone 270: Zone
280: area 300: printed circuit board
310: electrical conduction assembly 320: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rcuit
330: radio frequency source 340: radio frequency connection area
350: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360: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400: Noise Suppression Assembly 410: Capacitor Loading
420: Knitted mesh 430: Impedance adjustment assembly
500: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510: antenna pedestal
520: Antenna fixing post 530: Antenna coaxial cable
540: coaxial cable wire groove 550: radiation resonance area

Claims (10)

전자장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 안테나 모듈의 복사체 브라켓을 구비하는 구조와 상이한,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안테나 동축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 그라운드 영역의 전환점으로부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말단까지 연장되어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응하게 일부 절연외피 부분의 편직 메쉬를 제거하여 절연체와 심선을 남김으로써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을 형성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부분 내측의 편직 메쉬는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유전체로 구성되며, 케이스 내의 전기전도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을 구비하여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이 다른 불필요한 전기 전도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호 효과가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being mountable to the case using a case, the electronic device being different from a structure having a radiator bracket of a conventional antenna module,
A coaxial cable and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an antenna pedestal,
The coaxial cable transmitting a signal;
Wherein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is located at one end side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extends from the turning point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ground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nd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to form a radiation resonance region, The coaxial cable removes some insulating sheath from the cable body and correspondingly removes the knitted mesh of some insulating sheathing to leave the insulator and core wires to form a radiation resonant positive pole area, The knitted mesh inside the unremoved portion forms a radiation resonant negative electrode region;
The antenna pedestal is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The antenna pedestal is disposed in an electric conductor in the case. The antenna pedestal is provided with a coaxial cable wire groov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in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To prevent contact with other unwante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s to maintain a stable signal effect. ≪ RTI ID = 0.0 > 1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내측 부재에 의해 직접 형성되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enna pedestal is formed directly by an inner member of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base surface of the antenna pedestal is coupled with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ductor correspondingly placing the antenna pedestal in the cas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별도의 유전체 재질의 베이스 바디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enna pedestal is comprised of a separate base body of dielectric material and at least one base surface is coupled to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ductor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pedestal in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에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이 구비되어 복사 공진 영역에 대한 고정과 안테나 특성에 대한 조절이 간편하도록 하며,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홈 사이즈는 복사 공진 영역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enna pedestal may be provided with a coaxial cable wire groove to facilitate fixing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and antenna characteristics, and the groove size of a part or the whole of the coaxial cable wire groove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radiation resonance reg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axial cables are adapted to be tightly coupled by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않고 직접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와 긴밀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ation resonant anode reg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is tightly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ductor of the direct electronic device without escaping the insulating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체는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포함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 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대응하는 부착 위치의 편직 메쉬 외층의 적어도 일부분 절연외피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 conductor compris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extending the resonance and attach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extending the resonance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oaxial cable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to securely attac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o the antenna coaxial cable. And remove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heath of the knitted mesh outer layer at the attachment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의 엔드포인트에 위치하는 심선 및 편직 메쉬는 전기전도체의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콘덴서 효과와 균등한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최적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wire and the knitted mesh located at the end point of the radiation resonance positive pole reg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ectric conduction lap joint method with the electrical conductive material of the electrical conductor to form a device equivalent to a capacitor effect, Of the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한 구간의 절연외피를 탈피하여 편직 메쉬를 노출하여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ulation shell of one section is peeled off at a specified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to expose the knitted mesh to suppress noise by installing a noise suppression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한 후, 절연재료를 피복하여 그 기구 강도를 제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mpedance adjusting assembly is mounted on a specified position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by an electrical conduction lap joint method, and t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coated to enhan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antenna coaxial cable antenna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재료 배튼을 함께 성형하거나 또는 분리 성형하여 안테나 페데스탈에 부착함으로써 안테나의 다른 안테나에 대한 격리도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tenna is attached to an antenna pedestal to increase the degree of isolation of the antenna with respect to other antennas by molding or separat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terial to extend the resonance to the antenna pedestal.
KR1020120136765A 2012-11-29 2012-11-29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59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65A KR101459193B1 (en) 2012-11-29 2012-11-29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65A KR101459193B1 (en) 2012-11-29 2012-11-29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478A true KR20140069478A (en) 2014-06-10
KR101459193B1 KR101459193B1 (en) 2014-11-07

Family

ID=5112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765A KR101459193B1 (en) 2012-11-29 2012-11-29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1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1032A (en) * 2021-02-03 2021-05-18 深圳航天东方红卫星有限公司 Satellite-borne foldable and unfoldable yagi antenna oscillator fix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3719A1 (en) * 2001-02-05 2002-08-15 Sony Corporation Low profile small antenna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JP2003224412A (en) * 2002-01-30 2003-08-08 Nissei Electric Co Ltd Built-in antenna for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4945672B2 (en) * 2010-09-15 2012-06-06 株式会社東芝 Electron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1032A (en) * 2021-02-03 2021-05-18 深圳航天东方红卫星有限公司 Satellite-borne foldable and unfoldable yagi antenna oscillator fixing device
CN112821032B (en) * 2021-02-03 2023-11-28 深圳航天东方红卫星有限公司 Spaceborne foldable yagi antenna element fix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193B1 (en)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154B2 (en) Antenna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conductive bezel
TWI518984B (en)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EP2553760B1 (en) Cavity-backed slot antenna with near-field-coupled parasitic slot
US7688267B2 (en) Broadband antenna with coupled fee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864123B2 (en) Hybrid slot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208142339U (en) Electronic device, removable shell and removable casting of electronic device
US986591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iverse antenna array having soldered connections
CN102013554A (en) Cavity-backed antenna for tablet device
JP4109300B2 (en) 3D antenna structure
KR101459193B1 (en)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20223B1 (en) Transmission load antenna module
JP46706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WI532255B (en) Transmission line load antenna module
JP3808934B2 (en) Two-stage antenna
JP5115587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7151061A5 (en)
JP2012175349A (en) Spiral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0165122A (en) Antenna structure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1029747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