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394A - 완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완구 구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8394A KR20140068394A KR1020120135806A KR20120135806A KR20140068394A KR 20140068394 A KR20140068394 A KR 20140068394A KR 1020120135806 A KR1020120135806 A KR 1020120135806A KR 20120135806 A KR20120135806 A KR 20120135806A KR 20140068394 A KR20140068394 A KR 20140068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 unit
- toy
- shape
- wirel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65—Details; Accessories allowing a choice of facial features, e.g. to change the facial ex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완구 구동장치에 있어서, 절개되어 완구의 앞부분이 표시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체결구조를 갖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구조를 갖지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상부일측에 구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의 통공과 연결구조를 가지며 회전판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 상부판 하부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와 삽입되어 체결되고 완구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상기 하부판 하부 일측의 요부홈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제 1 구동부를 밀어주도록 탄성갖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체결되어 연결되고 제 1 구동부의 내부 홈에 삽입되어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되어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탄성부재의 반발에 의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기어부, 상기 하부판 상부 일측에 구성되어 리모컨의 무선 전송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부판 하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에 따라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된 기어부를 회전하여 완구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리모컨의 무선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를 구동하여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동작시키는 무선구동부, 상기 회전판의 표면에 부설되고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기어부의 회동에 따라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모양, 찡그린 모양의 눈동자를 상기 상부판 외부에서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센서부 및 무선구동부의 무선신호에 의해 완구를 무선으로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눈동자 모양에 따라 해당 상태신호를 음향 송출하는 음향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는, 완구의 몸체 일측에 구성된 구동부를 눌러서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을 변경함으로써, 사용 대상층인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 보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완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구의 몸체 일측에 구성된 구동부 또는 무선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부를 눌러서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 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 대상층인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 보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완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완구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 등의 눈동자 형상을 사람의 손으로 구동부를 눌러 동작하거나, 리모컨장치를 통해 구동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음향구동부를 통해 함께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고, 무선동작에 따른 전원의 잔여량을 경보부를 통해 송출함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완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완구들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인간 또는 동물의 체형을 모방하여 만든 인형이 있는데, 종래의 인형들 대부분은 머리, 몸통, 다리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경우에 별다른 생동감을 느낄 수 없어 빨리 싫증을 느끼게 되는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형 스스로가 다양한 동작 을 표출할 수 있도록 몸체의 내부에 각종 센서 및 전자회로를 내장시킨 것들이 제작되고 있는데, 하지만 이러한 인형들은 어린이들에게 어느 정도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는 있으나 각부의 동작이 전자적인 회로에 의해 인형 스스로 진행되므로 조작하면서 놀기를 좋아하는 어린이들에게 있어선 재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완구는 통상 오감이 발달되어지는 시기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만으로는 외적인 특징상 통상의 자동 구동 완구와 별 차이점이 없기 때문에 이들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었던 것이다.
[관련기술문헌]
작동 완구 구동장치(A driving device for working-toy)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126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완구의 몸체 일측에 구성된 구동부를 눌러서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을 변경함으로써, 사용 대상층인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 보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완구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의 손으로 구동부를 눌러 동작하거나, 리모컨장치를 통해 구동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완구모양의 눈동자를 통해 어린이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눈동자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완구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는,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완구 구동장치에 있어서, 절개되어 완구의 앞부분이 표시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체결구조를 갖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구조를 갖지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상부일측에 구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의 통공과 연결구조를 가지며 회전판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 상부판 하부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와 삽입되어 체결되고 완구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상기 하부판 하부 일측의 요부홈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제 1 구동부를 밀어주도록 탄성갖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체결되어 연결되고 제 1 구동부의 내부 홈에 삽입되어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되어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탄성부재의 반발에 의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기어부, 상기 하부판 상부 일측에 구성되어 리모컨의 무선 전송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부판 하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에 따라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된 기어부를 회전하여 완구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리모컨의 무선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를 구동하여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동작시키는 무선구동부, 상기 회전판의 표면에 부설되고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기어부의 회동에 따라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모양, 찡그린 모양의 눈동자를 상기 상부판 외부에서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센서부 및 무선구동부의 무선신호에 의해 완구를 무선으로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눈동자 모양에 따라 해당 상태신호를 음향 송출하는 음향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는, 상기 무선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의 전송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를 구동하여 무선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무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리모콘의 동작에 전송되는 신호를 센서부를 통해 해당 눈동자 모양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눈동자 모양 표시 요청신호에 따라 무선으로 제 2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해 해당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표시부에 표시된 눈동자 모양의 구동상태를 인지하고,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판단하여 전원 잔량여부에 따라 완구의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설정부, 및 상기 상태설정부의 전원 잔량여부에 따른 전원상태에 따라 전원의 교체여부를 공지하기 위해 알람 또는 led 점등을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구동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는, 완구의 몸체 일측에 구성된 구동부를 눌러서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을 변경함으로써, 사용 대상층인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 보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장치는 사람의 손으로 구동부를 눌러 동작하거나, 리모컨장치를 통해 구동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완구모양의 눈동자를 통해 어린이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눈동자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완구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장치는 완구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 등의 눈동자 형상을 음향구동부를 통해 함께 음성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무선동작에 따른 전원의 잔여량을 경보부를 통해 송출함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완구 구동 장치의 무선구동부의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완구 구동 장치의 무선구동부의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완구 구동장치는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또는 찡그린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을 수동 또는 무선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완구 구동 장치는 상부판(10), 하부판(20), 제 1 구동부(30), 기어부(35), 탄성부재(40), 회전부재(50), 회전판(60), 표시부(70), 전원부(80), 센서부(90), 무선구동부(100), 제 2 구동부(200), 음향구동부(300) 및 리모콘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10)은 본 발명의 완구 구동장치의 본체를 절개할 경우, 절개된 완구의 앞부분이 표시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판(10)은 제 1 구동부(30), 표시부(70), 음향구동부(300)가 외부에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20)는 상기 상부판(10)과 체결구조를 갖지며 체결시 완구 구동장치의 본체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판(60)은 상기 상부판(10) 및 하부판(20)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구조를 갖지며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상부일측에 각각 삽입형태로 구성되며, 회전판(60)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될 완구의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또는 찡그린 모양 등이 일정간격으로 도식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50)는 상기 회전판(6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과 연결구조를 가지도록 지지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30, 200)의 구동에 따라 기어부(35)를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60)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3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push 버튼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판(10)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상부판(10)과 삽입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와 삽입되어 체결되어 완구를 수동으로 구동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하부판(20) 하부 일측에 위치하고 하부판(20) 측면의 구성된 요부홈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 1 구동부(20) 및 제 2 구동부(2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판(10) 하부에 위치한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제 1 구동부(20)를 밀어주도록 탄성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35)는 상기 회전부재(50)의 하부일측에서 회전부재(50)와 체결되어 연결되고 제 1 구동부(30)의 내부 홈에 삽입되어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 1 구동부(30)의 구동에 따라 탄성부재(5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회전판(6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완구를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센서부(90)는 상기 하부판(20) 상부 일측에 구성되어 리모컨장치(400)의 무선 전송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동부(200)는 상기 하부판(20) 하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90)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에 따라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된 상기 기어부(35)를 회전하여 완구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구동부(100)는 상기 센서부(90)와 연동되어 리모컨장치(400)의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상부판(10)의 얼굴형상 중 눈동자가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판(60)의 표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표시된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모양, 찡그린 모양의 눈동자가 상기 제 1 구동부(30) 및 제 2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기어부의 회동에 해당 눈동자가 상기 상부판 외부에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80)는 완구장치가 무선으로 동작될 때 무선동작에 따라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90), 무선구동부(100) 및 음향구동부(300)의 무선신호에 의해 완구를 무선으로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음향구동부(300)는 상기 제 1 구동부(30) 및 제 2 구동부(2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되는 눈동자 모양에 따라 해당 상태신호를 음향 송출하게 되고, 상기 전원부(80)를 통해 필요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구동 장치의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구동부(30) 및 제 2 구동부(200)가 동작할 때 제 1 구동부(30) 내부 홈에 삽입된 기어부(35)를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기어부(35)에 구성된 기어가 동작할 때 상기 탄성부재(40)의 반발에 의해 제 1 구동부(30)의 걸착구가 1 cycle 회전하여 걸착되게 되고, 구동부(30, 200)가 재 구동시 제 1 구동부(30)의 걸착구가 다시 회전하여 걸착되도록 형성되어 기어부와 연결된 회전부재가 1 cycle씩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60)을 회전함으로서 회전판(60)에 일정간격으로 도식된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모양, 찡그린 모양의 눈동자가 상기 표시부(70)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무선으로 완구를 구동할 수 있는데, 상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무선구동부(100)의 동작에 의해 제 2 구동부(200)를 동작함으로써 해당 눈동자를 상기 표시부(70)에 표시하는데, 상기 무선구동부(100)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8을 통해 살펴보면, 상기 무선구동부(100)는 제어부(110), 수신부(120), 전송부(130), 상태설정부(140) 및 경보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구동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리모컨장치(4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센서부(110)의 전송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무선으로 완구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무선동작의 전반적인 상태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수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리모콘장치(400)의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센서부(90)를 통해 해당 눈동자 모양 변경 요청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수신부(120)의 눈동자 모양 변경 요청신호에 따라 무선으로 상기 제 2 구동부(200)를 구동하기 위해 해당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태설정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된 눈동자 모양의 구동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전원부(80)의 전원상태를 판단하여 전원 잔량여부에 따라 완구의 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경보부(150)는 상기 상태설정부(140)의 전원 잔량여부에 따른 전원상태에 따라 전원의 교체여부를 공지하기 위해 알람 또는 led 점등을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상부판 20 : 하부판
30 : 제 1 구동부 35 : 기어부
40 : 탄성부재 50 : 회전부재
60 : 회전판 70 : 표시부
80 : 전원부 90 : 센서부
100 : 무선구동부 110 : 제어부
120 : 수신부 130 : 전송부
140 : 상태설정부 150 : 경보부
200 : 제 2 구동부 300 : 음향구동부
400 : 리모컨 장치
30 : 제 1 구동부 35 : 기어부
40 : 탄성부재 50 : 회전부재
60 : 회전판 70 : 표시부
80 : 전원부 90 : 센서부
100 : 무선구동부 110 : 제어부
120 : 수신부 130 : 전송부
140 : 상태설정부 150 : 경보부
200 : 제 2 구동부 300 : 음향구동부
400 : 리모컨 장치
Claims (2)
- 어린이 또는 동물 형상을 갖는 완구에 눈동자가 회전하여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 모양, 찡그린 모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완구 구동장치에 있어서,
절개되어 완구의 앞부분이 표시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체결구조를 갖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구조를 갖지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상부일측에 구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의 통공과 연결구조를 가지며 회전판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
상부판 하부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와 삽입되어 체결되고 완구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상기 하부판 하부 일측의 요부홈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제 1 구동부를 밀어주도록 탄성갖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체결되어 연결되고 제 1 구동부의 내부 홈에 삽입되어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되어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탄성부재의 반발에 의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기어부,
상기 하부판 상부 일측에 구성되어 리모컨의 무선 전송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부판 하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에 따라 완구 내부 하부면까지 연결된 기어부를 회전하여 완구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리모컨의 무선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를 구동하여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동작시키는 무선구동부,
상기 회전판의 표면에 부설되고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기어부의 회동에 따라 하트모양, 화난모양, 웃는모양, 찡그린 모양의 눈동자를 상기 상부판 외부에서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센서부 및 무선구동부의 무선신호에 의해 완구를 무선으로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눈동자 모양에 따라 해당 상태신호를 음향 송출하는 음향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구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의 전송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를 구동하여 무선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무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리모콘의 동작에 전송되는 신호를 센서부를 통해 해당 눈동자 모양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눈동자 모양 표시 요청신호에 따라 무선으로 제 2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해 해당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표시부에 표시된 눈동자 모양의 구동상태를 인지하고,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판단하여 전원 잔량여부에 따라 완구의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설정부, 및
상기 상태설정부의 전원 잔량여부에 따른 전원상태에 따라 전원의 교체여부를 공지하기 위해 알람 또는 led 점등을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구동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806A KR20140068394A (ko) | 2012-11-28 | 2012-11-28 | 완구 구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806A KR20140068394A (ko) | 2012-11-28 | 2012-11-28 | 완구 구동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8394A true KR20140068394A (ko) | 2014-06-09 |
Family
ID=5112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5806A KR20140068394A (ko) | 2012-11-28 | 2012-11-28 | 완구 구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8394A (ko) |
-
2012
- 2012-11-28 KR KR1020120135806A patent/KR201400683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52322B (zh) | 具有功能构建单元的玩具构建系统 | |
EP3431157B1 (en) | Assembly with object in housing and mechanism to open housing | |
US20090267897A1 (en) | Remote control transmitter | |
CN106255536A (zh) | 玩具滑板 | |
CN105517642B (zh) | 带有可调节dc‑dc开关的玩具车 | |
AU2015230802B2 (en) | Interactive intelligent toy | |
CN202941883U (zh) | 一种具备声光辅助功能的早教垫 | |
CN110536729B (zh) | 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及具有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的模块化构造系统 | |
US20010031602A1 (en) | Interactive interface for infant activated toys | |
US6645036B1 (en) | Walking toy figure | |
KR20140068394A (ko) | 완구 구동 장치 | |
CN202237249U (zh) | 一种互动玩具娃娃 | |
CN102350058A (zh) | 一种互动玩具娃娃及其控制方法 | |
US20100261405A1 (en) | Interactive Intelligent Toy | |
CN204087807U (zh) | 不倒翁音乐播放器 | |
KR20180127115A (ko) | 모터와 감지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메인보드가 구비된 교육용 로봇 | |
CN216536900U (zh) | 玩具控制装置 | |
KR102505244B1 (ko) | 하우징 내의 물체를 구비한 어셈블리 및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한 메커니즘 | |
CN210786226U (zh) | 一种玩具 | |
WO2018033839A1 (en) | Interactive modular robot | |
KR200279384Y1 (ko) | 어린이용 학습구 | |
KR20190102851A (ko) | Vr 기기를 활용한 교육용 로봇 시스템 | |
WO2020155165A1 (en) | A toy | |
US20190079588A1 (en) | Modular activity monitor system | |
KR102719843B1 (ko) | 기능 구축 요소를 갖는 완구 구축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