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78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780A
KR20140067780A KR1020120135466A KR20120135466A KR20140067780A KR 20140067780 A KR20140067780 A KR 20140067780A KR 1020120135466 A KR1020120135466 A KR 1020120135466A KR 20120135466 A KR20120135466 A KR 20120135466A KR 20140067780 A KR20140067780 A KR 2014006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information
control channe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형주
김윤선
이주호
이효진
조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780A/ko
Priority to US14/092,706 priority patent/US9462594B2/en
Priority to PCT/KR2013/010858 priority patent/WO2014084605A1/en
Priority to EP13859240.7A priority patent/EP2926472B1/en
Publication of KR2014006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 H04J11/004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using regenerative subtra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지원하는 기지국에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접속한 단말에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제1단말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MU-MIMO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방안으로 단말은 최소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 때 단말은 기존의 단말과 같이 단말의 간섭 제거 능력이 없는 단말 수신기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추가적인 단말 복잡도 없이 간섭 제거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기지국은 셀의 MU-MIMO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제안하는 제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의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유추할 수 있으며 이를 자기 신호 간섭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제안하는 제어 채널 구조를 통하여 셀 안의 단말의 채널 상태에 따라 MU-MIMO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임의 단말에 동적으로 간섭 제거 지시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OF MIMO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기지국과 단말간에 통신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스케줄링 받는 다수의 단말 간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간에 이러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간섭 제거를 위한 단말의 채널측정 기준 신호 할당 방법과 단말의 피드백 방법, 간섭 제거를 위한 제어 채널 설계 방법, 효율적인 간섭 제거를 위한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 시스템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LTE 규격 완료에 발맞춰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하 LTE 시스템이라 함은 기존의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채널 특성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이하 'SM')전송이라고 한다. 또한 기지국은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단말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 간에 공간적으로 많이 떨어진 경우에는 전송하는 방법으로 SDMA (Spatial diversity multiple access) 기술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송을 수행할 때 단말이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단말에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단말로 전송되는 신호 간에는 간섭이 존재하며 이러한 간섭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는 단말 간의 거리가 같거나 공간적인 상관도가 높은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은 간섭이 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말은 자신의 간섭이 되는 신호의 정보를 인지하여만 제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인지하기 위한 정보 양은 매우 크며 이를 단말에 모두 전달하는 것을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로 인해 오히려 시스템 성능을 저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지원하는 기지국에서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접속한 단말에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제1단말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MU-MIMO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정보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할당한 제1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MU-MIMO 전송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체널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접속한 단말에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제1단말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MU-MIMO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을 지원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할당한 제1단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MU-MIMO 전송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상게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체널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방안으로 단말은 최소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 때 단말은 기존의 단말과 같이 단말의 간섭 제거 능력이 없는 단말 수신기를 이용하여 간섭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추가적인 단말 복잡도 없이 간섭 제거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기지국은 셀의 MU-MIMO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제안하는 제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의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유추할 수 있으며 이를 자기 신호 간섭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제안하는 제어 채널 구조를 통하여 셀 안의 단말의 채널 상태에 따라 MU-MIMO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임의 단말에 동적으로 간섭 제거 지시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채널의 구성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제어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단말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빔포밍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1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2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채널 구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어 채널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에서는 단말 동작으로, 간섭 제거를 위한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송 모드 구성을 상위 시그널링으로 받고 해당 모드인 경우 다른 제어 채널 해석 및 데이터 채널 복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빔포밍된 채널 추정 기준 신호 구성을 상위 시그널링으로 받고 이를 이용하여 적어도 기지국이 단말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두 개의 빔 혹은 프리코더 인덱스 혹은 채널 추정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이 선택한 적어도 두 개의 선호하는 빔 혹은 프리코더 인덱스 혹은 채널 추정 기준 신호의 인덱스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전송하는 채널 품질 정보는 각각의 빔 혹은 프리코더 인덱스 혹은 채널 추정 기준 신호 인덱스를 적어도 각각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 품질 정보와 적어도 상기 두 개의 정보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거를 위한 전송 모드로 구성된 경우에 수신한 제어 채널의 필드 정보를 데이터 채널의 간섭 제거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로 해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송 모드로 구성된 경우에 수신한 제어 채널 정보를 통해 간섭 제거를 위한 적어도 자신과 자신에 간섭을 주는 단말이 사용하는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인지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이 인지한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통해 간섭 신호의 데이터 채널을 복조하고 이를 간섭으로 인지하여 제거하는 데이터 복조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안하는 제어 채널은 단말이 간섭 제거를 하지 않는 RANK1 전송(1과 transport block 전송)과 간섭 제거를 하는 RANK1 전송(1 transport block 전송) 그리고 간섭 제거를 하지 않는 RANK2 전송(2 transport block 전송)을 동일한 제어 채널로 지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제안하는 제어 채널은 단말이 간섭 제거를 하지 않는 한 개의 데이터 블록 전송과 단말이 간섭 제거를 하는 한 개의 데이터 블록 전송 그리고 간섭 제거를 하지 않는 두 개의 데이터 블록 전송을 동적으로 지시 받을 수 있는 방법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에서는 기지국 동작으로, 기지국이 MU-MIMO 전송을 위한 단말에 간섭 제거를 위한 MU-MIMO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MU-MIMO 스케줄링을 위한 채널 추정 기준 신호 할당 및 전송 방법을 포함하며, 단말에 적어도 가상의 셀(빔 기반 셀)을 구성하기 위한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빔포밍하여 전송하는 방법과 가상의 셀 내에 MU-MIMO 스케줄링을 위한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가상의 셀이 포함하는 빔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MU-MIMO 스케줄링과 단말에 간섭 제거를 지시하기 위한 제어 채널 구성 방법과 이를 통한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을 포함하며, 이를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통한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을 포함한다.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을 간섭 제거를 위한 단말 간에 동일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과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데이터 채널 스크램블링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에 제어 채널을 통해 동적으로 간섭 제거 지시 명령을 제어채널에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단말로 하여금 동적으로 RANK1과 RANK2를 변경하며 RANK1에서 간섭 제거 유무를 지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에서는 단말 장치로, MU-MIMO 전송과 간섭 제거 명령을 인지하고 수행하는 단말 컨트롤렁와 MU-MIMO을 위한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해석하는 수신 장치, 간섭 제거를 위한 데이터 선택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에서는 기지국 장치로, MU-MIMO 간섭 제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지국 컨트롤러, 간섭 제거 지시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제어 채널 구성기, 단말이 간섭 제거를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는 데이터 채널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는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데이터 채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및 채널 추정 및 채널 피드벡을 위한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DL CCH(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각각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에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및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채널은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상기 제어 채널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다수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기준신호는 공통 기준 신호(CRS, common reference signal), 채널 정보용 기준 신호(CSI-RS, channel stat information RS) 그리고 복조용 신호 및 단말 전용 기준 신호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RS는 하향링크 전대역에 걸쳐서 전송될 수 있으며, 셀 안의 모든 단말이 신호의 복조 및 채널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RS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은 특정 단말 전용의 기준신호로 단말의 스케줄링 된 영역에만 단말 전용의 기준신호(DM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MRS 전송과 함께 채널 정보 습득을 위하여 시간과 주파수 축에서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위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110)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110)은 두 개의 슬롯(slot)(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110)은 총
Figure pat00001
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Figure pat00002
개의 심볼을 통해 제어채널, 데이터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110) 중 시간적으로 빠른
Figure pat00003
개의 심볼은 제어 채널(130)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나머지 심볼인
Figure pat00004
까지는 데이터 채널(140)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대역폭은 주파수 상에서 자원그룹 (Resource Block, RB)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RB는 총
Figure pat00005
개의 부반송파 혹은 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간 축으로 2개의 슬롯과 하나의 RB단위를 PRB pair로 칭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기지국과 단말에 간에는 다 수개의 식별자를 할당하게 된다.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단말은 자신에 전송되는 제어 채널 혹은 데이터 채널을 복조하고, 다른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 혹은 다른 셀에서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와의 구분하며, 및 이를 기반으로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단말이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이 되면 단말은 기지국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NCellID)로 다수의 기지국을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제1기지국 식별자라고 지칭하겠다.
또한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이 되면, 기지국은 셀 안의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을 구별하기 위해 상기 연결된 단말에 식별자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nRNT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 제공되는 식별자를 단말 식별자라 하며,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되는 식별자를 제1단말 식별자라고 지칭하겠다.
제1기지국 식별자와 제1단말 식별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지해야 하는 식별자다. 이는 다수의 채널이 이를 기반으로 전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제1기지국 식별자 및 제1단말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신호에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임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제1기지국 식별자와 제1단말 식별자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이 데이터 채널(240)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제어 채널을 수신해야 한다. 기지국은 제어 채널을 DCI(Dedicate control information)(210)으로 단말에 전송한다.
DCI(210)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단말에 전송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DCI(210)는 하향링크의 데이터 채널(240)이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DCI(210)는 시스템 정보 및 초기 접속을 위한 정보 및 페이징을 위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DCI(210)는 단말의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CI(210) 포멧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220) b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RC(220)를 기반으로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된 DCI(210)를 확인할 수 있다.
DCI(210)는 n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212)를 CRC(220)에 스크램블하여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스케줄링을 위한 RNTI로 C-RNTI(Cell-RNTI, 212)를 할당하고 이를 DCI(210)의 CRC(220)에 스크램블링(217)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각 단말이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 상기 각 단말은 고유의 nRNTI 을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을 수 있다.
다수의 단말이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의 경우에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서 시스템 정보 전송을 위한 RNTI, 초기 접속을 위한 RNTI, 페이징을 위한 RNTI가 존재하며 이는 단말간에 동일한 RNTI를 사용할 수 있다.
구성된 DCI는 셀 식별자인 NCellID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scrambling sequence(215)을 통해서 현재 전송하는 서버프레임에 존재하는 DCI에 걸쳐 같이 스크램블링 된다(216).
전송된 DCI(210)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제1기지국 식별자(211)를 통하여 scrambling sequence(215)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scrambling sequence(215)를 기반으로 수신된 DCI(210)를 descrambling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단말은 다수의 DCI를 수신하는데 이 중에 자신에 전송된 DCI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1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CRC check 수행하게 된다.
DCI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은 데이터 채널을 수신해야 하는데 DMRS(230)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240)은 자신에 할당된 자원에서 DMRS(230)를 통해 채널을 인지하기 위해서 DMRS(230)의 심볼에 전송되는 DMRS 전송 sequence를 인지해야 한다. DMRS의 전송에 사용되는 sequence는 제1기지국 식별자와 스크램블링 인식자(nSCID)(231)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기지국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후에 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램블링 인식자는 DCI(210)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DCI(210)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채널(240)도 셀 내의 다른 단말간에 혼선이 없으며 다른 셀에 같은 자원을 사용하는 데이터 채널 간의 혼선을 감소하기 위하여 제1단말 식별자와 제1기지국 식별자(241)를 기반으로 하여 scrambling sequence(245)를 생성하고, 생성된 scrambling sequence(245)를 기반으로 이를 데이터 채널(240)에 스크램블링(246)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단말은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만약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약 20~30 bit의 DCI(210)와 이를 식별하기 위한 16bit의 단말 식별자(212) 인지해야 하며, 만약 셀 경계에 존재하는 경우 다른 셀의 데이터 채널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추가로 9bit의 제1기지국 식별자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결국 단말은 다른 단말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최대 3배정도의 추가 시그널링 overhead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하향링크 DCI에 포함되는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CI는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DMRS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데이터 채널에서의 대표 제어 채널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 채널에는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될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 채널에는 자원 할당 정보(3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원 할당 정보(310)는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이 선호하는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3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나의 자원 할당 단위를 하나의 bit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다른 예로 다수의 연속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하여 시작점과 길이를 하나의 대표값으로 표현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DMRS를 이용한 데이터 채널 전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자신에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이 어떤 DMRS 포트를 사용하는지를 지시 받아야 한다. 하나의 PRB에는 총 8개의 DMRS 포트가 있는데 이 중에서 어떤 포트를 이용하여 자신의 데이터 채널을 복조 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 채널에 이러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채널(320)은 스케줄링 받는 단말이 사용하는 DMRS 포트 인덱스, 상기 단말이 사용하는 포트에 사용된 스크램블링 ID 및 총 layer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러한 정보는 제어채널(320)와 같이 joint coding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최대 두 개의 transport block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제어 채널에는 최대 두 개의 transport block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 정보(320)를 실제 transport block 전송에 사용한 부호화율(331)과 해당 transport block이 재전송인지 알려주는 정보 (NDI, new data indicator)(332)와 재전송 버전 정보(Redundancy version, RV)(333)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제어 채널에는 채널 추정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 시키지 위한 명령 지시 및 상향링크 채널 추정 신호 전송을 지시하는 명령 혹은 전력 제어 신호 (3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각 단말이 자신에게 전송되는 제어 채널임을 판단할 수 있는 CRC(350)을 포함할 수 있다. CRC(350)를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단말의 제1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CRC(350) 생성 방법은 CRC(350)에 제1식별자를 비트 단위로 XOR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한다. 기지국은 스케줄러가 결정한 것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어 채널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기지국의 데이터 채널 송신기와 그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전송에 필요한 정보(information)(410)을 결정할수 있다. 결정된 정보(410)을 이용하여 전송이 1개의 transport block 전송인지 2개의 transport block 전송인지 유무에 따라서 Demux(420)에서 정보(410)를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transport block은 도 421과 같이 에러 검출을 위한 CRC(421)를 삽입하고, 인코터(422)를 통과 하여 각 부호화율에 따라 인코딩할 수 있다.
이후 인코딩된 신호는 스크램블링(423)을 통해 제1단말 식별자와 제1식 기지국 실별자를 기반으로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만들고, 이를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스크램블링 할 수 있다.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은 결정된 변조율에 맞게 변조기(424)를 통해 변조된다. 상기 변조된 변조된 각 transport block은 공간 자원 맵핑기(layer mapper)(425)에서 공간 다중화를 위한 자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자원 매핑된 transport block은 빔성형기(426)에서 단말에 전송을 위한 빔성형 된다.
빔성형된 데이터 채널은 RE mapper(427)를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물리 자원에 할당된다.
상기 실제 물리 자원에 할당된 데이터 채널은 전송 블록(428)에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되고 CP (cyclic prefix)를 삽입되어 OFDM 신호로 완성된다.
상기 완성된 OFDM 신호는 다중 안테나(430)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단말의 데이터 채널 수신기와 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기지국(510)에서 전송된 데이터 채널은 기지국(510)과 연결될 수 있는 단말 (520, 521, 522)을 통해 다수의 단말의 안테나(530)에 수신될 수 있다.
각 단말(520, 521, 522)은 기지국(51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각 제어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제어 체널의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에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51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안테나(530)로 수신된 데이터 채널은 CP제거/FFT(531)를 통해 CP를 제거하고, 수신된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동작을 수행하여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RE demapper(532)를 통해 RE de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와 이를 통한 DMRS에서 수신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MMSE equalizer (Minimum mean square error equalizer)(533)에서 첫번째 transport block 수신을 위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채널을 기반으로 복조기(534)에서 복조를 수행하고, 역스크램블기(535)에서 제1단말 식별자와 제1기지국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한 스크램블링 신호를 이용하여 첫번째 transport block을 역스크램블링한다. 상기 역 스크램블링 된 신호를 디코터(536)에 전달하여 첫번째 transport block을 전송한다.
CRC 검토부(537)에서 CRC를 확인하여 수신된 신호의 error 여부를 판단하고 error가 없는 경우에는 540과 같이 수신된 신호를 첫번째 transport block으로 인지한다.
두번째 transport block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은 첫번째 transport block를 바르게 수신한 경우 이를 원래 신호에서 상기 수신된 첫번째 transport block을 제거함으로 두번째 transport block의 수신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SIC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수신기라 할 수 있다.
SIC를 위해 단말은 CRC 검토부(537)를 통해, 복조가 완료된 첫번째 transport block에 다시 CRC를 더할 수 있다.
상기 CRC가 더해진 첫 번째 transport block을 포함하는 신호는 인코더(538)에서 인코딩 된다.
이후 단말은 상기 기지국 송신동작과 동일하게 스크램블링부(539)와 모듈레이션 메퍼(514)를 이용하여 스크래블링과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은 자신이 DMRS를 통해 인지한 수신 채널 정보(515)를 이용하여 복조한 첫번째 transport block에 채널을 곱하여 MMSE equalizer(533) 통과 이전 상태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제거기(543)에서 MMSE equalizer(533) 통과 이전 상태로 신호에서 자신이 성공적으로 복조된 첫번째 transport block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거된 신호는 MMSE equalizer(533)를 통과하고 첫번째 transport block 수신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되고 550와 같이 두 번째 transport block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수신 성공한 첫번째 transport block을 기반으로, 첫번째와 두번째 transport block이 중첩되어 수신된 채널에서 단말이 성공적으로 수신한 첫번째 transport block 신호를 제거함으로서 두번째 transport block의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첫번째 transport block 수신을 성공하면, 상기 수신 성공한 첫번째 transport block을 기반으로 자기 신호의 간섭을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제안하는 기지국과 단말의 간섭 제어를 위한 운영 시나리오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610, 620, 630)은 다수의 빔(651, 652, 653, 654, 655)을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단말(641, 642, 643, 644, 645)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지국(610, 620, 630)이 다수의 빔(651, 652, 653, 654, 655)을 이용하여 여러 단말(641, 642, 643, 644, 645)을 스케줄링 하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 시나리오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610, 620, 630)은 셀로 언급될 수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하나의 셀에서 기지국에 근접한 단말과 기지국에 멀리 떨어진 단말 간에 동시에 스케줄링 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하나의 셀에 인접한 두 개의 단말이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해여 동시에 스케줄링되는 경우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다수의 빔을 이용하여 스케줄링하는 경우 인접 셀간의 스케줄링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는 인접한 두 개의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받는 경우이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 예에서 단말 1(641)과 단말 2(642)는 하나의 셀A(610)에 있는 두 개의 단말이다. 이 중 단말 1(641)은 셀A(610)의 스케줄링 영역 내에서 셀A(610)에 근접한 위치에 있으며, 단말 2(642)은 셀A(610)에서 셀A(610) 기지국의 전송 지점에서 먼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때 기지국은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진 단말에 서로 다른 빔형성을 통해 동시에 스케줄링이 가능한다. 셀A(610)의 기지국은 단말 1(641)의 경우에는 적은 전력으로 빔#A-1(651)를 이용하여 전송하며, 단말 2(642)은 빔#A-2(652)를 이용하여 높은 전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2(642)와 단말 3(643)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두 개의 단말이지만 서로 수신하는 기지국이 다른 경우이다.
이 경우 단말 2(642)는 빔 #A-2(652)를 통해 셀A(610)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단말 3(643)은 빔#B-3(653)를 통해 셀B(620)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실시 예에서 한 셀내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단말이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4(644)와 단말 5(645)와 같이 빔#C-4(654)와 빔#C-5(655)를 이용하여 셀C(630)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MU-MIMO 스케줄링은 스케줄링되는 단말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아무리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라도 단말 2(642)가 셀A(610)의 기지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셀A(610)의 기지국은 빔#A-1(65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으로 빔#A-2(652)를 형성한다. 따라서 빔#A-2(652)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단말 1(641)로 수신되는 경우, 빔형성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단말 1(641)이 수신하는 빔#A-2(652)의 낮음에도 불구하고 빔#A-1(651)로 전송되는 전송 전력도 작기 때문에 빔#A-2(652)성분에 의한 간섭이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지리적으로 유사한 위치의 단말들이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받게 되는 경우 각 단말은 인접 셀로부터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실시 예에서 단말 2(642)와 단말 4(643)은 각각 인접한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 실제로 인접하지 않은 단말이라 하더라도 각 단말이 선호하는 빔성형 간에 중첩 혹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4(644) 및 단말 (645)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빔 성형이 실제 공간적으로 분리된 경우에도 MU-MIMO 스케줄링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빔포밍을 이용한 MU-MIMO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효과적으로 MU-MIMO 스케줄링을 위한 동시 전송이 가능한 단말을 선택해야 하며, 또한 MU-MIMO 스케줄링으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 간섭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스케줄링 성능 및 단말의 수신성능 얻을 수 있게된다. 그러나 실제로 기지국은 셀 내의 수많은 단말의 건섭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MU-MIMO 스케줄링 하기에는 복잡도가 매우 높으며 또한 간섭 제거를 위해서는 모든 단말에 현재 스케줄링 되는 모든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줘야 하며 이를 매우 큰 오버헤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U-MIMO 스케줄링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셀 운영 방법과 함께, 단말에 추가적인 정보를 최소화하여 동시 스케줄링되는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지국이 빔포밍을 이용하여 가상의 셀을 운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공간 다중화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MU-MIMO 스케줄링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빔을 이용하여 하나의 셀을 다수 개의 임의의 가상의 셀로 운영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710)은 복수개의 섹터(711)를 운영할 수 있다. 기지국(71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은 복수개의 섹터(711)중 하나의 섹터를 하나의 셀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기지국(720)은 다수의 가상의 셀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는 셀 내의 단말은 기지국 중심으로 지리적으로 분리하여 공간 다중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채널 추정을 위한 제1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모든 단말 공용으로 할당하고 이 자원의 각 RE에 가상의 셀을 구분할 수 있는 빔형성을 하여 전송하는 방법이다. 기지국(720)은 섹터(712)를 형성하도록 빔 형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RS가 총 8개의 RE 자원으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720)은 각 RE에 서로 다른 빔형성을 하여 전송하고 모든 단말은 해당 자원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통해 자신이 어떤 가상의 셀 (빔 패턴)에 속해있는지 기지국에 피드백 함으로 기지국은 단말이 어떤 가상의 빔에 가장 채널이 좋은지 인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상의 빔은 단순히 지리적인 셀 영역을 분할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기지국(710)은 섹터(712)와 같이 세분화 하여 운영할 수 있다. 좀 더 진화된 기지국은 다양한 종류의 빔포밍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가상 섹터(730)와 같이 일정 지리에 국한하여 빔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기지국의 거리에 따라 분리된 빔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빔포밍 기술은 결국 하나의 셀 내에서 지리적인 형상, 건물, 셀 내의 포함된 다른 소형 기지국에 의해서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이 가능하고 결국 단말에 채널 추정 자원을 가상섹터(730)와 같이 가상의 셀로 빔을 형성하여 전송하여 운영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렇게 가상의 빔을 구성하여 채널 추정 기준신호의 자원에 빔성형하여 전송하고 단말이 각 채널 추정 자원의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기지국은 단말 별로 스케줄링을 위한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 채널 추정 기준 신호에는 하나의 가상의 셀에 포함되는 혹은 일부 중첩되는 빔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인접한 가상의 셀들에 포함되는 혹은 중첩되는 빔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채널 추정 기준 신호와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의 가장 큰 차이는 갱신 주기의 차이이다. 제1채널 추정 기준 신호는 빠르게 움직이는 단말 혹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운영하기 때문에 단말이 셀이 변경하기 전까지는 하나의 셀 내에서는 거의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는 단말이 가상의 셀을 저속으로 계속 이동하거나 기지국이 스케줄링에 사용하는 빔형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매우 빠르게 변하게 된다.
실시 예에서 제1채널 추정 기준 신호는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서 자원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빔은 단말에 일단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면 사용하는 빔은 단말이 인지 없이 계속 변경이 가능하다.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에 전송되는 빔을 공간적으로 도시하면 도8은 같다.
도8은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기지국이 가상의 셀에서 빔포밍을 이용하여 MU-MIMO 운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술한 것과 같이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 구성은 MU-MIMO 스케줄링을 위한 것으로 기지국(810, 820)은 하나의 단말이 임의의 가상의 셀에 있는 경우 해당 셀의 영역을 구성 가능한 1개 이상의 빔을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에 빔포밍하여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지국(810)이 형성하는 동일한 가상의 셀 b에 존재하는 세 개의 단말(811, 813, 814)는 동일한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820)이 형성하는 비균일한 가상의 셀로 구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단말이 임의의 가상의 셀 안에 있어도 다수의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말이 임의의 가상의 셀 안에 있는 경우에도 다수의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 자원을 할당 받음에 따라 상기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거나 가상의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간섭 제거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단말7(821)과 단말 6(822) 이 서로 다른 가상의 셀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단말 7(821) 및 단말 6(822)는 동일한 두 개의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 자원을 할당 받고 각각의 자원은 가상의 셀b와 셀a를 스케줄링할 수 있는 빔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단말 3(824)과 단말 2(825)와 같이 인접 기지국이 구성한 셀 경계에 있는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 단말은 두 개 이상의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 자원을 수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자원은 인접한 다수의 가상의 셀에서 스케줄링 가능한 빔으로 구성하여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일단 스케줄링을 위한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기반으로 단말의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4(813) 는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가 구성하는 빔 중에서 #b8과 #b7(812) 모두에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빔들의 인덱스를 기지국에 피드백할 수 있다. 단말이 선호하는 빔의 인덱스는 선호하는 제2채널 추정 기준 신호의 위치 혹은 이에 상응하는 값을 전달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단말은 이를 기반으로 채널 품질(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기지국에 전송해야 하며, 만약 하나의 빔을 이용한 스케줄링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선택한 빔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 채널 품질을 기지국에 전송해야 하며 선호하는 두 개의 빔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 경우에는 두 개의 선호 빔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빔간의 간섭을 고려한 채널 품질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이 두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상기 기술한 채널 품질을 모두 기지국에 전송해야 한다. 반면 단말 5(814)와 단말 1(811)과 같이 하나의 빔이 선택된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는 선호 빔과 채널 품질 값을 기지국에 전송하는데 기지국 이를 기반으로 단말 4(813)와 단말 5(814)에 해당하는 단말 혹은 단말 5(814)와 단말 1(811), 혹은 단말 4(813)와 단말 1(811)의 조합을 동시에 같은 시간 주파수 자원에 MU-MIMO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만약 단말 4(813)과 단말 5(814)를 MU-MIMO 스케줄링 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단말 4(813)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선호하는 두 개의 빔 중에서 하나를 단말 5(814)가 선호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따라서 동시 스케줄링으로 인한 간섭을 단말 4(813)에게 제거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4(813)에는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 4(813)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b8을 통해서 전송되고 #b7은 다른 단말을 위해 전송하며 이를 제거하라고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810)은 단말 4(813)이 간섭 제거로 인해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단말간 간섭으로 인하여 단말 4(813)와 단말 5(814)를 동시에 전송하지 못했던 것에 비해 훨씬 높은 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지국과 단말이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2단말 식별자는 간섭 제거를 위한 MU-MIMO 전송으로 구성된 단말이 자신 초기 셀 접속 시에 부여 받은 제1단말 식별자와 제1기지국 식별자가 아닌 간섭 제거에 용의한 임의의 단말 식별자와 기지국 식별자를 의미하며 이는 자신의 식별자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단말이 사용하는 제 2단말 식별자와 제 2기지국 식별자까지 인지할 수 있는 식별자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단말과 기지국은 MU-MIMO 전송 시 단말이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른 단말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말 고유의 정보를 인지해야 하는데, 실시 예에서는 MU-MIMO 간섭 제거를 위한 제어 채널과 CSI-RS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과 간섭 제거를 해야 하는 다른 단말의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제1기지국 식별자(911)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기지국 식별자(911) 를 기반으로 발생한 스크램블링 시퀀스(915)로부터 스크램블링(916)된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제어 채널(910)을 동시에 수신하고, 수신된 다수의 제어 채널(910) 중에서 상기 단말에 할당된 스케줄링 정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각 제어 채널(910)에 포함된 CRC(920)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제1단말 식별자(912)를 스크램블링(917)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각각의 제어 채널(910)에서 CRC(920)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어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할당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제어 채널에 간섭 제거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은 두 개의 TB가운데 첫번째 TB는 자신에게 할당된 스케줄링 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간섭 제거를 위해 다른 단말에 할당된 TB의 정보이기 때문에 해당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다른 단말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의 제1단말 식별자와 제1기지국 식별자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기술에서는 제어 채널을 통해서 다른 단말의 TB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다른 단말이 수신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간에 임의의 규약을 통해 해당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은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이 제어 채널 정보(950)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와 상위 시그널링으로 수신한 CSI-RS 구성 정보(960)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DMRS 수신을 위한 nSCID와 제2기지국 식별자(931)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941)를 기반으로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와 다른 신호 사이에 간섭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941)를 기반으로 자신에 할당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제거해야 할 단말에 할당된 제2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또한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941)로 데이터 채널(940)의 스크램블링된 시퀀스(945)를 생성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제거를 위해서 이전 복조 신호로 간섭을 제거하고 같은 할당 자원에 대해서 자기 단말의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941)를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단말은 높은 간섭을 가지는 단말의 데이터 채널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MU-MIMO 전송으로 인한 셀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어를 위한 제어 채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제어 채널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 채널은 간섭 제거를 위한 지시자와 자신과 간섭이 사용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정보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transport block의 전송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첫 번째 transport block에 포함된 정보는 자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이며 두 번째 transport block에 포함된 정보는 간섭 제거 지시자에 의해서 결정되는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나 간섭 스케줄링 정보이다. 상기 transport block의 순서는 실시 예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 채널 구조는 단말의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 중에서 할당 자원의 위치정보(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위치 정보는 간섭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되어도 하나의 정보만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기술한 제어 채널로 간섭 제거를 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해당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의 자원 위치는 동일한 위치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채널 구조는 간섭 지시자(1060)를 포함할 수 있다.간섭 지시자(1060) 1개 혹은 2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지시자(1060)의 정보는 수신한 제어 채널에 포함한 적어도 두 개의 transport block0, 1 (TB0, TB1)의 정보가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을 위한 것인지 간섭 신호에 대한 것인지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1bit을 이용한 간섭 지시자는 다음과 같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0" -Rank 2,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TB0, TB1 -desired)
"1" -Rank 1, TB0 -desired, TB1 -interference
바람직한 실시예로 2bit을 이용한 간섭 지시자는 다음과 같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00" -Rank 2,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TB0, TB1 -desired), nSCID=0
"01" -Rank 1, TB0 -desired, nSCID=0 TB1 -interference
"10" -Rank 1, TB0 -interference TB1 -desired, nSCID=1
"11" -Rank 2,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TB0, TB1 -desired), nSCID=1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2bit을 이용한 간섭 지시자는 다음과 같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00" -Rank 2,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TB0, TB1 -desired),
"01" -Rank 1, TB0 -desired, TB1 -interference
"10" -Rank 1, TB0 -interference TB1 -desired
"11" -Rank 2,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TB0, TB1 -desired)
다음 정보는 실제로 각 데이터 transport block이 전송되는데 이용되는 DMRS 정보가 DMRS 포트 정보(1020)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3bit을 이용한 DMRS 안테나 정보 필드는 다음과 같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000" -Port 7, 8 with nSCID=0
"001" -Port 7, 8 with nSCID=1
"010" -Port 7 with nSCID=0, Port 8 with nSCID=1
"011" -Port 7 with nSCID=1, Port 8 with nSCID=0
"100" -Port 7, 9
"101" -Port 7, 10
"110" -Port 8, 9
"111" -Port 8, 10
실시예로 2bit을 이용한 DMRS 안테나 정보 필드는 다음과 같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00" -Port 7, 8 with nSCID=0
"01" -Port 7, 8 with nSCID=1
"10" -Port 7 with nSCID=0, Port 8 with nSCID=1
"11" -Port 7 with nSCID=1, Port 8 with nSCID=0
또 다른, 실시예로 2bit을 이용한 DMRS 안테나 정보 필드는 다음과 같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00" -Port 7, 9
"01" -Port 7, 10
"10" -Port 8, 9
"11" -Port 8, 10
상기 기술한 실시예뿐 아니라 제안하는 안테나 포트 정보(1020)는 DCI에 포함되는 적어도 두 개의 TB가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port index와 이에 적용되는 스크램블링 초기값 정보(nSCID)를 포함해야 하며 이는 joint 코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기지국 식별자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기지국 식별자를 판단하는 실시로 기지국이 단말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임의의 제2기지국 식별자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실시로 상기 기술한 가상 셀을 판단하기 위한 CSI-RS자원의 port에 함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셀을 판단하기 위한 CSI-RS의 port가 0~7까지 8개인 경우 단말이 선택한 CSI-RS port index를 제2기지국 식별자로 판단할 수 있다. MU-MIMO 전송 시 간섭 제거는 단말이 서로 근접한 경우에 필요하기 때문에 동일한 가상의 셀 내에 있는 단말 간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시 예에서 제2단말 식별자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단말 식별자를 판단하는 실시로는 식 1과 단말이 스케줄링을 위해 configure된 CSI-RS set 정보와 현재 스케줄링 받은 DMRS 포트 정보(1020)의 함수로 결정할 수 있다. 그 예로 식 2와 같이 단말이 가용한 총 DMRS 개수 (NDMRS _ MAX )와 현재 구성된 CSI-RS set index값을 곱하고 현재 사용하는 DMRS port index를 더하여 제2단말 식별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 CSI-RS 자원은 주파수 인덱스가 작고 시간이 빠른 순서 혹은 시간 이 빠르거나 주파수 인덱스가 크고 시간이 빠른 순서로 구성된 CSI-RS 자원 set를 순서로 set 인덱스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셀 안에 모든 가상 셀에 있는 단말 중에서 서로 같은 CSI-RS set을 사용하는 단말 간에는 서로 다른 제2단말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 2단말 식별자를 인지하는 방법은 단말이 할당받은 CSI-RS 구성 정보와 DCI로 스케줄링 받은 DMRS port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가상 셀 안에 있는 단말 간에 서로 다른 제2단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실제로 기지국은 제 1단말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2단말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부여하는 제2단말 식별자가 셀 안에서 제1단말 식별자로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제2단말 식별자의 영역을 구별하거나 다른 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
(식1) nRNTI2 =f(DMRS port index) + f(CSI-RS set)
(식2) nRNTI2 = NDMRS _ MAX*(CSI-RS-set-index)+DMRS-port-index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거 전송을 위한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단계 1110에서 기지국은 기지국 식별자를 제1기지국 식별자로 구성하고 자신에 접속한 단말에 제1단말 식별자를 부여한다. 상기 기지국 식별자는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에 포함된 저장장치에 기록되거나 상기 기지국이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MU-MIMO 전송 모드 혹은 간섭 제거 수신 모드 혹은 이에 상응하는 전송 모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MU-MIMO 전송 모드 혹은 간섭 제거 모드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MU-MIMO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에 적합한 MU-MIMO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14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계 1130에서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동일한 자원에 스케줄링한 서로 다른 단말 간에 간섭 제거가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 채널에 포함하여 간섭 제거를 위한 제어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 115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계 1140에서 구성된 제어 채널과 스케줄링 정보를 바탕으로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150에서 상기 기지국은 단계 1150에서 결정된 제2단말 식별자 및 제2기지국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해당 단말의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여, 상기 구성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거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1210에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제1단말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제1기지국 식별자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제1기지국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상기 단말은 간섭 제거 모드 혹은 MU-MIMO 전송 모드 혹은 간섭 제거가 가능한 임의의 전송 모드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단계121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모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23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계 1220에서 수신한 전송 모드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단말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케줄링 빔 인덱스 혹은 이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 기준 신호 인덱스 혹은 프리코딩 인덱스를 적어도 1개 이상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1개 이상의 정보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사용하는 빔 조합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24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1230에서 송수신한 정보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결정된 스케줄링을 위한 제어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수신할 수 있다.
단계 1250에서 상기 단말은 수신된 제어 채널, 구성된 전송 모드 및 구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제2단말 식별자와 제2기지국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1260에서 상기 단말은 수신된 제어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27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1250에서 인지한 제2단말 식별자및 제2기지국 식별자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 데이터 채널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제어 채널 정보에 따라 복조된 데이터 정보의 간섭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판단 결과 간섭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정보는 폐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위로 전달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단계 1270을 통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거 전송을 위한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 컨트롤러(1310)는 동일한 자원을 다수의 단말에 스케줄링 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동일한 자원에 할당하고 이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데에 있어서 제어 채널 발생기(1320)에 의해서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제어 채널을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제어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데이터 채널 생성기(1340)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게 만든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송신 장치(1330)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거 전송을 위한 단말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은 수신 장치(1410)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채널 수신기(1450)를 이용하여 해당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제어 채널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단말 컨트롤러(1440)는 상기 습득된 제어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어 채널 처리 방법에 따라 데이터 채널을 디코딩 수행 할 수 있다. 컨트롤러(1440)는 디코딩을 위해서 간섭 제거 수신기(1420)를 이용하며 복조를 하며 데이터 선택기(1430)는 제어 채널 정보에 의해서 해당 복조 신호가 자신의 정보인지 간섭 정보인지 판단하여 자신의 정보인 경우에만 수신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8)

  1.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지원하는 기지국에서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접속한 단말에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제1단말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MU-MIMO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빔포밍 방법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빔포밍 방법 중 상기 단말에 신호 전송을 할 때 사용되는 빔 포밍 방법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기지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간섭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제2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지원하는 단말에서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할당한 제1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MU-MIMO 전송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체널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한 빔포밍 방법을 지시하는 제2기지국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빔포밍 방법 및 상기 기지국이 간섭 제거를 위해 할당한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제2단말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지국 지시자 및 상기 제1단말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채널로부터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을 찾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상기 제2단말 식별자 및 상기 제2기지국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접속한 단말에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제1단말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MU-MIMO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빔포밍 방법의 집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빔포밍 방법 중 상기 단말에 신호 전송을 할 때 사용되는 빔 포밍 방법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기지국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간섭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제2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MU-MIMO(Multi 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제1기지국 식별자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할당한 제1단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MU-MIMO 전송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상게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체널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한 빔포밍 방법을 지시하는 제2기지국 지시자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빔포밍 방법 및 상기 기지국이 간섭 제거를 위해 할당한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제2단말 지시자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기지국 지시자 및 상기 제1단말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채널로부터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상기 제2단말 식별자 및 상기 제2기지국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0135466A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40067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466A KR20140067780A (ko)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US14/092,706 US9462594B2 (en) 2012-11-27 2013-11-27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3/010858 WO2014084605A1 (en) 2012-11-27 2013-11-27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3859240.7A EP2926472B1 (en) 2012-11-27 2013-11-27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466A KR20140067780A (ko)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780A true KR20140067780A (ko) 2014-06-05

Family

ID=5077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466A KR20140067780A (ko)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62594B2 (ko)
EP (1) EP2926472B1 (ko)
KR (1) KR20140067780A (ko)
WO (1) WO20140846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204A1 (ko) * 2015-03-23 2016-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풀 듀플렉스 방식을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133167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013A (ko) * 2013-03-18 201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159356A (ja) * 2014-02-21 2015-09-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
WO2015149213A1 (en) 2014-03-31 2015-10-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terference parameter signaling for efficient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
US9438283B2 (en) * 2014-05-23 2016-09-06 Intel Corporation Baseband time domain cancellation of data bus interference
WO2016021750A1 (ko) * 2014-08-06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Fdr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681007B (zh) * 2014-11-19 2020-11-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和调度方法及装置
US10211891B2 (en) * 2014-11-21 2019-02-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US11153775B2 (en) 2015-03-09 2021-10-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distribute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89509B2 (en) * 2015-07-30 2019-08-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Multi-user, full duplex in-b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331294B1 (en) * 2015-11-13 2023-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and device utilizing same
US20190319682A1 (en) * 2015-12-23 2019-10-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Feedback of sparse correlation matrix fo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wireless networks
US10454594B2 (en) * 2016-02-18 2019-10-22 RF DSP Inc. Massive MIMO channel emulator
WO2017196008A1 (ko) 2016-05-13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간섭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82176B2 (en) * 2016-11-04 2021-08-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ub-space selection
CN106569235B (zh) * 2016-11-17 2019-01-18 上海卫星工程研究所 L波段sar卫星导航接收机抗同频干扰的设计方法
CN108347324B (zh) * 2017-01-25 2022-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网络设备
US11418379B2 (en) * 2017-06-09 2022-08-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23216228A1 (en) * 2022-05-13 2023-11-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subscription dl interference cance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2087B2 (ja) 2005-01-26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端末装置
DE602006009750D1 (de) * 2005-12-03 200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von Nachbarzell-Störsignalen in einem orthogonalen Frequenzteilungs-Mehrfachzugriffssystem
US20090227263A1 (en) * 2007-09-10 2009-09-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load indication for intere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3479B2 (en) * 2009-04-28 2015-03-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dedicated reference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dedicated reference signal
US8526407B2 (en) * 2009-05-14 2013-09-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coordinated multipoint cells to mitigate inter-comp-cell downlink interference
US9264097B2 (en)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37298B2 (en) 2009-07-29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blind interference decrease/cancellation techniques
KR20110021697A (ko)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mimo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743824B2 (en) 2009-08-26 2014-06-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multi-user MIMO transmission
US8625692B2 (en) 2009-09-28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roughput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
KR101931711B1 (ko) * 2010-06-14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03096395A (zh) * 2011-11-04 2013-05-0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中用于指示用户终端进行干扰减轻的方法
US9014694B2 (en) * 2012-01-30 2015-04-21 Nokia Solutions and Netowrks Oy Non-orthogonal transmit mode
EP2823570B1 (en) * 2012-03-05 2017-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of other-cell signal's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facilitate interference cancellation at a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204A1 (ko) * 2015-03-23 2016-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풀 듀플렉스 방식을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10944451B2 (en) 2015-03-23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full-duplex scheme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eam-forming scheme
KR20160133167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6472A4 (en) 2016-07-27
US9462594B2 (en) 2016-10-04
US20140146765A1 (en) 2014-05-29
EP2926472B1 (en) 2019-04-03
WO2014084605A1 (en) 2014-06-05
EP2926472A1 (en)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46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情報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400677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EP3389204B1 (en) Dmrs ind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JP6462891B2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365448B (zh) 提供干扰特性用于干扰减轻的系统和方法
US201800920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US8811321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downlink reference signal,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ing same
KR1020617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인지 검출 방법 및 장치
US8755807B2 (en) Semi-static resource allocation to support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916585B1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KR101703864B1 (ko)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기지국과,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
AU2012348404B2 (en) Initializing reference signal genera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1253197B1 (ko) 참조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참조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KR101418501B1 (ko)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 및 다중―사용자 mimo(mu―mimo)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379347B (zh) 消除相邻小区数据传输的方法及用户设备
JP67280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干渉信号除去及び抑制のための無線資源活用方法及び装置
US9742534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JP5134635B2 (ja)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401111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10749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및 억제를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988561A (zh) 通信系统、移动站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AU2013228462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313359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고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1017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3059095A (ja)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