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892A -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892A
KR20140066892A KR1020120133668A KR20120133668A KR20140066892A KR 20140066892 A KR20140066892 A KR 20140066892A KR 1020120133668 A KR1020120133668 A KR 1020120133668A KR 20120133668 A KR20120133668 A KR 20120133668A KR 20140066892 A KR20140066892 A KR 2014006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earch word
word
user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Priority to KR102012013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892A/ko
Publication of KR2014006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색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검색 의도와 부합하는 검색어를 확인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여러 개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정보 검색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와 관련성이 높은 검색어를 확인하고, 상기 검색어를 다른 검색어들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하여 이후 다른 검색어들을 사용하여 검색을 하더라도 등록된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Search Word Validity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적합한 검색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토대로 하여 검색어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상기 유효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은 인터넷 사용자가 검색어와 검색 명령을 입력하면, 검색 엔진이 상기 검색어와 연관이 있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인터넷 검색을 함에 있어서는, 입력할 검색어의 선택과 입력된 검색어와 콘텐츠의 관련성 판단 기준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통상적인 인터넷 사용자들은 본인들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검색어를 한 번에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첫 번째 검색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른 검색어로 수차례 검색을 반복해서 원하는 정보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여러 번 검색어를 바꾸는 과정을 통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게 되더라도, 이후 동일한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첫 번째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 엔진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통상적인 사용자들은 정보 검색을 할 때 유사한 패턴으로 검색어를 선정하는 경우가 다수 있어, 검색어 선택이 미숙한 사용자가 효율적이지 않은 검색 과정을 통해 정보를 찾은 경우와 동일한 과정이 제3자에 의하여 반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출력 후 사용자의 반응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의 유효성(콘텐츠와의 관련성)을 판별하고, 관련성이 낮은 검색어 입력시 관련성이 높은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도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출력되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검색 결과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조회하면, 상기 제 2 검색어를 상기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및 상기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조회 명령을 입력받지 않고 상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것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출력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콘텐츠의 조회 명령을 입력받은 다음 상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것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의 유효성을 판별하며, 상기 검색어의 유효성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를 등록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어 및 상기 서브 검색어의 관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토대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콘텐츠 사이의 관련성(검색어의 유효성)을 판별하고, 유효성 결과에 기초하여 관련성이 높은 검색어를 기본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해 놓아, 기본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에 의하여 검색어의 유효성을 판별하고 서브 검색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에 의하여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 검색을 하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와 조회하는 콘텐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동일한 사용자 또는 제 3 자의 이후 검색시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와 조회하는 콘텐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검색 기록(특히, 사용자가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출력 후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을 활용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 기록을 기초로 하여 검색어의 유효성, 즉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의 의도와 검색된 결과의 부합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서브 검색어 등록에 이용하여 이후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서브 검색어란,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본 검색어에 의한 검색을 보충해주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검색 기록에 기초하여 서브 검색어를 등록하고 검색 결과 생성시 활용한다.
이하, 도 1과 도 2를 통해 서브 검색어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고 도 3을 통해 서브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결과 출력 과정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에 의하여 서브 검색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정보 검색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 결과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가 최초로 입력하는 검색어를 제 1 검색어라고 한다, 즉, 사용자는 제 1 검색어를 입력하고(S100), 검색 결과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으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얻을 수도 있지만, 한 번의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을 계속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새로운 검색어를 제 2 검색어라고 한다(S120).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가 있고, 제 1 검색어와 제 2 검색어는 모두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어이므로, 검색어 상호 간에는 어느 정도의 관련성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출력된 후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하면(S140), 사용자가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은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검색 결과 출력 후 사용자의 반응 시간을 측정하여 검색 결과가 사용자의 검색 의도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활용한다.
사용자가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출력된 후, 콘텐츠를 조회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걸린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5초)과 비교한다(S160). 비교 결과, 걸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이면 검색 결과 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조회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검색어로 검색을 시작하였으나,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조회하였다면,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부합하는 검색어는 제 2 검색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제 2 검색어를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한다(S180). 이는 이후 동일한 검색 의도를 가진 사용자가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을 할 경우, 등록된 서브 검색어를 활용하여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2는 서브 검색어 등록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제 1 검색어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하고, 제 2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을 한 경우에 서브 검색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제 1 검색어를 입력하고(S200),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한 다음(S210),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때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이 전혀 새로운 목적을 위한 검색일 수도 있지만,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여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을 이어나가는 검색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사용자의 반응 시간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출력 후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하더라도,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S220), 걸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사용자는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고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제 2 검색어가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제 2 검색어가 입력되고(S230), 사용자가 제 2 검색 결과 내 콘텐츠를 조회하면(S240), 검색 결과 출력 후 콘텐츠 조회까지 걸린 시간과 기설정된 시간을 비교한다(S250). 비교 결과, 콘텐츠 조회까지 걸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일 경우(S250), 제 2 검색어가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부합하는 검색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제 2 검색어를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하고(S260), 이후 검색 결과 생성시 활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에 의한 서브 검색어 등록은 검색어가 2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새로운 검색어를 사용하여 계속해서 검색을 하여 마지막에 콘텐츠를 조회하여 검색어의 유효성이 인정된 경우, 마지막에 입력된 검색어를 이전에 입력된 모든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한다. 또는, 마지막에 입력된 검색어의 바로 직전에 입력된 하나의 검색어에 대한 서브 검색어로만 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는 검색 횟수가 증가할수록 최초 검색 의도와 마지막 입력된 검색어와의 관련성이 감소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에 의하여 서브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기본 검색어에 서브 검색어가 등록되면 서브 검색어를 기본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 입력시 활용한다. 사용자들의 이전 검색 기록을 기초로 판단할 때, 기본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가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와 더 일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색 결과 출력 과정은, 사용자가 기본 검색어를 통한 검색 명령을 입력하면 (S300), 기본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그리고, 서브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으면(S340) 기본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고(S380), 서브 검색어가 존재하면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도 함께 출력한다(S360).
이때, 기본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보다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사용자의 검색 의도와 더 일치한다고 볼 수도 있으므로,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출력되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검색 결과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조회하면, 상기 제 2 검색어를 상기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및 상기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조회 명령을 입력받지 않고, 상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것
    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가 출력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콘텐츠의 조회 명령을 입력받은 다음, 상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것
    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검색어에 의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 1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내 검색어로서, 상기 제 2 검색어를 입력받는 것
    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방법.
  6.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의 유효성을 판별하며, 상기 검색어의 유효성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를 등록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어 및 상기 서브 검색어의 관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출력 후,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콘텐츠를 조회하면 상기 검색어가 유효하다고 인식하는 것
    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효하지 않다고 판별된 제 1 검색어가 입력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 2 검색어가 유효하다고 판별되면, 상기 제 2 검색어를 상기 제 1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로 등록하는 것
    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검색어가 등록된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 및 상기 검색어의 서브 검색어에 의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것
    인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KR1020120133668A 2012-11-23 2012-11-23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68A KR20140066892A (ko) 2012-11-23 2012-11-23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68A KR20140066892A (ko) 2012-11-23 2012-11-23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892A true KR20140066892A (ko) 2014-06-03

Family

ID=5112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68A KR20140066892A (ko) 2012-11-23 2012-11-23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61A1 (en) * 2016-08-09 2018-02-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61A1 (en) * 2016-08-09 2018-02-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US10706083B2 (en) 2016-08-09 2020-07-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2430A1 (en) Developer voice actions system
US20120271843A1 (en) Computer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US20160275148A1 (en) Database query method and device
JP5597255B2 (ja) 単語の重みに基づいた検索結果の順位付け
US2018018936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arching key words
CN106897343B (zh) 执行计划的查找方法、存储方法及装置
WO20141141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keywords
CN10895924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介质
CN105404625A (zh) 应用程序的查找方法与系统
CN110543484A (zh) 提示词的推荐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KR20140066892A (ko) 검색어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7170447B (zh) 声音处理系统以及声音处理方法
US20140279991A1 (en) Conducting search sessions utilizing navigation patterns
KR101555847B1 (ko) 검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5102805A (ja) 音声認識システム、電子装置、サーバー、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2010224887A (ja) 単語境界決定装置および形態素解析装置
KR20140062661A (ko) 검색어 연관 등록 방법
KR20210056131A (ko) 법령 분야 질의 응답 방법 및 장치
RU2014138609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целевого сообщения,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нового целевого сообщения и сервер (варианты)
EP3800562A1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uzzy term searching
CN111859063A (zh) 一种用于监控互联网中转载文章信息的控制方法及装置
JP6083819B2 (ja) 入力支援システム、入力支援方法およ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US20210097074A1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uzzy term searching
KR20130047165A (ko) 추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10097073A1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uzzy term sear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